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5938U - 열쇠고리 - Google Patents

열쇠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938U
KR19980055938U KR2019980010835U KR19980010835U KR19980055938U KR 19980055938 U KR19980055938 U KR 19980055938U KR 2019980010835 U KR2019980010835 U KR 2019980010835U KR 19980010835 U KR19980010835 U KR 19980010835U KR 19980055938 U KR19980055938 U KR 199800559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utton
case body
center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진
Original Assignee
강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진 filed Critical 강정진
Priority to KR2019980010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5938U/ko
Publication of KR19980055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938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한 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고리본체를 케이스본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작동시켜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열쇠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열쇠고리는 하부에 슬라이드공이 관통되고 일측상부가 다소 높게 고리턱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 버튼공이 천공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에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고리공이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 양측에 장전턱이 형성되고 중앙에 텐션력이 있는 버튼을 일체로 사출성형하여서 된 고리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과 고리본체의 장전턱에 설치되어 고리본체의 버튼 누름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열쇠고리
본 고안은 열쇠를 허리띠 고리 및 가방등에 간편용이하게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열쇠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한 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고리본체를 케이스본체 내부에서 간편용이하게 슬라이딩 작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열쇠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쇠를 걸어 사용하는 열쇠고리는 열쇠의 분실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열쇠를 끼워 매달은 후 허리띠 고리에 매달아 사용되어온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열쇠고리는 도5에서와 같이 하부에 고리공(109)이 형성된 고리본체(101)의 개구부(104)측에 상기 개구부(104)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손잡이(103)가 일체로된 작동부재(102)를 스프링(1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105)에 의해 결합 고정하여 사용되어 왔는바, 이와 같은 종래의 열쇠고리는 금속재로된 고리본체(101)의 개구부(104)측을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작동부재(102)의 내측에 스프링(110)을 위치시킨 후 힌지핀(105)으로 제작함에 따라 제작공정이 번거러운 결점이 내재되었을 뿐만 아니라, 열쇠를 매달은 열쇠고리를 허리띠 고리에 매달아 사용시 스프링(110)의 스프링력이 약할 경우 작동부재(102)와 일체로된 손잡이(103)가 외부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 타물체등에 걸렸을 때에는 손잡이(103)의 간섭에 의해 작동부재(102)를 작동시킴에 따라 열쇠고리가 허리띠의 고리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됨이 빈번히 발생되었던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 결점 및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케이스본체, 고리본체를 사출성형하여 상호 결합하되 고리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열쇠고리를 완성시킴에 따라 부품의 간소화로 제작능률이 가일층 향상되어 제작 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과, 작동시 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고리본체를 케이스본체 내부에서 상향 슬라이딩 작동시켜 간편용이 하게 사용토록 함과 동시에 버튼이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제작하므로서 타물체와의 간섭됨이 전혀 없게 되어 오동작이 없게 되므로서 열쇠의 분실됨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열쇠고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열쇠고리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열쇠고리 조립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로서,
a)는 록킹고정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고리가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열쇠고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본체 2 : 고리본체
3 : 버튼공 4 : 슬라이드공
5 : 고리턱 6 : 고리
7 : 장전턱 8 : 버튼
8a : 테이퍼면 9 : 고리공
10 : 스프링 11 : 고리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고안의 열쇠고리는 하부에 슬라이드공이 관통되고 일측상부가 다소 높게 고리턱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 버튼공이 천공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에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고리공이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 양측에 장전턱이 형성되고 중앙에 텐션력이 있는 버튼을 일체로 사출성형하여서 된 고리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과 고리본체의 장전턱에 설치되어 고리본체의 버튼 누름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열쇠고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열쇠고리 조립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열쇠고리는 케이스본체(1)의 하부에 슬라이드공(4)을 관통되게 천공하고 일측 상부에는 타측보다 다소 높게 고리턱(5)을 형성하며 전면 중앙에는 버튼공(3)을 천공하여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고리턱(5)은 타측에 형성 할 수도 있고 고리턱(5)을 형성하지 않아도 관계없으며, 버튼공(3)은 원형으로 형성함이 외관상 미려하지만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1)의 내부에는 상부에 고리(6)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 양측에는 장전턱(7)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상기 버튼공(3)에 장전됨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8a)을 가진 버튼(8)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고리공(9)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고리본체(2)를 슬라이드공(4)을 통과하는 상태로 삽입 설치하되, 고리본체(2)의 일측에 형성된 장전턱(7)에 스프링(10)을 위치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한 후 상기 고리공(9)에 열쇠를 매다는 고리링(11)을 끼워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버튼(8)은 버튼공(3)에 걸릴 수 있는 수단만 가지면 되고 스프링(10)은 일측의 장전턱(7)에만 위치되게 하여도 작동시 스프링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양측에 위치되도록 설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열쇠고리는 슬라이드공(4)과 버튼공(3)이 천공된 케이스본체(1)의 내부 일측에 스프링(10)을 삽입한 상태에서 고리본체(2)를 삽입하면 고리본체(2)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장전턱(7)이 스프링(10)을 누르는 상태로 결합되고 중앙의 버튼(8)은 케이스본체(1)의 전방 중앙에 천공된 버튼공(3)에 걸리는 상태로 조립한 후 고리본체(2)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고리공(9)에 고리링(11)을 끼워 조립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열쇠고리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장전시에는 도4의 a)에서와 같이 케이스본체(1)를 잡고 고리본체(2)를 누르면 고리본체(2)는 장전턱(7)에 구속된 스프링(10)을 압박하면서 버튼(8)의 테이퍼면(8a)을 따라 부드럽게 진행하다가 버튼(8)의 상단부가 버튼공(3)과 일치하면 버튼(8)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버튼공(3)의 상단에 견고히 걸려 장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해제시에는 사용자가 버튼(8)을 누르면 도4의b)에서와 같이 케이스본체(1)로부터 고리본체(2)가 장전턱(7)에 압박된 스프링(1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본체(1)의 고리턱(5)과 고리본체(2)의 고리(6)가 벌어지게 되므로 허리띠의 고리에 간편용이하게 걸은 후 상기 장전시와 같이 고리본체(2)를 누르면 버튼(8)이 버튼공(3)에 걸리면서 허리띠의 고리에 완벽히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리본체(2)가 상측으로 이동할 시 고리공(9)에 끼워진 고리링(11)이 케이스본체(1)의 하면과 부딪치면서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되므로서 고리본체(2)는 케이스본체(1)로부터 이탈됨을 방지되는 상태로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쇠고리는 케이스본체, 고리본체를 사출성형하여 상호 결합하되 고리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열쇠고리를 완성시킴에 따라 제작능률이 가일층 향상되어 제작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과, 작동시 버튼의 누름작용에 의해 고리본체를 케이스본체 내부에서 상향 슬라이딩 작동시켜 간편용이 하게 사용토록 함과 동시에 버튼이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제작하므로서 타물체와의 간섭됨이 전혀 없게 되어 열쇠의 분실됨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하부에 슬라이드공(4) 관통되고 일측 상부에는 다소 높게 고리턱(5)을 형성하며 전면 중앙에는 버튼공(3)이 천공된 케이스본체(1)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에 고리(6)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리링(11)을 끼울 수 있는 고리공(9)이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 양측에는 장전턱(7)이 형성되고 중앙에 텐션력이 있는 버튼(8)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서 된 고리본체(2)와, 상기 케이스본체(1)의 일측과 고리본체(2)의 장전턱(7)에 설치되어 고리본체(2)의 버튼(8) 누름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1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고리.
KR2019980010835U 1998-06-22 1998-06-22 열쇠고리 Abandoned KR199800559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35U KR19980055938U (ko) 1998-06-22 1998-06-22 열쇠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35U KR19980055938U (ko) 1998-06-22 1998-06-22 열쇠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938U true KR19980055938U (ko) 1998-10-07

Family

ID=6950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835U Abandoned KR19980055938U (ko) 1998-06-22 1998-06-22 열쇠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59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40B1 (ko) * 2007-08-31 2009-05-07 박수현 장식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40B1 (ko) * 2007-08-31 2009-05-07 박수현 장식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7483B1 (en) Automatic locking and release device for a beach umbrella
KR100584460B1 (ko) 코드 로크 및 물품유지기구
CN109892766A (zh) 按键可隐藏、外壳可更换的首饰连接装置
KR19980055938U (ko) 열쇠고리
WO2006006754A1 (en) Cord lock
CN220001559U (zh) 一种面包机的开关盖结构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200224143Y1 (ko)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KR100758543B1 (ko) 끈 결속장치
KR200342411Y1 (ko) 허리벨트
KR200176782Y1 (ko) 일체형 콤팩트 용기
CN215603586U (zh) 一种可开瓶的钥匙圈
CN222639896U (zh) 一种按压式圆珠型锁扣
EP1219200A1 (en) Magnetic button with both opposite magnets
CN222532845U (zh) 手杖柄以及具有该手杖柄的手杖
KR200204342Y1 (ko) 사물함 문짝의 개량구조
KR100347627B1 (ko) 일체형의 도어 잠금/걸림 장치
KR200294282Y1 (ko) 연결구
KR200291895Y1 (ko) 액세서리단추
KR200229067Y1 (ko) 창문의 핸들 일체형 잠금장치
KR960005958Y1 (ko) 무전기의 휴대장치
KR200317813Y1 (ko) 도어록.
KR200189387Y1 (ko) 도어 잠금장치
KR960003427Y1 (ko) 전자제품의 도어 록킹(door locking) 장치
KR960009946Y1 (ko) 아이스박스 뚜껑의 레버식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6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