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24748A - 휴대용 단말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48A
KR19980024748A KR1019970047676A KR19970047676A KR19980024748A KR 19980024748 A KR19980024748 A KR 19980024748A KR 1019970047676 A KR1019970047676 A KR 1019970047676A KR 19970047676 A KR19970047676 A KR 19970047676A KR 19980024748 A KR19980024748 A KR 1998002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ager
processing
signal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마따이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2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4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선택 호출 수신 동작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부의 동작을 변화함으로써 양호한 페이저 수신 감도를 얻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 장치는 선택 호출 수신 기능을 가지며 동작이 선택 호출 수신 동작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 수단,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을 가지며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 수단, 및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의 동작 중에 키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그 인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선택 호출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 장치 및 휴대용 단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 호출 메시지의 수신시에 향상된 휴대용 단말 동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선택 호출 수신기가 걀합된 휴대용 단말 장치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보 평 제3-6413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선택 호출 수신 회로가 배터리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제6-459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휴대용 단말 장치는 선택 호출 수신용의 페이저 무선부 및 페이저 제어기, 및 휴대용 단말 송수신용의 휴대용 단말 무선부 및 휴대용 단말 제어기가 동일한 케이스 안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도록 설계된다. 이들 구성 성분들은 개별적으로 선택 호출 수신 기능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서, 페이저 무선부(102)는 페이저측 안테나(10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고, 그 결과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디코드함) 출력한다. 페이저 제어기(103)은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는 휴대용 단말측의 안테나(20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 및 변조하고, 그 결과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디코드함)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클럭(204)는 통상 페이저 및 휴대용 단말 장치에 의해 사용된다. 통화부(205)가 휴대용 단말기용으로 제공된다. 표시부(301) 및 키(302)도 또한 휴대용 단말 장치에 제공된다. 안테나(101), 페이저 무선부(102) 및 페이저 제어기(103)은 선택 호출 수신부를 구성하며, 안테나(201) 및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휴대용 단말부를 구성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의 선택 호출 수신부에서, 페이저 무선부(102)는 체이저 무선부(103)에서의 무선부 전원(103a)에 의해 제어된다. 페이저 무선부(102)에 의해 출력된 디지탈 복조 신호 신호는 동기부(103b;synchronizer)에 의해 수신 신호와 동기화된다. ID 비교기(103c)는 해당 ID가 수신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무선부 전원(103a)에 의해 수행된 제어가 계속되며, 메시지 프로세서(103d)에 의해 ID에 후속된 메시지가 분석되며, 그 분석 결과는 정보 저장부(103e) 내에 저장된다. 키(302)의 조작에 의해 통지부(103g)가 동작될 때, 정보 저장부(103e)로부터 메시지가 얻어지며 표시부(301) 상에 표시된다. 선택 호출 수신부에 의해 수행된 처리는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에 의해 공급된 고속 클럭(204)에 의해 수행된다.
휴대용 단말부에서,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는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 부분인 무선부 전원(203a)에 의해 제어되며,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에 의해 출력된 디지탈 복조 신호는 동기부(203b)에 의한 수신 신호와 동기화된다. ID 비교기(203c)는 해당 ID(페이저측과는 상이한)가 수신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무선부 전원(203a)에 의해 수행된 제어가 계속되며, 데이타 프로세서(203d)에 의해 ID에 후속된 통화 데이타가 분석되며, 표시 데이타는 정보 저장부(103e) 내에 저장되며, 통화 데이타는 음성 프로세서(203f)에 의해 아날로그 데이타로 변환되며, 아날로그 데이타는 통화부(205)에 출력된다. 페이저측의 통지부(103g) 및 데이타 프로세서(203d)는 키(302)의 조작과 일치하여 제어부(203h)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측의 클럭(204)는 음성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고속이다. 통화부(205)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음성을 통화 데이타로서 코딩 후에 음성 프로세서(203e)에 제공한다.
상술된 구성의 종래의 휴대용 단말 장치가 페이저측, 즉 선택 호출 수신기 및 휴대용 단말부가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동작되기 때문에, 선택 호출 수신기에 의해 수행된 수신 동작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통신용의 키 입력을 사용하여 고속 처리가 수행된다. 그 결과, 고속 처리 중에 잡음이 발생되며 페이저에 의한 수신이 어려워진다. 일반적으로, 선택 호출 수신기는 저 주파수를 사용하여 잡음에 의해 악영향을 받기 쉽다.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 호출 수신 동작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부의 동작을 변화함으로써 양호한 페이저 수신 감도를 얻는 휴대용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는 선택 호출 수신 기능을 가지며 동작이 선택 호출 수신 동작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 수단,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을 가지며 키 입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 수단, 및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의 동작 중에 키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그 인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페이저 제어용의 저속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는 선택 호출 수신 수단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 수단은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페이저 신호의 형태를 식별하며 그 식별 결과가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 수단은 키 입력 직후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 지연 직후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그 처리 결과가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거나, 휴대용 단말 수단은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가 수행되지 않았다라는 의미의 메시지가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자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 수단에 의해 식별된 페이저 수신 신호 형태가 자기의 식별 기호로서 사용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선택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는 중이라는 의미의 메시지가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 장치를 한예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4의 (a) 내지 도 4의 (e)는 도 2의 블럭도에 도시된 소정의 부분에서의 신호의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01 : 안테나
102 : 페이저 무선부
103 : 페이저 제어기
104 : 저속 클럭 발생기
202 : 휴대용 단말 무선부
203 : 휴대용 단말 제어기
204 : 고속 클럭 발생기
205 : 통화부
301 : 표시부
302 : 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서, 페이저 무선부(102)는 페이저측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예를 들어 280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고, 그 결과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디코드함) 출력한다. 페이저 제어기(103)은 이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다른 처리를 수행한다. 저속 클럭 발생기(104)는 페이저측의 수신 신호 처리 및 통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32 KHz와 100KHz 사이의 주파수의 저속 클럭을 발생한다.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는 휴대용 단말측의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예를 들어 1.9 GHz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여, 그 결과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디지탈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다양한 처리들은 제어한다. 고속 클럭 발생기(204)는 휴대용 단말측의 수신 신호 처리 및 통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16MHz와 20MHz 사이의 주파수의 고속 클럭을 발생한다. 표시부(301) 및 키(302)가 휴대용 단말 장치에 제공된다. 안테나(101), 페이저 무선부(102) 및 페이저 제어기(103)은 선택 호출 수신부를 구성하며, 안테나(201),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휴대용 단말부를 구성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 내의 선택 호출 수신부의 페이저 제어기(103)은 페이저 무선부(102) 및 타이밍 제어기(203h)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부 전원(103a), 페이저 무선부(102)에 의해 출력된 디지탈 복조 신호를 수신 신호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부(103b), 수신 신호 내에 해당 ID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ID 비교기(103c), ID에 후속된 메시지를 분석하기 위한 메시지 프로세서(103d), 분석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103e), 제어기(103h) 및 통지부(103f)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부의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휴대용 단말부(202)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부 전원(203a),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에 의해 출력된 디지탈 복조 신호를 수신 신호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부(203b), 수신 신호 내에 해당 ID(페이저측의 ID와는 상이함)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ID 비교기(203c), ID에 후속된 통화 데이타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타 프로세서(203d), 통화 데이타 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프로세서(203e) 및 키 입력 신호 및 페이저 제어기(103)로부터 전송된 수신 상태 신호에 대한 타이밍 상황을 판정하여 처리 모드를 변화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기(203h)를 포함한다. 통화부(205)는 정보 저장부 내에 일단 저장된 통화 데이타를 아날로그 처리후 음성으로서 출력하며 휴대용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음성을 통화 데이타로서 코딩후 음성 프로세서(203e)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301) 및 키(302)가 페이저 제어기에 제공되지만, 필요에 따라 페이저 제어용의 저속 클럭(104)가 휴대용 단말측이 표시부(301) 및 키(30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에 전달될 수도 있다. 페이저 제어기(103)은 페이저 식별 신호(이하, ID라 칭함)를 저장하며, 수신 타이밍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부의 ID는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 내에 저장된다.
이제, 처리를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안테나(101)을 통해 수신된 페이저 신호는 페이저 무선부(102)에 의해 복조되며, 이러한 복조 신호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그 후, 페이저 제어기(103)은 데이타가 페이저 무선부(102)에 전송될 가능성이 있을 때에만 페이저 무선부(102)에 전원 공급을 허용한다. 페이저 제어기(103)의 동작 시간은 저속 클럭(104)에 의해 제공되며, 페이저 제어기(103)은 저속 클럭(104)를 계수하는 타이머 기능을 갖는다. ID 비교기(103c)가 페이저 제어기(103)에 미리 설정된 ID와 일치하는 ID가 수신 페이저 신호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페이저 제어기(103)은 페이저 무선부(102)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후속 메시지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ID가 검출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가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이용자의 수로부터 추정될 수 있지만, 메시지 데이타에는 오랜 시간이 요구되며 요청된 시간을 추정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ID가 정확히 식별되지 않는 경우, 후속하는 데이타가 제3의 인물의 메시지라고 가정하며 페이저 제어기(103)은 페이저 무선부(10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신호a및 ID 인식 신호b가 페이저 제어기(103)에 의해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에 전송된다. 휴대용 단말부에 수신된 데이타를 링크하기 위해, 페이저 수신 신호 내의 데이타 신호d가 또한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에 전송된다.
휴대용 단말 신호는 안테나(201)에서 수신되어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에 의해 복조되며, 이러한 복조된 신호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그 후,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데이타가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에 의해 전송될 가능성이 있을 때에만 휴대용 단말 무선부(202)에 대한 전원 공급을 허용하며 수신된 디지탈 신호를 얻는다.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의 동작 시간은 고속 클럭(204)에 의해 제공되며,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은 고속 클럭(204)를 계수하는 타이머 기능을 갖는다. 휴대용 단말에 의해 처리된 수신 신호가 페이저에 의해 처리된 데이타보다 일반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고속 클럭이 요청된다. ID 비교기(203c)가 휴대용 단말 제어기(203)에 미리 설정된 ID와 일치하는 ID가 수신 페이저 신호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통신 회선이 설립된다.
키(302) 조작에 의해 휴대용 단말로부터 회선을 설립하는 처리가 페이저측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타 처리보다 복잡하기 때문에, 고속 클럭이 요구된다. 휴대용 단말에 의한 고속 클럭 동작 및 페이저의 수신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고속 클럭 때문에 페이저에 의한 수신이 수행될 수 없다. 즉, 휴대용 단말의 수신에 의한 고속 클럭 동작이 일정 주기에 따라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페이저의 무선부 전원 신호a가 휴대용 단말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페이저 신호는 재전송되거나 휴대용 단말측에서의 수신이 일시적으로 중지되어 페이저 데이타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키 조작이 랜덤하게 발생되고 시스템에 대해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페이저 신호의 재전송 요청 또는 휴대용 단말부에서 일시적 수신 중지로 인해 발생되는 휴대용 단말 신호의 재전송 요청을 발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가 조작되었을 때에 후속된 처리가 수행된다. 이제, 이러한 처리를 도 3의 흐름도 및 도 4의 (a) 내지 도 4의 (e)의 타이밍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 휴대용 단말이 신호를 동기 수신하면서(단계 S1) 페이저 무선부(102)의 동작이 검출될 때(단계 S2), 키 입력에 의한 키 처리가 수행되는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가 수행된다(단계 S3). 키 처리가 수행되는 중인 경우, 그 처리는 중지되며, 수신이 진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출력e이 표시부(301) 상에 표시된다(단계 S4). 키 입력의 처리가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신호가 X 시간 내에(일반적으로 X는 단시간) 휴대용 단말부에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다(단계 S5). 데이타 수신되지 않았으면, X 시간 내에 입력된 키 입력c이 모니터된다(단계 S6). 키 입력c이 존재하면, 입력이 보유된다. 더우기 X 시간 내에 ID 데이타b가 식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가 수행된다(단계 S7). ID 데이타b가 식별되지 않았으면, X 시간이 경과후 키 입력에 기초하여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8).
X 시간 내에 ID 데이타b가 식별되었으면, 오랫동안 페이저 메시지의 수신이 계속된다고 가정하여 키 입력이 무효하다고 판정되고, 페이저가 수신중이라는 의미의 표시 출력e가 표시부(301) 상에 표시된다(단계 S9). 단계 S5에서, X 시간 동안 휴대용 단말부에서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 페이저에 의한 데이타의 비수신을 나타내는 표시 출력e가 표시부(301) 상에 표시되며, 동시에 휴대용 단말은 휴대용 단말의 ID 기호가 페이저 데이타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묻는다(단계 S10). 페이저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의 에러 상황에 따라 처리가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서 수행된 처리는 랜덤 키 입력에 대한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단계 S2에서 무선부(102)의 전원 ON 상태가 검출되지 않거나 단계 S6에서 키 입력이 인식되지 않으면, 통상의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11 및 S12).
도 4의 (a) 내지 도 4의 (e)에는 도 3의 흐름도에 도시된 루틴에 의해 무선부 전원 신호a및 키 입력c이 검출될 때의 처리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는 자신의 ID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페이저에 의해 발신된 무선부 동작 신호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동작 신호는 페이저의 동기화 및 ID가 검출될 수 있도록 일정 주기로 X 시간 동안 동작된다. 수신된 신호 내에 자신의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수신시 다음의 메시지 인식을 위해 사용된 y 시간(y는 가변) 동안 동작 신호가 동작된다. 휴대용 단말의 무선부 동작 신호(고속 클럭 동작 신호)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저와 독립적으로 페이저의 동작뿐만 아니라 일정 주기로 동작한다. 휴대용 단말에서 키 조작이 발생되면, 무선부 동작 모드는 통신을 허용하는 무선부 동작 모드가 변하여 고속 클럭을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은 페이저에 의해 수신과는 별개로 수행되기 때문에, 처리 클럭에 의해 생성된 잡음에 기인하여 페이저에 의한 수신이 어렵다. 본 발명에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이 일시적으로 중지되어a2가 검출된 후, 조작된 키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어 페이저에 의한 수신과 동시에 고속 처리가 수행되지는 않는다. 페이저가 동작되는 시간이 연장되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리고 이 시간 동안 휴대용 단말에 대한 수신 동작이 개시되면, 페이저 수신은 조작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표시부(301) 상에 표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 장치는 선택 호출 수신 기능을 가지며 선택 호출 수신 동작을 식별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 수단,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을 가지며 키 입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 수단, 및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의 동작 중에 키 입력이 식별될 때 이 식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그 결과, 키 입력에 기초한 키 처리는 중지될 수 있으며 진행 중인 페이저 수신용 표시가 제공되어 휴대용 단말 수단의 고속 클럭 동작 및 페이저 수신 동작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람직한 페이저 수신 감도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페이저 제어용의 고속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가 선택 호출 수신 수단에 제공되며, 휴대용 단말 수단은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일정 기간 동안 어떠한 형태의 페이저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정하며 표시 수단은 이 판정 결과를 표시한다. 그 결과, 현재 선택 호출 수신이 수행 중인지 또는 현재 휴대용 단말의 송수신 동작이 수행 중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 수단은 키 입력 직후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 지연 직후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표시 수단이 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표시하거나, 휴대용 단말 수단은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표시 수단이 처리가 수행되지 않았다라는 의미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페이저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형태에 대응하는 타이밍과 일치하여 페이저 수신이 억제되거나 키 처리가 수행되거나 휴대용 단말에서의 통상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 수단에 의해 식별된 페이저 수신 신호의 형태가 휴대용 단말 장치에 대해 식별 기호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일정 시간 내에 페이저에 의해 용이하게 수신될 수 있다는 식별 기호가 검출되면, 선정된 시간 동안 키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동작은 추가 회로를 제공하지 않고 쉽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표시 수단은 선택 호출 메시지가 수신중이라는 의미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결과, 선택 호출 수신 및 휴대용 단말 수신의 수신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선택 호출 수신 기능을 가지며 선택 호출 수신 동작을 판정하기 위한 선택 호출 수신 수단;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을 가지며 키 입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 수단; 및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 기능의 동작 중에 상기 키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페이저 제어용의 저속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가 상기 선택 호출 수신 수단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 수단은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일정 기간 동안 수신된 페이저 신호의 형태를 식별하며 그 식별 결과가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수단은 상기 키 입력 직후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 지연 직후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처리 결과가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 수단은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처리가 수행되지 않았다는 의미의 메시지가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 수단에 의해 식별된 상기 페이저 수신 신호의 상기 형태가 자기의 식별 기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선택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는 중이라는 의미의 메시지가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6. 선택 호출 수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단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이저 무선부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부에 대한 키 처리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처리가 수행중인 경우 상기 키 처리를 중지하고 표시부 상에 수신중이라고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KR1019970047676A 1996-09-19 1997-09-19 휴대용 단말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Ceased KR19980024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8216 1996-09-19
JP08248216A JP3123933B2 (ja) 1996-09-19 1996-09-19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48A true KR19980024748A (ko) 1998-07-06

Family

ID=1717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76A Ceased KR19980024748A (ko) 1996-09-19 1997-09-19 휴대용 단말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5440A (ko)
EP (1) EP0831665A3 (ko)
JP (1) JP3123933B2 (ko)
KR (1) KR19980024748A (ko)
CN (1) CN11041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15A (ko) * 2000-10-27 2001-06-05 손욱 다기능 복합 단말기
JP2002359872A (ja) * 2001-05-31 2002-12-13 Sony Corp 携帯無線端末装置
JP3862073B2 (ja) * 2002-06-07 2006-12-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274746B2 (en) * 2003-12-24 2007-09-25 Spirent Communications Of Rockvil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noise associated with information commun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873U (ko) * 1994-03-16 1995-10-20 주식회사 도신산업 페이져 겸용 셀룰라
KR960012814U (ko) * 1994-09-06 1996-04-17 최용안 무선호출기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휴대폰
JPH09327075A (ja) * 1996-06-04 1997-12-16 Kokusai Electric Co Ltd 複合移動通信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4133A (ja) * 1989-08-01 1991-03-19 Nec Corp 携帯無線電話端末
US5148473A (en) * 1991-08-30 1992-09-15 Motorola, Inc. Pager and radiotelephone apparatus
JP2914021B2 (ja) * 1992-07-23 1999-06-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5437060A (en) * 1993-06-01 1995-07-25 Itroni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H0799680A (ja) * 1993-09-27 1995-04-11 Seiko Epson Corp 携帯型情報機器
JP2737628B2 (ja) * 1993-12-28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システム
JPH07212837A (ja) * 1994-01-25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ージャー機能付き携帯無線電話装置
US5502437A (en) * 1994-04-25 1996-03-26 Motorola, Inc. Receiver isolation scheme
JP2590743B2 (ja) * 1994-06-30 1997-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通信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765113A (en) * 1994-12-29 1998-06-09 Russo; David William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desensitization of a radio frequency receiver
US5630224A (en) * 1994-12-29 1997-05-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desensitization of a radio frequency receiver
JP2771478B2 (ja) * 1995-06-20 1998-07-02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873U (ko) * 1994-03-16 1995-10-20 주식회사 도신산업 페이져 겸용 셀룰라
KR960012814U (ko) * 1994-09-06 1996-04-17 최용안 무선호출기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휴대폰
JPH09327075A (ja) * 1996-06-04 1997-12-16 Kokusai Electric Co Ltd 複合移動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1665A3 (en) 2000-01-05
CN1104108C (zh) 2003-03-26
EP0831665A2 (en) 1998-03-25
JPH1098764A (ja) 1998-04-14
US6055440A (en) 2000-04-25
CN1179654A (zh) 1998-04-22
JP3123933B2 (ja)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366B1 (ko) 무선기의 간헐적 수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
KR930003451B1 (ko) 다중 주파수 메시지 주사 시스템
US5206855A (en) Multiple frequency message system
JP3101527B2 (ja) 移動メッセージ受信機に送られた符号化送信を解析する復号器および復号方法
CA2006501A1 (en) Battery saving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optimum synchronization codeword detection
JPH0766766A (ja) 移動無線方式および移動受信機
JPH09199998A (ja) チャネル走査装置および方法
KR19980024748A (ko) 휴대용 단말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US20050197086A1 (en) Diversity contro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0935398B1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and channel selecting method thereof
JP2001102981A (ja) 無線中継方式
EP1427243A2 (en) Adjacent cell monitoring and mobile station
GB2258789A (en) Paging receiver with out-of-range alarm
US6212241B1 (en) Digital modulated signal receiver
JPH0927782A (ja) 無線装置
JP2503946B2 (ja) 選択呼出受信機
JP6978876B2 (ja) 受信器
JPH09182128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4561026B2 (ja) 受信装置
KR19980080639A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JP4702997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EP0726684B1 (en) Intermittent receiving control apparatus of a selective calling receiver and corresponding method
HK1008806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JPH06244777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およびその無線周波数チャネルサーチ方法
JPH09307473A (ja) 送受信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