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0697A -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 Google Patents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697A
KR19980050697A KR1019960069542A KR19960069542A KR19980050697A KR 19980050697 A KR19980050697 A KR 19980050697A KR 1019960069542 A KR1019960069542 A KR 1019960069542A KR 19960069542 A KR19960069542 A KR 19960069542A KR 19980050697 A KR19980050697 A KR 1998005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ater
effect
skin
mushroom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6538B1 (ko
Inventor
표형배
이충우
박성민
조영호
서정은
Original Assignee
임병철
한불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899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506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철, 한불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병철
Priority to KR101996006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5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5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피부손상방지 및 개선효과,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등이 탁월하고 안전성면에서도 우수한 상황버섯분말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 60∼95% 에탄올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로서 피부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적용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본 발명은 상황버섯추출물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손상방지 및 개선효과,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등이 탁월하고 안전성면에서도 우수하여 피부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적용가능한 상황버섯분말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 60∼95% 에탄올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 피부외용제에는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이 있고 특히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 피부외용제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원료를 시작으로 여러가지의 원재료를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인삼추출물과 효모추출물, 송이버섯 추출물 등의 추출물, 콜라겐 등의 천연고분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피부부활제 혹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보습제 등이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피부화장료에 이용되어 오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피부손상 방지 및 개선에 이용되어 온 물질은 안면피부의 피지량과 수분이 적은 것에 기준을 두고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을 대상으로 사용되어 미백효과나 면역부활효과, 항산화효과같은 특이한 효과를 얻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다양한 효과를 가지면서 피부에 자극이 없는 원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Ikekawa, T., GANN, 59 : 155, 1968)]은 소나무 비늘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뽕나무의 뿌리에서 자생한다. 금관육야(今關六也), 본향차웅(本鄕次雄)공저인 본색일본균류도감(보육사발행, 1974년)의 분류에 의하면 비늘버섯과에 속하고, 펠리너스 유카텐시스 무릴(phellinus yucatensis murril)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한편, 중약대사전(상해과학기술출판사)에 보면 펠리너스 이그니아리우스(phellinusigniarius)의 약물명을 상황(桑黃)이라 하고 있지만, 유파라는 사람이 쓴 중국의 약용균류에 의하면 상황은 뽕나무의 줄기에 생긴 것만을 상황이라고 정의하고 프로폴리포러스 유카텐시스 무릴(propolyporus yucatensis murril)이라는 학명을 갖고 있다. 폘리너스 이그니아리우스는 긴 역사동안 매우 넓은 해석이 되고 있다. 천촌청일이라는 일본인이 쓴 원색일본균류도감 제1권에 의하면 프로폴리포러스 유카텐시스 무릴은 펠리너스 린테우스(phellinus linteus)의 다른 이름이 있고 뽕나무에 생긴 자루 표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황색이므로 한자명으로 상황(桑黃)이라 부르고 상신(桑腎), 상이(桑耳), 상기생(桑奇生)등의 다른 이름도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자연계에 자생하는 상황이 항종양성을 갖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지만, 자연계에서는 번식하기 어렵고 실제 상황이라 부르는 뽕나무의 고목에 자생하는 상황은 뽕나무자체의 감소와 함께 구하기가 힘들게되어 현재는 인공재배법으로 국내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뽕나무의 줄기, 잎, 뿌리 등은 의약과 화장품 분야에서 이용되어져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황버섯을 가지고 항암효과의 규명에 대한 연구만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효과가 탁월하고 안전성면에서도 우수한 상황버섯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피부화장료에 적용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시 우수한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등을 나타내는 상황버섯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황버섯추출물은 상황버섯분말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 60∼95% 에탄올추출물 또는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또한, 상기한 상황버섯추출물은 피부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적용가능하며 이때 상황버섯추출물의 함유량은 0.0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상황버섯, 알부틴, 코직산, 송이버섯추출물의 자외선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국내에서 인공재배한 상황으로 부터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과, 60∼95% 에탄올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에서 화장료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입증되고 화장료에 함유시 우수한 항산화효과,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등이 발견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우선, 상황버섯추출물의 피부화장료에 대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등을 조사했다. 상황버섯은 국내에서 인공재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시료로 사용하기위해 상황버섯을 실온에서 증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후, 질소탱크에 넣어 얼리고 막자사발로 갈아 분말로 하였다. 상황버섯분말의 물중탕처리 물추출물, 60∼95% 에탄올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자외선흡수스펙트럼 분석결과 상황버섯 추출물들은 강한 자외선흡수능력을 갖고 있었다. 또한, 피부화장료로 응용하기 위한 효과 테스트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중량% 시료농도에서 가장 높은 프리라디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메탄올 농도의 50%를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SC50)는 0.23μM이었고, 효과면에서 다른 어떤 물질보다도 우수하였다.
리놀산 자동산화를 이용한 항산화효과 데스트에서 상황버섯 에탄올추출물은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E(42.3%)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효과(46%)를 가진 것으 나타났다.
복강내에서 활성화된 마크로파지(macrophage)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정도를 측정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에 의한 면역증강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상황버섯 추출물 투여군에서 과산화물 음이온이 1.2∼1.8배 증가되었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방선균(Streptomyces bikiniensis)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 B16-F1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 등의 실험으로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한 미백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IC50)는 0.5%이하였고, 0.005%의 농도에서 미생물의 멜라닌 생성 영역을 16mm 저해하였다. 또한 B16-F1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최소 농도는 0.134%로 나타나 피부외용제 특히 피부화장료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화장료로서의 적용예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 상황버섯추출물의 피부화장료에의 배합량은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0.05∼20중량%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너무 적은 함량에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너무 많은 함량에서는 그 이상 배합해도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에 쉽게 혼화되고 유지와 유기성 용매에는 혼화가 어렵지만 현탁상태에서도 피부화장료에 배합은 가능하고 효과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도 주지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피부화장료로서 이용되는 것이 적당하며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 예를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피부화장료는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화장료와 특히 미백화장료에의 응용이 대표적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황버섯은 국내의 강원도 춘천에서 인공재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시료로 사용하기위해 상황버섯을 실온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후, 액체질소탱크에 넣어 얼려 잘 부스러지게 한 후 막자사발로 갈아 분말로 하였다.
용매추출하기 위해서 3종류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첫번째가 증류수이고, 두번째가 에탄올, 세번째가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물이다.
물에 의한 추출은 물에 5%농도로 상황버섯분말을 넣고 80℃에서 48시간 물중탕한 후 400메쉬크기의 쇠그물망으로 여과하여 버섯과 여과된 액을 분리하였다. 계속해서 분리된 여과액을 0.45μm 여과지로 제균여과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에탄올에 의한 추출은 물에 대한 60%, 80%, 95% 에탄올용액에 상황버섯을 5%농도로 첨가하여 15일간 25℃, 45℃에 각각 방치한 후 400메쉬크기의 그물망으로 여과하여 버섯과 여과액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여과액을 0.45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액에 의한 추출에서는 1,3-부털렌글리콜과 물의 비율을 8:2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 혼합액에 5중량% 농도로 상황버섯을 첨가하고 40, 60, 80℃에서 8∼48시간 물중탕하여 추출한 후 400메쉬크기의 쇠그물망으로 여과하여 버섯과 여과액을 분리한 다음 여과액을 0.45㎛ 여과지로 여과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미백효과를 갖기위한 기본조건인 물질의 자외선 흡수정도를 자외선 흡수스펙트럼으로 조사한 것이다.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추출한 상황버섯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 에탄올추출물 중 물에 대한 95% 에탄올으로 추출한 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중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중량비가 6 : 4인 액으로 추출한 추출물 각각을 기존의 자외선 차단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알부틴, 코직산, 송이버섯추출물과 상호비교하였다.
측정방법은 자외선분광기(모델명 : Cary, 회사명 : Varian(호주))를 사용하여 각 시료를 녹인 용매를 대조하여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황버섯의 각종 추출물(A)은 미백제로 알려지고 있는 10% 알부틴수용액(B), 5% 코직산수용액(C), 송이버섯 에탄올추출물(D)과 비교해 파장 200∼300nm의 영역에서 자외선을 강하게 흡수(도 1)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강한 미백효과가 기대되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프리라디칼 소거작용효과를 관찰한 것이다.
0.2mM l,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1-2-picrylhydrazyl)메탄올용액 0.5ml에 여러농도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 각각의 10% 에탄올용액 1ml을 첨가하고 섞은 다음 37℃에서 10분간 방치 후 517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했다. 그 결과, 프리라디칼 소거능력과 프리라디칼을 50%감소시키는 농도(SC50)는 아래식과 같이 구하였다. 그 결과 시료 2중량%정도에서 최대능을 나타냈으며 SC50은 0.23μM로 나타났다(표 1). 이것은 다른 어느 물질보다도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 프리라디칼 억제율(%) = [1-(E-B)/C] × 100
(B : 대조군, C : 기준군, E : 시료군)
* 소거능력(SC50):활성의 크기는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메탄올(66.7μM)농도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μM)로 표기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자동산화가 잘 되는 물질인 리놀산을 이용하여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정도를 상호비교한 것이다. 8ml 캡튜브에 10mM 리놀산용액 3ml와 4mg/ml로 조정한 시료 0.075ml를 첨가한 후 4℃에 방치한다. 상기의 혼합액 0.lml를 24시간 후에 75% 에탄올 4.7ml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30% 티오시안산암모늄 용액 0.lml와 염화제1철 시약 0.lml를 첨가하고 3분간 방치한 후 발색시켜 500nm에서 흡수파장을 측정, 시료를 넣지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했다. 리놀산 자동산화를 이용한 항산화효과 시험에서 실시예 1에 의해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은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E(42.3%)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효과(46%)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 의해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위해 티로시나제라는 효소가 기능억제되는 정도를 보고 미백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티로시나제는 생체내에서 티로신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여 티로신이 산화되어 멜라닌이라는 흑색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 161-168 (1966))을 응용해 미백효과로 판정하였다.
상백피추출물(원액, 10, 1, 0.1, 0.01의 증류수에 대한 v/v%), 상황버섯추출물(원액, 0.5, 0.05, 0.005, 0.0005의 증류수에 대한 v/v%), 유용성 감초추출물, 코직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1, 0.1, 0.01, 0.001, 0.0001의 증류수에 대한 v/v%)을 시료로 사용하여 티로시나제활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15㎕를 마이크로플레이트(96웰)에 넣고, 0.lM 인 산완충액(pH6.86) 150㎕, 1.5mM L-티로신용액 25㎕를 넣은 후, 2,380단위/㎖ 머쉬룸 티로시나제(Sigma, USA)(0.05M 인산완충액, pH6.86) 7㎕를 첨가하여 3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490nm에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은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효소활성 저해율 50%에 달하는 저해물질의 농도이다(표 3).
저해율(%) = {[(D-C)-(B-A)] / (D-C)} × 100
A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B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D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작용 시험결과 상황버섯 각 추출물의 IC50값은 0.5%이하로 나타났다. 수치상으로 볼때 다른 물질에 비해 저해활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직산, 하이드로퀴논 등과 같이 순수정제된 물질이 아니라 추출물임을 감안한다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방선균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을 측정한 것으로 사용된 방선균(Streptomyces bikinensis NRRL B-1049)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유전공학연구소(KCTC)로부터 분양(기탁번호 KCTC 9172)받아 사용하였다.
방선균을 papavizas' VDYA 한천 슬랜트 배지(V-8 쥬스 200㎖, 포도당 2g, 효모추출물 2g, CaCO31g, 한천 20g, 증류수 800㎖, pH7.2)에서 2주간 28℃로 배양시켜 포자를 생성시킨 후 멸균수로 포자 현탁액을 만들었다. 0.2%의 효모추출물을 첨가한 ISP No.7 평판배지에 포자 현탁액 0.2㎖씩을 도포한 후 배지표면에 시료를 적신 페이퍼 디스크에 시료양을 30μg/페이퍼 디스크로 도포하고 28℃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생성된 멜라닌 생성 저해환의 크기를 멜라닌생성 저해물질로 알려진 4-하이드록시아니솔을 대조군으로 하여 멜라닌생성 저해여부를 관찰하였다(표 4).
상황버섯 각 추출물의 방선균에 대한 멜라닌생성 저해활성은 상황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6mm의 멜라닌 생성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저해활성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저해제인 4-히드록시아니솔과 유사한 매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상황버섯의 물중탕 처리 물추출물, 에탄올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의 피부미백효과를 알아보기위해 실험실수준에서 관찰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멜라노마 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마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1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도 판별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를 5×103세포/㎖의 농도로 10% 소태아혈청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Gibco, USA))에 현탁시켰다. 현탁세포 5㎖를 조직배양 플라스크에 넣고 검정 시료를 0.134% 첨가한 후, 5%이산화탄소-95%공기조건으로 37℃에서 배양하였다. 4일간 배양후 배양액의 색으로 멜라닌생성 정도를 1차 판별하고, 세포를 인산완충액으로 씻은 후 트립신처리하여 세포를 플라스크로부터 분리하였다. 세포를 튜브에 모은 후 인산완충액으로 씻고, 원심분리하여 튜브 아래쪽에 침전된 멜라닌 생성양을 기존의 미백제로 알려지고 있는 몇개의 시료와 상황버섯추출물과의 멜라닌색소분비억제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평가방법은 세포배양중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과 각 시료를 처리했을 때의 검은 멜라닌색소 분비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정도를 육안관찰하여 상호비교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상황버섯추출물이 멜라닌색소분비를 효과있게 억제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 의해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에 의한 피부면역증강정도를 평가하고자 마우스복강내에서 활성화된 마크로파지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 음이온의 분비정도를 정량하여 평가하였다.
마크로파지세포는 인체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중의 하나로 외부물질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과산화물 음이온을 분비하여 외부물질을 용해시키거나 세포외부로 방출시켜 생체를 보호하게 된다. 본 면역활성 측정실험에는 아이시알(ICR)계의 수컷, 9주령인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복강내 세포를 활성화시키기위해 혐기성배지인 티오글라이콜라이트를 주사하여 4일경과 후에 복강내 대식세포를 분리하였고 37℃, 5%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고 면역활성실험을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4x104세포/웰으로 분주하였고 시료 처리 후 46시간 경과 후에 생성된 이산화질소 음이온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면역효과가 높은 인터페론과 이 인터페론에 상황추출물을 0.05∼1.3%농도로 혼합·첨가하여 마크로 파지세포의 분비물 중의 과산화물 음이온인 이산화질소 음이온에 대한 양을 가시광선흡수스펙트럼으로 540nm 파장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마크로파지세포 배양중 인터페론을 단일로 첨가한 경우보다 인터페론에 상황추출물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2배정도의 높은 이산화질소 음이온을 분비하여 면역증가효과를 나타냈다.
가 : 상황버섯의 물추출물과 인터페론의 혼합물
나 : 상황버섯의 에탄올추출물과 인터페론의 혼합물
다 : 상황버섯의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액 추출물과 인터페론의 혼합물
라 : 인터페론
[실시예 9,10,1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1에 의해 추출한 각각의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크림의 조성은 표 7에 나타내었다. 우선 표 7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실시예 9∼l1, 비교예)을 조제하였다.
표 7의 각 크림을 실험자(20∼35세의 여성) 5명의 얼굴오른쪽에 1일 2회 연속 1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부위 피부를 화상분석기로 얼굴색을 비교하여 가장 어두운색을 5 중간색을 3, 가장 환한 색을 1로 정하고 그 중간정도를 어림잡아 평가하였다. 표 8은 실시예 10의 조성으로 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안면피부색을 비교예의 조성으로 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안면사용부위와 비교한 것이다. 표8에서와 같이 상황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에서 미백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 그 외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미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롤리돈 0.05g, 올레일알콜 0.l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l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한다. 실시예 1의 상황버섯추출물0.05g, 글리세린 5g를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교반첨가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는다.
[실시예 13]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lg를 70℃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실시예 1의 상황버섯추출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를 75℃로 가열해서 용해시킨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유중계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는다.
[실시예 14]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E 아세테이트 0.2g, 감초산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lg, 실시예 1의 상황버섯추출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질개선의 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한 상황버섯추출물은 각종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효과가 탁월하며 안전성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술한 상황버섯추출물은 피부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시 우수한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상황버섯분말을 물중탕처리 물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
  2. 상황버섯분말을 물에 대한 60∼95% 에탄올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
  3. 상황버섯분말을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
  4. 제 3 항에 있어서, 1,3-부틸렌글리콜과 물의 혼합비율이 8 : 2 내지 4 : 6이고,40∼80℃에서 가열추출한 상황버섯추출물.
  5.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황버섯추출물을 0.05∼20중량%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9960069542A 1996-12-21 1996-12-21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20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542A KR100206538B1 (ko) 1996-12-21 1996-12-21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542A KR100206538B1 (ko) 1996-12-21 1996-12-21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97A true KR19980050697A (ko) 1998-09-15
KR100206538B1 KR100206538B1 (ko) 1999-07-01

Family

ID=1948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542A Expired - Lifetime KR100206538B1 (ko) 1996-12-21 1996-12-21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5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601A (ko) * 1999-04-02 1999-07-05 김준, 김미란 상황성분이함유된화장비누
KR20040015469A (ko) * 2002-08-13 2004-02-19 주식회사 래디안 상황버섯쌀(상황미)의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05002362A1 (en) * 2003-07-04 2005-01-13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the extract and food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KR100695996B1 (ko) * 2001-02-20 2007-03-15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966835B1 (ko) * 2008-02-19 2010-06-29 장문식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242B1 (ko) * 2000-10-17 2002-12-18 최찬기 콘드로이친과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030008710A (ko) * 2001-07-19 2003-01-29 박향진 화장료 조성물
KR101128990B1 (ko) * 2009-10-20 2012-03-23 안도림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3657A (ko) 2021-01-15 2022-07-22 김태환 유압고속 발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601A (ko) * 1999-04-02 1999-07-05 김준, 김미란 상황성분이함유된화장비누
KR100695996B1 (ko) * 2001-02-20 2007-03-15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40015469A (ko) * 2002-08-13 2004-02-19 주식회사 래디안 상황버섯쌀(상황미)의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05002362A1 (en) * 2003-07-04 2005-01-13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the extract and food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KR100966835B1 (ko) * 2008-02-19 2010-06-29 장문식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6538B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36513A1 (en) Substances capable of potentiating laminin 5 productivity in epidermal cells and their use
KR102813126B1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AU2002241873B2 (en) Whi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scomycete derived enzyme
KR20090111719A (ko) 대추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206538B1 (ko)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8009B1 (ko) 잎새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986758B2 (en)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KR19990081226A (ko) 자연산 상황버섯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JP2003128515A (ja) 化粧料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9471B1 (ko)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690914A1 (en) Antioxidant, whitening agent and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the same
KR20080020749A (ko)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0334608B1 (ko)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048768A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875302B2 (en) Methods of using grape seed extract to stimulate tyrosinase gene expression
KR100508528B1 (ko) 작두콩과 금송전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제조방법
KR100345382B1 (ko)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미백화장료
KR101280306B1 (ko) 발효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H0987135A (ja) 皮膚外用剤
CN109363956A (zh) 喜来芝提取物的用途和美白水分露及其制备方法
KR20190048931A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0831

Opposition date: 19990831

Opposition identifier: 101999000333

Registration number: 1002065380000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0929

Opposition date: 19990929

Opposition identifier: 101999000396

Registration number: 1002065380000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PO1201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20000210

Patent event code: PO12011R01D

Comment text: Withdrawal of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1999040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00726

Decision date: 20011031

Appeal identifier: 20001000012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726

Effective date: 2001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121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726

Effective date: 200110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11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00726

Decision date: 20011031

Appeal identifier: 20001000012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0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06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