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2429U -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429U
KR19980062429U KR2019970006759U KR19970006759U KR19980062429U KR 19980062429 U KR19980062429 U KR 19980062429U KR 2019970006759 U KR2019970006759 U KR 2019970006759U KR 19970006759 U KR19970006759 U KR 19970006759U KR 19980062429 U KR19980062429 U KR 199800624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over
portable
injection liquid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0725Y1 (ko
Inventor
송득영
Original Assignee
송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득영 filed Critical 송득영
Priority to KR2019970006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7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슐린등을 휴대하면서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기의 장착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주사기(S)를 삽입하여 일정량씩 주사하도록 모터(M)로 구동되는 회전 스크류(54) 및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강 부재(52)가 설치된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스크류(54)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51)의 일측에 회전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수단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록킹 수단으로 간헐 고정되고 주사기(S) 장착시 바늘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1)이 형성되며 닫혔을 때 승강부재(52)가 회전하지 않도록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커버(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본 고안은 인슐린등을 휴대하면서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 환자등과 같은 사람은 위급 상황이 언제 발생될지 모르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인슐린등과 같은 주사액을 소지하게 된다.
상기한 주사액은 의료진이 없는 상태에서 환자 자신 또는 일반인이 주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동안 일정액을 정확하게 주사하기 위하여 소정의 주사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주사 장치는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94-10146에 개재되어 있는 바, 이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미 도시)가 내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에 주사기(S)가 삽입되도록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51)와, 상기한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승강 부재(52)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이 지지편(53)으로 지지되어 있는 회전 스크류(54)와, 상기한 회전 스크류(54)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사기(S)를 지지하는 협지편(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주사 장치의 미 사용시 절단부(50)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형성된 커버(56)와, 상기한 승강 부재(52)의 높이를 표시하도록 부착된 눈금자(57)와, 상기한 주사기(S)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승강 부재(52)에 형성된 돌출부(58)와, 상기한 돌출부(58)가 삽입되도록 주사기(S)의 피스톤(P)에 형성된 절단홈(59)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주사 장치를 환자등이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커버(56)를 본체(51)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한 협지편(55)의 상부에서 주사기(S)를 하향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절단홈(59)과 돌출부(58)가 일치되도록 주사기(S)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주사기(S)의 각도가 조절되면 돌출부(58)와 절단홈(59)이 일치되면 사용자가 승강 부재(52)를 회전시키면서 주사기(S)의 정확한 액량등을 조절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주사기(S)는 탄성체인 협지편(55)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단부가 지지되어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주사기(S)의 액량등이 조절되면 주사기(S)의 바늘을 몸에 삽입한 상태에서 주입 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주입 장치가 동작되면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면서 회전되고, 상기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 스크류(54)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스크류(54)가 일정 속도로 회전되면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강 부재(52)가 균일한 속도로 상승하게 되는 바, 승강 부재(52)의 상승에 의해 이와 밀착된 주사기(S)가 압박됨으로써 몸에 주사액을 주사하게 되는 것이다.
주사가 완료되면 주사기(S)를 상향시켜 승강 부재(52)와 협지편(55)에서 제거한 후 커버(56)를 덮어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주사기를 주사 장치에 삽입시킬 때 커버를 분리시킨 후 상부에서 삽입하게 되면 주사기가 압박되어 주사액이 외부로 분출되고 이로 인해 주사액량이 부정확하게 되고, 주사기의 절단홈과 승강 부재의 돌출부 결합이 어려워 주사기 장착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를 분리시킨 후 상부에서 협지편과 승강 부재에 주사기를 삽입시키는 동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사기의 장착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사기를 삽입하여 일정량씩 주사하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회전 스크류 및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강 부재가 설치된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수단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록킹 수단으로 간헐 고정되고 주사기 장착시 바늘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면 닫혔을 때 승강 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주사기와 커버 및 승강 부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승강 부재와 커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7은 일반적인 주사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통공2 : 커버
3 : 끼움부4 : 회전축
5 : 걸림턱6 : 슬라이드홈
7 : 플랜지8 : 차단부
9 : 록킹 부재10 : 끼움홈
11 : 가이드12 : 삽입홈
13 : 커플링 부재14 : 삽입 부재
15 : 지지 부재16 : 스토퍼
17 : 관망창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와 배면도로서, 회전 스크류(54)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51)의 일측에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수단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록킹 수단으로 간헐 고정되고 주사기(S) 장착시 바늘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1)이 형성된 커버(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힌지 수단은 커버(2)와 본체(51)에서 서로 대향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부(3)와, 상기한 끼움부(3)에 삽입되어 회전을 중심으로 이루는 회전축(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록킹 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1)에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 걸림턱(5)이 형성된 슬라이드 홈(6)과, 상기한 슬라이드 홈(6)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한 걸림턱(5)에 끼워지는 플랜지(7)가 형성되고 커버(2)를 상면에서 차단하도록 차단부(8)가 선단에 형성된 록킹 부재(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록킹 부재(9)가 커버(2) 방향으로 이동하면 커버(2)의 상면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커버(2)가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고, 다시 록킹 부재(9)를 본체(5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차단부(8)가 커버(2)로부터 이격되어 커버(2)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커버(2)에는 회전 스크류(54)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강 부재(52)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S)가 안착되는 승강 부재(52)의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끼움홈(10)과, 상기한 끼움홈(10)에 커버(2) 닫힘 시 끼워져 수직 방향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승강 부재(52)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회전 스크류(54)는 착탈 수단에 의해 모터(M)와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한 착탈 수단은 모터(M)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각형의 삽입홈(12)이 형성된 커플링 부재(13)와, 상기한 커플링 부재(13)에 삽입되어 연동하도록 각형으로 회전 스크류(54) 저면에 형성된 삽입 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커버(2)에는 주사기(S) 삽입 시 주사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다수의 지지 부재(15)가 주사기(S)의 외경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주사기(S)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주사기 본체(SS)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토퍼(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에는 외부에서 주사기(S)의 액 상태를 볼 수 있도록 관망창(17)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당뇨병 환자등이 긴급하게 인슐린등 주사액을 주사해야 하는 경우에는 록킹 부재(9)를 본체(51) 방향으로 밀어 커버(2)에서 해제시킨 후 회전축(4)을 중심으로 커버(2)를 열게 된다.
커버(2)가 열리게 되면 커플링 부재(13)에서 회전 스크류(54)의 삽입 부재(14)를 이탈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회전 스크류(54)를 주사약이 들어 있는 주사기(S)의 저면에 끼움과 아울러 회전 스크류(54)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강 부재(52)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사기(S)가 결합된 상기한 회전 스크류(54)를 측면에서 다시 커버(2) 내측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삽입 부재(14)를 커플링 부재(13)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커플링 부재(13)와 삽입 부재(14)는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M)의 회전이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주사기(S)를 측면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는 것은 종래와 같이 회전 스크류(54)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별도의 협지편(55)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 스크류(54)가 커플링 부재(13)에 삽입되면 주사기 본체(SS)가 스토퍼(16)에 걸리게 됨으로써 외압이 작용하여도 주사기 본체(SS)가 하향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주사기 본체(S)가 지지 부재(15)에 의해 지지된다.
즉, 외부에서 주사기(S)가 압박을 받아도 하향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주사액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사기(S)와 회전 스크류(54)가 설치되면 승강 부재(52)를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켜 주사기 본체(SS)의 주사액과 주사기(S)의 피스톤(P)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조절한 후 커버(2)를 닫고 록킹 부재(9)를 밀어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주사기 피스톤(P)과 주사액의 위치를 맞추는 것은 주입 장치가 정확한 주사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한 승강 부재(52)의 회전 시 승강 부재(52)의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끼움홈(10)이 커버(2) 닫힘 시 가이드(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승강 부재(52)의 회전 시 끼움홈(10)과 가이드(11)의 맞물림을 위해 승강 부재(52)를 회전시키는 각도는 상기한 끼움홈(10)이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만 회전시켜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커버(2)를 닫게 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끼움홈(10)에 가이드(11)가 끼워지게 되는 바, 상기한 승강 부재(52)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주입 장치를 동작시키게 되면 모터(M)가 일정속도로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한 모터(M)의 회전에 의해 회전 스크류(54)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승강 부재(52)가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승강 부재(52)가 일정 속도로 상승하게 되면 피스톤(P)이 상승하면서 주사액을 일정량씩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상승 부재(52)는 가이드(1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 운동만을 하면서 정확한 액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사액 주입중 관망창(17)을 통해 주사액 전체가 주입된 것을 보게 되면 주입 장치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커버(2)를 열고 주사기(S)를 측면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회전 스크류(54)는 삽입 부재(14)가 커플링 부재(13)에서 이탈되면서 주사기(S)의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즉, 종래 주사기(S)의 동작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에 비해 측면으로 장착하게 됨으로써 주사기(S)의 장착 시 주사액을 분사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주사액 주입 장치에 주사기의 탈착 시 개폐 가능하도록 커버를 설치함과 아울러 회전 스크류의 승강 부재를 지지하도록 커버에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주사기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주사기를 삽입하여 일정량씩 주사하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회전 스크류 및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강 부재가 설치된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의 일측에 회전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수단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록킹 수단으로 간헐 고정되고 주사기 장착 시 바늘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닫혔을 때 승강 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힌지 수단은 커버와 본체에서 서로 대향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한 끼움부에 삽입되어 회전을 중심으로 이루는 회전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록킹 수단은 본체에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상기한 슬라이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한 걸림턱에 끼워지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커버를 상면에서 차단하도록 차단부가 선단에 형성된 록킹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주사기가 안착되는 승강 부재의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한 끼움홈에 커버 닫힘 시 끼워져 수직 방향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승강 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회전 스크류를 모터와 간렬 분리시켜 주시기의 측면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착탈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착탈 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각형의 끼움홈이 형성된 커플링 부재와, 상기한 커플링 부재에 삽입되어 연동하도록 각형으로 회전 스크류 저면에 형성된 삽입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커버 내면에는 주사기 삽입 시 주사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주사기가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밀림과 아울러 주사기 본체가 하향되지 않도록 커버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KR2019970006759U 1997-04-02 1997-04-02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KR200150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59U KR200150725Y1 (ko) 1997-04-02 1997-04-02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59U KR200150725Y1 (ko) 1997-04-02 1997-04-02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29U true KR19980062429U (ko) 1998-11-16
KR200150725Y1 KR200150725Y1 (ko) 1999-07-01

Family

ID=1949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759U KR200150725Y1 (ko) 1997-04-02 1997-04-02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7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1791A1 (en) * 2000-07-22 2002-02-14 Kim Yong Nyun Liquid supply apparatus
KR100473363B1 (ko) * 2000-10-28 2005-03-07 김용년 액체공급장치
WO2007123288A1 (en) * 2006-04-21 2007-11-01 Sewon Cellontech Co., Ltd. Apparatus for operating syringe piston
WO2016035969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세비카 수액 정량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73B1 (ko) 2001-11-16 2004-11-10 김용년 산과 반응하여 일정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킬 수있는 고상 제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07593B1 (ko) 2002-02-08 2005-08-10 주식회사 이화양행 액체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1791A1 (en) * 2000-07-22 2002-02-14 Kim Yong Nyun Liquid supply apparatus
KR100473363B1 (ko) * 2000-10-28 2005-03-07 김용년 액체공급장치
WO2007123288A1 (en) * 2006-04-21 2007-11-01 Sewon Cellontech Co., Ltd. Apparatus for operating syringe piston
WO2016035969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세비카 수액 정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0725Y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8091B1 (en) Right angle safety needle
RU2443436C2 (ru) Канюльное и доста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809334B2 (ja) 可動のコネクタを備えるカテーテルヘッド
US6036675A (en) Safety sterile cartride unit apparatus and methods
CA2254174C (en) Single-use safety syringe
BRPI0510480B1 (pt) dispositivo de injeção
EP1169073B1 (en) Winged i.v. set
US7150735B2 (en) Drug container entry mechanisms and method
BRPI0507550B1 (pt) Electronically controlled injection device, portable
EP0980687B1 (en) Portable automatic syringe device
JP3133453U (ja) 輸液ポンプ用チューブカセット
KR950702845A (ko) 약물주사 장치(medication injection device)
EA001273B1 (ru) Н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1434525U (zh) 一种临床用新型麻醉针
KR200150725Y1 (ko) 휴대용 주사액 주입 장치
KR101337008B1 (ko) 혈관접속을 위한 의료용 연결기구
US4713062A (en) Ready to use syringe
JP3170485B2 (ja) 携帯用自動注射器及び注射針ユニット
DE10213807B4 (de) Injektionsnadeleinheit für eine tragbare automatische Spritzenvorrichtung
KR101628349B1 (ko) 시린지 교체형 자동투약기
WO1994000094A1 (en) A reconstitution device
CN215780621U (zh) 胰岛素注射笔针头辅助固定装置
JPH08182742A (ja) 輸液容器
US20220339357A1 (en) Injection device
KR102188184B1 (ko)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원터치 수직형 안전캡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4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