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21351A -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351A
KR19980021351A KR1019960040168A KR19960040168A KR19980021351A KR 19980021351 A KR19980021351 A KR 19980021351A KR 1019960040168 A KR1019960040168 A KR 1019960040168A KR 19960040168 A KR19960040168 A KR 19960040168A KR 19980021351 A KR19980021351 A KR 1998002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ing weights
crankshaft
balancing
weight ratio
eng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9448B1 (ko
Inventor
김석윤
김병훈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44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4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20Shape of crankshafts or eccentric-shafts having regard to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F16F15/283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for engine crankshafts
    • F16F15/286Adjustable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6기통 엔진의 주종을 이루는 V형 엔진의 크랭크축에 있어서 회전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개선한 밸런싱 웨이트의 배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4개의 저널부와 1번 내지 6번 크랭크핀을 설치하기 위하여 1번 내지 9번 밸런싱 웨이트를 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1번과 9번 밸런싱 웨이트는 대칭상으로 부착됨과 동시 가장 크고 무거운 무게비를 가지며, 상기 2번 및 8번 밸런싱 웨이트는 대칭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1번 및 9번 밸런싱 웨이트 보다는 조금 작고 가벼운 무게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본 발명은 주로 6기통 엔진의 주종을 이루는 V형 엔진의 크랭크축에 있어서 회전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개선한 밸런싱 웨이트의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6기통의 V형 엔진은 실린더가 2분할되어 크랭크축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때문에 크랭크축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밸런싱 웨이트를 부착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V형 엔진의 크랭크축은 도 2에서 보듯이 크랭크축(100)을 베어링캡에 지지하기 위한 저널부(110)가 네곳에 형성되며, 또한 1번 크랭크핀(101)에서 부터 6번 크랭크핀(106)을 설치하기 위하여 통상 1번∼9번 밸런싱 웨이트(111)∼(119)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밸런싱 웨이트들은 무게비는 상기 1번 크랭크핀(101)을 설치하기 위한 1번 및 2번 밸런싱 웨이트(111)(112)와, 상기 6번 크랭크핀(106)을 설치하기 위한 8번 및 9번 밸런싱 웨이트(118)(119)는 가장 길게 형성시킴과 동시 동일한 무게비를 갖도록 배분하며, 그외 3번 내지 7번 밸런싱 웨이트(113)∼117)는 1번,2번 및 8번,9번 밸런싱 웨이트 보다는 작은 크기로 하여 저널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무게비를 갖도록 배분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크랭크축(100) 양쪽의 1번 및 6번 크랭크핀(101)(106)을 붙잡아 주는 1번,2번 및 8번,9번 밸런싱 웨이트가 모두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무게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그외의 3번 내지 7번 밸런싱 웨이트의 무게비를 배분시키는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곧 크랭크축의 진동에 크나큰 영향을 미쳐 엔진 자체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크랭크축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크랭크핀을 설치하기 위한 밸런싱 웨이트의 크기와 무게비를 다르게 배열 및 분하는 구조로서 그외의 밸런싱 웨이트들의 무게비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크랭크축의 진동없이 원활한 회전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4개의 저널부와 1번 내지 6번 크랭크핀을 설치하기 위하여 1번 내지 9번 밸런싱 웨이트를 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1번과 9번 밸런싱 웨이트는 대칭상으로 부착됨과 동시 가장 크고 무거운 무게비를 가지며, 상기 2번 및 8번 밸런싱 웨이트는 대칭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1번 및 9번 밸런싱 웨이트 보다는 조금 작고 가벼운 무게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의 배열구조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의 배열구조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축
21,22,23,24 : 저널부
31,32,33,34,35,36 : 크랭크핀
41,42,43,44,45,46,47,48,49 : 1번∼9번 밸런싱 웨이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랭크축에 부착되는 밸런싱 웨이트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부호 1은 크랭크축을 나타낸다.
상기 크랭크축(1)은 4개의 저널부(21)(22)(23)(24)와 6개로 된 1번 내지 6번 크랭크핀(31)(32)(33)(34)(35)(36)으로 구성되며, 상기 1번 내지 6번 크랭크핀들은 1번 내지 9번 밸런싱 웨이트(41)(42)(43)(44)(45)(46)(47)
(48)(49)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1번 내지 9번 밸런싱 웨이트들의 역할은 크랭크축(1)의 회전밸런스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것이며, 여기서 1번 내지 9번 밸런싱 웨이트들의 무게비는 회전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중 크랭크축(1) 양단의 저널부(21)과(24)쪽에 부착되는 각각 2개씩의 밸런싱 웨이트의 무게비가 회전밸런스를 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그 이외의 밸런싱 웨이트들이 상기한 양쪽의 것들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크랭크축 양단에 부착되는 것보다 회전밸런싱 유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랭크축(1)의 양단에 부착되는 1번,2번 및 8번,9번의 밸런싱 웨이트의 무게비와 그 무게비를 조정하기 위하여 크기를 달리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크랭크축(1) 양쪽 끝에 부착되는 1번과 9번 밸런싱 웨이트(41)과(49)는 가장 큰 크기를 가지며, 비교적 무거운 무게비를 가지도록 하며, 또 상기 1번과 9번 밸란싱 웨이트들은 서로 대칭상태로 부착한다.
그리고 2번과 8번 밸런싱 웨이트(42)와(48)은 상기 1번,9번 밸런싱 웨이트(41)(49) 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됨과 동시 무게비도 1/2 정도 작게 하며, 이역시 대칭상태로 부착한다.
한편, 5번 밸런싱 웨이트(45)는 크랭크축(1)의 센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크랭크축 자체의 밸런스 유지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지만 회전관성력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 무거운 무게비(1번과 9번 밸런스 웨이트의 2배)를 갖도록 하며, 그외의 3번,4번,6번,7번 밸런싱 웨이트들은 종래와 같이 적당한 무게비를 갖도록 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크랭크축의 양단 저널부에 대칭상으로 부착되는 1번,9번 밸런싱 웨이트 및 2번,8번 밸런싱 웨이트의 무게비를 1 : 0.5의 비율로 구성하므로서 그외의 밸런싱 웨이트의 무게비 배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각 저널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에도 부하를 줄일수 있는 효과와 함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 주어 엔진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하는 실용적인 발명이다.

Claims (1)

  1. 4개의 저널부와 1번 내지 6번 크랭크핀을 설치하기 위하여 1번 내지 9번 밸런싱 웨이트를 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1번과 9번 밸런싱 웨이트는 대칭상으로 부착됨과 동시 가장 크고 무거운 무게비를 가지며, 상기 2번 및 8번 밸런싱 웨이트는 대칭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1번 및 9번 밸런싱 웨이트 보다는 조금 작고 가벼운 무게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KR1019960040168A 1996-09-16 1996-09-16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68A KR100219448B1 (ko) 1996-09-16 1996-09-16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68A KR100219448B1 (ko) 1996-09-16 1996-09-16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51A true KR19980021351A (ko) 1998-06-25
KR100219448B1 KR100219448B1 (ko) 1999-09-01

Family

ID=1947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1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448B1 (ko) 1996-09-16 1996-09-16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4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9448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350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851148A3 (en) Balancer apparatus for an engine
US6857411B2 (en) Lubricating oil supply system for the connecting rod bearings of a crankshaft of a multi-cylinder internal-combustion engine
US4489683A (en) Engine with crank mounted balancer for secondary shaking forces
US4833940A (en) Crankshaft for a 90 degree V-type eight-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19448B1 (ko) V형 엔진의 크랭크축 밸런싱 웨이트 구조
US4565169A (en) Balancer structure for three-cylinder engines
US4658777A (en) Balancer structure for three-cylinder engines
CA2099677A1 (en) Crankshaft of V-Type 6-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680387A (en) Crankshaft
KR100212755B1 (ko) V형 6기통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
EP1191203A3 (en) Arrangement for mass balancing a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532374B1 (en) A crankshaft for a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27126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S57107453A (en) Counterweight for crankshaft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40993Y2 (ja) 直列5気筒エンジン用クランク軸
KR100250314B1 (ko) 크랭크축의 밸런싱 시스템
JPH044343A (ja) V型エンジンのクランクシャフト装置
JPS5853452Y2 (ja) 直列多気筒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
JPH0724689Y2 (ja) 多気筒内燃機関用クランク軸
JPH05172187A (ja) パワープラントのバランサ装置
KR960011922B1 (ko) V형 6기통엔진의 크랭크샤프트
JPH0252099B2 (ko)
JP2759933B2 (ja) 直列4気筒エンジンのバランサシャフト
KR960011923B1 (ko) V형 6기통엔진의 크랭크샤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