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3361A -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 - Google Patents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361A
KR19980063361A KR1019970030592A KR19970030592A KR19980063361A KR 19980063361 A KR19980063361 A KR 19980063361A KR 1019970030592 A KR1019970030592 A KR 1019970030592A KR 19970030592 A KR19970030592 A KR 19970030592A KR 19980063361 A KR19980063361 A KR 19980063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ritical
solvent
mixture
dispersion
vess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238B1 (ko
Inventor
카미와노미쯔오
니시카주히코
이노우에요시타카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마사카주
카부시키가이샤이노우에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마사카주, 카부시키가이샤이노우에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노우에마사카주
Publication of KR1998006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2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30Mixing gase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1Metho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5Mixing liquids with solids the mixture being submitted to electrical, sonic or similar energy
    • B01F23/551Mixing liquids with solids the mixture being submitted to electrical, sonic or similar energy us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04Specific aggregation state of one or more of the phases to be mixed
    • B01F23/043Mixing fluids or with fluids in a supercritical state, in supercritical conditions or variable density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초임계 유체를 이용해서 용매속으로 균일하게 분산하는 방법 및 장치.
고체, 액체 등의 분산질은, 용매와 혼합되고, 이 혼합물이 초임계 용기에 제공된다. 이 초임계 용기에 초임계 용매를 제공한다. 이 초임계 용매를 임계압력이상으로 가열가압하여, 초임계 유체로 한다. 그 후 상기 혼합물과 초임계 유체를 교반혼합한다. 얻어진 초임계 혼합물을 폭쇄조에서 대기압으로 해방한다. 이것으로 인해 상기 분산질은 용매속으로 효율좋게 분산한다.

Description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
본 발명은 고체(미립자)와 액체를 혼합분산하는 고체一액체계의 분산 및 액체와 액체를 혼합유화하는 액체-액체계의 분산이나 고체一액체(물)-액체(유기용매)계의 분산방법에 관하여, 특히 분산수단으로서 초임계상태의 초임계 용매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료, 잉크, 세라믹, 화장품, 식료품 그밖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고체계의 분산질을 분산하기위해서 니더, 로울밀, 매체분산기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또한 액체계의 분산질을 유화하기위해서 호모지나이저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있지만, 이들의 처리는, 일반적으로 분산입자에 전단력 등을 기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미립자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처리후의 장치의 세정 등이 번거롭기도 하는 것이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은 분산방법을 개량하도록 초임계상태에 있어서 용제와 분산질을 혼합하고, 상기 용제를 급격히 팽창하는 것에 의해 분산질을 미립화한 후, 바니스, 톨루엔 등으로 이루어지는 매체속으로 불어넣도록 한 분산방법도 제안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미립자를 매체속으로 불어넣을 때에 재응집이 일어나거나, 분산상태가 열화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압력이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기체와 같은 밀도에서 액체와 같은 밀도까지 밀도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바꿀 수 있는 초임계 유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결점을 발생하지않고 고체계나 액체계의 분산질을 효율좋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컴퓨터제어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산질과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을 초임계 용기에 공급하고, 상기 초임계 용기에 초임계 용매를 공급하여, 상기 초임계 용매를 기상상태에서 초임계 유체로 하도록 가열가압하고, 상기 초임계 용기내에서 상기 혼합물과 상 기 초임계 유체를 혼합하고, 그 후 상기 혼합물과 초임계 유체와의 초임계 혼합물을 폭쇄조로 안내하여, 상기 폭쇄조에서 대기압으로 분출함과 함께 충돌시켜, 상기분산질을 용매속으로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용매란, 초임계상태를 만들기 위한 용매를 의미하며, 또한 초임계상태, 초임계 유체란 임계온도, 임계압력을 넘는 소위 초임계상태, 초임계 유체의 외에, 그와 같은 임계온도, 임계압력을 약간 밑도는 듯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상전이의 상태변화가 매우 단시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초임계상태, 초임계 유체와 거의 같은 취급을 할 수 있는 듯한 아임계상태, 아임계 유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폭쇄란 하기의 효과를 발생하는 조작을 말한다.
(1) 분산질이 다공성 입자인 경우, 그 세공이나 미세한 틈내에 초임계 유체가 침입하여 급속히 감압할 때의 급격한 부피팽창작용에 의해 파쇄, 분산하는 효과,
(2) 세공이나 좁은 틈의 슬릿을 갖는 노즐로부터 초임계상태의 분산액을 음속 내지 그것을 넘는 유속을 갖고 분출시킴으로써 분산질에 고전단변형작용을 부여해서 파쇄, 분산하는 효과,
(3) 분출액체의 미립자의 질량에 대응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벽면 등에 충돌시켜, 이것에 의해 분산질에 충격작용을 부여해서 파쇄, 분산하는 효과.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체(미립자)-액체계의 분산방법을 나타내며, (A)는 슬러리넣기공정, (B)는 초임계상태화 공정, (C)는 분류교반을 이용한 경우의 교반혼합공정, (D)는 폭쇄노즐과 수직판상 충돌부를 이용한 경우의 폭쇄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교반수단을 나타내고, (A)는 분류교반, (B)는 초음파교반, (C)는 외부이동자계에 의해 구동하는 진동판, (D)는 외부이동자계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날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폭쇄조의 충돌부를 나타내며, (A), (B)는 모두 포위된 충돌판을 사용한 설명도, (C)는 향류충돌에 의한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실온, 상압에서 기체인 초임계 용매로부터 초임계상태를 작성하기 위한 온도와 압력의 조작경로를 나타내며, (A)는 온도-압력조작의 과정, (B)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압력등온선도에 있어서의 표시, (C)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온도등압선도에 있어서의 표시를 나타내는 선도.
도 5는, 실온, 상압에서 액체인 초임계 용매로부터 초임계상태를 작성하기 위한 온도와 압력의 조작경로를 나타내며, (A)는 온도-압력조작의 과정, (B)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압력등온선도에 있어서의 표시, (C)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온도등압선도에 있어서의 표시를 나타내는 선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액체계의 분산방법을 나타내며, (A)는 에멀젼넣기공정, (B)는 초임계상태화 공정, (C)는 분류교반을 이용한 경우의 교반혼합공정, (D)는 폭쇄노즐과 수직판상 충돌부를 이용한 경우의 폭쇄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분산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분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분산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입경분포를 나타내는 선도.
본 발명에 의한 분산방법의 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분산질이 고체계의 미립자이며, 이것을 액체계의 용매속으로 분산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고체계의 미립자란, 예를 들면 안료, 세라믹재료분, 자성입자 등의 초미립자를 포함하며, 여러종류의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액체계의 용매란 분산액속에서 연속상을 형성하는 물, 유기용매 등을 포함하며, 이들을 현탁(조분산)한 상태의 혼합물(이하, 슬러리라고 함)을 초임계 용기(6)의 공급구(30)에서 상기 용기내로 넣는다(도 1(A)). 이때, 고분자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외의 적당한 약제를 미리 첨가해 두어도 좋다. 이 단계에서는, 고체미립자(a)…는, 일반적으로 복수 내지 입자의 집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소위 입자가 응집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들이 용매속에 현탁한 상태에 있다라고 생각되어진다.
또, 분산질의 성상에 따라 상기 슬러리는 예비분산장치로 예비분산하고 나서 상기 용기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고, 예비혼합을 행하지 않고서 직접 상기 용기에 공급시켜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초임계 용기(6)의 공급구(노즐)(8)에서 초임계 용매를 상기 용기내에 충전하고, 상기 초임계 용매의 임계온도, 임계압력이상으로 해서 초임계 유체로 해야할 상기 용기에 부설한 펌프, 히터 등의 가열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초임계 용매를 가열, 가압한다(도 1(B)). 이렇게 해서 얻어진 초임계 유체(b)…는, 물이나 알콜 등의 액체용매에 비해서 확산계수가 크고, 표면장력이 작기때문에 미립자에 젖기 쉽고, 미립자(a)…의 집합체내에 빠르게 들어간다. 더욱이 상기 집합체를 만드는 각각의 미립자끼리의 상호작용(인력)보다도 미립자와 초임계 유체의 상호작용(인력)의 쪽이 크므로, 미립자의 집합체는 각각의 입자에 해쇄되고, 일차입자화가 진행되어, 미립자의 분산이 촉진된다. 이때, 상기 미립자가 세공(c)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초임계 유체가 큰 확산계수, 작은 표면장력을 갖는 것에 의해, 확대도에 도시하듯이, 미립자(a)의 세공(c)…내까지 초임계 유체가 함침한다.
다음으로, 상기 일차입자화나 미립자간이나 그 세공내에의 함침을 한층더 진행시키도록 상기 초임계 용기내의 상기 슬러리와 초임계 유체의 초임계 혼합물을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한다(도 1(C)). 상기 교반수단으로서는 여러가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임계 용기를 교반축 등이 관통하지 않는 밀폐구조로 한다. 도 1 및 도 2(A)에 나타내는 것은 초임계 용기내에 향해서 제트노즐(8)을 설치하고, 초임계 용기(6)에 형성한 순환구(31)와 상기 노즐(8)을 펌프(P4)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초임계 혼합물을 순환가압하고, 상기 제트노즐(8)로부터 초임계 용기내로 분출하여, 용기내에 순환류를 발생시켜, 교반혼합하여, 균질화를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교반수단은, 상기 초임계 용기(6)안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용기내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균일화를 행하도록 한 것으로, 도면을 생략한 초음파발생수단에 연결한 초음파조사공(32)을 상기 용기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용기(6)의 외부에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전자코일을 설치해서 용기내의 혼합물을 교반하도록 해도 좋다. 도 2(C)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용기내에 외부이동자계에 의해 진동하도록 진동판(33)을 갖는 진동발생체(34)를 설치하고, 상기 진동발생체(34)를 외부이동자계를 발생하는 전자코일(35)에 의해 구동하여 진동판(33)을 진동시켜 교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2(D)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초임계 용기내에 외부의 회전이동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날개(36)를 갖는 로터(37)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37)를 회전이동자계를 발생하는 전자코일(38)로 구동함으로써 회전날개(36)를 회전해서 교반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혼합된 초임계 혼합물은, 초임계 용기(6)의 유출구(39)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유출구(39)에 접속한 라인(9)을 통해 폭쇄조(10)로 안내되고, 상기 폭쇄조(10)안에서 대기압으로 해방되어 분출하고, 충격작용을 부여해서 분산을 촉진하도록 충돌부에 충돌된다(도 1(D)). 상기 폭쇄조(10)의 분출구(12)는, 적당한 내경의 세공이나 슬릿을 갖는 폭쇄노즐(40)(도 3(A))이나 적당한 개구면적을 갖는 폭쇄창(41)(도 3(B))으로 할 수 있고, 상기 폭쇄노즐 등과 상기 초임계 용기(6)의 유출구(39)를 연결하는 상기 라인(9)은 히터(도시 생략)를 설치해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부로서, 도 3(A), (B)에 나타내는 것으로는, 상기 노즐, 창 등의 앞쪽을 둘러싸듯이 아래쪽이 개방된 충돌판(13)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노즐(40)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40)의 분출방향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수직판상(13a)으로 형성하고, 폭쇄창(41)의 경우는 상기 폭쇄창(41)에 대해서 반구판상(13b)으로 형성하고, 상기 노즐 등으로부터 분출된 분산액이 벽면에 대략 수직으로 충돌하도록 해서, 효과적으로 충격력을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충돌부로서 판상체를 이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C)에 나타내듯이, 폭쇄조(10)안에 마주보는 상태로 폭쇄노즐(40),(40)을 설치하고, 상기 폭쇄노즐(40),(40)로 상기 초임계 용기(6)로부터의 라인(9)을 2등분해서 각각 접속하고, 상기 노즐(40),(40)로부터 각각의 분산액을 마주 향해서 분출하여, 액체끼리를 충돌시켜, 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분산을 촉진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 폭쇄노즐(40),(40)은, 폭쇄조(10)안의 후드(42)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한 분산액은 서로 충돌한 후, 주위로 비산하는 일없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폭쇄조(10)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집합체내의 초임계 용매의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기 때문에, 미립자는 더욱 각각의 입자에 일차입자화의 상태로 되고, 이때 미립자가 세공을 갖는 경우에는 세공내에 함침한 초임계 용매의 부피팽창에 의해, 미립자 그 자체가 더욱 분쇄, 분산된다.
상기 공정중, 초임계 용매를 초임계 유체로 하는 가열, 가압조작은, 하기하듯이 기상상태로부터 초임계상태로 상전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실온, 상압에서 기체의 초임계 용매로부터 초임계상태를 작성하기 위한 온도와 압력의 조작경로를 나타내며, (A)는 온도-압력조작의 과정, (B)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압력등온선도에 있어서의 표시, (C)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온도등압선도에 있어서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중의 굵은 실선은 여러가지의 조작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중, 경로번호1→2→5로 나타내는 조작과정(1)은, 경로1→2에서 기체에서 유체로 변화하며, 경로2→5에서 액체에서 초임계 유체로 되는 변화이다. 이 경우의 상의 상태와 고체입자분산의 관계를 보면, 기액평형영역을 통과할 때 입자의 표면이 액체에 젖으므로, 그 후에 초임계 유체가 미세한 틈 등에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고체입자의 집합체의 틈이나 고체입자의 세공에의 초임계 용매의 함침은, 주로 슬러리속의 유기용매 등의 용매에 있어서의 분자확산에 의해서만 행하여지는 것으로 되고, 초임계상태에 도달하더라도 고체입자의 집합체의 틈이나 고체입자내의 세공으로는 초임계 유체의 영향이 미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초임계상태에 있어서의 분산이나 폭쇄효과에 의한 일차입자화가 불충분한 상태로 된다.
조작과정(2)에서 나타내는 경로1→3→5의 조작은, 경로1→3에서 기체인채로 압축되고, 경로3→5에서 연속적으로 초임계 유체로 된다. 이 경우는, 기체에서 초임계 유체로 연속적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고체입자의 집합체의 틈, 고체입자의 세공내에의 초임계 유체의 함침이 양호하다.
조작과정(3)에서 나타내는 경로1→4→5의 조작은, 경로1→4에서 기체인채로 압축되며, 경로4→5에서 연속적으로 초임계 유체로 된다. 이 경우는, 상기 조작과정(2)과 같이 초임계 유체의 함침이 양호하고, 압력, 온도, 밀도의 인자를 효과적으로 컴퓨터로 컨트롤하고, 고체입자의 분산에 가장 양호한 상태를 선택해서 단시간내에 분산조작을 할 수 있다. 고체-액체계의 분산의 컨트롤로서는, 예를 들면, 최초로 초임계 유체의 밀도를 저밀도로 해서 용이하게 함침하도록 하고, 그 후 압력을 올려 고밀도로 하여, 젖는 성질을 높이고, 그 후에 폭쇄조에서 대기압으로 해방하도록 하면 좋다.
상온, 상압에서 액체의 초임계 용매로부터 초임계상태를 작성하기 위한 조작경로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하게 (A)는 온도-압력조작의 과정, (B)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압력등온선도에 있어서의 표시, (C)는 온도-압력조작과정의 밀도-온도등압선도에 있어서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조작과정에서는, 경로1→2→3, 또는 1→4→3에 나타내듯이, 우선 임계온도이상으로 온도를 올려 액체에서 기체로 상전이시키고, 그 후에 가압하여 초임계 유체로 되는 조작을 하면 좋다. 이때, 상기 유체는 기액상전이를 지나게 되지만, 이 상전이는 밀도가 작게 되는 상전이이고, 고체입자의 세공내든지 고체입자의 집합체틈내로의 침투성에는 영향이 없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임계 용매를 초임계상태로 하기위해서는 여러가지의 조작과정이 있으며, 기체에서 액체로 되는 상전이를 거치는 것은 밀도가 커지는 상전이로 되고, 액체에서 기체가 되는 상전이를 거치는 것은 밀도가 작아지는 상전이이며, 밀도가 작게 되는 상전이는 초임계 유체의 고체입자의 집합체의 틈이나 입자의 세공에의 함침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상상태를 거쳐 초임계 유체로 하도록 가열가압수단을 조작하고 있다.
도 6에는, 액체계의 분산질을 용매속으로 분산하는 액체방울의 분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지방구 등의 액체계의 분산용질은, 물, 유기용매 등의 용매속으로 현탁(조분산)되고, 물-유기용매계, 유기용질-유기용매계, 2종 내지 다종의 유기용질-유기용매계 등의 여러가지의 액체-액체계의 혼합물(이하, 에멀젼이라고 함.)로서 공급구(30)로부터 초임계 용기(6)내에 넣어진다(도 6(A)). 이때, 분산제, 약제 등의 첨부물을 미리 첨가해 두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초임계 용기(6)의 공급구(8)로부터 초임계 용매를 상기 용기내에 충전하여, 펌프, 히터 등의 가열가압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 압력으로 해서, 초임계상태를 만들어낸다(도 6(B)). 이 조작에 의해 얻어진 초임계 유체는, 일반적으로 물에 비해 분산용질과의 친화성이 크기 때문에, 상기 초임계 용기내에서는, 도(B)중의 ①도에 도시하듯이 초임계 유체(b)…가 분산용질(d)…에 융합되듯이 혼합물의 물방울이 생기고, 동일 액체방울이, 물, 유기용매 등의 용매속으로 분산한 상태에서 물방울이 초임계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와, 도(B)중의 ②도에 나타내듯이 초임계 유체, 분산용질 및 물 등의 용매가 균일한 상태에서 초임계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생각되어진다.
그 후, 교반수단에 의해 상기 초임계 용기(6)내의 교반혼합을 행한다(도 6(C)). 도면에 있어서는, 펌프(P4)에 의해 초임계 혼합물을 순환, 가압하여 제트노즐(8)로부터 상기 용기내에 분출하는 수단이 나타나 있지만, 상기 도 2에 나타내는 여러가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조작에 의해, 상기 도(B)속의 ①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것으로서는, 물방울이 서브마이크론에서 수마이크론 미터 오더의 물방울직경이 되는 미립자화가 행해지고, 상기 도(B)속의 ②도의 경우에는 균일화가 한층 더 촉진되어, 보다 좋은 분산상태로 된다.
상기 교반혼합된 초임계 혼합물은, 초임계 용기(6)의 유출구(39)에서 폭쇄조(10)로 안내되고, 상기 폭쇄조(10)의 폭쇄노즐이나 폭쇄창 등의 분출구(12)로부터 상기 조내로 분출된다(도 6(D)). 이때, 상기 도(B)속의 ①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것으로서는, 액체방울중의 초임계 용매의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여, 액체방울을 미소화하여, 분산용질의 분산이 진행되고, 또한 상기 도(B)속의 ②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것으로서는, 균일상태의 분산액은 초임계 용매가 급격히 증발, 분산하는 것에 의해 액체중에 매우 미소한 분산용질의 물방울이 존재하는 상태가 양호한 분산액으로 된다. 또 폭쇄조(10)내에 설치한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충돌부에 상기 분산액이 격돌하는 충격작용에 의해, 상기 분산은 한층 더 촉진된다. 상술의 각 조작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할 수가 있고, 이 경우의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초임계 유체를 처음부터 고밀도상태로 해서 분산용질에 충분히 용해시키도록 해서, 그 후에 폭쇄조에서 대기압으로 해방하도록 하면 좋다.
상술한 분산방법을 실시하는 분산시스템의 적합한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요가 도 7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 원하는 바에 따라 예비혼합을 행할 경우의 실시예로서, 로울밀, 니더 등의 반죽기(1)나 유성(遊星)믹서(2) 등의 예비혼합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예비혼합장치에 의해 분산질, 용매, 분산제 등을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스네이크펌프, 스크류압출기 등의 펌프(P1)에 의해 분산시료조정탱크(3)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조정탱크(3)에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내듯이 입자의 침전, 응집이나 분산용질과 용매의 분리를 막도록 교반기(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탱크(3)에는 밸브(V1), 분산시료송액펌프(P2)를 통해 매체분산기(5)가 접속되고, 상기 매체분산기(5)는, 200기압 정도까지 승압가능한 분산시료송액펌프(P3), 유량계(M1), 밸브(V2)를 개재해서 초임계 용기(6)의 공급구(3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초임계 용기(6)는 온도컨트롤이 부착된 재킷(7)에 의해 가열되고, 제트노즐(8)로부터 초임계 용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초임계 용기(6)에는, 상기 도 1 등에 나타내는 분류교반을 행하는 실시예의 경우로서 순환구(31)가 설치되고, 상기 순환구(31)는 밸브(V3), 200기압 정도까지 내압성이 있는 순환펌프(P4), 유량계(M2)를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노즐(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초임계 용매의 공급원에 통하는 라인이 밸브(V4), 필터(F1), 가압용 컴프레서펌프(P5)를 통해 상기 밸브(V3)와 펌프(P4)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초임계 용기(6)에는 압력계(G), 온도계(T1)가 설치되고, 유출구(39)에는 외부히터에 의해 가열하고, 과냉각을 방지하도록 한 히터가 부착된 라인(9)이 접속되고, 상기 라인(9)은 액츄에이터부착 감압밸브(V6), 유량계(M3)를 개재해서 폭쇄조(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폭쇄조(10)안에는, 윗쪽에 칸막이판(11)이 설치되고, 상기 라인은 폭쇄노즐, 폭쇄창 등의 분출구(12)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폭쇄노즐, 폭쇄창 등의 분출구(12)의 앞쪽에는 포위된 충돌판(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폭쇄노즐 등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미립자 제조과정에 이용하는 것처럼 히터부착노즐을 사용하여, 동결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폭쇄조(10)에는, 분산액으로부터 분리한 초임계 용매를 회수하도록 필터(F2), 가압용 컴프레서펌프(P6)를 개재해서 완충조(14)가 접속되고, 상기 완충조(14)는 밸브(V5)를 개재해서 상기 펌프(P5)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V1)∼(V5)는, 액츄에이터부착 보올밸브 등의 정지밸브를 사용하면 좋고, 또한 상기 필터(F1),(F2) 등은 금속소결다공체, 세라믹 등이 이용된다.
상기 폭쇄조(10)의 하부에는 송액펌프(P7), 유량계(M4)를 개재해서 저류조(탈포조)(15)가 접속되고, 상기 저류조(15)는 온도컨트롤부착 가열재킷(16)으로 가열되고, 교반기(17)로 분산액을 교반혼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저류조(15)에는 온도계(T2)가 설치되어 있고, 또,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 저류조(15)의 윗쪽에 분산액으로부터 분리한 미회수의 초임계 용매를 회수하도록 상기 완충조(14)에 연통하는 회수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분산시료조정용 탱크(3), 매체분산기(5), 초임계 용기(6), 폭쇄조(10), 저류조(15)에는 각각 세정액을 배출하기 위한 밸브부착배출구(18),(19),(20) ,(2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도계(T1),(T2)로부터 얻어지는 온도, 압력계(G)로부터 얻어지는 압력, 유량계(M1)∼(M4)로부터 얻어지는 유량데이터는, 컴퓨터로 보내져 연산처리되고, 펌프(P1)∼(P7), 밸브(V1)∼(V5)의 액츄에이터, 가열재킷(7),(16)의 온도컨트롤러, 라인(9)의 히터 등에 신호가 보내지고, 각각 펌프의 송액량, 밸브의 개폐, 재킷 및 히터의 가열량 등을 제어한다.
그렇게 해서, 상기 시스템의 조작순서를 설명하면, 분산질(고체-액체계의 경우에는 안료, 세라믹재료분, 자성입자 등 초미립자를 포함하고, 여러종류의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액체-액체계의 경우에는 지방, 유기약제, 모노머 등 소수성의 액체 등의 분산용질과 물의 액체-액체계, 혹은 유기용매와 그것에 불용인 지방, 유기약제, 모노머 등의 분산용질의 액체-액체계의 경우가 있다)은 분산시료조정용 탱크(3)안에서 필요에 따라서 약제(미립자, 분산용질의 분산을 촉진하는 분산제, 혹은 미립자의 표면에 여러가지의 기능성을 가지게 하기 위한 표면개량제, 코팅제 등)나 물, 유기용매 등의 용매와 혼합되어, 소정의 농도로 되도록 조합되고, 액상의 분산액(슬러리, 에멀젼)이 된다. 또, 이 단계에서는 상기 밸브(V1),(V2),(V4)는 닫혀져 있고, 상기 밸브(V3),(V5),(V6)는 열려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V4)를 열어(상기 밸브(Vl),(V2)는 닫히고, 밸브(V3), (V5),(V6)는 열려 있다.), 이산화탄소, 에틸렌, 대체프론외의 초임계 용매를 초임계 용기(6), 폭쇄조(10), 완충조(14) 등에 보내고, 각 내부의 공기를 상기 용매와 치환한다.
치환처리의 후, 상기 밸브(V3)∼(V6)를 닫고, 밸브(V1),(V2)를 연다. 분산시료조정용 탱크(3)안의 분산시료는 펌프(P2)에 의해 매체분산기(5)로 보내지고, 분산질과 용매나 약제를 보다 균일한 상태로 혼합하여(분산시료조정용 탱크(3)안에서의 교반으로 충분히 균일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매체분산기(5) 및 그것에 딸려있는 세정액 배출구(19)나 밸브(1), 펌프(2)는 생략하더라도 좋다), 펌프(3)에 의해 초임계용기(6)안에 소정량을 압입한다.
다음에, 상기 밸브(V1),(V2)를 닫고, 밸브(V4)를 열고(밸브(V3),(V5),(V6)는 닫힌 상태), 초임계 용기(6)안에 초임계 용매를 충전하여, 소정의 온도(분산질의 성상을 손상하지 않는 온도로 또한 임계온도이상), 압력(임계압력의 2배정도)으로 하기 때문에, 재킷(7)에 의한 승온, 펌프(P5)에 의한 가압을 행하여 초임계상태를 만들어낸다. 상기의 조작은, 상술한 도 4,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으로 하는 분산질에 최적의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V4)를 닫고, 밸브(V3)를 연다. 이때, 상기 밸브(V1),(V2) ,(V5),(V6)는 닫힌 상태에 있고, 초임계 용기(6)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펌프(P4)에 의해 가압된 분산시료를 제트노즐(8)로부터 내뿜어, 초임계 용기(6)내를 분류에 의해 교반하여, 분산을 촉진한다.
그 후, 상기 밸브(V3)를 닫고, 밸브(V6)를 열어(밸브(V1),(V2),(V4),(V5)는 닫힌 상태), 폭쇄노즐 혹은 폭쇄창 등의 분출구(12)를 거쳐서 분산액을 폭쇄조(10)로 분출한다. 분산액은 초임계 용매의 팽창에 의한 폭쇄효과 및 포위된 충돌판(13)에 충돌하는 것으로(향류충돌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분산이 보다 한층 더 진행한다. 또, 상기한 분산의 촉진효과는, 초임계 용기(6)안이 감압함에 따라서 약해지기때문에, 분산액의 분출은 초임계 용기(6)안의 압력을 모니터하고, 동일 용기내의 압력이 임계압정도가 될 때까지 행한다.
상기 폭쇄조(10)안에서, 초임계 용매는 분산액으로부터 기화분리한다. 칸막이판(11)부에서 분산액의 물방울을 폭쇄조(10) 하부에 포집한 초임계 용매는, 필터(F2)를 거쳐서 컴프레서펌프(P6)에 의해 승압되고, 완충조(14)안에서 액체상태로 회수, 저장되어, 후술하듯이 리사이클된다.
상기 분산액은 펌프(P7)에 의해 저류조(15)에 보내어진다. 저류조(15)에 있어서는, 재킷(16)에 의한 가열을 행하여, 미회수의 초임계 용매를 증발, 분리하여, 분산용질을 소정의 농도로 농축한다.
상기 밸브(V8),(V6)를 닫고, 밸브(V1),(V2)를 열어 슬러리, 에멀젼 등의 분산액을 용기(6)안에 충전하여 다음의 사이클을 행한다. 또, 이 경우, 상술한 초임계 용매의 충전을 행할 때는, 밸브(V1),(V2),(V3),(V4),(V6)를 닫힌 상태에서 밸브(V5)를 열어, 완충조(14)내의 초임계 용매를 처음으로 이용하고, 그 후 밸브(V5)를 닫고, 밸브(V4)를 열어 불충분한 초임계 용매를 보충한다.
(실시예)
초임계 용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카본블랙(켓첸·블랙·인터네셔날 주식회사제품의 카본ECP)을 순수한 물속으로 분산하는 실험을 행하고, 다음의 시료A∼D를 작성하였다.
시료A … 순수한 물속에 2wt%의 상기 카본블랙을 넣고, 도 4중의 조작과정 (3)에 상당하는 이하의 조작을 한 후, 폭쇄를 행하였다.
(20℃, 1atm) - (5분) → (20℃, 20atm) - (5분)
→ (50℃, 50atm) - (5분) → (60℃, 100atm, 5분) - (폭쇄)
→ (20℃, 1atm)(이 조작공정의 표시는, 20C, 1atm, 5분 유지하 고, 다음에 20C, 20atm, 5분간 유지하고, 또 50C, 50atm, 5분간 유지하고, 다음에 60C, 100atm, 5분간 유지하여, 폭쇄한 뒤 20C, 1atm으로 하는 조작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이하의 조작공정의 표 시도 동일하고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시료B … 순수한 물속에 2wt%의 상기 카본을 넣고, 도 4중의 조작과정(l)에 상당하는 이하의 조작을 한 후, 폭쇄를 행하였다.
(20℃, 1atm) - (7분) → (20℃, 100atm) - (8분)
→ (60℃, 100atm, 5분) → (폭쇄)
시료C … 순수한 물속에 2wt%의 상기 카본블랙과 3wt%의 분산제를 넣고, 4장 의 프로펠라날개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2시간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시료D … 순수한 물속에 2wt%의 상기 카본블랙을 넣고, 4장의 프로펠라날개 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2시간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결과)
상기 시료A∼D를, 시험관내에서 100시간 그대로 놓아두고 그 상위를 비교한 바, 도 8의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이가 확인되었다.
시료A는 100시간뒤에도 균일하게 분산하고 있고 재응집도 일어나지 않고 양호하게 분산하고 있다.
시료B는, 약간의 재응집(X), 침강(Y)이 일어나 있고, 일부에 물(Z)이 분리되고, 시료A에 비해 분산상태가 나쁘다.
시료C, 시료D는 1시간후부터 물과 카본블랙의 분리가 일어나고, 분산상태가 매우 나쁘다.
또한, 0㎛∼50㎛의 입자게이지(JIS-K5400)를 이용하여 시료의 거칠기를 측정한 바, 시료A, 시료B에 대해서는 입경이 5㎛이하의 입자의 존재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시료C에 대해서는 입경 33㎛의 입자의 존재가 확인되며, 시료D에서는 입경 40㎛의 입자가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초임계상태를 이용하는 분산방법 및 장치에 의해 양호한 분산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폭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료E를 작성하였다.
시료E … 순수한 물속에 2wt%의 상기 카본블랙을 넣고, 도 4중의 조작과정 (3)에 상당하는 이하의 조작을 행하여 초임계상태로 한 뒤 온화하 게 감압을 행하였다(즉, 폭쇄를 행하지 않았다).
(20℃, 1atm) - (5분) → (20℃, 20atm) - (5분)
→ (50℃, 50atm) - (5분) → (60℃, 100atm, 5분)
- (60분) → (20℃, 1atm)
(결과)
빛산란법을 이용한 입경분포측정장치(주식회사 세이신기업제품, 레이저마이크론 사이저형식 PR0-7000S)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A∼D 및 시료E의 분산액중의 카본블랙의 입경분포를 측정한 바, 도 9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 측정결과로부터 밝혀지듯이 폭쇄함으로써 상기 시료A, B는 시료E에 비하여 균일한 입경분포가 얻어지고, 폭쇄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분산질과 용매를 혼합하여, 이것을 초임계 용기내에서 초임계 유체와 혼합하여, 이 초임계 혼합물을 폭쇄조에서 분출하여 폭쇄하도록 했기 때문에, 고체(미립자)-액체계 분산에 있어서는 저밀도(확산계수가 크고, 점도가 작음)의 상태에서 미립자의 집합체의 틈이나 미립자 자체의 세공내에 초임계 유체를 들어가게 해서, 그 후 압력을 올리고, 고밀도(분자간 상호작용이 크고, 미립자에 대한 젖는 성질이 좋음)로 하는 것으로 미립자의 일차입자화를 촉진시키고, 더욱이 급격한 감압(대기압 해방)을 행하는 것에 의해 밀도를 급격히 작게(부피를 크게)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인 분산을 행할 수 있고, 분산후에 재응집도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체(분산용질)-액체(물)계 분산에 있어서는, 고밀도의 상태에서의 큰 용해도를 이용하여, 액체(물)속에 존재하는 분산용질의 물방울에 초임계 유체를 용해시키고(경우에 따라서는 물-분산용질-초임계 유체의 균일상태가 된다), 그 후 급격한 감압(대기압으로 해방)을 행하여, 밀도를 급격히 작게(부피를 크게)하는 것으로, 분산을 촉진시켜, 재응집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점도가 큰 슬러리 등의 경우에서도, 상기 초임계 유체를 도입하여 점도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노즐 등으로부터 분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파쇄, 분산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초임계 용매에 의한 고체입자의 표면이나 세공내부에의 젖음을 촉진하여, 일차입자화한 분산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은 컴퓨터제어에 의해 온도와 압력이 최적인 조작경로를 선택해서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대기압으로 해방할 때에 폭쇄조의 충돌부에 의해 한층 더 분산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초임계 용매를 회수해서 리사이클할 수 있으므로, 자원절약타입의 분산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분산질과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을 초임계 용기에 공급하고, 상기 초임계 용기에 초임계 용매를 공급하고, 상기 초임계 용매를 기상상태에서 초임계 유체로 하도록 가열가압하여, 상기 초임계 용기내에서 상기 혼합물과 상기 초임계 유체를 혼합하여, 그 후 상기 혼합물과 초임계 유체와의 초임계 혼합물을 폭쇄조로 안내하고, 상기 폭쇄조내에서 대기압으로 해방하여, 충돌부에 충돌시켜, 상기 분산질을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쇄조에서 상기 초임계 혼합물로부터 초임계 용매를 분리하고, 이 분리한 초임계 용매를 회수하여, 상기 초임계 용기에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질과 용매의 혼합물은, 고체계의 분산질을 유기용매, 물 등의 용매에 현탁한 슬러리인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질과 용매의 혼합물은, 액체계의 분산용질을 유기용매, 물 등의 용매에 현탁한 에멀젼인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분산질과 용매의 혼합물은, 고체계 및 액체계의 분산질을 액체계의 용매에 현탁한 슬러리인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6. 분산질과 용매의 혼합물에 초임계 유체를 도입해서 점도를 절감시키고, 이 저점도의 혼합물을 세공으로부터 감압하에 분출하여, 상기 분산질에 부피팽창작용, 고전단작용 및 충격작용을 부여하여, 상기 분산질을 파쇄,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7. 분산질과 용매의 혼합물을 충전하는 공급부 및 초임계 용매를 충전하는 공급부를 보유하고, 또한 유출구를 갖는 초임계 용기와, 상기 초임계 용기내의 초임계 용매를 초임계 유체로 하도록 가열, 가압하는 가열가압수단과, 상기 혼합물과 상기 초임계 유체와의 초임계 혼합물을 초임계 용기내에서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상기 초임계 용기의 유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초임계 혼합물을 대기압으로 해방하는 분출구를 갖는 폭쇄조와, 상기 폭쇄조에서 얻어진 분산액을 저장하는 저류조를 구비하는 분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폭쇄조에 있어서 분리한 초임계 용매를 회수하도록 완충조를 상기 폭쇄조에 접속하고, 상기 완충조를 상기 초임계 용기의 초임계 용매의 공급부에 접속한 분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용기의 상기 혼합물 공급부에는, 상기 분산질과 용매를 예비혼합하도록 예비혼합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분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가압수단은, 초임계 용매를 기상상태에서 초임계 유체로 하도록 조작되는 분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초임계 용기내에 향하여 설치한 노즐과 상기 초임계 용기로부터 유출한 초임계 혼합물을 상기 노즐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갖춘 분산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초임계 용기내에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상기 초임계 용기에 마련한 초음파발생수단을 포함하는 분산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초임계 용기의 외부에 설치한 전자코일과, 상기 전자코일에서 발생하는 이동자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초임계 용기에 설치한 요동판 혹은 회전날개인 분산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폭쇄조에는, 초임계 혼합물을 충돌시키는 충돌부가 설치되어 있는 분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폭쇄조에 설치한 초임계 혼합물의 분출구는 폭쇄노즐이고, 상기 충돌부는 상기 노즐에 대해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분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폭쇄조에 설치한 초임계 혼합물의 분출구는 폭쇄창이고, 상기 충돌부는 상기 폭쇄창에 대해서 반구형상으로 설치되는 분산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폭쇄조에 설치한 초임계 혼합물의 분출구는, 상기 초임계 혼합물끼리를 충돌시키도록 마주보게 향해져 있고, 상기 노즐에 의해 충돌부를 구성하고 있는 분산장치.
  18. 초임계 유체를 도입하여 점도를 절감시킨 분산질과 용매의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분출하는 세공을 보유하는 분출구와, 상기 분출구에서 분출한 분산질에 충격을 부여하는 충돌부를 설치한 폭쇄조를 구비하는 분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분출구에 대향해서 설치한 충돌판인 분산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분산질을 대향상태로 분출시켜 충돌시키는 향류충돌부인 분산장치.
KR1019970030592A 1996-12-27 1997-07-02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83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8871? 1996-12-27
JP96-358871 1996-12-27
JP8358871A JPH10192670A (ja) 1996-12-27 1996-12-27 超臨界状態を用いた分散方法及び分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61A true KR19980063361A (ko) 1998-10-07
KR100283238B1 KR100283238B1 (ko) 2001-04-02

Family

ID=1846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5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3238B1 (ko) 1996-12-27 1997-07-02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21478A (ko)
EP (1) EP0850682A1 (ko)
JP (1) JPH10192670A (ko)
KR (1) KR100283238B1 (ko)
CN (1) CN1057480C (ko)
SG (1) SG601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26B1 (ko) * 2011-04-06 2013-04-12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초임계 유체와 약액의 혼합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여 초임계유체 혼합물을 공급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22895C1 (ru) * 1997-08-13 1998-12-10 Глухарев Николай Федорович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сперсионно-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ных порошк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US6426136B1 (en) 1998-02-10 2002-07-30 R & D Technology, Inc. Method of reducing material size
WO2001024917A1 (en) * 1999-10-07 2001-04-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suspension of particles
US6663954B2 (en) 2000-01-03 2003-12-16 R & D Technology, Inc. Method of reducing material size
NL1015085C2 (nl) * 2000-05-02 2001-11-05 Stork Brabant Bv Oplos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lossen van een deeltjesvormige vaste stof in een superkritisch of nabij kritisch flu´dum, alsmede verfinrichting.
CZ301857B6 (cs) * 2001-02-26 2010-07-14 Dompé Pha.R.Ma S.P.A. Zarízení a zpusob tvorby mikronových a submikronových cástic a tryska pro tvorbu techto cástic
JP4683748B2 (ja) * 2001-03-07 2011-05-18 ヤンマー株式会社 超臨界水又は亜臨界水による被反応物質の反応装置
US20050227911A1 (en) * 2001-09-28 2005-10-13 Solubest Ltd. Hydrophilic dispersions of nanoparticles of inclusion complexes of macromolecules
US20050191359A1 (en) * 2001-09-28 2005-09-01 Solubest Ltd. Water soluble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US20050233003A1 (en) * 2001-09-28 2005-10-20 Solubest Ltd. Hydrophilic dispersions of nanoparticles of inclusion complexes of salicylic acid
US6878693B2 (en) * 2001-09-28 2005-04-12 Solubest Ltd. Hydrophilic complexes of lipophilic materials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US7700851B2 (en) * 2001-11-13 2010-04-20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Tobacco nicotine demethylase genomic clone and uses thereof
CN100387365C (zh) 2002-05-20 2008-05-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清洗方法
US6998051B2 (en) * 2002-07-03 2006-02-14 Ferro Corporation Particles from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emulsion
JP3991099B2 (ja) * 2002-09-04 2007-10-1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粉体の粒径分布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US6966990B2 (en) * 2002-10-11 2005-11-22 Ferro Corporation Composite particles and method for preparing
CN1320962C (zh) * 2002-12-02 2007-06-13 阿尔伯麦尔荷兰有限公司 转化固体颗粒并减小其尺寸的方法
KR20050085229A (ko) * 2002-12-02 2005-08-29 알베마를 네덜란드 비.브이. 고형 입자의 전환 및 크기 감소 방법
US7083748B2 (en) * 2003-02-07 2006-08-01 Ferr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article production using supercritical fluid
US6931888B2 (en) * 2003-02-07 2005-08-23 Ferro Corporation Lyoph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articles
US20050131126A1 (en) * 2003-02-27 2005-06-16 Kumin Yang Production of polymer nanocomposites using supercritical fluids
US20040215335A1 (en) * 2003-04-25 2004-10-28 Brin David 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aneurysmal tissue
US20060008531A1 (en) * 2003-05-08 2006-01-12 Ferr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solid-lipid composite drug particles
WO2005070527A2 (en) * 2004-01-22 2005-08-04 Scf Technologies A/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 emulsions
JP4167993B2 (ja) * 2004-03-05 2008-10-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薬剤含浸方法
DE102004013338A1 (de) * 2004-03-17 2005-10-06 Uhde High Pressure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Suspendierung und Einspeisung von Feststoffen in einen Hochdruckprozeß
US20050218076A1 (en) * 2004-03-31 2005-10-06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KR100635406B1 (ko) 2004-08-23 2006-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학반응속도를 촉진시키기 위한 장치
KR100657309B1 (ko) 2005-01-18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임계 유체와 친화성을 갖는 고분자 분산제
EP1757361A1 (en) * 2005-08-23 2007-02-28 Feyecon Development & Implementation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ncapsulates through precipitation
JP2008238005A (ja) * 2007-03-26 2008-10-09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液状原料の分散装置
US7798745B2 (en) * 2007-08-20 2010-09-21 Hall David R Nozzle for a pavement reconditioning machine
US20090166177A1 (en) * 2007-12-28 2009-07-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ltrasonic treatment chamber for preparing emulsions
TWI386364B (zh) * 2009-08-04 2013-02-21 Preparation of copper indium gallium - selenium nanoparticles
JP5755423B2 (ja) * 2009-09-15 2015-07-2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分散液の製造方法
JP6170652B2 (ja) * 2009-09-27 2017-07-26 アクテイブ株式会社 二酸化炭素排出量削減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5689251B2 (ja) * 2010-05-28 2015-03-2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の製造方法
US9895668B2 (en) * 2011-07-20 2018-02-20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ispersion of particulate clusters via the rapid vaporization of interstitial liquid
JP5943455B2 (ja) * 2011-08-19 2016-07-05 国立研究開発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乳化物の製造方法
CN103316602B (zh) * 2013-05-09 2016-06-22 贝尔格林(宁德)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介孔材料溶液及其配制方法
JP6345556B2 (ja) * 2013-09-12 2018-06-20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23701A (zh) * 2013-12-26 2014-04-16 东莞市广海大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碳粉微粒成型方法
WO2016031983A1 (ja) * 2014-08-29 2016-03-03 創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岩石及び/若しくは土壌の微細化方法、並びに重金属を含有する岩石及び/若しくは土壌からの重金属の除去又は低減方法
JP6080317B2 (ja) * 2015-01-30 2017-02-15 関東電化工業株式会社 無機微粒子の製造方法
JP2016199732A (ja) * 2015-04-14 2016-12-0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CN105710989A (zh) * 2016-03-21 2016-06-29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超临界二氧化碳密炼装置
US12288884B2 (en) * 2018-11-19 2025-04-29 Cens Materials Ltd. Dispersion of small scale materials via cavitation
JP7295554B2 (ja) * 2019-03-20 2023-06-21 株式会社常光 超臨界流体分散方法
CN109943313B (zh) * 2019-04-23 2021-03-12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超临界二氧化碳微乳液与粉煤灰颗粒复配分散体制备设备及方法
CN112687876B (zh) * 2020-12-15 2022-04-05 重庆硕盈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负极极片的方法及其锂离子聚合物电池
CN112786837B (zh) * 2021-01-18 2022-04-05 重庆硕盈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超临界二氧化碳为溶剂制备锂离子电池正极极片的方法
CN115091749B (zh) * 2022-06-02 2023-07-04 华中科技大学 一种超临界气体辅助电喷雾装置及方法
CN115536057B (zh) * 2022-10-11 2023-11-24 广西华锡集团股份有限公司 利用近超临界流体制备纳米金属氧化物的方法及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731A (en) * 1983-09-01 1986-04-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Supercritical fluid molecular spray film deposition and powder formation
US4734451A (en) * 1983-09-01 1988-03-2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Supercritical fluid molecular spray thin films and fine powders
DE3690101T1 (ko) * 1985-03-01 1987-04-23
JP3031923B2 (ja) * 1989-07-07 2000-04-10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造粒コーティング方法
KR940006017B1 (ko) * 1992-03-19 1994-07-02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실리콘 입자의 제트분쇄방법
US5522555A (en) * 1994-03-01 1996-06-04 Amherst Process Instruments, Inc. Dry powder dispersion system
US5487965A (en) * 1994-09-06 1996-01-30 Xerox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developer compositions
US5695132A (en) * 1996-01-11 1997-12-09 Xerox Corporation Air actuated nozzle plugs
US5716751A (en) * 1996-04-01 1998-02-10 Xerox Corporation Toner particle comminution and surface treatment proces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26B1 (ko) * 2011-04-06 2013-04-12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초임계 유체와 약액의 혼합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여 초임계유체 혼합물을 공급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0682A1 (en) 1998-07-01
SG60111A1 (en) 1999-02-22
CN1057480C (zh) 2000-10-18
JPH10192670A (ja) 1998-07-28
KR100283238B1 (ko) 2001-04-02
CN1185990A (zh) 1998-07-01
US5921478A (en) 199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238B1 (ko) 초임계상태를 이용한 분산방법 및 분산장치
Schultz et al. High‐pressure homogenization as a process for emulsion formation
US6443610B1 (en) Processing product components
CN100542684C (zh) 用于选择性沉积颗粒材料的ress方法
EP1165224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chemischer und physikalischer prozesse
JP2532627B2 (ja) 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爆薬の製造方法
JP2005131492A (ja) 気液分離方法及び装置
JP3149375B2 (ja) 微粒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77741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プロセス
JPH10180066A (ja) 微粒化方法及びその装置
Schuchmann et al. High‐Pressure Homogen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Emulsions
JP3772280B2 (ja) 超臨界場を用いた媒体分散方法及び媒体分散装置
WO2016121596A1 (ja) 水性エマルジョンの分散性改良方法及び分散性を改良した水性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JP2000189830A (ja) 微粒子分散体の製法および微粒子分散体
JP2003200032A (ja) 微粒子のコーティ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7533433A (ja) 粒子状材料の形成方法
JPH0372934A (ja) 分散質の均質化装置
JPH05184896A (ja) 凝集体の分散方法
JP2005131494A (ja) 気液分離方法及び装置
DE10037301A1 (de) Mikrostrahlreaktor
JP3392756B2 (ja) スパイラルフローによる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2005131493A (ja) 気液分離方法及び装置
JP2003093916A (ja) 高圧微粒化設備
JPH0871390A (ja) 物質の分散及び乳化方法
KR20070015928A (ko) 입자상 재료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