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19256U - Toilet seat - Google Patents

Toil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256U
KR19980019256U KR2019980005812U KR19980005812U KR19980019256U KR 19980019256 U KR19980019256 U KR 19980019256U KR 2019980005812 U KR2019980005812 U KR 2019980005812U KR 19980005812 U KR19980005812 U KR 19980005812U KR 19980019256 U KR19980019256 U KR 199800192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oilet seat
toilet
heigh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8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태
김해옥
김을복
남명숙
Original Assignee
김용태
김해옥
김을복
남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김해옥, 김을복, 남명숙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2019980005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256U/en
Publication of KR19980019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56U/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좌변기 전측 하부에 안치하여 좌변기 사용시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for restraining the toilet seat to provide all the benefits when using the toilet seat in the lower side of the conventional toilet.

즉 본 고안의 발판(1)은 높이조절 가능하며 수개의 보강리브(9)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상부에 결합되는 답판(3)으로 구성하되, 케이스(2)의 저부에는 끼움결합부(6)를 형성하여 슬립방지용 부재(5)를 결합하며, 답판(3)의 상면부에는 논슬립 요부(10)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2)는 소망하는 높이로 제작된 단일체의 케이스(2) 또는 수개의 높이조절용 케이스(2a,2b,2c,..)로 구성하여 이들 케이스(2a,2b,2c,..)에는 상하 대응부에 결합공(8)과 결합돌기(7)가 각각 형성되어 상하로 선택적으로 다단 끼움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리길이가 짧은 소아 등이 좌변기 사용시 발생하기 쉬운 좌변기의 손괴 및 오손이나 착좌 및 기립상의 불편함 등과 같은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용변을 볼 시에 허벅지 후부가 압박되어 혈행을 저해하는 문제점도 개선할 수 있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등 사용상 제 편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ootres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se (2) having a height adjustable and several reinforcing ribs (9), and the answer plate (3)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 the case (2) The fitting portion 6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to prevent the slip member 5, the non-slip recess 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swer plate 3, and the case 2 is manufactured to a desired height. Composed of a single unit case 2 or several height adjustment cases (2a, 2b, 2c, ...), these cases (2a, 2b, 2c, ...)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8) in the upper and lower corresponding portions The projections 7 are formed so that they can be used by selectively fitting up and down in multiple stages, thereby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handicap damage and fouling, seating, and standing discomfort that children with short legs tend to have when using the toilet. Squeezing the back of the thigh to inhibit blood circulation The viscosity can be improved and will provide usability that can claim benefits such as assisting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Description

좌변기용 발판Toilet seat

본 고안은 좌변기용 발판(a footing for chamber po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통상의 좌변기 전측 하부에 설치하여 주로 다리가 짧은 사용자가 좌변기 사용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ing for chamber po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a normal toilet to allow a user with a short leg to put a foot on a toilet seat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I could see it.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는 용변을 안정적인 착좌상태에서 볼 수 있는 편의성과 용변후 용수에 의해 용변을 깨끗이 청소 수거할 수 있는 이점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Commonly used left toilet is a situation that is applied to most buildings because of the convenience to see the toilet in a stable seating state and the advantage of cleaning and collecting the toilet by the water after the toilet.

이러한 기존 좌변기는 다리가 긴 성인이 착좌한 상태에서 용변을 볼 경우는 큰 무리가 없으나 소아의 경우 발육정도에 따라 좌변기 시트에 착좌시 발바닥이 바닥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시트의 높이가 높아 착좌 할 때와 기립시 자세가 안정적이고 못하고 사용자의 체중이 좌변기 시트의 전측에 편중되어 좌변기의 손괴률이 높음은 물론 자칫 타일 등과 같이 표면이 미끄러운 마감재로 바닥면이 마감처리된 바닥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끄러져 부상을 당할 우려 등도 잔존하고 있었던 것이다.Such existing toilet seats are not overwhelmed when the toilet is seated by an adult with a long leg, but the height of the seat is high enough so that the sole does not touch the floor when seated on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When the standing position is stable and the user's weight is bia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seat, the toilet seat ratio is high. There were also concerns about injury.

그리고 착좌상태에서 발바닥이 바닥면에 닿지 않는 관계로 용변중 허벅지 후부 등이 압박을 받게 되어 혈행을 방해하게 되어 혈액순환에도 장애가 발생되는 등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했던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eated state, the soles of the thighs, such as the back of the stool in the restrained state due to the pressure to interfere with the blood circulation was required for the means to improve the problems such as blood circulation.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좌변기 사용시 소아들도 편리하게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시함과 동시에 신체의 혈행개선 및 자세교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좌변기용 발판을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호환성도 갖는 좌변기용 발판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seat for the toilet which can help improve blood circulation and posture of the body while also providing a means for allowing children to conveniently use the toilet when using the existing toilet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providing a scaffold for a toilet seat having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ork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main part of drawing □

1:발판 2:(높이조절용)케이스(전체)1: Scaffold 2: (for height adjustment) case (all)

2a,2b,2c..:케이스 3:답판2a, 2b, 2c ..: case 3: answer

4:다리부 5:슬립방지용 부재4: leg part 5: slip prevention member

6:끼움결합부 7:결합돌기6: fitting coupling 7: coupling protrusion

8:결합공 9:보강리브8: Joiner 9: Reinforcement rib

10:논슬립 요부10: Non-slip importan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등으로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좌변기용 발판(1)은 합성수지제 등의 재질로 사출성형토록 하여 양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그 형상은 개략 (∞)형 등으로 형성되며 통상의 좌변기 전측에 밀접되게 안치하여 사용자의 양발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발판(1)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용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상부에 끼움식으로 결합안치될 수 있는 답판(3)으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footrest for toilet seat (1)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nthetic resin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mass-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such as a material, the shape is formed in a rough (∞) shape, etc. and placed close to the front of the normal toilet seat so that the user's feet can be placed stably. And also the footrest (1) is composed of one or more height adjustment case (2), and the answer plate (3) that can be combined seated in the upper case (2).

상기 케이스(2)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도 5 참조), 바람직하기로는 약 3개 정도가 적당하며, 도시한 일실시예도 역시 3개로 구성된 경우이다.The case 2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iece (see FIG. 5), but preferably about three are suitable, and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lso composed of three.

케이스(2)중 최하단의 케이스(2a)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4)를 형성하되, 타일 등과 같은 슬립되기 쉬운 바닥면에 케이스(2)가 안치사용될 때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립방지용 부재(5) 등을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케이스(2a)의 저부에는 수개의 끼움결합부(6)를 형성토록 한다.The lowermost case 2a of the case 2 forms a leg portion 4 extending downwards, and prevents slip to prevent slip when the case 2 is settled on a floor that is easy to slip, such as tiles. Several fitting portions 6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se 2a so that the members 5 and the like can be fitted.

그리고 상기 케이스(2a)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 2,3,.. 높이조절용 케이스(2b,2c,..)는 최하단의 높이조절용 케이스(2a) 상부에 역시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7)를 하측단에 가지며, 결합돌기(7)는 하측 케이스(2a)상에 형성되는 수개의 결합공(8)상에 상호 대응끼움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2b)의 하측 외단부는 최하단 케이스(2a)의 외측단에 받침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And the second, third, .... height adjustment case (2b, 2c, ...) that can be selectively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a) can also be fitted to the top of the uppermost height adjustment case (2a). The coupling protrusion 7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7 can be mutually fitted on the coupling holes 8 formed on the lower case 2a, and the lower side of the case 2b. The outer end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outer end of the lowermost case 2a.

이러한 중간 높이조절용 케이스(2b,2c,..)는 전기와 같이 끼움조립식으로 약 2개 정도 구비하되, 이의 높이는 개략 50mm 내외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제 등으로 성형구성할 경우 내구성 보강을 위하여 다수개의 보강리브(9)를 적절히 형성토록 한다.The intermediate height adjusting case (2b, 2c, ..) is provided with about two pieces as a fitting assembly like electricity, the height of which is preferably about 50mm or so, in the case of molding composition made of synthetic resin, etc. for durability reinforcement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9 are appropriately formed.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용 케이스(2)의 최상단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답판(3)은 판상으로 구성되며 역시 최상단의 높이조절용 케이스(2c)에 끼움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에는 케이스(2c)의 결합공(8)에 대응하는 결합돌기(7)를 대응부에 형성하며, 하측 외단부는 최상단 케이스(2c)의 외측단에 받침된다. 그리고 상면부는 사용자가 답판(3)위에 올라섰을 때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슬립 요부(10)를 형성하였다.And the answer plate (3)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case (2) is fitt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coupled to the case (2c) in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also be fitted in the assembly of the top height adjustment case (2c) The engaging projection 7 corresponding to the ball 8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art, and the lower outer end is supported by the outer end of the uppermost case 2c.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formed a non-slip recess 10 to prevent slip when the user climbs on the plate (3).

도면 중에서 미설명부호 11은 좌변기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1 shows a left toilet.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각종 좌변기(11) 전측에 도 4와 같이 밀접되게 안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케이스(2)의 높이가 적정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케이스(2)가 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의 적층 개수를 조절하여 높이를 선택적용하여 사용케 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be settled closely as shown in FIG. 4 on the front of various toilet seats 11,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ser's leg 2, or use the appropriate height or case 2 In the case of several), the number of layers is adjusted to selectively use the height.

즉 도 5와 같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용 케이스(2)를 좌변기(11)의 전측에 안치하고, 이의 상부에는 답판(3)을 끼움결합하여 답판(3)을 좌변기(11) 사용자가 밟고 올라선 후 좌변기(11) 시트에 착좌한 후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이며, 도 1과 같이 수개의 케이스(2a,2b,2c..)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를 사용할 경우에는 최하단 케이스(2a)의 상부에 차기 케이스(2b,2c,..)를 끼움결합식으로 단계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한 후 최상단에 결합된 케이스 상부에 답판(3)을 끼움결합하여 역시 전기와 같이 용변을 볼 시에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대변뿐만 아니라 소변을 볼 때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소아들의 경우 통상의 좌변기 높이가 자신의 키를 감안할 때 높은 경우가 많아 소변을 볼 때 발뒤꿈치를 높이 들어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그 높이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변이 좌변기 시트 등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있으나, 본 고안의 발판(1) 위에 기립하여 소변 등을 볼 경우에는 소아들도 적정높이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소변을 볼 수 있는 것이며,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대소변 등을 볼 경우에는 착좌한 사용자의 발을 적정한 높이, 즉 발바닥 전체가 발판(1)에 안정적으로 접하는 상태이고 허벅지 후부가 압박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용변시에도 혈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자세 또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height-adjusting case (2) consisting of a single body is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seat 11, the upper part of the answer plate (3) by fitting the answer plate (3) the user stepped on the toilet seat 11 After seating on the seat of the toilet seat 11, the toilet can be seen, and when using the case (2) consisting of several cases (2a, 2b, 2c ..)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2a) The next case (2b, 2c, ..) in the step-by-step coupling or separation step by step after inserting the answer plate (3) on the top of the case coupled to the top is also used when viewing the toilet like electricity As it is, it can be used simultaneously when urinating as well as feces. Especially in children, the height of a normal toilet is often high in view of their height, so when urinating, the heel may be urinated by raising the heel. Although it may be scattered, when standing on the footres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rinate, etc., children can urinate in a stable posture at an appropriate height, and when urine is seen in a seated state on a seat The foot of the seated user is at a proper height, that is, the entire sole of the foot stably in contact with the footrest 1 and the thigh is not compressed, so blood circulation is smoothly performed even during stool, and posture can also maintain a correct posture.

그리고 용변을 본 후 기립할 때도 발판(1)에 발바닥 전체가 접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다리길이가 짧은 소아들이 좌변기 시트에서 뛰어내리듯이 일어서다가 바닥면 등에 수분 등이 있을 경우 미끄러지는 폐단 등도 동시에 예방할 수 있어 용변시 상해를 입을 우려 또한 깨끗이 해결되는 것이다.And when standing up after seeing the stool, the entire sole of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footrest (1), so that children with shorter legs stand up as if they jump out of the toilet seat. There is also a risk of injury in toilets will also be cleared.

한편 발판(1) 하단의 슬립방지용 부재(5)는 발판(1)을 사용자가 밟고 올라서거나 내려설 때 슬립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lip prevention member 5 at the bottom of the footrest 1 prevents the problem of slipping when the user steps on or descends the footrest 1 so that it can be stably used without flow during use.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좌변기(11) 전측에 안치하여 좌변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적절히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판(1)을 제공하여 좌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좌변기의 손괴 및 오손이나 다리가 짧은 사용자가 좌변기 사용시 발생되던 착좌 및 기립상의 불편함 등을 깨끗이 일소할 수 있으며, 용변을 볼 시에 허벅지 후부가 압박되어 혈행을 저해하는 문제점도 개선할 수 있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등 사용상 제 편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trest 1 that can be properly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toilet seat user by placing the toilet seat 11 on the front side of a conventional toilet seat. A short user can clean the seating and standing discomfort caused by using the toilet seat, and can als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back of the thigh is compressed and impede blood circulation when supporting the toilet and help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provide my convenience in use.

Claims (2)

통상의 좌변기(11) 전측에 안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좌변기용 발판(1)을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toilet seat 1 for a toilet seat that can be used by being placed in front of a conventional toilet seat 11; 상기 발판(1)은 높이조절 가능하며 수개의 보강리브(9)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상부에 결합되는 답판(3)으로 대분구성되며;The scaffold (1) is composed of a case (2) having a height adjustable and several reinforcing ribs (9) and an answer plate (3)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 상기 케이스(2)의 저부에는 끼움결합부(6)를 형성하여 슬립방지용 부재(5)를 결합하며,In the bottom part of the case 2 to form a fitting portion 6 to engage the slip preventing member 5, 상기 답판(3)의 상면부에는 논슬립 요부(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발판.Stool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recessed portion (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nswer plate (3).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2)는 수개의 높이조절용 케이스(2a,2b,2c,..)로 구성되며, 상하 대응부에 결합공(8)과 결합돌기(7)가 각각 형성되어 상하로 선택적으로 다단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발판.The case 2 is composed of several height-adjusting cases (2a, 2b, 2c, ...), the coupling hole 8 and the engaging projection (7)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orresponding portions, respectively, selectively multi-stage up and down Stool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KR2019980005812U 1998-04-09 1998-04-09 Toilet seat Abandoned KR1998001925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812U KR19980019256U (en) 1998-04-09 1998-04-09 Toilet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812U KR19980019256U (en) 1998-04-09 1998-04-09 Toilet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56U true KR19980019256U (en) 1998-07-06

Family

ID=6950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812U Abandoned KR19980019256U (en) 1998-04-09 1998-04-09 Toilet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256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94Y1 (en) * 2007-07-16 2009-09-10 이승철 Men's Pissing Assistant
KR101106664B1 (en) * 2011-09-07 2012-01-18 안희옥 Rack Conveyor Type Dishwasher
KR101401017B1 (en) * 2012-09-12 2014-05-29 이진희 Heated cooker with adjustable height of grill
KR101699181B1 (en) * 2015-11-18 2017-01-23 이재현 a foothold of height contro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94Y1 (en) * 2007-07-16 2009-09-10 이승철 Men's Pissing Assistant
KR101106664B1 (en) * 2011-09-07 2012-01-18 안희옥 Rack Conveyor Type Dishwasher
KR101401017B1 (en) * 2012-09-12 2014-05-29 이진희 Heated cooker with adjustable height of grill
KR101699181B1 (en) * 2015-11-18 2017-01-23 이재현 a foothold of height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808A (en) Device for supporting a person in a seated position
US8291526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multipurpose toilet training device
US4713846A (en) Foot rest for toilet
US20140123376A1 (en) Footstool
US84594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step stool
EP0413063A1 (en) A toilet bowl
KR101843279B1 (en) Foothold for toilet bowl
US20130067649A1 (en) Apparatus to assist squatting on toilets
US8317268B2 (en) Portable footrest for use when sitting on a toilet
US3496579A (en) Bathtub construction with foot well
KR19980019256U (en) Toilet seat
KR102339376B1 (en) Automatic sanitary scaffolding for urinal
US4998298A (en) Kneeling aid and method of use
KR200494548Y1 (en) Footrest for both toilet seat and toilet seat
KR200211178Y1 (en) Acupressure foothold for chamber-pot
KR101722727B1 (en) Toilet Bowl Having One Knee Support Part
KR102400150B1 (en) Bathtub with toilet seat
KR200490345Y1 (en) Foot rest for toilet seat
WO2003016642A1 (en) Foot elevation system for toilet
CN110602971A (en) Ergonomic squat toilet and related methods
KR200489676Y1 (en) Easy-to-use footrest for toilet seat
EP0864288B1 (en) Toilet with incorporated platform for the feet with height adjusting possibilities
CN217659530U (en) Toilet seat device for children
KR200336528Y1 (en) A stepping block of chamber-pot for bath room
JP2022033629A (en)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4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4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