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40268A - Car seat track - Google Patents

Car seat t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268A
KR19980040268A KR1019960059434A KR19960059434A KR19980040268A KR 19980040268 A KR19980040268 A KR 19980040268A KR 1019960059434 A KR1019960059434 A KR 1019960059434A KR 19960059434 A KR19960059434 A KR 19960059434A KR 19980040268 A KR19980040268 A KR 1998004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wer rail
upper rail
seat track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병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268A/en
Publication of KR1998004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26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강성을 증대시켜 승차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부품수를 최소로 하여 제작 원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체의 바닥면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며 단면의 양측 선단부가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중심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로워레일과, 상기한 로워 레일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며 선단부가 중심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내측을 향하고 로워 레일의 선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느 제1 어퍼 레일과; 상기한 제1 어퍼 레일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며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제2 어퍼 레일과, 상기한 로워레일의 선단 및 제1,2 어퍼레일의 선단부 사이에 구름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을 제공한다.In order to increase the stiffness, increase the safety of the rider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it is fixed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both ends of the cross section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ttom The lower rail is bent outward to form a free end, and the lower rail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rail, and the distal end portion is disposed in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ower rail. With 1 upper rail;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roll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rail and the second upper rail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form, and a tip of the lower rail and a tip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Provide a seat track for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트랙Car seat track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트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층돌시 승차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생산 코스트를 감소시키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mobile seat tracks,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obile seat tracks that increase the safety of the occupant during the stratification of a vehicle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자도차의 실내는 운전자 및 승차자가 탑승하기 위하여 시트가 배치된다. 상기한 시트는 운전자의 체격조건 및 운전 자세에 알맞도록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eats are arranged for the driver and the rider to board. The sea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back and forth to fit the driver's physique and driving postur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프로트 시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101)와, 시트 트랙(10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시트(101)는 시트 트랙(103)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앉아서 안전하고 안락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typical car seat, showing a seat 101 and a seat track 103. The seat 101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track 103 to allow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to sit safely and comfortably.

도 6은 도 1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래의 시트 트랙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로워 레일(105), 어퍼레일(107) 그리고 로워레일(105)과 어퍼 레일(107) 사이에 배치되느 볼(109)과, 상기한 어퍼 레일(107)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111)을 도시하고 있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eat track shown by cutting the AA portion of FIG. 1, wherein the lower rail 105, the upper rail 107, and the ball disposed between the lower rail 105 and the upper rail 107 are shown in FIG. 109 and the hinge bracket 11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ail 107 described above are shown.

상기한 로워 레일(105)은 차체(도시생략)의 바닥면과 고정 결합되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로워레일(105)은 양 선 단부가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도록 절곡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어퍼 레일(107)은 상기한 로워 레일(105)과 대응하여 설치되며 양선단부가 중심에서 내측으로 모아져 로워 레일(105)의 선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로워 레일(105)의 선단부와 어퍼레일(107)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는 볼(109)이 개재되어 어퍼 레일(107)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The lower rail 105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not shown) and has a structu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wer rail 105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line ends are bent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The upper rail 107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rail 105 described above, and both end portions are collected from the center to the inner side,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rail 10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all 109 is interposed between the tip of the lower rail 105 and the tip of the upper rail 107 so that the upper rail 107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have.

또한 상기한 어퍼 레일(107)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111)은 시트를 고정함과 동시에 추돌 사고시에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hinge bracket 111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ail 107 is to increase the rigidit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hile fixing the seat.

도 7은 도 6의 어퍼 레일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힌지 브라켓(111)과 일체로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어퍼 레일(107)은 1피스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rail of FIG. 6 and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upper rail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111. The upper rail 107 is made of a structure consisting of one piec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시트에 앉아 어퍼레일(107)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별도의 레버(도시생략)를 작동시켜 시트를 전후진 시켜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퍼 레일(107)이 전후 방향으로 볼(109)을 통하여 로워 레일(105)과 구름 접촉되는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가 운전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맞게 도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seat track for automobil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to sit on the seat to operate a separate lever (not shown) for releasing the fixing state of the upper rail 107 to move the seat back and forth to fit the body shape or the driver's posture. Play a role. At this time, the upper rail 107 is made to move in a state of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rail 105 through the ball 109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seat is cut to fit the body shape and posture of the driver.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트랙은, 전방 충돌 발생시에는 힌지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퍼레일의 변형정도가 심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충분하게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The seat track for a vehicle of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pper rail is not deformed enough to sufficiently protect the safety of the occupant even when the hinge bracket is fixed when a front collision occurs.

또한 자동차의 부품은 원가절감을 위하여 최소로 제작하여야 하나 이에 충분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arts of the car should be made to the minimum to reduce the cos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correspond enough.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을 증대시켜 승차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부품수를 최소로 하여 제작원가를 감소시키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track for automobiles to increase the rigidity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rider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have.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의 바닥면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며 단면의 양측 선단부가 바닥면에서 소정의높이를 갖고 중심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로워 레일과, 상기한 로워 레일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며 선단부가 중심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내측을 향하고 로워 레일의 선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어퍼 레일과, 상기한 제1 어퍼 레일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며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제2 어퍼 레일과, 상기한 로워레일의 선단 및 제1,2 어퍼레일의 선단부 사이에 구름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을 제공한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ail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cross section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ttom surface and bent outward from the center to form a free end. And a first upper rail dispos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rail and having a distal end facing in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enter and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distal end of the lower rail, and the first upper rail. And a second upper rail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form, and a roll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tip of the lower rail and the tip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 트랙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track of a typical automobi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1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t portion A-A of Figure 1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FIG.

도 4는 충돌 사고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formation state of th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ash accident

도 5는 충돌사고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변형상태를 도식화한 충격력과 변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표,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force and the displacement illustrat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ash accident;

도 6은 도 2에 대응하는 종래의 도면,6 is a conven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2;

도 7은 도 3에 대응하는 종래의 도면,7 is a conven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도 8은 도 4에 대응하는 종래의 도면,8 is a conven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4;

도 9는 도 5에 대응하는 종래의 도면이다.9 is a conventional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 트랙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시트(101)와 시트 트랙(103)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automobile seat track, showing a seat 101 and a seat track 103.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로워레일(1)과, 제1,2 어퍼 레일(3)(5)을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y cutting the A-A portion of FIG. 1, showing the lower rail 1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As shown in FIG.

상기한 로워 레일()은 차체(도시생략)의 바닥면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측 선단부가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상기한 양측 선단부의 자유단은 바닥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로워레일(1)의 상단에는 어퍼레일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데 상기한 어퍼 레일 어셈블리는 제1,2 어퍼레일(3)(5)이 페어를 이루어 양측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배치되고 있다.The lower rail ()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not sh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oth ends are made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side. Of course, the free ends of the two front end portion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n upper rail assembly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rail 1, and the upper rail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are coupled to both sides in pairs.

상기한 제1 어퍼 레일(3)은 로워 레일(1)의 상단에 일측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다른 일측 선단부가 중심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내측을 향하고 로워 레일(1)의 선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 어퍼레일(3)과 대응하도록 제2 어퍼 레일(5)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체결부재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제1,2 어퍼 레일(3)(5)의 일측에 체결공(9)을 형성하고 볼트(11)로 체결함으로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2 어퍼 레일(3)(5)의 자유단부와 로워레일(1)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스틸볼(7)로 이루어지는 구름부재를 개재하여 제1,2 어퍼 레일(3)(5)과 로워레일(1)이 구름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The first upper rail 3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rail 1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upward, and the other one end thereof faces in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and with the distal end of the lower rail 1. It has a structu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rail 5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rail 3 by a fastening member. As shown in FIG. 3,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by forming a fastening hole 9 a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stening with a bolt 11. To be done.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re interpos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and the free ends of the lower rails 1 through a rolling member made of steel balls 7. (5) and the lower rail (1) are made in the structure which can slide-move by rolling contact.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시트에 앉아 어퍼 레일(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별도의 레버(도시생략)를 작동시켜 시트를 전후진시켜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2 어퍼 레일(3)(5)이 전후 방향으로 스틸볼(1)을 통하여 로워레일(1)과 구름 접촉되는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가 운전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맞게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seat track for automobiles formed in this way operates a separate lever (not shown) for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to sit on the seat to release the upper rail 1 from being fixed, to move the seat back and forth to fit the body shape or the driver's posture. Play a rol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are mov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ail 1 through the steel ball 1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sea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er's body shape or posture.

그리고 상기한 자동차용 시트 트랙은, 정면충돌 사고 발생시에 어퍼레일 어셈블리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다.In the vehicle seat track, deformation of the upper rail assembly occurs when a frontal collision occurs, which is illustrated in FIG. 4.

상기한 제1,2 어퍼 레일(3)(5)은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비틀림 변형이 대칭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즉 승차자가 착석하고 있는 시트(101)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밀리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어퍼레일의 변형상태와 비교하여 보면, 종래의 어퍼 레일(107)은 비틀림 변형이 비대칭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승차자가 착석하고 있는 시트(101)가 일측으로 이탈하게되는 가능성이 더욱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ollision accident occurs in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the torsional deformation occurs symmetrically. That is, the seat 101 on which the occupant is seated is deformed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without being pushed or pushed to one side. This is compared with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upper rail shown in FIG. 8, the torsional de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upper rail 107 occurs asymmetrically so that the seat 101 where the occupant is seated is separated to one side. The possibilities are even greater.

또한 도9는 종래의 외부 충겨력에 대한 어퍼 레일의 변형 변위를 도시한 도표이고, 도 5는 외부의 충격력에 대한 제1,2 어퍼 레일의 변형 변위를 도시한 도표로서, 종래에 비하여 큰 충격력에도 비교적 변형의 변위가 작게 됨을 알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deformation displacement of the upper rail to the conventional external filling forc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deformation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 to the external impact force, a larger impact force than the conventional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deformation is relatively small.

이는 상기한 제1,2 어퍼 레일(3)(5)이 접촉하는 상단부가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여 비틀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upper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3 and 5 serves to increase rigidity and to suppress twisting.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트랙은, 별도의 보강부재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강성을 증대시키게 되어 강성증대에 따른 상대적인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 승차자의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at track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igidity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thereby achieving a relative cost reduction due to the increase in rigidity, and can increase the safety of the occupant when the vehicle crashes. do.

Claims (2)

차체의 바닥면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며 단면의 양측 선단부가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중심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로워레일과, 상기한 로워 레일의 상단에 일측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다른 일측 선단부가 중심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내측을 향하고 로워 레일의 선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어퍼 레일과, 상기한 제1 어퍼 레일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며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제2 어퍼 레일과, 상기한 로워 레일의 선단및 제1,2 어퍼 레일의 선단부 사이에 구름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The lower rail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both ends of the cross section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ttom surface and are bent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to form a free end, and one side surfac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lower rail. A first upper rail which is disposed to face upward and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ith the other one end portion facing in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and spaced apart from the tip portion of the lower rai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upper And a roll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upper rail fastened by the rail and the fastening member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shape, and a tip end of the lower rail and a tip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제 1항에 있어서, 제1,2 어퍼 레일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상단으로 접촉하는 제1,2 어퍼 레일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볼트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트랙.The seat track of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forms a fastening hole in the first and second upper rail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and fastens with a bolt.
KR1019960059434A 1996-11-29 1996-11-29 Car seat track Ceased KR199800402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434A KR19980040268A (en) 1996-11-29 1996-11-29 Car seat t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434A KR19980040268A (en) 1996-11-29 1996-11-29 Car seat t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68A true KR19980040268A (en) 1998-08-17

Family

ID=6648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434A Ceased KR19980040268A (en) 1996-11-29 1996-11-29 Car seat t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26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523A (en) * 2010-07-29 2012-02-08 주식회사다스 Seat-track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523A (en) * 2010-07-29 2012-02-08 주식회사다스 Seat-track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3749B2 (en) Car front body structure
US660478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0402780B1 (en) Rail-roof side part structure of vehicle
JP3539197B2 (en) Car floor structure
JP2006027608A (en) Knee bolst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H0319493Y2 (en)
KR19980040268A (en) Car seat track
KR20110051694A (en) Front seat cross member reinforcement structure
KR100756942B1 (en) Vehicle seat belt retractor fixing structure
KR200227060Y1 (en) Locker of seat locking system for vehicle
JP3491792B2 (en) Knee bolster holding structure
KR200141721Y1 (en) Headrest of seat for a car
KR100461321B1 (en) Seattrack structure for automobile
JP2531417Y2 (en) Seat slide device
JPS6119982Y2 (en)
KR100366582B1 (en) Structure for mounting an upper rain on a seat rear mounting bracket
KR200147806Y1 (en) Car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KR100550042B1 (en) Nibolster Brackets for Automobiles
JP2599828Y2 (en) Car knee collision protection device
JP2516169Y2 (en) Seat belt shoulder height adjuster mounting structure
KR100222352B1 (en) A knee-guard apparatus of driver's seat in automobile when offset crashing
KR0125686Y1 (en) Side Strength Reinforcement Structure of Front Floor of Passenger Vehicle
KR0140167Y1 (en) Frame structure of the rear seat
KR100308977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dash lower member of vehicle
KR960005862B1 (en) The impact absorbing parts for dash-panel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