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84976A -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976A
KR19980084976A KR1019970020912A KR19970020912A KR19980084976A KR 19980084976 A KR19980084976 A KR 19980084976A KR 1019970020912 A KR1019970020912 A KR 1019970020912A KR 19970020912 A KR19970020912 A KR 19970020912A KR 19980084976 A KR19980084976 A KR 1998008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oor
refrigerator
flow path
supply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4976A/ko
Priority to JP14327298A priority patent/JP4018238B2/ja
Priority to CNB981019854A priority patent/CN1210537C/zh
Priority to US09/084,796 priority patent/US5946934A/en
Publication of KR1998008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97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를 도어측에서 냉장실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기공급구조는, 냉동실 내부를 순환한 냉기가 귀환하는 냉동실귀환덕트와, 상기 냉동실귀환덕트에서 분기되는 분기유로, 그리고 도어에 성형되고, 상기 분기유로에서의 냉기를 공급받아 도어 내측에서 냉기를 공급하는 도어유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로 또는 도어유로의 일측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냉기차단장치(Damper)를 더 포함하며, 냉차단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유로는 도어 내측의 바스켓을 따라 연장되어 바스켓 부분에 직접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도어의 내측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냉기조절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냉동실26..... 냉동실귀환유로
30..... 베리어40..... 냉장실
42.... 냉장실덕트50..... 도어
52..... 도어 바스켓60..... 분기유로
61..... 도어유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의 냉기가 귀환하는 귀환덕트에서 냉장고 도어의 바스켓 부분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냉장고의 구조 및 냉기공급을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내부는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된 베리어(5)에 의하여 냉동실(2)과 냉장실(4)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과 냉장실(4)은, 각각 도어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냉장실(4)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기 위한 도어바스켓(14)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냉기의 공급구조를 살펴보면, 저온 전압의 냉매가 내부를 통과하는 증발기(6)에서 열교환된 냉기의 일부는, 송풍팬(8)에 의하여 쉬라우드(12)를 거쳐 냉동실(2)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자유 낙하하여 냉동실(4)로 공급된다. 냉동실(4)로의 냉기의 공급은, 냉장실덕트(10)를 통하여 자유 낙하하면서, 상기 냉장실덕트(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냉기토출구(10a)를 통하여 냉장고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냉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냉동실(2)은 냉장실(4)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냉동실(2) 및 냉장실(4)로 공급된 냉기는 내부에 보관중인 식품과의 열교환 과정을 거쳐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되고, 고온으로 된 공기는 베리어(5)의 내부에 성형된 냉동실귀환덕트(2a) 및 냉장실귀환덕트(4a)를 통하여 다시 증발기(6) 부근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귀환덕트(2a, 4a)를 통하여 귀환되는 냉기의 온도도,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실귀환덕트(4a)에 비하여 냉동실귀환덕트(2a)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인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냉기공급구조에 있어서, 냉동실은 통상 그 체적이 작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지 않지만, 특히 냉장실(4)은 냉기의 전체적인 순환이 문제가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냉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일방향으로만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장효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기의 공급원과 가장 이격된 위치인 도어측에는 충분하게 냉기가 공급되지 못함과 동시에 도어의 빈번한 개폐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냉장실의 내측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바스켓(14)에 보관하는 식품은 특히 신선도 유지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실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장효과를 얻을 수 있는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냉장실의 도어측에 냉기를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는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외기의 침입으로 온도가 상승하기 쉬운 도어측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기공급구조는, 냉동실 내부를 순환한 냉기가 귀환하는 냉동실귀환덕트와, 상기 냉동실귀환덕트에서 분기되는 분기유로, 그리고 도어에 성형되고 상기 분기유로에서의 냉기를 공급받아 도어 내측에서 냉기를 공급하는 도어유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로 또는 도어유로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냉기차단장치(Dam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차단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작동된다.
상기 도어유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유로는 도어 내측의 바스켓을 따라 연장되어 바스켓 부분에 직접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50)측에 냉기가 직접 공급될 수 있는 냉기유로를 구비하여, 냉장실의 전후방에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냉동실귀환덕트(26)에서 분기유로(60)를 성형하여, 냉장고의 도어(50) 측에 직접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냉장고의 냉기의 순환 과정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증발기(22)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팬(24)에 의하여 일부는 냉동실(20)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자유 낙하하여 냉장실(40)로 공급된다. 냉장실(40)로의 냉기의 공급은, 냉장실(40)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냉장실덕트(42)를 통하여 전방으로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실(20)에서 열교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되어, 다시 증발기(22) 측으로 귀환하는 냉동실귀환덕트(26)에서 분기유로(60)를 분기시켜 이를 냉장고 도어(50) 측으로 유도한다. 즉, 제4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리어(30) 내부의 냉동실귀환덕트(26)에서 분기된 분기유로(60)는 베리어(30)의 내부 따라 도어(50)와 인접한 냉장실 전면까지 유도된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전면으로 유도된 분기유로(60)의 출구(60a)는, 도어(50)에 성형된 도어유로(61)의 입구(61a)에 연결되어 도어(50)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어(50)의 도어유로(61)는 도어(50)가 냉장고의 본체에 닫히면, 상기 분기유로(6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성형된 것으로 상기 냉동실귀환덕트(26)에서의 냉기를 공급받아, 도어(5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도어유로(61)는, 도어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성형된 수직유로(62)와 상기 수직유로(62)와 연결되면서, 도어바스켓(5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직유로(6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로(64)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냉기 토출공(66)이 성형되어 있다. 제5도에서 상기 수평유로(64)는 도어바스켓(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50)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면 그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수평유로(64)는, 도어바스켓(52)에 내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공(66)은 도어바스켓(52)의 하단부에 성형된 수평유로(64)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50)의 내측에서 냉장고의 후방을 향하여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성형 위치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66)은 도어 바스켓(52)의 하단부를 따라 성형되어, 그것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도어 바스켓(52)에 보관중인 식품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바스켓(52)에 보관중인 식품을 더욱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토출공(66)은, 도어바스켓(52)에 보관중인 식품을 향하여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도어에서 냉장실(40)의 내측을 향하여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방향중에서 선택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실(20)에서 증발기(22) 측으로 귀환하는 냉동실귀환덕트(26)의 냉기의 일부를 다시 냉장고 도어 바스켓(52) 측의 냉기 공급에 이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 귀환덕트(26)의 내부에는 냉동실(20)에서 냉각을 위하여 열교환된 냉기가 흐르고 있으나, 냉동실(20)의 내부온도는 냉장실(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바스켓(52) 부분에 공급하는 것으로써는 충분히 냉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유로(60)의 내부에는 냉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냉기차단장치(Damper)(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기차단장치(70)는, 도어 바스켓(52) 부분의 온도(또는 도어 바스켓부분의 온도를 나타낼 수 있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바스켓(52) 부분으로 냉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냉기차단장치(70)의 구동은 냉장실(40)에서 도어 바스켓(52) 부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72)(제3도 참조)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센서(72)는 냉장실(40)의 내부에서 도어 바스켓(52)와 가장 인접한 부분에 부착되거나, 도어 바스켓(52)에 직접 부착되는 온도센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72)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도어 바스켓(52) 부분으로의 냉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차단장치(70)의 내부 구성은 공지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수동으로 냉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종래의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센서(72)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장 일반적인 예를 들면, 냉기차단장치(70)의 개폐판(74)이 분기유로(60)의 통로를 개폐하되, 상기 개폐판(74)의 이동은 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체 벨로즈 형식의 댐퍼를 사용하여, 바스켓(52) 부근의 온도에 기초하여 직접 상기 분기유로(6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실(20)에서 귀환하는 냉기의 통로인 냉동실귀환덕트(26)에서 분기유로(60)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유로(60)를 도어(50) 내부에 성형된 도어유로(61)에 연결함으로써, 귀환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도어 바스켓(52) 측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냉동실귀환덕트(26)에 의하여 귀환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냉장실 귀환덕트의 공기 온도보다 저온으로, 도어 바스켓부분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분한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로의 냉기의 공급이 원래의 냉장실 덕트가 설치된 냉장실의 후방에서와 동시에 도어측의 전방에서 입체적으로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장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어의 바스켓에 보관하는 식품에 대해서도 상기 냉동실 귀환덕트에서의 냉기를 직접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빈번한 도어의 개폐에도 불구하고 항상 신선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Claims (6)

  1. 냉동실 내부를 순환한 냉기가 귀환하는 냉동실귀환덕트와;
    상기 냉동실귀환덕트에서 분기되는 분기유로; 그리고
    도어에 성형되고, 상기 분기유로에서의 냉기를 공급받아 도어에서 냉장실 후방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도어유로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유로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분하는 베리어 내부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유로 또는 도어유로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냉기차단장치(Damper)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냉장실내의 도어측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차단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로는 도어 내측의 도어바스켓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도어유로에서 냉기를 분출하는 냉기 토출공은 도어 바스켓에 보관중인 식품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방향 또는 냉장실 내측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성형되는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19970020912A 1997-05-27 1997-05-27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Abandoned KR19980084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912A KR19980084976A (ko) 1997-05-27 1997-05-27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JP14327298A JP4018238B2 (ja) 1997-05-27 1998-05-25 冷蔵庫の冷気供給システム
CNB981019854A CN1210537C (zh) 1997-05-27 1998-05-26 冰箱冷气供应系统
US09/084,796 US5946934A (en) 1997-05-27 1998-05-27 Cool air supplying system for refrigera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912A KR19980084976A (ko) 1997-05-27 1997-05-27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976A true KR19980084976A (ko) 1998-12-05

Family

ID=6599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912A Abandoned KR19980084976A (ko) 1997-05-27 1997-05-27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49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756A (ko) * 2016-02-26 2017-09-05 허페이 미디어 리프리저레터 씨오.,엘티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756A (ko) * 2016-02-26 2017-09-05 허페이 미디어 리프리저레터 씨오.,엘티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19B1 (ko) 냉장고
US5826437A (en) Refrigeration for discharging cool air from a door
EP0879999B1 (en) Refrigerator with anti-frost device
JP3576813B2 (ja) 冷蔵庫の冷気供給構造及び冷気供給制御方法
JP2531843B2 (ja) 冷蔵庫
JP3439981B2 (ja) 冷蔵庫
JP2001330361A (ja) 冷蔵庫
CN209910241U (zh) 冰箱
KR19980084976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JPH08247618A (ja) 冷蔵庫
KR100235442B1 (ko)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100595434B1 (ko) 냉장고
KR19990031033A (ko) 냉장고
KR19980084977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366528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구조
JPH11325713A (ja) 冷蔵庫
KR100260318B1 (ko) 급냉포켓을 구비한 냉장고
KR100192736B1 (ko) 냉기 공급 및 귀환로 전환 방식 냉장고
KR100597292B1 (ko) 냉장고
KR200157962Y1 (ko) 냉장고용 에어커튼장치
KR2006001872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220394B1 (ko)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 구조
KR10023543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0005179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