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1896A -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 Google Patents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896A
KR19980701896A KR1019970705293A KR19970705293A KR19980701896A KR 19980701896 A KR19980701896 A KR 19980701896A KR 1019970705293 A KR1019970705293 A KR 1019970705293A KR 19970705293 A KR19970705293 A KR 19970705293A KR 19980701896 A KR19980701896 A KR 19980701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treatment
diabetic
per gram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로더릭 알란 웨스터맨
포올 지브 짐메트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퍼 로저스
코어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퍼 로저스, 코어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크리스토퍼 로저스
Publication of KR1998070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89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 치료에 있어 인슐린의 국소적 용도.Topical use of insulin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neurological disorders.

Description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치료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또한 당뇨병 환자의 신경염으로 알려져 있다)는 많은 당뇨병 환자가 고통받는 통증이고, 특히 발가락과 발과 같은 몸체의 수족에서 신경기능 이상으로 일어난다.Neuropathy (also known as diabetic neuropathy) in diabetic patients is a pain that many diabetic patients suffer, especially in the limbs of the body such as the toes and feet.

표 1은 1988. 아메리칸 당뇨병 협회의 추천을 근거로 한,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분류와 단계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당뇨병에서 정상신경 기능의 두가지 주요 병적 장해중 첫째는 상승된 혈액 글루코오스 수준(고혈당증), 다가알코올 경로(최종-생성물로서 다가알코올 이라 불리우는 알코올-당분을 생성시키고, 고글루코오스 수준에 의하여 유발되는 생화학적 경로), 미오-이노시톨(세포 에너지-저장 기질), Na+/K+ATPase(이온-펌프 효소) 활성과 신경행동, 즉, 신경충동 전달속도(그리니 등2) 사이에서 가정되는 상호관계를 뜻한다.Table 1 summarizes the classification and stages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 patients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198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The first of two major pathological disorders of normal neurological function in diabetes is the elevated blood glucose level (hyperglycemia), the polyhydric alcohol pathway (which produces alcohol-sugars, termed polyhydric alcohols as final products, and biochemical path), myo-inositol (cell energy-storage substrate), Na + / K + ATPase (ion-pump enzyme) means a mutual relationship is assumed between an active and neurobehavioral, i.e., nerve impulse transmission rate (Greenwich, etc. 2) do.

당뇨병에서 정상신경 기능장해의 두번째 가정되는 병-생리적 메카니즘은 신경섬유 내의 산소부족에 관한 것이고, 이는 혈당수준 상승과 다가알코올 경로의 활성화를 화학적으로 유도하고, 신경내에서 미세관을 통하여 혈류의 변화를 유도한다(윌리암선 등3).The second hypothesized sick-physiological mechanism of normal neurological function impairment in diabetes is the lack of oxygen in the nerve fibers, which leads chemically to elevated blood glucose levels and activation of the polyhydric alcohol pathway, changes in blood flow through the microtubules in the nerve (Williamson et al. 3 ).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1분류와 단계(1988. 아메리칸 당뇨병 협회의 추천 근거).Neuropathy of diabetic patients 1 Classification and stages (198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s recommendation basis). 분류 1 : 무증상 신경장애Class 1: Asymptomatic neuropathy A. 비정상 전기진단 시험:1. 신경증상속도 감소2. 유발근육 또는 신경활동 잠재력의 폭 감소 A. Abnormal electrodiagnostic test: 1. Neurological symptom rate reduction 2. Decrease in width of induced muscle or nerve activity potential B. 비정상 양적 지각 시험:1. 진동/촉각2. 열 가온/냉각 B. Abnormal Quantitative Perceptual Test: 1. Vibration / Tactile 2. Heat warming / cooling C. 비정상 자율신경 기능시험:1. 동성 부정맥 감소(고동 심장속도 변화에 대한 고동)2. 발한 자극기능 감소3. 유년 잠재성 증가 C. Abnormal autonomic function test: 1. Reduction of synchronous arrhythmia (stroke against changes in heart rate) 2. Reduced sweating and irritation 3. Increased childhood potential

분류 2 : 병상 신경장애Class 2: Pathological neuropathy A. 확산 신경장애:1. 원위치 대칭지각 자극성 다수신경 장애2. 자율신경 장애a. 비정상 유년 잠재기능b. 발한자극성 기능c. 요생식기 자율신경 장애ⅰ. 방광 기능이상ⅱ. 성 기능이상d. 위장 자율신경 장애ⅰ. 위 이완증ⅱ. 담낭 이완증ⅲ. 당뇨병 환자 설사e. 심장혈관 자율신경 장애f. 저혈당 방치 A. Diffuse neuropathy: 1. In situ symmetric perception. Autonomic nervous disorders a. Abnormal Childhood Potential b. Sweating irritant function c. Genitourinary autonomic disorders ⅰ. Bladder dysfunction Ⅱ. Sexual dysfunction d. Gastrointestinal autonomic disorder ⅰ. Gastric relaxation ⅱ. Gallbladder relaxation ⅲ. Diabetic diarrhea e.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f. Neglect of hypoglycemia B. 병소 신경장애:1. 단일신경 장애/단일신경 장애 다양2. 신경 총장애3. 신경근 장애4. 뇌 신경 장애 B. Lesional neuropathy: 1. Single neurological disorder / single neurological disorder 2. Multiple Neurotoxic disorder 3. Neuromuscular disorders 4. Cranial nerve disorder

전류(이온 침투요법)를 사용하여 피부 홍조반응을 자극하는 직접(혈관의 내면 세포경유)과 간접(최상 피부 지각신경 경유)방법과 혈액 이상유출의 측정(레이저 도플러 속도계에 의하여)은 공지되어 있고, 이들 방법은 다른 사람들4,5,6에 의하여와 본 발명자 및 동료들7,8에 의하여 사용되어 왔다.Direct (via the inner cell of the blood vessel) and indirect (via the best skin-sensory nerves) method and measurement of the blood leak (by the laser Doppler velocimeter) are known to stimulate skin flushing reactions using current (iontophoresis) , These methods have been used by others 4 , 5 , 6 and inventors and colleagues 7 ,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 관리에 대하여 종전에 사용된 치료는 세가지 다른 병상모양과 이들의 진단과 관리에 대한 상세한 알고리듬을 기술한 페이퍼 등9, 10(1993)에 의하여 최근 재검토 되었다.Previously used treatments for diabetic neuropathy management have recently been reviewed by Papers 9, 10 (1993) describing three different disease patterns and detailed algorithms for their diagnosis and management.

당뇨병 환자 신경염에 통증 또는 신경장애 관리에 통상 가장 많이 사용된 치료형들(이중 몇몇은 페이퍼9, 10에 의하여 언급되었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Some of the most commonly used treatments for pain or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 neuropathies (some of which are referred to by papers 9 and 10 ) include:

(a) 영향받는 통증부위에 사용된물리적 치료법은 때때로 징후경감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a) The physical therapies used for affected areas of pain may sometimes be provided as symptom relief, for example:

ⅰ. TENS, 간섭, 진동, 초음파I. TENS, interference, vibration, ultrasonic

ⅱ. 마사지와 안마Ii. Massage and massage

ⅲ. 물치료Iii. Water treatment

ⅳ. 온기, 열 또는 냉기 사용Iv. Use warmth, heat or cold

ⅴ. 침술 또는 지압V. Acupuncture or acupressure

ⅵ. 대면 드레싱 필름의 사용11, 12.Vi. Use of face-to-face dressing films 11, 12 .

(b)통증경감에 대한 경구용 약제: (b) Oral medication for pain relief:

ⅰ.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예를들어, 아스피린, 파라세타몰,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등);I. Non-steroidal analgesics (e.g., aspirin, paracetamol, ibuprofen, ketoprofen, etc.);

ⅱ. 마취제, 예를들어, 코데인, 몰핀, 페티딘과 서방성 몰핀제제;Ii. Anesthetics such as codeine, morphine, petidine and sustained-release morphine preparations;

ⅲ. 아미트립틸린 등과 같은 트리사이클릭을 포함한 항강하제;Iii. Anti-depressants including tricyclics such as amitriptyline and the like;

ⅳ. 카르밤 아제핀, 클론아제팜과 같은 통증신호 전달에 관한 억제효과를 갖는 항경련제;Iv. An anticonvulsant agent having an inhibitory effect on pain signaling such as carbamazepine and clonazepam;

ⅴ. 멕실리텐, 리그노카인과 같은 세포의 전기적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항부정맥 화합물;V. Antiarrhythmic compounds that decrease the electrical excitability of cells such as Mexylitene and lignocaine;

ⅵ. 신경내 에너지 기질(미이노시톨)의 수준을 개량하고, 다가알코올 당분축적(솔비톨)을 감소시키고, Na+/K+ATPase 기능을 개량하는 솔비닐, 포날레스타트(ICI), 에팔레스타트(Ono), 톨레스타트(위에드-아이엘스트), 조폴레스타트(파이자)와 같은 알도스-환원효소 억제제;Vi. (ICI), ephorestat (Ono), which improve the level of neuronal energy substrate (myinositol), reduce polyhydric alcohol sugar accumulation (sorbitol) and improve Na + / K + ATPase function, , Aldose-reductase inhibitors such as tolestat (Upo-Ieelst), Joopolestat (piza);

ⅶ. 필수 지방산(이는 당뇨병을 감소시킨다), 예를들어, 달맞이꽃유와 같은 감마-리놀렌산(GLA)을 공급하는 보충약제.Ⅶ. Essential fatty acids (which reduce diabetes), for example, supplemental agents that supply gamma-linolenic acid (GLA) such as evening primrose oil.

(c)신경재생(즉, 치료, 재성장과 재연결)을 촉진하는 화합물(주사에 의하여); (c) compounds that promote nerve regeneration (i.e., treatment, regrowth and relapse) (by injection);

- 갱글리오시드(크론아시알), 비타민 B12(시아노코발라민)과 인슐린-유사 성장인자와 같은 것.- such as gangliosides (cronosaccharides), vitamin B12 (cyanocobalam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s.

(d) 통증신호를 전달하는표면 신경섬유의 민감성을 제거하는 국소처리,예를들어,(d) topical treatment that removes the sensitivity of the surface nerve fibers that transmit pain signals , e.g.,

ⅰ. 신경독이고 후-포진 신경통15, 16, 17과 통증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18에 사용되어 온 캡사이신 크리임 또는 연고(통상 0.025% 또는 0.075%). I. Neurotoxin and post-herpetic neuralgia15, 16, 17And pain in diabetic patients nervous disorders18Capsaicin creams or ointments (typically 0.025% or 0.075%) that have been used in the art.

ⅱ. 바니싱 크리임에서 아스피린 또는 솔볼렌은 캐시러가 후-포진 신경통에 좋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본 발명자들(웨스터맨과 지메트, 공고되지 않음)에 의하여 사용되었고 열상통증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에 때때로 유효함이 발견되었다.Ii. Aspirin or solvolenes in vanishing creams have been reported by Cassirer as good for post-herpetic neuralgia and have been used by the present inventors (Westermann and Zimet, not reported) and sometimes effective for neuropathy in patients with thermal pain diabetes Was found.

인슐린의 국소사용은 통증의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특수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이 현재 알려져 있다. 국소 인슐린 치료법은 특히,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에서는 종래 보고되어 있지 않다.Topical use of insulin is currently known to be available for the special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pain. Local insulin therapy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especially in diabetic neurological disorders.

1980년에 신더 앤드 킴20은 인슐린이 신경 생존인자임을 먼저 예상했다. 그후 곧, 로우 등은 신경장애에서 작은 섬유기능 이상과 같은 발한 자극성 축삭반사 시험에 대한 반응감소를 기술했고, 특히 유발된 축삭 반사반응은 당뇨병 멜리투스7에서 감소되고, 쥐 실험 STZ-당뇨병21이 단일 투약량의 인슐린에 의하여 크게 회복됨을 알았다. 인슐린에 대한 가능한 운용방식을 찾는데 있더, 말초신경22에서 인슐린 수용체에 관한 월드빌링과 르로이드의 논증과, 이들23에 관한 리웰린의 국부화는 정상 감각신경기능24에서 인슐린 역활에 대한 본 발명자의 연구를 유도했다.In 1980, Cynthia And Kim 20 predicted that insulin was a nerve survival factor. Shortly thereafter, Low et al. Described a reduction in response to sweating-induced axon reflex tests such as small fiber dysfunction in neurological disorders, particularly in the axillary reflex response induced by diabetes mellitus 7 , and in rat experiments STZ-diabetes 21 It was found that the single dose of insulin significantly restored. In searching for possible ways of working for insulin, Worldville and Lloyd's demonstration of insulin receptors in the peripheral nerve 22 and localization of lysolein in these 23 have shown tha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sulin role in normal sensory nerve function 24 Research.

피부의학25에서 투피 이온침투요법 기술은 인슐린27, 28을 포함한 펩티드26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본 발명자는 스트렙토조토신-유도 당뇨병 쥐와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환자29의 두 동물연구에서 소신경과 축삭 반사기능에 관한 인슐린의 단-기간 효과를 연구했다. 두 당뇨병 환자와 쥐에서, 침해자극에 대한 피부홍조반응(축삭반사 플레어라 한다)의 크기는 작은 혈관이 그들 자체 감소되지 않드라도,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것은 감소된 염증이 미세관 장애보다 오히려 감각신경 기능장애에 기인함을 나타낸다. 이온침투요법으로 불리우는 6분간 음극전류에 의한 인슐린의 국소적 사용은 IDDM을 갖는 사람과 스트렙토조토신을 갖는 화학적으로 당뇨병을 만든 쥐에서 축삭반사 크기의 회복을 현저히 크게 가져왔다. 인슐린 이온침투요법의 인슐린의 즉시 회복효과는 축삭반사가 역전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구조적 결합보다도 오히려 반응을 매개하는 신경의 기능변화에 기인함을 나타낸다. 인슐린이 신경에서 이러한 실제적 효과를 낳는 메카니즘은 알려져 있지만, 효과의 신속한 시간-과정(분)은 이러한 인슐린의 작용30, 31의 다른 간접적 증거를 근거로 한 신경내의 칼슘 수준과 같은, 약간의 이온성 또는 흥분성 변화를 예상했다. 25 medical skin Tufi ion penetration therapy techniques shown to be effective to facilitate transport of peptides, including insulin, 26, 27, 28.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short-term effect of insulin on apoptosis and axon reflex function in two animal studie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29 insulin-dependent diabetics. In both diabetic patients and rats, the size of the skin flushing reaction (called the axonal reflection flare) for infiltration stimuli was significantly reduced, even though the small blood vessels themselves did not decrease. This indicates that the reduced inflammation is due to sensory dysfunction rather than microtubule dysfunction. Localized use of insulin by a 6 minute cathodic current called iontophoresi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covery of axonal reflection size in chemically diabetic rats with IDDM and streptozotocin. The immediate recovery effect of insulin in insulin infusion therapy is due to the functional changes of the nerves that mediate the response rather than any structural linkage, as axon reflexes can reverse. Although insulin is the mechanism lays these practical effect in the nerve is known, quick time of the effect-course (in minutes) are some of the ions, such as calcium levels within the nerves one based on other indirect evidence of such actions of insulin 30, 31 Castle Or excitatory changes.

일반적으로, 통증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특수치료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되어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든 치료는 징후경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들 중 몇몇은 당뇨병에서 범위 변화가 일어나고 특수 시험 또는 평가가 없는 확인할 수 있는 생리적 장해에 그 목적을 두었다.In general, the special treatment of neuropathy in patients with pain diabetes is not present until now. All therapies currently in use are intended to provide symptom relief. Some of these are aimed at identifying physiological disorders that range from diabetes to diabetes and that do not require special testing or evaluation.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의 광범위한 특징에서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치료에 인슐린의 국소적 사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topical use of insulin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neurological disorders in its broad character.

본 발명은, 한가지 특징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인슐린을 고통받는 환자의 피부부위에 국소 투여하여서 하는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in a diabetic patient by topically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insulin to the skin region of the suffering patient.

다른 특징에서, 본 발명은 국소에 유효량의 인슐린, 약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희석제 또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a diabetic patient comprising locally an effective amount of insul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diluent or carrier.

또 다른 특징에서,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치료에 국소 사용하는 의약의 제조에 치료적 유효량의 인슐린 사용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insuli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opical use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 patients.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치료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증상의 국소치료의 새로운 방법과 이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 pati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methods of local treatment of such symptoms and compositions therefor.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된 인슐린이 사람 인슐린(예를들어, 휴물린 알. 벨로슐린 또는 액트라피드로 이용할 수 있다)일 때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돼지 인슐린, 소 인슐린 또는 기타 비-인간 동물 종류에서 나온 인슐린의 사용까지 확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Preferably, the insulin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human insulin (e.g., can be used as human insulin, belochulins or actraid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end to the use of insulin from pig insulin, bovine insulin or other non-human animal species.

여기에 사용된 인슐린 이란 용어는 인슐린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분리하거나 조합한 α- 또는 β- 서브체인의 인슐린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nsulin includes not only insulin itself, but also insulin of the [alpha] - or [beta] -sub chain separated or combined.

본 발명에 따라서, 인슐린은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한다. 치료적 유효량 이란 치료될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상태의 시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진행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이의 시작 또는 진행을 함께 정지시키거나, 또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최소한 부분적으로 필요한 양을 뜻한다. 물론, 이러한 양은 치료될 특수한 증상, 증상의 심도와 나이, 육체적 상태, 크기, 체중과 다른 현행 치료를 포함한 개개 환자의 파라미터에 잘 알려져 있고, 통상의 실험 만으로 알려질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최소 유효 투약양은 정상적인 의학적 판단에 따라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투약양은 의학적 이유, 정신적 이유 또는 실제적으로 어떠한 다른 이유 때문에 더 많이 투여할 수 있음을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해할 것이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sulin is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that is at least partially required to delay the onset or inhibit the onset of neurological dysfunction in a diabetic patient to be treated, to arrest its onset or progression together, or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 Of course, this amount is well known for the particular symptoms to be treated,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the individual patient parameters including age, physical condition, size, weight and other current treatments, and should be known by routine experimentation only. Generally, the minimum amount of active drug is preferably used according to normal medical judgment. Howeve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dosages may be administered more for medical, mental, or any other practical reasons.

국소투여를 위한 제제 또는 조성물의 제형은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잘 알려져 있다. 약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적당한 담체 와/또는 희석제는 일반적인 어떠한 모든 용제, 분산매, 충전제, 수용액, 항박테리아제와 항진균제, 흡수촉진제 등이 있다. 약학적으로 활성물질인 이러한 매체와 약제의 사용은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미국 펜실바니아 매크 인쇄회사,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판에 예시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 매체 또는 약제가 유효성분과 상화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이의 용도는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보충 유효성분도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Formulations of formulations or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 or diluents include any and all conventional solvents, dispersion media, fillers, aqueous solution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absorption promoters, and the like. The use of such media and medicaments as pharmaceutically active substances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is exemplified in Remington ' s Pharmaceutical Sciences , 18th ed., Pennsylvania, USA. Except insofar as the generic media or agents are incompatible with the active ingredient, their use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supplemental active ingredient can be mixed into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 의하여 계획된 국소제제에는 크리임, 연고, 겔, 로우션, 볼펜식 액체, 스프레이, 유리구슬 상처포대, 인슐린에 함침된 합성중합체 포대 또는 기타 인슐린의 투피 사용방법이 있다. 크리임에는 완충제와 소수성 성분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 제제에는 피부각질 장벽을 가로질러 표피에 인슐린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DMSO(디메틸술폭심)과 같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Topical preparations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reams, ointments, gels, lotions, ball pen liquids, sprays, glass bead wound sacks, synthetic polymer sacks impregnated with insulin, or other insulins. The creams include buffering agents and hydrophobic components. Also, for these agents, compounds such as DMSO (dimethylsulfoxide), which facilitate the passage of insulin across the cutaneous horny barrier, can be used.

크리임이 고통받는 피부에 인슐린 유효성분의 전달을 촉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임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크리임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Since creaming has proven to be most effective in promoting the delivery of insulin active ingredients to the affected skin, the method of making the crea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국소 인슐린 크리임70g의 바니싱 크리임 기재는 정제수, 스테아르산, 디메티콘,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알코올,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솔바트 80, 알로에 베라 추출물,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방향제를 함유한다(가정용 브랜드 피부보수 크리임, 솔볼렌 크리임 또는 세토머크로골 크리임 같은 것). 모두가 중성 사람 인슐린인 70 IU 또는 210 IU의 휴물린 알. 벨로슐린 또는 액트라피드에 메타-크레솔 0.3%에 의하여 방부되는, 인산나트륨 완충제에서 ㎎당 100 IU을 가한다. 이것은 마무리된 크리임의 그람당 1 또는 3 IU의 최종 농도를 나타낸다. Topical insulin creme 70 g vanishing creme substrate contains purified water, stearic acid, dimethicone, isopropyl myristate, cetyl alcohol, triethanolamine, polysorbate 80, aloe vera extract, methyl paraben, propyl paraben, (Such as home remedial skin creams, solvolene creams or seto-Merck rosace creams). 70 IU, or 210 IU, all of which are insulin, a neutral person. 100 IU / mg is added to sodium sulphate buffer, which is preserved by 0.3% meta-cresol in vellosulin or actraid. This represents the final concentration of 1 or 3 IU per finished Crree grams.

예비시험에서 바니싱 크리임 기재의 최종 제형은 크리임의 효성에 있어서 비교적 중요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솔볼렌 로우션의 다른 형은 부형제로서도 사용되며 효과적이다. 이는 탈이온수, 글리세린, 솔비톨, 경광유, 세틸 알코올, 세토머크로골 1000, 스테아르산, 트리에탄올아민, 초산 토코페릴, 이미다졸리디닐 요소, 메틸 파라벤, EDTA, 파라-크레솔을 함유한다. 유사하지만 더 많은 소수성과 pH-완충 크리임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In the preliminary test, the final formulation of Vanishing Cream base shows that it is relatively insignificant in Creep Hyposility. Other forms of Solvolenment are also used as excipients and are effective. It contains deionized water, glycerin, sorbitol, light mineral oil, cetyl alcohol, cetomercurogol 1000, stearic acid, triethanolamine, tocopheryl acetate, imidazolidinyl urea, methylparaben, EDTA, para-cresol. Similar but more hydrophobic and pH-buffering cream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적당하기로는, 본 발명의 국소제제를 최소한 매일 또는 매일 몇시간 환자 피부의 고통받는 부위에 사용할 때이다. 예를들면, 매일 두번(아침과 저녁) 또는 매일 세번까지 사용하는 것이다.Suitably, the topical formulation of the invention is used at least daily or daily for several hours on the affected area of the patient's skin. For example, two times daily (morning and evening) or three times daily.

당뇨병 신경장애와 소섬유 기능장애와 연관된 증후를 갖는 환자를 적당히 주의하여 선택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국소 인슐린 치료가 가장 적합하고 가장 유리한 임상 사진은 지각장애 또는 지각결합을 갖는 불쾌한 표재성 열상형(페이퍼 등9, 10)을 포함한 특수 신경장애 증후-복합체가 있다. 비-인슐린 의존형 당뇨병과 사전에 인슐린으로 치료되지 않은 환자에게 가장 적합하다.It is effective to select patients with symptoms associated with diabetic neuropathy and fibrillary dysfunction with proper care and to initiate treatment. The most appropriate and most favorable clinical picture for topical insulin therapy is a specific neuropathy symptom complex involving an unpleasant superficial pyramidal form with a sensory or perceptual association (paper et al., 9, 10 ). It is most suitable f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d patients who have not been previously treated with insulin.

국소 인슐린 크리임은 표재성 열상 불쾌를 갖는 피부부위에 한정하여 매일 2회 사용한다. 이것이 통상 발가락, 발과 다리의 더 낮은 부위에 가장 좋다.Local insulin creams are used only twice daily for skin areas with superficial lacerations. This is usually best for lower parts of the toes, feet and legs.

메델레크 TTT 장치를 사용하여 잠멀 등32, 33, 34와 델라니 등8, 24에 의하여 서술된 방법에 따라 매월 간격으로 치료된 피부부위에서 열 지각역치의 재-측정을 행한다. 냉기 및 온기 지각역치를 측정한다.A Medelek TTT device is used to re-measure the thermal perception threshold at the skin sites treated at monthly intervals according to the methods described by the dumbbells 32,33, 34 and Delaney et al. 8, 24 . Measure cold and warm perception threshold.

통증 경감외의 임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효과(증후 점수)는 열 지각역치의 감소를 뜻하고, 이는 개량된 열 감각 예민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개량된 감각신경 기능에 관련될 수 있다. 냉기역치는 온기역치 보다 더 빠르게 개량되고, 냉기감각을 매개하는 척수 A-델타 신경섬유에 있어서 더 큰 이점이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The clinically observable effect (symptom score) besides pain relief means a decrease in the thermal perception threshold, which can be understood as an improved thermal sensation sensitivity. This can be related to improved sensory nerve fun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ld threshold will be improved faster than the warm threshold and there will be a greater advantage for the cold sensation mediated spinal A-delta nerve fibers.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치료에 인슐린의 국소적 사용의 바람직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Desirable characteristics of topical use of insulin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 patients include:

ⅰ. 크리임에서 인슐린 농도는 그람당 0.01∼20 IU, 바람직하기로는 그람당 0.1∼10 IU, 더 바람직하기로는 그람당 1∼3 IU의 범위를 갖는다.I. The insulin concentration in the creams ranges from 0.01 to 20 IU per gram, preferably from 0.1 to 10 IU per gram, more preferably from 1 to 3 IU per gram.

ⅱ.사용된 크리임의 양은 통상 각 발/다리에서 0.5g이다. 바람직한 크리임의 밀도는 약간 묽어지는 경향이 있고, 그러므로 이것은 없어질 때까지 피부에 쉽게 분산되고 발라진다.Ii. The amount of crye used is usually 0.5 g per foot / leg. The desired crease density tends to be slightly diluted, and therefore it is easily dispersed and rubs on the skin until it is gone.

ⅲ. 권장되는 사용 회수는 일일 2회 내지 3회지만 장-기간 시험 후, 일일 1회와 같은 더 적은 회수도 유지 치료 또는 피부궤양 예방에 수용될 수 있다.Iii. The recommended number of uses is from two to three times per day, but after a long-term test, less recovery, such as once daily, may be acceptable for maintenance therapy or skin ulcer prevention.

ⅳ. 징후 환자, 특히 국소적 인슐린 크리임으로 치료하는데 가장 적합한 형2(비-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멜리투스를 갖는 환자는 징후의 조심스러운 관찰(페이퍼 알고리듬9, 10참조)과 연구그룹으로 신경장애 시험 후에 확인되었다. 이들은 따끔하고 원면 감수성에 의한 작은 감각신경 기능과, 허리와 발등에서 냉기 및 온기 지각역치 및, AC-전류 지각역치(250㎐ 또는 5㎐) 시험을 포함한다. 더 큰 신경섬유는 더 낮은 손발(장딴지, 비골 TA, EDB)의 감각 및 모터신경 행위/위급 연구에 의하여서와 생체저장 측정기로 진동 감각성 측정은 물론, 2000㎐와 같은 고주파에서 AC-전류 지각역치를 측정하여 시험한다.Iv. Patients with symptomatic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ith type 2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which are best suited for treatment with focal insulin creams,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see Paper Algorithms 9 and 10 ) . These include small sensory nervous function by tingling and facial sensibility, cold and warm perception thresholds from the waist and feet, and AC-current perception threshold (250 Hz or 5 Hz). Larger nerve fibers are more sensitive to sensations of lower limbs (calf, fibula TA, EDB), motor neuron / emergency studies and vibrotactile measurements, as well as AC-current perception at high frequencies such as 2000 Hz Threshold is measured and tested.

ⅴ. 체중, 키, 몸체 중량지수(BMI), 복부상황, 단식 플라스민 글루코오스와 인슐린 및 헤모글로빈 A, C도 측정하여 형2 주체의 인슐린 감각성의 표시와 두 형1과 형2 주체에서 혈당 조절의 질을 제공한다. 혈당 고정측정은 논리적 이유에 대한 이들 연구에서는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다.V. Body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BMI), abdominal circumstance,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and hemoglobin A and C were also measured to show the insulin sensitivity of type 2 subjects and the quality of blood glucose control in two type 1 and type 2 subjects to provide. Blood glucose fixation measurements have not yet been used in these studies for logical reasons.

ⅵ. 온기와 냉기 역치는 소섬유 기능 이상이 환부의 열상 불쾌를 일으킬 때 통상 평가된다.Vi. Warmth and cold thresholds are usually assessed when fibrillatory dysfunction causes lacerations of the lesion.

ⅶ. 더 낮은 주파수 자극(250㎐, 5㎐)에서 측정된 전류 지각역치는 작은 감각 신경섬유 기능35, 36, 37, 38의 다른 정량적 측정을 제공한다.Ⅶ.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measured at the lower frequency stimulus (250 Hz, 5 Hz) provides anothe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mall sensory nerve fiber functions 35, 36, 37, 38 .

본 발명에 따른 인슐린 투여에 사용하는 적당한 국소 부형제와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Suitable topical excipients for use in the administration of insuli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ir preparation are as follows:

1. 바니싱 크리임:1. Varnish Cream:

(ⅰ)세토머크로골 크리임 (I) Cetomarketing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세토머크로골 유탁왁스 15Seto Merck Root Milk Wax 15

액체 파라핀(중량) 10Liquid paraffin (weight) 10

클로로크레솔 0.1Chlorocresol 0.1

프로필렌 글리콜 5Propylene glycol 5

증류수 100 까지Distilled water up to 100

세토머크로골 유탁왁스를 파라핀과 약 70℃에서 용융시킨다. 클로로크레솔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동일한 온도로 가온된 약 50부의 증류수에 용해시킨다. 혼합하고, 중량을 조정하고 냉각될 때까지 교반한다. 다음, 적당한 농도로 펩티드를 가하고, 완전하게 혼합한다.The cetomarc bean emulsion wax is melted with paraffin at about 70 ° C. Chlorocresol and propylene glycol are dissolved in about 50 parts of distilled water heated to the same temperature. Mix, weigh, and stir until cooled. Next, the peptide is added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mixed thoroughly.

(ⅱ)수성 크리임 APF (Ii) Water-based creaming APF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유탁연고 30Oily ointment 30

글리세롤 5Glycerol 5

펜옥시에탄올 1Phenoxyethanol 1

증류수 100 까지Distilled water up to 100

유탁연고를 약 70℃에서 용융시킨다. 펜옥시에탄올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동일한 온도로 가온한다. 혼합하고, 중량을 조절하고, 냉각될 때까지 교반한다. 펩티드를 가하고, 완전하게 교반한다.The ointment ointment is melted at about 70 ° C. Phenoxyethanol i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heated to the same temperature. Mix, weigh, and stir until cooled. The peptide is added and stirred thoroughly.

(ⅲ)완충된 크리임 BPC 73 (Iii) Buffered Crime BPC 73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시트르산 5Citric acid 5

인산나트륨 25Sodium Phosphate 25

클로로크레솔 1Chlorocresol 1

유탁연고 300Oily ointment 300

증류수 669Distilled water 669

유탁연고를 부드럽게 가열하면서 용융시키고, 인산나트륨, 시트르산과 클로로크레솔을 가하고, 미리 동일한 온도에서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냉각될 때까지 부드럽게 교반한다. 펩티드를 가하고 잘 혼합한다.The ointment ointment is melted with gentle heating, sodium phosphate, citric acid and chlorocresol are added,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in advance, and gently stirred until cooled. Add the peptides and mix well.

2. 연고:2. Ointment:

(ⅰ)유탁연고 APF (I) ointment ointment APF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유탁왁스 30Emulsion wax 30

백색 연질 파라핀 50White soft paraffin 50

액체 파라핀(중량) 20Liquid paraffin (weight) 20

함께 용융시키고 냉각될 때까지 교반한다. 일부의 기재에 적당한 농도로 펩티드를 가한 다음 나머지를 점차적으로 가하고, 완전하게 혼합한다.Melting together and stirring until cooled. The peptide is added to a portion of the substrate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then the rest is gradually added and mixed thoroughly.

(ⅱ)펩티드 연고- 네오마이신과 바시트라신 연고 BPC 73에서와 같이(Ii) Peptide Ointment - Neomycin and Bacitracin Ointment As in BPC 73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액체 파라핀 10Liquid paraffin 10

백색 연질 파라핀 100 까지Up to 100 white soft paraffin

백색 연질 파라핀을 용융시키고, 액체 파라핀을 혼합하고, 냉각될 때까지 교반한다. 약제를 일부의 기재로 적당하고 나머지 기재를 점차적으로 혼합한다.The white soft paraffin is melted, the liquid paraffin is mixed and stirred until cooled. The medicament is suitable for some substrates and the remaining substrates are gradually mixed.

3. 겔:3. Gel:

(ⅰ)펩티드 겔- 리그노카인과 클로르헥시딘 겔 APF에 사용된 바와 같이(I) Peptide gel -lignocaine and chlorhexidine gel As used in APF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트라가칸트 2.5Tragacanth 2.5

글리세롤 25Glycerol 25

증류수 100 까지Distilled water up to 100

트라가칸트를 글리세롤과 혼합하고, 많은 양의 증류수를 가한다. 비등할 때까지 가열하고, 냉각하고, 펩티드를 가하고, 중량을 조정하고 잘 혼합한다. 최종 생성물을 광으로부터 보호한다.Mix tragacanth with glycerol and add large amounts of distilled water. Heat to boiling, cool, add peptides, adjust weight and mix well. The final product is protected from light.

4. 스프레이:4. Spray:

(ⅰ)-아드레날린과 아트로핀 스프레이 BPC 73에 사용된 바와 같이 (I) -Adrenalin and Atropine Spray As used in BPC 73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메타중아황산 나트륨 1Sodium metabisulfite 1

클로로부톨 5Chlorobutol 5

프로필렌 글리콜 5Propylene glycol 5

증류수 100 까지Distilled water up to 100

(ⅱ)-인도스프레이에 사용된 바와 같이 (Ii) - As used in Indian spraying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알코올 95%Alcohol 95%

5. 로우션:5. Loans:

(ⅰ)-아미노벤조 로우션 BPC 73에 사용된 바와 같이 (I) - As used in aminobenzoylation BPC 73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글리세롤 20Glycerol 20

알코올 95% 60Alcohol 95% 60

증류수 100 까지Distilled water up to 100

(ⅱ)-세토머크로골 로우션 APF (Ⅱ) - Seto Merck Golation APF

펩티드 충분량Peptide sufficient

세토머크로골 유탁왁스 3Seto Merck Root Emulsion Wax 3

액체 파라핀 10Liquid paraffin 10

글리세롤 10Glycerol 10

클로르헥사딘 글루코네이트 용액 0.1Chlorhexadine gluconate solution 0.1

증류수 100 까지Distilled water up to 100

세토머크로골 유탁왁스를 약 60℃에서 액체 파라핀과 용융시키고, 빠르게 교반하면서 동일한 온도에서 증류수로 50부로 미리 희석시킨 클로르헥시딘 용액에 가한다. 혼합하고, 체적을 조정하고, 냉각될 때까지 교반한다.The Seto Merck ointment wax is melted with liquid paraffin at about 60 ° C and added to the chlorhexidine solution pre-diluted to 50 parts with distilled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with rapid stirring. Mix, adjust the volume, and stir until cooled.

본 명세서에서 문맥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어구 comprise, 또는 comprises 또는 comprising와 같은 변형은 서술된 정수 또는 정수군의 포함을 의미하지만, 어떠한 다른 정수 또는 정수군의 배제를 뜻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variations such as "comprise," "comprises," or "comprises"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of the stated integer or integer group, but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integer or integer group .

첨부 도면에서,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내지 제3도는 이미 서술된 기준(페이지 10, 페러그래프, ⅳ, ⅴ와 페이퍼9, 10참조)에 따라서 선택된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경우에 통증 열상 발의 국소적 인슐린 치료결과를 도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s 1 to 3 illustrate the results of local insulin treatment of painful lacerations in the case of diabetic neuropathy selected according to already described criteria (see page 10, paragraphs, iv, v and papers 9 and 10 )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 실시예들에서 더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설명을 한정시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Other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such detail is sole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broa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통증이 있는 말초신경장애의 국소적 인슐린 치료의 예비 개방시험을 행한다.A preliminary open test of local insulin treatment of painful peripheral neuropathy is performed.

모든 주체들은 페이퍼의 기준9, 10을 사용하여 선택하고, 이들의 당뇨병을 악화시키는 통증의 감각 다중신경장애를 갖는다. 이것은 활동 가상 잠재성과 진폭을 갖는 감각 및 모터 NCVs를 포함하는 일련의 신경생리학적 시험, 생체저장 측정기를 사용한 진동 지각역치, 메데레크 TTT 장치를 사용한 허리에서와 발등에서의 온기와 냉기 열 역치와 여러 환자에게서, 2000㎐, 250㎐, 5㎐에서 신경계기 CPT를 사용한 인지와 큰 발가락에서의 전류 지각역치에 의하여 확인되었다.All subjects are selected using criteria 9 and 10 of the paper , and have sensory neuropathy of pain that aggravates their diabetes. This includes a series of neurophysiological tests involving sensory and motor NCVs with virtual potentials and amplitudes of activity, vibrational perception thresholds using a bio-sensor, warmth and frost heat thresholds at the waist and feet with the Medereck TTT device, The patient was identified by using neural gauge CPT at 2000 Hz, 250 Hz, and 5 Hz and by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at the large toe.

상술한 조성물(최종 크리임의 그람당 1 IU 인슐린)의 국소적 인슐린 크리임을 지시에 따라 환자에게 매일 2회 또는 3회 약 0.5g을 각 발/다리에 사용한다.Patients are instructed to administer a local insulin dose of the above composition (1 IU insulin per gram of final creme) to the patient twice or three times daily on each foot / leg approximately 0.5 g.

그 결과는 도면에 표시했다. 도 1과 도 2는 전신 인슐린으로 치료되지 않는 최대수 30의 형 2 당뇨병 환자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전신 인슐린 치료를 받은 최대 16의 환자에서 나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he resul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igures 1 and 2 relate to a maximum of 30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are not treated with systemic insulin. Figure 3 shows the results from up to 16 patients who received systemic insulin therapy.

모든 그래프에서 수직축은 열 역치를 나타내고; 공백 직사각형은 온기 지각역치이고, 흑색 직사각형은 냉기 역치이다. 10 포인트 가시적 상사 척도에서 통증의 열상 징후의 심도는 흑색 원으로 수직축에 표시했다. 수평축은 시험과 재-시험을 행하는 치료기간을 나타낸다. 수평점선은 정상 95% 신뢰도 한계(평균 +2.2 표준편차)의 상한선을 나타낸다.In all graphs,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thermal threshold; The blank rectangle is the warm threshold value, and the black rectangle is the cold threshold value. The depth of the laceration signs of pain in the 10-point visible superior scale was marked on the vertical axis as a black circl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reatment period for performing the test and the re-test. The horizontal dashed line represents the upper limit of the normal 95% confidence limit (mean +2.2 standard deviation).

도 1은 12주 치료에서 나온 결과를 나타내고, 주체의 수는 0과 4주에 30이고, 12주에 16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국소적 인슐린 치료에 있어서, 델타 감각섬유의 징후 스케일 개량과 개량된 기능에 대한 통계적 취지는 4주로 성취되고 그 외는 점진적으로 개량된다. Figure 1 shows the results from 12 weeks of treatment, the number of subjects is 30 at 0 and 4 weeks, and gradually decreases to 16 at 12 weeks. In the case of local insulin therapy, the symptom scale enhancement of the delta sensory fiber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mproved function are achieved at 4 weeks and others are gradually improved.

도 2는 수개월의 시간 스케일에서 동일한 방향의 그래프를 나타내며, 이로서 온기 역치가 4개월의 치료로 현저하게 개량됨(즉 WPT 감소)을 알게된다. Figure 2 shows a graph in the same direction on a time scale of several months, which shows that the warmth threshold is significantly improved (i.e. WPT reduction) by a four month treatment.

따라서, 도 1과 도 2의 자료로부터 열상 통증 신경장애 징후를 갖는 이들 비-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 두 종류의 작은 감각 신경섬유에서 개량된 감각 신경기능의 열 예민성 확인과 징후경감이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가장 극적인 결과는 냉기 섬유에 있고, 이들의 발에서 개량된 일반 감각의 자각, 무감각의 저하와 이들이 걷고 있는 충격, 카페트와 기타표면을 느끼는 능력의 개량을 보고한 대부분의 환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은 거대한 감각 섬유기능의 개량정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아직 측정되지는 않았다.Thus, from the data of FIGS. 1 and 2, there is a thermosensitivity confirmation and symptom relief of the sensory nerve function improved in these two small sensory nerve fibers in these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 patients with signs of thermal pain neuropathy . ≪ / RTI > The most dramatic results are achieved by most patients who have reported improvements in generalized sensory awareness, decreased sensation in their feet, shocks they are walking on, and the ability to feel carpets and other surfaces on cold fibers. This may include a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great sensory fiber function, but it has not yet been measured.

도 3은 전신 인슐린 치료를 받은 더 작은 환자 그룹의 치료결과를 나타낸다. 이들은 저하가 결국 전신 인슐린 치료를 요하는 형 2 DM을 갖는 몇몇 환자를 포함하며; 나머지는 형 1 DM을 갖는 환자를 포함한다. 이 그룹에서 온기와 냉기에 대한 열 역치 결과의 개량부족은 앞 그룹에서 나온 것과 현저하게 차이가 있지만, 놀라운 것은 이들 환자에게 징후개량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Figure 3 shows the treatment results of a smaller group of patients receiving systemic insulin therapy. These include some patients with type 2 DM where the reduction eventually requires systemic insulin therapy; The remainder includes patients with type 1 DM. The lack of improvement in the results of heat thresholds for warmth and cold in this group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previous group, but the surprise is that the signs improve in these patients.

참고문헌:references:

1. 아메리칸 당뇨병 협회/신경학적 컨센서스 성명의 아메리칸 아카데미: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에 관한 산 안토니오 회의의 보고와 추천.Diabetes Care 11: 592-597, 1988.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 American Academy of Neurological Consensus Statement: Report and recommendation of the San Antonio Conference on Diabetic Neurological Disorders. Diabetes Care 11 : 592-597, 1988.

2. 그리니, 디.에이., 디마, 에이.에이.에프., 알버스, 제이.더블유., 페이퍼, 엠.에이.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In: Rifkin and Porte, D. Jnr. (Eds). Diabetes mellitus: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Elsevier, pp710-755, 1990.2. Greene, D. A., Dima, A. E, F., Albus, J. W. W., Paper, M. E. Diabetic neuropathy. In : Rifkin and Porte, D. Jnr. (Eds). Diabetes mellitus: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Elsevier, pp 710-755, 1990.

3. 윌리암선, 제이.알., 장, 케이., 알리선, 더블유., 킬로, 시. 당뇨병 쥐의 내신경 혈류 변화.Diabetic Medicine, 10(Suppl.2) : 49S-51S, 1993.3. William Sun, J. Al., Jean, K., Ali Sun, W., Kilo, Poetry. Changes in neuronal blood flow in diabetic rats. Diabetic Medicine, 10 (Suppl. 2): 49S-51S, 1993.

4. 로우, 피.에이., 카스키, 피.이., 터크, 알.알., 필리, 알.디., 디크, 피.제이. 정상 및 신경장애 한자의 양적 발한 자극성 축삭 반사시험.Ann. Neurol. 14: 573-580, 1983.4. Row, P. E., Karski, P. E., Turk, Al. Al., Philly, Al D., Dick, P. Jay. Quantitative sweating irritative axon reflex test of normal and nervous disorders. Ann. Neurol. 14 : 573-580, 1983.

5. 파크하우스, 엔., 르퀘스니, 피.엠. 말초 통증반응 C-섬유기능의 양적 객관적 평가.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1: 28-34, 1988.5. Park House, Yen., Lequeznie, P. Peripheral pain response C-Quantitative objective assessment of fiber funct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1 : 28-34, 1988.

6. 베나로치, 이.이., 로우, 피.에이. 소섬유 기능이상 평가에서 아세틸콜린-유도 플레어.Annals of Neurology, 29: 590-595, 1990.6. Benaroch, Lee, Lee, Rowe, and Av. Acetylcholine - Induced Flare in Fibrillation Dysfunction Assessment. Annals of Neurology, 29 : 590-595, 1990.

7. 웨스터맨, 알.에이., 위도프, 알.이., 호간, 시., 짐멘트, 피. 신경관 기능의 비-침입 시험: 당뇨병 멜리투스의 감소반응.Neurosci. Lett. 81: 177-192, 1987.7. Westerman, Al. A., Wiedorf, Al. Lee, Hogan, Si., Zimement, Blood. Noninvasive test of neural tube function: Decreased response of diabetes mellitus. Neurosci. Lett. 81 : 177-192, 1987.

8. 델라니, 시.에이., 무저, 제이.브이., 웨스터맨, 알.에이. 인슐린 민감성과 감각성 신경기능.Clin. Exper. Neurol. 31: In press, 1994.8. Delaney, City, A., Absence, Jay V., Westerman, Al. Insulin sensitivity and sensory nerve function. Clin. Exper. Neurol. 31 : In press, 1994.

9. 페이퍼, 엠.에이, 슈머, 엠.피., 로스, 디.알., 크레인, 지.엠., 슈라지, 제이.피., 마크웰, 에스.제이., 겔버, 디.에이., 정, 에스. 만성 통증 당뇨병 환자 말초 신경장애의 치료를 위한 성공율이 높고 새로운 모델.Diabetes Care, 16(8) : 1103-1115, 1993.9. Paper, M. A, Schumer, M. P., Ross, D. Al., Crane, G. M., Shraji, J. P., Markwell, S. Jay, ., Jung, and S. A new and successful model for the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in chronic pain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16 (8): 1103-1115,1993.

10. 페이퍼, 엠.에이., 비치, 디.이., 슈라지, 제이., 겔버, 디., 밀러-크레인, 지., 차센, 제이.케이., 슈머, 엠.피. 당뇨병 환자의 신체 신경장애의 치료와 실제관리: 당뇨병의 망각 합병증에 대한 작업 철학.International Diabetes Monitor, 5(1) : 1-7, 1993.10. Paper, M.E., Beach, D.I., Shraji, J., Gelber, D., Miller-Crane, G., Chassen, J.K., Schumer, M.P. Treatment and Practical Manage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 Diabetic Patients: The Working Philosophy of Obesity Complications of Diabetes. International Diabetes Monitor, 5 (1): 1-7, 1993.

11. 에드몬드스, 엠.이., 포스터, 에이., 맥콘빌리, 디.오., 오'케인, 비.에이., 이톤, 시. 대면 드레싱: 당뇨병 환자의 통증 신경장애의 새롭고 효과적인 치료(요약서), 고급 상처치료에 관한 심포지움에 존재하는 포스터, 샌프란시스코 1991. 4월 7∼9일.11. Edmonds, M. Lee, Poster, A., McConnell Billy, D. Oh, Oh, Cain, B. Ei, Eaton, Po. Face-to-face dressings: new and effective treatments for painful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s (Abstract), posters present in the Symposium on Advanced Wound Treatments, San Francisco, Apr. 7-9,

12. 포스터, 에이.브이.엠., 맥콘일리, 디.오., 오'케인, 비.에이., 이톤, 시., 브라운, 에이.에스., 에드몬드스, 엠.이. 대면필름의 사용: 통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새롭고 효과적인 치료(요약서). 1차 유럽 조직 치료 협회 모임에 있는 포스터, 옥스포드, 1991. 8월 27∼29일.12. Foster, A. V. M., McConnell I, D. Oh., O. Kane, B. Ei., Eton, C. I., Brown, A. S., Edmonds, M. Lee. Use of face-to-face film: new and effective treatment of painful diabetic neuropathy (Abstract). Foster, 1st Oxford European Society of Tissue Therapy, Oxford, Aug. 27-29, 1991.

13. 자말, 지.에이., 카미첼, 에이치.에이., 웨이어, 에이.아이.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감마-리놀렌산.Lancet i페이지 1098, 1986.13. Jamal, G.A., Camicell, H.A.A., Wei, A.I. Gamma-linolenic acid in diabetic neurological disorders. Lancet i Page 1098, 1986.

14. 홀로빈, 디.에프. 감마-리놀렌산: 처방 의약품으로서와 식품으로서 우수성을 갖는 필수 지방산 물질대사의 중간체.Rev. Contemp. Pharmacother. 1: 1-45, 1990.14. Holbyne, D. F. Gamma-linolenic acid: an intermediate of essential fatty acid metabolism that is superior as a prescription drug and as a food. Rev. Contemp. Pharmacother. 1 : 1-45, 1990.

15. 번스테인, 에이.이., 코르만, 제이.제이., 비커스, 디.알. 만성 치료후 신경염의 국소적 캅사이신 치료.J. Am. Acad. Dermatol. 21: 265-269, 1989.15. Steinstein, E. Lee, Corman, JJ, Vickers, D. Al. Local capsaicin treatment of post-chronic treatment of neuritis. J. Am. Acad. Dermatol. 21 : 265-269, 1989.

16. 웨스터맨, 알.에이., 로버트스, 알.지.디., 코츠만, 알.알., 웨스터맨, 디.에이., 델라니, 시.에이., 위도프, 알.이., 카아터, 비. 정상피부와 대상포진의 통증 더마톰에 관한 국소적 캅사이신의 효과.Clin. Exper. Neurol. 25: 71-84, 1989.16. Westerman, Al., Roberts, Al G.D., Cottsman, Al.A., Westerman, D.A., Delaney, Si.E., Wiedorf, ., Carter, Rain. The effects of topical capsaicin on pain and dermatomy in normal skin and shingles. Clin. Exper. Neurol. 25 : 71-84, 1989.

17. 로버트스, 알.지.디., 웨스터맨, 알.에이. 캅사이신: 통증 경감용 열 소재.Carrent Therapeutics, 32: 43-49, 1991.17. Roberts, Al., D., Westerman, and Al. Capsaicin: Thermal material for pain relief. Carrent Therapeutics, 32 : 43-49, 1991.

18. 쉐플러, 엔.엠., 쉐이텔, 피.엘., 리프톤, 엠.엔. 캅사이신 0.075%로 통증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치료.J. Am. Podiat. Med. Assoc. 81(6) : 288-293, 1991.18. Schepler, Yen, M., Shaytel, P. Elle, Rifton, M. Yen. Capsaicin 0.075% pain treatment for diabetic neuropathy patients. J. Am. Podiat. Med. Assoc. 81 (6): 288-293,1991.

19. 카시러, 엠. 치료후 신경염 치료에서 투피 아스피린.Geriatrics 45(5) : 16, 1990.19. Cassirer, M. Tufi aspirin in the treatment of post-treatment neuritis. Geriatrics 45 (5): 16, 1990.

20. 신더, 이.와이., 킴, 에스.유., 인슐린: 신경 생존인자 인가?Brain Research, 196: 565-571, 1980.20. Cynthia, Lee, Wy, Kim, S. Yu, Insulin: Neuronal survival factor? Brain Research, 196 : 565-571, 1980.

21. 로우, 에이., 웨스터맨, 알.에이., 코자크, 더블유.엠., 짐메트, 피. 스트렘토조토신 당뇨병 쥐의 감소된 축삭 반사 혈관확장에 관한 인슐린의 효과.Physiol. Pharmacol. Soc. 18(1) : 97P, 1987.21. Rowe, A., Westerman, Al. A., Kozak, W. M., Jim Matt, and P. Effects of Insulin on Reduced Axon Reflex Vasodilation in Streptozotocin - induced Diabetic Rats. Physiol. Pharmacol. Soc. 18 (1): 97P, 1987.

22. 월드빌링, 알.제이., 르로이드, 디. 말초신경 계통의 인슐린 수용체: 구조적 및 기능적 분석.Brain Research, 409: 215-220, 1987.22. Worldbilling, al. J., Le Lloyd, D. Insulin Receptors i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Brain Research, 409 : 215-220, 1987.

23. 리웰린, 제이.지., 파텔, 엔.제이., 토마스, 피.케이., 톰프선, 시.에스., 워크맨, 제이.엠. 말초신경조직에서 [125I]인슐린 결합의 방사선 사진 국부화.In: 스카르피니, 이., 피오리, 엠.지., 플리셔, 디., 스칼라토, 지.(eds), 말초신경발육과 재생 최근 협의와 임상적 사용. Padova, Livinia Press, 페이지149-152, 1989.23. Lelylin, JJ, Patel, Yen, J., Thomas, P., K., Toms, S., Walkman, Radiographic Localization of [ 125 I] Insulin Binding in Peripheral Nerve Tissue. In:..... Feeney's acid, is, Fiori, M. paper, Plymouth Yorkshire, Di Scala Saturday, if (eds), peripheral nerve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recent consultations and clinical use. Padova, Livinia Press, pp. 149-152, 1989.

24. 델라니, 시.에이., 무서, 제이.브이., 웨스터맨, 알.에이. 비-당뇨병 사람 환자의 인슐린 민감성과 감각성 신경기능.Neurosci. Lett. 180: 277-280, 1994.24. Delaney, City, A., Scarecrow, Jay V., Westerman, Al. Insulin sensitivity and sensory nerve function in non-diabetic patients. Neurosci. Lett. 180 : 277-280,1994.

25. 슬로안, 제이.비., 솔타니, 케이. 피부학의 이온 침투요법. A review.J. Am. Acad. Dermatol. 15: 671-684, 1986.25. Sloan, J. Rain, Soltani, Kay. Ion Penetration Therapy of Dermatology. A review. J. Am. Acad. Dermatol. 15 : 671-684, 1986.

26. 키엔, 와이.더블유., 시디퀴, 오., 쉬, 더블유.엠., 리라웡스, 피., 리우, 제이.시. 펩티드와 단백질 약제의 직류 이온침투성 투피 전달.J. Pharm. Sci. 78(5) : 376-383, 1989.26. Kean, W. W., Siddiqui, O., Shu, W. M., Liragwons, P., Liu, J. Direct ion-permeable penetration of peptides and protein drugs. J. Pharm. Sci. 78 (5): 376-383, 1989.

27. 시디퀴, 오., 선, 와이., 리우, 제이.시., 키엔, 와이.더블유. 인슐린의 투피운반촉진.J. Pharm. Sci. 76(4) : 341-345, 1987.27. Siddiqui, Oh., Sun, Wai, Liu, Ji Shi, Kien, Wai W. Promoting transplantation of insulin. J. Pharm. Sci. 76 (4): 341-345, 1987.

28. 카리, 비. 인슐린의 이온침투에 의한 알록산-당뇨병 토끼의 혈액 글루코오스 수준 제어.Diabetes 35: 217-221, 1986.28. Carrie, Rain.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s in Alloxan - Diabetic Rabbits by Ion Penetration of Insulin. Diabetes 35 : 217-221, 1986.

29. 머치에, 케이.제이.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멜리투스에서 감각신경기능에 관한 인슐린의 단기간 효과. Unpublished B. Sc. Hons. 논제, 모나쉬 대학, 생리학과, 1994. (알.에이.웨스터맨이 지도).29. To Murthy, K. Jay. Short - term effects of insulin on sensory nerve function in insulin - dependent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B. Sc. Hons. Thesis, Monash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ology, 1994. (Al., Westerman Map).

30. 페터선, 엘., 프리드즈, 지., 론퀴스트, 지. 인체 적혈구의45칼슘 흡수에 관한 인슐린의 직접효과.J. Int. Med. 236: 197-201, 1994.30. Peter L., El., Frieds, J .; Runquist, J. Direct effects of insulin on calcium absorption in human red blood cells 45 . J. Int. Med. 236 : 197-201, 1994.

31. 레비, 제이., 가빈, 제이.알. 당뇨병 멜리투스: 칼슘 물질대사의 질병?Am. J. Med. 96(3) : 260-273, 1994.31. Levy, J., Gavin, J. Al. Diabetes Mellitus: Diseases of Calcium Metabolism? Am. J. Med. 96 (3): 260-273,1994.

32. 자말, 지.에이., 한센, 에스., 웨이어, 에이.아이., 볼란틴, 제이.피. 열 역치 측정을 위한 개량된 자동방법. 1. 정상무체.J. Neurol. Neurosurg. Psychiat., 48: 354-360, 1985.32. Jamal, G.A., Hansen, S., Wei, A.I., Volantyn, J.P. Improved automatic method for thermal threshold measurement. 1. normal body. J. Neurol. Neurosurg. Psychiat., 48 : 354-360, 1985.

33. 자말, 지.에이., 한센, 에스., 웨이어, 에이.아이., 볼란틴, 제이.피. 열 역치 측정을 위한 개량된 자동방법. 2. 말초신경장애를 갖는 환자.J. Neurol. Neurosurg. Psychiat., 48: 361-366, 1985.33. Jamal, G.A., Hansen, S., Wei, A.I., Volantyn, J.P. Improved automatic method for thermal threshold measurement. 2. Patients with peripheral nerve disorders. J. Neurol. Neurosurg. Psychiat., 48 : 361-366, 1985.

34. 자말, 지.에이., 한센, 에스., 웨이어, 에이.아이., 볼란틴, 제이.피. 소섬유 신경장애의 신경생리학적 연구.Muscle Nerve, 10: 537-545, 1987.34. Jamal, E. A., Hansen, S., Wei, A. Ai, Volantyn, J. P. Neurophysiological Study of Fibrous Nerve Disorders. Muscle Nerve, 10 : 537-545, 1987.

35. 렌델, 엠.에스., 카팀스, 제이.제이., 리처, 알., 로우랜드, 에프. (1989). 당뇨병 감각신경장애의 병상심도의 상호관계로서 신경전도속도와 전류 지각역치의 비교.J. Neurol., Neurosurg. Psychiat., 52: 502-511.35. Rendell, M. S., Kattimes, JJ, Ritcher, R., Rowland, F. (1989). Comparison of nerve conduction velocities an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s as a correlation of pathological depth of diabetic sensory neuropathy. J. Neurol., Neurosurg. Psychiat., 52 : 502-511.

36. 렌델, 엠.에스., 도브간, 디.제이., 버그맨, 티.에프., 오'돈넬, 지.피., 드럽니, 이.피., 카팀스, 제이.제이. 전류 지각역치 시험에 의한 당뇨병 환자 감각신경장애 도해.Diabetes Care, 12: 636-640.36. Rendell, M.S., Dobgan, D.J., Bugman, T.F.O., Donnell, D.P.D., D.D.U., D.P.C., Timothy, J.J. Diagram of sensory neuropathy in diabetic patients by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test. Diabetes Care, 12 : 636-640.

37. 매썬, 이.에이., 보울톤, 에이.제이. 신경 측정기: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의 통상 시험에 따른 확인과 비교.Diabetic medicine 8 Symposium: S63-66, (1991).37. Mathon, E. A., Bowlton, AJ. Neurometer: Ide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diabetic neuropathy according to the normal test. Diabetic medicine 8 Symposium : S63-66, (1991).

38. 카푸토, 지.엠., 카바나그, 피.알., 울브레취, 제이.에스., 기본스, 지.더블유., 카르취머, 에이.더블유. 당뇨병 환자의 발질병의 평가와 관리.N. Engl. J. Med. 331(13) : 854-860, 1994.38. Caputo, G. M., Cabanogue, P. Al., Wolbrecht, JS, Basis, W. W., Carrick, A. W.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foot disease in diabetic patients. N. Engl. J. Med. 331 (13): 854-860,1994.

Claims (15)

치료적 유효량의 인슐린을 환자의 고통받는 피부부위에 국소 투여하여서 하는 당뇨병 환자의 신경장애 치료방법.A method of treating a neurological disorder in a diabetic patient by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insulin topically to the affected skin area of the patient. 제 1 항에 있어서, 인슐린이 사람 인슐린인 치료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in is human insulin. 제 1 항에 있어서, 인슐린이 돼지 인슐린, 소 인슐린 또는 기타 비-인간 동물 종류에서 나온 인슐린인 치료방법.3.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ulin is insulin from pig insulin, bovine insulin or other non-human animal species.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슐린이 α- 와/또는 β- 서브체인을 함유하는 치료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sulin contains an alpha - and / or beta-subchain.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크리임, 연고, 겔, 스프레이 또는 로우션으로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방법.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insulin is used topically with creams, ointments, gels, sprays or lo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바니싱 크리임 기재에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방법.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sulin is used topically in vanishing creams.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그람당 0.01∼20 IU, 바람직하기로는 그람당 0.1∼10 IU,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그람당 1∼3 IU를 함유하는 크리임으로 사용하는 치료방법.7. The u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insulin is used as a cream containing from 0.01 to 20 IU per gram, preferably from 0.1 to 10 IU per gram, most preferably from 1 to 3 IU per gram Way. 제 7 항에 있어서, 크리임을 매일 2∼3 회수로 약 0.5 그람의 양으로 사용하는 치료방법.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ream is used in an amount of about 0.5 grams every 2-3 times a day. 당료병 환자 신경장애 치료에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의약의 제조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인슐린의 용도.Use 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insuli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opical use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국소에 치료적 유효량의 인슐린, 약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희석제 또는 담체로 이루어지는 당뇨병 환자 신경장애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diabetic patients comprising a locally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insul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diluent or carrier. 제 10 항에 있어서, 인슐린이 사람 인슐린인 조성물.11. The composition of claim 10 wherein the insulin is human insulin. 제 10 항에 있어서, 인슐린이 돼지 인슐린, 소 인슐린 또는 기타 비-인간 동물 종류에서 나온 인슐린인 조성물.11. The composition of claim 10, wherein the insulin is insulin from pig insulin, bovine insulin or other non-human animal species.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슐린이 α- 와/또는 β- 서브체인을 함유하는 조성물.13.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insulin contains an alpha - and / or beta-subchain.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크리임, 연고, 겔, 스프레이 또는 로우션으로 제조하는 주성물.14. A produc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wherein the insulin is made into creams, ointments, gels, sprays or lotions. 제 14 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그람당 0.01∼20 IU, 바람직하기로는 그람당 0.1∼10 IU,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그람당 1∼3 IU를 함유하는 조성물.15. The composition of claim 14 comprising 0.01 to 20 IU of insulin per gram, preferably 0.1 to 10 IU per gram, most preferably 1 to 3 IU per gram.
KR1019970705293A 1995-02-02 1996-02-01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Withdrawn KR1998070189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N0892A AUPN089295A0 (en) 1995-02-02 1995-02-02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AUPN0892 1995-02-02
PCT/AU1996/000046 WO1996023522A1 (en) 1995-02-02 1996-02-01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896A true KR19980701896A (en) 1998-06-25

Family

ID=37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293A Withdrawn KR19980701896A (en) 1995-02-02 1996-02-01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08170A1 (en)
JP (1) JPH11502513A (en)
KR (1) KR19980701896A (en)
AU (1) AUPN089295A0 (en)
CA (1) CA2211450A1 (en)
FI (1) FI973216L (en)
NO (1) NO973548L (en)
WO (1) WO199602352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23205B1 (en) * 1996-12-03 2004-03-29 Zoltán Dárdai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pplicating peptidelike compounds into the living organismus
US20040037828A1 (en) 2002-07-09 2004-02-26 Bar-Ilan University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aling wounds
AU2001284364B2 (en) * 2000-07-31 2006-09-28 Bar Ilan University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aling wounds
CN102120031B (en) 2003-08-07 2012-12-05 希尔洛有限公司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ccelerating wound healing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EP2662472B1 (en) 2009-03-31 2019-02-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of a component
EP2432531B1 (en) 2009-05-18 2019-03-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dapter, inhalation device and nebulizer
KR101782306B1 (en) 2009-11-25 2017-09-27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Nebulizer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1064163A1 (en)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1160932A1 (en) 2010-06-24 2011-12-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20140194353A1 (en) * 2010-11-30 2014-07-10 Joslin Diabetes Center,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rvous disorders associated with diabetes
EP2694220B1 (en) 2011-04-01 2020-05-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cal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3152894A1 (en)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tomiser with coding means
PL2835146T3 (en) 2013-08-09 2021-04-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5018904A1 (en) 2013-08-09 2015-02-1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MX380824B (en) 2014-05-07 2025-03-12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ER AND CONTAINER.
HUE055604T2 (en) 2014-05-07 2021-12-28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er
DK3139979T3 (en) 2014-05-07 2023-10-09 Boehringer Ingelheim Int DEVICE, ATOMIZER AND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136685A (en) * 1984-04-18 1985-10-24 Geriaco A.G.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acne vulgaris
EP0178321A1 (en) * 1984-04-30 1986-04-2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Topical treatment of diabetes with insulin and penetrant enhancer applied to the skin and covered by a patch
DD254881A1 (en) * 1986-10-29 1988-03-16 Univ Dresden Tech NON-PARENTERAL APPLICABLE INSULIN PREPARATION WITH DELAYED EFFECT
US5145679A (en) * 1989-10-05 1992-09-08 Hinson Joan B Topical emoll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irculatory induced lesions
JPH04149126A (en) * 1990-10-09 1992-05-22 Mitsubishi Kasei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ansmucosal administration
DE4208552A1 (en) * 1992-03-17 1993-09-23 Liedtke Pharmed Gmbh TOPICAL MEDICINE FORMS WITH INSULIN
FR2710530B1 (en) * 1993-09-29 1995-12-22 Phedon Zirinis Aqueous gel for nasal use, pellets,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
FR2710529A1 (en) * 1993-09-29 1995-04-07 Zirinis Phedon Aqueous gel for nasal use, pellet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73548D0 (en) 1997-08-01
AUPN089295A0 (en) 1995-03-02
MX9705920A (en) 1998-06-28
EP0808170A1 (en) 1997-11-26
NO973548L (en) 1997-10-02
WO1996023522A1 (en) 1996-08-08
FI973216A7 (en) 1997-10-01
CA2211450A1 (en) 1996-08-08
FI973216L (en) 1997-10-01
JPH11502513A (en) 1999-03-02
FI973216A0 (en) 199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896A (en)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Hashish et al. Reduction of postoperative pain and swelling by ultrasound treatment: a placebo effect
JP3211027B2 (en) Topical containing capsaicin
Miller et al. The release of PGE2-like activity into aqueous humor after paracentesis and its prevention by aspirin
US7033998B2 (en) Alcohol-free transdermal insulin composition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2002515401A5 (en)
AU231020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997373B (en) Phycotoxins and uses thereof
JP2000512996A (en) Preventive and therapeutic measures for skin sensitization and irritation
CN109125107B (en) Polypeptide composition for effectively improving and repairing facial hormone-dependent dermatitis
JP2008195734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signs of skin aging
US7291591B2 (en) Alcohol-free transdermal insulin composition
Stolman Hyperhidrosis: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Strauss et al.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antibacterial agents on titratable acidity of human sebum
US20030181515A1 (en) Methods of using kavalactone compositions
Goodhart et al. Effects of vitamin B (B1) therapy on the polyneuritis of alcohol addicts
KR19990067052A (en) Uses of TNP alpha antagonist for the treatment of nervous skin erythema
US20220265687A1 (en) Di-Isopropyl-Phosphinoyl -Alkanes as topic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sensory discomfort
Catona et al. Monobenzone, Superfade, vitiligo and confetti‐like depigmentation
US11576801B2 (en) Topical treatment for anorectal disorders with and without seat cushion
KR20050067837A (en) Composition for slimming
US20200360317A1 (en) Carboxylic acids for treating/preventing a skin disease
MXPA97005920A (en) Treatment of neuropathy diabet
IL10144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r disorders in the eye
Broadstone et a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rt I: Sensorimotor neuropat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