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5754A - 소수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754A
KR19980065754A KR1019970000867A KR19970000867A KR19980065754A KR 19980065754 A KR19980065754 A KR 19980065754A KR 1019970000867 A KR1019970000867 A KR 1019970000867A KR 19970000867 A KR19970000867 A KR 19970000867A KR 19980065754 A KR19980065754 A KR 19980065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digestive enzyme
hydrophobic
enzyme
prepa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491B1 (ko
Inventor
차봉진
김정훈
김수언
Original Assignee
유충식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식, 동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충식
Priority to KR101997000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4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4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73Cysteine endopeptidases (3.4.22), e.g. stem bromelain, papain, ficin, cathepsin 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4Mixtures of enzymes or proenzymes covered by more than a single one of groups A61K38/44 - A61K38/46 or A61K38/51 - A61K38/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과정중의 고온, 고습조건에서도 안정한 다층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외층에 배치되는 효소들이 고온, 고습의 유통과정중에서도 흡습억제 및 효소역가유지 등 안정성이 증가된 다층소화제제의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소화제제는 친수성이 강하면서 흡습성이 강한 효소제의 특성을 소수성인 물질을 사용하여 코팅과정에서 효소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친수성 효소표면을 소수성으로 변화시킴으로서 노출되어도 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흡습유발을 저하시키며 효소역가를 유지하여 안정한 효소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소수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효소코팅 정제의 흡습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제2도는 디메티콘 코팅이 브로멜라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유통과정중의 고온, 고습조건에서도 안정한 다층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효소제제들은 경구복용후 위에서 분비되는 염산 등으로 인하여 산성조건인 위에서 효소역가가 급격히 저하되어 약효가 감소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위에서는 녹지 않고 알칼리성 조건인 장에서만 녹는 고분자 물질(예를 들면 CAP,등)로 제제를 코팅하여 장에서 녹아 약효를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효소제제들은 제제가 장까지 도달해야만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신속한 약효발현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효과가 신속하면서도 위, 장의 전 소화기 영역에서 약효가 발휘되도록 효소제제(예를 들면 소화효소제)를 설계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제의 제조방법으로는 소화효소제제를 예를 들면 판크레아틴 등은 장에서 효과를 발휘하도록, 위에서 불용성인 장용피물질로서 장용코팅하여 장용정제를 제조하고, 그 외곽층에 내산성인 소화효소 등을 또다시 한번 코팅하여 복용시 위에서 신속하게 용해되면서 약효를 발휘하고 다시 장에서도 약효를 발휘하도록 제제를 설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제제들은 흡습성이 강한 효소들이 정제외층에 배치됨으로써 유통과정중 현저한 안정성 저하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를 행하여 왔으며, 그 결과 정제외층에 배치되는 효소들이 고온, 고습의 유통과정중에서도 흡습억제 및 효소역가유지 등 안정성이 증가된 다층소화제제의 제조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친수성이 강하면서 흡습성이 강한 효소제의 특성을 소수성인 물질을 사용하여 코팅과정에서 효소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친수성 효소표면을 소수성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수분에 노출되어도 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흡습유발을 저하시키며 효소역가를 유지하여 안정한 효소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용부로서 판크레아틴(Pancreatin)등과 알칼리성 영역에서 효소활성이 있는 소화효소를 습식조립법, 건식조립 또는 직타법등을 이용하여 판크레이틴이 함유된 나정을 제조한 후 장용 피막물질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CAP),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HPMCP)등을 사용하여 장용성 정제를 제조한 후 그 외곽층에 위용부로서 산성영역에서 효소활성이 있는 내산성 소화 효소인 브로멜라인(Bromelain), 미오디아스타제 2000등과 같은 소화효소제를 코팅한다. 이때 산성영역에서 효소활성이 있는 소화효소제와 함께 소수성 오일을 함께 녹여 산성영역에서 효소활성이 있는 소화효소제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등과 같은 통상의 결합제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켜 함께 코팅을 실시한다.
사용되는 소수성 물질로서는 디메티콘 오일(Dimethicone oil), 시메티콘 오일(Simethicone oil)등의 폴리실록산류, 카나바 왁스(Canauba wax), 밀납(Bees was)등의 왁스류를 사용한다.
다음에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처방(1정중)
판크레아틴 400mg
칼슘 포스페이트(dibasic) 49m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49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
HPMCP 35mg
HPMC 10mg
브로멜라인 30mg
디메티콘 오일 40mg
상기의 제조처방으로 장에서 녹는 구성성분으로 종합효소제인 판크레아틴과 부형제인 칼슘 포스페이트(2염기)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건식조립법으로 롤러컴팩터(Roller compacter)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한후 상기 과립물에 활택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한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한다. 나정을 HPMCP를 사용하여 장용코팅을 실시한후 위용코팅액으로 HPMC를 혼합용매에 녹인후 브로멜 라인을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균질하게 현탁시킨후 디메티콘 오일을 투입하여 용해시킨후 일정시간 교반을 실시한다. 위의 방법으로 조제된 코팅액을 자동필림코팅기에서 코팅을 실시하여 제제를 완성한다.
실시예 2
처방(1정중):
판크레아틴 400mg
칼슘 포사페이트(dibasic) 49mg
폴리비닐피롤리돈 5m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49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
HPMCP 35mg
HPMC 10mg
브로멜라인 30mg
디메티콘 오일 40mg
상기 제조처방으로 장에서 용해하는 구성성분으로 종합효소제인 판크레아틴과 부형제인 칼슘 포스페이트(2염기)를 균등하게 혼합한 후 습식조립법으로 PVP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시킨후 연합기를 이용하여 연합물을 제조한 후 오실레이터(Oscillater)에 16멧쉬의 체를 장착한 후 연합물을 통과시켜서 일정한 조립물을 제조한후 건조기에서 약 30℃로 건조한후 18멧쉬로 정립하여 과립물을 만든다. 과립물에 활택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한 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한후 장용피물질로 HPMCP를 사용하여 장용코팅을 실시한후 위용코팅액으로 HPMC를 적당한 혼합용매에 녹인후 브로멜라인을 호모믹서로 균질하게 현탁시킨후 디메티콘 오일을 투입하여 용해시킨후 일정시간 호모믹싱을 실시한다.
상기 방법으로 조제된 코팅액을 자동 필림코팅기에서 코팅을 실시하여 제제를 완성한다.
실시예 3
처방(1정중):
판크레아틴 400mg
칼슘 포스페이트(dibasic) 49m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49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
HPMCP 35mg
HPMC 10mg
브로멜라인 30mg
밀납 40mg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장에서 녹는 구성부분으로 종합소화효소제인 판크레아틴과 부형제인 칼슘 포스페이트(2염기성)를 균질하게 혼합한후 건식 조립법으로 롤러 컴팩터(Roller compacter)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한후 상기 과립물에 활택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한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한후 장용피물질로 HPMCP를 사용하여 장용코팅을 실시한후 위용코팅액으로 HPCM를 혼합용매에 녹인후 브로멜라인을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균질하게 현탁시킨후 밀납을 투입하여 용해시킨후 일정시간 교반을 실시한다.
위의 방법으로 조제된 코팅액을 자동필름코팅기에서 코팅을 실시하여 제제를 완성한다.
실시예 4
처방(1정중):
판크레아틴 400mg
칼슘 포스페이트(dibasic) 40mg
폴리비닐피롤리돈 5m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49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
HPMCP 35mg
HPMC 10mg
브로멜라인 30mg
밀납 40mg
상기 제조처방으로 장에서 녹는 구성성분으로 종합소화효소제인 판크레아틴과 부형제인 칼슘 포스페이트(2염기성)를 균등하게 혼합한후 습식조립법으로 PVP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한 후 연합기를 이용하여 연합물을 제조한후 오실레이터에 16멧쉬의 체를 장착한후 연합물을 통과시켜 일정한 조립물을 제조한후 건조기에서 약 30℃로 건조한 후 18멧쉬로 정립하여 과립물을 제조한다. 과립물에 활택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한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한후 장용피물질로 HPMCP를 사용하여 장용코팅을 실시한후 위용코팅액으로 HPMC를 적당한 혼합 용매에 녹인후 브로멜라인을 호모믹서로 균질하게 현탁시킨후 디메티콘 오일을 투입하여 용해시킨후 일정시간 호모믹싱을 실시한다.
상기 방법으로 조제된 코팅액을 자동필림코팅기에서 코팅을 실시하여 제제를 완성한다.
실시예 5
처방(1정중):
판크레아틴 400mg
칼슘 포스페이트(dibasic) 40m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49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
HPMCP 35mg
HPMC 10mg
비오디아스타아제 2000 30mg
디메치콘 오일 40mg
상기 제조처방으로 장에서 용해하는 구성성분으로 종합효소제인 판크레아틴과 부형제인 칼슘 포스페이트(2염기)를 균등하게 혼합한후 건식조립법으로 롤러 컴팩터(Roller compacter)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과립물에 활택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한 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한후 장용피물질로 HPMCP를 사용하여 장용코팅을 실시한후 위용코팅액으로 HPMC를 혼합용매에 녹인후 비오디아스타아제 2000을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균질하게 현탁시킨후 디메치콘오일을 투입하여 용해시킨후 일정시간 교반을 실시한다.
위의 방법으로 조제된 코팅액을 자동필름코팅기에서 코팅을 실시하여 제제를 완성한다.
실험예 1
흡습도에 대한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화효소제제와 실시예 1의 처방중 나정은 동일한 처방 및 동일 제조방법으로 제조하고 브로멜라인 코팅시 소수성 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즉, 디메티콘 오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통상적인 코팅방법으로 제조한 소화효소제제를 일정한 보관조건에 보관하고 정한 시간간격으로 정제의 흡습도를 정제의 중량증가율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첨부된 도면인 제1도에 나타내었다.
이 실험결과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제제(디메티콘 오일을 첨가하지 않은)에 비하여 디메티콘 오일이 첨가된 본 발명의 제제는 고온, 고습의 조건하에서도 수분흡수 억제능력이 뛰어남을 나타낸다. 제제에 수분이 흡수되면 제제의 변색현상, 정제의 팽윤으로 인한 균열현상, 그리고 효소역가의 저하를 촉진한다.
실험예 2
물리적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화효소제와 실시예 1의 처방중 나정은 동일한 처방 및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고 브로멜라인 코팅시 소수성 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즉 디메티콘 오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통상적인 코팅방법으로 제조한 소화효소제를 일정한 보관조건에 보관하고 정한 시간간격으로 정제의 성상, 정제의 균열도, 변색 등 물리적인 안정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Dimethicone에 함량(mg)에 대한 변색도
[표 1]
- : 변화없음
+ : 미황색
++ : 황색
+++ : 갈색, 정제균열발생.
상기의 실험에서는 소수성 오일인 디메티콘이 사용된 제제는 가혹조건에서도 정제의 변색정도나 정제의 균열현상 등 물리적인 안정성 측면에서 통상적인 제제에 비하여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내어 준다.
실험예 3
효소역가의 안정성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화효소제와 실시예 1의 처방중 나정은 동일한 처방 및 동일 제조방법으로 제조하고 브로멜라인 코팅 소수성 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즉, 디메티콘 오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통상적인 코팅방법으로 제조한 소화효소제제를 일정한 보관조건에서 보관하고 정한 시간간격으로 정제의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효소역가의 저하정도를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 평가하였다.
효소역가 측정방법:
이약 20정이상을 취하여 가루로 한 다음 브로멜라인으로서 24FIP 해당량을 정밀하게 달아 효소 활성용액을 가해 교반한후 100밀리리터 정용한다. 이 액 10밀리리터를 취해 효소활성용액으로 100밀리리터를 검액으로 한다.
시험관을 준비하고 검액에 T, 검액에 대응하는 대조액에 Tb를 표시하고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T, Tb에 카제인 기질용액 2.5밀리리터씩 넣고 35℃가 될때까지 수욕상에서 방치한다. T시험관에 검액 2.5밀리리터를 넣고 바로 혼화한다. 정확히 10분후에 T, Tb시험관에 단백질침전시액 5밀리리터씩을 넣는다. Tb에 검액 2.5밀리리터를 넣고 교반한후 T, Tb를 35℃로 항온조에서 30분간 방치한다. 여지로 여과한후 대조액을 대조로 2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약 1정중 단백소화력(FIP/정)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P = -0.857 X a/W X M
여기에서 a : 검액의 흡광도,
W : 검체 채취량(mg)
M : 정제평균중량(mg)임.
시액 :
(1) 단백침전액 : 삼염화초산 9그램, 초산나트륨 24.8그램, 초산 19.5밀리리터를 물에 용해시키고 500밀리리터 정용한다.
(2) 여지 : 침전시액 5밀리리터를 여과한후 여과하지 않은 침전시액을 대조로 하여 여액을 2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할 때 0.04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3) 트리스 완충액 :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6.06그램을 600밀리리터의 증류수에 녹인다. 묽은 염산으로 pH를 7.25가 되도록 조정하고 물을 가해 1리터로 정용한다.
(4) 효소활성 용액 : 시스테인 242g, EDTA 93mg, 염화칼륨 74.6mg을 트리스 완충액에 녹이고 필요하면 pH를 7.15로 맞춘다면 트리스 완충액으로 100밀리리터 정용한다.
(5) 기질활성용액 : 시스테인 242밀리그램, EDTA 93밀리그램을 트리스 완충액에 녹이고 필요하면 pH를 7.15로 맞춘다음 트리스 완충액으로 25밀리리터 정용한다.(용사조제).
(6) 카제인기질용액 : 카제인 2.5그램을 달아 물 10밀리리터를 넣어 녹이고 0.1N 수산화나트륨 15밀리리터를 넣어 혼화한다. 35℃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카제인이 녹으면 트리스완충액 50밀리리터를 가하고 기질활성용액 10밀리리터를 가한다. pH가 25℃에서 7.1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트리스완충액을 가해 10밀리리터 정용한다.(용시조제).
이 실험의 결과는 다음의 제2도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 도면에서는 디메티콘 오일이 사용된 본 발명의 제제는 가혹조건에서 효소제제의 역가저하 현상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또한 소수성 성분의 용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정한 효소제제는 대단히 안정한 제제이다.

Claims (4)

  1. 알칼리성 영역에서 약효를 발휘하는 소화효소물질을 내핵으로 하고, 그 표면을 장용성 코팅물질로 코팅한 후, 다시 그 표면을 내산성 소화효소에 소수성 물질 및 위용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코팅하여 제조된 안정한 다층 소화 효소제제.
  2. 제1항에서 알칼리성 영역에서 약효를 발휘하는 소화효소제로 판크레아틴을 사용하여 내핵으로 하고, 그 표면에 장용성 코팅물질로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AP)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PMCP)에서 선택된 물질로 장용코팅한 후, 다시 그 표면을 내산성 소화효소제인 브로멜라인 및 비오디아스타아제 2000에서 선택된 소화효소제에 위용물질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및 소수성 물질로 폴리실록산류 및 왁스류에서 선택된 소수성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제조된 안정한 다층 소화효소제제.
  3. 알칼리성 영역에서 약효를 발휘하는 소화효소물질을 내핵으로 하고, 그 표면을 장용성 코팅물질로 코팅한후, 다시 그 표면을 내산성 소화효소에 소수성 물질 및 위용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안정한 다층 소화효소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서 알칼리성 영역에서 약효를 발휘하는 소화효소제로 판크레아틴을 사용하여 내핵으로 하고, 그 표면에 장용성 코팅물질로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AP)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파틀레이트(HPMCP)에서 선택된 물질로 장용코팅한후, 다시 그 표면을 내산성 소화효소제인 브로멜라인 및 비오디아스타아제 2000에서 선택된 소화효소제에 위용물질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CM) 및 소수성 물질로 폴리실록산류 및 왁스류에서 선택된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안정한 다층 소화효소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000867A 1997-01-14 1997-01-14 소수성물질을이용한안정화효소제제및그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1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867A KR100518491B1 (ko) 1997-01-14 1997-01-14 소수성물질을이용한안정화효소제제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867A KR100518491B1 (ko) 1997-01-14 1997-01-14 소수성물질을이용한안정화효소제제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54A true KR19980065754A (ko) 1998-10-15
KR100518491B1 KR100518491B1 (ko) 2005-12-06

Family

ID=3730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8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8491B1 (ko) 1997-01-14 1997-01-14 소수성물질을이용한안정화효소제제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12B1 (ko) * 2002-04-16 2006-01-16 주식회사 엔지뱅크 계면활성효소, 계면활성효소 합성방법 및 고정화된 효소 제조방법
KR100933183B1 (ko) * 2007-09-20 2009-12-22 대원제약주식회사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308B1 (ko) * 1996-12-24 1999-09-01 정지석 이중핵정의 복합소화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12B1 (ko) * 2002-04-16 2006-01-16 주식회사 엔지뱅크 계면활성효소, 계면활성효소 합성방법 및 고정화된 효소 제조방법
KR100933183B1 (ko) * 2007-09-20 2009-12-22 대원제약주식회사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491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5054C1 (ru) Тверд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ора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US5496561A (en) Controlled release-initiation and controlled release-r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653996B2 (ja) 徐放性薬剤
RU2442574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pН-ЗАВИСИМОЕ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МОДИФИКАТОР pН И ЗАМЕДЛЯЮЩИЙ АГЕНТ
US5529790A (en) Delayed, sustained-release diltiazem pharmaceutical preparation
RU2207121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омепразола
JP2773959B2 (ja) 大腸内放出性固形製剤
EP0502556B1 (en) Use of specific core material and layers to obta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stable to discolouration of acid labile compounds
US522913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910002641B1 (ko) 산불안정화합물의 내복용 제제
NZ201008A (en) Oral preparations containing dipyridamole and at least 5 molar equivalents of orally acceptable acidic excipient
CA214265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E61419B1 (en) Sustained release matrix formulations
CN101596165A (zh) 泮托拉唑钠肠溶微丸
JP2003510346A (ja) 新規医薬組成物
EP0673650A1 (fr) Formes galéniques à libération prolongée du chlorhydrate d'alfuzosine
EP0425298B1 (en)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of basic medical agent hydrochloride
JPH0624962A (ja) 腸溶徐放性製剤
KR100518491B1 (ko) 소수성물질을이용한안정화효소제제및그의제조방법
AU742535B2 (en) Solubilized sertraline compositions
US3784683A (en) Tablet preparation
JPH0873345A (ja) 医薬製剤
KR19990067264A (ko) 서방형 시사프라이드
JPH0440327B2 (ko)
MXPA99012101A (en) Solubilized sertralin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