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845A - 디스펜서 패키지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패키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7845A KR19990007845A KR1019970707368A KR19970707368A KR19990007845A KR 19990007845 A KR19990007845 A KR 19990007845A KR 1019970707368 A KR1019970707368 A KR 1019970707368A KR 19970707368 A KR19970707368 A KR 19970707368A KR 19990007845 A KR19990007845 A KR 199900078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stack
- wall
- chamber
- sl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2
- 241000219098 Parthenocissus Species 0.000 claims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42D5/005—Supports for note-p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디스펜서 패키지는 연면한 시트의 제1 및 제2 단부가 인접하게 감압성 점착층에 의해 상호 부착되어진 가요성 시트의 스택과, 내부에 시트 스택이 아치를 이루고 아치형 시트 스택의 상부를 횡단하는 슬롯을 구획하는 상부 벽부를 갖는 외피를 포함한다. 스택의 최상위 시트의 제1 단부는 슬롯을 통해 돌출하며, 슬롯을 통해 인출될 때, 이는 다음 하위 시트의 제1 단부를 함께 수반하여 이 제1 단부가 슬롯을 통해 돌출하도록 한다. 외피는 챔버 속에 새 시트 스택을 넣을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상술한 타입의 시트 스택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패키지는 공지되었다. 미국 특허 제4,770,320호(마일스 외 몇명)에는 감압성 점착층이 시트 배면의 일부에만 연장된 시트의 스택을 포함한 패키지가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086,946호(블랙웰 외 몇명)와 제5,299,712호(칼슨 외 몇명)는 감압성 점착층이 시트의 배면 전체에 연장된 시트의 스택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기술하고 있으며, 시트의 제1 단부의 분리는 점착층과 이 점착층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택 내에서의 인접 시트의 표면과의 사이의 제1 단부를 따라 제1 저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릴리스 수단과, 제1 단부를 따른 약한 해제력(release force)보다 강한 해제력을 제공하는 스택 내에서의 점착층과 인접 시트 사이의 각 시트의 제2 끝단 부근의 제2 단부를 따라 제2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부착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미국 특허에 기술된 각 디스펜서 패키지는 효과적이나, 모두 스택의 왕복 운동을 이용하여 시트를 인출해야 한다.
한편 미국 특허 출원 제08/263,601호는 스택이 왕복 운동은 하지 않으나, 시트 길이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개구를 이용하여 이를 통해 시트가 인출되는 상기 시트 스택용 디스펜서 패키지를 기술한다.
본 발명은 배면에 각각 감압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가요성 시트용 디스펜서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시트는 스택(stack)의 연면한 시트의 제1과 제2 끝단들이 인접하여 스택으로 상호 부착되며, 스택의 하위 시트에 접착되지 않거나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된 제1 단부가 제1 끝단 부근에 구비되어 스택으로부터 최상위 시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패키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대략 2-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3은 도1의 디스펜서 패키지 내의 스택의 다수개의 시트 중 2개의 확대 측면도.
도4는 성형 시와 같이 개방되어 도시된 도1의 디스펜서 패키지에 포함되는 외피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패키지의 제2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도6은 성형 시와 같이 개방되어 도시된 도5의 디스펜서 패키지에 포함되는 외피의 사시도.
도7은 디스펜서 패키지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 스택의 변형 실시예의 다수개의 시트 중 2개의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택이 왕복 운동 또는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넓은 배출 개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술된 타입의 시트 스택용의 단순한 디스펜서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디스펜서는 간단하면서 재충전하기에 용이하며, 인쇄된 광고와 같은 표시가 외주 둘레에 마련된 작은 원통형 용기 형상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체로 미국 특허 제4,770,320호에 기술된 타입 또는 대체로 미국 특허 제5,086,946호에 기술된 타입의 가요성 시트의 스택이 포함될 수 있는 디스펜서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시트는 제1 끝단과 제2 끝단을 가지며 시트의 인접 끝단들이 정렬되고 인접 스택 내의 연면한 시트의 제1과 제2 끝단이 인접하도록 시트를 스택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감압성 점착층이 하부면 상에 구비된 배면을 포함한다. 시트는 (1) 점착층과 이 점착층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의 인접 상부면 사이에 약한 해제력을 제공하도록 제1 끝단 부근의 제1 단부를 따라 제1 저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릴리스 수단, 또는 (2) 상기 스택 내의 하위 시트에 시트의 제1 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과, 제1 단부를 따라 제공된 낮은 해제력(구비된 경우에)보다 강한 해제력을 제공하여 제2 단부를 따라 스택으로부터 시트가 분리되게 하면서 스택 내의 인접 시트에는 점착층과 스택 내의 인접 시트의 상부면 사이의 각 시트의 제2 끝단 부근의 제2 단부를 따라 시트를 확고히 부착시키는 제2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디스펜서 패키지는 시트 스택이 정위되는 챔버를 구획하는 벽들로 이루어진 외피를 포함한다. 이들 벽에는 (1) 챔버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벽과, (2) 바닥벽과의 이음부로부터 바닥벽에 대하여 대체로 직각으로 돌출되어 챔버의 양단을 한정하고, 챔버의 대향 선단들은 시트 스택의 길이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스택 측면 상의 스택의 상부 시트가 바닥벽과 대향하면서 시트 스택이 챔버 내에서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아치형을 이루도록 된 측벽 수단 및, (3) 아치형 스택 상의 상부 시트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구획하고, 최상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의 하나에 대하여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도록 아치형 스택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대향면을 제공하는 상부 벽 수단이 포함된다.
최상위 시트가 제1 단부로 상기 슬롯을 통해 인출되어질 때, 아치형 시트 스택과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은 최상위 시트의 연면한 부분이 스택 상의 제1 하위 시트로부터 벗겨지도록 하고,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제2 하위 시트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최상위 시트가 제1 하위 시트의 제1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벗겨진 후에 최상위 시트의 제2 단부는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시트가 제거될 때 지지되었던 대향면과 마주보는 대향면에 대해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고 최상위 시트의 제거 방식과 마찬가지로 손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슬롯을 통해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이동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하우징의 측벽 수단은 중심축을 갖는(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관형 측벽을 포함하며, 외피는 중심축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과 제2 부분으로 형성되고, 외피는 챔버 속에 시트 스택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들이 이격된 개방 위치로 제1과 제2 부분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하면서 챔버를 구획하는 폐쇄 위치로 제1과 제2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상기 수단은 측벽을 따라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선회축 둘레로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대 선회 운동하도록 제1과 제2 부분들을 장착하는 힌지 수단과, 제1과 제2 부분을 폐쇄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래치 형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수단이 제1과 제2 부분에 비해 유연하면서 단면이 상대적으로 박막인 몰딩부(예를 들어, 이른 바 리빙 힌지(living hinge) 타입의)를 포함하도록 외피의 제1 및 제2 부분과 힌지 수단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단일 폴리머 성형될 수 있다.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은 제1과 제2 부분들이 분리될 수 있는 중심축을 통한 평면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부 벽 수단은 이격된 표면부가 구비된 대향면을 구획하는,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평행한 내측 및 외측 상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피는 측벽과 단면 형상이 일치하고 측벽과 대향하여 바닥벽면 상에 동축으로 돌출한 제2 관형 벽과, 바닥벽과 대향하여 제2 관형 벽의 선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단부벽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2 관형 벽과, 바닥벽 및, 단부벽은 디스펜서를 재충전하는 데 사용하는 여분의 시트 스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관 챔버를 디스펜서 패키지 내에 구획할 수 있다.
디스펜서 패키지는 광고 등과 같은 표시가 제공될 수 있는 관형 벽과 단부벽의 외주면 둘레로 부착되는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중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패키지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디스펜서 패키지(10)는 이 디스펜서 패키지로부터 시트(14)를 인출할 수 있는 시트(14) 스택(12)용 외피(11)를 포함한다. 시트(14)의 스택(12)은 미국 특허 제4,770,320호에 기술된 타입일 수 있다. 도3은 상기 시트(14) 스택(12)의 상위 2개의 시트(14a, 14b)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시트(14a, 14b)는 이들이 스택(12) 상에 있을 때와 같이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으나, 어느 부분이 어느 시트의 일부인지에 대해 분명히 하기 위해 분리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트(14)는 대향 주 상부면 및 하부면과, 대향하는 제1과 제2 끝단(19, 20) 및, 이 제1 및 제2 끝단(19, 20) 간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배면(16)을 포함한다. 각각의 시트(14)는 배면(16)의 제2 끝단(20) 부근의 하부면의 적어도 제2 단부(30) 상에 감압성 점착층(22)을 포함하는데, 제2 단부(30)는 배면(16)의 제2 끝단(20)으로부터 제1 끝단(19) 쪽으로 배면(16)의 소정 길이의 반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스택(12) 내의 시트(14)들은 시트(14)의 인접 끝단(19, 20)이 정렬되고 연면한 시트(14)의 제1 및 제2 끝단(19, 20)이 인접하는 스택(12)을 형성하도록 감압성 점착층(22)이 하위 시트(14)의 제1 끝단(19) 부근의 하위 시트(14)의 상부면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상호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시트(14)는 이 시트(14)의 제1 끝단(19) 부근의 제1 단부(26)가 스택(12) 내의 하위 시트(1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제1 단부(26)는 스택(12) 내의 연면한 시트(14)들의 제1 단부(26)들 사이의 감압성 점착층(22)의 중심부(32)가 시트(14)를 대면 관계로써 스택(12)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도록 제1 끝단(19)으로부터 제2 끝단(20) 쪽으로 소정의 길이의 반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도시된 시트(14)에 있어서, 층상(22)의 감압성 점착제는 재정위 가능하며, 시트(14)의 제1 단부(26)의 하부면 상에는 점착제가 구비되지 않아 시트(14)의 제1 끝단(19) 부근의 제1 단부가 하위 시트(1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외피(11)는 챔버(32)를 구획하는 벽들을 포함하는데, 벽은 챔버(32)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벽(34)과, 이 바닥벽(34)과의 이음부(36)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돌출되어 챔버(32)의 양단을 한정하는 측벽 수단(35)을 포함한다. 챔버(32)의 양단 간의 거리는 시트의 스택(12)의 길이 이하로 이격되어, 시트 스택(12)이 바닥벽(34)으로부터 상방으로 아치형을 이루고 스택(12) 측면 상의 스택(12)의 상부 시트가 바닥벽(34)과 떨어지도록 챔버(32) 내에 배치된다. 또한 벽은 아치형 스택(12)의 상부 시트의 중앙부를 횡단하여 연장되어 이 중앙부와 결합되는 벽부를 형성하고 스택 상의 최상위 시트(14a)의 제1 단부(26)가 대향면(40)의 하나에 대해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도록 아치형 스택(12)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는 대향면(40)이 구비된 상부 벽 수단(38)을 포함한다. 대향면(40)은 충분히 가깝게(예를 들어, 0.18 인치) 이격되었으며 외피(11)의 중심축(42)에 평행한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예를 들어, 0.25 인치)를 가지므로, 제1 단부(26)가 축(42)에 대해 약 30 도 미만의 각으로 외피(11)의 선단 위로 돌출되어, 최상위 시트(14a)를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되게 한다.
슬롯을 통해 최상위 시트(14a)가 인출될 때, 시트의 아치형 스택(12)과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40)은 최상위 시트(14a)가 부착된 제1 하위 시트(14b)로부터 최상위 시트(14a)의 연면한 부분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고, 제1 하위 시트(14a)의 제1 단부(16)가 제2 하위 시트로부터 벗겨질 수 있도록 하며, 최상위 시트(14a)가 제1 하위 시트(14b)의 제1 단부(16)로부터 완전히 벗겨진 후에 최상위 시트(14b)의 제2 단부는 제1 하위 시트(14b)의 제1 단부(16)가 최상위 시트(14a)가 안착되었던 대향면(40)과 마주보는 대향면(40)에 대해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고 최상위 시트(14a)의 제거와 마찬가지로 손으로 파지하여 제거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슬롯을 통해 제1 하위 시트(14b)의 제1 단부(16)를 이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수단은 중심축(42)을 구획하는 중공의 관형 또는 중공의 원통형 측벽(44)을 포함한다. 외피(11)는 중심축(42)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부분(46, 48)들로 형성되며, 측벽(44)을 따라 중심축(42)에 평행한 선회축 둘레로 상기 부분들이 챔버(32)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위치(도1과 도2)와, 챔버(32) 속에 시트 스택(12)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46, 48)들이 이격된 개방 위치(도4) 사이에서 상대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부분(46, 48)들을 장착시키는 힌지 수단(50)을 포함한다. 외피(11)는 제1 및 제2 부분(46, 48)을 폐쇄 위치로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힌지 수단과 대향하여 제2 부분(48)의 선단을 따라 구비된 립(54) 상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려지도록 된 탄력적으로 유연한 후크형 돌기(52)(도4)로써 힌지 수단(50)과 대향하는 제1 부분(46)의 선단 상에 마련된다. 후크형 돌기(52)는 제1 및 제2 부분(46, 48)들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립(54) 둘레로 편향되는 캠 표면을 가지며, 측벽(44)은 손에 의해 후크형 돌기(52)에 인접하여 안쪽으로 편향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제1 및 제2 부분(46, 48)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립(54)으로부터 후크형 돌기(52)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수단(50)이 제1 및 제2 부분(46, 48)에 비해 비교적 유연하고, 강화되었으면서, 제1 및 제2 부분들이 몰딩이 제조된 후에 우선 서로에 대해 선회된 경우에 소위 리빙 힌지를 형성하도록 분자 정위(molecular orientation)에 의해 유연하게 만들어진 몰딩의 박막 부분을 포함하도록 외피(11)의 제1 및 제2 부분(46, 48)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단일 폴리머 성형된다.
외피(11)에 있어서,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40)은 제1 및 제2 부분(46, 48)이 분리될 수 있는 중심축을 통한 평면과 대체로 평행하며, 상부 벽 수단(38)은 중심축(42)을 따라 이격된 평행한 내측 및 외측 상부벽(56, 58)을 포함하며 각각은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상부벽(56, 58)은 대향면(40)을 구획하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표면부를 가진다.
외피는 측벽(44)과 원형 단면 형상이 일치하고 동축이며 측벽(44)과 반대 방향으로 바닥벽(34)의 측면 상에 돌출한 제2 관형 또는 원통형 벽(60)과, 바닥벽(34)에 대향하여 제2 관형 벽(60)의 선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단부벽(62)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관형 벽(60)과, 바닥벽(34) 및, 단부벽(62)은 여러 물건들을 보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보관 챔버(64)를 외피(11) 내에 구획하는데, 이는 특히 디스펜서 패키지(10)에 사용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여분의 스택(12)을 보관하는 데 유용하다.
디스펜서 패키지(10)는 장식 및/또는 광고와 같은 다양한 표시를 지닐 수 있는 관형 측벽(44)과 제2 관형 벽(60)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표시가 인쇄된 시트(6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관형 측벽(44)과 제2 관형 측벽(60)의 외주면에는 이같은 표시가 인각 및/또는 채색되어질 수 있다.
이하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7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패키지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 패키지(70)는 이상에서 그리고 미국 특허 제4,770,320호에 기술된 시트(14)의 스택(12)용 외피(71)를 포함한다. 외피(71)는 챔버(72)를 구획하는 벽들을 포함하는데, 벽에는 챔버(72)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벽(74)과, 이 바닥벽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바닥벽(74)과의 이음부로부터 돌출되어 챔버(72)의 양단을 한정하는 측벽 수단(75)이 포함된다. 챔버(72)의 대향 선단은 시트 스택(12)의 길이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챔버(72) 내에서 스택(12) 측면 상의 스택(12)의 상부 시트(14a)가 바닥벽(74)과 대향하고 시트 스택(12)이 바닥벽(74)으로부터 상방으로 아치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벽에는 아치형 스택(12) 상의 최상위 시트(14a, 14b)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이 중심부와 결합되도록 된 벽부를 형성하고 스택 상의 최상위 시트(14a)의 제1 단부(26)가 대향면(80)의 하나에 대해 안착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도록 아치형 스택(12)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80)을 제공하는 상부벽 수단(78)도 포함된다. 대향면(80)은 충분히 가깝게(예를 들어, 0.18 인치) 이격되며 외피(71)의 중심축(82)에 평행한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를 가지므로, 제1 단부(26)가 축(82)에 대해 약 30 도 각도 미만으로 돌출되어, 최상위 시트(14)를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수단(75)은 중심축(82)을 구획하는 중공의 관형 또는 중공의 원통형 측벽(84)으로 이루어진다. 외피(71)는 중심축(82)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부분(86, 88)들로 형성되며, 측벽(84)을 따라 중심축(82)에 평행한 힌지 수단(90)에 의해 선회축 둘레로 상대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부분(86, 88)을 장착시키는 힌지 수단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분(86, 88)은 이들 부분(86, 88)이 챔버(72)를 구획하도록 배치된 폐쇄 위치(도5)와, 챔버(72) 속에 시트 스택(12)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86, 88)들이 이격된 개방 위치(도6)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다. 외피(71)는 제1 및 제2 부분(86, 88)을 폐쇄 위치로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힌지 수단(90)과 대향한 제2 부분(90)의 선단을 따라 마련된 립(94) 상으로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된 탄력적이고 유연한 후크형 돌기(92)가 힌지 수단(90)에 대향하여 제1 부분(86)의 선단을 따라 구비됨으로써 제공된다. 후크형 돌기(92)는 제1 및 제2 부분들이 폐쇄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립(94) 둘레로 편향되는 캠 표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 부분(86, 88)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손으로 측벽(84)을 후크형 돌기(92) 부근에서 안쪽으로 편향시켜 후크형 돌기(92)를 립(94)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수단(90)이 제1 및 제2 부분(86, 88)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강화되었으면서, 몰딩이 제조된 후에 제1 및 제2 부분(86, 88)이 우선 서로에 대해 선회된 경우에 소위 리빙 힌지를 형성하도록 분자 정위에 의해 유연하게 만들어진 몰딩의 박막 부분을 포함하도록 외피(11)의 제1 및 제2 부분(46, 48)과 힌지 수단(9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단일 폴리머 성형된다.
외피(71)에 있어서,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80)은 제1 및 제2 부분(86, 88)들이 분리될 수 있는 중심축(42)을 통한 평면에 대체로 직각이며, 상부 벽 수단(78)은 대향면(80)을 구획하며 제1 및 제2 부분(86, 88)들이 분리될 수 있는 중심축(82)을 통한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관형 측벽(84)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평행한 슬롯 구획 벽(96)을 포함한다.
외피는 측벽(84)과 단면 형상이 일치하고 동축이면서 측벽(84)과 대향하여 바닥벽면(74) 상에 돌출한 제2 관형 또는 원통형 벽(100)과, 바닥벽(74)에 대향하여 제2 관형 벽(100)의 선단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단부벽(102)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관형 벽(100)과, 바닥벽(74) 및, 단부벽(102)은 외피(71) 내에 여러 물건을 보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보관 챔버(104)를 구획하는데, 이는 특히 디스펜서 패키지(70)에 사용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여분의 시트 스택(12)을 보관하는 데 유용하다.
도7은 미국 특허 제5,086,946호에 기술된 타입의 탄성 시트(114)의 스택(112) 중 2개의 시트(114)를 도시한다. 미국 특허 제5,086,946호에 기술된 스택의 탄성 시트(114)도 외피(11) 또는 다른 외피(7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스택(112) 중의 2개의 시트(114)는 스택(112) 상에서와 같이 서로에 대해 정렬되었으나, 시트(114)의 관련 부분들을 명료히 하기 위해 약간 분리되어 있다. 각 시트(114)는 제1 및 제2의 대향 끝단(119, 120)과, 이 제1 및 제2 끝단(119, 120) 간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시트(114)는 대향하는 주 상부면과 주 하부면을 갖는 배면(116)(예를 들어, 투명 폴리머 재료의)과, 그 하부면 상에 감압성 점착층(122)을 포함한다. 스택(112) 내의 시트(114)는 감압성 점착층(122)의 해제 가능한 접착에 의해 하위 시트(114)의 상부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 시트(114)의 인접 끝단(119, 120)들이 정렬되고 연면한 시트(114)의 제1 및 제2 끝단(119, 120)이 인접하는 스택(112)을 형성하게 된다. 시트(114)는 릴리스 재료(124)의 제1 층상인 릴리스 수단을 갖는데, 이는 스택(112) 내의 하위 시트(114) 상에 점착층(122)과 이 점착층(122)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택(122)의 인접 하위 시트(114)의 상부면 사이의 배면(116)의 제1 끝단(119) 부근의 상위 시트(114)의 제1 단부(126)를 따라 제1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바, 제1 점착레벨은 점착층(122)과 이 점착층(122)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인접 하위 시트(114) 사이에 충분히 약한 해제력을 제공함으로써 상위 시트(114)의 제1 단부(126)를 따라 인접 시트(114)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트(114)에는 하위 시트(114) 상에 점착층(112)과 이 점착층(122)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택(122)의 인접 시트의 상부면 사이의 배면(116)의 제2 끝단(120) 부근의 상위 시트(114)의 제2 단부(130)를 따라 제2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상이한 릴리스 재료(128) 코팅 형태의 부착 수단이 구비된다. 이 제2 점착레벨은 제1 단부(126)를 따라 마련된 약한 해제력보다 강한 해제력을 제공하여, 시트(114)를 제1 단부(126)를 따라 인접 시트(114)로부터 분리시킬 때 제2 단부(130)를 따라 시트(114)가 스택(1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서 시트(114)가 스택(112)의 인접 하위 시트(114)에는 확고히 부착되도록 한다. 제1 단부(126)는 제1 끝단(119)으로부터 제2 끝단(120)쪽으로 배면(116)의 소정 길이의 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스택(112) 내의 연면한 시트(114)의 제1 단부(126)들 사이의 감압성 점착층(122)의 중심부(132)는 대면 관계로써 시트(114)를 스택(112)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시킨다.
이제까지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술된 실시예에 많은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부분(46, 48)들은 그 사이에 리빙 힌지없이 개별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긴 점착제 코팅된 테이프 또는 시트(66)의 일부가 부분(46, 48 또는 86, 88)들 간의 힌지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출원에 기술되어진 구조와 방법들로서가 아닌, 오직 특허 청구의 범위의 용어로써 기술된 구조와 방법 및 균등한 것으로서만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 각각은 이격된 제1 및 제2 끝단과 이들 제1 및 제2 끝단간의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대향하는 주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 상에 감압성 점착층을 가지며, 감압성 점착층의 해제 가능한 부착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대향 끝단과 스택의 시트의 인접 끝단들이 정렬되고 스택의 연면한 시트의 제1 및 제2 끝단이 인접한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과 이 점착층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택의 인접 시트의 상부면 사이의 상기 제1 단부를 따라 인접 시트의 표면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끝단 부근의 각 시트의 제1 단부를 따라 제1 저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릴리스 수단과, 상기 점착층과 스택의 인접 시트의 상부면 사이의 상기 제2 끝단 부근의 상기 각 시트의 제2 단부를 따라 상기 제1 끝단을 따라 제공된 상기 해제력보다 강한 해제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부를 따라 시트를 분리되게 하면서 스택의 인접 시트에는 제2 단부를 따라 시트를 확고히 부착시키는 제2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부착 수단을 갖는 다수개의 가요성 시트와,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구비한 외피를 포함하고,상기 벽은 챔버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벽과,상기 바닥벽과의 이음부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돌출되어 상기 챔버의 양단을 한정하며, 상기 챔버의 대향 선단이 시트 스택의 길이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스택 측면 상의 스택의 상부 시트가 바닥벽과 대향하면서 상기 시트 스택이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아치형을 이루도록 상기 챔버 내에 상기 시트 스택이 배치되게 하는 측벽 수단 및,상기 아치형 스택 상의 상부 시트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구획하고 최상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상기 대향면 중의 하나에 대해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도록 상기 아치형 스택의 상기 중앙부를 횡단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대향면을 제공하는 상부 벽 수단을 포함하며,최상위 시트가 제1 단부로 상기 슬롯을 통해 인출되어질 때, 아치형 시트 스택과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은 스택 상의 제1 하위 시트로부터 최상위 시트의 연면한 부분이 분리되도록 하고,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제2 하위 시트로부터 벗겨지도록 하며, 최상위 시트가 제1 하위 시트의 제1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벗겨진 후에 최상위 시트의 제2 단부는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시트가 제거될 때 지지되었던 대향면에 마주보는 대향면에 대해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고 최상위 시트의 제거 방식과 마찬가지로 손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슬롯을 통해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수단은 중심축을 갖는 중공의 관형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부분들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가 상기 챔버 속에 시트 스택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들이 이격된 개방 위치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챔버를 구획하는 폐쇄 위치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수단은 중심축을 갖는 중공의 관형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는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부분들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가 이들 부분이 상기 챔버를 구획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챔버 속에 시트 스택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이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측벽을 따라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선회축 둘레로 상대 선회 운동하도록 제1 및 제2 부분들을 장착하는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가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상기 폐쇄 위치로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측벽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비해 비교적 유연한 몰딩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외피의 제1 및 제2 부분과 힌지 수단이 단일 폴리머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이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과 대체로 평행하며, 상기 상부 벽 수단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평행한 내측 및 외측 이격 상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면의 일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 수단은 상기 대향면을 구획하는 평행한 슬롯 구획 벽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에 직각으로 상기 관형 측벽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측벽과 단면 형상이 일치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바닥벽과 대향하여 돌출한 제2 관형 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여 상기 제2 관형 벽의 선단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단부벽을 포함하며, 제2 관형 벽과 바닥벽 및 단부벽이 상기 외피 내에 보관 챔버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벽의 외주면 둘레로 부착되는 표시를 지닌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제1 단부가 제1 끝단으로부터 제2 끝단 쪽으로 소정 길이의 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스택의 연면한 시트의 제1 단부들 사이의 감압성 점착층의 중심부가 대면 관계로써 시트들을 스택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패키지.
- 복수개의 가요성 시트를 분배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시트는 각각 제1 및 제2의 이격된 끝단과 이들 제1 및 제2 끝단 간의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고, 대향하는 주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 상에 감압성 점착층을 가지며, 감압성 점착층의 해제 가능한 부착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대향 끝단과 스택의 시트의 인접 끝단들이 정렬되고 스택의 연면한 시트의 제1 및 제2 끝단들이 인접한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과 이 점착층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택의 인접 시트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제1 단부를 따라 인접 시트의 표면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제1 끝단 부근의 각 시트의 제1 단부를 따라 제1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릴리스 수단과, 상기 점착층과 스택의 인접 시트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제2 끝단 부근의 상기 각 시트의 제2 단부를 따라 상기 제1 끝단을 따라 제공된 상기 해제력보다 강한 해제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부를 따라 시트를 분리할 때 제2 단부를 따라 스택으로부터 시트는 벗겨 내면서 시트를 스택의 인접 시트에는 확고히 부착시키는 제2 점착레벨을 제공하는 부착 수단을 가지며,상기 외피는 챔버를 형성하는 벽들을 포함하고,상기 벽은 챔버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벽과,상기 바닥벽과의 이음부로부터 바닥벽에 대하여 대체로 직각으로 돌출되어 상기 챔버의 양단을 한정하며, 상기 챔버의 대향 선단이 시트 스택의 길이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스택 측면 상의 스택의 상부 시트가 바닥벽과 대향하면서 상기 시트 스택이 챔버 내에서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아치형을 이루도록 된 측벽 수단 및,상기 아치형 스택 상의 상부 시트의 중앙부를 횡단하여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구획하고 최상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상기 대향면 중의 하나에 대해 안착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도록 상기 아치형 스택의 상기 중앙부를 횡단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대향면을 제공하는 상부 벽 수단으로 구성되고,최상위 시트가 제1 단부로 상기 슬롯을 통해 인출되어질 때, 아치형 시트 스택과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은 스택 상의 제1 하위 시트로부터 최상위 시트의 연면한 부분이 벗겨지도록 하고,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제2 하위 시트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최상위 시트가 제1 하위 시트의 제1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벗겨진 후에 최상위 시트의 제2 단부는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가 시트가 제거될 때 지지되었던 대향면에 마주보는 대향면에 대해 안착되면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고 최상위 시트의 제거 방식과 마찬가지로 손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슬롯을 통해 제1 하위 시트의 제1 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수단은 중심축을 갖는 중공의 관형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부분들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가 상기 챔버 속에 시트 스택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들이 이격된 개방 위치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챔버를 구획하는 폐쇄 위치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수단은 중심축을 갖는 중공의 관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을 따라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부분들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는 이들 부분들이 상기 챔버를 구획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챔버 속에 시트 스택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부분들이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측벽을 따라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선회축 둘레로 상대 선회 운동하도록 제1 및 제2 부분들을 장착하는 힌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상기 폐쇄 위치로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측벽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비해 비교적 유연한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의 제1 및 제2 부분과 힌지 수단이 단일 폴리머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을 구획하는 대향면들은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과 대체로 평행하며, 상기 상부 벽 수단이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평행한 내측 및 외측 이격 상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 수단이 상기 대향면을 구획하는 평행한 슬롯 구획 벽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을 통한 평면에 직각으로 상기 관형 측벽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 상기 측벽과 단면 형상이 일치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바닥벽과 대향하여 돌출한 제2 관형 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여 상기 제2 관형 벽의 선단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단부벽을 포함하며, 제2 관형 벽과 바닥벽 및 단부벽이 상기 외피 내에 보관 챔버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벽의 외주면 둘레로 부착되는 표시를 지닌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42540995A | 1995-04-20 | 1995-04-20 | |
US8/425,409 | 1995-04-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845A true KR19990007845A (ko) | 1999-01-25 |
Family
ID=2368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7368A Withdrawn KR19990007845A (ko) | 1995-04-20 | 1996-03-12 | 디스펜서 패키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0822904A1 (ko) |
JP (1) | JPH11503700A (ko) |
KR (1) | KR19990007845A (ko) |
AU (1) | AU5362996A (ko) |
CA (1) | CA2217308A1 (ko) |
WO (1) | WO19960330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71866A (en) * | 1995-12-27 | 1997-09-30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Refillable sheet dispenser with storage |
US8261937B2 (en) | 2006-07-14 | 2012-09-1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ttachment system and dispensers used therewith |
US20090050646A1 (en) * | 2007-08-22 | 2009-02-2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act sheet dispens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70320A (en) * | 1987-06-03 | 1988-09-13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Sheet and dispenser package therefor |
US5086946A (en) * | 1990-12-10 | 1992-02-1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Sheet stack and dispenser package therefor |
FR2699902B1 (fr) * | 1992-12-24 | 1995-03-24 | Boitabloc | Distributeur de feuillets repositionnables. |
-
1996
- 1996-03-12 EP EP96910436A patent/EP0822904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6-03-12 CA CA002217308A patent/CA2217308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6-03-12 JP JP8531724A patent/JPH11503700A/ja active Pending
- 1996-03-12 KR KR1019970707368A patent/KR19990007845A/ko not_active Withdrawn
- 1996-03-12 WO PCT/US1996/003389 patent/WO1996033073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6-03-12 AU AU53629/96A patent/AU5362996A/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217308A1 (en) | 1996-10-24 |
AU5362996A (en) | 1996-11-07 |
WO1996033073A1 (en) | 1996-10-24 |
JPH11503700A (ja) | 1999-03-30 |
EP0822904A1 (en) | 1998-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07517B1 (en) | Dispensers with optional support or attachment means | |
CA1049479A (en) | Detachable article-mounting device | |
JP3749934B2 (ja) | ハンガーシートと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との組合せ | |
CA1066672A (en) | Razor blade cartridge and display article | |
US5299712A (en) | Sheet dispenser with optional support or attachment means | |
JP3542132B2 (ja) | ディスペンサ容器 | |
US5647506A (en) | Readily openable pop-up dispenser for moist tissues | |
US5358141A (en) | Support or attachment means for a sheet dispenser | |
EP0631540A1 (en) | Dispenser for a stack of sheets | |
JPH11505745A (ja) | 可撓性パウチと反復使用可能な取り出し用デバイス | |
JPH10503677A (ja) | カートリッジディスペンサ | |
JP2006315765A (ja) | オプションの支持手段あるいは取付手段を有するシートディスペンサ | |
GB2043020A (en) | Blister pack for dispensing razor blades | |
US4817798A (en) | Cassette tape holding box and dispenser | |
JPH10505570A (ja) | 再充填可能な小型のシートディスペンサを有するアセンブリ | |
US4550857A (en) | Cotton swab vender | |
KR19990007845A (ko) | 디스펜서 패키지 | |
US6571956B2 (en) | Ear piercing cartridge and clutch holder kit | |
US20240092524A1 (en) | Pressure actuated sticker dispenser | |
US20250176712A1 (en) | Interchangeable lash palette and storage box | |
GB2169886A (en) | Drinking vessel disp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it | |
JPH05330579A (ja) | 粘着メモ用紙用ホルダ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710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