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46510A -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 Google Patents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510A
KR19980046510A KR1019960064868A KR19960064868A KR19980046510A KR 19980046510 A KR19980046510 A KR 19980046510A KR 1019960064868 A KR1019960064868 A KR 1019960064868A KR 19960064868 A KR19960064868 A KR 19960064868A KR 19980046510 A KR19980046510 A KR 1998004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power
voltag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종옥
허문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510A/ko
Priority to KR1019970033501A priority patent/KR100266806B1/ko
Priority to US08/961,659 priority patent/US5999829A/en
Priority to JP10526514A priority patent/JP2000505976A/ja
Priority to PCT/KR1997/000219 priority patent/WO1998026518A1/en
Priority to BR9713904-1A priority patent/BR9713904A/pt
Priority to DE69730529T priority patent/DE69730529T2/de
Priority to AU50685/98A priority patent/AU715984B2/en
Priority to EP97913500A priority patent/EP0965183B1/en
Priority to IL12232797A priority patent/IL122327A/xx
Publication of KR1998004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510A/ko

Links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회로.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출력레벨에 따라 DC-DC 컨버터의 출력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절전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밧데리와, 피트백전압에 의해 상기 밧데리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씨-디씨 컨버터와,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파워앰프와 다수의 선형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출력레벨에 따라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에 연결되어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의 출력전원을 조절하는 상기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와, 송신모드이면 수신된 신호에서 전계지역을 판정하여 송신출력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회로에 이용.

Description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본 발명은 CDMA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절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CDMA 단말기와 같은 디지털 이동 통신을 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가 등장하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도이다.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한다.)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IC들은 밧데리(10)에서 필요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여기서 밧데리(10)에서 공급하는 전원은 상기 다수의 IC들의 필요한 전원보다 높은 전원이다. 또한 파워 앰프(30)에서 요구되는 전압과 상기 다수의 IC들의 요구 전압이 다르다. 예를 들면 밧데리의 출력전압은 7.2V이고 상기 파워 앰프(30)의 요구전압은 5V이며, 상기 다수의 IC들의 요구전압은 3.3V이다. 그래서 밧데리(10)에서 7.2V의 전압을 공급하면 직류-직류(이하 DC-DC라 한다.) 컨버터(20)에서는 이를 받아 파워 앰프(30)의 요구전압인 5V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파워 앰프(30)는 이를 받아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또한 선형 레귤레이터(40)에서는 상기 DC-DC 컨버터(20)에서 출력된 5V의 전압을 받아 다수의 IC들에게 필요한 전원인 3.3V의 전압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수의 IC들은 상기 3.3V의 전원을 인가 받아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은 상기 DC-DC 컨버터(20)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전압분배저항 R1과 R2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분배저항 R1과 R2의 크기는 파워 앰프(Power Amp)의 요구전압인 5V의 전압으로 설정되었다.
그런데 CDMA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출력레벨은 평균적으로 저출력을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출력레벨은 기지국과의 위치에 따라 가까운 곳일 경우에는 강전계지역으로 저출력으로도 통신할 수 있으며, 먼곳에서는 약전계지역으로 고출력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앰프의 요구전압인 5V 값은 고출력일 때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파워앰프의 요구전압이 고정됨으로써 저출력일 때에는 불필요한 전원을 소모하여 밧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저출력일 때에도 고정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의 온도를 상승시켜 회로 전체에 나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출력레벨에 따라 DC-DC컨버터의 출력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절전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인가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 회로도이다. 파워 온되면 밧데리(10)는 DC-DC 컨버터(2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DC-DC 컨버터(20)는 공급된 전원을 받아 파워 앰프(3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코일 L1을 통하여 콘덴서 C1에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한 파워 앰프(30)에 필요한 전원은 상기 DC-DC 컨버터(20)에서 일정한 전원이 출력되면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를 받는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60)에서 상기 출력된 전원을 조절한 것이다.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60)는 DC-DC 컨버터(20)의 출력단에 연결된 세 전압분배저항 R1과 R2와 R3와, 컬렉터단이 상기 전압분배저항 R1과 R2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DC-DC 컨버터(2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제어부(50)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TR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DC-DC 컨버터의 피드백전압 Vf는 전압분배저항 R2와 R3 사이의 접점의 전압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롬을 구비한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부를 통해 제어부(50)는 전계지역을 판정하여 송신출력레벨을 설정한다. 그래서 송신모드로 들어가면 상기 제어부(50)는 강전계지역인지 약전계지역인지를 판정하여 설정된 송신출력레벨에 따라 제어신호를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6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일 예로 기지국이 많은 도심과 같은 강전계지역에서 평균 저출력일 때에 발생하는 제1제어신호와, 약전계지역에서의 고출력일 때에 발생하는 제2제어신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신호는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단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는 신호이고, 상기 제2제어신호는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단에 순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는 신호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제어신호가 트랜지스터 TR1을 오프시킴으로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은 제1 및 제2전압분배저항 R1과 R2의 합과 제3전압분배저항 R3에 의해 분배되어 피드백전압 Vf로 입력되어 상기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신호는 트랜지스터 TR1을 온시키므로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은 제2전압분배저항 R2와 제3전압분배저항 R3에 의해 분배되어 피드백전압 Vf로 입력되어 상기 DC-DC 컨버터(20)의 출력전압을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전계지역에서 사용이 많은 경우에 파워앰프와 선형 레귤레이터를 통해 소모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로인해 밧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온도상승요인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밧데리와, 피트백전압에 의해 상기 밧데리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씨-디씨 컨버터와,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파워앰프와 다수의 선형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출력레벨에 따라 절전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에 연결되어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의 출력전원을 조절하는 상기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와,
    송신모드이면 수신된 신호에서 전계지역을 판정하여 송신출력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출력전원 조절부가,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디씨-디씨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피드백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전압분배저항과 제2전압분배저항과 제3전압분배저항과,
    컬렉터단이 상기 제1전압분배저항과 제2전압분배저항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접지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1전압분배저항과 제2전압분배저항과 제3전압분배저항의 전압분배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상기 송신출력레벨이 낮은 곳에서 발생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온시키는 제1제어신호와,
    상기 송신출력레벨이 높은 곳에서 발생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는 제2제어신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60064868A 1996-12-11 1996-12-12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KR19980046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68A KR19980046510A (ko) 1996-12-12 1996-12-12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KR1019970033501A KR100266806B1 (ko) 1996-12-11 1997-07-18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US08/961,659 US5999829A (en) 1996-12-11 1997-10-31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JP10526514A JP2000505976A (ja) 1996-12-11 1997-11-10 携帯用無線端末機の電源調節装置及び方法
PCT/KR1997/000219 WO1998026518A1 (en) 1996-12-11 1997-11-10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BR9713904-1A BR9713904A (pt) 1996-12-11 1997-11-10 Circuito para controle de potência, e, processo de controle de potência usado por um radiotelefone portátil
DE69730529T DE69730529T2 (de) 1996-12-11 1997-11-10 Schaltkreis und verfahren zur leistungsregelung die bei einem mobiltelefon benutzt wird
AU50685/98A AU715984B2 (en) 1996-12-11 1997-11-10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EP97913500A EP0965183B1 (en) 1996-12-11 1997-11-10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IL12232797A IL122327A (en) 1996-12-11 1997-11-27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68A KR19980046510A (ko) 1996-12-12 1996-12-12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10A true KR19980046510A (ko) 1998-09-15

Family

ID=6652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68A KR19980046510A (ko) 1996-12-11 1996-12-12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5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46B1 (ko) * 1999-01-27 2007-08-31 텔레폰악티에볼라겟 엘엠 에릭슨(펍) 휴대용 다중 대역 통신 장치 및, 그 전하 소모량 결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46B1 (ko) * 1999-01-27 2007-08-31 텔레폰악티에볼라겟 엘엠 에릭슨(펍) 휴대용 다중 대역 통신 장치 및, 그 전하 소모량 결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8337B2 (en) Power system and method
EP0742509B1 (en) A 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evice
KR1002648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US5613229A (en) Voltage and current mode power regulator
US7288854B2 (en) Power linear and switching regulators commonly controlled for plural loads
KR100266806B1 (ko)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US57748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N113328504B (zh) 无线耳机充电电路及充电盒
KR100365793B1 (ko) 무선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전압제어 장치
US7782222B2 (en) Voltage regulating power supply for noise sensitive circuits
US7554298B2 (en) Charger and integrated circuit having first and second charging currents
KR19980046510A (ko)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EP06789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0401453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ower dissipation in series connected voltage regulators
US7638981B2 (en) Charging device
CA2163498C (en) Voltage and current mode power regulator
KR1006571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제어 회로
KR0168028B1 (ko) 휴대용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100353449B1 (ko) 전원전압제어장치
US7466995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malfunction-preventing function
KR1004442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출력전원제어장치및방법
JP2005515574A (ja) 電子装置のための電圧調整装置
KR100279374B1 (ko) 무선모뎀의 전원회로
KR100260745B1 (ko) 전압추적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고속 충전회로
RU2161862C1 (ru) Сх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используемой портативным радиотелефон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2

PC1204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Patent event date: 1996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