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21828U -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828U
KR19980021828U KR2019960035144U KR19960035144U KR19980021828U KR 19980021828 U KR19980021828 U KR 19980021828U KR 2019960035144 U KR2019960035144 U KR 2019960035144U KR 19960035144 U KR19960035144 U KR 19960035144U KR 19980021828 U KR19980021828 U KR 199800218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steering
bracket
impact force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60035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828U/ko
Publication of KR19980021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828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충돌시 스티어링휠방향에서 충격력이 전하여질 때 스티어링컬럼에서 운전자에게 전하여지는 충격량을 줄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한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조향을 위하여 일측에는 조향기어와 연결되는 조인트축을 가지고 타측에는 스티어링휠이 연결되는 통상의 스티어링컬럼(50)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50)의 중도에 마련되어 스티어링칼럼(50)을 차체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브라켓(51)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52)을 스티어링휠방향으로 길게 개방시킨 개방부(53)을 더 형성하여 충격력 전달시 볼트(54)가 볼트체결공(52)을 이탈하면서 개방부(53)에 부딪혀 충격력을 감쇄시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브라켓상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을 연장하여 이탈되는 볼트가 걸림되어 충격력을 흡수토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별도의 부품이 추가됨이 없어 조립성이 우수하여지고, 충격흡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제1도는 종래의 제1기술을 도시한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제2기술이 적용된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제3기술이 적용된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스티어링컬럼
51; 브라켓
52; 볼트체결공
53; 개방부
54; 볼트
본 고안은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충돌시 스티어링휠방향에서 충격력이 전하여질 때 스티어링컬럼에서 운전자에게 전하여지는 충격량을 줄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스티어링컬럼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경우에는 스티어링휠부위에서 스티어링기어와 연결되는 조인트축(1)방향으로 충격력이 전달되어질 경우에는 스티어링컬럼(2)의 중동에 형성한 브라켓(3)이 별도의 충격흡수 수단이 없이 차체와 고정볼트(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충돌이 일어날 경우 발생하는 충격력이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제2도의 경우에는 스티어링칼럼(5)의 중도에 마련되는 브라켓(6)상에 별도의 캡슐(7)을 사출핀(8)으로 브라켓(6)과 고정을 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방향에서 충격력이 전달되면 캡슐(7)의 사출핀(8)이 깨어지게 되고 동시에 캡슐(7)은 충격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도록하여 충격력을 흡수토록 하고 있는 구조이다.
제3도의 경우에는 스티어링컬럼(10)의 브라켓(11)상에 별도의 플레이트(12)를 마련하여 스티어링휠부위에서 충격력이 전달되면 플레이트(12)가 충격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도록하여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한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스티어링컬럼자체가 충격력을 흡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운전자의 신체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혹여 충격흡수장치가 있다 하더라도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스티어링컬럼의 조립공정이 복잡하여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티어링칼럼을 차체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켓상에 충격흡수용 홈을 형성하여 별도의 부품 증가가 없이도 충격을 원만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브라켓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로서, 자동차의 조향을 위하여 일측에는 조향기어와 연결되는 조인트축을 가지고 타측에는 스티어링휠이 연결되는 통상의 스티어링컬럼(50)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50)의 증도에 마련되어 스티어링컬럼(50)을 차체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브라켓(51)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52)을 스티어링휠방향으로 길게 개방시킨 개방부(53)을 더 형성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51)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2)의 개방부(53)에는 체결되는 볼트(54)의 직경(D)보다 작은 폭(D1)을 가지도록 하여 충격력에 의하여 볼트(54)가 이탈될 시 충돌하여 충격력이 감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개방부(53)의 폭(D1)에 대한 길이(L)는 충격량을 조절(감쇄)하고자 하는 량에 따라 변화를 시켜 대응토록 하여 본 고안의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100)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100)의 작용관계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어링컬럼(50)을 통상의 방법으로 장착하여 사용을 하는 도중 스티어링휠방향에서 충격력이 전달되어질 경우에는 브라켓(51)을 차체에 고정시켜주는 볼트(54)가 충격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볼트(54)는 볼트체결공(52)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볼트체결공(5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개방부(53)에 근접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개방부(53)의 폭(D1)이 볼트(54)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탈되는 볼트가 일차로 개방부(53)의 선방에 부딪혀 스티어링휠방향에서 발생한 충격력을 1차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체결공(52)을 이탈한 볼트(54)는 개방부(53)의 길이(L)방향을 지나는 동안 계속적인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되어지는 충격력을 극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브라켓상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을 연장하여 이탈되는 볼트가 걸림되어 충격력을 흡수토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별도의 부품이 추가됨이 없어 조립성이 우수하여지고, 충격흡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자동차의 조향을 위하여 일측에는 조향기어와 연결되는 조인트축을 가지고 타측에는 스티어링휠이 연결되는 통상의 스티어링컬럼(50)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50)의 중도에 마련되어 스티어링칼럼(50)을 차체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브라켓(51)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52)을 스티어링휠방향으로 길게 개방시킨 개방부(53)을 더 형성하여 충격력 전달시 볼트(54)가 볼트체결공(52)을 이탈하면서 개방부(53)에 부딪혀 충격력을 감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1)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52)의 개방부(53)는 체결되는 볼트(54)의 직경(D)보다 작은 폭(D1)을 가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53)의 폭(D1)에 대한 길이(L)는 충격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량에 따라 변화를 시켜 대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2019960035144U 1996-10-21 1996-10-21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Ceased KR199800218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144U KR19980021828U (ko) 1996-10-21 1996-10-21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144U KR19980021828U (ko) 1996-10-21 1996-10-21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828U true KR19980021828U (ko) 1998-07-15

Family

ID=5397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144U Ceased KR19980021828U (ko) 1996-10-21 1996-10-21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82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975A (ko) * 2000-10-06 2002-04-15 밍 루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장치
KR100392655B1 (ko) * 1999-11-23 2003-07-2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용 마운팅 구조
KR101142558B1 (ko) * 2006-08-22 2012-05-0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55B1 (ko) * 1999-11-23 2003-07-2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용 마운팅 구조
KR20020027975A (ko) * 2000-10-06 2002-04-15 밍 루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장치
KR101142558B1 (ko) * 2006-08-22 2012-05-0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2001882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020586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235186Y1 (ko) 자동차프론트필러어퍼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50365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2단 충격 흡수장치
KR970003885Y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브라켓 구조
KR0176055B1 (ko) 에너지 흡수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20015301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324491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10486U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어셈블리
KR200287945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JPH08207786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取付構造
KR960005620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100241715B1 (ko) 하부 조향컬럼의 마운팅브라켓
KR970003884Y1 (ko) 스티어링 컬럼재킷의 지지구조
KR19980027133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19990006671U (ko) 자동차의 무릎보호용 충격흡수구조
KR970006038A (ko) 충돌 흡수식 중간 샤프트
KR20060042357A (ko) 차량의 니플레이트 지지구조
KR19980052992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멤버 결합구조
KR19980038265U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19980013572U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00007180U (ko) 자동차용 범퍼가드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0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2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62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