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8715U - 철책의 체결구 - Google Patents

철책의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715U
KR19980058715U KR2019970003165U KR19970003165U KR19980058715U KR 19980058715 U KR19980058715 U KR 19980058715U KR 2019970003165 U KR2019970003165 U KR 2019970003165U KR 19970003165 U KR19970003165 U KR 19970003165U KR 19980058715 U KR19980058715 U KR 199800587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ence
iron fence
ir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3486Y1 (ko
Inventor
김춘웅
Original Assignee
김춘웅
금강와이어메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웅, 금강와이어메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춘웅
Priority to KR2019970003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4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 사이에 철책을 설치할 때 철책(鐵柵)을 양단부에 걸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철책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정한 크기로 된 철책을 지주에 체결하여 장착하였으나 지주의 설치 간격의 오차로 인하여, 철책과 지주의 체결공이 제대로 맞지 않는 경우 체결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걸고리가 형성된 두개의 체결판에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체결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지주의 양측에서 각각 철책을 걸어 충분히 당기어 두 체결판을 겹친 다음 체결공을 이용하여 지주에 체결하므로서 철책의 크기나 지주 간격에 오차가 있어도 융통성을 가지고 편리하게 체결하여 팬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책의 체결구
본 고안은 걸고리가 형성된 두개의 체결판에 장공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철책의 크기와 지주의 간격의 오차가 있어도 지주의 양측에서 철책을 걸은 체결판을 당기어 겹친 다음 지주에 용이하게 체결하여 설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철책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책의 체결구는 체결판의 양단부측에 대칭으로 걸고리가 절곡형성되고 체결판의 중간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판의 양단부측에 절곡형성된 걸고리에 철책의 일단부를 각각 걸어 철책의 좌우 간격으로 설치한 지주에 체결판의 중간부를 체결나사로 체결하여 팬스를 설치하였다.
종래의 체결편은 그 양단부에 절곡된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나 양단부측 걸고리 사이의 체결편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고 체결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철책의 크기가 오차가 없고 철책을 설치할 지주의 간격에도 오차가 없는 경우에는 철책의 설치에 별로 지장이 없으나 실제적으로 철책의 크기에 오차가 없다고 가정하여도 지면에 설치하는 지주의 간격은 오차가 생기게 마련이므로 지주간격의 오차가 큰 경우 철책을 걸은 체결편의 길이가 길거나 짧게 되는 결과가 생기어 철책의 설치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걸고리가 일단부에만 절곡형성된 두개의 체결편의 중간부에 장공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2개 1조로 체결구를 구성하므로서 철책의 크기나 지주간격의 오차가 있어도 지주의 좌우 양측에서 철책을 걸은 각각의 체결편을 당기어 겹친 다음 체결공을 통하여 지주에 체결사나를 체결하므로서 체결판의 신축 조절에 의하여 항상 철책을 지주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철책의 체결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동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철책의 시공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철책 2:지주
4:걸고리 4a:체결공
5:체결판 6:체결공
통상의 철책(1)을 지주(2)에 체결하는 체결구(3)에 있어서, 체결판(5)의 일단부에 철책(1)을 괘지하는 걸고리(4)를 절곡형성하여 걸고리(4)에 고정나사(7a)를 체결하는 체결공(4a)을 전후 관통되게 형성하고 체결판(5)의 중간부에 체결나사(7)를 체결할 체결공(6)을 장공으로 형성하며, 2개의 체결판(5)을 1조로 체결구(3)를 구성하여 철책(1)을 지주(2)의 체결공(2a)에 대고 체결나사(7)로 체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면중 8은 너트, 9는 와셔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철책(1)의 상하 양단부의 일정한 위치에 각 체결판(5)의 걸고리(4)를 걸어 체결공(4a)에 고정나사(7a)를 끼워 너트(8)로 체결하여 연결하고 지주(2)의 중앙부측으로 좌우측 체결판(5)을 당기어 겹친 다음, 겹친 중앙부의 체결공(6)과 지주(2)의 체결공(2a)으로 체결나사(7)를 와셔(9)와 함께 관삽하여 너트(8)로 체결하여서 철책을 체착시공한다. 이때 철책의 간격이나 지주 간격의 차이에 따라 체결판(5)의 겹치는 위치가 다르게 되나 체공(6)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주(2)의 체결공(2a)에 대하여는 항상 체결공(6)이 합치되어 있으므로 체결나사의 체결이 용이하다. 또 서로 겹친 체결판(5)의 양단부측 걸고리(4)는 좌우로 신축조절이 가능하므로 철책의 크기나 지주의 설치간격의 오차가 있어도 융통성있게 체결판의 좌우로 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체착할 수 있다. 또 체결판(5)의 걸고리(4)에는 철책(1)이 고정나사(7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어서 체결판(5)의 좌우조절시에 철책(1)을 밀기도 하고 당기기도 할 수 있어 팽팽한 상태로 지주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단부에만 걸고리가 형성된 체결판의 중간부에 장공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2개의 체결판을 1조로 하여 철책을 지주에 체착할 수 있는 체결구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겹친 체결판을 좌우로 길이를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어 철책의 크기나 지주의 설치간격에 오차가 있어도 철책을 지주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철책(1)을 지주(2)에 체착하는 체결판(5)의 일단부에 철책을 거는 걸고리(4)를 절곡 형성하여 걸고리(4)에 고정나사(7a)를 체결하는 체결공(4a)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체결판(5)의 중간부에 장공으로 체결나사(7)를 체결하는 체결공(6)을 형성하여 2개의 체결판(5)을 1조로 하여 철책의 체결구(3)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책의 체결구.
KR2019970003165U 1997-02-26 1997-02-26 철책의 체결구 KR200143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65U KR200143486Y1 (ko) 1997-02-26 1997-02-26 철책의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65U KR200143486Y1 (ko) 1997-02-26 1997-02-26 철책의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15U true KR19980058715U (ko) 1998-10-26
KR200143486Y1 KR200143486Y1 (ko) 1999-06-15

Family

ID=1949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165U KR200143486Y1 (ko) 1997-02-26 1997-02-26 철책의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4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85Y1 (ko) * 2003-12-15 2004-03-12 이승복 조립식 휀스의 휀스망 설치구조
KR101037013B1 (ko) * 2010-07-16 2011-05-25 재 술 나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974B1 (ko) * 2020-07-15 2022-08-04 유태림 망형벽체가 구비된 조립식 전시용 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85Y1 (ko) * 2003-12-15 2004-03-12 이승복 조립식 휀스의 휀스망 설치구조
KR101037013B1 (ko) * 2010-07-16 2011-05-25 재 술 나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3486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627B2 (en) T-post fence bracket
KR200143486Y1 (ko) 철책의 체결구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US3511463A (en) Support means for a suspended ceiling structure
JP2631083B2 (ja) 直付手摺支柱ブラケット
KR200242616Y1 (ko) 와이어 펜스
JPH0450352Y2 (ko)
JP3040733B2 (ja) 天窓構造
JP3333797B2 (ja) 金網フェンス
JPH0141755Y2 (ko)
JP2000332283A (ja) 太陽電池装置
KR200266204Y1 (ko) 간판고정용 브라케트
JP3077811U (ja) ネット等の張設構造
RU209533U1 (ru) Крепежный хомут
KR200190289Y1 (ko) 현수막 게시대용 현수막 걸림구
KR200152661Y1 (ko) 인삼밭 차광막 받침목 고정구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KR200310287Y1 (ko) 지주봉에 구비되는 선반 브래킷
JPH0612098Y2 (ja) 吊 子
JPS603464Y2 (ja) カツトアウト取付金具
JPH0354485Y2 (ko)
KR200344285Y1 (ko) 조립식 휀스의 휀스망 설치구조
JPH0542236Y2 (ko)
SU1247488A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 стойки временного ограждени
KR200198947Y1 (ko) 천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1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