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1726A -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726A
KR19980701726A KR1019970705122A KR19970705122A KR19980701726A KR 19980701726 A KR19980701726 A KR 19980701726A KR 1019970705122 A KR1019970705122 A KR 1019970705122A KR 19970705122 A KR19970705122 A KR 19970705122A KR 19980701726 A KR19980701726 A KR 19980701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knock
knock button
button
barr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482B1 (ko
Inventor
시게키 마루야마
쇼지 오누키
Original Assignee
아사베 히로시
펜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721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7017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사베 히로시, 펜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8070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4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관한 것으로, 이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이송 장치가 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의 측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은 눌러져서 상기 심 이송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을 이송시키고, 상기 노크 버튼이 압력을 가한 방향으로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배 이상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는 상기 심 삽입부의 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55-171577/1980 호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의 한 예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는 헤드 및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샤프 펜슬에 있어서, 외부 통보다 짧으면서 펜슬 하부 말단에 장착 링으로 제공되는 내부 튜브는 움질일 수 있게 외부 통에 설치된다; 내부 기계 장치 복원 스프링 및 적절한 맞물림 수단들은 외부 통의 하부 말단으로부터 장착 링을 돌출시키고 장착 링을 외부 통 안으로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며 외부 통에 구비된다; 외부 구는 외부 통의 손잡이부에 근접하게 제공한다; 내부 구는 외부 구에 대응하는 내부 튜브부에 구비된다; 심 케이스, 연결 파이프 및 3-슬리트 척은 일체로 내부 튜브 안에 설치된다; 패스너는 내부 장착 링과 내부 튜브로부터 돌출한 외부 3-슬리트 척에 구비된다; 3-슬리트 척은 심 선단부를 향해 내부 튜브에서 움직이 고,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는 슬라이더는 내부 튜브에 구비된다; 슬라이더 상부 말단의 경사 표면을 아래로 누를 수 있는 측면-노크 버튼은 외부 통에 구비된다; 심 선단부를 향해 3-슬리트 척을 누를 수 있는 노크 커버는 심 케이스의 상부 말단에 구비된다.
작동시, 심 케이스에 저장된 심들로부터 1 개의 심은 연결 파이프의 상부 말단에 의해서 분리되고, 이어서 연결 파이프를 통해 3-슬리트 척 내로 도입된다. 슬라이더와 3-슬리트 척은, 3-슬리트 척에 의해 물린 심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측면-노크 버튼을 반지름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은 심 이송 동작을 실행하면, 즉 측면-노크 버튼을 누르면, 힘은 전방 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노크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더에 작용한다. 후자의 전방으로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힘은 슬라이더를 경사지게 하는 힘이 되고, 이 힘은 측면-노크 버튼을 누를수록 증가한다. 슬라이더의 경사는 연결 파이프와 3-슬리트 척 사이의 연결부를 휘어지게 한다. 이 때, 고장이 심 이송에서 일어나는데, 즉 심은 전방 방향으로 또는 충분한 양으로 이송될 수 없도록 휘어져서 걸리게 된다.
최근에, 소비자들은 값싼 제품을 더욱더 선호하게 되었다. 보다 높은 고 노동 비용 때문에 제품 단가를 감소시키는 것이 더욱더 절실하게 되었다. 볼펜과 샤프 펜슬과 같은 필기구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기술한 샤프 펜슬은 값싸게 제조되어 오고 있다.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을 값싸게 제조하기 위해서, 2개의 부재를 한 개의 통합 부재로서 형성시키는 방식, 단순한 조립체 방식의 채택, 또는 다수의 부재를 감소시키는 방식과 같은 다수의 사용 가능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2 개 부재를 1 개 통합 부재로 형성시키는 방식은 부재 자체를 값싸게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특정 형태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복잡하고 값비싼 제조 주형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수의 부재를 감소시키는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다수의 부재를 감소시킨다면, 조립체는 단순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부품의 수를 단순히 감소시키기만 한다면, 필수 기능들이 없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술된 예의 경우에 있어서, 심 케이스와 연결 파이프가 생략된다면, 심은 3-슬리트 척에 의해 물려질 수 없고 전방 방향으로 이송될 수 없게 되어 슬라이드를 넘어 스프링부에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측면-노크식 버튼을 누르면, 심이 부러져 버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심 이송 기계 장치를 통 내부에 배치하고, 노크 버튼이 통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노크 버튼을 통 측면부에 배치하며, 이 노크 버튼을 눌러서 심 이송 기계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통에서 심을 이송시키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개략적 1/2-종단면도.
도 2는 노크버튼과 맞물림부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통 부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1/2-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노크 버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통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을 도시한 1/2-종단면도.
도 11은 노크버튼과 맞물림부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12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1/2-종단면도.
도 13은 노크 버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이용의 다른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태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 16과 유사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태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 18과 유사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태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노크버튼과 맞물림부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2는 슬라이드 부재를 도시한 1/2-종단면도.
도 23은 도 20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는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 23과 유사한 단면도.
도 25는 슬라이드 부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6은 슬라이드 부재의 다른 변경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태양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제 6 실시태양의 한 변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도 27의 제 6 실시태양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도 27의 제 6 실시태양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32는 슬라이드 부재의 다른 변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화살 표시 F의 방향에서 취한 도.
도 34는 슬라이드 부재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5는 도 33의 화살 표시 G의 방향에서 취한 도.
도 36은 슬라이드 부재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7은 도 34의 화살표 H의 방향에서 취한 도.
도 38은 통의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39는 통의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0은 노크 버튼의 한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1은 도 27에 도시한 제 6 실시태양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2는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3은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4는 통의 또 다른 변경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5는 슬라이드 부재와 통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6은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7은 노크 버튼의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 46과 유사한 단면도.
도 48은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49는 도 48의 선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0은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도 49와 유사한 단면도.
도 51은 슬라이드 부재와 통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는 도 51의 선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3은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노크 버튼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5는 노크 버튼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이송 기계 장치가 통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이 통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통 측면부에 배치되며, 이 노크 버튼은 눌러져서 심 이송 기계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통에서 심을 이송시키고, 노크 버튼이 압력을 가한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심의 심 삽입부를 구비하며, 그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 배 이상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는 심 삽입부의 전방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이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이송 기계 장치가 통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이 통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통 측면부에 배치되며, 이 노크 버튼은 눌러져 심 이송 기계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통에서 심을 이송시키고,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는 노크 버튼에 가깝게 제공되며, 심이 통과할 수 있는 심 삽입구는 심 수납부에 구비되며, 심 삽입부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각각의 간극이 심 수납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은 제 1 실시 태양을 도시한 설명도들이다. 관통구(2)은 통(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3)는 관통구(2)에 형성된다. U-형상의 단면을 갖는 노크 버튼(4)은 통(1)에 수직인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관통구(4)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활강할 수 있게 각각의 가이드 돌출부(3)와 맞물려 있는 가이드 홈(5)은 노크 버튼(4)의 마주보는 외부 측면에 형성된다. 노크 버튼(4)은 나중에 기술되는 심 이송 기계 장치를 전방으로 움직이게하는 경사 표면(6)을 갖는다. 각각의 경사 표면(6)과 평형한 경사 표면(7)은 경사 표면(6)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노크 버튼(4)이 통(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맞물림 클러치(9)는 노크 버튼(4)의 누름 표면(8) 말단에 형성된다.
심을 저장하고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0)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심 탱크(11)는 통(1)의 정면부에 배치된다. 이 심탱크(11)는 2 개 이상의 심을 저장할 수 있고, 노크 버튼(4)은 심 탱크(11)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척 링(12)이 고정되어 있는 척(13)은 심 탱크(11)의 정면부에 고정된다. 척(13)은 심을 풀어주고 붙잡는 역할을 하며, 척 링(12)은 척(13)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치물은 심 이송 기계 장치를 구성한다.
맞물림 부재(14)는 심 탱크(11)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경사 홈(15)은 맞물림부재(14)에 사선으로 형성된다. 노크 버튼(4)은 활강할 수 있게 경사 홈(15)과 맞물려 있다. 구체적으로, 노크 버튼(4)의 경사 표면(6 및 7)은 노크 버튼(4)의 맞물림부를 형성하고, 맞물림 부재(14)의 경사 홈(15)은 노크 버튼(4) 각각의 맞물림부에 대해 맞물림 수납부로서 작용한다.
가이드 홈은 통(1)의 관통구(2)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 가이드 홈과 맞물릴 수 있는 가이드 돌출부는 노크 버튼(4)의 마주보는 외측면에 형성된다. 각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출부는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아치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과 아치형 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환언하면, 맞물림 관계를 충족시키고 통(1)의 길이 방향으로 노크 버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번호(18)는 통(1)의 정면 말단에 나사로 조인 선단 부재를 표시한 것이고, 선단 부재(18)는 통(1)과 일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심이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심 보유 부재(19)는 선단 부재(18)에 끼워 마추어지고, 심을 보호하기 위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심 보호 파이프(20)는 선단 부재(18)의 팁에 끼워 마추어진다. 심 보유 부재(19)와 심 보호 파이프(20)는 선단 부재(1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시, 노크 버튼(4)이 반지름 방향으로 똑바로 눌러진다면, 노크 버튼(4)의 경사 표면(6)은 경사 홈(15)상에 활강하면서 전방 방향으로 맞물림 부재(14)를 누른다. 이러한 누름 동작에 의하여, 심 탱크(11)와 척(13)은 전방으로 움직이고(도 6 과 도 7을 참조), 심은 심 보호 파이프(20)로부터 돌출된다.
이하, 노크 버튼(4)의 한 변경예를 도 7에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맞물림 부재(14)의 각각의 경사 홈(15)과 맞물리는 맞물림부(21)는 한 노크 버튼(22)의 마주보는 내부 표면상의 돌출선으로서 형성된다. 물론, 맞물림부(21)는 경사 상태로 형성된다. 노크 버튼(22)의 마주보는 내부 표면에 맞물림부(21)를 형성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에 의해, 노크 버튼(22)의 긴 가이드 돌출부(23)를 형성시켜 통(1)[관통구(2)]의 가이드 홈(5)과 맞물리게 할 수 있으므로, 노크 버튼(22)의 진동은 상기 기술한 실시태양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실시태양의 배치에 추가하여, 축소된 직경부(24)는 관통구(2)의 후방의 통(1)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노크 버튼(21)은, 후면 말단 표면(26)이 축소된 직경부(24)에 의해 형성된 표면부(25)와 접촉하면서 활강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노크 버튼(22)의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는 더욱더 크게 향상될 수 있다(도 8을 참조).
가이드 홈 또는 돌출부가 통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가이드 홈과 돌출부를 갖는 가이드 부재(27)는 분리 부재로서 통(1)에 고정될 수 있다. 노크 버튼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식으로서, 상기 기술한 배치에 추가하여,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필름은 노크 버튼의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 또는 상호 반발하는 자석과 같은 복원 부재는 노크 버튼과 통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2는 제 2 실시 태양을 도시한 설명도들이다. 관통구(2)은 통(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U-형상의 단면을 갖는 노크 버튼(28)은 통(1)에 수직인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관통구(2)에 형성된다. 절단부(30)는 각각 노크 버튼(28)의 측면부(29)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정면 경사 표면(31)은 노크 버튼(29)의 각 측면부(29)의 정면 말단에 형성된다. 절단부(30)의 측면과 정면 경사 표면(31)에 대응하는 측면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 버튼(28) 각각의 측면부들은 제 1 맞물림부(32)를 구성한다. 후면 경사 표면(33)은 각각 절단부(30)의 후면 측면에 형성된다. 후면 경사 표면(33)의 측면과 노크 버튼(28)의 후면 말단 표면(34)의 측면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 버튼(28)의 측면부는, 각각 제 2의 맞물림부(35)를 구성한다. 도면 번호(36)는 노크 버튼(28)의 마주보는 외부 측면들의 바닥 말단에 각각 형성된 맞물림 클러치를 나타내며, 노크 버튼(28)이 통(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심을 저장하고 코일 스프링과 같은 복원 부재(10)에 의해 후반응으로 추진되는 심 탱크(37)는 통(1)의 정면부에 배치된다. 척 링(12)이 고정되어 있는 척(13)은 심 탱크(37)의 정면에 고정된다.
맞물림 부재(38)는 심 탱크(37)의 중간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맞물림 부재(38)는 분리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38)가 분리 부재로서 형성된다면, 맞물림 부재(38)와 심 탱크(11)는, 예를 들면 끼워마춤, 돌출부와 오목부 사이의 맞물림, 또는 결합에 의해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절단부(39)는 맞물림 부재(38)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절단부(39)의 전방 부들은 노크 버튼(28)의 제 1 맞물림부(32)와 각각 맞물리는 제 1 맞물림 수납부(40)를 구성한다. 중간 경사 표면(41)은 제 1 맞물림 수납부(40)의 후면 말단에서 형성되고, 제 1 맞물림부(32)에 대응하는 정면 경사 표면(31)과 맞물림 한다. 각각의 절단부(39)의 후방 부들은 노크 버튼(28)의 제 2 맞물림부(35)와 각각 맞물리는 제 2 맞물림 수납부(42)를 구성한다. 후면 경사 표면(43)은 제 2 맞물림 수납부(42)의 후면 말단에 형성되고, 노크 버튼928)의 제 2 맞물림부(35)의 중간 경사 표면(33)과 맞물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크 버튼(28)의 제 1 맞물림부는 각각 맞물림 부재(38)의 절단부(39) 내로 삽입되고, 맞물림 부재(38)의 제 2 맞물림 수납부(42)는 제 1 맞물림부(32)와 노크 버튼(28)의 제 2 맞물림부(35)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노크 버튼(28)의 제 1 맞물림부(32)상에 형성된 정면 경사 표면(31)과 노크 버튼(28)의 제 2 맞물림부(35)상에 형성된 중간 경사 표면(33)은, 노크 버튼(28)이 보다 부드럽게 눌러질 수 있도록, 활강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곡선모양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실시 태양의 변경예와 유사하게, 제 1 맞물림부(45)와 제 2 맞물림부(46)는 노크 버튼(44)의 내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맞물림부(45) 및 제 2 맞물림부(46)와 각각 맞물리는 경사 홈-형상의 맞물림부(48 및 49)는 맞물림 부재(47)에 형성될 수 있다. 노크 버튼(44)의 제 1 맞물림부(45) 및 제 1 맞물림부(46)는 은폐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외형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작동시, 노크 버튼(28)이 반지름 방향으로 똑바로 눌러진다면, 노크 버튼(28)의 정면 경사 표면(31) 및 중간 경사 표면(33)은, 맞물림 부재(38)의 중간 경사 표면(41) 및 후면 경사 표면(43)상에 활강하면서, 전방 방향으로 맞물림 부재(38)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 동작에 의하여, 심 탱크(11)와 척(13)은 전방으로 움직이고(도 12를 참조), 심은 전방으로 이송된다.
하나의 용도를 추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4 와 도 15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우개 돌출량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막대-형상의 이송 장치는 후면부에 제공된다. 막대-형상의 이송 장치를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통(1)의 후면 말단부의 내부 측면(후면부 1a)은 도 15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 형상을 갖는데, 정사각형 형상, 타원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을 제외한 모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면부의 육각형 단면 형상의 고정부(50a)를 갖는 막대-형상의 가이드 부재(50)는, 통(1)과 막대-형상의 가이드 부재(50)가 회전 불가능하게 서로 맞물리도록 후면부(1a)에 고정된다. 막대-형상의 가이드 부재(50)의 후면부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 홈(51b)과 가이드 홈(51b)의 후면 말단은 함께 연결되며, 이음매 테두리(50c)가 형성된다. 외부 튜브(51)는 막대-형상의 가이드 부재(50)상에 고정되고, 나선형 홈(51b)은 외부 튜브(51)의 내부 측면 표면에 형성된다. 하부 튜브(51)는, 외부 튜브(51)의 한 말단과 맞물려 있는 이음매 테두리(50c) 및 외부 튜브(51)의 다른 나머지 말단과 맞물려 있는 0-링과 같은 고정 부재(52)사이에 끼워지고, 막대-형상의 가이드 부재(50)에 고정된다.
도면번호(53)는 지우개(54)를 고정시키기 위한 막대-형상의 수납부를 나타낸다. 맞물림 돌출부(53a)는 막대-형상의 접수 부재(53)의 측면 표면상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50b)을 경유하여 나선형 홈(51a)과 맞물리게 된다.
작동시, 외부 튜브(51)가 통(1)[막대-형상의 가이드 부재(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면, 막대-형상의 부재(50)는 나선형 홈(51a)의 수단에 의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움직일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서, 지우개(54)는 돌출된다. 지우개(54)가 수축된다면, 튜브(51)는 반대로 회전될 수 있다.
심을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가,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심 탱크상에 제공된다면, 막대- 형상의 이송 장치는 통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막대-형상의 이송 장치는 선행 기술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제공된다면, 통의 전체 길이가 작동이 고장날 정도로 증가된다. 이유는, 누름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가 심 탱크(심 파이프)상에 뿐만 아니라 척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심 척의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제 3 실시태양을 도 16 및 도 17에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제 3 실시태양에서는, 노크 버튼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개선점을, 제 1 및 제 2 실시태양 각각에서 관통구을 관통하여 고정된 노크 버튼의 상태에 도입하였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는 제 2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노크 버튼(28)은, 노크 버튼(28)의 하부가 관통구(2)을 관통하여 끼워마추어지도록 하기위해서,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맞물림크러치(36)]의 나비를 증가시키기도록 형성된다. 이 큰-나비 부는 끼워-마춤부(54)를 구성한다. 또한, 노크 버튼(28)은, 상부의 나비가 관통구(2)의 나비 보다 작도록, 그 상부의 나비를 감소시키도록 형성된다. 이 작은-나비부는 비-끼워-마춤부(55)를 구성한다. 노크 버튼(28)이 눌러진다면, 간극(s)은, 노크 버튼(28)을 누르는 과정 중에 노크 버튼(28)과 관통구(2)의 벽 표면 사이에 생긴다.
작동시, 관통구(2)을 관통해서 끼워마추어진 노크 버튼(28)이 손가락 같은 것에 의해 수직인 반지름 방향으로 눌러진다면, 노크 버튼(28)의 정면 경사 표면(31) 및 중간 경사 표면(33)은, 맞물림 부재(38)의 중간 경사 표면(41) 및 후면 경사 표면(43)상에 활강하면서, 전방 방향으로 맞물림 부재(38)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 동작의 과정 중에, 관통구(2)에 대한 노크 버튼(28)의 끼워-마춤 동작은 사라지고, 간극(s)이 형성되며, 심 탱크(37) 및 척(13)은 심을 이송시키도록 움직인다.
제 3의 실시 태양의 변경예를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이 변경예에서는, 맞물림 부재(38)의 절단부(39)는, 상부 측면이 하부 측면 보다 넓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사다리꼴부(56)]을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U-형성의 노크 버튼(28)은 단면상의 사다리꼴 내부 형상[사다리꼴부(57)]을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누름은, 노크 버튼(28)이 관통구(2)을 관통하여 끼워마추어지도록,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하부 말단을 열려지게 한다.
작동시, 끼워마추어진 상태로 있는 노크 버튼(28)이 눌러진다면, 사다리꼴부(57)의 중간부는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상부를 지나서 움직이고, 이어서 사다리꼴부(57)의 상부가,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하부가 사다리꼴부(57)의 하부의 나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사다리꼴부(56)의 상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 복원 동작은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하부의 감소된 나비에 기인하기도 한다.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복원에 의하여, 관통구(2)의 끼워마추어진 상태는 사라지고, 간극(s)은 노크 버튼(28)의 외부 측면과 관통구(2)의 벽 표면 사이에 생긴다. 끼워마추어진 상태가 사라지는 시간간격은, 눌러 고정된 상태가 노크 버튼(28)의 사다리꼴부(57)의 중간부가 맞물림 부재(38)의 사다리꼴부(56)의 상부 측면에 이르기 전에 사라지도록, 선택된다.
제 4 실시태양을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손잡이부(58)는 울퉁불퉁하거나 비교적 고연성 또는 액상 고무 재료의 페인트를 도포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형성되고, 통(1)의 정면 손잡이부상에 형성된다(필기 중에 쥘수 있도록). 그 밖에 관모양의 고무 손잡이는 분리 부재로서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부(58)를 형성시킴으로써 또는 고무 손잡이를 고정시킴으로써, 필기에 의한 피로, 손가락 통증 등을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킬 수 있다. 관통구(2)은 손잡이부(58)의 후방 통(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U-형상의 단면을 갖는 노크 버튼(28)은, 통(1)에 수직인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관통구(2)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노크 버튼(28)은 제 2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노크 버튼과 유사한 구조물을 가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립(59)과 일체로 형성된 마개(60)는 통(1)의 후면부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클립(59)만이 통(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복원 부재(61)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슬라이드 부재(62)는 통(1)의 정면부에 배치된다. 척 링(11)이 고정되어 있는 척(13)은 슬라이드 부재(62)에 고정된다.
맞물림 부재(38)는 슬라이드 부재(62)의 중간부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분리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맞물림 부재(38)가 분리 부재로서 제공된다면, 슬라이드 부재(62)와 맞물림 부재(38)는, 예를 들면 끼워마춤, 돌출부와 만입부 사이의 맞물림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맞물림 부재(38)는 제 2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맞물림 부재의 구조물과 상당히 유사한 구조물을 갖기 때문에, 그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략 2 또는 3 심을 통과 삽입시키는 심 도입구(63)는, 슬라이드 부재(62)의 후면 말단에 형성되고, 통(1)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 심 접수 부재(64)는 심 도입구(63)의 후면 말단부 내로 끼워마추어 진다. 심 접수 부재(64)의 내부는, 심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원추형 같이 형 상화되고, 심을 심 도입구(63)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심 삽입구(66)은 원추형-형상부(65)의 하부 말단에 형성된다. 심 접수 부재(64)의 후방 통(1)의 내부는 심 탱크부(67)를 구성하고, 심은 심 삽입구(66)를 통과하여 심 도입구(63) 내로 하나씩 떨어진다. 심의 직경(외부 직경)에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각각의 구(68) 및 척 끼워-마춤 구(69)는 심 도입구(63)에 인접한 슬라이드 부재(62)의 정면부에 형성된다. 구(68)의 직경은 심 도입 구(63)의 내부 직경 또는 척 끼워마춤 구(69)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고, 척(13)의 후면 말단에 형성된 구(70)의 직경은 심 직경과 같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제 5 실시태양의 특징을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심 도입구이 심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코어 핀은 사출성형 등의 경우에 쉽게 굽어지지 않는다. 또한,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제품도 성형 중에 쉽게 굽어지지 않기 때문에, 곧은 심 도입구는 형성될 수 있다.
노크 버튼(28)이 손잡이부(58)의 후방에 그리고 클립(59)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노크 버튼(28)이 필기 중에 우연히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시, 복수의 심이 심 탱크부(67) 내로 삽입된다면, 1 개의 심은 원추형 부(65)의 심 삽입구(66)에 의해 심들로부터 분리되고, 심 도입구(63)와 구(68)를 통과하여 척(13) 내로 도입된다. 심이 어느 정도 구부러지거나 슬라이드 부재(62)가 성형에 의해서와 같이 굽은 모양이 된다면, 심 도입구(63)는 각 심의 외부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심은 유연하게 척(13) 내로 도입된다. 동시에, 노크 버튼(28)이 반지름 방향으로 곧바로 눌러진다면, 정면 경사 표면(31) 및 노크 버튼(28)의 중간 경사 표면(33)은, 맞물림 부재(38)의 중간 경사 표면(41) 및 후면 경사 표면(43)상에 활강하면서, 전방 방향으로 맞물림 부재(38)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62) 및 척(13)은 전방으로 움직이고, 심은 전방으로 이송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척의 심 죄임부에서 척의 심 수납부까지의 척 길이는 사용된 심의 길이 보다 크도록 선택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송된 심을 따라 즉시 1개의 심이 연장되는 잔류 심들은, 전방으로 이송된 심이 척의 죄임부 내로 유연하게 삽입되도록(유연하게 떨어지도록), 전방의 심 후면 말단과 접촉하지 않는다. 한 개의 심이 전방으로 이송된 심의 후면 말단에 즉각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송된 심이 점차적으로 닳아짐에 따라(점차적으로 짧아짐에 따라), 즉각적으로 연달아 이어지는 심은 유연하게 움직여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62)가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부재로서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62)가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면,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위치로 정해질 수 있도록, 볼록-오목 맞물림부(69) 등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실시태양을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관통구(71)은 통(70)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U-형 단면을 갖는 노크 버튼(72)은 통(1)의 반지름 방향에 노크 버튼(72)의 후면 말단 주위의 회전가능할 정도로 관통구(71)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노크 버튼(72)은, 노크 버튼(71)의 후면 말단에 형성된 오목부(73)가 관통구(71)의 한 말단부(후면 말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노크 버튼(72)의 정면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74)도 관통구(71)의 다른 말단부(정면 말단부)와 맞물려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통(1)에 고정된다.(도 27의 정상 및 바닥은 각각 후면 및 정면에 해당된다.) 그러나, 노크 버튼(72)을 통(1)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 실시예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노크 버튼(72)은 통(70)의 반지름 방향과 평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단 부재(76)는 연결 부재(70)를 통과하여 통(70)의 정면 상에 나사로 고정된다. 심을 뒤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심 보유 부재(72)는 국부 부재(76)에 끼워마추어지고, 스테인레스와 같은 심 보호 파이프(78)는 국부 부재(76)의 팁에 끼워마추어진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복원 부재(79)에 의해 후방으로 추진되는 슬라이드 부재(80)는 연결 부재(75)에 배치된다. 척 링(81)이 고정되어 있는 척(82)은 슬라이드 부재(80)의 정면에 고정된다. 척(82)은 심을 풀고 붙잡는 역할을 하고, 척 링(81)은 척(8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심을 저장하는 심 탱크부(83)는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면에 제공되고, 심 탱크부(83)는 통(70)의 내부를 구성하는데, 즉 통(70) 그 자체가 심 탱크부(83)를 구성하기도 한다.
슬라이드 부재(80)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경사 표면(80)은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면 말단에 형성되고, 노크 버튼(72)의 정면 말단의 바닥 표면(85)에 인접해 있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면부는 도 2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외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부 직경은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에서 움직이게 하고 사용되는 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소위 0.5 mm 심이 사용된다면[JIS(일본 공업 표준 규격) S6013 에 규정된 공식 직경 0.5mm을 갖는 허용가능한 직경 범위는 0.55 내지 0.58 mm 이다], 통(1)과 슬라이드 버튼(9) 사이의 간극은 대략 0.1-0.3 mm로 설정되어 있다. 소위 0.2 mm 심이 사용된다면, 간극 범위는 사용되는 심의 직경에 따라 자유자재로 선택될 수 있다.
심을 척(82) 내로 도입시키는 심 삽입구(86)는 슬라이드 부재(80)의 길이방향 중간에 형성된다.
상기 기술된 기본 배치를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은 통(70) 그 자체를 심 탱크부(83)으로서 형성할 수 있게 하고, 통(70)[심 탱크부(83)]으로부터 심을 척(13) 내로 정확하게 도입 가능하게 한다.
여러 변경예들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의 변경예에서,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면부는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부재(80)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4개 코너들은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의 내부 벽 표면상으로 활강하도록 제거된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형상과 통(70)의 내부 벽 표면의 형상 사이의 상관성은 반대이다. 물론, 슬라이드 부재(80)와 통(70) 사이에 생성된 각 간극(87)의 크기는 사용되는 심의 직경 보다 작게되어야 한다.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은 돌출부(88)(세로방향 리브)는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의 내부 벽 표면상에 활강하도록 슬라이드 부재(80)의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슬라이드 부재(80)의 형상과 통(70)의 내부 벽 표면(70)의 형상 사이의 상관성은 반대일 수 있는데, 즉 슬라이드 부재(80)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작은 돌출부는 통의 내부 벽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돌출부(88)의 높이는 사용되는 심의 직경 보다 작아야 한다. 모든 실시예는 통에 대한 슬라이드의 활강 저항성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다.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70)의 내부 형상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80)의 외부 형상도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에 추가하여, 다양한 다른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
제 2 변경예는 원형 단면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 또는 제 1 변경예의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에 대하여 각각 회전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의도로 이루어진 것이다. 맞물림부(89)는 슬라이드 부재(80)의 각각의 경사 표면(84) 외부에 형성 되고, 노크 버튼(72)의 해당하는 측면 표면과 표면 접촉하게 된다(도 32 및 도 33을 참조).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80)의 회전은 노크 버튼(72)에 의해 방지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돌출부는 슬라이드 바닥부에 형성되고, 돌출부와 맞물려 있는 슬라이드 홈은 슬라이드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의 내부 벽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의 변경예는 심을 슬라이드 부재의 심 삽입구 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80)의 심 삽입구(86)의 상부 말단부는 원뿔형 형상[원뿔형부(9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경사 표면(84)의 상부 말단에서 그 것의 내부 중간[심 삽입구(86)]까지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각각의 경사 표면부(9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8은 제 4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제 4 변경은 심을 슬라이드 부재 내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킨 것이다. 단계(91)는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방 방향으로 통(70)의 내부 벽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고, 작은 직경부(92)는 단계(91)의 후방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심은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면 말단부(9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기술된 각각의 변경예에서, 노크 버튼은 슬라이드 부재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통의 전체 길이는 짧게 될 수 있다. 또한, 심이 슬라이드 부재의 경사 표면에 접해있기 때문에, 심에 포함된 심 오일은, 노크 버튼이 경사 표면(슬라이드 부재)을 유연하게 누를 수 있도록(활강시킬 수 있도록), 경사 표면에 부착된다.
도 3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심이 경유하여 삽입될 수 있는 구(94)를 갖는 제한부(95)는 노크 버튼(72)의 후방 방향으로 통(7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이 경유하여 삽입될 수 있는 구(96)를 갖는 제한부(97)는 노크 버튼(72)의 후방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모든 심이 슬라이드 부재(80)의 후면부에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심은 심 삽입구(86) 내로 유연하게 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부(95) 또는 제한부(97)는 실제적인 심 수납부로서 역할을 하고, 부(95 또는 97)의 후방 부들은 심 탱크부로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기술된 각 변경예들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를 갖지만, 선단 부재는 통의 정면 말단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심 이송 장치 기계는 통의 정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비용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노크 버튼은, 노크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노크 버튼의 정면 말단의 코너에 의해(도 42를 참조) 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단부(98) 및 경사 표면(99) 또는 완곡부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절단부(98) 길이는 심이 더 이상 절단부(98)를 경유하여 통과하지 못하도록 선택된다.
노크 버튼의 후면 말단에 가까이 형성된 제한부의 다양한 변경예들을 하기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3은 제 1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한부(100)는 도 4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한부끼리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고, 즉 제한부(100)는 제한부(100)가 통(70)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관통구(71)에 위치되어 있다. 도 4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한부가 고정될 수 있는 큰-직경 구(101)는 통(71)의 관통구(71)의 후방에 형성된다. 노크 버튼(72)은, 샤프 펜슬이 단순한 과정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관통구 및 큰-직경의 구(101)을 통과하여 삽입됨으로써 통(70)에 부착될 수 있다.
맞물림 돌출부(102)는 노크 버튼(72)의 후면 말단부에 형성되고, 맞물림 돌출부(102)는 노크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70)의 내부 벽 표면과 맞물려 있다. 돌출부(103)는 슬라이드 부재(80)의 바닥부 에 형성되고, 돌출부(103)는 통(1)의 내부 벽 표면에 형성된 홈(104)과 맞물려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80)가 통(7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45를 참조).
도 46은 노크 버튼(72)이 통(70)의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으로 상이한 선회축점에서 회전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노크 버튼(72)의 제한부(105)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단계(106)는 통(70)의 내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제한부(105)의 후면 말단부는 단계(106)와 맞물려 있다. 노크 버튼(72)은 선회축점인 맞물림점을 사용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도 47을 참조).
제한부를 갖는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부재(80)의 외부 직경은, 심이 복원 부재 또는 슬라이드 부재(80)와 통(70) 사이의 간극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에만 특정하게 국한된 것이 아니다.
통(70)의 후면부 그 자체가 심 탱크를 구성하기 때문에, 심 탱크가 선행 기술 분야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분리된 부재로서 제공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생산비용이 감소가 실제로 보다 더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심 수납부는 노크 버튼의 후방에 형성되기 때문에, 노크 버튼이 통 내에 고정될 때(조립 중), 노크 버튼이 정면에서 후면과 함께 통 안으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명백한 구별이 노크 버튼의 정면과 후면 사이에 존재한다. 명백한 구별이 노크 버튼의 정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노크 버튼의 방향에 관한 결정은 노크 버튼이 용이하게 그리고 빠르게 조립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8 및 도 49는 제한부(107)의 심 삽입구(108)이 슬리트-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관통구(71)은 통의 길이 방향으로 통(70)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U-형상의 단면을 갖는 노크 버튼(72)은 통(1)의 마주보는 반지름 방향에 노크 버튼(72)의 후면 말단부 주위를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관통구(71)을 관통해서 고정된다. 제한부[심 수납부[107)]은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외부 직경을 갖고 축에서 전방으로 약간 경사져 있는데, 노크 버튼(72)의 후면 말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한부의 외부 직경이 통(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면, 제한부(107)는 통(1)에 고정되거나 심의 통로로 허용하지 않은 간극은 제한부(107)와 통(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웰은, 제한부(107)의 후방부(도 48의 상부)가 심 삽입구(108)를 구성하도록 제한부(107)에 의해서 통(70)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슬리트-형상의 심 삽입구(109)는 제한부(107)의 중간에 형성되지만, 경사 표면도 심이 심 삽입구(108)으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심 삽입구(107)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표면(110)은 제한부(107)의 하부 말단[노크 버튼이 형성된 측면과 마주보는 제한부(107)의 말단]에 형성된다. 경사 표면(107)은 노크 버튼(72)을 누를 때 제한부(107)의 하부 말단부가 통(70)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112 및 113)는 각각 노크 버튼(72)의 정면 및 후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112 및 113)는 노크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거절되는(분리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서 관통구(71)의 정면 및 후면의 내부 표면(114 및 115)과 맞물린다.
도 50은 슬라이드 부재가 통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통의 내부 측면은 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80)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노크 버튼(72)의 제한부(115)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116)는 심 삽입구(109)이 위치화된 통(70)의 내부 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16)와 맞물린 홈(117)은 슬라이드 부재(80)에 형성될 수 있다(도 51 및 도 52를 참조).
노크 버튼을 통 내로 포함시키는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도 5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리트(118)는 노크 버튼(72)이 통(70)의 관통구(71) 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돌출부(113)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노크 버튼(72)의 후면부에 형성된다(도 54를 참조). 노크 버튼(72)이 관통구(71) 내에 고정될 때, 세로의 동작이 저지될 수도 있다. 슬리트(118)는 각각의 돌출부(112)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노크 버튼(72)의 정면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3)는 노크 버튼(72)의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돌출부 또는 슬리트부의는 자유자재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6 및 도 57은 노크 버튼(72)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경예에서, 통(70)의 관통구(71)과 맞물린 돌출부(113)는 노크 버튼(72)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 노크 버튼(72)와 슬라이드 부재(80)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변경에서, 힘은 노트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항상 노크 버튼(72)에 작용하지만, 돌출부(112)의 맞물림은 노크 버튼(72)이 통(7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 즉 분리되는 방향으로 노크 버튼(72)을 추진시키는 것은 노크 버튼(72)이 진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이송 장치는 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은 노크 버튼이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지도록 통의 측면부에 배치되며, 노크 버튼은 심 이송 장치를 전후 왕복하도록 눌러서 심을 통으로부터 심 삽입부까지 이송시키며, 노크 버튼이 압력을 가한 방향으로 심이 통과할 수 있는 심 삽입부가 제공되며, 이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 배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는 심 삽입부 전방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이송 기계 장치는 통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은 노크 버튼이 통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통 측면부에 배치되며, 이 노크 버튼은 눌러져서 심 이송 기계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통에서 심을 이송시키고,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는 노크 버튼에 가깝게 제공되며, 심이 통과할 수 있는 심 삽입구는 심 수납부에 제공되고, 심 삽입부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각각의 간극은 심 수납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값싸게 제조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성능을 파손시키지 않고 유연한 심-이송 작동을 실현시킬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심 이송 장치가 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의 측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은 눌러져서 상기 심 이송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을 이송시키고, 상기 노크 버튼은 압력을 가한 방향으로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 삽입부는 심 직경의 2배 이상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를 상기 심 삽입부의 전방에 구비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2. 심 이송 장치가 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의 측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은 눌러져서 상기 심 이송 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통으로부터 심을 이송시키고, 1 개 이상의 심 수납부를 상기 노크 버튼에 인접하게 구비하며,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구를 상기 심 수납부에 구비하고, 상기 심 삽입구의 단면 보다 큰 단면을 각각 갖는 간극이 상기 심 수납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은 상기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똑바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 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크 버튼은 이 노크 버튼의 운동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심 이송 장치는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납부를 갖고, 상기 노크 버튼과 상기 심 이송 장치는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 수납부를 조인 상태로 활강 가능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은 상기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똑바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 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크 버튼은 이 노크 버튼의 운동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2 개 이상의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심 이송 장치는 상기 2 개의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납부를 갖고, 상기 노크 버튼과 상기 심 이송 장치는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 수납부를 조인 상태로 활강 가능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은 이 상기 노크 버튼이 상기 통의 반지름 방향으로 똑바로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통 측면부에 배치되고, 끼워마춤부 및 비-끼워마춤부가 상기 노크 버튼에 형성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상기 통의 정면부에 형성되고, 클립이 상기 통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크 버튼은 상기 손잡이부 후방과 상기 클립의 전방에 배치되는 측면-노크식 샤프펜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수납부에 형성된 상기 심 삽입구는 한 개의 심이 통과 가능한 직경을 갖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버튼의 동작을 상기 심 이송 장치로 전달하는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심 이송 장치 내에 배치되어 심 이송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고, 심 삽입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외부 직경과 상기 통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심의 외부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 내부 표면상에는 경사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상기 경사 표면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표면 및 심 삽입구는 서로 인접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심 수납부가 상기 노크 버튼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심 수납부는 상기 통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지며, 심을 통과시키는 심 삽입구가 상기 심 수납부에 형성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심 수납부가 노크 버튼의 후방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심 수납부는 상기 통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가지며, 심을 통과시키는 슬리트-형상의 심 삽입구가 상기 심 수납부에 형성되는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KR1019970705122A 1995-01-30 1996-01-26 측부노크식샤프펜슬 Expired - Lifetime KR100428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6595 1995-01-30
JP95-33065 1995-01-30
JP95-64843 1995-02-28
JP6484395 1995-02-28
JP10076395 1995-03-31
JP95-100762 1995-03-31
JP95-100763 1995-03-31
JP10076295 1995-03-31
JP12717395 1995-04-27
JP95-127173 1995-04-27
JP15530695 1995-05-30
JP95-155306 1995-05-30
JP95-336159 1995-11-30
JP33616395 1995-11-30
JP95-336163 1995-11-30
JP33615995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26A true KR19980701726A (ko) 1998-06-25
KR100428482B1 KR100428482B1 (ko) 2004-07-27

Family

ID=2757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22A Expired - Lifetime KR100428482B1 (ko) 1995-01-30 1996-01-26 측부노크식샤프펜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65889A (ko)
EP (1) EP0806305B2 (ko)
KR (1) KR100428482B1 (ko)
DE (1) DE69633382T3 (ko)
WO (1) WO19960236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93U (ko) *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9070B2 (ja) 1996-04-30 2004-06-14 ぺんてる株式会社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H11129679A (ja) * 1997-10-27 1999-05-18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US5967684A (en) * 1998-08-21 1999-10-19 Huang; Kuang-Yen Pen with push-button
JP3490008B2 (ja) * 1998-12-25 2004-01-26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US6755584B2 (en) 2002-01-24 2004-06-29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USD496730S1 (en) 2003-03-17 2004-09-28 Becton, Dickinson & Company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TW200509851A (en) 2003-04-22 2005-03-16 Becton Dickinson Co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US7022128B2 (en) 2003-04-22 2006-04-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US20050034574A1 (en) * 2003-08-15 2005-02-17 Chih - Ching Hsien Hand tool having an extendable handle structure
FR2861330B1 (fr) * 2003-10-22 2006-02-03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a bouton lateral
JP4468002B2 (ja) 2004-02-02 2010-05-26 壽印刷紙工株式会社 サイドノック式繰出し機構
TWI369970B (en) 2004-10-20 2012-08-11 Beaver Visitec Int Us Inc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having user operable lock
USD571010S1 (en) 2006-10-17 2008-06-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CN101835626B (zh) 2007-10-26 2012-02-01 三菱铅笔株式会社 自动铅笔
US8464430B2 (en) 2008-02-07 2013-06-18 Beaver-Visitec International (Us), Inc. Retractable safety knife
USD626592S1 (en) * 2009-12-31 2010-11-02 Holland Usa, Inc. Push button for a writing instrument
USD628635S1 (en) * 2010-01-20 2010-12-07 Beifa Group Co., Ltd. Pen
CN101797858A (zh) 2010-03-17 2010-08-11 王元鸿 侧按活动铅笔
FR3009699B1 (fr) 2013-08-13 2016-10-28 Maped Porte-mine equipe d’une cartouche de mines amovible
FR3047690B1 (fr) * 2016-02-11 2018-03-16 Societe Bic Portemine a bouton lateral et distribution de gomme et procede d'assemblage
US10272714B2 (en) 2016-12-06 2019-04-30 Sanford L.P. Anti-rotation extendable eraser mechanism
CN110936754B (zh) * 2019-12-22 2020-09-22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凸位按压拔笔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8822A (en) * 1924-03-26 1924-12-09 Saadi Edward Pencil
DE1020256B (de) * 1953-06-08 1957-11-28 Pelikan Werke Wagner Guenther Handschreibgeraet mit durch Querdruck auf einen querelastischen Teil des Schreibgeraeteschaftes laengsbeweglich gefuehrter Klemmzange
US3075496A (en) * 1959-04-10 1963-01-29 Sheaffer W A Pen Co Writing instrument construction
US3883253A (en) * 1972-03-03 1975-05-13 Pentel Kk Mechanical pencil
JPS5212489Y2 (ko) * 1973-03-13 1977-03-19
JPS5017033U (ko) 1973-06-07 1975-02-24
JPS5212489A (en) * 1975-07-17 1977-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nector
JPS5845913Y2 (ja) 1978-02-15 1983-10-19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
JPS5836559Y2 (ja) * 1979-05-26 1983-08-17 三菱鉛筆株式会社 ヘツド及びサイド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US4619539A (en) * 1984-02-13 1986-10-28 Kotobuki & Co, Ltd. Mechanical pencil equipped with lead-storing cartridge
DE3514012C1 (de) * 1985-04-18 1986-04-10 Elmar 6967 Buchen Gehrig Kugelschreiber
DE8612809U1 (de) * 1986-05-10 1986-07-03 Keil, Georg, 64401 Groß-Bieberau Schreibstift
JPH0634155Y2 (ja) 1988-12-12 1994-09-07 株式会社壽 軸体先端部の出没機構
JPH035020A (ja) 1989-06-01 1991-01-10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による鋼板のu曲げ方法
JP3139002B2 (ja) * 1990-03-15 2001-02-26 ぺんてる株式会社 押出し式筆記具
JPH04153099A (ja) * 1990-10-18 1992-05-26 Iwasaki Kinzoku Kogyo Kk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3501418B2 (ja) * 1994-07-22 2004-03-02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93U (ko) *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482B1 (ko) 2004-07-27
EP0806305A1 (en) 1997-11-12
US6065889A (en) 2000-05-23
EP0806305B1 (en) 2004-09-15
DE69633382T3 (de) 2010-08-26
DE69633382T2 (de) 2005-09-22
EP0806305A4 (en) 2000-01-12
WO1996023666A1 (fr) 1996-08-08
DE69633382D1 (de) 2004-10-21
EP0806305B2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726A (ko) 측면-노크식 샤프 펜슬
US6755584B2 (en) Writing instrument
US20080019760A1 (en)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6250828B1 (en) Offset pen
EP0093815A1 (en) Propelling pencil
NL8600363A (nl) Ballpoint.
WO2007055159A1 (ja) 筆記具用クリップ
US20040076461A1 (en) Offset pen structure
JP3694958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US6746168B2 (en) Writing instrument
EP0524600B1 (en) Container for extending a stick-shaped material
JP2003237285A (ja)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USD378764S (en) Ink refill for a ball-point pen
JP4337286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402627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4333324B2 (ja) 軸の連結構造
KR20020000474A (ko) 필기구용 그립 및 필기구몸체
JPH04221700A (ja) ノック式筆記具
JP3870908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5585008B2 (ja) 筆記具の軸筒
JP2542037Y2 (ja) 筆記部の出没装置
CN117901563A (zh) 一种按压笔
JP2025057874A (ja) バインダークリップ
JP2024072469A (ja) クリップノック式筆記具
HK1001043B (en) Container for extending a stick-shap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41026

Opposition date: 20041026

Opposition identifier: 102004500127

Registration number: 1004284820000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PO1301 Decision on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tent event code: PO13011S01D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O070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7021S01D

Patent event date: 20060120

Comment tex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607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