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24721A - 평행 4변형 링크 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 Google Patents

평행 4변형 링크 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21A
KR19980024721A KR1019970047613A KR19970047613A KR19980024721A KR 19980024721 A KR19980024721 A KR 19980024721A KR 1019970047613 A KR1019970047613 A KR 1019970047613A KR 19970047613 A KR19970047613 A KR 19970047613A KR 19980024721 A KR19980024721 A KR 19980024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hammer
key
hammers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868B1 (ko
Inventor
사토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이시무라 가즈키요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무라 가즈키요,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무라 가즈키요
Publication of KR1998002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G10C5/10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keyboard, e.g. switching a piano mechanism or an electrophonic instrument to a keyboard; 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silent mod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66Actions for damping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68Actions with hanging jacks, i.e. jacks connected to hammer-butts or hammer-sha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는 직립 피아노(100)와 전자 건반 사이의 중간형태이고, 해머 생크(124)와 현(strings; 105) 세트를 사이에 해머 스토퍼(30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해머 스토퍼(301)는 스토퍼 레일(306)상에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해머 생크들은 상기 현의 가격전에 상기 완충부재들에서 반동한다. 한 쌍의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303/305c/305d/305e/305f/305g/305h/305)은 상기 완충부재들이 상기 해머 생크들의 궤도들로 진입하고 상기 해머 생크들의 궤도들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스토퍼 레일의 양쪽단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들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감소된다.

Description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본 발명은 건반 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에 관한 것이다.
건반 악기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전자 피아노의 중간물로, 어쿠스틱 피아노내에 해머 스토퍼(hammer stopper)와 전자 사운드 발생시스템이 설치된 형태이다. 연주자는 해머 스토퍼를 자유위치(free position)와 차단위치(blocking position) 사이에서 절환하고 해머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어쿠스틱 사운드 또는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키도록 건반을 조율한다. 해머 스토퍼가 자유위치에 있는 경우, 눌려진 키(key)는 관련된 해머들을 회전 구동시키고 그 해머들은 관련 현(string)들을 가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현들은 진동하여 어쿠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해머 스토퍼가 차단위치로 절환된 경우, 해머는 현들을 가격하기 전에 해머 스토퍼상에서 반동하고, 이에 따라 어쿠스틱 사운드는 결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키 센서(key sensor)는 눌려진 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헤드폰은 그 키 움직임을 기초로 생성된 오디오신호로부터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해머 스토퍼는 핸들과 톤발생기 사이에서 음원을 절환한다. 해머 스토퍼는 일예로서 해머 생크(hammer shank)들과 현들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해머 생크들과 현들 사이의 공간이 너무 좁아서 제조업자는 큰 해머 스토퍼를 그 좁은 공간내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또 댐퍼 어셈블리(damper assembly)도 그 좁은 공간에 설치되므로 해머 스토퍼는 댐퍼 어셈블리의 움직임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어쿠스틱 피아노의 주요 구성요소는 나무로 이루어지고 조립을 위해 큰 여유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댐퍼기구(damper mechanism)와 해머 스토퍼가 큰 공차를 필요로 하고, 이 큰 공차로 인해 그 공간은 훨씬 더 좁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머 스토퍼를 더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머 스토퍼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된다. 해머 스토퍼가 좁은 공간을 점유하더라도 해머 스토퍼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의 움직임 동안 부가공간을 필요로 한다. 해머 스토퍼는 움직임 동안 댐퍼 어셈블리와 같은 다른 구성요로와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해머 스토퍼를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작은 움직임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머 스토퍼의 전형적인 예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8-123403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 종래예에서는 90°이상 회전하면서 해머 스토퍼가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된다. 완충부재들은 샤프트(shaft)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이 샤프트 부재와 함께 회전된다. 해머 스토퍼가 차단위치로 들어가면 완충부재들이 해머 생크와 마주보게 되고 해머 생크는 완충부재상에서 반동된다. 한편, 해머 스토퍼가 자유위치로 절환되면 완충부재들이 90°이상 회전하고 해머 생크의 궤도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종래의 해머 스토퍼는 자유위치 및 차단위치 양쪽에서 점유하는 공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들의 궤도를 따라서 형성되는 공간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해머 스토퍼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다른 종래의 해머 스토퍼는 와이어에 직접 연결되고, 연주자가 종래 해머 스토퍼를 절환시키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긴다. 종래의 해머 스토퍼는 홈위치(home position)에서 해머 생크쪽으로 전진하여 진행한다. 따라서 와이어는 해머 생크의 회전운동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해머 스토퍼를 움직이게 한다. 이때 제조업자는 복잡한 키 액션기구(key action mechanism)를 통해서 와이어가 지나가기를 기대한다. 제조업자가 어렵게 성공하더라도 해머 스토퍼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가 항상 해머 스토퍼의 움직임 방향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주자가 와이어를 당기면 힘이 해머 스토퍼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해머 스토퍼의 움직임과 와이어의 움직임 사이의 방향에서 일관성 있께 해머 스토퍼를 부드럽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해머 스토퍼용으로 적합한 가이드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는 해머 스토퍼의 구성요소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생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요소를 감소시키는 해머 스토퍼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요소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하지 않는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자재 스토퍼(movable stopper)를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절환시키기 위해 평행 4변형 링크기구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판부재(stationary board member)에 대해 회동가능한 다수의 키들을 갖춘 건반과, 어쿠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하는 다수의 현수단들 및, 상기 다수의 키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키들 중 관련된 하나의 키가 눌려진 때 상기 다수의 현수단들중 관련된 하나의 현수단을 가격하도록 각각 궤도를 따라 회전구동하는 해머들을 갖춘 다수의 키 액션기구들을 포함하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상기 다수의 키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다수의 키들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때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전자 사운드 발생시스템 및;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되고 상기 자유위치에서 상기 해머들의 각각이 상기 다수의현수단들 중 관련된 하나의 현수단을 가격하도록 상기 해머들 각각의 궤도를 이탈하여 위치설정되는 한편,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현수단 중 관련된 하나의 현수단을 가격하기 전에 상기 해머들의 각각을 차단하도록 상기 해머들 각각의 궤도에 위치설정되는 이동자재 스토퍼와,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를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소음(消音)기구(silent mechanism)로 구성되고; 상기 소음기구는 상기 고정 판부재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와 함께 평행 4변형 링크기구를 형성하도록 한 쪽 단이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링크부재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들은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 및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에 연결되고,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사이에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를 절환하도록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의 각위치사이에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를 절환하도록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에 설치된 소음(消音)기구(silent mechanism)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에 설치된 해머 스토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해머 스토퍼의 좌측 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해머 스토퍼의 우측 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해머 스토퍼에 결합된 절환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해머 스토퍼가 설치된 건반 악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의 소음기구에 적합한 절환기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자유위치에 있는 이동자재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차단위치에 있는 이동자재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쿠스틱 피아노101... 건반
102... 키 베드105... 현
106... 키 액션기구107... 휘픈 어셈블리
108... 해머 어셈블리109... 레귤레이팅 기구
110... 댐퍼 어셈블리111... 휘픈 플랜지
112... 센터 레일113... 휘픈
114... 휘픈 힐115... 잭 플랜지
116... 캡스턴 버튼117... 잭
118... 잭 스프링119... 댐퍼 스픈
120... 백 체크121... 브라이들 와이어
122... 버트 플랜지123... 해머 버트
124... 해머 생크125... 해머 헤드
126... 버트 스프링127... 해머 레일 클로드
128... 해머 레일129... 버트 스킨
130... 캐춰 생크300... 소음기구
301... 해머 스토퍼302... 절환기구
306... 스토퍼 레일310... 이동자재 스토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건반 악기는 크게 어쿠스틱 피아노(100), 전자 사운드 발생시스템(200), 소음기구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front)은 후방위치(rear position)보다 직립형 피아노의 앞에 앉은 연주자에게 더 근접한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의 방향을 세로방향이라 지칭하고, 이 세로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가로방향이라 지칭한다.
상기 어쿠스틱 피아노(100)는 표준 직립형 피아노로, 키 베드(key bed; 102)상에 실장된 건반(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건반(101)은 다수의 블랙 키(103)들과 다수의 화이트 키(104)들로 구성되고, 이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에는 각각 음계가 할당되어 있고, 연주자는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중 하나를 눌러서 톤을 지정하게 된다.
상기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은 각각의 정지위치(rest position)와 말단위치(end position) 사이에서 균형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주자가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그 블랙/화이트 키(103/104)는 정지위치에 있게 되고, 연주자가 블랙/화이트 키(103/104)를 누르면 그 블랙/화이트 키(103/104)가 정지위치에서 말단위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연주자가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누름동작을 해제하면 그 블랙/화이트 키(103/104)는 정지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어쿠스틱 피아노(100)는 블랙/화이트 키들에 대응하는 현(105)들의 세트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현(105)들의 세트들은 진동하여 각각 해당 음조를 갖는 어쿠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킨다.
또 어쿠스틱 피아노(100)는 다수의 키 액션기구(106)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키 액션기구(106)들은 각각 블랙/화이트 키(103/104)들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키 액션기구(106)들은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에 의해 활성화되어 관련된 현(105)들의 세트를 가격하는 것으로, 휘픈(whipped) 어셈블리(107)와 해머 에셈블리(108), 레귤레이팅 기구(109) 및 댐퍼 어셈블리(110)로 분류된다.
상기 휘픈 어셈블리(107)는 센터 레일(112)에 고정된 휘픈 플랜지(111)와, 그 한 쪽 단부가 휘픈 플랜지(111)에 회동자재로 연결된 휘픈(113), 휘픈(113)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휘픈 힐(114), 상기 휘픈(113)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직립된 잭 플랜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스턴 버튼(116)은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후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휘픈 힐(114)과 접촉하고 있다.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가 정지위치에서 말단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캡스턴 버튼(116)은 휘픈 필(114)을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이에 따라 휘픈(113)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휘픈 플랜지(114)의 주위를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휘픈 어셈블리(107)는 상기 잭 플랜지(115)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된 잭(117)과, 이 잭(117)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압박하는 잭스프링(118), 상기 휘픈(113)의 한 쪽 단부에서 직립된 댐퍼 스푼(119), 상기 휘픈(113)의 다른 쪽 단부에서 직립된 백 체크(back check; 120), 휘픈(113)의 다른 쪽 단부에서 직립된 브라이들 와이어(bridle wire; 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 스푼(119)은 댐퍼 어셈블리(110)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백 체크(120)와 브라이들 와이어(12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해머 어셈블리(108)와 협력관계를 유지한다.
상기 해머 어셈블리(108)는 센터 레일(112)에 고정된 버트 플랜지(butt flange; 122)와, 이 버트 플랜지(122)에 회동자재로 연결된 해머 버트(123), 이 해머 버트(123)로부터 돌출된 해머 생크(hammer shank; 124), 이 해머 생크(124)의 선단에 고정된 해머 헤드(125) 및, 상기 해머 생크(124)가 해머 레일(128)에 부착된 해머 레일 클로드(hammer rail cloth; 127)와 접촉하도록 해머 버트(123)를 시계방향으로 압박하는 버트 스프링(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해머 생크(124)가 해머 레일 클로도(127)와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홈위치(home position)라 지칭한다.
상기 해머 어셈블리(108)는 해머 버트(123)의 저면에 접합된 버트 스킨(129)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버트 스킨(129)는 상기 잭(117)의 선단부(117a)에 의해 가격되어 해머 버트(123)가 버트 플랜지(122)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해머 어셈블리(108)는 해머 버트(123)로부터 돌출된 캐춰 생크(catcher shank; 130)와, 이 캐춰 생크(130)의 선단에 부착된 캐춰(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춰 생크(130)는 해머 생크(124)로부터 90°이격되어 있고, 상기 캐춰(131)는 백 체크(120)와 마주보고 있다. 상기 캐춰(131)는 브라이들 테이프(132)를 매개로 브라이들 와이어(121)에 연결되어 있다. 브라이들 테이프(132)는 해머 어셈블리(108)의 복귀동작을 휘픈 어셈블리(107)의 복귀동작과 이어주어 현(105)들의 세트가 이중 가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가 정지위치에 있는 동안,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스턴 버튼(116)은 휘픈(113)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해머 생크(124)는 댐퍼 레일 클로드(127)상에서 정지하고 있으며, 잭(117)은 버트 스킨(129)과 접속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피아니스트가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를 누르면 그 블랙/화이트 키(103/104)는 정지위치에서 말단위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캡스턴 버튼(116)은 휘픈 힐(114)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잭(1170은 휘픈(113)과 함께 휘픈 플랜지(11)의 주위를 회전한다. 잭(117)은 해머 비트(123)를 밀고, 해머 생크(124)와 해머 헤드(125)는 해머 버트(123)와 함께 버트 플랜지(122)의 주위를 회전한다. 상기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가 정지위치와 말단위치사이의 소정 지점에 도달하면, 잭(117)은 버트 스킨(129)을 가격하고, 해머 버트(123)는 현(105)들의 세트쪽으로 자유회전을 개시하도록 잭(117)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레귤레이팅 기구(109)는 상기 소정 지점을 결정한다. 상기 레귤레이팅 기구(109)는 센터 레일(112)에 고정된 레귤레이팅 브라켓(133)과, 이 레귤레이팅 브래킷(133)에 의해 지지된 레귤레이팅 레일(134), 잭(117)들의 토우(tow; 177b)들과 마주보고 있는 레귤레이팅 버튼(135)들, 이 레귤레이팅 버튼(135)들을 레귤레이팅 레일(134)에 연결하는 레귤레이팅 스크류(136)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우(117b)가 휘픈(113)과 함께 회전하는 동안 레귤레이팅 버튼(135)과 접촉하게 되면, 반작용에 의해 잭(117)은 잭 플랜지(115)의 주위를 신속히 회전하여 버트 스킨(129)을 가격하게 된다. 따라서 토우(117b)는 레귤레이팅 버튼(135)쪽으로 전진하고 잭(117)은 레귤레이팅 버튼과의 접촉시에 버트 스킨(129)를 가격하게 된다. 상기 소정 지점에 더 빨리 도달되게 하려면 연주자는 상기 레귤레이팅 스크류(136)를 회전시켜서 상기 갭을 줄이면 된다.
상기 댐퍼 어셈블리(110)는 센터 레일(112)에 고정된 댐퍼 플랜지(137)와, 이 댐퍼 플랜지(137)에 의해 회전자재로 지지된 댐퍼 레버(138), 이 댐퍼 레버(138)로부터 돌출된 댐퍼 와이어(139), 이 댐퍼 와이어(139)의 선단에 고정된 댐퍼 헤드(140) 및, 저단부가 댐퍼 스푼(119)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댐퍼 레버(138)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압박하는 댐퍼 스프링(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휘픈(11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댐퍼 스푼(119)은 기울어져서 댐퍼 레버(138)를 밀게 된다. 댐퍼 레버(138)는 댐퍼 스프링(141)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댐퍼 헤드(140)는 현(105)들의 세트로부터 이격된다. 그 반면, 해당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누름동작을 해제하자마자 상기 휘픈(1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댐퍼 스프링(141)은 댐퍼 레버(13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게 된다. 그 결과, 댐퍼 헤드(140)가 다시 현(105)들의 세트와 접촉하게 된다.
해당 블랙/화이트 키(103/104)가 정지위치로부터 말단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먼저 댐퍼 스푼(119)은 현(105)들의 세트로부터 댐퍼 헤드를 이격시키고, 그 후 잭(117)과 레귤레이팅 버튼(135)은 해머 어셈블리(110)가 현(105)들의 세트로부터 이탈하도록 해준다. 상기 해머 헤드(125)는 현(105)들의 세트를 가격하고 그 후 즉시 되돌아온다. 상기 눌려진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누름동작을 해제한 다음에는 댐퍼 헤드(140)가 다시 현(105)들의 세트와 접촉하게 되어 진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전자 사운드 발생시스템(200)은 다수의 키 센서(201)들과 콘트롤러(202) 및 헤드폰(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 센서(201)들은 각각 해당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키 위치신호(KP)를 발생시킨다. 이 키 위치신호(KP)는 해당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콘트롤러(220)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센서(201)가 셔터 플레이트(204)와 광차단기(205)에 의해 구현된다. 셔터 플레이트(204)는 관련된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저면에 부착되어 광차단기(205)의 광선을 차단한다. 광차단기(205)는 셔터 플레이트(204)의 광차단에 따라 키 위치신호(KP)를 변화시킨다. 콘트롤러(202)는 키 위치신호(KP)를 기초로 정지위치와 말단위치 사이의 궤도상에서 현재 키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콘트롤러(202)는 궤도상의 소정 지점에서 톤발생기(도시되지 않음)에게 오디오신호(AD)를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헤드폰(203)은 상기 오디오신호(AD)로부터 상기 눌려진 블랙/화이트 키(103/104)에 할당된 음조를 갖는 전자 사운드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눌려진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누름동작이 해제되는 동안 콘트롤러(202)는 궤도상의 다른 소정 지점에서 상기 톤발생기에게 오디오신호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고, 이에 따라 전자 사운드를 소멸하게 된다.
상기 소음기구(300)는 해머 어셈블리(108)와 현(105)들 세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것으로,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소음기구(300)는 건반악기를 어쿠스틱 사운드모드와전자 사운드모드 사이에서 전환한다. 어쿠스틱 사운드모드에 있는 건반 악기는 현(105)들 세트들의 진동을 통해 어쿠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키고, 소음기구(300)는 전자 사운드모드에서 어쿠스틱 사운드가 발생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전자 사운드 발생시스템(200)은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키고 피아니스트는 헤드폰(203)에 의해 생성된 전자 사운드를 듣게 된다.
상기 소음기구(300)는 크게 해머 스토퍼(301)와 절환기구(302)로 구성되고, 상기 해머 스토퍼(301)는 홈위치에서 현(105)들 세트들과 해머 생크(124)들 사이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150 및 151은 해머 어셈블리(108)들의 어레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액션 브래킷(action bracket)들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액션 브래킷(150)은 좌측면이 부분적으로 베어져 있다.
상기 해머 스토퍼(301)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해머 스토퍼(301)의 양쪽 단부는 도 4 및 도 5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해머 스토퍼(301)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30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지지 브래킷(303)들은 각각 액션 브래킷(150)들에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 브래킷(303)들의 각각은 수평부(303a)와 이 수평부(303a)에 직립한 수직 벽부(vertical wall portion; 303b)를 가지고 있다. 수직 벽부(303b)는 90°휘어져 있고 이 수직 벽부(303b)에는 관통 홀(303c)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액션 브래킷(150/151)은 수직부(150a)를 가지고 있고, 이 수직부(150a)에도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홀(303c)이 수직부(150a)에 형성된 관통 홀과 중심이 맞춰진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303)은 액션 브래킷(150/151)에 고정되도록 볼트(304)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해머 스토퍼(301)는 3개의 연결유니트(305)들과 스토퍼 레일(306), 볼트(308)들에 의해 스토퍼 레일(306)에 고정된 다수의 브래킷들(307a/307b/307c), 이들 브래킷(307a/307b/307c)에 각각 부착된 다수의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니트(305)들은 스토퍼 레일(306)이 양쪽 단부와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은 우레탄 포움(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인조가죽으로 덮혀진 펠트(felt)와 같은 다른 충격흡수재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스토퍼 레일(306)과 브래킷들(307a/307hb/307c) 및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은 전부 이동자재 스토퍼(310)를 구성한다.
상기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은 3개의 그룹, 즉 낮은 음조용 제1키그룹과 중간 음조용 제2키그룹 및 높은 음조용 제3키그룹으로 구분되고,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은 제1키그룹과 관련된 해머 어셈블리(108)들과 제2키그룹과 관련된 해머 어셈블리(108)들 및 제3키그룹과 관련된 해머 어셈블리(108)들용으로 구비된다. 관통 홀(307d)은 브래킷들(307a/307b/307c)에 형성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조업자는 스토퍼 레일(306)의 전면(306a)과 브래킷들(307a/307b/307c)의 배면(307e) 사이의 갭을 변경할 수 있고,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은 잭(117)들로부터 벗어난 후 현(105)들을 해머 헤드(125)들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한 각각의 적절한 위치로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은 동일한 두께일 필요는 없다.
직립형 피아노에서 낮은 음조용 현(105)들은 중간 음조용 현들 및 높은 음조용 현(105)들과 교차하고, 낮은 음조에 더 가까운 현(105)들용 해머 헤드(125)들과 댐퍼 헤드(140)들은 다른 현들용 해머 헤드(125)들과 댐퍼 헤드(140)들보다 더 높게 위치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스토퍼 레일(306)은 우측부에서 중간부로 실질적으로 일직선이고, 중간부의 소정 지점(307e)에서 위쪽으로 휘어져 있다. 따라서 브래킷(307b)과 완충부재(309b)는 스토퍼 레일(306)과 어울리도록 휘어져 있다. 그리고 스토퍼 레일(306)은 중간부에서 좌측부로 휘어져 있고, 경사부(306a)는 브래킷(307a)이 다른 브래킷들(307b/307c)보다 낮게 되도록 중간부를 좌측부에 연결한다. 따라서 스토퍼 레일(306)은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댐퍼 어셈블리(110)들 및 해머 헤드(125)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해머 생크(124)들을 적절하게 반동시키도록 완충부재(309a/309b/309c)을 적절한 높이로 조절된다.
브래킷(310a)은 스토퍼 레일(306)의 우측부와 중간부 사이에서 연결부(306b)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센터 스테이(center stay; 310b)는 센터 레일(112)과 브래킷(310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유니트(305)들중 하나는 브래킷(310a)과 센터 스테이(310b)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센터 스테이(310b)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부하를 지탱하고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소망하지 않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 레일(306)은 그 양 단부가 볼트(311)들에 의해 연결유니트(305)들에 결합되고, 이 연결유니트(305)들은 지지 브래킷(30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연결유니트(305)는 스토퍼 레일(306)의 한 쪽 단부(306fc)에 부착된 브래킷(305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브래킷(305a)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브래킷(305a)의 수평부에는 관통 홀(305b)이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볼트(311)들은 관통 홀(305b)을 통해 단부(306c)에 죄어져 있고, 제조업자는 상기 단부(306c)와 브래킷(305a)들의 겹쳐진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완충부재들(309a/309b/309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니트(305)는 브래킷(305a)의 수직부에 박혀진 핀들(305c/305d)과, 지지 브래킷(303)의 수직부에 박혀진 핀 부재들(305e/305f) 및, 상기 핀들(305c/305d, 305e/305f)과 회동자재로 결합된 링크부재들(305g/305h)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핀 부재들(305c/305d)은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핀들(305e/305f)도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핀들(305c/305d)은 핀들(305e/305f)과 약간 어긋나 있고, 상기 핀들(305c/305d/305e/305f)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 4변형의 4개 모서리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305g)들은 상부 보빈(upper bobbin)과 하부 보빈(lower bobbin), 이들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사이의 연결판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핀(305c)과 핀(305e)은 상부 보빈에 형성된 홀과 하부 보빈에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305f)는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 이들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사이의 연결판(305j) 및, 상기 연결판(305j)의 선단에 부착된 저널(journal; 305k)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판은 저널(305k)이 지지 브래킷(303)의 수직부(303b)로부터 돌출하도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저널(305k)은 C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슬릿(305m)은 원통형 내부 공간(305n)을 개방한다. 또 클램프 링(305i)들은 핀(305d) 및 핀(305f)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은 핀들(305d/305f)의 주위를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부재들(305g/305h)과 지지 브래킷(303) 및 브래킷(305a)은 평행 4변형 링크기구를 형성하고,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핀 부재들(305e/305f)의 주위를 회전한다.
상기 연결유니트(305)는 토션 코일 스프링(305p)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305p)은 링크부재(305g)의 상부 보빈에 결합된 제1아암과 링크부재(305h)의 하부 보빈에 결합된 제2아암을 가지고, 핀(305c)과 핀(305e) 사이의 가상 라인이 핀(305e)과 핀(305f) 사이의 가상 라인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링크부재들(305g/305h)을 압박한다.
상기 브래킷(310a)과 센터 스테이(310b) 사이의 연결유니트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양 측부상에 위치한 연결유니트(305)와 배열상으로 유사하다. 또한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중간부에 위치한 연결유니트는 브래킷(310a)에 부착된 브래킷(305a)을 가지고 있고, 핀들(305e/305f)은 센터 스테이(310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절환기구(302)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피아니스트는 절환기구에 의해 이동자재 스토퍼(310)를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한다.
상기 절환기구(302)은 크게 페달 서브-기구(320)와 한 쌍의 가요성 와이어(flexible wire; 321) 및 가이드 구조(322)로 구성된다. 원통형 핀 부재(323)는 상기 가요성 와이어(321)의 선단에 연결되고 내부 원통형 공간(305n)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원통형 핀 부재(323)는 저널(305k)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가요성 와이어(321)는 저널(305k)로부터 분리되지 않고서 저널(305k)에 인력을 가한다. 상기 가요성 와이어(321)의 선단부는 슬릿(305m)을 통과하고 원통형 핀부재(32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와이어(321)는 키 베드(102)를 통과하고 코일 부재(325)에서 끝난다.
상기 페달 서브-기구(320)는 어쿠스틱 피아노(100)의 하부 턱(bottom sill; 160a)에 형성된 슬릿(160a)을 통해 돌출된 풋 페달(foot pedal; 320a)과, 핀(320c)의 주위를 회전가능한 연결부재(320b) 및, 이 연결부재(320b)로부터 직립한 후크(32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풋 페달(320a)은 연결부재(320b)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후크(320d)는 코일 부재(325)에 결합되어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페달 서브-기구(320)는 래치트(ratchet) 기구와 결합되고, 이 래치트 기구는 풋 페달(320a)이 눌려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풋 페달(320a)을 더 누르면 래치트 기구가 해제되어 토션 코일 부재(305p)는 풋 페달(320a)이 정지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구조(322)는 가요성 외장(flexible sheath; 322a)들과, 키 베드(102)의 저면에 부착된 브래킷(32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요성 와이어(321)들은 가요성 외장(322a)들에 의해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양 측부에 있는 연결유니트(305)로 안내되고, 가요서 와이어(321)들 양자의 코일 부재(325)들은 후크(320d)와 결합된다. 그러나 페달 서브-기구(320)는 브래킷(310a)과 센터 스테이(310b)사이의 연결유니트와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가요성 외장(322a)들은 각각 그 한 쪽 단이 지지 브래킷(303)의 수평부(303a)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이 브래킷(322b)에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외장(322a)은 키 베드(102)에 형성된 관통 홀(102a)을 통과하고, 가요성 와이어(321)가 그 양단에서 원통형 핀 부재(323)와 코일부재(325)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구부려져 있다. 피아니스트가 페달(320a)을 누르면 가요성 와이어(321)은 힘을 연결유니트(305)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소음기구(300)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제조업자는 이 소음기구(300)를 직립형 피아노(10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홈위치에서 해머 생크(124)들 쪽으로 전진하여 홈위치에서 해머 생크(124)들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궤도는 해머 생크(124)들의 궤도와 정합되고, 이동자재 스토퍼(124)는 자유위치에 있을 때만 부가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극히 좁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댐퍼 어셈블리(1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하지 않는다.
도 7에는 어쿠스틱 피아노(100)의 피아노 케이스(170) 내부에 설치된 소음기구(300)가 도시되어 있다. 건반(101)은 폴 보오드(fall board; 171)로 덮혀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키 액션기구(106)와 현(105)들의 세트들이 피아노 케이스(170)내에 설치되어 있고, 해머 스토퍼(301)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머 스토퍼(301)의 양 측단상에 위치한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은 가요성 와이어(321)들을 통해서 페달(320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절환기구(302)들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한 쪽 단에서 연결유니트(305)에 연결되어도 되고, 중간 지점에서 연결유니트(305)에 연결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구동되는 연결유니트(305)들 사이의 스팬(span)이 짧고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약간 회전된다. 또한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좌측 단에서 센터 스테이(310b)와 지지부재(303)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303x)가 설치되고, 이 지지부재(303x)는 다른 연결유니트(305x)를 통해 이동자재 스토퍼(310)에 연결된다. 연결유니트(305x)는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해준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조 철판이 피아노 케이스(170)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4개의 리브(rib)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이 보강 리브들은 주조 철판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수직하게 약간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있다.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의 후단부는 상기 보강 리브들 사이에 놓여 있고, 블랙/화이트 키(103/104)들의 후단부와 보강 리브사이에는 갭이 있다. 브래킷(310a; 도 3 참조)은 블랙/화이트 키(103/104)의 후단부와 좌측에서 두번째 보강 리브 사이의 더 넓은 갭에 설치되고, 와이어(321)는 상기 더 넓은 갭을 아래쪽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와이어(321)는 키 액션기구(106)들과 절대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도 9에는 해머 스토퍼(301)에 적합한 다른 절환기구(400)가 도시되어 있다. 절환기구(400)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양 측부에서 연결유니트(301)에 연결되어 있지만, 이하에서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좌 측부에 연결유니트(301)에 연결된 절환기구(4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절환기구(400)는 원통형 핀 부재(323)와, 핀(402)에 의해 피아노 케이스(170)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L자형 판 부재(401), 원통형 핀 부재(323)와 L자형 판 부재(401)의 한 쪽 단에 연결된 와이어(4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403)는 원통형 핀 부재(323)와 L자형 판 부재(401)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L자형 판 부재(401)의 각운동을 링크부재(305h)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절환기구(400)는 핀(404)에 의해 피아노 케이스(170)에 회전자재로 연결된 L자형 판 부재(403)와, L자형 판 부재들(404, 403)사이에 연결된 와이어(40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자형 판 부재(403)는 상기 L자형 판 부재(401)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L자형 판 부재(403)의 각운동은 와이어(405)를 통해 L자형 판 부재(401)에 전달된다.
또 상기 절환기구(400)는 하부 턱(406)으로부터 돌출된 페달(406), L자형 판부재(403)에 연결된 와이어(407), 페달(406)과 와이어(407)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4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페달(408)은 핀(409)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피아니스트가 페달(406)을 누르면 연결부재(408)은 페달(406)에 가해진 모멘트를 그 센터축을 따라 와이어(407)에 가해지는 힘으로 변환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407)는 당겨 내려진다. 와이어(407)는 L자형 판 부재(403)에 모멘트를 가하고, 이 L자형 판 부재(403)는 핀(404)의 주위를 회전한다. 따라서 페달(406)의 각운동이 L자형 판부재(403)에 전달되고, L자형 판 부재(401)의 각운동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L자형 판 부재(401)를 통해 링크부재(305h)에 전달된다.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페달(406)은 래치트 기구와 결합되어 있다. 이 래치트 기구는 페달(406)을 눌려진 위치에 유지시키고 그 후 페달(406)을 놓아준다.
[건반 악기의 동작]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자유위치로 절환되면 건반 악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절환기구(302)는 링크부재(305h)에 어떤 모멘트도 가하지 않으므로 토션 코일 스프링(305p)은 링크부재(305g/305h)가 뒤쪽으로 기울도록 압박한다. 그 결과, 평행 4변형 링크기구는 이동자재 스토퍼(310)를 해머 생크(124)들의 궤도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여기서 피아니스트가 건반으로 곡을 연주하는 동안 화이트 키(104; 도 1 참조)를 누른다고 가정하면, 캡스턴 버튼(116)은 휘픈 힐(114)을 밀어 올리고 휘픈(113)은 휘픈 플랜지(111)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잭(117)은 잭 플랜지(115)의 주위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휘픈 플랜지(111)의 주위를 회전하여 해머 버트(123)가 버트 플랜지(122)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댐퍼 스푼(119)은 휘픈(113)과 함께 회전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진다. 이 댐퍼 스푼(119)은 댐퍼 레버(38)를 누르고 댐퍼 헤드(140)를 현(105)들의 세트에서 이격시킨다. 따라서 이 현(105)들의 세트는 진동할 준비가 된다. 댐퍼 헤드(140)가 현(105)들의 세트로부터 이격되면, 댐퍼 헤드(140)는 도 10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치잡게 되고 이동자재 스토퍼(310)와는 결코 접촉하지 않는다.
토우(117b)가 레귤레이팅 버튼(135)과 접촉하게 되면, 잭은 휘픈 플랜지(11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멈추고 즉시 잭 스프링(118)에 대항하여 잭 플랜지(115)의 주위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잭(117)은 버트 스킨(129)을 가격하고 해머 버트(123)은 잭(117)으로부터 이탈된다. 해머 버트(123)는 해머 생크(124)와 해머 헤드(125)를 현(105)들의 세트쪽으로 회전시키고, 해머 헤드(125)는 해머 스토퍼(301)의 간섭없이 현(105)들의 세트를 가격한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현(105)들의 세트가 진동하여 어쿠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키게 된다.
헤머 헤드(125)는 현(105)들의 세트에서 반동하고 홈위치로 복귀한다. 캐쳐(131)는 백 체크(120)과 접촉하게 되고 백 체크(120)는 해머 생크(12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잭은 버트 스킨(129) 아래의 접촉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해머 생크(124)는 상기 눌려진 화이트 키(104)의 누름해제후 해머 레일 클로드(124)와의 접촉위치로 복귀한다. 댐퍼 헤드(140)는 상기 눌려진 화이트 키(104)의 누름해제 후 현(105)들의 세트와 접촉하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댐퍼 페달을 누르면 댐퍼 헤드(140)들은 현(105)들의 세트로부터 이격되고 현(105)들의 세트의 진동을 연장시킨다. 이 댐퍼 페달의 기능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아니스트가 어쿠스틱 사운드 없이 건반으로 곡을 연주하고자 할 때 페달(320a)을 누르면, 절환기구(302)는 링크부재들(305g/305h)이 핀(305e/305f)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결과, 링크부재들(305g/305h)은 앞쪽으로 기울고 평행 4변형 링크기구는 이동자재 스토퍼(310)를 해머 생크(124)들쪽으로 누르게 된다. 해머 스토퍼(301)는 자유위치로부터 차단위치로 절환되고 완충 부재들(309a/309b/309c)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 생크(124)들의 궤도로 진입하게 된다. 도 11에는 도면의 간단화를 위해 해머 어셈블리(108)와 댐퍼 어셈블리(107), 현(205)들 및 이동자재 스토퍼(310)만이 도면부호가 기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아니스트가 화이트 키(104)를 누르면, 캡스턴 버튼(116)은 휘픈 힐(114)을 밀어올리고 휘픈(113)은 휘픈 플랜지(111)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잭(117)은 잭 플랜지(115)의 주위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휘픈 플랜지(111)의 주위를 회전하고, 해머 버트(123)가 버트 플랜지(122)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댐퍼 스푼(119)은 휘푼(113)과 함께 회전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진다. 댐퍼 스푼(119)은 댐퍼 레버(138)을 누르고 댐퍼 헤드(140)를 현(105)들의 세트에서 이격시킨다. 따라서 이 현(105)들의 세트는 진동할 준비가 된다. 댐퍼 헤드(140)가 현(105)들의 세트로부터 이격되면, 댐퍼 헤드(140)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와는 결코 접촉하지 않게 된다.
투우(117b)가 레귤레이팅 버튼(135)과 접촉하게 되면, 잭은 휘픈 플랜지(11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멈추고 즉시 잭 스프링(118)에 대항하여 잭 플랜지(115)의 주위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잭(117)은 버트 스킨(129)을 가격하고 해머 버트(123)은 잭(117)으로부터 이탈한다. 해머 버트(123)는 해머 생크(124)와 해머 헤드(125)를 현(105)들의 세트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나 해머 생크(124)은 현(105)들의 세트를 가격하기 전에 완충부재들(309a/309b/309c)에서 반동하고, 이에 따라 해머 헤드(125)는 현(105)들의 세트를 가격하지 못하게 된다.
키 센서(205)는 정지위치로부터 단말위치로의 궤도를 따라서 상기 눌려진 화이트 키(104)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이 키위치를 키위치신호(KP)를 통해 콘트롤러(202)에 통지한다. 콘트롤러(202)는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타이밍을 판단하여 오디오신호(AD)를 전자적으로 발생시킨다. 이 오디오신호(AD)는 헤드폰(203)에 공급되고 어쿠스틱 사운드에 대응하는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킨다.
해머 헤드(125)는 홈위치로 복귀한다. 캐쳐(131)는 백 채크(120)와 접촉하게 되고 백 체크(120)는 해머 생크(12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잭은 버튼 스킨(129) 아래의 접촉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해머 생크(124)는 상기 눌려진 화이트 키(104)의 누름해제후 해머 레일 클로드(124)와의 접촉위치로 복귀한다. 댐퍼 헤드(140)는 상기 눌려진 화이트 키(104)의 누름해제후 현(105)들의 세트와 접촉하게 된다.
키 센서(205)는 정지위치로부터 단말위치로의 궤도를 따라서 현재 키위치를 키위치신호(KP)를 통해 콘트롤러(202)에 통지하고 콘트롤러(202)는 정지위치로 가는 동중에 오디오신호(AD)의 발생을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행 4변형 링크기구는 이동자재 스토퍼(310)를 자유위치와 단말위치사이에서 절환시킨다. 평행 4변형 링크기구는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해머 생크(124)의 궤도쪽으로 진입하고 이 궤도로부터 후퇴되기 때문에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종래의 해머 스토퍼에 의해 필요로 되는 공간보다 좁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한다. 키 액션기구(106)의 구성요소가 조립을 위해 큰 여유공간을 필요로 하더라도 소음기구는 간섭없이 피아노 케이스(170)내에 설치된다.
더욱이 평행 4변형 링크기구는 가이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음기구(300)는종래의 소음기구 보다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생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302 또는 400)는 링크부재들(305g/305h) 대신에 이동자재 스토퍼(310)에 접속되어도 된다. 그 이유는 제조업자가 절환기구(302/400)를 설치할 공간의 선택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와이어(321/403)는 연결 판(305j)의 각위치를 와이어(321/403)에 대한 수직위치를 가로질러 절환하여, 그 인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핀(305f)의 주위에 모멘트를 생성한다. 원통형 핀 부재(323)가 와이어(321/403)와 합쳐져 있어서 절환기구(302/400)는 연결유니트(305)와 용이하게 조립된다.
직립형 피아노(100)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해머 어셈블리(108)들과 댐퍼 어셈블리(110)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들(305g/305h)이 스토퍼 레일(306)의 축을 연장한 가상 면(virtual surface)상에서 회전하면 링크부재들(305g/305h) 또는 스토퍼 레일(306)은 자칫하면 액션기구(106)와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재(305g/305h)는 스토퍼 레일(306)의 축에 수직한 가상면에서 회전하고, 제조업자는 피아노 케이스(170)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과 절환기구(302/400)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건반 악기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의 양 측에 설치된 한 쌍의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해머 어셈블리(108)들의 어레이와 절환기구(302/400)가 상기 한 쌍의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동자재 스토퍼(310)만이 해머 생크(124)들과 현(105)들의 세트들 사이에 위치한 좁은 공간을 점유하며,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은 키 액션기구(106)들과 간섭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이 증가되어 있고, 이 증가된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은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약간 회전되도록 한다. 절환기구(302)는 중간위치에서 연결유니트(305)에 연결되고, 이동자재 스토퍼(310)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중간위치에서 상기 연결유니트(305)에 연결된 와이어는 키(103/104)들의 후단부와 보강 리브 사이의 갭을 통과하고, 절환기구(302)는 키 액션기구(106)와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절환기구들(302/400)과 토션 코일 스프링(305p)은 링크부재들(305g/305h)의 각위치를 결정한다. 토션 코일 스프링(305p)은 링크부재들(305g/305h)의 보빈들에 감겨져 있고 부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토션 코일 스프링(305p)은 링크부재들(305g/305h)과 용이하게 조립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토션 코일 스프링은 다른 보빈들에 감겨 있어도 된다. 페달 서브기구(320)는 3개의 가요성 와이어들을 통해 3개의 연결유니트들에 연결되어도 된다.
상기 절환기구는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중 하나에 연결되어도 된다.
센터 스테이(310b)와 브래킷(310a) 및 이들 사이에 연결된 연결유니트(305)는 구성요소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음기구(300)에서 제거되어도 된다. 연결유니트(305)들은 키 액션기구(106)들의 어레이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소음기구(300)는 사용자에게 배달된 다음에 어쿠스틱 피아노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절환기구는 피아니스트가 손으로 조작하도록 되어도 되고, 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액츄에이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어도 된다.
상기 어쿠스틱 피아노(100)는 그랜드 피아노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행 4변형 링크기구들과 키 액션기구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절환기구와 키 액션기구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기구가 종래의 소음기구 보다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므로 생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고정 판부재(102)에 대해 회동가능한 다수의 키(103/104)들을 갖춘 건반(101)과; 어쿠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하는 다수의 현수단(105)들 및; 상기 다수의 키(103/104)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키(103/104)들중 관련된 하나의 키가 눌려진 때 상기 다수의 현수단(105)들중 관련된 하나의 현수단을 가격하도록 각각 궤도를 따라 회전구동되는 해머(108)들을 갖춘 다수의 키 액션기구(106)들을 포함하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상기 다수의 키(103/104)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다수의 키(103/104)들중 어느 하나가 눌려질 때 전자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전자 사운드 발생시스템(200) 및;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되고, 상기 자유위치에서 상기 해머(108)들의 각각이 상기 다수의 현수단(105)들중 관련된 하나의 현수단을 가격하도록 상기 해머(108)들의 각각의 궤도를 벗어나 위치설정되는 한편,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현수단(105)들중 관련된 하나의 현수단을 가격하기 전에 상기 해머(108)들의 각각을 차단하도록 상기 해머(108)들의 각각의 궤도에 위치설정되는 이동자재 스토퍼(310)와;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를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사이에서 절환하는 구동수단들(302; 400)을 포함하는 소음기구(300)로 구성되고;
    상기 소음기구(300)는 상기 고정 판부재(102)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부재(303)와; 상기 고정부재(303) 및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와 함께 평행 4변형 링크기구를 형성하도록 한 쪽 단이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상기 고정부재(30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링크부재들(305g/305h)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들(302; 400)은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305g/305h)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 및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에 연결되고,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를 절환하도록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305g/305h)의 각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상기 다수의 키 액션기구(106)들이 배열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305g/305h)은 상기 가로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가상 면에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들(302; 400)은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기(320a; 406)와,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중 하나로부터 돌출된 결합부재(305j/305k) 및, 상기 두 개의 링크부재들중 하나의 링크부재에 모멘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조작기와 상기 결합부재사이에 연결된 링크수단(321/3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는 상기 연주자의 발에 의해 눌려지는 페달(320a; 4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들은 상기 두개의 링크부재들과 결합되고 상기 두개의 링크부재들을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가 상기 자유위치에 있는 각위치로 압박하는 탄성부재(305p)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5p)가 상기 링크부재들과 각각 결합된 2개의 아암을 가진 토션 코일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상기 다수의 키 액션기구(106)들이 배열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 단부에서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그 양 단부중 하나가 상기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음기구는 상기 평행 4변형 링크기구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양단부중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된 다른 평행 4변형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상기 다수의 키 액션기구들이 배열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 단부 및 그 중간부에서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그 양 단부중 하나가 상기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소음기구는 상기 평행 4변형 링크기구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중간부에 연결된 다른 평행 4변형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 액션기구들은 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머가 상기 다수의 키들중 관련된 하나의 키가 말단위치로 가는 도중에 상기 잭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차단위치에 있는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는 상기 해머들의 각각이 상기 잭으로부터의 이탈후 즉시 반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310)는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를 상기 자유위치에서 상기 차단위치로 절환할 때 상기 해머들의 각각의 궤도로 진입하고,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를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자유위치로 절환할 때 상기 궤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재 스토퍼는 상기 다수의 키 액션기구들이 배열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토퍼 레일(306)과 이 스토퍼 레일에 뛰엄뛰엄 부착된 다수의 완충구조들(307a/307b/307c/309a/309b/309c)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레일(306)은 상기 해머들의 해머 생크들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각각 적절한 높이로 상기 완충구조들을 조정하도록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KR1019970047613A 1996-09-18 1997-09-18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KR100273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6634 1996-09-18
JP24663496 1996-09-18
JP9111262A JPH10149154A (ja) 1996-09-18 1997-04-28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97-111262 1997-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21A true KR19980024721A (ko) 1998-07-06
KR100273868B1 KR100273868B1 (ko) 2001-01-15

Family

ID=2645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13A KR100273868B1 (ko) 1996-09-18 1997-09-18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49013A (ko)
JP (1) JPH10149154A (ko)
KR (1) KR100273868B1 (ko)
CN (1) CN1150511C (ko)
DE (1) DE19741218C2 (ko)
TW (1) TW3424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1216B (ko) * 1995-09-28 1997-07-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JP3292164B2 (ja) 1999-01-22 2002-06-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6545205B2 (en) * 1999-04-08 2003-04-08 Yasuhiro Chon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3873522B2 (ja) 1999-05-06 2007-01-2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4855611B2 (ja) * 2001-09-12 2012-01-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止音装置
JP3835538B2 (ja) * 2002-03-22 2006-10-18 ヤマハ株式会社 消音ピアノのハンマーシャンクストッパ装置
JP4278398B2 (ja) * 2003-02-07 2009-06-10 株式会社ピアノアンドアクセサリー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4107107B2 (ja) * 2003-02-28 2008-06-2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5281734B2 (ja) * 2006-02-09 2013-09-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ジャック動作規制装置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2008304949A (ja) * 2008-09-19 2008-12-18 Piano & Accessory:Kk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5412859B2 (ja) * 2009-02-05 2014-02-12 ヤマハ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型アクション及び鍵盤楽器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15092B2 (en) * 2009-06-03 2012-02-14 Yamaha Corporation Method for synthesizing tone signal and tone signal generating system
JP5659525B2 (ja) * 2010-03-24 2015-01-2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US8735699B2 (en) * 2012-01-19 2014-05-27 Kirk Burgett Main action rail for upright piano with front-accessible whippen flange screw
CN104517600A (zh) * 2015-01-27 2015-04-15 重庆斯威特钢琴有限公司 电子钢琴
JP6540147B2 (ja) * 2015-03-25 2019-07-10 ヤマハ株式会社 サポ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鍵盤装置
EP3308375B1 (en) * 2015-06-12 2020-07-29 Steinway, Inc. Piano extended soft pedal
WO2018129729A1 (en) * 2017-01-16 2018-07-19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Piano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8090798A1 (en) 2016-11-17 2018-05-24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user performance of keyboard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039B2 (ja) * 1994-03-22 1999-11-0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止音装置
JP2743862B2 (ja) * 1994-08-30 1998-04-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DE19509599A1 (de) * 1995-03-16 1996-09-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Dämpfungsmechanismus in einem Konzertflü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511C (zh) 2004-05-19
CN1186995A (zh) 1998-07-08
DE19741218A1 (de) 1998-03-26
DE19741218C2 (de) 2003-04-10
JPH10149154A (ja) 1998-06-02
KR100273868B1 (ko) 2001-01-15
TW342488B (en) 1998-10-11
US5949013A (en) 199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868B1 (ko)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5616880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hammer shank stopper where hammer assembly rebounds without deflection of shank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EP0655728B1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KR0132545B1 (ko) 건상구조의 각운동을 통해 어코스틱음모드 및 사일런트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건반악기
US6423889B2 (en)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easily regulating escape timing, silent system cooperative therewith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EP0689182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jacks changeable in escape speed between acoustic sound mode and silent mode
EP0655727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movable key bed for performing music without acoustic sounds
EP1424682B1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EP1052618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partially repairable change-over mechanism for changing hammer stopper
EP1022718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changed between free position and blocking position through turn on horizontal plane
JP3493743B2 (ja) 鍵盤楽器
JP3479397B2 (ja) 楽音装置
JP371434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及び鍵盤楽器
JP457670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弱音装置
JP3438741B2 (ja) 鍵盤楽器
JP3849337B2 (ja) 回動部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た鍵盤装置
JPH0675560A (ja) 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