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6641U -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641U
KR19990006641U KR2019970020126U KR19970020126U KR19990006641U KR 19990006641 U KR19990006641 U KR 19990006641U KR 2019970020126 U KR2019970020126 U KR 2019970020126U KR 19970020126 U KR19970020126 U KR 19970020126U KR 19990006641 U KR19990006641 U KR 19990006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ever
lower shift
threaded por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641U/ko
Publication of KR19990006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41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변속레버의 길이를 운전자의 체형이나 팔길이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어변속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 변속레버(60)의 상단부에 하부 변속레버(6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부(62)를 일체로 돌설하고, 상기 돌기부(62)의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나사산부(62a)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산부(62a)의 피치 사이에는 반원 형상을 갖는 등간격의 결합공(62b)을 각각 요입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변속레버(50)의 저면부 내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나사산부(62a)와 결합되는 나사부(52)를 형성하고, 상부 변속레버(50)의 일측부에는 소정 직경의 나사구멍(54)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54)을 통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결합공(62b)에 취부되는 지지수단(70)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변속레버를 운전자의 체형(팔길이)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변속레버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분리사시도로서, 상기 변속레버(10)는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그립부(12)와, 트랜스미션과 연결되는 하부의 아암부(14)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자동차의 속도(또는 엔진의 RPM수)에 따라 상기 그립부(12)를 잡고 적절한 단(段)으로의 기어변속을 하게 되며,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은 콘솔 부트(console boot)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속레버(1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설치되므로 팔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거나 긴 운전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으며, 일부 운전자중에는 상기 변속레버(10)에 소정길이를 갖는 로드(lod)(도시 않됨)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예도 있으나, 별도의 비용부담과 함께 외부 미관을 해치고 상기 로드의 강성구조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출원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49-100325호(고안의 명칭;자동차의 변경레버)에는 자동차 변속기의 변경레버의 손잡이를 2부분으로 나누어 동통형 나사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나사의 외면에서 취부되는 조정나사를 통하여 변경레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변경레버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정나사를 조절하여 상부 손잡이를 하부 손잡이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 탈거시키고 조정나사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그 결합정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특히 여성운전자에게 있어서 그 조작이 번거롭고, 상기 조정나사가 동통형 나사의 외부면에 노출되므로 외부 미관을 해치며, 조정나사의 과다조작시 조정나사가 동통형 나사로부터 이탈되어 분실의 우려가 높은 한편, 과다한 힘의 작용시 상부 손잡이가 하부 손잡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변속레버의 길이를 운전자의 체형이나 팔길이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어변속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로 절개되어 상부 변속레버와 하부 변속레버로 나누어진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변속레버의 상단부에 하부 변속레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부를 일체로 돌설하고, 상기 돌기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나사산부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산부의 피치 사이에는 반원 형상을 갖는 등간격의 결합공을 각각 요입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변속레버의 저면부 내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의 나사산부와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부 변속레버의 일측부에는 소정 직경의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을 통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의 결합공에 취부되는 지지수단을 설치하여 된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가 제공된다.
도 1은 자동차 변속레버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상부 변속레버, 52:나사부,
54:나사구멍, 56:그립부,
60:하부 변속레버, 62:돌기부,
62a:나사난부, 62b:결합공,
72:볼, 74:스프링,
76:결합나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는 상하로 절개되어 상부 변속레버와 하부 변속레버로 나누어진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상단부에 하부 변속레버(6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부(62)를 일체로 돌설하고, 상기 돌기부(62)의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나사산부(62a)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산부(62a)의 각 피치(pitch) 사이에는 반원 형상을 갖는 등간격의 결합공(62b)을 각각 요입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변속레버(50)의 저면부 내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나사산부(62a)와 결합되는 나사부(52)를 형성하고, 상부 변속레버(50)의 일측부에는 소정 직경의 나사구멍(54)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54)을 통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결합공(62b)에 취부되는 지지수단(70)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70)은 상기 결합공(62b)에 그 일부가 삽입되는 볼(72)과, 상기 볼(72)의 후부에 취부되는 스프링(74)과, 상기 스프링(74)의 후부에서 상기 나사구멍(54)에 취부되는 결합나사(7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그 상부에 그립부(56)가 취부된 상기 상부 변속레버(50)를 그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52)를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상면에서 돌설된 돌기부(62)의 나사산부(62a)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변속레버(50)의 나사구멍(54)을 통하여 상기 지지수단(70) 즉, 볼(72)과 스프링(74), 그리고 결합나사(76)를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결합공(62b)에 취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체형(팔길이)에 따라 상부 변속레버(50)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하고자 할 경우, 상부 변속레버(50)의 목(neck)부를 잡고 회동시켜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하면, 상기 볼(72)은 상부 변속레버(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하부 변속레버(60)의 결합공(62b)에 스프링(74)에 의하여 전후 회동으로 상기 결합공(62b)에 착탈을 반복하면서 원하는 높이를 갖는 상부 변속레버(50)의 위치에서 상기 볼은(72)은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나사산부(62a) 각 피치사이에 요입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공(62b)에 그 일부가 취부되어 상기 조절된 변속레버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에 의하면 운전자의 체형(팔길이)에 따라 상부 변속레버를 회동시켜서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전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기 하부 변속레버가 상부 변속레버의 내부에 내장되므로 외부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별도의 로드 설치에 따른 비용이 경감되는 한편, 상기 상부 변속레버 및 하부 변속레버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므로 그 체결 강성이 증대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그 조정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하로 절개되어 상부 변속레버와 하부 변속레버로 나누어진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상단부에 하부 변속레버(6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부(62)를 일체로 돌설하고, 상기 돌기부(62)의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나사산부(62a)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산부(62a)의 각 피치 사이에는 반원 형상을 갖는 등간격의 결합공(62b)을 각각 요입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변속레버(50)의 저면부 내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나사산부(62a)와 결합되는 나사부(52)를 형성하고, 상부 변속레버(50)의 일측부에는 소정 직경의 나사구멍(54)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54)을 통하여 상기 하부 변속레버(60)의 결합공(62b)에 취부되는 지지수단(7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70)은 상기 결합공(62b)에 그 일부가 삽입되는 볼(72)과, 상기 볼(72)의 후부에 취부되는 스프링(74)과, 상기 스프링(74)의 후부에서 상기 나사구멍(54)에 취부되는 결합나사(76)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KR2019970020126U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KR199900066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26U KR19990006641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26U KR19990006641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41U true KR19990006641U (ko) 1999-02-25

Family

ID=6968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126U KR19990006641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6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8328A1 (en) Gear crank apparatus for a bicycl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hainwheels
KR19990006641U (ko) 자동차의 길이가변식 변속레버
KR01517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KR100203037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기어 시프트 레버
KR100513871B1 (ko) 자동차용 엔진룸의 변속기 마운팅부 결합구조
KR100402683B1 (ko)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KR19990035671A (ko) 가변식 기어 시프트 레버
KR19980037200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변속레버
KR200164935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KR970003220Y1 (ko) 자동변속기의 레버구조
KR0138192Y1 (ko) 자동차의 변속 케이블
KR19980062275A (ko) 변속레버의 길이 조정장치
KR19980068038U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레버 조립체
KR200155136Y1 (ko) 자동차의 위치조정식 조작 페달
KR19980028466U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KR0130150Y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각도조정장치
KR19980054449U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KR100387868B1 (ko)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KR970000616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그로메트구조
KR19980048286U (ko) 수동식 변속기의 높이조절 레버구조
KR19980055082A (ko) 차량용 체인지 레버
KR19980052376U (ko) 길이 가변식 스티어링 휠
KR19990029049U (ko) 자동차용 시프트 레버 장치
KR19990005846U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위치조절장치
KR19980018598U (ko) 높이 조절가능한 시프트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7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U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C19021R01D

Patent event date: 19990728

Comment text: [Abandonment of Procedure such as Patent, etc.]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