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5398U -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398U
KR19980065398U KR2019980015897U KR19980015897U KR19980065398U KR 19980065398 U KR19980065398 U KR 19980065398U KR 2019980015897 U KR2019980015897 U KR 2019980015897U KR 19980015897 U KR19980015897 U KR 19980015897U KR 19980065398 U KR19980065398 U KR 199800653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signal
current
radio wave
de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기
나병영
Original Assignee
나병영
조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영, 조승기 filed Critical 나병영
Priority to KR2019980015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398U/ko
Publication of KR19980065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398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측자로부터 수m ~ 수십m의 근거리 또는 높은곳에 위치한 전력선의 전류를 무선전파송출방식의 검측기로 검측하고 이 검측된 결과치를 표시기에서 무선전파방식으로 검출자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수신하여 숫자로 표시되게 하여, 전력선 전류의 검측시 계측자가 전력선으로부터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위치에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결과치를 근접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독 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전력선과 접촉하는 검측기와 지상의 계측자가 그 결과치를 수치로 간단히 판독할 수 있는 계측기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검측기와 계측기에 각각 무선전파방식의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근거리 위치의 저압이나 특고압 전력선의 전류치 측정시 검측기의 크램프식 변류기(CT)를 절연봉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절연봉 선단의 검측기의 클램프식 변류기에 전력선을 삽치시켜 전류치를 검측하고, 이 검측된 전류치를 전파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여 계측자가 휴대하는 계측기로 이를 수신하여 LCD 표시장치로 된 계측기에 전류치를 수치로 나타나게하여 직독하게 함으로서, 전력선 전류검측시 전력선과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검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저압용이나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선에 관계없이 전력선의 전류 검측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선의 전류검출작업을 적은 인력과 노고로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본 고안은 계측자로부터 수m ~ 수십m의 근거리 또는 높은곳에 위치한 전력선의 전류를 무선전파송출방식의 검측기로 검측하고 이 검측된 결과치를 표시기에서 무선전파방식으로 검출자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수신하여 숫자로 표시되게 하여, 전력선 전류의 검측시 계측자가 전력선으로부터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위치에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결과치를 근접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독 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전력선과 접촉하는 검측기와 지상의 계측자가 그 결과치를 수치로 간단히 판독할 수 있는 계측기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검측기와 계측기에 각각 무선전파방식의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근거리 위치의 저압이나 특고압 전력선의 전류치 측정시 검측기의 크램프식 변류기(CT)를 절연봉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절연봉 선단의 검측기의 클램프식 변류기에 전력선을 삽치시켜 전류치를 검측하고, 이 검측된 전류치를 전파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여 계측자가 휴대하는 계측기로 이를 수신하여 LCD 표시장치로 된 계측기에 전류치를 수치로 나타나게하여 직독하게 함으로서, 전력선 전류검측시 전력선과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검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저압용이나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선에 관계없이 전력선의 전류 검측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선의 전류검출작업을 적은 인력과 노고로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수m∼수십m의 근거리나 높은곳에 위치하는 고압 또는 특고압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측함에 있어서는, 대체로 크램프식 변류기(CT) 및 아날로그 미터기 또는 디지털 미터기(이하 지시계기라고 함)가 1개의 본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검측기로 검측하되, 전력선의 위치와 전력선의 전압에 따라 검측기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선단부에 착설하여 전류검측시 작업자가 전력선과 안전거리를 유지한 위치에서 절연봉을 조작하여 검측기에 일체로 설치된 크램프식 변류기(CT)를 전력선에 크램프시켜 전류치를 검측하고, 이 검측된 결과치를 검측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지시계기에 나타나게 하여 검측자가 지시계기가 지시하는 눈금을 육안으로 판독하여 결과치를 확인 점검하는 방법으로 검측함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한 전력선의 전류검측작업시 작업자가 전력선에 검측기의 변류기를 크램프한 상태에서 지시계기에 눈금상으로 나타나는 결과치를 판독하는 경우가 통상적이고, 이에 따라 전력선으로의 접근에도 한계가 있어, 작업자는 검측기와 상당히 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 지시계기눈금을 육안으로 판독하게 되므로서 판독작업이 불편하고 정확한 결과치를 판독하기가 어려워 작업이 비효율적인 결함이 있었으며, 작업시 작업자가 전력선으로의 근접접근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뒤따르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고압 또는 특고압이 흐르는 전력선과의 근접접근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매우 높아 고압 또는 특고압 전류검측작업 및 판독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전력선과의 근접접근이 어려운 실정이어서 이에 따라 절연봉의 길이도 상대적으로 길어져 측정시 검측기와 작업자가 상당히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검측하게 되므로서 작업자가 검측기를 전력선에 크램프한 상태에서 검측기의 지시계기에 나타나는 눈금을 정확히 읽어 결과치를 판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여 그 검측이 부정확하고 정밀하지 못한 실정이어서, 이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절연봉을 조작하여 검측기의 크램프식 변류기를 전력선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절연봉의 선단에 착설된 검측기를 작업자의 눈높이로 근접시킨다음 그 검측 결과치를 판독하게 되므로서 고압,특고압 전력선의 전류검출작업이 번다하고 복잡한 결함이 있고, 또한 3상 전력선의 검측작업의 경우에는 3상전력선의 매상을 한상씩 검측한 후 절연봉에 설치된 검측기를 전력선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판독하고, 다시 검측코져 하는 전력선에 걸어 다른상의 전류를 검측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함으로서 전류치의 판독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워 많은 노고가 요구되는 작업상의 결합이 있었다.
한편, 저압 전력선의 전류를 검측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절연봉에 설치된 크램프식 변류기(CT)의 2차측의 선을 지상까지 도달하게 길게 형성하여 지상에서 검측결과를 판독하게 하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시 지상으로 길게 늘어진 선의 처리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거추장스러워 작업에 지장을 주거나 작업이 번다한 결함이 있고, 검측시 절연봉 취급자와 검측치를 판독하는 작업원이 함께 동반되어 작업하게 되므로서 작업에 많은 인력과 노고가 요구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는 한편,고압이나 특고압의 경우에는 그 사용이 불가는한것 등의 작업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등의 여러가지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계측자로부터 수m ~ 수십m의 근거리에 위치한 전력선의 전류의 검측과 결과치 판독을 무선전파송수신방법으로 수행하여, 전력선 전류의 검측작업시 작업자가 전력선으로부터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위치에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결과치를 근접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독 할 수 있도록하여 저압이나 고압 또는 특고암의 전력선에 구애됨이 없이 작업자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정확하고 능률적이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안은 전력선과 접촉하는 검측송신기와 지상의 계측자가 그 결과치를 수치로 간단히 판독할 수 있는 표시수신기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검측송신기와 표시수신기에는 각각 무선전파방식의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근거리 위치의 전력선이나 특고압 전력선의 전류치 측정시 검측기의 크램프식 변류기(CT)를 절연봉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절연봉 선단의 검측송신기의 클램프식 변류기에 전력선을 삽치시켜 전류치를 검측하고, 이 검측된 전류치를 전파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여 계측자가 휴대하는 표시수신기기로 이를 수신하여 LCD 표시장치로 된 계측기에 전류치를 수치로 나타나게하여 직독하게 함으로서, 전력선 전류검측시 전력선과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검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저압용이나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선에 관계없이 전력선의 전류 검측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선의 전류검출작업을 적은 인력과 노고로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계통도
도 2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세부 회로도로서,
(가)도는 본 고안의 검출송신기 회로도이고,
(나)도는 본 고안의 표시수신기 회로도이다.
※ 도면 부호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A:검출송신기 B:표시수신기
1: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 2: A/D 변환회로부
3: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 4: 검출신호무선수신회로부
5: 직렬/병렬신호 변환회로부 6: 표시회로부 7: LCD표시기
Q₁,Q₂: 비교증폭기 R₁∼R9: 저항 C₁∼C6: 콘덴서
D₁∼D₂: 다이오드 IC1: A/D컨버터 IC₂: 엔코더
IC₃: 전파송신모듈 IC₄: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IC5∼IC7, IC13∼IC15: 게이트회로 IC8: 전파수신모듈
IC9IC10: 디코더 IC11: 디케이트카운터 IC12: LCD드라이브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브럭다이어그램이고, 도 2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검출송신기와 표시수신기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가)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검출송신기(A)에는 크램프식 변류기(CT)가 접속연결되어 있고, 검출송신기(A)는 절연봉에 착탈가능하게 착설되어 사용하게 된다. 검출송신기(A)의 크램프식 변류기(CT)의 2차측에는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1)와 A/D변환회로부(2),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가 접속 연결된다. 검출송신기(A)의 크램프식 변류기(CT)는 절연봉 조작에 의하여 검출코져하는 전력선(도시 없음)에 크램프되거나 해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력선의 전류검출시 크램프식 변류기(CT)의 2차측에 검출된 전력선의 전류는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1)의 저항(R1)양단에 교류전압을 유기하고, 이 검출된 교류전압은 저항(R2)을 통해 비교증폭기(OP AMP)(Q1)에 의하여 교류상태로 증폭된 다음, 다이오드(D1)(D2)로 구성된 정류회로에 의하여 직류로 정류된 다음, 저항(R3),(R4)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된 저대역필터회로(Low Pass Filter)를 거쳐 평활시킨 다음, 저항(R5)와(R6)의 비(RATIO)만큼 비교증폭기(OP AMP)(Q₂)에서 직류증폭하고 콘덴서(C₃)에 의하여 평활시켜 검출된 교류전압을 직류신호로 정류하여 변환시켜 주고, 이 변환된 직류검출신호를 A/D변환회로부(2) 및 전송신호 발생부(3)로 송출하게 한다.
또한,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1)의 가변저항(VR1)에서 전력선에서 검출되는 신호크기에 따라 증폭도를 조절하게 하고, 가변저항(VR2)에서는 비교증폭기(Q₂)의 0점(ZERO POINT)조절하게하여 전류검출범위를 조정하게 한다.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1)에서 정류된 직류상태의 검출신호가 A/D변환회로부(2)의 A/D컨버터(IC1)에 노이즈필터(NOISE FILTER) 회로의 저항(R10) 및 콘덴서(C8)를 통하여 입력되면 A/D컨버터(IC1)의 출력단(D1~ D5)에서는 디지트(DIGIT)출력신호가 출력되고 A/D컨버터(IC₁)의 출력단(B1~ B4)에서는 십진수 데이터 출력이 다이나믹 드라이브 방식으로 각각 출력된다.
본 고안에서는 직렬전송신호의 변환 방식을 엔코더/디코더(Encoder/Decoder)방식으로 변환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서 엔코더(IC2)의 어드레스 입력단(A0~ A4)에 A/D컨버터(IC1)의 출력단(D1~ D5)의 디지트 신호가 입력되게 연결하고 데이터 신호 입력단(D1~ D5)에는 A/D컨버터(IC1)의 데이타 출력이 입력되게 연결하여 A/D컨버터(CT1)의 1개 디지트신호의 매출력마다 4비트의 씨리얼 전송 데이터가 엔코더(IC2)의 데이터신호출력단(D OUT)에서 출력되게 하는데, 이때 A/D컨버터(IC1)는 데이터를 다이나믹 드라이브 하는데 있어서 클럭 입력 주파수에 종속되어 있고, 클럭입력주파수는 A/D 데이터 변환 속도를 결정하게 되므로, 검출신호 무선송출회로(3)의 전파전송모듈(IC3) 및 안테나(ANT1)을 통해 검출신호를 후술하는 표시수신기(B)로 전송할 때에는 클럭주파수를 낮추어서 엔코더(IC2) 및 검출신호 무선송출회로부(3)의 전파송신모듈(IC₃)의 전송속도에 맞추어야 하며, 또한 A/D데이타 변환을 위해서는 클럭 주파수를 높여서 A/D컨버터(IC1)의 고유의 특성을 발휘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A/D 컨버터(IC1)의 스트로브신호(STRB)를 인출하여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IC4)로 단안정 멀티발진신호를 발생시켜 전송시간과 A/D변환시간을 구분 출력케 한 다음,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4)의 Q출력단자에서는 전송시간을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게 하고,출력단자에서는 A/D변환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게 하여,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IC₄)의 Q 및출력단에 각각 게이트 회로(IC5)(IC6)를 접속연결하고, 이의 출력단에 게이트회로(IC7)를 연결하여, 게이트회로(IC7)의 출력신호를 A/D컨버터(IC1)의 클럭단자(CLK)에 입력되게 접속하여 A/D컨버터(IC₁)를 제어하게 하여 클럭 주파수를 구분 발생 시키게 한다.
즉, 본 고안의 A/D변환회로부(2)에 상기한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1)로부터 검출치가 입력되어 그 측정치를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의 전파전송모듈( IC3) 및 안테나(ANT1)을 통해 전송시에는 A/D컨버터(IC1)에 입력되는 클럭주파수가 느려야 하므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IC4)의 Q출력은 게이트 회로(IC5)에 입력되고 게이트 회로(IC5)의 다른 입력측에는 저항(R7) 및 콘덴서(C5)로 376HZ정도의 낮은 주파수를 발전시키도록 하여 게이트회로(IC7)을 통해 A/D컨버터(IC1)의 클럭단자(CLK)에 입력되게 하고, A/D변환시에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IC4)의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회로(IC6)가 동작하여 저항(R8) 및 콘덴사(C6)에 의하여 비교적 빠른 316KHZ의 발진을 일으켜 게이트회로(IC7)을 통하여 A/D컨버터(IC1)의 클럭단자(CLK)에 입력되게 한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하여 A/D컨버터(IC1)의 스트로브(STRB) 신호는 2~3초마다 5개의 펄스 출력이 수백 m sec 간격으로 발생되어 엔코더(IC2)의 TE입력단에 입력되어 엔코더(IC2)를 제어하여 스트로브신호(STRB)입력시마다 엔코더(IC2)의 데이터 출력단자(DOUT)에서는 전송신호가 송출되어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의 전파송신모듈(IC3)로 입력되게 되는데, 이때 엔코더(IC2)의 송신클럭주파수는 발진신호입력단(OSC0,OSC1)에 접속된 저항(R9)에 의하여 발진하게 되고, 엔코더(IC2)의 데이터 출력단자(DOUT)의 출력신호는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의 311MHZ전파송신모듈(IC3)에 입력되어 안테나(ANT1)를 통해 후술하는 표시수신기(B)로 무선송출되며, 이의 출력단에 접속된 재너다이오드(ZD1)에 의하여 특고압 부근에 접근될 경우, 특고압정전용량으로 인한 전파 송신모듈(IC3)의 파괴를 방지하고, 콘덴서(C7)에 의하여 고압이 차단되어 안정된 전력선의 전압이 저압이거나 고압 또는 특고압이거나에 관계없이 검출신호를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의 안테나(ANT1)를 통해 정확히 무선 송출하게 된다.
도 2의 (나)도는 상기 검출송신기(A)의 무선송출신호를 수신하여 크램프식 변류기(CT)에서 검출된 전력선의 전류를 디지털로 표시하여 손쉽게 그 결과치를 판독할 수 있게 한 표시수신기(B)의 상세회로도이다.
표시수신기(B)는 상기한 검출송신기(A)의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의 전파송신모듈(IC3)의 검출송신신호를 안테나(ANT2)를 통하여 무선으로 원거리에서도 수신할 수 있는 전파수신모듈(IC8)을 구비한 검출신호무선수신회로부(4)를 구비하고, 이의 출력단에 디코더(IC9),(IC10) 및 디케이트카운터(IC11), 게이트회로(IC13)(IC14)(IC15)로 구성되는 직렬/병렬신호변환회로부(5)와 표시회로부(6)을 접속 구성하여, 검출신호무선수신회로부(4)의 수신출력을 직렬/병렬신호변환회로부(5)의 디코더(IC9) 및 (IC10)의 데이터 입력단(DIN)에 각각 입력되게 하는데, 상기 검출송신기(A)로 부터의 무선입력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직렬/병렬신호변환회로부(5)의 디코더(IC9) 및 (IC10)각각의 출력단(VT)에서 출력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는 디게이트카운터(IC11)의 클럭단자(CLK)와 리셋트단자(RST)에 각각 입력되어 디코더(IC10)에 의하여 디케이트카운터(IC11)가 리셋트 됨과 동시에 디케이트카운터(IC11)의 출력단(Q0~ Q3)에서는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면서 출력을 나타내고, 이 신호는 디코더(IC9)의 어드레스 단자(A0~ A4)에 입력되어 디코더(IC9)의 어드레스를 변화시켜 셋트시켜 주게 됨으로서, 디코더(IC9)의 어드레스 단자(A0~ A4)에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해당되는 A/D변환 데이터가 디코더(IC9)의 데이터 출력단(D8~ D11)에 나타나게 되어 후술하는 LCD드라이브(IC12)를 구동시켜 LCD표시기(7)에 클램프식 변류기(CT)에 검출된 전류치를 숫자로 표시되게 한다.
본 고안에 있어 표시회로부(6)의 LCD드라이브(IC12)의 입력신호는 2Bit 바이너리 입력이므로 디케이트카운터(IC11)의 다이나믹 출력(Q0~ Q3)을 게이트회로(IC13)(IC14)를 통하여 바이너리 신호로 변환시켜 준다음 입력되게 하고, LCD 드라이브(IC12)의 CS입력은 디코더(IC9)의 출력단(VT)의 신호를 게이트회로(IC15)로 반전시킨 다음 입력되게 하여 줌으로써 LCD표시기(7)에는 검출된 전류치가 10진 숫자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검출송신기(A)와 표시수신기(B)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전력선의 전류를 검측하는 검출송신기(A)와 이의 검출치를 숫자로 표시하는 표시수신기(B)는 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상호 무선 방식의 송수신 방법이므로 검출송신기(A)와 표시 수신기(B)에는 각각의 전원 회로(8)(9)가 내장되어 있다.
검출송신기(A)의 전원회로(8)는 3V 밧데리(BATT1)를 내장하고 검출송신기(A)의 구성상 증폭기(OPAMP)(Q1)(Q2)가 채용되고 있으므로서 +,- 양전원이 필요하고 A/D컨버터등 기타 반도체 소자들은 5~7 V 의 전원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승압회로(IC16), 예컨데 MAX680 IC를 채용하여 3V 전원을6V 양방향 전원으로 승압, 변환시켜 사용하게 하고, 또한 표시수신기(B)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모두 5V 단일전원이 필요하므로 전원회로(9)를 9V 밧데리(BATT2)를 정전압 회로(IC17)로5V로 강하하여 안정된 동작을 하게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계측자로부터 수m ~ 수십m의 근거리에 위치한 전력선의 전류의 검측과 결과치 판독을 무선전파송수신방법으로 수행하여, 전력선 전류의 검측작업시 작업자가 전력선으로부터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위치에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결과치를 근접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독 할 수 있도록하여 저압이나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선에 구애됨이 없이 작업자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정확하고 능률적이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전력선과 접촉하는 검측기와 지상의 계측자가 그 결과치를 수치로 간단히 판독할 수 있는 계측기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검측기와 계측기에 각각 무선전파방식의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근거리 위치의 전력선이나 특고압 전력선의 전류치 측정시 검측기의 크램프식 변류기(CT)를 절연봉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절연봉 선단의 검측기의 클램프식 변류기에 전력선을 삽치시켜 전류치를 검측하고, 이 검측된 전류치를 전파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여 계측자가 휴대하는 계측기로 이를 수신하여 LCD 표시장치로 된 계측기에 전류치를 수치로 나타나게하여 직독하게 함으로서, 전력선 전류검측시 전력선과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검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저압용이나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선에 관계없이 작업자는 적은인력과 노고로 전력선의 전류 검측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선과 떨어진 안전거리위치에서 표시수신기를 근접하여 판독할 수 있게 되어 야간 작업시에도 효과적으로 전력선의 전류검출작업을 유효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크램프식 변류기(CT)를 취부하고, 변류기(CT)에서 검출된 교류신호를 증폭하고 정류하기 위한 검출신호증폭 및 정류회로부(1)와, 검출된 신호를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IC₁),엔코더(IC₂)로 구성되는직렬/병렬신호변환회로부(2)와, 이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전파전송모듈(IC₃)와 안테나(ANT₁)로 구성되는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부(3)를 구비한 검출송신기(A)와,
    안테나(ANT₂)와 전파수신모듈(IC8)로 구성되는 검출신호무선수신회로부(4)와, 직렬통신수신신호를 병렬통신신호로 변환하기위한 디코더(IC8)(IC10) 디케이트카운터(IC11)로 구성되는 직렬/병렬신호변환회로부(5)와, LCD드라이브(IC12)와 LCD표시기(7)로 구성된 표시회로부(6)를 구비한 표시수신기(B)로 구성되어 무선전파방식의 송수신방법에 의하여 전력선의 전류를 검출하고 숫자로 표시되게 함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송신기(A)에서의 전송신호 송출시 직렬/병렬신호변환회로부(2)의 A/D컨버터(IC₁)의 클럭주파수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IC₄)와 게이트회로(IC5)(IC6)(IC7)로 되는 각기 다른 발진 주파수를 입력시켜, 엔코더(IC₂)와 검출신호무선송출회로(3)의 전송시간과 A/D컨버터(IC₁)의 데이터변환특성을 제어함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KR2019980015897U 1998-08-20 1998-08-20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Ceased KR199800653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897U KR19980065398U (ko) 1998-08-20 1998-08-20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897U KR19980065398U (ko) 1998-08-20 1998-08-20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398U true KR19980065398U (ko) 1998-11-25

Family

ID=6951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897U Ceased KR19980065398U (ko) 1998-08-20 1998-08-20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39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222A (ko) * 2003-03-07 2004-09-14 한근조 회전체의 무선 응력 측정장치
KR100449801B1 (ko) * 2002-10-31 2004-09-22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저압 최대전류 측정기
KR100949771B1 (ko) * 2007-10-17 2010-03-30 오성종합기술(주) 양방향 통신형 핫스틱
KR101038138B1 (ko) * 2008-09-09 2011-05-31 한국전력공사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801B1 (ko) * 2002-10-31 2004-09-22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저압 최대전류 측정기
KR20040079222A (ko) * 2003-03-07 2004-09-14 한근조 회전체의 무선 응력 측정장치
KR100949771B1 (ko) * 2007-10-17 2010-03-30 오성종합기술(주) 양방향 통신형 핫스틱
KR101038138B1 (ko) * 2008-09-09 2011-05-31 한국전력공사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4658B1 (en)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phasing voltmeter multimeter
CN110959243B (zh) 具有基于耦合系数的线圈选择的无线功率系统
SG10201708902R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Object Detection
EP2241898A1 (en) Power measuring system, measuring apparatus, load terminal, and device control system
CN207882335U (zh) 一种特高压输电线路非接触式验电系统
CN105182060A (zh) 一种自供电分布式无线电流传感器
CN110618396A (zh) 一种基于蓝牙传输的电表检定方法
KR910002793B1 (ko) 전력선에 대한 물체의 근접상태 검출 경보방법 및 그장치
US6617840B2 (en)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phasing voltmeter
US201401677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circuit
JP2016090581A (ja) 電力測定装置及び電力測定方法、並びに、漏電検出装置及び漏電検出方法
KR19980065398U (ko)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CN206740839U (zh) 一种无线电流互感器
CN113092925A (zh) 配电网拓扑结构识别装置
CN204758741U (zh) 一种电力电缆智能识别发射及接收装置
CN207601205U (zh) 电动汽车无线充电设备的测试系统
KR100313081B1 (ko) 코어없는 개방형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선 전류 측정장치
CN116718828B (zh) 一种基于rfid的验电装置及系统
CN1737583A (zh) 户内环网柜智能核相的方法
CN204008823U (zh) 非接触式带电识别验电器
CN211123000U (zh) 一种无线测量电流表
CN201449408U (zh) 多功能测量仪表
CN211697969U (zh) 一种用于充电器主板的充电效率计算及校准电路
CN107315113B (zh) 道砟电阻检测装置及道砟电阻检测方法
CN209513919U (zh) Gis变电站线路核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8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82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7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