[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0673U - 너트 - Google Patents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673U
KR19990010673U KR2019970024049U KR19970024049U KR19990010673U KR 19990010673 U KR19990010673 U KR 19990010673U KR 2019970024049 U KR2019970024049 U KR 2019970024049U KR 19970024049 U KR19970024049 U KR 19970024049U KR 19990010673 U KR19990010673 U KR 19990010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851Y1 (en
Inventor
권대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8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볼트와의 체결작업시 서로 규격이 다른 두종류의 볼트가 하나의 너트에 체결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너트에 대해 개시한다. 이 너트는 그 중앙에 소정 크기의 통공(110)이 형성되고, 그 통공(11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다른 규격의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120, 220)가 각각 마련되며, 그 나사산과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30)가 개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르면, 볼트와의 체결작업시 작업성이 향상되며, 볼트 또는 너트의 나사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너트
본 고안은 너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너트로 서로 상이한 규격의 볼트와 체결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는 그 중앙에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그 통공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 나사산이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소정의 물품을 고정/지지시키는 기계요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너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작업자는 상기한 볼트와의 체결작업시 그 볼트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의 너트를 선택하여 체결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시 동일한 규격의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작업자가 실수로 서로 다른 규격의 볼트에 너트를 체결시킬 경우, 그 너트 또는 볼트의 나사산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서로 다른 규격의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는 작은 규격의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큰 규격의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통공120, 220 : 체결부재
130 : 탄성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너트는 그 중앙에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그 통공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다른 규격의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가 각각 마련되며, 그 체결부재와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그 내주면에 각각 대경과 소경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차에 의해서 상기 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이한 대/소경 체결부재가 마련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너트는, 도 1 및 도 2 참조, 그 중앙에 소정 크기의 통공(110)이 형성되고, 그 통공(11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다른 규격의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120, 220)가 각각 마련되며, 그 나사산과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30)가 개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체결부재(120, 220)는 그 내주면에 각각 대경과 소경의 두 종류의 나사산이 형성된 대/소경 체결부재(120, 220)가 마련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호 교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소경 체결부재(120, 220)는 상호 통공(1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된 거리가 상호 다르며, 이는 상기 소경의 나사산을 갖는 소경 체결부재(120)가 그 통공(110)의 내주면에서 상기 대경의 나사산을 갖는 대경 체결부재(220)보다 더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30)는 그 일단이 상기 체결부재(120, 22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통공(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대/소경 체결부재120, 220)가 각각 상기 통공(110)의 내주면과 다른 거리로 이격되도록 그 길이가 다른 것이 개재된다.
미 설명부호 200는 볼트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 너트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도 3의 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소 규격의 볼트(200)와 체결작업시 작업자가 볼트(200)의 일단을 너트의 통공(110)측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내부로 삽입시키면, 그 볼트(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소경 체결부재(120)의 나사산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볼트(200)는 대경 체결부재(220)의 나사산과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대 규격 볼트(200)와의 체결작업시, 도 3의 b참조, 작업자가 볼트(200)의 일단을 너트의 통공(110)측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내부로 삽입시키면, 그 볼트(200)의 나사산이 상기 소경 체결부재(120)를 내측으로 밀어서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대경 체결부재(220)의 나사산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볼트(200)는 상기 소경 체결부재(120)를 통공(110)의 내주면측으로 밀어 탄성부재(130)를 수축시키는 과정을 먼저 갖게 된 후에 상기 대경 체결부재(220)에 결합되어 체결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너트는 볼트와의 체결작업시 서로 규격이 다른 두종류의 볼트가 하나의 너트에 체결가능한 구조로 된 것인바, 이에 따르면 작업자의 오조립시 너트 또는 볼트의 나사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 너트는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이 갖는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두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한 너트의 체결부재는 대/소경의 두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3, 4종류의 체결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Claims (2)

  1. 그 중앙에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그 통공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다른 규격의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가 각각 마련되며, 그 체결부재와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그 내주면에 각각 대경과 소경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차에 의해서 상기 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이한 대/소경 체결부재가 마련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KR2019970024049U 1997-08-29 1997-08-29 Nut KR2001608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049U KR200160851Y1 (en) 1997-08-29 1997-08-29 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049U KR200160851Y1 (en) 1997-08-29 1997-08-29 N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73U true KR19990010673U (ko) 1999-03-15
KR200160851Y1 KR200160851Y1 (en) 1999-11-15

Family

ID=1950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049U KR200160851Y1 (en) 1997-08-29 1997-08-29 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8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851Y1 (en)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3922A (en) Blind mounting fastener
US20100098511A1 (en) Locking system and fastening elements
KR890701915A (ko) 고정 장치와 그것을 단단히 잠그기 위한 공구
KR950701853A (ko) 일체형 콜릿을 지니는 엔드밀 어댑터 (endmill adapter with integral collet)
KR950033136A (ko) 삽입체 너트 및 패스너
KR20140093501A (ko) 체결부재
KR19990010673U (ko) 너트
IE901885A1 (en) Self threading and locking fasteners
KR100351538B1 (ko) 드릴공구
KR20030073767A (ko)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
CA2352652C (en) Connection element for two components, one of which is tubular
JPH066271Y2 (ja) 弛み防止ナット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US3123119A (en) A maloof
KR0152494B1 (ko) 볼트 및 너트의 체결기구
JP2019086014A (ja) ノブナット本体
SU1739090A2 (ru) Быстросъемна гайка
KR19980019328A (ko) 너트(Nut)
KR20030066925A (ko) 너트 풀림 방지용 체결볼트
SU838123A2 (ru) Самостопор ща с гайка
KR970045818A (ko) 로크 너트 및 로크 핀
KR0167495B1 (ko) 축이음부의 체인 고정식너트
KR19980062575A (ko) 스터드 볼트 체결용 렌치
KR970006689Y1 (ko) 테이프 카세트의 상하부 케이스 결합장치
KR19980040760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8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8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