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24361A -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단백질 재료 및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단백질 재료 및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361A
KR19980024361A KR1019970045912A KR19970045912A KR19980024361A KR 19980024361 A KR19980024361 A KR 19980024361A KR 1019970045912 A KR1019970045912 A KR 1019970045912A KR 19970045912 A KR19970045912 A KR 19970045912A KR 19980024361 A KR19980024361 A KR 1998002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flavone
extract
protein
aglucon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116B1 (ko
Inventor
에이. 브라이언 바바라
씨. 올레드 머라이언
Original Assignee
리차드 비. 테일러
프로테인 테크놀로지스 인터내쇼날,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8481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2436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비. 테일러, 프로테인 테크놀로지스 인터내쇼날,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차드 비. 테일러
Publication of KR1998002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02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 C12P17/06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a six-membered hetero ring, e.g. fluoresc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3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using enzymes; Enzymatic transformation of pulses or legu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4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using chemical treatment, adsorption or absorp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 및 단백질 재료뿐만 아니라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제공한다. 식물성 단백질 재료내의 이소플라본 복합체는 일정 온도와 pH에서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상기 식물성 재료를 처리하므로써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된다.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효소 반응에 의해 글루코오즈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된다. 상기 식물성 재료는 상기 식물성 재료내의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추출제로 추출하여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 또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 전 또는 후에 단백질 및 이소플라본을 추출한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상기 단백질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상기 추출물로부터 침전시키므로써 생성된다. 제니스테인 함량인 높은 재료 또는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상기 추출물 또는 단백질 재료로부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또는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하므로써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또는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단백질 재료 및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단백질 재료 및 식물성 단백질 재료 내의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기기 위한 2단계로 처리로 이루어지는 방법 및 제니스테인(genistein)과 다이드제인(daidzein)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재료로부터 이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소플라본은 대두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콩과 식물에서 산출된다. 이들 화합물로는 다이드진, 6''-OAc 다이드진(daidzin), 6''-OMal 다이드진, 다이드제인, 제니스틴(genistin), 6''-OAc 제니스틴, 6''-OMal 제니스틴, 제니스테인, 글리시틴(glycitin), 6''-OAc-글리시틴, 6''-OMal 글리시틴, 글리시테인(glycitein), 비오카닌 A, 포르모노펜틴 및 쿠메스트롤을 들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화합물들은 대두 본연의 쓴 맛과 관련되어 있다.
식물성 단백질 재료 내의 이소플라본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글루콘), 이소플라본 복합체 및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포함한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이소플라본부에 부착된 글루코오즈 분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소플라본 복합체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글루코오즈 분자에 부착된 추가 부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6''-OAc 제니스틴은 제니스틴의 글루코오즈 분자의 6번 위치에 부착된 아세테이트 기를 함유하고 있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전적으로 이소플라본부로만 이루 어져 있다.
대두는 상응하는 글루코시드, 복합체 및 아글루콘 구성원을 보유하는 3 부류의 이소플라본 화합물, 즉 제니스틴류; 다이드제인류; 및 글리시테인류를 함유한다. 제니스테인류는 글루코시드 제니스틴; 복합 6''-OMal 제니스틴(제니스틴의 6''-말로네이트 에스테르) 및 6''-OAc 제니스틴(제니스틴의 6''-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및 아글루콘 제니스테인을 포함한다. 다이드제인류는 글루코시드 다이드진; 복합 6''-OMal 다이드진 및 6''-OAc 다이드진; 및 아글루콘 다이드제인을 포함한다. 글리시테인류는 글루코시드 글리시틴; 복합 6''-OMal 글리시틴; 및 아글루콘 글리시테인을 포함한다.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과 농축물과 같은 시판되는 제품의 제조에서 관건이 되는 문제는 이들 재료의 제거에 있다. 예를 들어, 대두 단백질 분리물 또는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방법에서, 대두 박편을 알칼리성 수성 매체로부터 추출하였는데, 이때 다량의 이소플라본은 대두 단백질과 함께 추출물 내에 용해된다. 단백질은 추출물의 산성화에 의해 추출물로부터 침전되고, 분리물이나 농축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다량의 용해된 이소플라본을 보유하는 훼이가 남게된다. 산 침전된 단백질 내 남아있는 잔여 이소플라본은 통상 철저한 세척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훼이 및 세척물은 전형적으로 폐기된다.
최근 대두 같은 식물성 단백질 내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의 의학적 가치가 인식되고 있다. 특히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흥미롭다.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심혈관 위험 인자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참조: Plant and Mammalian Estrogen Effects on Plasma Lipids of Female Monkeys, Circulation, vol. 90, p. 1259 (1994년 10월)]. 또한,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여성에서 내인성 에스트로겐의 수준 감소 및 변경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 예를 들어 폐경기 또는 월경전 증후군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최근에 확인된 바에 따르면,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인간 암세포, 예를 들어 유방암 세포 및 전립선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참조: Peterson 및 Barne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 179, No. 1, pp. 661-667 (1990. 8. 30)의 Genistein Inhibition of the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Independence from Estrogen Receptors and the Multi-Drug Resistance Gene이란 제하의 논문; Peterson 및 Barnes, The Prostate, Vol. 22, pp. 335-345 (1993)의 'Genistein and Biochanin A Inhibit the Growth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bt not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Autophosphorylation이란 제하의 논문; Barnes 등, Mutagens and Carcinogens in the Diet, pp. 239-253 (1990)의 Soybeans Inhibit Mammary Tumors in Models of Breast Cancer이란 제하의 논문].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글리시테인 등을 포함한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의 구조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상기 식에서,
R1, R2, R3및 R4는 H, OH 및 OCH3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제니스테인은 R1이 OH 이고, R2가 H 이고, R3이 OH 이고, R4가 OH 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다이드제인은 R1이 OH 이고, R2가 H 이고, R3이 H 이고, R4가 OH 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글리시테인은 R1이 OH 이고, R2가 OCH3이고, R3이 H 이고, R4가 OH 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루콘, 이들 화합물을 이용하는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강화 및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을 다량 함유하는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글루콘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을 다량 함유하는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단백질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현재 계류중인 미국 출원 번호 제 08/477,102 호(1995년 6월 7일에 출원, 본 출원의 양수인 소유임)에 기술되어 있다.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양수인 소유의 계류중인 PCT 특허 출원 제 PCT/US94/10697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제 258,669 호(오바타 등)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들은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거나, 아글루콘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로부터 유도된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또는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방법은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으로 전환시키는데 단지 중간 정도의 전환율을 획득할 수 있을 뿐이고, 이러한 중간 정도의 전환율을 획득하기 위해서 실질적인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규모가 큰 상업적 조작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이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및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물질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해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식물성 재료내의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를 사용하여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성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pH 와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처리한다. 효소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일정 시간 동안 일정 pH와 온도에서 수성 추출물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와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추출은 pH 약 6 내지 약 10 에서 수행된다. 추출제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약 8:1 내지 16:1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이소플라본 복합체는 pH 약 6 내지 약 13.5 및 약 2℃ 내지 약 121℃의 온도에서 수성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된다. 바람직한 전환은 pH 약 11, 온도 약 5℃ 내지 약 50℃ 또는 pH 약 9, 온도 약 45℃ 내지 약 75℃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pH 약 3 내지 약 9 및 약 5℃ 내지 약 75℃의 온도에서, 수성 추출물 내에서 효소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접촉시킴으로써,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된다. 바람직한 효소는 1,4-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사카리다아제 효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의 pH는 추출물내의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조정하여 단백질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침전시킨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높은 전환 및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높은 전환은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두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및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유도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단백질 재료로부터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물성 재료는 식물성 물질내의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수성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pH 와 온도에서 일정 시간 처리된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는 추출물로부터 분리되고, 단백질 재료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기간동안 일정 pH와 온도에서 효소와 접촉시킨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및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유도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단백질 재료로부터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성 슬러리는 식물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슬러리는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일정 pH와 온도에서 처리한다. 이어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식물성 재료는 식물성 재료 내의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추출물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일장 pH와 온도에서 효소와 접촉시킨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추출물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추출물에 유효량의 보충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효소와 접촉시킨다. 여기서, 보충 효소는 1,4-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사카리다아제 효소가 바람직하다.
다른 구체예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추출물의 pH를 조정하여 단백질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침전시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형성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및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유도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단백질 재료로부터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재료는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는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추출물의 pH를 조정함으로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다. 수성 슬러리는 식물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슬러리는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일정 pH와 온도에서 처리한다. 슬러리 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일정 pH와 온도에서 효소와 접촉시킨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슬러리 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슬러리에 유효량의 보충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효소와 접촉시킨다. 여기서, 보충 효소는 1,4-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사카리다아제 효소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이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가 제공되며, 이를 수성 알코올 추출제로 추출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물은 이 추출물로부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흡착제와 접촉시킨다.
최종적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가 제공되며, 이를 수성 알코올 추출제로 추출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물은 이 추출물로부터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흡착제와 접촉시킨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방법에서 출발 물질은 이소플라본 복합체 및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임의의 식물성 단백질 재료 또는 식물 재료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출발 물질은 대두 재료인데, 그 이유는 상기 방법이 대두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및 단백질 재료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대두 재료(soybean material)라는 용어는 대두 또는 임의 형태의 대두 유도체를 의미한다. 가장 바람직한 출발 물질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매 추출에 의해 오일이 제거된 대두 박편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대두 또는 대두 재료뿐 아니라 식물성 단백질 재료에까지 넓게 적용된다.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의 형태에 따라, 몇몇 경우에서는 미분말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미분말화는 식물성 재료 내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화합물로 하여금 여러 가지 시약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재료는 마멸하거나, 파쇄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한다. 상기 식물성 재료가 이 식물 재료 내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이 어떤 식물의 작은 잎 부분과 같이 외부 시약 또는 반응물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식물 재료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1차 단계 또는 조작에서,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포함하는 식물성 단백질 및 이소플라본 화합물은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박편은 상기 단백질 재료의 등전점 이상의 pH, 바람직하게는 pH 약 6.0 내지 약 10.0의 pH,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7 내지 약 9.7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전형적으로 나트륨 히드록사이드, 칼륨 히드록사이드 및 칼슘 히드록사이드와 같은 알칼리성 시약은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수성 추출제의 pH를 상승시킨다. 바람직한 이소플라본 화합물 및 식물성 단백질은 상기 수성 추출물 내에 용해된다.
상기 수성 추출물 내에서 이들 화합물의 회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두 박편 또는 기타 식물성 단백질 재료 대 추출제의 중량비를 특정 수준으로 조절하여 가능한 한 다량의 이소플라본이 상기 식물성 재료 내에 용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백질 및 이소플라본의 추출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대응 추출, 바람직하게는 수성 추출제 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를 약 8:1 내지 약 16:1로 하여 수행하는 추출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추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추출시, 상기 추출제는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으로 이루어진 수성 추출물을 제공한다.
대안으로, 2 단계 추출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 초기 추출에서 추출제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약 10:1 이 바람직하며, 두 번째 추출에서 추출제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약 6:1 미만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므로써 두 개의 추출단계에서 추출제 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연합 중량비는 약 16:1 이라는 추출제 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전체적인 중량비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추출 방법은 추출제 대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를 바람직하게는 16:1 또는 그 미만으로 할 수 있다.
1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 또는 조작에서, 수성 추출물 내의 이소플라본 복합체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되어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한다. 상기 전환은 상기 수성 추출물의 pH 및 온도에 좌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을 위한 pH 범위는 약 6 내지 약 13.5 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수성 추출물의 pH는 목적하는 pH로 조정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pH를 높이려는 경우, 적합한 염기, 가성제 또는 염기성 시약을 이용하여 상기 수성 추출물의 pH를 조정하고, pH를 낮추려는 경우, 적합한 산 또는 산성 시약을 이용하여 상기 수성 추출물의 pH를 조정한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은 염기에 의해 반응이 촉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신속한 전환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높은 pH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을 위한 바람직한 pH 범위는 약 9 내지 약 11 이다.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도 범위는 약 2 내지 약 121℃ 이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상기 전환은 수성 추출물의 pH 에 따라 신속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전환이 pH 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더 낮은 온도에서 용이하게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약 pH 11 에서, 상기 전환은 약 5 내지 약 50℃의 온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발생하였다. 약 pH 9 에서, 상기 전환은 약 45 내지 약 75℃의 온도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발생하였다. 수성 추출물의 pH 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전환은 더 높은 온도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약 pH 6 에서, 상기 전환은 약 80 내지 약 121℃ 의 온도 범위에서 발생하였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환은 약 35℃ 및 약 pH 11 에서 발생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환은 약 73℃의 온도 및 약 pH 9 에서 일어난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우선적으로 사용한 온도와 pH 에 좌우된다. 상기 전환 시간은 전형적으로 약 15분 내지 수 시간 이상이다. 상기 전환은 더 높은 온도와 pH 에서 더 신속하게 발생한다. 약 pH 9 및 73℃ 에서, 상기 전환은 약 4 시간 내지 약 6 시간 내에 완료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는 약 pH 11 및 약 35℃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약 1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45 분내에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된다.
1차 전환 단계는 수성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분자량 알코올 및 기타 수용성 성분과 같은 다른 수 상용성 성분도 상기 시스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1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는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든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현저히 효율적으로 전환시킨다. 전형적으로,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약 80% 내지 약 100%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된다. 이미 기술한 바람직한 반응 변수를 이용하므로써 95% 이상의 전환율을 획득할 수 있다. 이들 높은 전환율은 대규모의 상업적 조작에 특히 유리하다.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 또는 조작에서, 제 1 전환 단계에서 생성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뿐만 아니라 수성 추출물 내에 이미 잔류하고 있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효소 반응에 의해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된다. 상기 전환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추출물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한다.
2차 전환 단계는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효소의 농도 및 이들의 특성에 좌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효소는 이소플라본 부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글루코오즈 분자 사이의 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효소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효소는 1,4-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사카리다아제, 에스트라아제 또는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이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효소의 농도는 상기 수성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효소의 유형, 효소 농도의 분포, 효소의 활성 및 전환중 상기 추출물의 pH 및 온도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좌우된다.
상기 효소는 상기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추출된 수성 추출물 내에 원래 존재하거나, 상기 추출물 내에서 미생물 성장에 의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원래 존재하는 효소는 잔류 효소라 칭하고, 상기 추출물에 첨가된 효소는 보충 효소라 칭한다.
적어도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든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추출물 내에 충분한 효소가 존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성 추출물 내의 잔류 효소가 상기 전환을 수행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보충 효소를 상기 수성 추출물에 첨가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보충 효소는 충분한 잔류 효소가 상기 수성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수성 추출물에 첨가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보충 효소의 첨가가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으로의 거의 완전한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보충 효소가 첨가되는 경우, 상기 보충 효소는 수성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총 효소 농도가 건조 중량을 기준하여 상기 식물성 단백질 재료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야 한다.
보충 효소는 선택된 pH 및 온도 조건하에서의 최적 활성 및 비용에 따른 효율을 기초로 선택한다. 보충 효소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이소플라본부 및 글루코오즈상기 식물성 재료를 분자 사이의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효소, 예를 들어 1,4-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사카리다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이다. 바람직한 보충 효소는 시판되는 알파- 및 베타-글루코시다아제 효소,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 및 펙티나아제 효소이다. 특히 바람직한 효소의 예로는 바이오펙티나아제 100L(약 3 내지 약 6의 pH 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바이오펙티나아제 300L(최적 pH 는 약 3 내지 약 6 임), 바이오펙티나아제 OK 70L(최적 pH 는 약 3 내지 약 6 임), 바이오락타아제 30,000(최적 pH 는 약 3 내지 약 6 임), 뉴트랄 락타아제(최적 pH 는 약 6 내지 약 8 임), 미국, 플로리다 34243, 사라소타, 포스트 오피스 박스 3917, 57번가 1833에 소재 하는 퀘스트 인터내쇼날에서 시판되는 모든 효소를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효소는 미국, 버지니아 22974, 트로이, 포스트 오피스 박스 1000에 소재 하는 아마노 인터내쇼날 엔자임 컴퍼니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되는 락타아제 F(최적 pH 는 약 4 내지 약 6 임) 및 락타아제 50,000(최적 pH 는 약 4 내지 약 6 임)이다. 기타 특히 바람직한 보충 효소로는 미국, 뉴욕 10121, 뉴욕, 스윗 2439, 펜 플라자 2에 소재 하는 엔자임 디벨로프먼트 코오포레이숀에 시판되는 G-자임 G990(최적 pH 는 약 4 내지 약 6 임) 및 엔제코 펑갈 락타아제(최적 pH 는 약 4 내지 약 6 임); 미국, 코네티컷 06813, 댄버리, 터너 로드 33에 소재 하는 노보 노르디스크 바이오인더스트리얼즈,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되는 락토자임 3000L(최적 pH 는 약 6 내지 약 8 임) 및 알파-갈 600L(최적 pH 는 약 4 내지 약 6.5 임); 미국, 펜실베니아 19406, 킹 오브 프러시아에 소재 하는 지스트 브로카데스 푸드 인그레디언츠,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되는 말실락트 L2000(최적 pH 는 약 4 내지 약 6 임); 및 미국, 뉴욕 10017, 뉴욕, 이스트 42번가 205에 소재 하는 피쩌 푸드 사이언스 그룹에서 시판되는 뉴트랄 락타아제(최적 pH 는 약 6 내지 약 8 임)를 들 수 있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pH 범위는 약 3 내지 약 9 이다. 사용되는 pH 는 전적으로 사용되는 효소의 형태에 의존하기 때문에, 효소를 적절히 선택하여야만 한다. 상기 추출물의 pH 가 상기 전환 과정중 더 낮을 것이라고 생각됨에도 불구하고, 잔류 효소는 약 7 내지 약 9의 pH 범위 내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몇 가지 특정 효소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보충 효소는 상기 효소의 제조사가 특정한 최적 pH 범위 내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보충 효소는 중성 pH 범위인 약 6 내지 약 8의 pH 또는 약 3 내지 약 6의 산성 pH 범위 내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pH 는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2차 전환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수치로 조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기 pH 는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대적으로 높거나 염기성인 pH 에서 낮은 pH 로 감소하는데, 이는 일종 이상의 아세트산, 황산, 인산, 염산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기타 시약의 첨가에 기인한 것이다.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으로 전한하기 위한 대두 당밀 재료의 온도 범위는 약 5 내지 약 75℃ 이다. 상기 온도는 효소의 활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환율도 상기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보충 효소는 70℃ 이상에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알파-갈 600L은 75℃에서 활성을 나타내나, 상기 효소의 불활성화를 피하기 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전환을 수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환은 약 35 내지 약 45℃에서 수행된다.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효소-관련 인자, 특히 상기 효소 시스템의 농도, 온도 및 pH 에 좌우된다. 대부분의 경우, 24 시간 내에 거의 완전한 전환을 획득할 수 있으나, 보충 효소를 첨가하여 전환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보충 효소, 효소 농도, pH 및 온도는 약 2 시간 내에 거의 완전한 전환을 수행하며, 1 시간 내에 완전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매우 높은 전환율로 인해 상기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든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는 아글루콘 형태로 전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대부분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율이 약 50% 이상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거의 모든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율이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임을 의미한다. 신뢰할 수 있는 기초에 대한 이와 같이 높은 전환율은 현저하며, 상업적 적용 분야에 바람직하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의 완료시, pH는 필요에 따라 산을 첨가하여 식물성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대두 단백질에 대해서는 약 4.0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4.4 내지 약 4.6 의 pH로 조정한다. 단백질은 pH 조정된 추출물로부터 응고물(curd) 형태로 침전된다. 대부분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상기 응고물 내에 포함된다. 침전후, 상기 응고물 또는 침전된 단백질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단백질 재료를 형성한다.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분리된 단백질 재료의 세척은 가급적 피하거나, 최소화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단백질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의 세척으로 인한 제거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물을 이용하는 상기 단백질 재료의 세척은 전혀 수행하지 않거나, 물 대 단백질의 중량비를 약 2:1 내지 약 6:1로 하는, 물을 이용한 단일 세척으로 제한한다. 더 낮은 수준의 이소플라본을 회수하기 위해 더 광범위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침전된 응고물을 세척하지 않으므로써 목적하는 수준의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단백질 재료를 수득할 수 있다.
분리된 단백질 재료는 원심분리 또는 농축, 또는 원심분리와 농축을 병행하므로써 탈수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할 수 있다. 건조된 단백질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원심분리 및 분무 건조와 같은 통상적인 탈수 및 건조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구체예는 특정 탈수 기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미 기술한 특정 구체예의 방법은 추출물 수득 직후에 1차 및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 둘 다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를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대해 1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단백질 재료에 대해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단계들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성 슬러리에 대해 1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식물성 재료를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내의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에 대해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는 20 중량% 이하의 식물성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의 단계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는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 후에 이미 기술한 방식으로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추출하는 단계;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단백질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백질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에 대해 1차 및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단백질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는 30 중량% 이하로 상기 단백질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의 단계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1차 및 2차 이소플라본 전환 단계 둘 다는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 이러한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추출물 및 이러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단백질 재료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단계중 임의 단계의 조합으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또는 단백질 재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회수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약 4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제니스테인을 잔여 식물성 재료와 함께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잔여 식물성 재료는 상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가 대두 재료로부터 회수되는 경우, 잔여 대두 재료이다.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40% 이상의 다이드제인을 잔여 식물성 재료와 함께 함유하는데, 상기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가 대두 재료로부터 회수되는 경우, 잔여 식물성 재료는 대두 재료이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초기 세척 및 여과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염 및 당을 제거할 수 있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물과 함께 혼합되는데, 상기 물은 상기 단백질과 6:1의 비로 존재한다. 상기 물은 냉각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의 수중 용해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한 수온은 약 5 내지 약 30℃이다. 상기 단백질 재료는 약 15 내지 약 30분 동안 수중에서 혼합되고, 이어서 상기 단백질 재료는 통상적인 임의의 여과수단,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여과지를 통한 혼합물의 여과를 이용하여 물로부터 여과한다. 상기 세척 및 여과 단계는 필요에 따라 수행하지 않아 물을 이용하는 세척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의 가능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수성 알코올 추출제로 추출하여 단백질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제거하고,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생성할 수 있다. 메탄올, 특히 에탄올과 같은 저분자량 알코올은 상기 추출제의 알코올 성분으로 바람직하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상기 추출제의 거의 모든 알코올 농도에서 가용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은 상기 추출제가 약 30 내지 약 90%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80% 알코올을 함유하는 경우에 특히 가용성이다. 수성 알코올은 바람직한 용매이지만, 물, 아세토니트릴, 메틸렌 클로라이드, 아세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기타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단백질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의 추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은 최소량의 추출제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추출제 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11:1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은 대향 추출 또는 이중 추출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상적인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혼합된 추출물 대 상기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11:1을 초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백질 재료는 80% 에탄올로 초기에 추출되는데, 이때 상기 추출제 대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약 6:1 이다. 상기 추출제는 원심분리 또는 필터 압착과 같은 통상적인 분리 방법에 의해 상기 단백질 재료로부터 분리되며, 추출물은 수거된다. 상기 단백질 재료는 80% 에탄올로 재추출하는데, 이때 상기 추출제와 상기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약 4:1 이다. 상기 추출제는 다시 수거하고, 초기 수거된 추출물에 첨가한다. 이어서, 상기 단백질 재료는 다량의 물로 세척하는데, 이때 물 대 단백질 재료의 중량비는 약 4:1 이고, 물은 수거된 추출물에 첨가한다.
상기 추출은 임의의 pH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상기 추출제의 pH는 약 7 내지 약 10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겔 형성은 상기 바람직한 pH 범위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단백질 재료가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추출물과 함께 회수되는 경우, 상기 단백질 재료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아미노산 부산물의 형성은 바람직한 pH 범위 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추출은 상기 추출제의 비등점 이하의 임의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약 25 내지 약 7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백질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최대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추출은 약 50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후,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상기 추출물과 흡착제를 상기 추출물로부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다이드제인의 함량이 높은 재료를 추출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접촉시키므로써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추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다이드제인은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기타 이소플라본 및 불순물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흡착제로 이루어진 입자를 통해 화합물에 특이적인 방식으로 상기 추출물을 용출시켜 상기 화합물 각각을 분리시키므로써 상기 추출물내의 기타 이소플라본 및 불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추출물은 초기 여과되어 HPLC 칼럼을 막을 수 있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추출물은 임의의 통상적인 여과법으로 여과할 수 있다. 대부분의 바람직한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잔류 단백질을 제거하는 통상적인 한외여과법으로 여과한다.
HPLC 칼럼은 화합물에 특이적인 방식으로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기타 이소플라본 및 불순물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입자형 흡착제로 시판되는 종래의 HPLC 칼럼을 충진하므로써 제조한다. 상기 흡착제는 임의의 역상 HPLC 충전 물질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충전재는 하중 용량, 분리 효율성 및 비용을 고려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충전재의 하나는 스웨덴에 소재 하는 에카 노벨, 노벨 인더스트리즈에서 시판되는 크로마실 C18 16㎛ 100Å 비드이다.
여과된 추출물은 충전된 HPLC 칼럼의 모든 결합 위치가 상기 칼럼으로 용출한 용출액 내의 이소플라본의 외관으로 검출되는 이소플라본으로 완전히 포화될 때 까지 상기 칼럼으로 통과시킨다. 이어서, 상기 HPLC 칼럼은 극성 용출제로 용출하여 분리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출제는 수성 알코올이다. 상기 수성 알코올 용리제의 알코올 함량은 약 30 내지 약 90% 알코올이며, 이소플라본의 약호한 분리 및 양호한 용해도 둘 다를 제공하는 약 50%의 알코올 함량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생성물을 식품 또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및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상기 칼럼 용출액으로부터 수거한다. 상기 칼럼 용출액으로부터 다이드제인 용출제를 함유하는 분획을 수거하고, 더 극성인 제니스테인 분획을 수거한다.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 분획은 이들이 칼럼으로부터 용출될 때 수거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니스테인 분획도 수거한다.
상기 분획 내의 알코올은 증발시켜 제거하고, 이어서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와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원심분리 또는 여과와 같은 통상적인 분리 방법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회수된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는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제니스테인을 잔류 식물성 재료와 함께 함유하는데, 상기 제니스테인이 대두 훼이로부터 회수되는 경우, 상기 잔류 식물성 재료는 잔류 대두 재료이다. 회수된 다이드제인 함량인 높은 재료는 40% 이상의 다이드제인을 잔류 식물성 재료와 함께 함유한다.
실험
본 발명은 식물성 재료로 대두 재료를 이용하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어떤 형태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대두 재료는 상응하는 글루코시드, 복합체, 및 아글루콘 구성원을 보유하는 이소플라본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및 글리시테인 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니스테인류는 복합 6''-OMal 제니스틴, 6''-OAc 제니스틴, 글루코시드 제니스틴 및 아글루콘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며; 다이드제인류는 복합 6''-OMal 다이드진, 6''-OAc 다이드진, 글루코시드 다이드진 및 아글루콘 다이드제인을 함유하며; 글리시테인류는 복합체 6''-OMal 글리시틴, 글루코시드 글리시틴 및 아글루콘 글리시테인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이소플라본의 상대 농도는 이소플라본류의 총 농도 또는 이소플라본류의 각각의 이소플라본의 백분율로 측정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제니스테인류의 총 농도는 6''-OMal 제니스틴, 6''-OAc 제니스틴, 제니스틴 및 제니스테인 농도의 합계이며, 제니스테인류 내의 이소플라본 각각의 백분율은 기타 제니스테인류 이소플라본에 대해 결정하였다:%제니스틴 + %6''-OMal 제니스틴 + %6''-OAc 제니스틴 + %제니스테인 = 100%. 복합체에서 글루코시드 및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으로의 전환율은 이소플라본류 내의 각 화합물의 형태의 백분율을 비교하므로써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첫 번째 실험에서, 대두 추출물 내에서 이소플라본 복합체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을 조사하였다. 전환율은 동일한 이소플라본류의 글루코시드의 상응하는 정량적인 백분율 증가와 관련된 이소플라본류의 말로네이트와 아세테이트 에스테르의 정량적인 백분율 감소에 의해 결정하였다.
대두 추출물은 미분 탈지 대두 박편 400 g과 물 4000 g으로 이루어진 슬러리를 형성하므로써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의 pH는 나트륨 히드록사이드를 이용하여 9.7로 조정하였으며, 이어서 교반하면서 38℃로 15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슬러리를 원심분리하고, 추출물은 상청액으로 수거하였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전환은 상이한 pH 및 온도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상기 추출물 샘플 600 g의 pH는 염산 및 나트륨 히드록사이드를 이용하여 6, 7, 9 및 11로 조정하였다. 상기한 pH를 갖는 각각의 600 g 샘플은 300 g 샘플로 나누고, 이들 샘플은 45℃ 및 72.5℃에서 24 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 0, 2, 4, 6 및 24 시간에서 상기 샘플에 대해 주기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샘플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결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실험 과정에 전반에 대한 이소플라본의 변화 및 분포를 나타낸다.
샘플 제니스틴 6-OMal제니 스틴 6-OAc제니 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6-OMal다이 드진 6-OAc다이 드진 다이드제인 글리시틴 6-OMal글리시틴 글리시테인
백분율(%)
pH 6, 45℃
t=0 41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42 49 0 9 39 49 1 11 41 37 22
t=2시간 29 51 0 19 27 49 1 22 37 36 27
t=4시간 25 50 0 25 22 49 1 28 36 35 29
t=6시간 23 50 0 27 19 48 1 31 35 35 30
t=24시간 15 43 1 40 12 42 0 46 30 32 37
pH 6, 45℃
t=0 44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43 48 0 9 40 48 1 11 42 36 22
t=2시간 38 48 0 13 35 48 1 16 40 37 23
t=4시간 37 47 0 16 32 47 1 20 41 36 23
t=6시간 36 46 0 18 31 46 1 22 41 35 24
t=24시간 18 42 0 39 13 41 0 46 31 34 35
pH 6, 45℃
t=0 44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46 46 0 8 43 46 1 10 45 33 23
t=2시간 51 41 0 8 49 40 1 10 49 30 21
t=4시간 57 36 0 7 54 35 1 10 52 27 21
t=6시간 60 33 0 7 58 31 0 10 54 25 21
t=24시간 58 26 0 15 55 25 0 20 50 23 27
pH 6, 45℃
t=0 44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73 20 0 8 71 19 0 10 62 19 19
t=2시간 92 0 0 7 91 0 0 9 82 0 18
t=4시간 93 0 0 7 90 0 0 10 82 0 18
t=6시간 93 0 0 7 90 0 0 10 81 0 19
t=24시간 95 0 0 5 87 0 0 13 78 0 22
샘플 제니스틴 6-OMal제니스틴 6-OAc제니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6-OMal다이드진 6-OAc다이드진 다이드제인 글리시틴 6-OMal글리시틴 글리시테인
백분율(%)
pH 6, 45℃
t=0 44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42 48 0 9 40 48 1 12 40 35 24
t=2시간 50 41 0 9 47 40 1 12 47 29 24
t=4시간 56 34 0 9 53 34 1 12 52 23 24
t=6시간 61 30 0 9 58 29 2 12 53 23 25
t=24시간 84 7 0 9 80 6 2 12 66 5 29
pH 6, 45℃
t=0 47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45 40 0 9 41 47 1 11 43 36 22
t=2시간 54 21 0 8 50 38 1 10 47 30 23
t=4시간 61 11 0 8 58 30 1 10 52 24 24
t=6시간 67 6 0 8 63 25 1 10 56 20 24
t=24시간 90 0 0 5 85 4 1 9 68 4 28
pH 6, 45℃
t=0 44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53 40 0 7 50 39 1 10 47 31 2
t=2시간 73 21 0 6 70 20 0 9 58 22 20
t=4시간 83 11 0 6 80 10 0 9 67 14 19
t=6시간 88 6 0 5 85 6 0 9 73 8 19
t=24시간 96 0 0 4 91 0 0 9 80 0 20
pH 6, 45℃
t=0 44 47 0 13 35 48 1 16 40 37 23
t=10분 89 3 0 8 87 3 0 9 79 3 18
t=2시간 94 0 0 6 90 0 0 10 81 0 19
t=4시간 94 0 0 6 87 0 0 13 75 3 22
t=6시간 94 0 0 6 86 0 0 14 74 3 23
t=24시간 95 0 0 3 78 0 2 20 70 4 27
6-OMal 및 6-OAc 이소플라본 복합체 화합물의 상대 농도의 감소 및 글루코시드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및 글리시틴의 상응하는 농도 증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전환 단계는 더 높은 pH, 즉 더 염기성 pH 조건 및 더 높은 온도 조건에서 가장 신속하게 완료된다. 이소플라본 복합체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의 완전한 전환은 45℃ 및 72.5℃ 둘 다에서 pH 9 및 pH 11 샘플에서 발생하였으나, 다이드진 및 글리시틴은 45℃ 및 72.5℃ 둘 다에서 pH 9 및 pH 11 샘플에서 분해되었으며, 다이드진 및 글리시틴은 pH 11, 72.5℃에서 분해되었다. 또한, 상기 전환은 72.5℃에서 pH 6 및 7 샘플에서 거의 완료되었다. 상기 추출물내의 잔류 효소에 의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실질적인 전환은 이들 조건하에서 특히 효과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45℃에서 pH 6 및 7 샘플에서 발생하였다.
실시예 2
두 번째 실험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을 조사하였다. 전환율은 동일한 이소플라본류의 아글루콘 백분율의 상응하는 정량적인 증가와 관련이 있는 이소플라본류의 글루코시드 백분율의 정량적인 감소에 의해 결정하였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추출물은 약 35℃의 온도에서 약 1 시간 동안 대두 추출물의 pH를 조정하므로써 대두 박편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첫 번째 샘플에서,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은 샘플의 pH를 pH 7.0 및 pH 9.0 으로 조정하고, 상기 샘플을 45℃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시키므로써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잔류 효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은 하기 하는 시판 보충 효소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추출물의 샘플에 첨가하므로써 보충 효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바이오락타아제 30,000, 퀘스트 뉴트랄 락타아제, 락타아제 50,000, 바이오펙티나아제 100L 및 알파 갈 600. 각각의 샘플에 첨가되는 효소의 양은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상기 보충 효소가 활성을 나타내는 pH인 4.0, 4.5 또는 7.0 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샘플을 35 내지 75℃의 온도에서 항온처리하였다. 미리 지정된 시간에 샘플을 취하고, 이소플라본 함량을 측정하였다.
샘플 제니스틴 6-OMal제니스틴 6-OAc제니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6-OMal다이드진 6-OAc다이드진 다이드제인 글리시틴 6-OMal글리시틴 글리시테인
백분율(%)
잔류 효소 pH 7.0, 45℃
t=0 94 1 1 5 93 1 0 6 75 2 23
t=3시간 94 1 1 5 93 1 0 6 75 2 22
t=6시간 84 1 1 14 86 1 1 13 73 3 24
t=24시간 29 1 1 69 42 2 2 54 45 3 53
잔류 효소, pH 9.0, 45℃
t=0 94 1 1 5 93 1 0 6 75 2 23
t=3시간 93 1 1 5 94 1 0 6 74 2 24
t=6시간 93 1 1 5 94 1 0 6 74 2 24
t=24시간 0 1 0 99 1 1 4 93 18 5 77
락타아제 50,000, pH 4.0, 50℃(0.2 g/100g 추출물)
t=0 100 0 0 0 100 0 0 0 100 0 0
t=1시간 6 0 0 94 30 0 0 70 40 19 41
샘플 제니스틴 6-OMal제니스틴 6-OAc제니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6-OMal다이드진 6-OAc다이드진 다이드제인 글리시틴 6-OMal글리시틴 글리시테인
백분율(%)
바이오락타아제 30,000, pH 4.5, 35℃(0.05g/100g 추출물)
t=0 93 4 0 4 93 3 0 5 100 0 0
t=1시간 26 4 0 70 16 3 0 80 40 0 60
t=2시간 10 4 0 85 4 3 0 92 26 0 74
t=3시간 5 4 0 91 0 3 0 97 19 0 81
알파 갈 600, pH 4.5, 75℃
t=0 91 0 0 9 89 0 0 11 78 0 22
t=24시간 1 0 0 99 0 0 2 98 0 0 100
바이오락타아제 100L, pH 4.0, 50℃
t=0 100 0 0 0 0 0 0 0 100 0 0
t=1시간 67 0 0 33 58 0 0 42 87 13 0
퀘스트 뉴트랄 락타아제, pH 7.0, 35℃(0.05g/100g 추출물)
t=0 93 4 0 4 93 3 0 5 100 0 0
t=1시간 66 4 0 30 66 3 0 31 77 0 23
t=2시간 50 4 0 46 51 3 0 46 67 0 33
t=3시간 36 4 0 59 37 3 0 59 58 0 42
t=24시간 1 4 0 95 0 3 0 97 0 0 100
제니스틴, 다이드진 및 글리시틴 각각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및 글리시테인 각각으로의 전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이 달성된다. 선택된 보충 효소는 상기 추출물 내의 잔류 효소에 의한 전환과 비교하는 경우, 전환율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효과적인 농도, 온도 및 pH에서 1 시간 이내에 거의 완전한 전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다른 실험에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는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로부터 회수하였으며, 통상적인 단백질 재료는 통상적인 추출물로부터 회수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의 상기 회수된 단백질 재료내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4.0, 4.5 및 5.0의 분리 pH에서 측정하였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대두 추출물은 1) 탈지 대두 박편을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의 pH를 11로 조정하고, 상기 추출물을 35℃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여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내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하여 0.1 %의 락타아제 50,000(아마노 인터내쇼날 엔자임 컴퍼니)를 첨가하고, 이어서 50℃ 및 pH 4.5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제조한다. 통상적인 대두 추출물도 제조하는데, 통상적인 추출물은 탈지 대두 박편을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추출하므로써 제조하였다.
고형분 10 g을 함유하고 있는 샘플을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수득하고, 그 pH를 4.5로 조정하였다. 단백질 재료는 상기 샘플을 원심분리하고, 상기 단백질 재료로부터 상청액 훼이를 경사분리하므로써 각각의 샘플로부터 분리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샘플로부터 분리된 단백질 재료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3은 샘플 1개당 이소플라본의 함량(mg) 및 각 샘플의 단백질 재료내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류의 이소플라본의 각 형태의 백분율을 나타내고 있다.
샘플 제니스틴 6-OMal제니스틴 6-OAc제니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6-OMal다이드진 6-OAc다이드진 다이드제인 글리시틴 6-OMal글리시틴 글리시테인
mg/샘플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분리 pH 4.5
단백질 14 0.0 0.0 9.7 0.0 0.0 0.0 58 0.4 0.0 0.5
통상적인 단백질 재료, 분리 pH 4.5
단백질 16 43 0.0 16 0.7 23 0.0 12 0.0 0.4 0.4
백분율(%)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단백질 재료, 분리 pH 4.5
단백질 13 0 0 87 0 0 0 100 49 0 51
통상적인 단백질 재료, 분리 pH 4.5
단백질 21 58 0 21 16 55 0 28 0 52 48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로 분리한 단백질 재료의 이소플라본 함량과 통상적인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재료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비교하므로써 ,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재료가 통상적인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재료 보다 현저히 더 많은 양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특히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적인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재료는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내에서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의 전환에 기인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내에 없는 실질적인 양의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6''-OMal-제니스틴, 6''-OAc-제니스틴, 6''-OMal-다이드진, 6''-OAc-다이드진, 글리시틴, 6''-OMal-글리시틴 및 글리스테인에 대해 나타낸 모든 백분율은 계산된 값이다. 제시된 백분율 또는 효소 농도는 각각의 샘플 내의 고형분 100 g 당 시판되는 효소 제제의 중량(g)으로 계산한 것이다. 이하, 대두 제품 내에서 이소플라본을 정량 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소플라본은 샘플(분무 건조 또는 미분쇄 분말) 0.75 g 과 80/20 메탄올/물 용매 50 ㎖를 혼합하므로써 대두 제품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궤도 진탕기를 이용하여 진탕하였다. 2 시간 후, 남아있는 미용해 재료를 와트만 42번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 5 ㎖를 물 4 ㎖와 메탄올 1 ㎖로 희석하였다.
추출된 이소플라본은 휴렛 팩커드 C18 하이퍼실 역상 칼럼을 이용하는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이소플라본을 상기 칼럼에 주입하고, 88% 메탄올, 10% 물 및 2% 빙초산으로 출발하고, 98% 메탄올 및 2% 빙초산으로 종결하는 용매 구배 용출에 의해 용출하였다. 유속 0.4 ㎖/분에서 모든 이소플라본-제니스틴, 6''-O-아세틸제니스틴, 6''-O-말로닐제니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글리시틴 및 그의 유도체 및 글리시테인-은 명백히 용해되었다. 피크 검출은 260 nm에서 UV 흡광도에 의해 수행하였다. 피크의 확인은 HPLC-질량 분광계로 수행하였다.
정량은 미국, 뉴저지, 서머빌에 소재 하는 인도파인 케미칼 컴퍼니로부터 획득한 순수한 표준물(제니스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진 및 다이드제인)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 인자(통합 면적/농도)는 상기 화합물 각각에 대해 계산하였으며, 미공지 샘플을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복합체 형태에 대해서는 가용한 순수한 표준물이 없기 때문에, 반응 인자는 모분자의 것을 추정하였으나, 분자량 차이에 대해 정정하였다. 글리시틴에 대한 반응 인자는 분자량 차이에 대해 정정된 제니스테인의 것으로 추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개개의 이소플라본의 정량법을 제공한다. 편리하게도, 총 제니스테인, 총 다이드제인 및 총 글리시테인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복합체 형태가 그들의 각각의 비복합체 형태로 전환되는 경우, 이들 화합물의 응집체 중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총량은 복합체 형태를 전한시키는 산 가수분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독점적인 권리를 청구하는 본 발명의 구체예는 하기 하는 바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아글루콘 이소블라본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율이 높은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 및 단백질 재료가 제공된다.

Claims (67)

  1. -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를 상기 식물성 재료 내의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추출하는 단계;
    - 약 2 내지 약 121℃의 온도 및 pH 약 6 내지 약 13.5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상기 수성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 약 5 내지 약 75℃의 온도와 pH 약 3 내지 약 9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효소와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접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이 pH 약 6 내지 약 10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추출물을 pH 약 9 및 약 45 내지 약 75℃의 온도에서 처리하여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추출물을 pH 약 11 및 약 5 내지 약 50℃의 온도에서 처리하여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효소와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접촉시키는 단계가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상기 수성 추출물에 유효량의 보충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알파-갈락토시다아제 효소,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 펙티나아제 효소 및 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효소의 총 농도가 건조 중량을 기준 하여 상기 식물성 재료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가 되도록 상기 보충 효소를 첨가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재료가 대두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 및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대부분이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 및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의 거의 모두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의 pH를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조정하여 단백질과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침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재료를 세척 하지 않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재료를 상기 침전된 단백질 재료 중량의 약 6배(중량 기준) 미만의 양인 물로 세척하는 방법.
  14. 제 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15. 제 1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16. -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를 상기 식물성 재료 내의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추출하는 단계;
    - 약 2 내지 약 121℃의 온도 및 pH 약 6 내지 약 13.5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수성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
    - 상기 수성 추출물로부터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분리하는 단계; 및
    - 약 5 내지 약 75℃의 온도와 pH 약 3 내지 약 9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효소와 상기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를 접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이 pH 약 6 내지 약 10에서 수행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추출물을 pH 약 9 내지 약 11 및 약 5 내지 약 75℃의 온도에서 처리하여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추출물로부터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분리하는 방법이 상기 단백질 재료의 등전점 정도로 상기 수성 추출물의 pH를 조정하므로써 상기 추출물로부터 상기 단백질 재료를 침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재료내의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와 효소를 접촉시키는 방법이 상기 단백질 재료에 유효량의 보충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알파-갈락토시다아제 효소,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 펙티나아제 효소 및 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건조 중량을 기준 하여 상기 단백질 재료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농도로 첨가되는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재료가 대두 재료인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대부분이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거의 모두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26. 제 16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27. - 단백질과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 약 2 내지 약 121℃ 및 pH 약 6 내지 약 13.5 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를 처리하는 단계;
    - 상기 식물성 재료 내의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상기 식물성 재료를 추출하는 단계; 및
    - 약 5 내지 약 75℃ 및 pH 약 3 내지 약 9 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효소와 상기 수성 추출물 내의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접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슬러리가 20 중량% 이하의 상기 식물성 재료를 함유하는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이 pH 약 6 및 약 10 에서 수행되는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내의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와 효소를 접촉시키는 단계가 상기 추출물에 유효량의 보충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알파-갈락토시다아제 효소,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 펙티나아제 효소 및 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건조 중량을 기준 하여 상기 단백질 재료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농도로 첨가되는 방법.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재료가 대두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대부분이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거의 모두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36. 제 27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의 pH를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조정하여 단백질과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침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8. 제 37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39. - 이소플라본 복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식물성 재료를 상기 식물성 재료 내의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이상의 pH를 갖는 수성 추출제로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추출물로부터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단백질 재료를 분리하는 단계;
    - 상기 단백질 재료로 이루어진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 약 2 내지 약 121℃의 온도 및 pH 약 6 내지 약 13.5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수성 슬러리를 처리하는 단계;
    - 약 5 내지 약 75℃의 온도와 pH 약 3 내지 약 9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글루코시드 결합을 절단할 수 있는 효소와 상기 수성 슬러리 내의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를 접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식물성 재료로부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이 pH 약 6 내지 약 10에서 수행되는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재료는 상기 추출물의 pH를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로 조정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상기 단백질 재료를 침전시키므로써 상기 수성 추출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슬러리가 약 30 중량% 이하의 상기 단백질 재료를 함유하는 방법.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슬러리를 pH 약 9 내지 약 11 및 약 5 내지 약 75℃의 온도에서 처리하여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를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로 전환시키는 방법.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슬러리 내의 상기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와 효소를 접촉시키는 단계가 상기 슬러리에 유효량의 보충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알파-갈락토시다아제 효소,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 펙티나아제 효소 및 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효소가 건조 중량을 기준 하여 상기 단백질 재료의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농도로 첨가되는 방법.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재료가 대두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법.
  48.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대부분이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4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복합체의 거의 모두가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으로 전환되는 방법.
  50. 제 39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단백질 재료.
  51. -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추출제로 추출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추출물과 흡착제를 충분한 시간 동안 접촉시켜 상기 추출물로부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아글루콘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회수하는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가 약 30% 알코올 내지 약 90% 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성 알코올인 방법.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의 pH 값이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 내의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인 방법.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가 상기 추출제로 추출되는데, 상기 추출제 대 상기 재료의 중량비가 약 11:1을 초과하지 않는 방법.
  5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용출제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를 통해 용출시켜 상기 추출물과 상기 흡착제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흡착제에 상기 추출물내의 상기 제니스테인을 시차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추출물로부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하는 방법.
  5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가 40% 이상의 제니스테인을 함유하는 방법.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가 약 90% 이상의 제니스테인을 함유하는 방법.
  58.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로부터 잔류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9. 제 5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제니스테인 함량이 높은 재료.
  60. -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추출제로 추출하여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추출물과 흡착제를 충분한 시간 동안 접촉시켜 상기 추출물로부터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로부터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회수하는 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가 약 30% 알코올 내지 약 90% 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성 알코올인 방법.
  62.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의 pH 값이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 내의 상기 단백질의 등전점 정도인 방법.
  63.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글루콘 이소플라본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 재료가 상기 추출제로 추출되는데, 상기 추출제 대 상기 재료의 중량비가 약 11:1을 초과하지 않는 방법.
  64.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용출제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를 통해 용출시켜 상기 추출물과 상기 흡착제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흡착제에 상기 추출물내의 상기 다이드제인을 시차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추출물로부터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를 분리하는 방법.
  65.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가 40% 이상의 다이드제인을 함유하는 방법.
  66.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로부터 잔류 식물성 단백질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7. 제 60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이드제인 함량이 높은 재료.
KR1019970045912A 1996-09-06 1997-09-05 아글루콘이소플라본풍부한식물성단백질추출물과단백질재료및제니스테인과다이드제인함량이높은재료및이들의제조방법 KR100412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09,026 US5726034A (en) 1996-09-06 1996-09-06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extract and protein material, and high genistein and daidzein content materi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08/709,026 1996-09-06
US8/709,026 1996-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61A true KR19980024361A (ko) 1998-07-06
KR100412116B1 KR100412116B1 (ko) 2004-04-08

Family

ID=2484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912A KR100412116B1 (ko) 1996-09-06 1997-09-05 아글루콘이소플라본풍부한식물성단백질추출물과단백질재료및제니스테인과다이드제인함량이높은재료및이들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726034A (ko)
EP (1) EP0827698B2 (ko)
JP (1) JPH1099089A (ko)
KR (1) KR100412116B1 (ko)
CN (1) CN1210407C (ko)
AT (1) ATE192284T1 (ko)
AU (1) AU718810B2 (ko)
BR (1) BR9704589A (ko)
CA (1) CA2214665C (ko)
DE (1) DE69701842T3 (ko)
DK (1) DK0827698T4 (ko)
ES (1) ES2147660T5 (ko)
PT (1) PT827698E (ko)
RU (1) RU2152434C1 (ko)
TW (1) TW57422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01A (ko) * 1999-10-20 2001-02-05 서주원 귀리 유래의 베타-글루코시다제 및 그를 이용한제니스테인 또는 다이드제인의 제조 방법
KR100413025B1 (ko) * 1997-10-20 2004-04-29 솔레 엘엘씨 아글루콘이소플라본강화식물성단백질유장,유장단백질재료,아글루콘이소플라본재료,제니스테인함량이높은재료및디아드제인함량이높은재료및식물성단백질유장으로부터이들을제조하는방법
KR100411647B1 (ko) * 1996-10-15 2004-05-14 솔레 엘엘씨 식물성단백질이소플라본결합체의아글루콘으로의2단계전환방법
KR100714119B1 (ko) * 2000-03-29 2007-05-04 아마노 엔자임 가부시키가이샤 풍미가 개선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656786E (pt) 1992-05-19 2004-11-30 Novogen Res Pty Ltd Utilizacao de extractos do fitoestrogenio isoflavona de soja ou trevo
US6140469A (en) * 1993-10-12 2000-10-31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Protein isolate having an increased level of isoflavone compound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821361A (en) 1996-06-11 1998-10-13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 molasses
US6579561B2 (en) 1996-08-09 2003-06-17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flour and vegetable gri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from a vegetable material containing isoflavone
US6521282B1 (en) 1996-08-09 2003-02-1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flour and grit
AUPO203996A0 (en) * 1996-08-30 1996-09-26 Novogen Research Pty Ltd Therapeutic uses
JP3883018B2 (ja) * 1997-02-06 2007-02-21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イソフラボン化合物の製造方法
US6146668A (en) 1997-04-28 2000-11-14 Novogen, Inc. Preparation of isoflavones from legumes
WO1998050026A1 (en) * 1997-05-01 1998-11-12 Novogen Inc Treatment or prevention of menopausal symptoms and osteoporosis
US5834605A (en) * 1997-07-07 1998-11-10 Liu; Yaguang Saf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lcohol abuse and increasing immune function
US6228993B1 (en) 1998-10-12 2001-05-08 Central Soya Company, Inc. Soy isoflavone concentrate process and product
US6320028B1 (en) 1997-10-15 2001-11-20 Central Soya Company, Inc. Soy isoflavone concentrate process and product
US6369200B2 (en) 1997-10-15 2002-04-09 Central Soya Company, Inc. Soy isoflavone concentrate process and product
AUPP112497A0 (en) * 1997-12-24 1998-01-22 Novogen Research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otecting skin from UV induced immunosupression and skin damage
US6132795A (en) * 1998-03-15 2000-10-17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getable prote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soflavone depleted vegetable protein material with an isoflavone containing material
AUPP260798A0 (en) * 1998-03-26 1998-04-23 Novogen Research Pty Ltd Treatment of medical related conditions with isoflavone containing extracts of clover
US5994508A (en) * 1998-04-13 1999-11-30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Isoflavone rich protein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US6083553A (en) * 1998-06-05 2000-07-04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 molasses
US6013771A (en) * 1998-06-09 2000-01-11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Isoflavone rich protein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US6150399A (en) 1998-06-30 2000-11-21 Abbott Laboratories Soy-based nutritional products
US7109014B1 (en) 1998-09-30 2006-09-19 Amano Enzyme Inc. Diglycosidase isolated from microorganisms
US6703051B1 (en) 1998-10-13 2004-03-09 Solae, Llc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protein and isoflavones from a plant material
ATE253925T1 (de) 1998-11-25 2003-11-15 Nutri Pharma As Zusammensetzung enthaltend sojaprotein, diätfasern und phytoestrogen sowie ihre verwendung zur vorbeugung und/oder behandlung von kardiovaskulären erkrankungen
US6509043B1 (en) 1998-11-25 2003-01-21 Nutri Pharma Asa Composition comprising soy protein, dietary fibres and a phytoestrogen compound and use thereof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ulmonary diseases
AU2475600A (en) * 1998-12-02 2000-06-19 Cognis Corporation Production of a product enriched in isoflavone values from natural sources
US6544566B1 (en) 1999-04-23 2003-04-0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sterol, soy protein and isoflavone for reducing LDL cholesterol
US7285297B1 (en) 1999-04-23 2007-10-23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Method of reducing low density liproprotein cholesterol concentration
US20090233999A1 (en) * 1999-09-06 2009-09-17 Novogen Research Pty Ltd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methods involving isoflavones and analogues thereof
AUPQ266199A0 (en) * 1999-09-06 1999-09-30 Novogen Research Pty Ltd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methods involving isoflavones and analogues thereof
EP1154022B1 (en) * 1999-12-15 2010-10-13 Amino Up Chemical Co. Ltd. Novel substance originating in basidiomycete cultur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4413464B2 (ja) * 1999-12-17 2010-02-10 光則 小野 水溶性の豆ベース抽出物
AUPQ504300A0 (en) 2000-01-11 2000-02-03 Biorex Health Limited Extraction of flavonoids
CA2396734C (en) * 2000-01-11 2009-03-31 Biorex Health Limited Extraction of flavonoids
AUPQ520300A0 (en) * 2000-01-21 2000-02-17 Novogen Research Pty Ltd Food product and process
JP2001302689A (ja) * 2000-04-19 2001-10-31 Protein Technol Internatl Inc 植物材料からタンパクおよびイソフラボン類を分離回収する方法
EP1174144A1 (en) * 2000-07-20 2002-01-23 Linnea S.A. Dry extract rich in isoflavones and process of preparation
AUPR363301A0 (en) * 2001-03-08 2001-04-05 Novogen Research Pty Ltd Dimeric isoflavones
AU2002344683B2 (en) * 2001-06-29 2007-08-23 Maabarot Project Launching And Management Ltd "Flavonoid concentrates"
AUPR602201A0 (en) * 2001-06-29 2001-07-26 Biorex Health Limited Flavonoid concentrates
JP2006504409A (ja) 2002-07-24 2006-02-09 チルドレンズ ホスピタル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鏡像異性のエクオ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68914B2 (en) * 2002-07-24 2014-03-11 Brigham Young University Use of equol for treating skin diseases
JP4304721B2 (ja) * 2002-08-05 2009-07-29 不二製油株式会社 大豆蛋白の製造方法
CA2504682A1 (en) 2002-10-29 2004-05-13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Use of equol for treating androgen mediated diseases
US8580846B2 (en) 2002-10-29 2013-11-12 Brigham Young University Use of equol for ameliorating or preventing neuropsychiatric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or disorders
KR100449887B1 (ko) * 2003-10-31 2004-09-22 주식회사 렉스진바이오텍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괴각 추출물의 제조방법
JP5220406B2 (ja) * 2004-04-28 2013-06-26 ブリガム・ヤング・ユニバーシティ 皮膚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エクオールの使用
CN101809581B (zh) 2007-09-24 2014-12-10 苹果公司 电子设备中的嵌入式验证系统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20090176871A1 (en) * 2008-01-07 2009-07-09 Schoenwetter Phillip E Treatments for Domestic Animals Having Sex Hormone Deficiencies Using Soy Germ Isoflavones
US11165963B2 (en) 2011-06-05 2021-11-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DK179471B1 (en) 2016-09-23 2018-11-26 Apple Inc.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KR102185854B1 (ko) 2017-09-09 2020-12-02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CN117077102A (zh) 2017-09-09 2023-11-17 苹果公司 生物识别认证的实现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CN112154728B (zh) * 2020-08-20 2022-04-22 扬州大学 一种富含大豆异黄酮的大豆粉末及其制作方法与应用
EP4264460A1 (en) 2021-01-25 2023-10-25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2210603B2 (en) 2021-03-04 2025-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enrolling a biometric feature
US12216754B2 (en) 2021-05-10 2025-02-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thenticating to perform secure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27B2 (ja) * 1988-04-06 1995-02-22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イソフラボン化合物の製造法
US5351384A (en) * 1993-08-06 1994-10-04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instrument panel assemblies in automotive vehicle bodies
US5320949A (en) * 1993-10-12 1994-06-14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producing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fiber
AU696574B2 (en) * 1993-10-12 1998-09-10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An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extract and iso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KR100303909B1 (ko) * 1993-10-12 2001-11-30 캐더린 엘. 해리스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농후한 식물성 단백질 훼이,훼이단백질및이의생산방법
DE69429673T3 (de) * 1993-10-12 2007-08-23 Archer Daniels Midland Co., Decatur Ein aglukon isoflavon angereichertes pflanzenproteinkonzentrat und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885632A (en) * 1993-12-14 1999-03-23 Nichimo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a product from a pulse crop as a starting material and a food containing the product prepared from a pulse crop as a starting material
US5554519A (en) * 1995-08-07 1996-09-10 Fermalogic, Inc. Process of preparing genistei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47B1 (ko) * 1996-10-15 2004-05-14 솔레 엘엘씨 식물성단백질이소플라본결합체의아글루콘으로의2단계전환방법
KR100413025B1 (ko) * 1997-10-20 2004-04-29 솔레 엘엘씨 아글루콘이소플라본강화식물성단백질유장,유장단백질재료,아글루콘이소플라본재료,제니스테인함량이높은재료및디아드제인함량이높은재료및식물성단백질유장으로부터이들을제조하는방법
KR20010007901A (ko) * 1999-10-20 2001-02-05 서주원 귀리 유래의 베타-글루코시다제 및 그를 이용한제니스테인 또는 다이드제인의 제조 방법
KR100714119B1 (ko) * 2000-03-29 2007-05-04 아마노 엔자임 가부시키가이샤 풍미가 개선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함유 식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827698T4 (da) 2008-08-18
EP0827698A3 (en) 1998-04-08
ES2147660T3 (es) 2000-09-16
DE69701842D1 (de) 2000-06-08
ES2147660T5 (es) 2008-10-16
CA2214665A1 (en) 1998-03-06
ATE192284T1 (de) 2000-05-15
DK0827698T3 (da) 2000-08-28
DE69701842T2 (de) 2000-11-09
AU3675597A (en) 1998-03-12
DE69701842T3 (de) 2008-10-23
KR100412116B1 (ko) 2004-04-08
AU718810B2 (en) 2000-04-20
JPH1099089A (ja) 1998-04-21
CN1183475A (zh) 1998-06-03
US5726034A (en) 1998-03-10
CA2214665C (en) 2005-04-12
MX9706806A (es) 1998-03-31
EP0827698A2 (en) 1998-03-11
TW574225B (en) 2004-02-01
RU2152434C1 (ru) 2000-07-10
EP0827698B2 (en) 2008-04-09
PT827698E (pt) 2000-10-31
BR9704589A (pt) 1998-09-15
CN1210407C (zh) 2005-07-13
EP0827698B1 (en) 200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116B1 (ko) 아글루콘이소플라본풍부한식물성단백질추출물과단백질재료및제니스테인과다이드제인함량이높은재료및이들의제조방법
KR100412117B1 (ko) 대두당밀로부터이소플라본을회수하는방법
KR100302695B1 (ko) 아글루콘 이소플라본이 농후한 식물성 단백질 농축물및이의제조방법
US5851792A (en)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whey whey protein material aglucone isoflavone material high genistein content material and high daidzein content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rom a vegetable protein whey
US6083553A (en)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 molasses
RU2180662C2 (ru) Способ превращения изофлавоновых конъюгатов в изофлавоновые агликоны
KR100413025B1 (ko) 아글루콘이소플라본강화식물성단백질유장,유장단백질재료,아글루콘이소플라본재료,제니스테인함량이높은재료및디아드제인함량이높은재료및식물성단백질유장으로부터이들을제조하는방법
JP3609273B2 (ja) アグルコンイソフラボンの豊富な植物タンパク質抽出物及び単離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RU230960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воро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богащенного аглюконизофлавоном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териала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генистеина и даидзеина
AU735303B2 (en) Aglucone isoflavone enriched vegetable protein whey, whey protein material, aglucone isoflavone material, high genistein content material, and high daidzein content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rom a vegetable protein whey
MXPA97006806A (en) Extract of vegetable protein and protein material enriched with aglucon isoflavone, and high content genistein and daidzein materials and procedure to produce myself
MXPA98000653A (en) Serum of vegetable protein enriched with aglucone isoflavone, serum protein material, aglucone isoflavone material, genistein high content and material with high content of daidzein, and procedure to produce them from a vege protein serum
JPH11155592A (ja) アグリコンイソフラボン強化植物性タンパク質乳清、乳清タンパク質物質、アグリコンイソフラボン物質、高ゲニステイン含有物質、及び高ダイドゼイン含有物質、並びにこれらの植物性タンパク質乳清からの製造法
MXPA98003598A (en) An extract and isolated vegetable protein enriched with aglucone isoflavone, and procedure to produ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