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406U - Door glass anti-fog device - Google Patents
Door glass anti-fo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1406U KR19990001406U KR2019970014858U KR19970014858U KR19990001406U KR 19990001406 U KR19990001406 U KR 19990001406U KR 2019970014858 U KR2019970014858 U KR 2019970014858U KR 19970014858 U KR19970014858 U KR 19970014858U KR 19990001406 U KR19990001406 U KR 1999000140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door
- defroster
- switch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글라스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디프로스터를 통하여 사이드 윈도우 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분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도어 디프로스터 하류에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밧데리 전원을 공급하도록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히터가 가동중임을 알려주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설치되는 표시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lass anti-fog device, comprising: a heater mount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door defrost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blown air in a vehicle that blows air to the side window side through the door defroster; A switch installed at a position convenient for a driver to operate to supply battery power to the heat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lamp which is installed on the instrument panel to inform that the heater is in operation.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양측의 도어 글라스에서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어뷰 미러를 통한 운전자의 시계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driver's watch through the rear view mirror to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og in the door glasses on both sid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어 글라스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양측의 도어 글라스에서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계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글라스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lass anti-fo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improving the air conditioner of the car to prevent fogging in the door glass on both sides by keeping the driver's watch good door to promote safe operation It relates to a glass anti-fog device.
도 1을 이용하면,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윈도우 내면에 형성되는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 프론트데크 그릴(도시 생략)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냉각기 또는 히터를 거쳐 실내의 프론트 디프로스터(14) 및 도어 디프로스터(15)를 통하여 각각 프론트 윈도우(11) 및 사이드 윈도우(12)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어 윈도우(13)에 발생되는 김서림은 내장된 열선을 이용하여 제거한다.1, the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includes a front defroster 14 and a door defroster in a room through a cooler or a heater to remov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a front deck grill (not shown) in order to remove fog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a window. A function of supplying to the front window 11 and the side window 12 is performed through 15. The mist generated in the rear window 13 is removed using a built-in heating wire.
그러나 사이드 윈도우(12)의 경우 도어 디프로스터(15)에서 토출되는 공기로 김서림을 제거하는데 비교적 긴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자동차 주행시에 리어뷰 미러(16)를 통한 측면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아니라 수시로 닦아야 하는 불편도 있다.However, since the side window 12 requires a relatively long time to remove the fog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oor defroster 15, the side view through the rear view mirror 16 is not secur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Not only are there dangers, but there are also inconveniences that must be cleaned from time to time.
김서림은 자동차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고 실내의 습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되는 바, 공조장치의 냉각기능을 이용하면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강제로 낮추어 신속히 제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외기가 찬 계절에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것은 탑승자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연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a car is high and the humidity in the room is high, the Kim Seo-rim can be quickly removed by forcibly lowe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om by using the cooling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Howeve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to eliminate steaming during the cold season can be a source of discomfort for passengers and can also reduce fuel economy.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양측의 도어 글라스에서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어뷰 미러를 통한 운전자의 시계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글라스 김서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glass anti-fog device which can promote safe driving by keeping the driver's watch well through the rear-view mirror by preventing the fog from occurring in the door glass on both sid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For that purpose.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차 내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interior showing a st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도어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door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프론트 윈도우12: 사이드 윈도우11: front window 12: side window
13: 리어 윈도우14: 프론트 디프로스터13: rear window 14: front defroster
15: 도어 디프로스터16: 리어뷰 미러15: door defroster 16: rear view mirror
17: 노즐21: 히터17: nozzle 21: heater
22: 스위치23: 표시램프22: switch 23: indicator lamp
24: 팬모터24: fan mot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어 디프로스터를 통하여 사이드 윈도우 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분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도어 디프로스터 하류에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밧데리 전원을 공급하도록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히터가 가동중임을 알려주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설치되는 표시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김서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for blowing air to the side window side through a door defroster, comprising: a heater mounted downstream of the door defroster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blown air; A switch installed at a position convenient for a driver to operate to supply battery power to the heater; It provides a door glass anti-fog device comprising a display lamp installed on the instrument panel to inform that the heater is in operation.
이때, 상기 스위치는 누름과 동시에 통전하고 일정 시간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타이머 스위치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switch uses a timer switch that energizes and simultaneously cuts off pow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상기 도어 디프로스터로 공기를 유도하는 노즐 상에서 히터의 하류측에는 히터와 연동하여 강제 송풍하는 팬모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stall a fan motor forcibly blown in conjunction with the heate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er on the nozzle for inducing air to the door defros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차 내부의 사시도가 도시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showing a st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은 도어 디프로스터(15)를 통하여 사이드 윈도우(12) 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덕트구조를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히터(21)·스위치(22)·표시램프(23) 등의 전기적 기구와 밧데리 전원을 소정의 회로로 구성하여 사이드 윈도우(12) 상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having a duct structure that blows air to the side window 12 side through the door defroster 15, the electrical mechanism and battery such as heater 21, switch 22, display lamp 23, etc. The main idea is to remove the moisture on the side window 12 by configuring the power supply with a predetermined circuit.
본 고안의 히터는 분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도어 디프로스터 하류에 장착된다.The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downstream of the door defroster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blown air.
상기 히터(21)는 리어 윈도우(13)의 열선과 같이 적열 상태로 되지 않으면서 소정의 열량을 발생하는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제습의 효과 측면에서는 니크롬선 등 적열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자동차 화재의 위험에 대비하는 수단이 별도로 요구된다. 열량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히터(21)는 사이드 윈도우(12)와 가장 근접된 위치에 설치하는 바, 히터(21)를 도어 디프로스터(15)와 일체의 사출품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heater 21 is formed by using a material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amount of heat without becoming in a glowing state like a hot wire of the rear window 13. In terms of the effect of dehumidification, it is advantageous to use a glowing material such as nichrome wire, but a means of preparing for the danger of fire of a car is required separately. The heater 21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side window 12 for efficient use of heat, and it is also possible to mold the heater 21 into an injection molded product integral with the door defroster 15.
본 고안의 스위치는 상기 히터에 밧데리 전원을 공급하도록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고, 표시램프는 상기 히터가 가동중임을 알려주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설치된다.Th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nvenient for the driver to operate the battery to supply the battery power, and the indicator lamp is installed on the instrument panel to indicate that the heater is in operation.
상기 스위치(22) 및 표시램프(23)는 리어 윈도우(13)의 열선을 온·오프하고 그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과 동일한 형식의 것을 사용한다. 히터(21) 및 스위치(22)와 연동되도록 결선되는 표시램프(23)는 다른 경보램프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배치하지만, 스위치(22)는 프론트 디프로스터(14) 및 도어 디프로스터(15)를 통한 벤틸레이션을 조절하는 스위치 부근에 또는 그와 통합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22 and the display lamp 23 use the same type as that for turning on / off the hot wire of the rear window 13 and displaying the state. The display lamp 23 which is connected to the heater 21 and the switch 22 is arranged on the instrument panel like other alarm lamps, but the switch 22 is the front defroster 14 and the door defroster 15. It is preferable to install near or integrated with the switch to adjust the ventilation through.
한편, 상기 스위치(22)는 누름과 동시에 통전하고 일정 시간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타이머 스위치를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22 uses a timer switch that energizes and presses at the same time and automatically shuts off the pow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타이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에 비하여 히터(2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기소모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위치(22)의 통전 시간은 히터(21)의 열량에 반비례하는 크기로 하는데,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결정한다.When the timer switch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ater 21 is prevented from being overheated and unnecessary electricity consumption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urning on and off manually. The energization time of the switch 22 is set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eat amount of the heater 21, and is determined 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도 2는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도어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in the door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처럼 도어 디프로스터로 공기를 유도하는 노즐 상에서 히터의 하류측에는 히터와 연동하여 강제 송풍하는 팬모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stall a fan motor forcibly blown in conjunction with the heate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er on the nozzle for inducing air to the door defroster as shown in FIG.
팬모터(24)는 송풍팬과 DC모터가 일체의 결합품으로 이루어지고, 도어 디프로스터(15)로 공기를 유도하는 노즐(17) 상에 장착된다. 팬모터(24)는 히터(21)와 병렬로 결선되고 스위치(22)를 통하여 밧데리 전원을 공급받는다. 통상적으로 도어 디프로스터(1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블로우어(도시 생략)에 의하여 공급되지만 팬모터(24)를 설치하여 사이드 윈도우(12) 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것이 습기를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하기에 더욱 유리하다. 팬모터(24)는 히터(21)의 하류에 설치하여 히터(21)의 발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한다.The fan motor 24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blower fan and a DC motor, and is mounted on a nozzle 17 for inducing air to the door defroster 15. The fan motor 24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heater 21 and is supplied with battery power through the switch 22. Normal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oor defroster 15 is supplied by a blower (not shown), but the forced air blowing to the side window 12 by installing the fan motor 24 reduces the time for removing moisture. More advantageous. The fan motor 24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heater 21 to prevent overheating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21.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도어 글라스 김서림 방지장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양측의 도어 글라스에서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어뷰 미러를 통한 운전자의 시계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The door glass anti-fo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ac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fog in the door glass on both sid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hereby keeping the driver's watch satisfactorily through the rear view mirror to promote safe driving. It is effectiv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4858U KR19990001406U (en) | 1997-06-19 | 1997-06-19 | Door glass anti-fo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4858U KR19990001406U (en) | 1997-06-19 | 1997-06-19 | Door glass anti-fo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1406U true KR19990001406U (en) | 1999-01-15 |
Family
ID=6968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4858U KR19990001406U (en) | 1997-06-19 | 1997-06-19 | Door glass anti-fo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01406U (en) |
-
1997
- 1997-06-19 KR KR2019970014858U patent/KR19990001406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01406U (en) | Door glass anti-fog device | |
RU3252U1 (en) | CAR WINDOW HEATER | |
GB2390118A (en) | Electrical heating and demisting device for a vehicle | |
KR19980061322U (en) | In-car anti-fog removal mechanism | |
KR19980034419U (en) | Moisture removal structure of car back miller | |
KR100447320B1 (en) | A defrosting device for front glass of auto | |
KR0128067Y1 (en) | Side glass defroster | |
KR20030027283A (en) | Defrost appratus for vehicle | |
GB2322103A (en) | Rapid de-mister for vehicle windscreens | |
CN117261552A (en) | Blowing device and vehicle | |
JP3036394U (en) | Hot wire actuating device for glass with hot wire | |
KR19980045043A (en) | Vehicle rear glass preheater | |
KR200196376Y1 (en) | The car heater machine | |
JP2001018637A (en) | Air conditioner | |
KR19980046853A (en) | Vehicle heating system | |
KR0135660Y1 (en) | Defrost unit of a vehicle | |
KR200154279Y1 (en) | Automobile Vent Unit Assembly Structure | |
KR19990005661U (en) | Windshield glass defroster for automobiles | |
KR940000675Y1 (en) | Windshield defrost and dehumidification device of automobile | |
KR0131688B1 (en) | Temperature control unit using bymetal | |
KR19980018073U (en) | Heated Car Windshield Glass | |
KR19980011236U (en) | Defroster of car windshield | |
KR19980014084U (en) | Removable Automotive Air Vent | |
KR20040073190A (en) | air vent structure of car | |
KR19980051030U (en) | Automotive Defro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1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