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196U -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0196U KR19990010196U KR2019970023538U KR19970023538U KR19990010196U KR 19990010196 U KR19990010196 U KR 19990010196U KR 2019970023538 U KR2019970023538 U KR 2019970023538U KR 19970023538 U KR19970023538 U KR 19970023538U KR 19990010196 U KR19990010196 U KR 199900101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nch
- die
- piercing
- zone
- stri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Landscapes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료를 한 피치씩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각 공정을 거치면서 카오디오용 브라켓을 성형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은 펀치 홀더(1)와, 상기 펀치 홀더(1) 하면에 장착되는 펀치받침판(3)과, 상기 펀치받침판(3) 하면에 고정되는 펀치고정판(5)과, 상기 펀치고정판(5) 하부에 위치하는 스트리퍼(7)와, 상기 스트리퍼(7)의 상면에 장착되는 스트리퍼 보조판(9)을 포함하는 상형(A)과; 다이홀더(11)와, 상기 다이홀더(11)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를 포함하는 하형(B)으로 구성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기초 홀을 피어싱하는 제 1 구역(21)과, 소재를 제품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제 2 구역(50)과, 기타 형상을 성형하는 제 3 구역(70)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이것에 의해, 재료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각 구역에서 작업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1대로 제품을 성형할 수 있고, 작업 인원을 감축할 수 있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카오디오용 브라켓을 순차적으로 성형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재료를 한 피치씩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각 공정을 거치면서 카오디오용 브라켓을 성형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카오디오용 브라켓은 블랭킹→포밍→피어싱→피어싱→벤딩→파팅의 6 공정을 거쳐 양산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오디오용 브라켓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공정마다 각각의 프레스 기계가 요구되기 때문에 6대의 프레스 기계가 필요하고, 작업 인원도 6명이 요구되어 제품의 원가가 높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료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각각의 작업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를 제공하여 제품의 원가를 낮추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의 일예로서,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 하면에 장착되는 펀치받침판과, 상기 펀치받침판 하면에 고정되는 펀치고정판과, 상기 펀치고정판 하부에 위치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의 상면에 장착되는 스트리퍼 보조판을 포함하는 상형과; 다이홀더와, 상기 다이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를 포함하는 하형으로 구성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기초 홀을 피어싱하는 제 1 구역과, 소재를 제품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제 2 구역과, 기타 형상을 성형하는 제 3 구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료가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각 구역의 작업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되면서 제품으로 성형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의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오디오의 좌우측 브라켓을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을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의 제 2 구역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펀치홀더 3 : 펀치받침판
5 : 펀치고정판 7 : 스트리퍼
9 : 스트리퍼 보조판 11 : 다이홀더
13,17 : 고정다이 15 : 가동다이
19 : 가이드 21 : 제 1 구역
23,25,27 : 피어싱 펀치 31 : 밀핀
33,35,37 : 구멍 39 : 스톱퍼
41 : 가이드 리프트 50 : 제 2 구역
51,57 : 세트 스크류 볼트 53 : 패드
55 : 포밍 펀치 61 : 제 3 구역
63 : 파이럿 펀치 65 : 슬로팅 펀치
67 : 벤딩 펀치 69 : 벤딩 펀치
71 : 피어싱 펀치 73 : 파이럿 리프터
75 : 다이편 77 : 패드
79 : 피어싱 구멍 81 : 패드 리프트
83,85 : 세트 스크류 볼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를 순차적으로 9개의 공정을 거치도록 이송시키면서 도 2에 도시된 카오디오의 우측 브라켓(101)과 좌측 브라켓(105)을 동시에 성형한다.
상기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의 9개 공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기초 홀(110,111,112,113,114,115)을 성형하는 피어싱 공정(S1)과, 상기 기초 홀이 성형된 소재를 이송하여 소재의 포밍 위치를 결정하는 파이럿 공정(S2)과, 상기 파이럿 공정(S3)에 의해 가공 위치가 결정된 소재를 제품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포밍 공정(S4)과, 포밍된 부분에 슬로트 구멍(116)을 가공하는 슬로팅 공정(S5)과, 우측 브라켓(101)과 좌측 브라켓(105)의 사이드부에 각각 4개의 구멍(117)을 피어싱하는 피어싱 공정(S6)과, 단차부(118)를 성형하는 벤딩 공정(S6)과, 장착부(119)를 벤딩하는 벤딩하는 벤딩 공정(S7)과, 기타 구멍(120,123, 124,125,126)을 피어싱하는 피어싱 공정(S8)과, 상기 우측 브라켓(101)과 좌측 브라켓(105)을 분리하는 파팅 공정(S9)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크게 상형(A)과 하형(B)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형(A)이 가이드(19)를 따라 하형(B)으로 하강운동을 하여 제품을 성형한다.
상기 상형(A)은 펀치 홀더(1)와, 상기 펀치 홀더(1) 하면에 장착되는 펀치받침판(3)과, 상기 펀치받침판(3) 하면에 고정되는 펀치고정판(5)과, 상기 펀치고정판(5) 하부에 위치하는 스트리퍼(7)와, 상기 스트리퍼(7)의 상면에 장착되는 스트리퍼 보조판(9)을 포함한다.
상기 하형(B)은 다이홀더(11)와, 상기 다이홀더(11)에 장착되는 고정다이(13), 가동다이(15), 고정다이(17)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은 상기 기초 홀(110,111,112,113,114,115)을 피어싱하는 제 1 구역(21)과, 소재를 제품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제 2 구역(50)과, 기타 형상을 성형하는 제 3 구역(70)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구역(21)은 상형(A)에 기초 홀(110,111,112,113,114,115)을 피어싱하는 피어싱 펀치(23,25,27)와 도시하지 않은 2쌍의 피어싱 펀치가 장착되고, 하형(B)에 상기 피어싱 펀치(23,25,27)와 커플을 이루는 구멍(33,35,37)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33,35) 사이에 밀핀(31)이 장착되고, 상기 구멍(37)의 우측에 스톱퍼(39) 및 가이드 리프트(41)가 장착된다.
상기 제 2 구역(50)은 상형(A)의 스트리퍼(7)에 패드(51)가 세트 스크류 볼트(53)에 의해 장착되고, 하형(B)의 다이홀더(11)에 포밍 펀치(55)가 고정되고, 상기 포밍 펀치(55) 둘레에 가동 다이(15)가 스프링을 구비한 세트 스크류 볼트(5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형(A)은 털핀(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다이(15)에 고정 스트리퍼(56)가 장착되며, 상기 가동 다이(15) 사이에 장착되는 패드(57)가 세트 스크류 볼트(59)에 의해 지지된다.
제 3 구역(61)은 상형(A)에 재료의 가공 위치를 잡는 파이럿 펀치(63)와, 재료를 피어싱하는 슬로팅 펀치(65)와, 재료를 벤딩하는 벤딩 펀치(67,69)와, 상기 재료를 피어싱하는 피어싱 펀치(71)가 순서대로 장착되고, 하형(B)에 상기 피어싱 펀치(63)에 대응되는 파이럿 리프터(73)와, 피어싱 펀치(65)에 대응되는 다이편(75)과, 상기 벤딩 펀치(67,69)에 대응되는 구멍(76) 및 패드(77)와, 상기 피어싱 펀치(71)에 대응되는 피어싱 구멍(79)와, 재료를 가이드 하면서 진행을 원활히하는 패드 리프터(81)가 순서대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소재가 유입되면, 상기 소재는 먼저 스톱퍼(39)에 걸려 기초 홀 가공을 위한 위치가 결정되고, 피어싱 펀치(23,25,27)에 의해 기초 홀이 가공되면, 다음 가공 위치로 이송된다.
상기 소재는 파이럿 펀치(63)까지 이송된 후, 상기 파이럿 펀치(63)에 의해 포밍 위치가 결정되고, 포밍 펀치(55)에 의해 형상이 성형된다. 이 때, 패드(51)는 세트 스크류 볼트(53)의 스프링을 압축하며 서서히 상승하고, 가동 다이(15)는 스트리퍼(7)에 의해 눌려 하부로 서서히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포밍된 소재는 계속 이송되며, 슬로팅 펀치(65)에 의해 슬로트 구멍(116)이 성형되고, 벤딩 펀치(67,69) 및 피어싱 펀치(71)에 의해 성된 후 파팅 펀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우측 브라켓(101)과 좌측 브라켓(105)로 분리되어 취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은 재료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각 구역에서 작업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1대로 제품을 성형할 수 있고, 작업 인원을 감축할 수 있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 펀치 홀더(1)와, 상기 펀치 홀더(1) 하면에 장착되는 펀치받침판(3)과, 상기 펀치받침판(3) 하면에 고정되는 펀치고정판(5)과, 상기 펀치고정판(5) 하부에 위치하는 스트리퍼(7)와, 상기 스트리퍼(7)의 상면에 장착되는 스트리퍼 보조판(9)을 포함하는 상형(A)과;다이홀더(11)와, 상기 다이홀더(11)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를 포함하는 하형(B)으로 구성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기초 홀을 피어싱하는 제 1 구역(21)과, 소재를 제품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제 2 구역(50)과, 기타 형상을 성형하는 제 3 구역(70)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구역(21)은 상형(A)에 기초 홀을 피어싱하는 피어싱 펀치가 장착되고, 하형(B)에 상기 피어싱 펀치와 커플을 이루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33,35) 사이에 밀핀(31)이 장착되고, 상기 구멍(37)의 우측에 스톱퍼(39) 및 가이드 리프트(4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구역(50)은 상형(A)의 스트리퍼(7)에 패드(51)가 세트 스크류 볼트(53)에 의해 장착되고, 하형(B)의 다이홀더(11)에 포밍 펀치(55)가 고정되고, 상기 포밍 펀치(55) 둘레에 가동 다이(15)가 스프링을 구비한 세트 스크류 볼트(5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동 다이(15)에 고정 스트리퍼(56)가 장착되며, 상기 가동 다이(15) 사이에 장착되는 패드(57)가 세트 스크류 볼트(59)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제 1 항에 있어서,제 3 구역(61)은 상형(A)에 재료의 가공 위치를 잡는 파이럿 펀치(63)와, 재료를 피어싱하는 슬로팅 펀치(65)와, 재료를 벤딩하는 벤딩 펀치(67,69)와, 상기 재료를 피어싱하는 피어싱 펀치(71)가 순서대로 장착되고, 하형(B)에 상기 피어싱 펀치(63)에 대응되는 파이럿 리프터(73)와, 피어싱 펀치(65)에 대응되는 다이편(75)과, 상기 벤딩 펀치(67,69)에 대응되는 구멍(76) 및 패드(77)와, 상기 피어싱 펀치(71)에 대응되는 피어싱 구멍(79)와, 재료를 가이드 하면서 진행을 원활히하는 패드 리프터(81)가 순서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3538U KR19990010196U (ko) | 1997-08-28 | 1997-08-28 |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3538U KR19990010196U (ko) | 1997-08-28 | 1997-08-28 |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0196U true KR19990010196U (ko) | 1999-03-15 |
Family
ID=6969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3538U Withdrawn KR19990010196U (ko) | 1997-08-28 | 1997-08-28 |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0196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7635B1 (ko) * | 2001-07-31 | 2004-11-18 | 일진산업 주식회사 | 브레이징에 적합한 절곡면을 갖는 부재의 성형방법 |
KR100899994B1 (ko) * | 2008-10-16 | 2009-05-28 | 주식회사 신양에벤에셀 | 다수회(多數回) 분할가공한 보강리브형 스틸그레이팅 및 그제조방법 |
CN108202104A (zh) * | 2018-02-06 | 2018-06-26 | 天津市佳诺天成科技有限公司 | 阶梯形支撑架连续冲压模具 |
KR102290187B1 (ko) * | 2020-12-31 | 2021-08-17 | (주)조광정밀 |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버링부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버링부 성형방법 |
-
1997
- 1997-08-28 KR KR2019970023538U patent/KR19990010196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7635B1 (ko) * | 2001-07-31 | 2004-11-18 | 일진산업 주식회사 | 브레이징에 적합한 절곡면을 갖는 부재의 성형방법 |
KR100899994B1 (ko) * | 2008-10-16 | 2009-05-28 | 주식회사 신양에벤에셀 | 다수회(多數回) 분할가공한 보강리브형 스틸그레이팅 및 그제조방법 |
CN108202104A (zh) * | 2018-02-06 | 2018-06-26 | 天津市佳诺天成科技有限公司 | 阶梯形支撑架连续冲压模具 |
KR102290187B1 (ko) * | 2020-12-31 | 2021-08-17 | (주)조광정밀 |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버링부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버링부 성형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10196U (ko) |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
CN208133509U (zh) | 一种用于插接栏杆连接件的冲床模具 | |
JPH0679360A (ja) | プレス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0189567B1 (ko) | 베이스 링의 성형 금형장치 및 성형방법 | |
KR100255313B1 (ko) | 복합 성형용 금형 | |
CN2062659U (zh) | 微孔冲制模具 | |
CN218982877U (zh) | Ip安装支架落料冲孔成型侧翻边冲孔侧冲孔连续模具 | |
CN210023463U (zh) | 左右后门安装金属支架模具及其左右后门安装金属支架 | |
CN214639616U (zh) | 发动机悬置内骨架扣合件连续冲压模具 | |
CN217393502U (zh) | 一种连续加工模具 | |
CN218798558U (zh) | 一种便于脱模的模具 | |
CN218310360U (zh) | 一种叠片产品冲压整成连续模具 | |
CN218744265U (zh) | 冲压打字模具 | |
CN211135176U (zh) | 滚压模具快换冲孔结构 | |
CN211027763U (zh) | 一种侧冲模具 | |
KR890009041Y1 (ko) | 밴딩 및 해밍가공용 복합금형 | |
KR950001704Y1 (ko) | 랜싱 및 벤딩 성형장치 | |
KR920006679Y1 (ko) | 프레스용 U-L 동시 벤딩(Bending)금형 | |
KR900004100Y1 (ko) | 프레스기의 복합 금형 장치 | |
KR100471275B1 (ko) | 이종 패널의 동시성형용 프레스 장치 | |
KR20020049310A (ko) | 복합 펀치 프레스 장치 | |
KR100330883B1 (ko) | 차량용 트렁크리드 보강재의 압출성형장치 | |
SU799868A1 (ru) | Штамп дл обработки полых деталей | |
JP2572343B2 (ja) |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プレス成形装置 | |
JP2559640B2 (ja) | 金型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8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