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6397A -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397A
KR19980076397A KR1019970013098A KR19970013098A KR19980076397A KR 19980076397 A KR19980076397 A KR 19980076397A KR 1019970013098 A KR1019970013098 A KR 1019970013098A KR 19970013098 A KR19970013098 A KR 19970013098A KR 19980076397 A KR19980076397 A KR 1998007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in body
air
air condition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0730B1 (ko
Inventor
장경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3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는, 송풍수단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본체의 내부로 흡입될때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분해 및 대전시킨 후 반대전하를 띤 집진판에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냄새를 제거하도록 흡입그릴체에 제1전기집진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집진기를 거치면서 저하된 공기청정효율을 높여줌과 동시에 실내기 본체 내부에 걸리는 정압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실내기본체의 토출측에 제2전기집진기를 추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공기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청정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제2전기집진기의 분리 청소 및 A/S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본 발명은 상치형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기를 실내기 내부의 공기흡입측과 공기토출측에 각각 설치하여 공기청정효율을 한층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도록 실내기본체(1)의 전면에는 전면판넬(3)이 배설되어 있고, 실내공기가 실내기내에 흡입되도록 상기 전면판넬(3)의 하측에는 흡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넬(3)의 상측에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3)의 하측부상에는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도록 조작부(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5)에는 그 흡입구(5)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그 흡입구(5)와 통로가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구멍(11a)을 가진 흡입그릴체(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7)에는 그 토출구(7)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제어하도록 복수개의 풍향상하조절판(13) 및 풍향좌우조절판(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그릴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흡입구(5)로부터 실내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에어필터(17)가 착탈가능케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9)의 내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자체를 제어하도록 제어수단(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5)측 후방에는 그 흡입구(5)를 통하여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열교환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21)의 상측에는 공기의 유동력을 증가시키도록 송풍수단(2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송풍수단(22)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25)와, 상기 모터(25)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되는 송풍팬(23)과, 상기 모터(25)와 송풍팬(23)을 지지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실내기본체(1) 내의 소정높이에 설치되는 덕트(27)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체(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5)의 면적에 대하여 좌우 외곽정면에는 한상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이 착탈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한상의 가이드수단(12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의 상단 사이에는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의 상단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간격유지수단(1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 사이에는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구동수단(1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는 그 외부 측면에 상기 구동수단(14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한쌍의 슬라더수단(15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 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동시 상하회동되면서 흡입구(5)를 개폐하도록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에는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이 상승동작된 후 하강동작될때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 증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이 유효행정거리를 이탈하지 않고 다른 도어수단(160)과 함께 동시 동작되도록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이 상하동작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후면 일측에는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함진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분해 및 대전시킨 후 반대전하를 띤 집진판에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냄새를 제거하도록 대전부와 집진부를 일체로 조합한 흡입측 제1전기 집진기(18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실내공기가 흡입그릴체(11)를 통하여 실내기본체(1)의 내부로 흡입될때 함진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하도록 제1전기집진기(180)가 흡입그릴체(11)의 후측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전기집진기(180)가 거치면서 청정된 공기는 열교환기(21)에 장기간 누적 및 퇴적된 오염물질에 의해 최초 청정된 공기에 비해서 청정효율이 현전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치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흡입그릴체(11)측으로 흡입되는 흡입 풍량(예컨대, 실내공기의 순환량 기준)에 대비하여 흡입그릴체(11)에 설치된 전 제1기집진기(180)의 사이즈(Size)가 작게 제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청정 능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실내기본체(1) 내의 정압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본체내의 토출측에도 또 다른 전기집진기를 추가 설치하여, 흡입측 전기집진기와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저하된 공기청정효율을 높여주고, 실내기 본체내에 걸리는 정압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는, 송풍수단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본체의 내부로 흡입될때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분해 및 대전시킨 후 반대전하를 띤 집진판에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냄새를 제거하도록 흡입그릴체에 제1전기집진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집진기를 거치면서 저하된 공기청정효율을 높여줌과 동시에 실내기본체 내부에 걸리는 정압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실내기본채의 토출측에 제2전기집진기를 추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제1전기집진기가 흡입그릴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2전기집진기가 설치된 실내기의 내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2전기집진기가 설치된 실내기의 내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제2전기집진기가 설치된 실내기의 내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출입도어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실내기본체11:흡입그릴체
22:송풍수단27:덕트
180:제1전기집진기200a,200b,200c:제1전기집진기
300:도어출입수단310:출입구멍
320:출입도어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치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0a,200b,200c는 상기 흡입측 제1전기집진기(180)와 열교환기(21)를 거치면서 저하된 공기청정효율을 높여줌과 동시에 실내기본체(1) 내부에 걸리는 정압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의 토출측에 추가 설치되는 제2전기집진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a)는 제1실시예에 의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수단(22)의 덕트(27)의 상면에 다수개의 체결부재(210)를 매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b)는 제2실시예에 의항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수단(22)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실내기본체(1)의 내벽에 다수개의 체결부재(210)를 매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c)는 제3실시예에 의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단이 상기 송풍수단(22)의 덕트(27)의 상면에 다수개의 체결부재(210)를 매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고, 그 타측단이 상기 실내기본체(1)의 후측 내벽에 다수개의 체결부재(210)를 매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a)는 상기 덕트(27)에 형성된 토출측 통로(27a)의 면적을 커버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b)는 상기 실내기본체(1) 내의 중간높이 통로의 면적을 커버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c)는 상기 실내기본체(1)의 중간높이 통로의 면적을 커버하도록 후단이 상향되는 경사방향으로 결합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0은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가 상기 실내기 본체(1)로부터 분리되어 청소되도록 실내기본체(1)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출입도어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출입도어수단(3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가 통과되도록 상기 실내기본체(1)의 일측벽에 일정면적으로 관통형성된 출입구멍(310)과, 상기 출입구멍(310)을 개폐하는 출입도어(3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출입구멍(310)의 내주면에 대하여 하단에는 상기 출입도어(320)의 하단이 걸림작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걸림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대하여 상단에는 상기 출입도어(320)의 상단이 체결나사(330)를 매개로 나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나사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도어(320)의 외주면에 대하여 하단에는 상기 출입구멍(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311)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걸림돌기(321)가 돌설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대하여 상단에는 상기 출입구멍(310)에 형성된 나사홀(312)에 일치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나사(330)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나사통과홀(32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실내기본체(1) 내에 장착된 송풍수단(22)의 모터(25)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 이 모터(25)의 구동에 따라 송풍팬(23)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3 내지 도 5에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본체(1)의 전면 하단에 설치된 흡입그릴체(11)의 관통구멍(11a)을 통하여 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그릴체(11)의 후측에 설치된 에어필터(17)에 의해 공기중에 부유하는 큰 입자상태의 먼지가 1차 필터링되고, 에어필터(17)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필터(17)의 후측에 대하여 흡입그릴체(11)의 소정면적에 한정되어 설치된 제1전기집진기(18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1전기집진기(180)는 송풍수단(22)이 가동될때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파를 발생하게 되면서 제1전기집진기(18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미세한 입자로 분해시킴과 동시에로 이온화된 먼지를전하를 띠는 제1전기집진기(180)의 내부에 설치된 집진판(도시안됨)에 흡착 제거되고, 이 집진판에 흡착 제거되지 않는 먼지 및 냄새는 제1전기집진기(180)의 내부에 설치된 활성탄필터(도시안됨)에 의해 상쇄 및 제거됨으로써 깨끗한 청정공기를 실내기본체(1)의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1전기집진기(180)를 통과한 청정공기는 실내기본체(1)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열교환기(21)를 통과하면서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됨과 동시에 송풍수단(22)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기본체(1)의 전면 상단에 설치된 토출구(7)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냉방시키게 된다.
이때, 제1전기집진기(180)의 통과한 청정공기는 열교환기(21)를 통과시 차갑게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1)에 장기간 누적 및 퇴적된 오염물질에 의해 제1전기집진기(180)를 통과하면서 최초 청정된 공기에 비해 청정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송풍수단(22)의 상측이나 또는 최종 토출단계의 높이에는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21)와 실내기본체(1)의 내벽에 누적 및 퇴적된 오염물질에 의해 저하된 청정공기는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를 통과하면서 또 다시 전기집진 및 상쇄되고, 보다 높은 청정효율을 가진 공기로 극대화되어 외부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를 분리청소 및 A/S수리시에는,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도어수단(300)의 출입도어(320)의 상단 양측에 설치된 체결나사(330)를 풀어준 다음, 출입도어(320)의 상단을 앞으로 당김과 동시에 상부로 들어올리면, 출입도어(320)가 실내기본체(1)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실내기본체(1)의 측면에 일정면적으로 관통형성된 출입구멍(310)이 개방된다.
이때, 사용자는 출입구멍(310)을 통하여 실내기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의 나사결합상태를 분리한 다음, 외부로 인출시켜 분리 청소 및 A/S수리를 한다.
그리고, 분리청소 및 A/S수리가 끝난 후에는 상술한 역순작업에 의해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를 실내기본체(1)의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출입도어(320)의 하단에 돌설된 복수개의 걸림돌기(321)가 하부로 향하게 함과 동시에 출입구멍(31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311)에 끼워맞춤하고, 출입도어(32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통과홀(322)과 출입구멍(31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홀(312)을 일치시킴과 동시에 준비된 복수개의 체결나사(330)에 의해 서로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제2전기집진기(200a)(200b)(200c)의 분리청소 및 A/S수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실내기본체내의 흡입측에 제1전기집진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토출측에 또 다른 제2전기집진기를 추가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전기집진기와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저하된 공기청정효율을 높여줄 수 있고, 실내기본체내에 걸리는 정압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2전기집진기가 외부로 분리되도록 실내기본체의 일측벽에 출입도어수단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2전기집진기의 분리 청소 및 A/S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송풍수단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본체의 내부로 흡입될때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분해 및 대전시킨 후 반대전하를 띤 집진판에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냄새를 제거하도록 흡입그릴체에 제1전기집진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집진기를 거치면서 저하된 공기청정효율을 높여줌과 동시에 실내기 본체 내부에 걸리는 정압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실내기본체의 토출측에 제2전기집진기를 추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집진기는 상기 송풍수단 덕트에 형성된 토출측 통로의 면적을 커버하도록 덕트의 상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집진기는 상기 송풍수단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실내기본체의 내벽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집진기는 상기 실내기본체의 중간높이 통로의 면적을 경사방향으로 커버하도록 그 일측이 상기 송풍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타측이 실내기본체의 후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집진기는 상기 실내기본체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착탈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제2전기집진기가 외부로 분리도어 청소되도록 출입도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수단은 상기 제2전기집진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실내기본체의 일측벽에 일정면적으로 관통된 출입구멍과,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는 그 일측단이 상기 출입구멍에 걸림방식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19970013098A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022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098A KR100220730B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098A KR100220730B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397A true KR19980076397A (ko) 1998-11-16
KR100220730B1 KR100220730B1 (ko) 1999-09-15

Family

ID=1950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098A KR100220730B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868B1 (ko) * 2002-03-20 2005-04-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식 공기청정기
KR100836346B1 (ko) * 2007-01-19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컨디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6035B (zh) * 2019-03-21 2020-08-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868B1 (ko) * 2002-03-20 2005-04-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식 공기청정기
KR100836346B1 (ko) * 2007-01-19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컨디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730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18356U (zh) 一种静电式油雾净化器
JP486622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91640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CN214411999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高压配电柜
KR19980076397A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CN211781482U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
JPH11344234A (ja) 空気調和機
KR2006002070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44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1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KR1005913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KR1008376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69461B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KR100732043B1 (ko) 공기조화기
KR10085914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78210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CN114618248A (zh) 一种尘箱及清洁机器人
KR100261702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0500982B1 (ko) 공기조화기
KR100261701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JP460286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147557Y1 (ko) 고청정 에어컨디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