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839A - 직각 커넥터 - Google Patents
직각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7839A KR19990007839A KR1019970707362A KR19970707362A KR19990007839A KR 19990007839 A KR19990007839 A KR 19990007839A KR 1019970707362 A KR1019970707362 A KR 1019970707362A KR 19970707362 A KR19970707362 A KR 19970707362A KR 19990007839 A KR19990007839 A KR 19990007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contact portion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3)과, 또 다른 커넥터의 또 다른 접촉 소자에 결합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접촉부(21)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소자와, 인쇄 회로 기판 등을 접촉시키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 28)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주 리셉터클 유니트(1) 및 후미 유니트(2)로 분리되고, 상기 주 리셉터클 유니트(1)는 상기 제1 접촉부(21) 및 제2 접촉부(22; 22')에 접속되는 개조 접촉 부재(15)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개조 유니트(24)를 포함하고, 상기 후미 유니트(2)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 28) 및 제3 접촉부(20; 30)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19; 27)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촉부(20; 30)는 상기 제2 접촉부(22; 22')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도1에서, 주 리셉터클 유니트(1) 및 후미(tail) 유니트(2)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주 리셉터클 유니트(1)는 접촉 소자의 접촉부(5)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3) 내에 개구(4)를 포함한다. 접촉부(5)는 후미 도체부(6) 및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접촉부(7)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접촉부(5)는 예압(pre-load) 리브(10)로 예압되는 암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에는 또 다른 결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주 리셉터클 유니트(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 부재(9)가 제공된다. 고정 핀(8)은 직각 커넥터가 접속되는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내의 적절한 개구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우징(3) 상에 제공된다. 인쇄 회로 기판이라는 용어는 매우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커넥터가 접속되고 적절한 전도성 트랙들이 제공되는 어떤 임의의 기판을 구체화하고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7)는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관통 장착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표면 장착, 프레스 끼워맞춤 장착 또는 IDC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후미 유니트(2)에는 후미 도체부(6)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적합한 개구가 제공된다. 후미 도체부(6)의 각각은 후미 유니트(2) 내에 삽입된 후에 개별적으로 휘어지고, 분리형 프레스-블록 또는 웨이버(waver)에 의해 모여져서 함께 보유될 필요가 있다. 고 작동 주파수[1 나노초(nanosecond)보다 낮은 클럭 속도]에 있어서, 누화(cross-talk)의 증가 및 신호의 반사에 의해 신호 집적도가 저해된다. 이러한 것은 부분적으로는 상대적으로 긴(그리고 다양한) 후미 길이로 인해서 초래되기도 하고, 또한 열 및 행으로 배열된 인접한 후미 도체부(6) 사이에 적절한 전기 차폐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초래되기도 하다. 더욱이, 후미 도체부(6)를 개개의 열로 휘게 하는 것이 어렵고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종종 초래한다.
특히, 고 작동 주파수를 위해 인접한 접촉부(5) 및 인접한 후미 도체부(6) 사이에 차폐가 필요해 진다. 인접한 후미 도체부를 직각 배열로 차폐하는 차폐 부재가 제공되어진 동축상 커넥터 모듈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 출원 제0,488,48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 있어서, 금속 판으로 적절하게 접혀져서 얇게 만들어진 분리형 차폐 부재들은 후미 유니트의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커넥터들이 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을지라도, 그 제조 비용은 여전히 높다.
본 발명은 제조 중에 적어도 일부의 접촉 소자들이 삽입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커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직각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1을 참조하여 가장 잘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형상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각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2a, 도2b 및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직각 커넥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소정의 각도로 접속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후미 도체부의 차폐가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또 다른 커넥터의 또 다른 접촉 소자에 결합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접촉부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소자와, 인쇄 회로 기판 등을 접촉시키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적어도 주 리셉터클 유니트 및 후미 유니트로 분리되고, 상기 주 리셉터클 유니트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에 접속되는 개조(adapting) 접촉 부재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개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미 유니트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 및 제3 접촉부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커넥터를 상호 접속 및 단선 가능하게 해주는 주 리셉터클 유니트 및 후미 유니트로 분리함으로써, 커넥터를 직선에서 직각 배열로 변환할 수 있고,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관통 장착 접속으로부터 프레스 끼워맞춤 접속으로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단자들의 커넥터 열 구조의 직각 휨을 형성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후미 유니트의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는 암형의 제3 접촉부를 구비한 이중 빔 접점으로 제조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이중 빔 접점들이 프레스 끼워맞춤된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를 구비하는 데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이중 빔 접점에는 적합한 차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는 상기 제3 접점부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와 일체로 제조된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차폐하고 결합 개조 유니트 상의 차폐부와 결합 접촉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반강성(semi-rigid) 케이블로 제조된다. 반강성 케이블은 다수의 제조자들로부터 입수 가능하고, 본 발명의 후미 유니트에 이용되기 위해 특별한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반강성 케이블은 임피던스를 저하시킴이 없이 소정 각도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반강성 케이블은 커넥터 내의 누화 및 신호 반사를 방지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임피던스 요건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없는 분리식 차폐형 플레이트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주 리셉터클 유니트 내에 배열된 상기 제2 접촉부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된 제3 접촉부와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가 암형의 제3 접촉부를 구비한 이중 빔 접점으로 제조되는 구성의 후미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의한 커넥터의 상기 주 리셉터클 유니트 내에 배열된 상기 제2 접촉부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된 제3 접촉부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가 상기 제3 접촉부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와 일체로 제조된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차폐하고 결합 개조 유니트 상의 차폐부와 결합 접촉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반강성 케이블로 제조되는 구성의 후미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2a는 분리형 주 리셉터클 유니트(1) 및 후미 유니트(2)로 분리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2a에서의 참조 부호들은 도1에 도시된 커넥터의 동일한 부품 및 소자들의 참조 부호와 동일하다.
주 리셉터클 유니트(1)는 하우징(3) 내의 적합한 개구(23)로 삽입되는 분리형 개조 유니트(24)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조 유니트(24)는 바람직하게는 개조 유니트(24)의 하우징(25) 내에 제공된 개조 접촉 부재(15)를 차폐하기 위해 그 외측면에 적합한 차폐층(31)이 제공된다. 하우징(25) 상의 금속층(31) 대신에,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5)이 삽입되는 금속 원통형 슬리브(31)가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개조 접촉 부재(15)들은 제1 접촉부(21) 및 제2 접촉부(22)와 일체로 제조된다. 도2a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부(21, 22) 양자는 모두는 암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유형의 접촉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임의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수형 또는 자웅 동체형의 접촉부가 그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후미 유니트(2)는 몇개의 후미 접촉 소자(19)로 구성되고, 후미 접촉 소자는 양호하게는 반강성 케이블들로 제조된다. 반강성 케이블들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반강성 케이블(19)에는 내부 도체(16)가 제공되며, 그 내부 도체(16)는 제2 접촉부(22)와 적절히 접촉하는 제3 접촉부(20) 및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와 일체로 제조된다.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관통 장착식으로 접속하는 데 적합하다. 그러나, 표면 장착식 접속 또는 IDC가 그 대신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내부 도체(16)는 내부 도체(16)를 차폐하기 위한 외부 도체(18)로 둘러싸여진다.
각각의 개조 유니트(24)는 결합 강성 케이블(19)의 외부 도체(18)의 단부에 의해 수용되는 연장부(26)를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임의의 제3 접촉부(20)는 사용시에 제2 접촉부(22)로 삽입된다. 임의의 제3 접촉부(20)는 결합 제2 접촉부(22)로 삽입되는 적합한 접촉 핀에 납땜됨으로써 보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3 접촉부는 제2 접촉부(22)가 수형(도시되지 않음)일 때에 적합한 암형 접촉부(도시되지 않음)에 납땜될 수 있다.
반강성 케이블(19)은 분리형 후미 도체를 수용하는 분리형 채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일형 하우징 내에서 함께 그룹을 형성한다. 반강성 케이블(19)이 제공된 후미 유니트의 제조 공차는 상대적으로 크다. 임피던스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또는 유해성 반사를 피하기 위해 이상적인 휨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2b는 개조 유니트(24)의 전방도를 도시한다. 차폐부(31)는 원통형 슬리브로 제공된다. 도2a를 설명하면서 다른 참조 부호들은 이미 설명되었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에서, 후미 유니트(2)에는 양호하게는 암형 접점(30) 및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28)와 일체로 제조된 이중 빔 접점 도체(29)를 포함하고 있는 이중 빔 접점(27)들이 제공된다. 그러한 이중 빔 접점들은 반강성 케이블의 인쇄 회로 접촉부(17)에 의해 도2a 및 도2b에 의한 실시예를 달성하기에 더 어려운 프레스 끼워맞춤의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28)를 갖기에 적합한 재료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암형 접점(30)은 개조 접촉 부재(15)의 적합한 수형 제2 접촉부(22')에 접속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이중 빔 접점(27)에는 상기 개개의 이중 빔 접점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하우징을 둘러싸는 적합한 차폐부가 제공된다.
또한, 프레스 끼워맞춤식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28) 대신에 표면 장착용, 관통 장착용 또는 IDC용으로 적합한 접촉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후미 유니트에 대한 차폐가 요구되지 않을 때(예를 들어, 고주파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후미 유니트(2)를 적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커넥터를 직선 배열에서 직각 배열로 변환하거나 또는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 수단을 관통 장착 접속 수단에서 프레스 끼워맞춤 접속 수단으로 변경하는 가능성과 같은 몇개의 이점들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차폐부 없이 이중 빔 접점(27)을 적용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 열 구조의 직각 휨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제거시켜 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미 유니트 내에 반강성 케이블 또는 이중 빔 접점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미니 동축 케이블이 후미 유니트(2) 내에 반강성 케이블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 하우징(3)과, 또 다른 커넥터의 또 다른 접촉 소자에 결합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접촉부(21)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소자와, 인쇄 회로 기판 등을 접촉시키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 28)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적어도 주 리셉터클 유니트(1) 및 후미 유니트(2)로 분리되고, 상기 주 리셉터클 유니트(1)는 상기 제1 접촉부(21) 및 제2 접촉부(22; 22')에 접속되는 개조 접촉 부재(15)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개조 유니트(24)를 포함하고, 상기 후미 유니트(2)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 28) 및 제3 접촉부(20; 30)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19; 27)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촉부(20; 30)는 상기 제2 접촉부(22; 22')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는 암형 제3 접촉부(30)를 구비한 이중 빔 접점(27)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이중 빔 접점(27)에는 프레스 끼워맞춤식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2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이중 빔 접점(27)에는 적합한 차폐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는 상기 제3 접촉부(20)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와 일체로 제조된 내부 도체(16)와, 상기 내부 도체(16)를 차폐하고 결합 개조 유니트(24) 상의 차폐부(31)와 결합 접촉하는 외부 도체(18)를 포함하는 반강성 케이블(19)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19; 27)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π/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19)의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는 관통 장착, 표면 장착, 프레스 끼워맞춤 접속 및 IDC와 같은 접속 방법들 중에서 선택된 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따른 커넥터의 상기 주 리셉터클 유니트(1) 내에 배열된 상기 제2 접촉부(22')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된 제3 접촉부(30) 및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28)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27)를 포함하고, 후미 접촉 소자(27)가 암형의 제3 접촉부(30)를 구비한 이중 빔 접점(27)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미 유니트(2).
- 제1항에 따른 커넥터의 상기 주 리셉터클 유니트(1) 내에 배열된 상기 제2 접촉부(22)와 결합 접촉하도록 배열된 제3 접촉부(20)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후미 접촉 소자(19)를 포함하고, 상기 또는 각각의 후미 접촉 소자(19)가 상기 제3 접촉부(20)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접촉부(17)와 일체로 제조된 내부 도체(16)와, 상기 내부 도체(16)를 차폐하고 결합 개조 유니트(24) 상의 차폐부(31)와 결합 접촉하는 외부 도체(18)를 포함하는 반강성 케이블(19)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미 유니트(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95201004.9 | 1995-04-19 | ||
EP95201004A EP0739061B1 (en) | 1995-04-19 | 1995-04-19 | Right-angle connector with separate right-angle tail-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839A true KR19990007839A (ko) | 1999-01-25 |
Family
ID=822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7362A Withdrawn KR19990007839A (ko) | 1995-04-19 | 1996-04-17 | 직각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0739061B1 (ko) |
JP (1) | JPH11504151A (ko) |
KR (1) | KR19990007839A (ko) |
CN (1) | CN1181846A (ko) |
DE (1) | DE69513144T2 (ko) |
WO (1) | WO199603353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8977A (ko) * | 2002-05-15 | 2003-11-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개량형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113C (zh) * | 1998-03-13 | 2002-07-03 |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 电连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29008A (en) * | 1980-04-01 | 1982-05-11 | Braginetz Paul A | High density connector module with tri-paddle contact elements |
US4846727A (en) * | 1988-04-11 | 1989-07-11 | Amp Incorporated | Reference conductor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electrical connectors |
DE3904461C1 (en) * | 1989-02-15 | 1990-09-06 | Erni Elektroapparate Gmbh, 7327 Adelberg, De | Multipole radio-frequency plug connection |
DE9001559U1 (de) * | 1990-02-10 | 1990-04-12 | Asea Brown Boveri Ag, 68309 Mannheim | Hochstromsteckverbinder |
US5169343A (en) * | 1990-11-29 | 1992-12-08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oax connector module |
FR2685555B1 (fr) * | 1991-12-23 | 1994-03-25 | Souriau Cie | Connecteur electrique destine a recevoir un support plat. |
NL9200559A (nl) * | 1992-03-26 | 1993-10-18 | Du Pont Nederland | Connector. |
-
1995
- 1995-04-19 EP EP95201004A patent/EP073906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4-19 DE DE69513144T patent/DE6951314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
- 1996-04-17 JP JP8531899A patent/JPH11504151A/ja active Pending
- 1996-04-17 CN CN96193377A patent/CN1181846A/zh active Pending
- 1996-04-17 WO PCT/US1996/005364 patent/WO1996033531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6-04-17 KR KR1019970707362A patent/KR1999000783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8977A (ko) * | 2002-05-15 | 2003-11-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개량형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739061A1 (en) | 1996-10-23 |
JPH11504151A (ja) | 1999-04-06 |
DE69513144T2 (de) | 2000-02-24 |
WO1996033531A1 (en) | 1996-10-24 |
CN1181846A (zh) | 1998-05-13 |
EP0739061B1 (en) | 1999-11-03 |
DE69513144D1 (de) | 1999-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42394A (en) | Right-angle connector | |
US5509827A (en) | High density, high bandwidth, coaxial cable, flexible circuit and circuit board connection assembly | |
US9787015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ble contacts | |
US6764342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cables with module for positioning cables | |
US6102747A (en) | Modular connectors | |
US7651374B2 (en) | System and method of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ion | |
CN100524953C (zh) | 具有多条传输线路用的共用接地触点的无焊料印刷电路板边缘连接器 | |
US5228864A (en) |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 |
EP1023747B1 (en) | Connector system | |
EP0446980A1 (en) | Connector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boards | |
US20090163078A1 (en) | Connector apparatus | |
US20020173177A1 (en) |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 |
US8287322B2 (en) | Interfac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 |
JPH09245899A (ja) | 高速伝送線のシールド終端装置 | |
US10868392B2 (en) | Ground commoning conductors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 |
KR100256928B1 (ko) |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 |
EP0907219B1 (en) | Punched sheet coax header | |
GB2428337A (en) |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 |
US5261829A (en) |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 |
EP0793298A2 (en) |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 |
US11817653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onance control | |
US11909147B2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KR19990007839A (ko) | 직각 커넥터 | |
US20240347982A1 (en) |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pacitors | |
US11552430B2 (en) |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710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971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