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7848A - 부직 보호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부직 보호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848A
KR19990007848A KR1019970707371A KR19970707371A KR19990007848A KR 19990007848 A KR19990007848 A KR 19990007848A KR 1019970707371 A KR1019970707371 A KR 1019970707371A KR 19970707371 A KR19970707371 A KR 19970707371A KR 19990007848 A KR19990007848 A KR 1999000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layer
meltblown
osy
g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데이비드 파워즈
Original Assignee
낸시리카터
킴벌리-클라크월드와이드,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낸시리카터, 킴벌리-클라크월드와이드,인크. filed Critical 낸시리카터
Publication of KR1999000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4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B32B37/0084Poi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9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o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or cath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38Side-by-sid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Additional nonwoven fabric is a spun-bonded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의 사용을 통해 액체 반발성을 지닌 제1 외층 및 내부 습윤제의 사용을 통해 액체 흡수성을 지닌 벌키성 제2 외층이 있으며 이들이 접착되어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장벽 특성을 가진 보호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 이 라미네이트가 의류의 일부로 사용될 때에는 흡수성층이 착용자를 향한다.

Description

부직 보호 라미네이트
보다 저항력이 있는 질병들과 AIDS 바이러스가 출현한 결과, 의료업계 종사자들은 점증하는 감염 위험, 특히 혈관을 통한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인식되며, 이러한 감염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요하다. 이런 종사자들은 전통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작업의 정확한 성질에 따라 여러 종류의 일회용 직물 의류를 착용해 왔다. 그러한 의류 일부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또는 SMS 구조를 이용하고 있는 티몬스(Timmons) 등의 미국 특허 제5,188,88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부직포 라미네이트로 제조되어 왔다. SMS 직물 라미네이트는 내구성을 갖춘 바깥쪽 스펀본드층과 다공성이면서도 유체 및 세균이 라미네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는 내부 멜트블로운층으로 되어 있다. 다른 SMS 라미네이트가 브래들리(Bradley)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08/223,210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스펀본드층들 사이에 멜트블로운층이 끼워져 있으면서 이 멜트블로운 및 스펀본드 층들이 반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0.1 내지 2.0 중량%의 플루오로카본을 함유할 수도 있고 멜트블로운층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의 폴리부틸렌을 함유하는, 반발성이 향상된 라미네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는 관통에 대해 좋은 장벽이지만 더욱 더 엄격해지는 규제와 점증하는 감염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여 개선이 필요하고 또 가능하다.
그러한 점증하는 우려에 대응하여 생산된 또 하나의 직물은 필름을 라미네이트의 한 층으로 포함시킨 것이었다. 이러한 필름은 확실히 전통적인 SMS 형 직물보다 액체에 대해 더 불투과성이지만 중요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필름 라미네이트의 단점은 바로 그 불투과성이 땀을 착용자측에 잡아두어 전형적인 조건 하에서는 오래지 않아 착용자가 아주 덥고 찐득찐득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라미네이트가 착용자에게 대체로 편안하지 않다는 것이다.
땀은 신속하고 쉽게 통과하게 하면서도 기존의 부직포보다 훨씬 더 반발력이 큰 라미네이트가 여전히 필요하다.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의 사용을 통해 액체 반발성을 지닌 제1의 외층 및 내부 습윤제의 사용을 통해 액체 흡수성을 지닌 부피가 큰 제2의 외층이 있으며 이들이 접착되어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장벽 특성을 가진 보호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라미네이트를 의류의 일부로 사용할 때에는, 흡수층이 착용자를 향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부직포 또는 웹이라는 용어는 편성 직물에서와 같이 규칙적이고 식별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서로 얽혀있는 개별 섬유 또는 실로 된 구조를 갖는 웹를 뜻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예를 들면 멜트블로잉법, 스펀본딩법 및 접착 카디드 웹법과 같은 많은 방법으로 형성시켜 왔다. 부직포의 기본중량은 통상 평방 야드 당 재료 온스 (osy) 또는 평방 미터 당 그램 (gsm)으로 표현되며 유용한 섬유 직경은 통상 미크론으로 표현된다. (osy를 gsm으로 변환하려면 osy에 33.91을 곱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미세 섬유라는 용어는 평균 직경이 약 75 미크론을 넘지 않는, 예를 들면 평균 직경이 약 0.5 미크론 내지 약 50 미크론인, 직경이 작은 섬유를 뜻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균 직경이 약 2 내지 약 40 미크론일 수 있다. 흔히 사용되는 섬유 직경의 또 다른 표현은 데니어로서, 이것은 섬유 9000 미터 당 그램 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미크론으로 주어진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경은 그것을 제곱하고, 그 결과치에 0.00629를 곱하면 데니어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15 미크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데니어가 약 1.42 (152x 0.00629 = 1.415)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스펀본디드 섬유라는 용어는 아펠(Appel) 등의 미국 특허 제4,340,563호, 도쉬너(Dorschner) 등의 미국 특허 제3,692,618호, 마쯔끼(Matsuki) 등의 미국 특허 제3,802,817호, 키니(Kinney)의 미국 특허 제3,338,992호 및 동 제3,341,394호, 하트만(Hartman)의 미국 특허 제3,502,763호, 레비(Levy)의 미국 특허 제3,502,538호, 도보(Dobo) 등의 미국 특허 제3,542,615호 등에서와 같이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스피너렛에 있는 다수의 미세한, 통상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 압출시키고,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을 급격히 감소시킴으로써 형성시킨 직경이 작은 섬유를 말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 표면 상에 축적되었을 때에는 대체로 끈끈하지 않으며 웹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열,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 단계를 요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대체로 연속성이며 직경이 7 미크론보다 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0 내지 30 미크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멜트블로운 섬유라는 용어는 다수의 미세한, 통상은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수렴하는 고속의 기체 (예, 대기) 스트림 내로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압출시켜 형성시킨 섬유를 뜻하는데, 이때 스트림은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 필라멘트를 가늘게 만들어 그 직경을 미세섬유 직경정도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런 후에 멜트블로운 섬유는 상기 고속의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에 축적되어 무작위적으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로 된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부틴(Butin)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성일 수도 불연속성일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직경이 10 미크론보다 작고 대체로 끈끈하며 수집 표면 상에 축적되면 자가접착성인 미세섬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중합체, 블록, 그라프트, 랜덤 및 교차 공중합체 같은 공중합체, 삼원 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블렌드 및 개질물을 포함하지만 거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달리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 한 중합체라는 용어에는 재료의 가능한 모든 기하학적 구성을 포함시키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형을 포함하지만 거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단일 성분 섬유라는 용어는 하나의 중합체만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압출기로부터 제조한 섬유를 말한다. 이것은 착색, 정전기 방지 특성, 윤활, 친수성 등을 위해 소량의 첨가제가 첨가된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착색을 위한 이산화티탄 등의 이들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5 중량% 미만 및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복합 섬유라는 용어는 별개의 압출기에서 압출되었지만 함께 자아서 하나의 섬유를 형성한 두 개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말한다. 복합섬유는 때로는 다성분 또는 2성분(bicomponent) 섬유로도 불린다. 중합체들은 통상 서로 다르지만 복합섬유는 단일성분 섬유일 수도 있다. 중합체들은 복합섬유의 단면을 가로지르며 실질적으로 일정한 자리에 있는 별개의 영역들에 배열되며 복합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복합섬유의 구성은 예를 들면 한 중합체가 다른 것에 둘러싸여 있는 외피/코어형 배치이거나 병렬형 배치 또는 산재(散在)형 (islands-in-the-sea) 배치일 수 있다. 복합섬유는 가네코(Kaneko) 등의 미국 특허 제5,108,820호, 스트랙(Strack) 등의 미국 특허 제5,336,552호 및 파이크(Pike) 등의 미국 특허 제5,382,400호에 설명되어 있다. 두 가지 성분 섬유의 경우, 중합체들은 75/25, 50/50, 25/75 또는 기타 임의의 원하는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2요소(biconstituent) 섬유라는 용어는 동일한 압출기에서 블렌드로 압출된 두 가지 이상의 중합체로 제조된 섬유를 말한다. 블렌드란 용어는 아래에서 정의하였다. 이요소 섬유에서는 각종 중합체 성분이 섬유의 단면을 가로지르며 비교적 일정한 자리에 있는 별개의 영역들에 배열되지 않고, 각종 중합체는 통상 섬유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적이지 않으며 그보다는 통상 무작위적으로 시작하고 끝나는 피브릴 또는 프로토피브릴을 형성한다. 이요소 섬유는 종종 다요소 섬유로도 불린다. 이 일반적인 유형의 섬유는 예를 들면 게스너(Gessner)의 미국 특허 제5,108,827호에서 논의되었다. 이성분 및 이요소 섬유는 교과서[Polymer Blends and Composites, John A. Manson Leslie H. Sperling, 판권 1976 Plenum Press,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of New York의 사업부문, ISBN 0-306-30831-2, pp. 273-277]에서도 논의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블렌드라는 용어는 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뜻하는 반면 알로이라는 용어는 성분들이 불혼화성이지만 상용화되어 있는 블렌드의 부분집합을 뜻한다. 혼화성 및 불혼화성은 각각 혼합 자유 에너지 면에서 음의 값 및 양의 값을 갖는 블렌드로 정의한다. 또한, 상용화는 알로이를 만들기 위해 불혼화성 중합체 블렌드의 계면 성질을 조정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관통 공기 접착 또는 TAB는 웹의 섬유를 만들고 있는 중합체들 중 하나를 용융시키기에 충분히 뜨거운 공기를 웹에 통과시키는, 부직 이성분 섬유 웹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뜻한다. 공기 속도는 분당 100 내지 500 피트이고 체류 시간은 6초 정도로 길 수 있다. 중합체의 용융 및 재고화가 접착을 이루어준다. 관통 공기 접착은 가변성이 제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보조적인 수준의 접착법으로 여겨진다. TAB는 접착을 이루기 위해 적어도 한 성분의 용융을 필요로 하므로 이성분 섬유 웹과 같이 두 가지 성분을 가진 웹의 경우로 제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바느질 접착이란 용어는 예를 들면 스트랙 등의 미국 특허 제4,891,957호 또는 캐리 주니어(Carey, Jr.)의 미국 특허 제4,631,933호에 의거하여 재료를 바느질하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초음파 접착은 예를 들면, 보른스래거(Bornslaeger)의 미국 특허 제4,374,888호에 설명된 대로 직물을 초음파 호른과 모루 롤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열에 의한 점접착은 섬유로 된 직물 또는 웹을 가열된 캘린더 롤과 모루 롤 사이에 통과시켜 접착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캘린더 롤은 항상은 아니지만 통상, 모종의 방식으로 무늬를 넣어 전체 직물이 전표면에 걸쳐 접착되지는 않게 한다. 그 결과, 미관상의 이유에서 뿐 아니라 기능상의 이유에서도 캘린더 롤을 위한 여러 가지 무늬가 개발되었다. 무늬의 한 예는 점들이 있는 것으로, 한센(Hansen)과 페닝스(Pennings)의 미국 특허 제3,855,046호에서 공지된 대로 약 200 접착점/평방 인치이고 접착면적이 약 30%인 한센 페닝스 또는 HP 무늬이다. HP 무늬에는 정사각형의 점 또는 핀 접착 영역이 있으며 각 핀의 변 치수는 0.965 mm (0.038 인치), 핀 사이의 간격은 1.778 mm (0.070 인치), 그리고 접착 깊이는 0.584 mm (0.023 인치)이다. 그 결과 만들어지는 무늬의 접착 면적은 약 29.5%이다. 다른 한 가지 전형적인 점접착 무늬는 변 치수 0.94 mm (0.037 인치), 핀 간격 2.464 mm (0.097 인치) 및 깊이 0.991 mm (0.039 인치)의 정사각형 핀으로 15% 접착 면적을 보이는 확장 한센 및 페닝스 또는 EHP 접착 무늬이다. 714로 지칭되는 또다른 전형적인 점접착 무늬의 경우에는 정사각형 핀 접착 영역이 있으며 각 핀의 변 치수는 0.584 mm (0.023 인치), 핀 사이 간격은 1.575 mm (0.062 인치), 접착 깊이는 0.838 mm (0.033 인치)이다. 그 결과 생기는 무늬의 접착 면적은 약 15%이다. 기타 통상적인 무늬에는 반복되면서 약간씩 어긋나는 다이아몬드꼴이 있는 다이아몬드 무늬 및 이름이 연상시키는 대로, 예컨대 창문의 망처럼 보이는 철망 무늬가 포함된다. 전형적으로는 % 접착 면적은 직물 라미네이트 웹 면적의 10% 근처에서 30% 근처까지 변할 수 있다. 당업계에서 공지된 대로, 점접착은 라미네이트 층들을 한데 모아줄 뿐 아니라 각 층 내의 필라멘트 및(또는) 섬유들을 접착시킴으로써 각각의 개별 층에 일체성을 부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접착 창이란 용어는 그 영역에서는 접착이 성공적으로 되는, 부직포를 서로 접착시키는 데 사용되는 기계 장치, 예컨대 캘린더 롤의 온도 범위를 뜻한다.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의 경우, 이 접착 창은 대개 약 132℃ 내지 약 154℃ (270℉ 내지 310℉)이다. 약 132℃ 아래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 용융 및 접착될 만큼 충분히 뜨겁지 않고, 약 154℃를 넘으면 폴리프로필렌이 과다하게 용융될 것이며 캘린더 롤에 부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는 접착 창이 훨씬 더 폭이 좁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장벽 직물이라는 용어는 액체의 전달에 대해 비교적 불투과성인 직물, 즉 ASTM 시험법 22에 의거하여 혈액 뒤배임(strikethrough)률이 1.0 이하인 직물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의류라는 용어는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비의료용 지향의 의복을 뜻한다. 여기에는 공업용 작업복 및 커버올, 내의류, 바지, 셔츠, 재킷, 장갑, 양말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감염 제어 제품이란 용어는 수술용 가운 및 드레이프, 마스크, 불룩한 모자, 수술용 모자 및 후드와 같은 두부 커버링, 구두 커버링, 장화 커버 및 슬리퍼와 같은 신발류, 상처 드레싱, 붕대, 멸균 랩, 와이퍼, 실험복, 커버올, 앞치마 및 재킷과 같은 의류, 환자 침구, 들것 및 요람 시이트 등과 같이 의료용 지향의 품목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때 개인 위생 제품이란 용어는 기저귀, 배변 연습용 바지, 흡수성 팬티, 성인 실금용 제품 및 여성 위생 제품 등을 뜻한다.
시험 방법
수두: 직물의 액체 장벽 성질의 한 척도는 수두 시험이다. 수두 시험은 미리정한 양의 액체가 통과해나가기 전까지 직물이 지탱할 물의 높이 (cm)를 측정한다. 수두 판독치가 보다 높은 직물은 수두가 낮은 직물보다 액체 관통에 대해 더 큰 장벽성을 가진다는 것을 지시한다. 수두 시험은 연방 시험 기준 번호 191A, 방법 5514에 의거하여 실행한다.
프래지어 다공도: 직물의 통기성의 한 척도는 연방 시험 기준 번호 191A, 방법 5450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프래지어 다공도이다. 프래지어 다공도는 직물을 통한 공기의 유속을 분 당 직물 평방 피트 당 공기 입방 피트 또는 CSM으로 측정한다. CSM에 304.8을 곱하여 분 당 평방 미터 당 리터 (LSM)로 변환시킨다.
인장력: 직물의 인장 강도는 ASTM 시험 D-1682-64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직물의 강도를 파운드로, 신장률을 %로 측정한다.
혈액 관통에 대한 저항 (RBP): 직물의 혈액 뒤배임 또는 혈액 관통에 대한 저항은 특정한 압력에서 직물을 관통하는 혈액량의 한 척도이다. 혈액 뒤배임은 혈액이 묻어있는, 입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천쪽에 먼 쪽에 1 psig의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시험 전과 후에 직물에 접하게 둔 압지의 무게를 잼으로써 수행된다. 압력은 대략 10 초에 걸쳐 점증시키다가 1 psig에 다다르면 제거한다. 시험 전과 후의 압지 중량의 차이 (g)는 직물을 관통한 혈액의 양을 나타낸다.
용융 유속: 용융 유속(MFR)은 중합체의 점성의 척도이다. MFR은 측정된 시간 동안 규정된 부하 또는 전단 속도 하에서 치수를 아는 모세관에서 흘러나오는 재료의 양으로 표현되며, 예를 들어 ASTM 시험 1238, 조건 E에 의거하면 230℃에서 g/10분으로 측정된다.
라미네이트 직물 분야는 기저귀, 와이프 및 여성 위생 제품과 같은 흡수성 제품과 수술용 가운 및 드레이프, 차 덮개 및 붕대와 같은 장벽 제품의 구성 요소를 포괄하는 다양한 분야이다. 부직포는 자연력과 자연환경 중의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이 중요한 특질인 옥외용 직물과 같이 보다 내구적인 용도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액체에 대한 예외적인 반발성을 지니면서도 그러한 직물로 만들어진 의류의 착용자가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그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덥고 찐득찐득하며 다른 면에서도 불편을 느끼지 않는 라미네이트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재료 층들은 멜트블로잉 및 스펀본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일반적으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피너렛에 공급하며, 여기서 중합체가 섬유화되어 스테이플 길이 또는 그보다 길 수도 있는 섬유를 형성한다. 그 다음 섬유를 통상은 기압에 의해 연신시키고 작은 구멍이 있는 매트 또는 벨트에 축적시켜 부직포를 형성시킨다. 스펀본딩 및 멜트블로잉법에서 제조된 섬유는 위에 정의한 바와 같은 미세 섬유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다층 라미네이트이다. 다층 라미네이트의 한 예는 브록(Brock) 등의 미국 특허 제4,041,203호, 콜리어(Collier) 등의 미국 특허 제5,169,706호 및 보른스래거의 미국 특허 제4,374,888호에 개시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라미네이트와 같이 층들 중 일부는 스펀본딩되고 일부는 멜트블로잉된 실시태양이다. 이러한 라미네이트는 이동하는 형성 벨트 상에 먼저 스펀본드 직물층, 그 다음에 멜트블로운 직물층, 그리고 마지막으로 또다른 스펀본드층을 순차적으로 축적시킨 다음 아래에 설명한 방식으로 라미네이트를 접착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직물 층들을 개별적으로 만들고, 롤에 모은 다음 별도의 접착 단계에서 합칠 수도 있다. 이러한 직물의 기본 중량은 통상 약 6 내지 약 400 gsm 또는 대략 0.1 내지 12 osy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출원인은 내부 액체 반발제가 든 액체 반발성층을 한쪽 바깥 면에, 그리고 내부 습윤제를 함유한 흡수성층을 다른 쪽 바깥 면에 둔 라미네이트가 놀랍게도 액체 관통에 대해 증강된 반발성과 함께 착용자에게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술용 가운과 같은 의류에서, 흡수성층은 착용자를 향한 층이다. 흡수성 외층이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는 한 라미네이트가 몇 개의 층으로 되든 상관이 없다.
본 발명자는 흡수성층이 반발성 층을 관통한 액체를 배분 및 흡수함으로써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까지 계속 가는 것을 방지한다고 상정하지만 이 믿음에 구속되기는 원치 않는다. 종래의 SMS 직물에서는 멜트블로운층이 장벽 기능을 수행했다. 따라서 이전에는 피부를 향한 흡수성층은 라미네이트의 외층을 통해 액체를 끌어당겨서 액체가 의류를 관통하는 것을 가속시킬 것이라고 여겼다. 흡수성층이 장벽 또는 반발성층으로 작용하리라는 것은 본 발명의 독특하고 놀라운 측면이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에 있어 또 하나의 잇점은 표면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내부 첨가제를 사용하는데 있다. 표면에 도포되는 첨가제가 라미네이트의 다른 층으로 옮겨가거나, 적어도 다른 층을 오염시키기 쉬운 반면 내부 첨가제는 그 위치가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에서 특히 중요한데 그것은 층에 가하는 첨가제들이 반대되는 성질 및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표면 첨가제는 내부 첨가제보다 훨씬 더 움직이기 쉬워 첨가제가 위치를 이탈함에 따라 원하는 성질을 잃게 된다. 표면 첨가제를 본 발명과 같은 용도에서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적용 장치 때문에 부가적으로 자본 비용이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두 개의 층들이 서로 다른 첨가제로 처리되므로 표면 첨가제 도포를 위한 자본 비용은 훨씬 클 것이다.
본 발명의 반발성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스펀본드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포츠(Potts) 등의 미국 특허 제5,149,576호에 개시된 불화탄소 및 미국 특허 제5,178,931호의 칼럼 7 제40행에서 칼럼 8 제60행까지에서 알려주고 있는 것들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내부,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첨가제를 함유한다. 특히 적절한 첨가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 3M Company에서 구입할 수 있는 FX-1801 (전에는 L-10307로 불렸음)이다. 이 물질은 미국 특허 제5,178,931호에서 첨가제 M이라고 밝혀졌고, 융점이 약 130 내지 138℃라고 밝혀져 있다. 이 물질은 반발성 층에 약 0.1 내지 약 2.0 중량%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0.25 내지 0.7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0.4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상기 특허에서 언급한 대로, 불화 탄소 첨가제는 표면에 도포되는 첨가제와는 차별화되는 내부 첨가제이며 섬유가 형성됨에 따라 섬유 내에서 섬유의 표면으로 옮겨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블로잉 및 스펀본딩에 보편적으로 사용된다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에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부텐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폴리올레핀이 포함된다. 스펀본드층을 위한 특정 중합체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 히몬트 케미칼사 (Himont Chemical)의 PF-305로 알려진 것과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 엑손 케미칼사 (Exxon Chemical)의 PD-3445 및 PD-9355로 알려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위에 기재한 것과 같은 내부,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반발성 외층에 접한 반발성 멜트블로운층 역시 함유한다. 멜트블로운층을 제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중합체는 히몬트사의 PF-015와 엑손사의 3746이다.
반발성 스펀본드 및 멜트블로운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피피쥐 공업사 (PPG Industries, Inc.)사에서 구입할 수 있는 LAROSTAT(등록상표) HTS 904와 같은 대전 방지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안료, 발화 지연제 및 가공 조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안료는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층의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라미네이트의 흡수성 외층은 반발성층을 관통할 수도 있는 임의의 액체를 배분시키고 흡수하여 액체가 피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목적을 달성시킨다고 여겨진다. 이 층의 중요한 속성은 액체를 신속하게 배분시킨다는 것과 액체 수용능이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속성을 가진 직물은 직물의 밀도를 통해 규정할 수 있는 벌키 직물이다. 예를 들어 적절한 벌키 직물 33.9 gsm (1 osy)은 두께가 약 0.43 mm 내지 약 2.2 mm (0.017 내지 0.085 인치)여서 밀도가 약 0.079 내지 약 0.016 g/cm3(0.45 내지 0.009 oz/인치3)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밀도 범위는 0.045 내지 0.022 g/cm3(0.026 내지 0.013 oz/인치3)이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0.033 내지 0.027 g/cm3(0.019 내지 0.015 oz/인치3)이다.
벌크화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복합 섬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렬형 복합섬유로 제조된 것과 같은 권축성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병렬형 복합 섬유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만들 수 있다. 파이크 등의 미국 특허 제5,382,400호의 설명에 따르면, 이들 섬유는 제조되면 서로 다른 팽창 계수 때문에 권축될 수 있다.
흡수성층이 복합 스펀본드층이면 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병렬형 또는 외피-코어형 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복합층을 제조할 수 있는 특정한 중합체는 예를 들면 엑손사의 PD-3445 폴리프로필렌 및 다우 케미칼사 (Dow Chemical Company)의 6811A 폴리에틸렌이다.
흡수성층은 또한 층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피피지 공업사의 MASIL(등록상표) SF-19와 같은 내부 습윤제를 층의 약 0.7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복합층을 흡수성층으로 사용할 때에는, 이 층을 라미네이트의 다른 층, 아마도 단일 성분층과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의 잇점이 밝혀져 있다. 이것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처럼 비슷하지 않은 중합체들을 열적 수단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접착제를 사용한다면 이것이 통상적인 멜트블로운 직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이것 역시 멜트블로운층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접착제층은 멜트블로잉할 수 있는 임의의 접착제로 만들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인, 미국 오하이오주 핀들리 소재 핀들리 어드히시브사 (Findley Adhesive Company)에서 상표명 HH-9188로 구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점착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로 제조할 수도 있다. 허용되는 접착제의 다른 한 예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 쉘 케미칼사 (Shell Chemical Co.)의 제품으로서 DP-8911 폴리부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30/70 내지 70/30 중량%의 혼합물과 같은, 폴리부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효과적인 접착제의 다른 한 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고, 미국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 소재 핀들리 어드히시브사에 양도된 알퍼(Alper) 등의 미국 특허 제5,149,741호에 기재된 것이다. 이것은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이 25 내지 50 중량%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약 15 내지 40 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 등과 같은 상용성 점성화 수지 약 40 내지 70 중량부, 나프텐/파라핀 오일 약 5 내지 30 중량부 및 아인산 산화 방지제, 간섭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안정화제 0.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접착제이며, 용융 점도는 325℉에서 6000 cP 이하이다.
접착제층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피피지 공업사의 MASIL(등록상표) SF-19와 같은 내부 습윤제를 접착제의 약 0.7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1.25 내지 1.75 중량%로 함유하여 액체가 흡수되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반발성층에서와 마찬가지로 안료, 발화 지연제 등과 같은 다른 첨가제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제를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 약 3.4 내지 약 34 gsm (0.1 내지 1 osy)의 반발성 스펀본드 외층 및 약 1.7 내지 17 gsm (0.05 내지 0.5 osy)의 멜트블로운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도가 약 0.045 내지 약 0.022 g/cm3(0.026 내지 0.013 oz/인치3)이고 내부 습윤제를 약 0.1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약 3.4 내지 약 102 gsm (0.1 내지 3 osy)의 흡수성,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병렬형 복합 섬유층에 접착된,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제를 약 0.05 내지 약 0.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 약 3.4 내지 약 34 gsm (0.1 내지 1 osy)의 반발성 멜트블로운 내층이 있는 것이다. 이 라미네이트는 약 93 내지 166℃ (200 내지 330℉)의 온도에서 열에 의해 점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비점착성 층(들)을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그것을 별도의 제조 단계에서 접착제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각 층을 순차적으로 축적시키고 그에 의해 한 단계로 라미네이트를 제조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한 방법에서, 반발성 스펀본드층을 이동하는 성형 와이어 상에 생성시키고, 멜트블로운층을 반발성 스펀본드층 상에 생성시키고, 접착제를 멜트블로운층 상에 축적시키며, 이어서 기형성된 복합 스펀본드층을 접착제층 상에 해사시킨다. 이어서 전체 샌드위치를 멜트블로운층과 복합층 사이의 접착제 접착과 함께 열에 의한 점접착에 의해 접착시킨다.
수력엉킴법, 니들링, 초음파 접착 및 접착제 접착과 같이 라미네이트를 접착시키는 다른 방법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기본중량 약 17 gsm (0.5 osy)의 스펀본드 재료로 된 층 위에 약 17 gsm (0.5 osy)의 멜트블로운층이 있는 라미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약 3.4 gsm (0.1 osy)의 양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멜트블로운층을 피복하고 그 위에 33.9 gsm (1.0 osy)의 복합 스펀본드층을 축적시켜 기본중량이 약 71.2 gsm (2.1 osy)인 최종 라미네이트를 만들었다.
첫번째 스펀본드층은 엑손사의 PD-3445라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었으며 3M사의 FX-1801 탄화수소를 약 0.5 중량%만큼 함유하였다. 멜트블로운층은 엑손사의 3746G라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었다. 멜트블로운층은 3M사의 FX-1801 탄화수소를 약 1.5 중량%만큼 함유하였다. 사용한 접착제는 쉘사(Shell)의 DP-8911 폴리부틸렌과 엑손사의 3746G 폴리프로필렌의 1:1 혼합물이었다. 복합섬유는 엑손사의 PD-3445 폴리프로필렌과 Dow사의 6811A 폴리에틸렌을 두 가지 중합체로 사용한 병렬형 구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혈액 관통에 대한 저항 (RBP), 수두 및 프래지어 다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시판되는 물질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SMS* 실시예
라미네이트 기본중량 (osy) 1.6 2.1
멜트블로운 기본중량 (osy) 0.5 0.5
수두 (cm) 53 77
RBP (1 psi하 g) 2.1 0.8
프래지어 다공도 40 41.3
* Evolution(등록상표) 3 - 이 비교 재료는 미국 위스콘신주 니나 소재 킬벌리 클락크사 (Kimberly-Clark Corporation에서 상)표명 Evolution(등록상표) 3라는 수술용 가운의 일부로서 구입할 수 있다. 이것은 두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층과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층이 있는, 3층으로 된 SMS 라미네이트이다.
상기 결과는, 종래의 지식으로는 흡수성층이 반대의 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이러한 흡수성층이 있는 라미네이트가 직물의 수두 및 혈액 관통에 대한 저항, 즉 장벽성을 놀라우리만치 상승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는 멜트블로운층의 기본 중량이 엇비슷한데도 시판되는 Evolution(등록상표) 3 직물에 비해 우수한 장벽성을 제공한다. 종래의 SMS 직물에서는 멜트블로운층이 장벽 특성을 제공한다.

Claims (18)

  1.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반발성을 지닌 제1 외층 및
    내부 습윤제를 사용하여 액체 흡수성을 지닌 벌키성 제2 외층
    을 포함하고, 상기 층들이 서로 접착되어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장벽 특성을 갖는 보호 라미네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들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보호 라미네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인 보호 라미네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이 열에 의해 점접착된(point bonded) 라미네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멜트블로운 폴리올레핀 섬유 및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로 이루어진 제1 내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층이 병렬형 구성의 복합 스펀본드 섬유로 된 층이며, 밀도가 약 0.079 g/cm3내지 약 0.016 g/cm3(0.45 oz/인치3내지 0.009 oz/인치3)인 라미네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8. 제6항에 있어서, 멜트블로운 폴리올레핀 섬유 및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로 이루어진 제1 내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층과 상기 제2 외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 중 하나 이상이 5 중량% 미만의 안료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층들의 기본 중량이 3.4 내지 34 gsm (0.1 내지 1 osy)인 라미네이트.
  12.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제를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 약 3.4 내지 약 34 gsm (0.1 내지 1 osy)의 반발성 스펀본드 제1 외층, 및
    약 3.4 내지 약 17 gsm (0.1 내지 0.5 osy)의 멜트블로운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도가 약 0.045 내지 약 0.022 g/cm3(0.026 내지 0.013 oz/인치3)이고 내부 습윤제를 약 0.1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약 3.4 내지 약 102 gsm (0.1 내지 3 osy)의 흡수성,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병렬형 복합 섬유층에 접착된,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제를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 약 3.4 내지 약 34 gsm (0.1 내지 1 osy)의 반발성 멜트블로운 내층
    을 포함하고, 약 93 내지 166℃ (200 내지 330℉)의 온도에서 열에 의해 점접착되는 보호 라미네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가 감염 제어 제품 및 개인 위생 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품목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품목이 개인 위생 제품이고 상기 개인 위생 제품이 기저귀인 라미네이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품목이 개인 위생 제품이고 상기 개인 위생 제품이 여성 위생 제품인 라미네이트.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품목이 감염 제어 제품이고 상기 제품이 수술용 가운인 라미네이트.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품목이 감염 제어 제품이고 상기 제품이 마스크인 라미네이트.
  18. 기본 중량이 6.8 내지 23.7 gsm (0.2 내지 0.7 osy)이고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를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스펀본드 부직 웹으로 된 제1 층,
    기본 중량이 6.8 내지 23.7 gsm (0.2 내지 0.7 osy)이고 저표면장력 액체 반발성 내부 첨가제를 약 0.1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멜트블로운 부직 웹으로 된 제2 층,
    폴리부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30/70 내지 70/30인 혼합물로 이루어진 멜트블로운 핫멜트 접착제로 된 제3 층, 및
    기본 중량이 51 내지 85 gsm (1.5 내지 2.5 osy)이고, 밀도가 약 0.033 내지 약 0.027 g/cm3(0.019 내지 0.015 oz/인치3)이며 내부 습윤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병렬형 복합 스펀본드 섬유 웹으로 된 제4 층
    을 주요 구성층으로 포함하며, 상기 층들이 열에 의해 점접착되어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장벽 특성을 갖는 감염 제어 용도의 부직 라미네이트.
KR1019970707371A 1995-04-20 1996-04-03 부직 보호 라미네이트 Withdrawn KR19990007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25,517 US5597647A (en) 1995-04-20 1995-04-20 Nonwoven protective laminate
US8/425517 1995-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48A true KR19990007848A (ko) 1999-01-25

Family

ID=2368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371A Withdrawn KR19990007848A (ko) 1995-04-20 1996-04-03 부직 보호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97647A (ko)
EP (1) EP0821649B1 (ko)
KR (1) KR19990007848A (ko)
AU (1) AU701796B2 (ko)
BR (1) BR9608106A (ko)
CA (1) CA2215521A1 (ko)
DE (1) DE69609822T2 (ko)
ES (1) ES2151153T3 (ko)
WO (1) WO1996033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1077B2 (en) * 1995-11-30 1999-10-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perfine microfiber nonwoven web
US5766737A (en) * 1996-07-23 1998-06-16 Fiberweb North America, Inc. Nonwoven fabrics having differential aesthetic properti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US5883026A (en) * 1997-02-27 1999-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ce masks including a spunbonded/meltblown/spunbonded laminate
US5968853A (en) * 1997-03-10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with a moisture barrier
US5876840A (en) * 1997-09-30 1999-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 enhancement additive for multicomponent filaments
US6410138B2 (en) 1997-09-30 2002-06-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ed multicomponent filaments and spunbond webs made therefrom
US6309987B1 (en) 1998-04-20 2001-10-30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fabric having both UV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JP3578631B2 (ja) * 1998-06-16 2004-10-20 サンエム・パッケージ株式会社 マスク
KR100658121B1 (ko) * 1999-01-22 2006-12-1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부직포 적층체
GB2372231B (en) * 1999-10-01 2004-02-25 Kimberly Clark Co Fibrous creased fabrics
US6783837B1 (en) * 1999-10-01 2004-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creased fabrics
GB2360707B (en) * 2000-03-30 2002-11-13 John Reginald White Water absorbent wrap for sterilisation packaging
AU2001275521B2 (en) * 2000-06-12 2006-03-02 Ahlstrom Windsor Locks Llc Spunbonded heat seal material
US6658670B1 (en) 2000-09-12 2003-12-09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Composite structure for protective garment
US6317889B1 (en) 2000-09-21 2001-11-20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Protective pad for protective garment
US6833171B2 (en) 2002-04-03 2004-1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 tack slip-resistant shoe cover
US20040002273A1 (en) * 2002-07-01 2004-0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repellent nonwoven protective material
US20040102123A1 (en) * 2002-11-21 2004-05-27 Bowen Uyles Woodrow High strength uniformity nonwoven laminate and process therefor
US20060003154A1 (en) * 2004-06-30 2006-01-05 Snowden Hue S Extruded thermoplastic articles with enhanced surface segregation of internal melt additive
US7285595B2 (en) * 2004-06-30 2007-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nergistic fluorochemical treatment blend
US20060141886A1 (en) * 2004-12-29 2006-06-29 Brock Thomas W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s made from biconstituent meltblown materials
US20070073255A1 (en) * 2005-09-29 2007-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with a wrap member having distinct component layers
US20110077347A1 (en) * 2007-06-19 2011-03-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 blend films for chemically protective articles
US8026188B2 (en) 2009-06-25 2011-09-27 Techmer Pm, Llc Hydrophobic additive for use with fabric, fiber, and film
WO2011028828A1 (en) * 2009-09-03 2011-03-10 First Quality Nonwovens, Inc. Two-sided hydrophilic/hydrophobic nonwov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13022045A1 (ja) * 2011-08-08 2013-02-14 三井化学株式会社 農業用被覆材
TWI463942B (zh) * 2012-07-18 2014-12-11 Yen Dong Wu 一種促進植物生長之方法
US9226502B2 (en) 2014-03-31 2016-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web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for capturing microorganisms
WO2021211086A1 (en) * 2020-04-13 2021-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tective fabric and garment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992A (en) *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502763A (en) * 1962-02-03 1970-03-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US3502538A (en) * 1964-08-17 1970-03-24 Du Pont Bonded nonwoven sheets with a defined distribution of bond strengths
US3341394A (en) *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542615A (en) * 1967-06-16 1970-11-24 Monsanto Co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2048006B2 (de) * 1969-10-01 1980-10-30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DE1950669C3 (de) *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CA948388A (en) * 1970-02-27 1974-06-04 Paul B. Hansen Pattern bonded continuous filament web
US4196245A (en) * 1978-06-16 1980-04-01 Buckeye Cellulos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djacent microfine fibers in layers
US4340563A (en) *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374888A (en) * 1981-09-25 1983-02-22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laminate for recreation fabric
US4631933A (en) * 1984-10-12 1986-12-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itch-bonded thermal insulating fabrics
US4897296A (en) * 1987-06-02 1990-01-30 E. I. Du Pont De Nemours & Co. Fabric for protective garments
US4891957A (en) * 1987-06-22 1990-01-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titchbonded material including elastomeric nonwoven fibrous web
US4950531A (en) * 1988-03-18 1990-08-2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hydraulically entangled non-elastic web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4879170A (en) * 1988-03-18 1989-11-0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ibrous hydraulically entangled elastic coform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JP2682130B2 (ja) * 1989-04-25 1997-11-26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柔軟な長繊維不織布
US5108827A (en) * 1989-04-28 1992-04-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US5188885A (en) * 1989-09-08 1993-02-2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laminates
US5073436A (en) * 1989-09-25 1991-12-17 Amoco Corporation Multi-layer composite nonwoven fabrics
US5173356A (en) * 1989-09-25 1992-12-22 Amoco Corporation Self-bonded fibrous nonwoven webs
US5145727A (en) * 1990-11-26 1992-09-08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149576A (en) * 1990-11-26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laminiferous structure
US5232770A (en) * 1991-09-30 1993-08-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temperature st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415925A (en) * 1992-06-10 1995-05-16 Fiberweb North America, Inc. Gamma structure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t least two nonwoven webs adhesively bonded by a lightweight adhesive web
US5229191A (en) * 1991-11-20 1993-07-20 Fiberweb North America, Inc. Composite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06545A (en) * 1991-12-11 1994-04-2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Melt-blown non-woven fabric and laminated non-woven fabric material using the same
US5366786A (en) * 1992-05-15 1994-11-22 Kimberly-Clark Corporation Garment of durable nonwoven fabric
US5382400A (en) * 1992-08-21 1995-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multicomponent polymeric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405682A (en) * 1992-08-26 1995-04-11 Kimberly 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US5336552A (en) * 1992-08-26 1994-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DE4305271C2 (de) * 1993-02-20 2000-06-08 Corovin Gmbh Verbundvlie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vlieses
US5308691A (en) * 1993-10-04 1994-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rolled-porosity, calendered spunbonded/melt blown laminates
US5498463A (en) * 1994-03-21 1996-03-12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ethylene meltblown fabric with barrier properties
US5482765A (en) * 1994-04-05 1996-01-09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laminate with enhanced barrier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33068A1 (en) 1996-10-24
AU5383396A (en) 1996-11-07
DE69609822T2 (de) 2000-12-07
EP0821649B1 (en) 2000-08-16
CA2215521A1 (en) 1996-10-24
US5597647A (en) 1997-01-28
DE69609822D1 (de) 2000-09-21
EP0821649A1 (en) 1998-02-04
ES2151153T3 (es) 2000-12-16
AU701796B2 (en) 1999-02-04
BR9608106A (pt) 1999-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7848A (ko) 부직 보호 라미네이트
EP0987993B1 (en) Absorbent surgical drape
KR100372067B1 (ko) 차단특성이개선된부직라미네이트
AU707845B2 (en) Nonwoven laminates with improved peel strength
EP0812371B1 (en) Nonwoven fabric from polymers containing particular types of copolymers and having an aesthetically pleasing hand
US5688157A (en) Nonwoven fabric laminate with enhanced barrier properties
US20060160453A1 (en) Breathable composite sheet
US20040002273A1 (en) Liquid repellent nonwoven protective material
US20140038482A1 (en) Surface-Treated Non-Woven Fabrics
US9139939B2 (en) Treated laminates
MXPA97008075A (en) Nonwoven protective laminate
CN1188445A (zh) 非织造的保护性层合制品
HK1118255A (en) Breathable composit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