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5093U -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093U
KR19990005093U KR2019970018379U KR19970018379U KR19990005093U KR 19990005093 U KR19990005093 U KR 19990005093U KR 2019970018379 U KR2019970018379 U KR 2019970018379U KR 19970018379 U KR19970018379 U KR 19970018379U KR 19990005093 U KR19990005093 U KR 199900050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
diaphragm
pres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율
Original Assignee
권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율 filed Critical 권율
Priority to KR2019970018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093U/ko
Priority to US09/111,145 priority patent/US6029997A/en
Publication of KR19990005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9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개시된 에어백은 에어백이 펼쳐질 때 앞부분에 공기가 적게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은 자동차의 주행 도중에 충돌이나 기타의 돌발적인 사고로 충격을 받아 에어백이 팽창될 때 에어백의 내부에 고압 가스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는 공기의 유입을 줄여주는 격막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백의 팽창되는 공기압으로 인한 탑승자의 질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이 펼쳐졌을 때 앞부분에 공기가 적게 들어가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자동차의 주행 도중에 충돌이나 기타의 돌발적인 사고로 충격을 받으면 이 충격력에 의해 고압의 가스가 에어백에 급속히 충전되도록 하여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해 운전석 또는 다른 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자동차의 전후방 충돌시 관성에 따라 탑승자가 전방으로의 부딪힘을 받쳐줌으로써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백은 탑승자의 안면 또는 상체를 보호해 주기 위해 통상 핸들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이 장착된 핸들과 에어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등으로 인한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에어백(3)이 장착된 에어백 작동장치(1)가 핸들(2)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작동장치(1)는 운전석의 핸들 이외에 다른 좌석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 작동장치(1)는 자동차에 설치된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일정한 충돌압력 이상이 감지되어야 작동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백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를 운행할 때 운전자의 실수 또는 그 이외의 원인에 의해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센서에서 이때의 충격력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에서 감지된 충격력이 에어백이 작동되는 설정값 이상으로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어백 작동장치(1)가 작동된다.
이와 같이 에어백 작동장치(1)가 작동되면 에어백(3)에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의 가스가 분출되어 팽창됨으로써 에어백(3)의 탄력에 의해 탑승자가 핸들이나 차체에 부딪쳐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에어백(3)은 사고 발생시 관성에 따라 탑승자가 앞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자동차의 계기판 등이 탑승자 쪽으로 밀려 충돌되는 것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은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에어백에 고압 가스가 충전되어 펼쳐지는 순간 팽창되는 공기압에 의해 에어백이 탑승자의 신체에 강하게 압박을 주게 되어 순간적으로 질식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백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격막을 설치하여 에어백이 팽창할 때 앞부분에 공기가 덜 유입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에어백이 장착된 핸들과 에어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에어백 200 : 격막
210 : 통공 220 : 가변통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는 자동차의 주행 도중에 충돌이나 기타의 돌발적인 사고로 충격을 받아 에어백이 팽창될 때 에어백의 내부에 고압 가스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는 공기의 유입을 줄여주는 격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00)은 에어백(100)이 팽창될 때 앞부분으로 적은 공기가 유입되도록 에어백(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격막(20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통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격막(200)의 통공(210)의 주면에 에어백(100)이 펼쳐질 때 가스 압력이 큰 경우 많은 양의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가변통공(22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를 운행할 때 운전자의 실수 또는 그 이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때의 충격력을 자동차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감지한다.
이때 센서에서 감지된 충격력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설정값 이상이 되면 에어백 작동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작동된다.
이와 같이 에어백 작동장치가 작동되면 에어백(100)에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의 가스가 분출되어 급속히 팽창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급속히 팽창되는 에어백(1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막(200)이 형성된 부분까지는 많은 양의 공기가 주입되지만, 에어백(100)의 앞부분으로는 격막(200)에 형성된 통공(210)을 통해 적은 양의 공기만이 통과된다.
따라서 적은 양의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100)의 앞부분이 탑승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팽창 압력에 의한 탑승자의 순간적인 질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공(210) 주면에 가변통공(220)이 형성된 에어백(100)인 경우에는 에어백(100)을 팽창시키는 가스 압력이 큰 경우에 보다 많은 공기가 에어백(100)의 앞부분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서는 격막(200)에 형성된 통공(210)이 홀 형태로 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정방 형태 및 다각 형태로 된 것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사고발생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을 차량 내부의 전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 차량 내부의 측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에 의하면, 충돌사고 등으로 인해 에어백이 팽창될 때 에어백 내부에 형성된 격막에 의해 에어백의 앞부분에 공기가 덜 유입되기 때문에 팽창되는 공기압으로 인한 탑승자의 질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주행 도중에 충돌이나 기타의 돌발적인 사고로 충격을 받을 때 고압 가스가 급속히 충전되어 팽창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고압 가스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는 공기의 주입을 줄여주는 격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에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주면에 많은 양의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가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2019970018379U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1999000509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79U KR19990005093U (ko)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US09/111,145 US6029997A (en) 1997-07-11 1998-07-07 Airbag structur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79U KR19990005093U (ko)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93U true KR19990005093U (ko) 1999-02-05

Family

ID=1950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379U KR19990005093U (ko)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29997A (ko)
KR (1) KR1999000509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363B2 (en) 2000-07-07 2005-11-08 Milliken & Company Multiple chamber airbags and methods
KR100513879B1 (ko) * 2003-08-08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압력 조절방법
CN1295107C (zh) * 2004-07-29 2007-01-17 湖南大学 管式复合安全气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127A (en) * 1969-10-20 1971-10-19 Ford Motor Co Variable pressure air bag restraint device
US5240283A (en) * 1990-04-27 1993-08-3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 bag type occupant protector
US5560649A (en) * 1995-04-25 1996-10-01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cushion having variable volu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29997A (en) 2000-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761A (en) Airbag restraint system
US5221108A (en) Airbag cover
WO2013009821A2 (en) Airbag
EP1481857B1 (en)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KR100504284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WO200101247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KR19990005093U (ko)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JPH06344842A (ja) 車両のエアバッグ構造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20030063738A (ko) 자동차용 천장 에어백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599573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KR100559303B1 (ko) 수몰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1880Y1 (ko) 자동차의 에어백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KR100643585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
KR100693609B1 (ko) 차량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
KR100698685B1 (ko) 에어백장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00750403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KR100512867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80029415A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9990026011U (ko) 사이드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7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3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