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967U -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5967U KR19980065967U KR2019970010318U KR19970010318U KR19980065967U KR 19980065967 U KR19980065967 U KR 19980065967U KR 2019970010318 U KR2019970010318 U KR 2019970010318U KR 19970010318 U KR19970010318 U KR 19970010318U KR 19980065967 U KR19980065967 U KR 1998006596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lator
- adapter
- airbag
- assembled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아답터와 하우징의 엔드캡과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개선한 자동차 조수석에어용 인플레이터 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쿠션패창을 위한 인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인플레이터아답터를 개선하여 조립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켜주도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에어백의 쿠션을 팽창시켜주는 인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하우징의 엔드캡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아답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아답터(10)의 내경 끝단부에는 조립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탭(11, 11')을 다수곳에 형성하여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인플레이터의 조립성과 에어백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답터와 하우징의 엔드캡과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개선한 것이다.
자동차용 에어백은 자동차충돌시 운전자와 스티어링휠의 부딪힘과 조수석 승차자와 대시보드판넬상간의 부딪힘을 방지하여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3점식안전밸트를 장착하였을 경우를 감안하여소형이면서 안면보호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SRS에어백과 안전밸트를 장착하고 있지않은 상태를 감안하여 설치하는 대형 에어백등으로 구분이 된다.
에어백은 충돌시 이를 센서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되고 인플레이트(INFLATTOER; 에어백시스템의 가스발생장치)에 통전하여 착화를 시켜 쿠션이 팽창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의 쿠션팽창장치인 인플레이터는 에어백어셈블리의 하우징 엔드캡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아답터에 장착되어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인플레이터아답터는 엔드캡과의 결합시 별도의 시건수단이나 걸림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관계로 인플레이터가 자주 이탈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이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자체 진동이나 요철면 통과시 발생하는 진동등에 의하여 인플레이터아답터가 인플레이터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인플레이터가 탈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가 주행시 발생하는 충, 추돌시 에어백이 작동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터가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작동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질적인 저하를 가져오는 등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킨다.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에서도 인플레이터를 견고한 상태로 조립시켜주지 못함으로서 조립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여야 하고, 조립시간이 지연되는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에는 에어백의 목적인 인명사고의 방지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인플레이터를 수용하는 인플레이터아답터를 개선하여 조립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켜주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아답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부를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인플레이터아답터11, 11':탭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아답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부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에어백의 쿠션을 팽창시켜주는 인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하우징의 엔드캡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아답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아답터(10)의 내경 끝단부에는 조립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탭(11, 11')을 다수곳에 형성하여 결합되는 인플레이터의 외경을 압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탭(11, 11')은 인플레이터아답터(10)의 외측에서 프레싱에 의하여 형성하되 동일 원주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플레이터아답터(10)의 내경 전체에 형성하여도 인플레이터를 고정하는 데에는 별다른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인플레이터를 인플레이터아답터(10)에 조립하면 인플레이터아답터(10)의 내경 끝단부에 형성한 탭(11, 11')에 의하여 인플레이터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조립이 한결 쉬워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실차 조립이 완료된 후 자동주행중에 일어나는 진동등에 의해서도 인플레이터가 탭(11, 11')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쉽게 이탈되는등의 현상이 없어져 에어백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인플레이터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에어백의 팽창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 에어백의 쿠션을 팽창시켜주는 인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하우징의 엔드캡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아답터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인플레이터아답터(10)의 내경 끝단부에는 조립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탭(11, 11')을 다수곳에 형성하여,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0318U KR19980065967U (ko) | 1997-05-06 | 1997-05-06 |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0318U KR19980065967U (ko) | 1997-05-06 | 1997-05-06 |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5967U true KR19980065967U (ko) | 1998-12-05 |
Family
ID=6968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0318U KR19980065967U (ko) | 1997-05-06 | 1997-05-06 |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6596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949B1 (ko) * | 2006-06-21 | 2013-08-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에어백 |
-
1997
- 1997-05-06 KR KR2019970010318U patent/KR1998006596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949B1 (ko) * | 2006-06-21 | 2013-08-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에어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19173U (ja) | 膨張可能なカーテンの位置決めシステム | |
KR100547174B1 (ko)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KR19980065967U (ko) | 자동차 조수석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아답터 | |
JPS63235144A (ja) | 乗物用エアバツグ装置 | |
KR100308578B1 (ko) | 운전석용에어백모듈조립구조 | |
US7118128B2 (en) | Low leakage airbag module | |
KR100468540B1 (ko) | 스티어링휠의 에어백모듈 설치구조 | |
KR100397513B1 (ko) |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 |
KR100471758B1 (ko) |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 |
KR100547298B1 (ko) |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 |
KR100503242B1 (ko) |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 |
KR20040024280A (ko) | 측면에어백 | |
KR200152894Y1 (ko) |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 |
KR100503241B1 (ko) |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 |
KR100529495B1 (ko) | 조수석 에어백 모듈 | |
KR20000019658A (ko) | 에어백 모듈 | |
KR100507191B1 (ko) | 차량 운전자용 에어백의 에어백모듈 결합구조 | |
KR100520988B1 (ko) | 차량용 측면 에어백 | |
KR100510413B1 (ko) |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 |
JP2702070B2 (ja) |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 |
KR100503240B1 (ko) |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 |
KR20060016404A (ko) | 조수석 에어백 모듈 | |
KR19980046200U (ko) |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커버 | |
KR19980046199U (ko) | 자동차 에어백 모듈용 도어 어셈블리 | |
KR19980036181A (ko) | 자동차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인플레이터와 하우징일치형 취부방법과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506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