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0974A -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974A
KR19980070974A KR1019980002668A KR19980002668A KR19980070974A KR 19980070974 A KR19980070974 A KR 19980070974A KR 1019980002668 A KR1019980002668 A KR 1019980002668A KR 19980002668 A KR19980002668 A KR 19980002668A KR 19980070974 A KR19980070974 A KR 1998007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boom assembly
boom
trimm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커로버트디.
굿리치마이클에프.
Original Assignee
와인 제이 에드가
키데이인더스트리스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인 제이 에드가, 키데이인더스트리스인크. filed Critical 와인 제이 에드가
Publication of KR1998007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승강 장치가 개시되었는 데, 이것은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 승강 장치(6) 및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포함하며, 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부동 프레임(11)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와, 상기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21)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와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승강 기구(21)들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내렸을 때의 높이 증가 없이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최대 연장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승강 장치
본 발명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articulated double parallelogram boom assembly)가 있는, 고소 작업대와 같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형 저상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는 본 출원의 양수인이 권리를 가지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 번호 4,757, 875에 개시되어 있는 데, 여기서는 작업대가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의 말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붐 어셈블리의 다른 끝 근처는 부동(floating) 즉 승강(riser)형 프레임(frame) 어셈블리에 피봇(pivot)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다시 한 쌍의 평행 암(arm)에 의해 차량의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서,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와 이에 연결된 작업대가 작업에 필요한 위치까지 연장되거나 낮은 위치로 접혀서 9 피트 높이의 출입구가 있는 창고나 공장으로 출입 가능하게 된다.
작업대 승강용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는 본 출원의 양수인이 또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 번호 5,129,480에 개시되어 있는 데, 여기서는 평행한 압축 및 인장 암을 갖고 있는 하부 붐 어셈블리가 차량의 중심선에 벗어나서 부동형 즉 승강형 프레임과 차량 프레임 사이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부 붐 어셈블리가 평행한 압축 및 인장 암에 의해 작업대 프레임과 부동형 프레임 사이에 피봇 상태로 차량의 중심선에서 벗어나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차량형 저상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는 본 출원의 양수인이 권리를 가지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 번호 5,584,356에 개시되어 있는 데, 이 것은 참고로 여기에 기술한다. 이 관절식 붐 어셈블리는 차량의 지지 프레임과 부동 프레임 사이에 피봇 상태로 연결된 압축 및 인장 암의 쌍들로 이루어진 하부 붐 어셈블리와 말단에 작업대가 연결된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의 다른 끝 근처에 연결된 승강 장치와 부동 프레임 사이에 피봇 상태로 연결된 압축 및 인장 암의 쌍들로 이루어진 상부 붐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있다. 부동 프레임에 피봇트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붐 어셈블리 인장 암 끝은 같은 피봇 연결에 연결되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를 접으면 인장 암들이 서로 겹쳐 들어가 동일 공통 평면상에 놓이게 되어 6피트 7인치 정도의 낮은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동기화 링크(linkage)가 부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붐 어셈블리의 압축 암의 쌍들 사이에 연결되어서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승강 시키고 접을 때 부동 프레임이 수직을 유지하게 한다.
비록 위의 특허에 개시된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는 목적하는 바를 만족시키기는 하지만, 이들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특징을 본 발명의 저상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에서 채용하여 새로운 부품 결합을 만들어 내어서,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를 낮은 위치로 접어서 차량이 표준의 6피트 7인치 출입문을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은 높이는 증가시키지 않고 최고 작업 높이를 높일 수 있는, 고소 작업대와 같은,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부 걸림이 없고 전부 걸림이 최저인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전히 하강시켰을 때에 하방 경사되는 상,하부 붐 어셈블리를 가진 관절식 평행 사절 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 장치의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승, 하강시키는 데에 단 하나의 수직 배치된 유압실린다를 사용하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상,하부 붐 어셈블리와 유압 실린다가 일직선 상에 오도록하는 데 있다(즉, 길이 방향 축들이 같은 평면상에 오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유압 실린다와 동기화 링크의 배치가 유압 실린다와 동기화 링크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유압 실린다와 동기화 링크의 배치가 유압 실린다와 동기화 링크에 미치는 하중을 위의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전체 작업 범위에 걸쳐서 대체적으로 일정하도록 하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 승강 장치 및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와 상기 승강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는, 부동 프레임과,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와 상기 부동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부동 프레임과 상기 승강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와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와 상기 승강 수단들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내렸을 때의 높이 증가 없이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최대 연장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승강 장치를 제공함으로 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적용 범위는 이 이후의 상세 설명에서 더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기술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경과 개조가 쉬울 것이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이하에 보이는 발명의 상세 설명과 특정의 예는 단지 예시를 위하여 제시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 설명과 본 발명에 대해 제한적이 아니고 단지 예시하기위해 제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면 더 잘 이해 될 것이다.
도 1은 완전히 하강시킨 상태의 본 발명의 이중 평행 사절 기구 승강 장치 어셈블리를 보이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측면도;
도 2는 연장시켜 상승시킨 상태의 이중 평행 사절 기구 승강 장치 어셈블리를 보이는 측면도;
도 3a 및 3b는 각각 도 2의 선 3a-3a와 3b-3b에 따른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a는 도 2의 화살표 방향 4a-4a에서 본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대하여 반대편의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부동 프레임;
도 5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상부 붐 어셈블리에 있는 관형 인장 암(tubular tension arm)의 바닥 평면도;
도 6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상부 붐 어셈블리의 상면도;
도 7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하부 붐 어셈블리의 상면도;
도 8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 중 하부 붐 어셈블리의 압축 암의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의 상면도.
도 1 - 4b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상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는 도시 안된 반대 하중(counterweight)이 설치되게 되어 있는 수직 연장된 판(2)이 있는 상부 구조 지지 프레임(1)을 포함한다. 이 지지 프레임(1)은 차량 새시(chassis)(4)에 얹혀진 턴테이블(3) 상에 설치되어 있다.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지지 프레임(1)의 평행 상방 돌출판 부분(1a)과 승강 장치(6)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한다. 승강 장치(6)는 또 말단에 작업대(8)가 설치되어 있는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의 끝 부분 근처에 연결되어 있다.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지지 프레임(1)과 부동 프레임(11)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압축 및 인장 암(9),(10)의 쌍들을 각각 갖고 있는 하부 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 압축 및 인장 암(9),(10)들은 지지 프레임(1)에 12와 13에서 각각 연결되고, 부동 프레임에 14와 15에서 각각 연결된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압축 및 인장 암(9),(10)은 프레임(1)으로 부터 부동프레임(11) 쪽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게 된다.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또 승강 장치(6)와 부동 프레임(11)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압축 암(16)과 튜브형 인장 암(17)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 암(16)과 튜브형 인장 암(17)은 승강 장치(6)에 각각 18 및 19에서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부동 프레임(11)에 20a 및 20b에서 각각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접혀진 위치에서는, 압축암(16)과 튜브형 인장암(17)은 부동 프레임(11)에서 부터 상승 장치(6)로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프레임(1)의 중심선 상에는 연장 가능한 유압 실린다(21)가 설치되어 피봇 상태로 하부 압축 암(9) 간의 22에 연결되어 있고 튜브형 인장 암(17)의 측벽 간의 23에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튜브형 인장 암(17)의 저면도이다. 보이는 바와 같이, 튜브형 인장 암(17)은 저면 벽에 구멍(42)을 하나 가지고 있다. 이 구멍(42)은 유압 실린다(21)를 수용하여 유압 실린다(21)의 봉이 튜브형 인장 암(17) 속으로 연장되어 튜브형 인장 암(17)의 측벽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 2, 3, 4 및 5에서, 두 쌍의 보강판(40)이 튜브형 인장 암(17)에 부착되어 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강재(40)는 한 쌍의 인장 링크(33)용 피봇 설치 점(44)이 된다.
도 1 및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다(21)는 하부 압축 암(9)과 튜브형 인장 암(17)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의 22와 23에 각각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유압 실린다(21)가 후퇴하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접히게 되며, 유압 실린다(21)가 연장되면,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전체 운동 범위에 걸쳐서, 유압 실린다는 수직(21)으로 있다.
또 붐 승강 실린다(24)가 유압 실린다(21) 상방에서 18에 승강 장치(6)와 26에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 사이에 프레임(1)의 중심선 상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붐 승강 실린다(24)와 압축 암(16)은 공통의 피봇 점(18)을 갖는다.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의 나머지 부분은 일반적인 것이며 이에는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의 말단에 있는 종속 실린다(28)를 제어하는 주 유압실린다(27)를 포함하며 이것은 함께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승강시키고 붐 승강 실린다(24)로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를 움직일 때 작업대(8)를 수평으로 유지하게 한다.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접혀진 즉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유압 실린다(21)는 한 쌍의 암(9),(10) 사이에 놓이게 되고, 붐 승강 실린다(24)는 유압 실린다(21) 상방의 압축 암(16) 사이에 놓여 있게 된다. 주 실린다(27)와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를 망원경식으로 운동시키는 실린다도 둘다 프레임(1)의 중심선 상에 놓이게 된다.
도 3a와 3b는 각각 도 2의 선 3a-3a와 3b-3b에 따른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보인 바와 같이, 상승 장치(6)는 평행판(31)과 가로판(32)으로 구성되어 있다. 튜브형 인장 암(17)은 평행판(31)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튜브형 인장암(17)의 측벽은 가로판(32) 밑에 연장되어 있는 평행판(31)의 하부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피봇핀(35)이 각 압축암(16)과 판(31) 사이에 설치된 보스(boss)(34)를 사용해 압축암(16)을 피봇 상태로 승강 장치(6)에 부착시켜 평행판(31)이 압축암(16) 사이에 설치되어 있게 한다.
도 3b에 보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은 압축 및 인장 암(9),(10) 두 가지 쌍들이 피봇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상방 돌출 판 부분(1a)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암(9)은 판 부분(1a)의 각각의 내측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인장암(10)에는 러그(60)가 부착되어 고리(hook)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각 판 부분(1a)을 핀 고정시킨다. 도 7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하부 붐 어셈블리의 상면도로서, 인장암(10)과 판 부분(1a) 사이의 피봇 연결을 보인다. 따라서, 인장암(10)은 압축암(9) 보다도 서로 더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도 3a 및 3b에 보인 바와 같이, 승강 장치(6)의 평행판(31)은 프레임(1)의 평행판 부분(1a) 보다 떨러져 있는 거리가 작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이런 상태로 배치하면, 평행판(31)에 연결된 튜브형 인장 암(17)이 인장암(10) 사이에 놓이게 하고, 놓이고 나면, 튜브형 인장암(17)의 피봇 점(19)이 인장암(10)의 피봇점(13) 밑에 놓이게 된다. 또, 도 3a 및 3b에 보인 바와 같이, 한 쌍의 압축 암(16), 한 쌍의 인장 암(10) 및 한 쌍의 압축 암(9)은 대체적으로 같은 거리 만큼 떨어져 있어서, 대단히 안정적인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하부 붐 어셈블리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부동 프레임(11)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운동 범위 전체에 걸쳐서 수직 방향을 유지한다.
도 4a는 화살표 4a-4a 방향에서 본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와 비교되는 부동 프레임(11)의 반대편을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동 프레임(11)은 평행판(52)과 가로판(54),(56)으로 구성된다(도 2도 참조). 압축 암(9)은 각 판(52)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인장 암(10)과 압축 암(16) 각각에는 러그가 부착되어 고리를 형성하여 각 판(52)이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6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상부 붐 어셈블리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서 압축 암(16)과 부동 프레임(11) 사이의 피봇 연결을 보인다. 도 7은 인장 암(10)과 부동 프레임(11) 사이의 피봇 연결을 보인다(도 2도 참조). 튜브형 인장 암(17)은 판(52) 사이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특히, 원통형 하우징(58)은 튜브형 인장 암(17)의 측벽을 통과하여 판(5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4a 및 4b에 보인 바와 같이, 링크(33)가 가로판(54)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평행 보강 판(40)으로 부터 아래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압축 암(9) 끝의 피봇 점(46)에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압축 암(9)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동 프레임(11) 쪽 압축 암(9) 끝에는 블록(70)이 용접되어 있다. 그 블록(70)으로 부터 두 쌍의 러그(72)가 연장되어서 고리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링크(33) 각각이 도 1 및 2의 46에 핀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봇점(46)은 압축 암(9)의 길이 방향 중심선의 각 연장선이 형성하는 평면상에 놓인다.
또, 도 4b에는 부동 프레임(11)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분(50)을 보인다. 이 홈부분(50)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후퇴 상태의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를 수납한다. 따라서,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는 후퇴 상태에서 승강 장치(6)로 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된다. 도 4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를 후퇴 상태로 안내하기 위한 세 개의 안내 블록(62)(예를 들어, 마모 패드 같은)이 홈부분(50)에 설치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링크(33)는 보강판(40) 중의 하나에 44에와 같이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피봇점(44)은 튜브형 인장 암(17)용 피봇점(20b) 보다 부동 프레임(11)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각 링크는 또 46에와 같이 각 압축 암(9)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조와 배치로, 링크(33)는 피봇 연결점(14),(20b)에 대해서 대각선으로 연장되어, 링크 피봇 연결점(44)이 압축암(16) 피봇 연결점(20b)의 일측에 있고, 링크 피봇 연결점(46)이 압축암(9) 피봇 연결점(14)의 다른 측에 있게 되어, 유압 실린다(21)를 작동시켜 압축 암(9),(16)을 서로에 대하여 피봇하는 동안, 링크(33)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부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의 운동을 동기 시킨다.
특히, 후퇴 위치에서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 하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즉, 피봇점(46)을 포함하는 링크(33)의 길이 방향 축을 지나는 선과 이와 평행하고 피봇점(14)을 지나는 선 사이의 수직거리]의 길이는 상부 붐 어셈블리[즉, 링크(33)의 길이 방향 축과 피봇점(44)을 지나는 선과 이와 평행하고 피봇점(20b)을 지나는 선 사이의 수직거리]의 수직 모멘트 팔 보다 상당히 크다.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펼쳐짐에 따라, 하부와 상부 붐 어셈블리가 거의 평행할 즈음에는 위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가 점점 같아지게 되고, 그 후 부터는 상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가 하부 붐 어셈블리의 모멘트 팔의 길이 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가 하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 보다 대략 후퇴 위치에서 하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가 상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 보다 더 긴 만큼 더 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후퇴 위치에서는 상부 및 하부 붐 어셈블리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는 각각 69.12mm 및 114.04 mm이고, 평행 위치에서는 107.64mm 및 123.59mm이고, 완전히 펼쳐진 위치에서는 113.88mm 및 68.03mm이다. 위의 값은 단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의 수직 모멘트 팔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압축 암(9)과 튜브형 인장 암(17) 사이에 유압 실린다(21)를 수직으로 설치하면 후퇴 위치에서 압축 암과 인장 암(9),(10)이 프레임(1)으로 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 후퇴 위치에서 압축 암(16)과 튜브형 인장 암(17)이 부동 프레임(11)으로 부터 하방 경사되게 한다. 추가하여, 부동 프레임(11)의 홈부분(50)은 후퇴 위치에서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가 승강 장치(6)로 부터 하방으로 경사되게 한다. 이 결과, 프레임(1)의 높이와, 부동 프레임(11)의 길이와 승강 장치(6)의 길이를 장치 전체의 후퇴 상태에서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후퇴 상태에서의 장치의 가장 높은 점은 약 6피트 6인치 또는 그 이하가된다. 그러나,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의 전체 길이는 증가시킬 수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프레임(1)의 높이와, 부동 프레임(11)의 길이와 승강 장치(6)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적어도 제 1 및/또는 제 2의 이점이 있다. 제 1 이점은 본 장치의 작업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제 2 이점은 종래의 고소 작업대와 비교해서 작업 높이의 감소 없이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 및/또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 종래의 고소 작업대에 비교해서 작업 높이의 감소 없이 후부 걸림이 없고 전부 걸림이 최소인 고소 작업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대의 상면도이다. 도 2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소 작업대는 후부 걸림이 없고 전부 걸림이 최소이다. 원하는 작업 특성에 따라, 본 분야의 기술자는 작업 가능 높이 증가 대 전부 걸림 감소를 균형 지워서 그 특성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도 1-2, 6-7, 특히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와, 유압 승강 실린다(21)와,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7) 및 붐 승강 실린다(24)의 길이 방향 축들은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있게 된다(즉, 동일 선상에 있다).
링크(33)와 연계시켜 유압 실린다(21)의 위치를 잘 잡으면 유압 실린다(21)와 링크(33) 양쪽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전 운동 범위에 걸쳐서 이 하중을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유압 실린다(21)에 걸리는 하중은 유압 실린다(21)를 프레임(1)에 가까이 할수록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은 유압 실린다(21) 바닥과의 간극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서, 유압 실린다(21)의 길이를 줄이게 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최대 작업 높이를 줄여야 할 지도 모른다. 원하는 작업 특성에 따라, 본 분야의 기술자는 그 특성에 맞춰서 하중과 최대 작업 높이를 균형 맞출 수 있다.
추가하여, 유압 실린다(21)의 봉을 양 압축 암(16) 간에 핀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구멍(42)을 더 크게 형성하고 튜브형 인장 암(17)의 맨 위에 유사한 구멍을 뚫어 유압 실린다(21)의 실린다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렇게 수납하도록 할려면, 튜브형 인장 암(17)의 폭을 증가시켜야 하고 이것은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전체 폭을 증가시키게 한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자기 추진식 고소 작업대이외의 장치에 본 발명의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적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현재로서는 가장 실시 가능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반대로, 첨부 청구항의 정신과 범위에 포함된 여러 가지 개조 사항과 배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5)

  1.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
    승강 장치(6); 및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포함하며, 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부동 프레임(11)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로 부터 상기 부동 프레임(11) 쪽으로 하방으로 경사되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와,
    상기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 1 승강 수단(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부동 프레임(11)으로 부터 상기 승강 장치(6) 쪽으로 하방으로 경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7)의 일부는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0) 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6)에 연결된 망원경식 붐(7)과;
    상기 망원경식 붐(7)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 2 승강 수단(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 프레임(11)은
    상부에 놋치(notch)(50)가 있어서,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고 상기 망원경식 붐(7)이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망원경식 붐(7)은 상기 놋치(50)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경식 붐(7)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고 상기 망원경식 붐(7)이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상부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16) 내에 부분적으로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과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 각각은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길이 방향 축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는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한 끝은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부동 프레임(1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압축 암(9)과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인장 암(1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는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한 끝은 상기 부동 프레임(1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승강 장치(6)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 압축 암(16)과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튜브형 제 2 인장 암(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 수단(21)은 승강 실린다(21)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실린다(21)는 제 1 끝과 제 2 끝이 있고, 상기 제 1 끝은 상기 제 1 압축 암(9)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끝은 상기 제 2 인장 암(1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21)은 승강 실린다(21)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실린다(21)는 제 1 끝과 제 2 끝이 있고, 상기 제 1 끝은 상기 제 1 압축 암(9)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끝은 상기 제 2 압축 암(16)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6)는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하부 망원경식 붐 어셈블리(9),(10) 내에 부분적으로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 프레임(11)을 지나서 연장되어 있고, 제 1 끝은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끝은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에 대한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의 동기 운동을 하게 하는 동기 링크(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21)과 상기 동기 링크(33)는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전체 운동 범위에 걸쳐서 상기 승강 수단(21)과 상기 동기 링크(33)에 가해지는 하중을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승강 구조 배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 프레임(11)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전체 운동 범위에 걸쳐서 수직인 상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에 연결되어 작동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작업대(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6)와 상기 작업대(8) 사이에 연결된 망원경식 붐(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7.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
    승강 장치(6); 및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포함하며, 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부동 프레임(11)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와,
    상기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부동 프레임(11)으로 부터 상기 승강 장치(6) 쪽으로 하방으로 경사되는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 1 승강 수단(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7)의 일부는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0) 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6)에 연결된 망원경식 붐(7)과;
    상기 망원경식 붐(7)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 2 승강 수단(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동 프레임(11)은 상부에 놋치(notch)(50)가 있어서,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가 완전히 내려지고 상기 망원경식 붐(7)이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망원경식 붐(7)은 상기 놋치(50)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과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 각각은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길이 방향 축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에 연결되어 작동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작업대(8)와;
    상기 승강 장치(6)와 상기 작업대(8)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망원경식 붐(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22.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
    승강 장치(6); 및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포함하며, 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부동 프레임(11)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와,
    상기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승강 시키며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의 전체 운동 범위에 걸쳐서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에 대하여 수직 배치 상태로 있는 승강 실린다(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고소 작업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는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한 끝은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부동 프레임(1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압축 암(9)과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인장 암(1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는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한 끝은 상기 부동 프레임(1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승강 장치(6)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 압축 암(16)과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튜브형 제 2 인장 암(17)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실린다(21)는 제 1 및 제 2 끝이 있고, 상기 제 1 끝은 상기 제 1 압축 암(9)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끝은 상기 제 2 인장 암(1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고소 작업대.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는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한 끝은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부동 프레임(1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압축 암(9)과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인장 암(1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는 평행 사절 기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한 끝은 상기 부동 프레임(11)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상기 승강 장치(6)에 피봇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 압축 암(16)과 평행하고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튜브형 제 2 인장 암(17)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실린다(21)는 제 1 및 제 2 끝이 있고, 상기 제 1 끝은 상기 제 1 압축 암(9)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끝은 상기 제 2 압축 암(16)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고소 작업대.
  25.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
    승강 장치(6); 및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포함하며, 이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는,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상부 구조 프레임 지지체(1)와 상기 부동 프레임(11)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9),(10)와,
    상기 부동 프레임(11)과 상기 승강 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부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16),(17)와,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 1 승강 수단(21)과;
    상기 승강 장치(6)에 연결된 망원경식 붐(7)과;
    상기 망원경식 붐(7)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 2 승강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부동 프레임(11)에는 놋치(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절식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5)를 완전히 내리고 상기 망원경식 붐(7)을 완전히 내리면 상기 망원경식 붐은 상기 놋치(50)에 놓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고소 작업대.
KR1019980002668A 1997-01-31 1998-01-31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승강 장치 KR19980070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10597P 1997-01-31 1997-01-31
US60/037,105 1997-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974A true KR19980070974A (ko) 1998-10-26

Family

ID=2189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668A KR19980070974A (ko) 1997-01-31 1998-01-31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24191A (ko)
EP (1) EP0856487B1 (ko)
JP (1) JPH10258993A (ko)
KR (1) KR19980070974A (ko)
CN (1) CN1105675C (ko)
AU (1) AU724774B2 (ko)
CA (1) CA2227986C (ko)
DE (3) DE69835109T2 (ko)
ES (2) ES2265535T3 (ko)
NZ (1) NZ3296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312B1 (en) * 1998-02-27 2002-05-21 Jlg Industries, Inc. Lift structures and lifting arrangement therefor
SE516569C2 (sv) * 2000-04-19 2002-01-29 Atlas Copco Rock Drills Ab Bergborrigg
US6488161B1 (en) * 2000-05-02 2002-12-03 Jlg Industries, Inc. Boom mechanism
US6702064B2 (en) * 2002-04-02 2004-03-09 Chin Piao Huang Lifter having tiltable support rack assembly
US20060182631A1 (en) * 2005-01-17 2006-08-17 Leica Microsystems Cms Gmbh Lifting stage
US20090279994A1 (en) * 2008-05-07 2009-11-12 Ivan Kirilov Gramatikov Fork assembly lift mechanism
US7926670B2 (en) * 2009-05-01 2011-04-19 Westchester Capital, Llc Truck mounted telescopic boom structure including a stowable jib boom with a stowable personnel basket
CN101804638A (zh) * 2010-03-18 2010-08-1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多关节机械臂机构
US20120211301A1 (en) * 2011-02-22 2012-08-23 Genie Industries, Inc. Platform leveling system
CN102515066A (zh) * 2011-12-31 2012-06-27 杭州爱知工程车辆有限公司 一种带防倾翻机构的高空作业车工作斗调平装置
US8833519B1 (en) * 2012-03-01 2014-09-16 Westchester Capital, Llc Vehicle mounted telescopic boom structure
ITMO20130095A1 (it) * 2013-04-12 2014-10-13 Palfinger Platforms Italy S R L Piattaforma aerea a ridotto ingombro.
FI20135815L (fi) * 2013-08-06 2015-02-07 Fast Beam Oy Teline
FR3029514B1 (fr) * 2014-12-04 2017-01-13 Haulotte Group Dispositif compact de levage d'une charge securise pour son transport sur fourches
CN104591052B (zh) * 2015-01-19 2018-07-03 河南亿翔专用汽车有限公司 油电混合动力行走式高空作业平台
CN105036020A (zh) * 2015-08-19 2015-11-1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作业范围灵活的曲臂式高空作业平台
CN105036019A (zh) * 2015-08-19 2015-11-1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平台的起升臂总成
CN105036018A (zh) * 2015-08-19 2015-11-1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平台的曲臂式升降装置
CN105060199A (zh) * 2015-08-19 2015-11-18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度易扩展的曲臂式高空作业平台
CN105036016A (zh) * 2015-08-19 2015-11-1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的曲臂式高空作业平台
CN105036017A (zh) * 2015-08-19 2015-11-1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曲臂式高空作业平台
CN105236329A (zh) * 2015-10-28 2016-01-13 国网北京市电力公司 高空作业车
ITUB20155900A1 (it) * 2015-11-25 2017-05-25 Magni Telescopic Handlers S R L Piattaforma aerea semovente
ITUA20163671A1 (it) * 2016-05-23 2017-11-23 Iveco Magirus Centro di controllo di un dispositivo aereo comprendente un joystick ruotabile
CN106144978B (zh) * 2016-08-17 2018-09-25 徐州海伦哲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臂高空作业车
US10945905B2 (en) * 2017-05-31 2021-03-16 Mizuho Osi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or positioning a patient before, during, or after a medical procedure
CN110271883B (zh) * 2019-06-10 2024-06-11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车载自装卸平台及其液压机械腿
CN111086961A (zh) * 2020-01-19 2020-05-0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曲臂式高空作业平台车曲臂提升结构
CN111086962A (zh) * 2020-01-19 2020-05-0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曲臂式高空作业平台车动力系统
CN111017840A (zh) * 2020-01-19 2020-04-17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曲臂式高空作业平台电动车
CN111071967A (zh) * 2020-01-19 2020-04-28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曲臂式高空作业平台车曲臂调平结构
CN112158782A (zh) * 2020-10-08 2021-01-01 拉弗莱防坠落系统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安装设备用防坠落升降装置
RU2760476C1 (ru) * 2021-02-16 2021-1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АУ) Навесной манипулятор с вильчатым захватом
CN113292010A (zh) * 2021-05-12 2021-08-24 广东银狐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升降机构
KR102486516B1 (ko) * 2021-06-29 2023-01-06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복수개의 유압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차량
CN115010063A (zh) * 2022-07-11 2022-09-06 徐州海伦哲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跨越障碍能力强的绝缘高空作业平台臂架及运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718A (en) * 1960-04-27 1964-05-12 Hunt Pierce Corp Power-operated boom structure
US3483948A (en) * 1967-11-03 1969-12-16 Walter E Thornton Trump Elevator-boom structure
GB1217843A (en) * 1967-11-17 1970-12-31 Simon Eng Dudle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fting structures
US3768591A (en) * 1971-12-09 1973-10-30 J Stucky Double parallelogram linkage lift
US3807575A (en) * 1972-06-13 1974-04-30 Merrick Hydraulics Inc Elevating devices
US4019604A (en) * 1975-06-16 1977-04-26 Fabtek, Inc. Elevating platform apparatus
US4004652A (en) * 1976-04-12 1977-01-25 Laboy Alvarado Samuel Portable bridge structure
US4053075A (en) * 1976-08-30 1977-10-11 Caterpillar Tractor Co. High lift mounting means for loader buckets
WO1982001362A1 (en) * 1980-10-20 1982-04-29 Lyle E York Apparatus for lifting a member using parallelogram mounted links
DE3410952A1 (de) * 1984-03-24 1985-09-26 Alfons 7774 Deggenhausertal Moog Brueckenuntersichtvorrichtung
SE454002B (sv) * 1984-11-16 1988-03-21 Sjolanders Smides Och Mekanisk Mobil arbetsplattform
US4694930A (en) * 1985-04-03 1987-09-22 Kabushiki Kaisha Hikoma Seisakusho Lifting apparatus
IT1182578B (it) * 1985-09-30 1987-10-05 Fassi Gru Idrauliche Spa Gru elettricamente isolata ad elevata manovrabilita per il sollevamento e l accesso di operatori a linee elettriche aeree sotto tensione
US4757875A (en) * 1987-09-25 1988-07-19 Kidde, Inc. Vehicular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US4775029A (en) * 1987-10-08 1988-10-04 Jlg Industries, Inc. Collapsible tower boom lift
US4953666A (en) * 1989-03-31 1990-09-04 Strato-Lift,Inc. Elevating apparatus having an offset upper boom maintaining a workstation level on a cantilevered angularly movable support that retracts into a compact position
DE8910749U1 (de) * 1989-09-08 1991-02-07 Moog, Alfons, 7774 Deggenhausertal Brückenuntersichtvorrichtung
US5129480A (en) * 1991-03-21 1992-07-14 Kidde Industries, Inc. Articulated parallelogram boom assembly synchronization device
US5135074A (en) * 1991-06-27 1992-08-04 Simon Aerials Inc. Telescopic boom elevating apparatus with a mechanical lift and level linkage system
US5249643A (en) * 1992-04-03 1993-10-05 Kidde Industries, Inc. Vehicular self-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and telescoping parallelogram boom therefor
US5427197A (en) * 1992-12-07 1995-06-27 Waters; David Pruning system
US5584356A (en) * 1995-05-31 1996-12-17 Kidde Industries, Inc. Centerline double riser with single lift cylinder and link for a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5535T3 (es) 2007-02-16
CA2227986A1 (en) 1998-07-31
DE69835109D1 (de) 2006-08-10
AU5282298A (en) 1998-08-06
CN1195639A (zh) 1998-10-14
CN1105675C (zh) 2003-04-16
DE69825190T2 (de) 2005-08-04
CA2227986C (en) 2004-12-28
EP0856487B1 (en) 2004-07-28
EP0856487A3 (en) 2000-01-05
JPH10258993A (ja) 1998-09-29
ES2268209T3 (es) 2007-03-16
NZ329688A (en) 1999-06-29
DE69825190D1 (de) 2004-09-02
US6024191A (en) 2000-02-15
DE69835042D1 (de) 2006-08-03
DE69835109T2 (de) 2007-04-19
EP0856487A2 (en) 1998-08-05
AU724774B2 (en) 2000-09-28
DE69835042T2 (de)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0974A (ko) 관절식 이중 평행 사절 기구 붐 어셈블리가 있는 승강 장치
US7997369B2 (en) Articulating cab assembly for excavator
US4070807A (en) Aerial lift
US5249643A (en) Vehicular self-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and telescoping parallelogram boom therefor
CA2177344C (en) Centerline double riser with single lift cylinder and link for a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US3893540A (en) Lifting mechanism
US3385014A (en) Portable derricks
EP1340712B1 (en) Lift apparatus having articulated double parallelogram boom assembly
RU2191156C2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ачты для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мачтой
CA2480205C (en) Lift apparatus having an articulated double parallelogram boom assembly
JPS594600A (ja) 接近用プラツトフオ−ム
MXPA98000878A (en) Elevation apparatus that has a double articulated parallelogram pen assembly
JP4825356B2 (ja) ブーム式高所作業装置の作業台昇降装置
JP2508070Y2 (ja) ジブ付ブ―ムにおけるジブ起伏装置
KR100887559B1 (ko) 승강가능한 운전석을 구비하는 굴삭기
JP2508391Y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昇降支持構造
JP3411970B2 (ja) 作業車のアウトリガジャッキ
JP4772191B2 (ja) 作業装置
WO1987002974A1 (en) Lift platform
JP2673551B2 (ja) X型アウトリガ
RU2066673C1 (ru) Передвижной подъемник
KR200366086Y1 (ko) 승강가능한 운전석을 구비하는 굴삭기
JP4098875B2 (ja) 自走式クレーン
JP2000095483A (ja) 昇降台昇降装置
JPH021747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10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1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4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