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18924A -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film and object obtained from a material comprising a po lyurethane and a polyamide and polyether block polymer)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film and object obtained from a material comprising a po lyurethane and a polyamide and polyether block poly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24A
KR19980018924A KR1019970040283A KR19970040283A KR19980018924A KR 19980018924 A KR19980018924 A KR 19980018924A KR 1019970040283 A KR1019970040283 A KR 1019970040283A KR 19970040283 A KR19970040283 A KR 19970040283A KR 19980018924 A KR19980018924 A KR 19980018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lymer
weight
polyamide
polyet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빠뜨리끄 알렉스
앙드레 삐아
용 에드아르트 데
Original Assignee
엘프 아토켐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프 아토켐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엘프 아토켐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1998001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2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4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 C08G81/028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containing polyamid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0Polya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그리고 필름 및 물체의 제조를 위한 상기 물질의 용도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은 불투과성-통기성이며, 물체는 정전기 방지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그리고 상기 필름 및 물체의 제조를 위한 상기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불투과성이나 통기성을 가지고, 본 발명에 의한 물체는 정전기 방지 성질을 갖는다.
EP-A-0,476,963 호에,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을 갖는 중합체에 기초하고 (a)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을 함유하지 않는 블록 중합체, (b) 폴리아미드, (c) 폴리에스테르 또는 (d) 폴리우레탄과 혼합한, 수증기 투과성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모든 예에서는, 첫째 폴리아미드의 예만이 주어지고, 둘째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을 갖는 중합체의 양이 꽤 크며, 그 양은 75 또는 50 중량% 이다. 상기 예로부터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을 갖는 중합체 50 중량% 에 대한 수증기 투과도는 75 중량% 에 대한 투과도의 1/2 임을 알 수 있다.
EP-A-0,442,786 호에서는,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와 같은 연속(sequenced) 폴리에테르아미드를 5 - 45 중량%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압출 변환법이 개시되어 있다. 나타난 예에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블록으로는 PA12 블록을, 그리고 폴리에테르 블록으로는 PEG 또는 PTMG 블록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는, 수득될 수 있는 필름의 특성, 명백하게는 기체(예 : 수증기) 또는 액체 (예 : 물)에 대한 투과도 및/또는 불투과도에 관한 언급은 없다. 추가로 상기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물체의 정전기 방지 특성에 대한 언급도 없다.
EP-A-0,526,858 호에, 폴리우레탄에 기초하고 5 - 20 중량% 의 연속 폴리에테르아미드를 함유하고 있는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필름의 최종 용도는 지지체의 피복이며, 필름은 지지체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하다. 상기에 주어진 예에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블록으로는 PA12 블록을, 그리고 폴리에테르 블록으로는 PTMG 블록을 함유하고 있다. EP-A-0,526,858 호에도 기체(예 : 수증기) 또는 액체 (예 : 물)에 대한 투과도 및/또는 불투과도와 관련된 필름의 특성에 대한 언급은 없다.
상기 문헌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을 가르쳐 주거나 제시해 주지 않는다.
첫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를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정전기 방지성을 갖는 물체 또는 불투과성-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
물질은,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비로,
(a) 50 - 95 % 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 및
(b) 폴리아미드 PA11, PA12 또는 PA11, 12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 5 - 50 % 를 함유한다.
두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제조를 위한 하기를 함유하는 물질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
물질은,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비로,
(a) 50 - 95 % 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 및
(b) 폴리아미드 PA11, PA12 또는 PA11, 12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 5 - 50 % 를 함유한다.
첫 번째 구현예에서, 중합체 (b) 의 폴리에테르 PE 블록은 PEG 블록이다.
두 번째 구현예에서, 중합체 (b) 의 폴리에테르 PE 블록은 PTMG 블록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중합체 (b) 의 폴리아미드 블록은 PA12 블록이다.
한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폴리에테르우레탄이다.
또 다르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다.
상기 물질은,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비로,
(a) 90 - 65 % 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 및
(b) 폴리아미드 PA11, PA12 또는 PA11, 12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 10 - 35 %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은, 상기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 로,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함량의 세 번째 중합체와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에서 좀 더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하 TPU란 약어 사용)이란 용어는 숙련자들 사이의 통상적 관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TPUs 는 폴리머디올(예컨대 1000 - 3500 사이의 분자량을 갖는) 및 경우에 따라서는 디올(또는 일반적으로 300 이하의 낮은 분자량을 갖는 사슬 익스텐더)을 디이소시아네이트 상에서 동시에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기초 공중합체이다. 합성은 하나 또는 두 단계로 일어날 수 있다. 탄성체의 연질 및 경질 부분은 각각 열가소성 중합체 블록을 대표하는 폴리머디올에 의해, 그리고 사슬 익스텐더에 의해 제공된다. 경질 부분은 수소 결합에 의해 배합되고 이웃한 사슬의 디이소시아네이트기는 상호 배합하여 연질 사슬의 결정성 마트릭스를 구성한다. 이것은 부분-결정화된 열가소성 수지의 동등물을 제공한다.
TPUs 는 폴리머디올이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E-카프로락톤) 등의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형 TPUs 와 폴리머디올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글리콜) 형인 TPUs 로 나누어질 수 있다.
폴리머디올은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예에서와 같이 혼합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디페닐렌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1,4-부탄디올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슬 익스텐더이다.
시판되는 제품의 예로는 Elastollan1185 및 1190 (PU-에테르), ElastollanC85 및 C90 (PU-에스테르), 그리고 Desmopan588 및 385 (PU-에테르에스테르) 가 있다. Elastollan계열의 중합체는 BASF 사에서 구입할 수 있고 Desmopan계열의 중합체는 Bayer 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TPUs 혼합물 또한 생각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PA) 블록 및 폴리에테르(PE)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본 발명의 물질에 유용한 특성을 제공하는 구성 성분이다.
상기의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반응성 말단을 가진 폴리아미드 연속부(sequence)와 반응성 말단을 가진 폴리에테르 연속부의 공-다중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며, 반응하는 연속부의 예로는 :
- 디아민 말단을 갖는 폴리아미드 연속부와 디카르복실산 말단을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연속부;
- 디카르복실산 말단을 갖는 폴리아미드 연속부와, 폴리에테르디올로 알려진 지방족 디히드록시 알파-오메가 폴리옥시 알킬렌 연속부의 시아노에틸화 및 수소화 반응에 의해 수득된, 디아민 말단을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연속부;
- 디아민 말단을 갖는 폴리아미드 연속부와 폴리에테르디올 연속부(상기의 특정 경우에 수득된 생성물을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약어로 PEEA)라 한다) 등이 있다.
그러한 중합체의 예는 프랑스 특허 시리즈 제 74 18913 호 및 77 26678 호에, 그리고 미국 특허 제 4,331,786 호, 4,115,475 호, 4,195,015 호, 4,839,441 호, 4,864,014 호, 4,230,838 호 및 4,332,920 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의 내용은 참고로 이 안에 설명되어 있다.
디카르복실산 말단을 갖는 폴리아미드 연속부는 예컨대, 사슬 한정 카르복시 이산(二酸)의 존재하에, 카르복시 이산과 디아민의 화학당량적 결합 또는 락탐이나 아미노카르복시 알파-오메가 산의 축합으로부터 수득된다. 폴리아미드 블록에는 PA11, PA12 또는 PA11, 12 가 있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블록은 PA12 이다. 폴리아미드 연속부 PA 의 평균 분자량 Mn 은 300 - 15,000 사이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 - 5,000 사이이다.
폴리에테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이 있으며, 앞의 두 개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블록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 사슬에 디올의 형태로 포함되는가 아니면 디아민의 형태로 포함되는가에 상관없이, 상기물은 단순하게 PEG 블록 또는 PTMG 블록으로 불려질 것이다. 폴리에테르 연속부의 평균 분자량 Mn 은 100 - 6,000 사이이고, 바람직하게는 300 - 3,000 이다.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또한 무질서하게 분포된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블록의 전구체와 폴리에테르를 동시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 폴리에테르디올, 락탐(또는 상응하는 알파-오메가 아미노산), 및 사슬 한정 이산 사이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무질서하게 반응하고 중합체 사슬을 따라 무질서하게 분포한 다양한 반응물과 함께, 기본적으로 폴리에테르 블록과, 매우 다양한 길이의 폴리아미드 블록을 갖는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PA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예컨대, 메타크레졸을 용매로 하여 25 ℃ 에서 초기 농도 0.8 g/100 ml 로 측정했을 때, 전형적으로 20 - 75 사이, 유리하게는 30 - 70 사이의 쇼어 D 경도와, 0.8 - 2.5 사이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폴리아미드 PA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중량%로, 5 - 85 % 의 PE (및 95 - 15 % 의 PA), 그리고 바람직하게 20 - 80 % 의 PE (및 80 - 20 % 의 PA), 그리고 좀더 바람직하게 30 - 70 % 의 PE (및 70 - 30 % 의 PA)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PA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한 가지 형의 폴리아미드 블록과 한 가지 형의 폴리에테르 블록을 함유한다. 유리하게는, PA12 블록 및 PEG 블록을 갖는 중합체와 PA12 블록 및 PTMG 블록을 갖는 중합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는 Pebax란 상표명으로 Elf Atochem 에서 시판하고 있다.
PA 블록 및 PE 블록을 갖는 상기 중합체는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정상적으로 이해되는 관념에서는 친수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를 아주 소량으로 혼합하더라도, TPUs 에 하기의 성질을 부여하는 놀라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
- 본 발명에 의한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에 불투과성-통기성을; 그리고
- 본 발명에 의한 물질로부터 수득된 물체에 정전기 방지 특성을 부여한다.
TPU 가 다수상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성은 수득된다. 기술 분야에서, 기체 투과도 등의 특성이 다수상에 의해 부여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라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상기의 사실은 놀라운 것이다. 놀라우면서도 기대하지 못했던 상기 결과는, 덜 친수성인 물질과 혼합하여, 여전히 목적하는 특성을 수득하면서 이를 통해 최종 생성물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PEEA 의 양이 증가할 경우(예컨대, 15 - 30 %), 투과도 및 정전기 방지 특성이 더 나아진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마트릭스가 여전히 TPU 마트릭스임을 고려한다면 상기 특성이 조성물 전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할 것이라고 숙련자가 기대한다고 할 때, 이러한 결과는 놀라운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세 번째 중합체란 용어는 말 그대로 중합체로서 또는 상용화제로서 TPU 또는 PEEA 와 혼합될 수 있는 모든 중합체를 의미한다.
세 번째 중합체는 예컨대, 그라프팅 또는 공중합 반응을 하는, 관능화된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 번째 중합체의 예로는 PE, 에틸렌 공중합체가 있으며, 이 때 상기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다양한 단량체와 그라프팅 또는 공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물질은 통상적인 첨가제와 혼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은 불투과성-통기성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필름은 수증기는 투과시키나 물은 투과시키지 않으며, 일반적인 용어로 말해서 기체는 투과시키나 액체는 투과시키지 않는다. 상기 필름은 기술 분야에 공지된 어떠한 방법(예컨대, 압출)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예컨대 5 - 500 μm 사이, 바람직하게는 10 - 250 μm 사이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필름은 다른 필름 및/또는 지지체와 배합될 수 있다.
물체는 표면 비저항이 예컨대, 109- 1011ohms/square 사이에 있음을 의미하는 정전기 방지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정전기 방지성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물체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로는 압출, 주입, 성형 등이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수증기 투과도는 23 ℃ 에서 상대 습도(RH) 85 % 로, DIN 표준 53122 에 따라 측정하였다. 투과도는 m2 및 하루 당 그램 (g/m2/d) 으로 표현한다.
실시예 1 - 3
상기 실시예에서는, BASF 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우레탄(PU-에스테르), 즉 기준 물질인 ElastollanC85 을 사용하였다. 50/50 의 중량비로 존재하며 각각의 평균 분자량이 Mn = 1500 및 Mn = 1500 인 PA12 및 PEG 블록을 가지며, 쇼어 경도가 D40 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PEEA)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컴파운딩에 의해 혼합하고 필름을 형성하도록 주조하였다. 비율은 질량비율이다.
하기의 표 1 에 결과를 나타낸다.
조 성 물 투과도 (g/m2/d) 두께 (μm)
PU-에스테르 100 % 112 105
PU-에스테르 100 % 90 126
PU-에스테르/PEEA 85/15 190 - 200 110
PU-에스테르/PEEA 70/30 260 110
PEEA 100 % 3000 50
실시예 4 - 6
상기 실시예에서는, BASF 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폴리에테르우레탄(PU-에테르), 즉 기준 물질인 Elastollan1885 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 3 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 에 주어진다.
조 성 물 투과도 (g/m2/d) 두께 (μm)
PU-에테르 100 % 120 109
PU-에테르/PEEA 85/15 174 109
PU-에테르/PEEA 70/30 290 100
상기 결과는 PA12 및 PEG 블록을 갖는 중합체 최소량과 다량의 폴리우레탄으로 불투과성-통기성 필름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분명히, 본 발명은 제시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들이 쉽게 접근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그리고 필름 및 물체의 제조를 위한 상기 물질의 용도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은 불투과성-통기성이며, 물체는 정전기 방지 특성을 갖는다.

Claims (19)

  1.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50 - 95 중량% ; 및
    (b) 폴리아미드 PA11, PA12 또는 PA11, 12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 5 - 50 중량% 를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b) 의 폴리에테르 PE 블록이 PEG 블록인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b) 의 폴리에테르 PE 블록이 PTMG 블록인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4. 제 1 항,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폴리에테르우레탄인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5. 제 1 항,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인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6. 제 1 항,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중합체 (b) 의 폴리아미드 블록이 PA12 블록인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비로,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50 - 95 중량%; 및
    (b) 폴리아미드 PA12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G 블록을 갖는 중합체 5 - 50 중량% 를 함유하고 있는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비로,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90 - 65 중량% ; 및
    (b)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 10 - 35 중량% 를 함유하는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 로, 100 % 이하 함량의 세 번째 중합체와 배합되는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10.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50 - 95 중량% ; 및
    (b) 폴리아미드 PA11, PA12 또는 PA11, 12 블록 및 폴리에테르 PE 블록을 갖는 중합체 5 - 50 중량% 를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정전기 방지 물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중합체 (b) 의 폴리에테르 PE 블록이 PEG 블록인 정전기 방지 물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중합체 (b) 의 폴리에테르 PE 블록이 PTMG 블록인 정전기 방지 물체.
  13. 제 10 항,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폴리에테르우레탄인 정전기 방지 물체.
  14. 제 10 항,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인 정전기 방지 물체.
  15. 제 10 항,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중합체 (b) 의 폴리아미드 블록이 PA12 블록인 정전기 방지 물체.
  16. 제 10 항,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비로,
    (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90 - 65 중량%; 및
    (b)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 10 - 35 중량% 를 함유하고 있는 정전기 방지 물체.
  17. 제 10 항,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 로, 100 % 이하 함량의 세 번째 중합체와 배합되는 정전기 방지 물체.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 로, 50 % 이하 함량의 세 번째 중합체와 배합되는 불투과성-통기성 필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물질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 로, 50 % 이하 함량의 세 번째 중합체와 배합되는 정전기 방지 물체.
KR1019970040283A 1996-08-23 1997-08-22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film and object obtained from a material comprising a po lyurethane and a polyamide and polyether block polymer) Ceased KR19980018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0464 1996-08-23
FR9610464A FR2752579B1 (fr) 1996-08-23 1996-08-23 Film et objet obtenus a partir d'un materiau comprenant un polyurethanne et un polymere a blocs polyamide et polyether, l'utilisation de ce dernier pour la fabrication desdits film et obj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24A true KR19980018924A (ko) 1998-06-05

Family

ID=949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283A Ceased KR19980018924A (ko) 1996-08-23 1997-08-22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film and object obtained from a material comprising a po lyurethane and a polyamide and polyether block polym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29506A1 (ko)
JP (1) JPH1087985A (ko)
KR (1) KR19980018924A (ko)
CA (1) CA2212564A1 (ko)
FR (1) FR2752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2717A1 (en) * 2006-07-28 2008-01-30 DSMIP Assets B.V. Toughened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FR3030535B1 (fr) * 2014-12-19 2018-07-27 Arkema France Copolymere comprenant au moins trois blocs : blocs polyamides, blocs peg et autres blocs
JP7110331B2 (ja) * 2017-09-07 2022-08-01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い膨張圧における高いサイズ調整機能を備えた極低温バルー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5648A5 (de) * 1984-12-21 1988-05-31 Inventa Ag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 massen aus polyamid, thermoplastischem polyurethan sowie aktiviertem polyolefin.
KR0147066B1 (ko) * 1988-09-07 1998-08-17 아사구라 다쓰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74541B2 (ja) * 1990-02-13 1997-01-22 エルフ・アトケム・エス・アー 押出によるポリウレタン(tpu)の成形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たtpuをベースとする組成物からなる物品
NZ239723A (en) * 1990-09-18 1993-06-25 Chicopee Blends comprising a hydrophilic block poly (ether-co-amide) and a hydrophobic polymer
DE59202134D1 (de) * 1991-08-06 1995-06-14 Atochem Elf Deutschland Verwendung von Folien aus Polyurethanen zum Verkleben.
EP0657502A1 (en) * 1993-12-13 1995-06-14 Du Pont De Nemours International S.A. Thermoplast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atib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2564A1 (fr) 1998-02-23
FR2752579B1 (fr) 1998-10-30
FR2752579A1 (fr) 1998-02-27
JPH1087985A (ja) 1998-04-07
EP0829506A1 (fr)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3668B2 (ja) 帯電防止ベルト
KR910008319B1 (ko)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KR100280906B1 (ko)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중합체,및 관능화된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물질, 및 그로 부터수득된 필름 및 물품
JP2655777B2 (ja) ブロックポリエーテルアミド類及びその合成方法
US5047495A (en) Polyurethane for flexible fuel containers
KR101646686B1 (ko) 용융 코팅 공정을 위한 tpu 조성물
EP0896601B1 (en) Rigid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rising units of butane diol and a polyethylene glycol
US20090221767A1 (en) Novel use of a copolymer comprising polyamide blocks and polyether blocks originating at least partially from polytrimethylene ether glycol
NL1010367C2 (nl) Waterdampdoorlatende thermoplastische polyurethaanfilm.
JP2004522840A (ja) 2級ヒドロキシル基含有率の高いポリオールから調製される高分子量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
JPS58108219A (ja) 交叉結合した親水性発泡体の製造法
HK1049347A1 (en) Alipha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s and use thereof
US6133375A (en) Vulcanized rubbers modified by thermoplastics
CA2015488C (en) Polyurethan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polyester diol used for its production
JPS625932B2 (ko)
KR101313515B1 (ko)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기재로 한 혼합물
KR19990036205A (ko) 개선된 인장강도를 갖는 굴곡성 열가소성 수지
KR100222454B1 (ko)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
KR19980018924A (ko)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 중합체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수득된 필름 및 물체 (film and object obtained from a material comprising a po lyurethane and a polyamide and polyether block polymer)
IE910466A1 (en) PROCESS FOR CONVERTING TPUs BY EXTRUSION USING MODIFYING¹AGENTS
KR19980071754A (ko) 압출 취입 성형에 적합하고 유연한, 폴리아미드 기재의 조성물
CN1177607A (zh) 由包括聚氨酯及聚酰胺和聚醚嵌段聚合物的物质制得的薄膜和制品
JPS61238816A (ja) ポリウレタン系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EP0633277B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thermoplastic resin molded product containing same
JP2017071765A (ja) 透湿防水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