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9331A -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331A
KR19980059331A KR1019960078669A KR19960078669A KR19980059331A KR 19980059331 A KR19980059331 A KR 19980059331A KR 1019960078669 A KR1019960078669 A KR 1019960078669A KR 19960078669 A KR19960078669 A KR 19960078669A KR 19980059331 A KR19980059331 A KR 1998005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low voltage
dot inversion
od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331A/ko
Publication of KR1998005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3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n개의 게이트 라인과, 패널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첫 번째부터 (n-1)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과 홀수번째(또는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1 화소(pixel)부와, 상기 두 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과 짝수번째(또는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2 화소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이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티브 메트릭스(Active Matrix)형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액정 커패시터로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식에는, 계조 전압이 5V 이하인 저전압(low voltage)에서 구동되는 저전압 구동 방식과, 계조 전압이 10V 이상인 고전압(high voltage)에서 구동되는 고전압 구동 방식이 있다.
그리고,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수평 라인 주기로 계조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는 라인 반전(line inversion) 구동 방식이 사용되며, 고전압 구동 방식에서는 하나의 화소(pixel) 주기로 계조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는 도트 반전(dot inversion) 구동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라인 반전 구동 방식에서는 라인 반전시에 데이터 라인과 대향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커플링 커패시터(coupling capacitance)로 인해 대향 전극 전압(Vcom)의 왜곡이 발생하고, 이러한 왜곡은 계조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계조의 차이로 인해 크로쓰톡(crosstalk 화소 데이터 간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화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크로쓰톡을 줄일 수 있는 도트 반전(dot inversion)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조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로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타이밍도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패널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n개의 게이트 라인과 패널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첫 번째부터 (n-1)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과 홀수번째(또는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1 화소부와 상기 두 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과 짝수번째(또는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2 화소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 구조에서는, 첫 번째 게이트 라인에 신호가 인가될 때 첫 번째 수평 라인의 홀수번째 화소만이 구동되고, 두 번째 게이트 라인에 신호가 인가될 때 두 번째 수평 라인의 홀수번째 화소와 첫 번째 수평 라인의 짝수번째 화소가 동시에 구동되며, 수평 라인 주기로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의 극성이 반전되므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도트 반전 구동시에는 어느 한 화소 주변에 항상 반대 극성의 계조 전압이 인가되므로, 대향 전극으로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가 서로 상쇄되어 전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크로쓰톡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조에서, 제1 화소부는 첫 번째부터 (n-1)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gate1∼gate(n-1))과 상측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 나온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so1, so3, so5 ...)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제2 화소부는 두 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gate2∼gaten)과 하측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 나온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so2, so4 ...)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화상 데이터 인가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게이트 라인(gate1)에 게이트 신호(gate_pulse1)가 공급되면 첫 번째 수평 라인에서는 홀수번째 화소만이 구동되며, 이 때 화소에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A)의 극성은 정극성(+)이 된다.
다음에, 두 번째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면 두 번째 수평 라인의 홀수번째 화소와 첫 번째 수평 라인의 짝수번째 화소가 동시에 구동되며, 이 때 화소에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B, C)의 극성은 부극성(-)이 된다. 이처럼 데이터 라인을 통해 동일 극성의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공급하더라도 실제로는 서로 인접한 수평 라인의 홀수번째 화소와 짝수번째 화소가 구동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일 수평 라인의 인접한 화소에는 다른 극성의 화상 데이터가 인가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 구조의 효과는,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함으로써 크로쓰톡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

  1. 패널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n개의 게이트 라인과 패널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첫 번째부터 (n-1)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과 홀수번째(또는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1 화소부와 상기 두 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게이트 라인과 짝수번째(또는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2 화소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액정 표시 패널.
KR1019960078669A 1996-12-31 1996-12-31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Ceased KR19980059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669A KR19980059331A (ko) 1996-12-31 1996-12-31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669A KR19980059331A (ko) 1996-12-31 1996-12-31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31A true KR19980059331A (ko) 1998-10-07

Family

ID=6642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669A Ceased KR19980059331A (ko) 1996-12-31 1996-12-31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3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38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644258B1 (ko) * 2001-09-18 2006-11-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38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644258B1 (ko) * 2001-09-18 2006-11-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8793A (en) Driving system for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US6842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panel in dot inversion
KR100814256B1 (ko) 액정패널 구동방법
US5136282A (en)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apparatus having separate display area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TWI397734B (zh) 液晶顯示器及其驅動方法
KR100215688B1 (ko)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 하는 구동회로
EP2071556B1 (en) Display device
KR100627762B1 (ko) 평면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평면 표시 장치
KR2004001037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365500B1 (ko) 도트 인버젼 방식의 액정 패널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US5760757A (en) Negative feeback control of dummy row electrodes to reduce crosstalk and distortion in scan electrodes induced by signal electrode fluctuations
JP2005134864A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回路
KR100350645B1 (ko) 플리커링을 줄이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US5774103A (en) Method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3638737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010017524A (ko) 도트 반전 구동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KR100469351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559225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도트 인버젼 드라이빙 방법
KR19980059331A (ko)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도트 반전 구동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조
KR2005000099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361469B1 (ko)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2003177720A (ja) 液晶駆動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85321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999007453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S63261326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1999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