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5437A -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437A
KR19980075437A KR1019970011669A KR19970011669A KR19980075437A KR 19980075437 A KR19980075437 A KR 19980075437A KR 1019970011669 A KR1019970011669 A KR 1019970011669A KR 19970011669 A KR19970011669 A KR 19970011669A KR 19980075437 A KR19980075437 A KR 1998007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quence
orthogonal
user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8547B1 (ko
Inventor
이흥직
김동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54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다원접속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 대역확산 신호변조 방식은 협대역 신호방식에 비하여 어느 정도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높은 주파수 이용 능력을 제공하였으나, 주파수 및 전력 효율의 관점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휴대용 무선통신 서비스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송신할 서로 다른 사용자 신호간의 상호 간섭이 배제되도록 직교시퀀스와 상이한 PN시퀀스를 사용하여 변조하고, 동일 주파수 및 시간대의 중첩된 수신 사용자 신호를 상호 간섭이 배제되도록 직교시퀀스와 PN시퀀스를 사용하여 복조하는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를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Description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본 발명은 셀룰라 이동통신, 무선 실내(indoor)통신, 및 무선 LAN의 전송모
뎀에 사용되는 광대역 다원접속용 신호변조 및 그 신호를 이용한 송,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음성(샘플링된 후의 음성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 다원접속용 신호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송수신할 수 있는 다원접속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증가 추세에 비추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전
파 스펙트럼의 포화현상은 쉽게 예견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효율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새로운 무선통신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휴대용(portable) 무선 전화기 및 컴퓨터를 사용하여 무선접속을 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충전전원의 지속시간(battery life)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전력 효율면에서 뛰어난 신호변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송수신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실내통신의 범주에 속하는 가정통신, 사무실통신, 공장통신 등은 흔히 페이딩, 저전력 전송, 간섭 및 차단(interception) 등으로 전송선로의 품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열화된 전송선로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간섭, 페이딩, 차단(interception) 등에 강한 특성을 가지며, 아울러 높은 주파수 효율을 갖는 대역확산 신호방식을 사용한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상기한 대역확산 신호방식에 의하여 신호가 변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M진 배직교시퀀스의 칩 펄스가 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의 칩 펄스에 의하여 부호화되면, 원래의 데이터 신호가 가진 신호스펙트럼 영역이 확산되어 광대역 신호가 된다. 이러한 변조신호를 직접시퀀스 방식의 대역확산 신호라고 한다.
상기 신호변조 방식은 종래의 협대역 신호방식에 비하여 어느정도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높은 주파수 이용 능력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주파수 및 전력 효율의 관점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휴대용 무선통신 서비스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한한 무선 전파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그리고 휴대용 무선모뎀의 전력효율의 개선을 위하여 실현이 용이한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변조된 배직교시퀀스를 이용한 M진 배직교 부호변조를 수행하는 다원접속 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룰라 이동통신, 무선 실내통신, 및 무선 근거리통신망(LAN)의 전송 모뎀용으로 M진 배직교 신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력효율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펄스위치변조 및 주파수 효율의 관점에서 뛰어난 M진 배직교(biorthogonal) 부호변조 방식을 상호 결합한 직접시퀀스 대역확산 신호방식을 구현하였다. 즉,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배직교시퀀스를 이용하여 M진 배직교(biorthogonal)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조신호는 직접시퀀스 방식의 M진 배직교 대역확산 신호로서, 음성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정보를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 (combined modulation)한 후, 다시 이 변조신호를 직교시퀀스를 사용하여 M진 배직교 부호변조를 한다. 이렇게 변조된 신호는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로 대역확산하여 전송되며,수신장치에서 펄스파형 상관기(correlator)를 거처 누산기(accumulator)에서 직교시퀀스 및 PN시퀀스를 사용하여 복조되어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복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진 배직교 부호분할 다원접속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M진 배직교 부호분할 다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송신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는 도 1의 M진 배직교 부호분할 다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수신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변조된 M진 배직교 시퀀스의 칩(chip) 펄스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시퀀스 대역 확산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의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배직교시퀀스를 이용한 M진 배직교(biorthogonal) 부호분할 다원접속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원접속장치는 M진 배직교신호 변조기(10∼10n), 혼합기(12∼12n)로 구성된 송신장치(100)와 혼합기(18∼18n), M진 배직교신호 복조기(20∼20n)로 구성된 수신장치(200)로 구성된다.
먼저, 송신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n개로 구성된 M진 배직교 신호변조기(10∼10n)는 서로 다른 사용자 신호간에 상이한 PN시퀀스를 사용하여 상호 간섭을 배제하도록 신호를 변조한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 신호간에는 배직교성을 부여하여 신호를 변조한다. n개로 구성된 혼합기(12∼12n)는 상기 M진 배직교 신호변조기(10∼10n)를 통해 변조된 신호와 반송파를 혼합한다.
전송지연(14∼14n)는 상기 혼합기(12∼12n)를 통해 혼합된 변조파가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될 시 발생되는 지연을 의미한다. 다원접속 전송로(16)는 상기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출된 변조신호가 전송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다원접속 전송로(16)를 통해 전송되는 변조신호는 채널잡음이 혼합된다.
다음으로 수신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n개로 구성된 혼합기(18∼18n)는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된 변조신호를 송신장치(100)의 혼합기(12∼12n)의 반송파와 동일한 반송파로 혼합한다. n개로 구성된 M진 배직교신호 복호기(20)는 PN시퀀스를 사용하여 동일 주파수 및 시간대의 중첩된 여러 사용자 신호들간의 상호간섭을 배제하면서 동시에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비트(bit) 단위의 블록으로 전송되는 n번째 사용자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장치(1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장치(100)는 이진 펄스 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기(22), 펄스발생기(24), 직교시퀀스발생기(26), M진 배직교부호 변조기(28), PN시퀀스발생기(30)로 구성된 M진 배직교 신호변조기(10n)와 혼합기(12n)로 구성된다.
상기 M진 배직교 신호변조기(10n)의 구성을 보면, 이진 펄스 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기(22)는비트 단위의 블록으로 전송되는 n번째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신호를 발생한다. 펄스발생기(24)는주기 펄스를 발생한다. M진 배직교 부호변조기(28)는 이진 펄스 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기(22)의 출력신호와 직교시퀀스 발생기(26)의 부호를 결합하여 M진 배직교 부호를 발생한다. PN시퀀스 발생기(30)는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M진 배직교 부호변조기(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로 대역 확산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수신장치(2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장치(200)는 펄스파형상관기(40a,40b), 전환스위치(46a,46b), 누산기(48), 비교기 및 부호검출기(54)로 구성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펄스파형상관기(40a,40b)는 수신된 신호와 펄스파형간에 상호상관을 취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전환스위치(46a,46b)는 상기 펄스파형 상관기(40a,40b)를 통과한 신호중에서 특정 펄스 에너지를 샘플링한다. 직교시퀀스 발생기(52) 및 PN시퀀스 발생기(50)는 상기 송신장치(100)의 직교시퀀스발생기(26) 및 PN시퀀스 발생기(30)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시퀀스들을 발생한다. 누산기(48)는 상기 직교시퀀스 발생기(52) 및 PN시퀀스 발생기(50)로부터 인가되는 직교시퀀스와 n번째 고유의 PN시퀀스를 사용하여 타 사용자의 간섭을 제거하면서 신호를 복조한다. 비교기(54)는 상기 누산기(48)의 출력에서 최대 절대값을 선택한다. 부호검출기(54)는 상기 최대 절대값의 부호(sign)를 검출하여 심볼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변조된 M진 배직교 시퀀스의 칩(chip)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시퀀스 대역 확산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의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셀룰라 이동통신, 무선 실내통신, 무선 LAN의 전송모뎀에 사용되는 광대역 다원접속용 신호변조 방법 및 그 신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음성(샘플링된 후의 음성데이타) 또는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 다원접속용 신호변조 방법 및 상기 변조신호를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송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 방식과 직교시퀀스를 이용한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 방식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의 정보를 받아 이 가운데 2 비트를 k번째 사용자의 펄스의 위치및 진폭에 싣어 전송하는 신호방식이며, 나머지비트는 직교시퀀스를 사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는 직교시퀀스와 상호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M진 배직교 부호변조 신호를 형성한다. k번째 사용자의 M진 배직교 신호파형(는 심볼시간)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여기서 ψ(t)는 직교 시퀀스에 의해 사용된 칩 펄스의 파형으로서 이진 펄스위치변조를 위해 0≤ttg영역에서만 존재하며, TW는 직교시퀀스의 칩 시간으로 TW=2Tg의 관계를,그리고 심볼시간 T는 T=(M/4)TW로 주어진다.
M진 배직교 부호변조에 사용되는 직교시퀀스는 Hadamard 행렬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수학식 2]
단, 초기조건 H0=1 이며, k번째 사용자의 직교시퀀스 hk는 Hadamard 행렬 Hn(n=0,1,.....,M/4-1)가운데 어느 한 vector로 mapping된다.
따라서 k번째 사용자의 M진 신호파형 Wk,1(t),Wk,2(t); 0≤tT사이에는 배직교성(biorthogonal property), 즉,
[수학식 3]
을 만족한다.
여기서 (ak,bk)는 진폭을, ()는 펄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변조변수이고, (hk,gk)는 직교시퀀스에 해당한다. 단, Es는 심볼 Wk(t)의 에너지이다.
k번째 사용자의 M진 배직교 부호변조 신호를 타 사용자 신호와 구별하고, 또한 대역확산을 위해 k번째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 Cj (k)(j=0,1,...,N-1)의 칩(chip) 펄스를 사용하여 M진 배직교 신호파형 Wk(t)를 부호화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M진 배직교 대역확산 신호 Sk(t); 0tT 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4]
여기서 Ψ(t)는 PN시퀀스에 의해 사용된 칩 펄스의 파형으로서 이진 펄스위치 변조를 위해 0tTp영역에서만 존재하며, Tc는 PN시퀀스의 칩 시간으로 Tc=2Tp의 관계를, 그리고 심볼시간 T는 T=NTc로 주어진다. 따라서 PN시퀀스 Cj (k)의 주기 N=(M/4)L에 해당한다. 이때 Tw=LTc로서 직교시퀀스의 칩 펄스는 PN시퀀스의 칩 펄스에 의해 L배 대역확산된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k번째 사용자의 M진 배직교 신호파형와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j=0,1,...,N-1)에 의해 발생된 직접시퀀스 방식의 M진 배직교 대역확산 신호로서 M=16인 경우에 발생된 신호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시퀀스는 서로 배직교하며, 입력되는비트의 데이터와 일대일 대응되어 M진 배직교 신호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조신호는 상기한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된 M진 배직교시퀀스를 이용한 것으로, 음성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정보를 펄스위치 및 진폭의 변화로 1차 변조하고, 다시 1차 변조신호를 직교시퀀스를 사용하여 2차 배직교 변조한 후, 최종적으로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로 부호화한다. 이렇게 변조된 신호는 전송된 후에 수신장치(200)에서 펄스파형 상관기(40a,40b)를 사용하여 1차 복조되고 다시 누산기(48)에서 직교시퀀스 및 PN시퀀스를 이용 2차 복조된다.
비트(bit) 단위의 블록으로 전송되는 k번째 사용자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송신장치(100)의 구성도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송신장치(100)는비트단위의 블록으로 전송되는 k번째 사용자 데이터로부터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기(22)를 통해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신호를 발생시키며, 펄스발생기(24)를 통해 상기 발생된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변조된 신호로부터주기 펄스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기(22)의 신호와 직교시퀀스 발생기(26)의 부호는 M진 배직교 부호변조기(28)를 통해 결합하여 M진 배직교 부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PN시퀀스 발생기(30)를 통해 상기 발생된 M진 배직교 부호를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로 대역확산하여 신호를 구별해 준다.
k번째 사용자의 데이터는비트 단위의 블록으로 구분되고, 각 비트 블록에 대응되는 펄스위치및 진폭을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기(22)에서 선택한다. 여기서 (는 직교시퀀스의 칩 주기()로 발생하는 펄스(t)와 결합하여 변조된다. 출력신호는 다음의 식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5]
위 출력신호는 직교시퀀스와 M진 배직교 부호변조기(28)에서 상호결합되어 M진 배직교 신호파형를 발생시킨다. 상기 M진 배직교 부호 변조기(28) 및 PN시퀀스 발생기(30)는 특정 k번째 사용자의 M진 배직교 신호에 타 사용자 신호와의 상호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k번째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j=0,1,...,N-1)를 사용하여 직접시퀀스 방식의 대역확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k번째 사용자의 출력신호는 최종적으로 반송파 변조되어 전송된다. 이 k번째사용자의 전송신호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6]
여기서는 공용 반송파 주파수,는 k번째 사용자의 반송파 변조기의 위상을 각각 나타낸다.
도 3 에서는 도 2의 송신장치(100)와 대응하여 작동하는 수신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200)는 수신된 신호와 펄스파형간에 상호상관을 취하여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파형 상관기(40a,40b), 상기 펄스파형 상관기(40a,40b)를 통과한 신호중에서 특정 펄스 에너지를 샘플링하기 위한 전환스위치(46a,46b), 상기 송신장치(100)의 직교시퀀스 및 PN시퀀스 발생기(26,30)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시퀀스들을 발생시키는 직교시퀀스 발생기(52) 및 PN시퀀스 발생기(50), 직교시퀀스와 k번째 고유의 PN시퀀스를 사용하여 타 사용자의 간섭을 제거하면서 신호복조를 위한 누산기(48), 상기 누산기(48)의 출력에서 최대 절대값을 선택하는 비교기(54), 및 상기 최대 절대값의 부호(sign)를 검출하여 심볼 결정을 내리는 부호검출기(54)로 구성된다.
상기 펄스파형 상관기(40a,40b)에 입력되는 신호는 도 1 의 M진 배직교 신호변조기에서 전송된 변조된 신호는 k번째 사용자의 전송지연,K는 동시 사용자의 수) 이다. 이 변조신호는 수신된 신호와 펄스파형간의 상호상관을 취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파형 상관기(40a,40b)를 통과한다. 동시에 펄스파형의 상관의 동기(가 이루어져 펄스 에너지를 얻으며,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7]
상기 펄스파형 상관기(40a,40b)는 충방전 시간을 고려하여 상하 두 개의 상관기로 구성되며시간지연을 갖고 교대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펄스파형 상관기(40a,40b)에서 출력된 신호는 각각시간주기로 개폐되는 두 개의 상하 전환스위치(46a,46b)에 차례로 입력된다. 상기 전환스위치(46a,46b)는 펄스파형 상관기(40a,40b)를 통과한 신호에서 k번째 사용자의 0 또는 ±에 해당하는 펄스 에너지의 상관값을 샘플링하기 위하여주기로 개폐되는 스위치이다.
상호간섭을 제거하면서 특정 k번째 사용자의 M진 배직교 변조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M/4개의 직교시퀀스와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j=0,1,...,N-1)를 각각 직교시퀀스 발생기(52), PN시퀀스 발생기(50)로부터 누산기(48)에 입력하여 상하 전환스위치(46a,46b)의 샘플된 상관값와 각각 M/4개의 선형합(linear summation)을 취하여 해당 판별변수(decision variables)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관값 및 판별변수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8]
위 판별변수는 비교기(54)에 입력되어 최대 절대값을 주는 판별변수를 결정 하게 된다. 즉,
[수학식 9]
이때 만약이면 이진 펄스위치변조 변수 및 직교시퀀스는 (로 결정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로 추정된다.
최종적으로 심볼의 부호(sign)를 결정하기 위하여 부호검출기(54)에서인 경우에이면=1이고, 반대로이면로 추정된다. 이 후에 k번째 사용자의비트 단위의 데이터 블록은 복조된 M진 신호로부터 차례로 복원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 주파수 대역 및 동일 시간대에 채널을 접속하여 상호간섭을 효과적으로 배제하면서 음성 또는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역확산의 정도를 결정하는 직교시퀀스의 칩 시간 TW와 PN시퀀스의 칩시간 TC의 비율(ratio), 즉, L값을 주어진 전송대역폭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송수신기의 복잡도를 최소로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N=(M/4)L의 관계에서 PN시퀀스의 주기 N은 전송대역폭에 영향을 주며, 변조레벨의 수 M은 송수신기의 복잡도를 결정하는 시스템 변수이다. 따라서 N과 M의 적절한 선택으로 주어진 시스템 환경하에서 성능대비 복잡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결합변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직교시퀀스에서 사용할 변조레벨의 수를 M/4으로 크게 감소시켜 종래의 M진 직교변조 방식에 비해 수신기의 구조를 간편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향후 개인휴대통신 분야에서 저렴한 단말기의 구현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다원접속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사용자 신호간의 상호 간섭이 배제되도록 직교시퀀스와 상이한 PN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신호를 변조하고, 동일한 사용자 신호간에는 배직교성을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신호를 변조하는 송신장치와,
    동일 주파수 및 시간대의 중첩된 수신 사용자 신호를 상호 간섭이 배제되도록 직교시퀀스와 PN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사용자 신호를 동시에 복조하는 수신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사용자 신호를 이진 펄스위치 및 진폭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상기 변조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직교 시퀀스에 해당하는 소정 부호를 발생하는 직교 시퀀스 발생부와,
    상기 펄스발생부를 통해 상기 변조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상기 직교 시퀀스 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부호를 결합하여 M진 배직교 신호를 발생하는 부호변조부와,
    상기 부호변조부로부터 인가되는 M진 배직교 신호를 사용자 고유의 PN시퀀스로 대역 확산하는 PN시퀀스발생기와,
    상기 PN시퀀스발생기로부터 인가되는 대역 확산된 신호를 반송파와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신호와 소정 펄스 파형간의 상호 상관을 취하여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신호를 선택적으로 복원하는 펄스파형 상관부와,
    상기 펄스파형 상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특정 펄스 에너지 별로 샘플링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전환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상기 송신장치와 동일한 직교시퀀스 및 PN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신호간 상호 간섭이 배제되도록 신호를 복조하는 누산기와,
    상기 누산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절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인가되는 절대값의 부호를 검출하여 심볼을 결정하는 부호검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M진 배직교 부호변조 방식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KR1019970011669A 1997-03-31 1997-03-31 M진배직교부호변조방식을이용한다원접속송수신장치 KR10026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69A KR100268547B1 (ko) 1997-03-31 1997-03-31 M진배직교부호변조방식을이용한다원접속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69A KR100268547B1 (ko) 1997-03-31 1997-03-31 M진배직교부호변조방식을이용한다원접속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437A true KR19980075437A (ko) 1998-11-16
KR100268547B1 KR100268547B1 (ko) 2000-10-16

Family

ID=1950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669A KR100268547B1 (ko) 1997-03-31 1997-03-31 M진배직교부호변조방식을이용한다원접속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93B1 (ko) * 2000-01-13 2003-09-2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피엔 코드를 이용한 씨디엠에이 방식 전송장비의 알에프 채널 활용 방법
KR101370893B1 (ko) * 2006-10-30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2계층 시퀀스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93B1 (ko) * 2000-01-13 2003-09-2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피엔 코드를 이용한 씨디엠에이 방식 전송장비의 알에프 채널 활용 방법
KR101370893B1 (ko) * 2006-10-30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2계층 시퀀스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8547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3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preading code in a spectrum spread communication system
RU2125344C1 (ru) Система для модул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в ячеистой телефонной системе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и способ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5586113A (en) CDMA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US651597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diversity in CDMA using Walsh codes
US4189677A (en) Demodulator unit for spread spectrum apparatus utilized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21669B1 (ko) 코세트 코딩을 사용하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속도 신호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851706B2 (ja) 異なったpnシーケンスにより拡散された2つのデータ信号の直角多重化
US4222115A (en) Spread spectrum apparatus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970000790B1 (ko)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마이크로셀룰라 전화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
RU2313176C2 (ru) Абонентски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KR100445842B1 (ko) Cdma통신방법및스펙트럼확산통신시스템
EP0910181A2 (en) Dynamic and smart spreading for wideband CDMA
EP0981207A1 (en) Pilot symbols
EP085737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JPH0879133A (ja) スペクトラム拡散コードパルス位置変調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810070B1 (en) Selective multi-carrie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6400750B1 (en) Base st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multicarrier CDMA/FDM hybri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EP074529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USRE43384E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and simultaneous encoding technique
WO2002100005A2 (en) A method of cellular communication
KR100268547B1 (ko) M진배직교부호변조방식을이용한다원접속송수신장치
KR100585832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채널 확장 장치 및 방법
JPH06252881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KR960014408B1 (ko) 소수부호(prime code)를 이용한 M진직교 부호변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Chitra An Overview of CDMA Correlation Techniques In 3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