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145A - 이동 통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5145A KR19980025145A KR1019970050082A KR19970050082A KR19980025145A KR 19980025145 A KR19980025145 A KR 19980025145A KR 1019970050082 A KR1019970050082 A KR 1019970050082A KR 19970050082 A KR19970050082 A KR 19970050082A KR 19980025145 A KR19980025145 A KR 199800251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ler
- power
- mobile communication
- circuit
- communica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394635 Acetomicrobium mobile Species 0.000 claims 1
- 108091006146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7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9)
-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이동 통신 장치의 위치가 기지국에 등록되는 위치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위치 등록 제어기;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 의하여 프로세스되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용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와;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지국용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위치 등록의 간격을 모니터하여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속 이동 판단 회로와;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따라서 기능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와;최소한 상기 전원 제어기를 제외하고 상기 기능 회로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에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포함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될 위치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근처 기지국 탐색 결과 서비스 지대 밖에 있을 때 상기 전원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기지국 탐색 결과 서비스 지대 내에 있을 때 송신 회로로 부터 위치 등록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에,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상기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 그 이동 통신 장치사이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위치 등록을 완료한 후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가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판단할 때 상기 전원 제어기는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를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서비스 지대 밖에 있다는 판단 신호를 상기 위치 등록제어기로부터 수신할 때, 제 2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서비스 지대 내에 있다는 판단 신호를 그 위치 등록 제어기로 부터 수신하고 간헐적인 동작을 수행할 때,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중이라고 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가 판단할 때, 상기 전원 제어기는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서비스 지대 밖에 있다는 판단 신호를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로부터 수신할 때,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서비스 지대 내에 있다는 판단 신호를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간헐적인 동작을 수행할 때,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은 상기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의 전원 중단 시간보다 더 긴 전원 중단 시간를 갖고, 그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은 상기 제2 간헐적인 도작 시간의 전원 중단 시간보다 더 긴 전원 중단 시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은 상기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의 전원 중단 시간보다 더 긴 전원 중단 시간를 갖고, 그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은 상기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의 전원 중단 시간보다 더 긴 전원 중단 시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로부터 위치 등록의 완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 및 그 기지국으로부터 대기 제어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전원 제어기는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계수하고, 위치 등록의 실패를 나타내거나 서비스 지대 밖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계수하고, 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로부터 고속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 동작중 상기 전원 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원을 턴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로부터 위치 등록의 완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 및 그 기지국으로부터 대기 제어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전원 제어기는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계수하고, 위치 등록의 실패를 나타내거나 서비스 지대 밖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계수하고, 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로부터 고속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 동작중 상기 전원 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원을 턴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는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을 측정하고,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을 때,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그 전원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는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을 측정하고,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을 때,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그 전원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는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을 때,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그 전원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는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을 때,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고속으로 이동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그 전원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는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위치 등록 완료 신호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짧을 때,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그 전원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의 동작을 무효화하는 수동 동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제어기의 동작을 무효화하는 수동 동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제어기는 복수의 타이머 및 하나의 타이머 제어기와,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로 부터 나오는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복수의 타이머중 소정의 하나의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제어기는 상기 소정의 하나의 타이머 제어기의 출력 및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하나의 타이머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타이머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타이머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위치가 기지국에 등록되는 위치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위치 등록 제어기;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 의하여 프로세스되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용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와;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페이징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 기지국용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수신 회로와;상기 위치 등록의 간격을 모니터하여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고속 이동 판단 회로와;규칙적인 페이징 신호 대기 상태의 경우,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선택하고, 위치 등록 실패의경우, 상기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 보다 더 긴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보다 더 긴 제3 간헐적인 동작 시간를 선택하므로써 상기 전원 제어기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와;상기 전원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동안, 상기 전원 제어기를 제외한 기능 회로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에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제어기는 복수의 타이머 및 하나의 타이머 제어기와,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로 부터 나오는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복수의 타이머중 소정의 하나의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제어기는 상기 소정의 하나의 타이머의 출력 및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하나의 타이머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타이머를 제외하고, 상기 전원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타이머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 회로의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 이동 통신 장치의 위치가 기지국에 등록되는 위치 등록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위치 등록 제어기와, 상기 위치 등록 제어기에 의하여 프로세스되는 상기 이동 통신 장치용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상기 기지국용 위치 등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위치 등록의 간격을 모니터하여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고속 이동 판단 회로와, 상기 고속 이동 판단 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간헐적인 동작 시간에 따라서 기능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와, 최소한 상기 전원 제어기를 제외하고 상기 기능 회로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에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근처의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와;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서비스 지대 내에 있다는 근처의 기지국 탐색 결과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위치 등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상기 위치 등록 동작의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와;상기 위치 등록 동작의 간격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전원 제어기용 상기 간헐적인 동작 시간이 제1 간헐적인 동작 시간이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근처의 기지국 탐색결과,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서비스 지대 밖에 있을 때 전원 제어기용 상기 간헐적인 동작 시간이 제2 간헐적인 동작 시간이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6-257248 | 1996-09-30 | ||
JP8257248A JP2878205B2 (ja) | 1996-09-30 | 1996-09-30 | 移動体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5145A true KR19980025145A (ko) | 1998-07-06 |
KR100255890B1 KR100255890B1 (ko) | 2000-05-01 |
Family
ID=1730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0082A KR100255890B1 (ko) | 1996-09-30 | 1997-09-30 | 이동 통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061564A (ko) |
EP (1) | EP0833538A3 (ko) |
JP (1) | JP2878205B2 (ko) |
KR (1) | KR1002558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05596B (fi) * | 1996-05-27 | 2000-09-15 | Nokia Networks Oy | Menetelmä matkaviestimen sijainnin selvittämiseksi |
DE19733530C2 (de) * | 1997-08-02 | 2003-10-09 |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Mobilfunkgerät |
JPH11164359A (ja) * | 1997-11-27 | 1999-06-18 | Nec Corp | 移動体通信システム |
JPH11298945A (ja) * | 1998-04-08 | 1999-10-29 | Oki Electric Ind Co Ltd | 移動体、移動体位置登録装置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
JP3589986B2 (ja) * | 1999-04-22 | 2004-11-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移動体通信装置及び間欠受信制御方法 |
JP4046909B2 (ja) | 1999-09-29 | 2008-02-13 | 株式会社東芝 | 移動局 |
JP3525828B2 (ja) * | 1999-11-01 | 2004-05-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位置登録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移動局装置 |
SE516962C2 (sv) | 1999-11-25 | 2002-03-26 | Ericsson Telefon Ab L M | Digital kommunikationsmottagare med inbyggd styrenhet för in- och urkoppling av kanalföljare beroende av kommunikationskanalens kvalitet |
JP3625414B2 (ja) * | 2000-04-14 | 2005-03-02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中継機 |
JP2002209247A (ja) * | 2001-01-11 | 2002-07-26 | Ntt Docomo Inc | ロケーションレジスタ、位置登録システム及び位置登録方法 |
KR20030042396A (ko) * | 2001-11-22 | 2003-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단말의 적응적인 위치등록 방법 및 장치 |
EP1361768B1 (en) * | 2002-05-03 | 2007-06-13 | Innovative Sonic Limited | Method of cell update via idle mode for power saving in a UMTS mobile upon radio link failure. |
JP2006041790A (ja) * | 2004-07-26 | 2006-02-09 | Nec Corp | 位置情報測定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
KR100800996B1 (ko) | 2005-10-17 | 2008-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기기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JP5051470B2 (ja) * | 2006-03-08 | 2012-10-17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EP2048798B1 (en) * | 2006-07-14 | 2014-09-17 | NEC Corporation | Base station search method by means of radio terminal and radio terminal |
JP2008177915A (ja) * | 2007-01-19 | 2008-07-31 | Oki Electric Ind Co Ltd | 携帯端末装置 |
US20080259551A1 (en) * | 2007-04-20 | 2008-10-23 | Gotive A.S. | Modular computing device |
GB2451616B (en) * | 2007-05-08 | 2012-07-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ocation-dependent control in a cellular phone |
JP2007259479A (ja) * | 2007-05-09 | 2007-10-04 | Toshiba Corp | 移動局 |
US9398619B1 (en) * | 2007-08-02 | 2016-07-19 | At&T Mobility Ii Llc | Emergency alert notification and verification |
JP5075019B2 (ja) * | 2008-06-04 | 2012-11-14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設定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5127A (en) * | 1988-09-19 | 1993-03-16 | Kabushiki Kaisha Toshiba | Radio telepho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JPH03104329A (ja) * | 1989-09-19 | 1991-05-0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移動通信チャネル割当て制御方式 |
JPH05130019A (ja) * | 1991-11-08 | 1993-05-25 | Hitachi Ltd | 位置登録方式 |
JPH0787010A (ja) * | 1993-09-17 | 1995-03-31 | Fujitsu Ltd | 携帯電話システム用移動機のバッテリセービング回路 |
US5710975A (en) * | 1995-12-26 | 1998-01-20 | Motorola, Inc. | Selective call transceiver with system approved power saving state |
US5839069A (en) * | 1996-04-10 | 1998-11-17 | Sharp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obile station home network search rate |
US5799256A (en) * | 1996-07-17 | 1998-08-25 | Motorola, Inc. | Battery sav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prediction of user location, movement and actions |
-
1996
- 1996-09-30 JP JP8257248A patent/JP2878205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
- 1997-09-30 KR KR1019970050082A patent/KR1002558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9-30 US US08/943,414 patent/US606156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9-30 EP EP97116969A patent/EP0833538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878205B2 (ja) | 1999-04-05 |
EP0833538A3 (en) | 1999-09-15 |
JPH10107722A (ja) | 1998-04-24 |
EP0833538A2 (en) | 1998-04-01 |
KR100255890B1 (ko) | 2000-05-01 |
US6061564A (en) | 2000-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55890B1 (ko) | 이동 통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
CA1227540A (en) | Method of transmitting terminating call signals within a restricted duration and a base station and a portable unit for use in the same | |
EP0554386B1 (en) | Receiver with battery saver | |
EP130004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dle mode reacquisition and handoff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 |
US5369798A (en) | Method and circuit for saving the power of a battery used in a portable radio telephone | |
JP2994274B2 (ja) | 携帯移動無線端末装置 | |
KR10068955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천이 방법 및그 단말 | |
JPH02256331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 | |
JPH09275587A (ja) | 移動通信システムの移動端末機 | |
KR100269195B1 (ko) | 배터리절약기능을갖는무선선택호출수신기 | |
US6108545A (en) | Mechanism for extending battery life in a GSM mobile station | |
GB2303724A (en) |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function to detect power voltage | |
JPH0787010A (ja) | 携帯電話システム用移動機のバッテリセービング回路 | |
JP3119565B2 (ja) | 無線通信装置 | |
JPH0584094B2 (ko) | ||
JP3649177B2 (ja) | 移動電話機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826522B2 (ja) | 無線移動局 | |
JP3862546B2 (ja) | 無線通信端末装置 | |
JPH06177811A (ja) | 移動無線装置 | |
JPH0795144A (ja) | 携帯端末のバッテリーセーブ制御装置 | |
JP2536220B2 (ja) | ペ―ジングシステム | |
JP2001128241A (ja) | 移動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制御チャネル検索方式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JPH08228373A (ja) | 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装置 | |
JPH0984093A (ja) | 小型セル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の移動端末装置及 びその電源制御方法 | |
JPH1093502A (ja) | 無線通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