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8917B1 - 모듈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모듈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8917B1
KR102788917B1 KR1020240156336A KR20240156336A KR102788917B1 KR 102788917 B1 KR102788917 B1 KR 102788917B1 KR 1020240156336 A KR1020240156336 A KR 1020240156336A KR 20240156336 A KR20240156336 A KR 20240156336A KR 102788917 B1 KR102788917 B1 KR 10278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frame
modular
extending
paragrap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5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지비테크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비테크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8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2005/148Railings latticed or netted

Abstract

모듈형 작업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는 제1 작업대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로서, 상기 제1 작업대는 제1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네 개의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층계,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층계 및 상기 제1 층계와 상기 제2 층계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제1 격자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작업대{MODULE TYPE SCAFFOLDING}
본 발명은 모듈형 작업대에 대한 것이다.
비계(Scaffolding)와 워킹타워(Working Tower)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임시 구조물이다. 비계는 건축물의 외벽에서 작업을 지원하며, 강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프레임과 작업대를 조립해 사용한다. 워킹타워는 보통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비계를 지칭하며, 실내나 비교적 낮은 높이에서 작업할 때 사용된다. 다만, 비계의 경우, 높이가 높아질수록 안전성이 낮아지고 설치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워킹 타워도 안전 문제가 있으며, 작업 하중이 높아지면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 작업자가 안전하면서도 설치와 분해가 편하고, 높은 작업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작업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작업대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중 하나의 예가 한국등록특허 10-1410666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성이 향상된 모듈형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와 분해가 편리한 모듈형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가 편하게 자재 등을 운반할 수 있는 모듈형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는
제1 작업대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로서, 상기 제1 작업대는 제1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네 개의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층계,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타측에서 제1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층계 및 상기 제1 층계와 상기 제2 층계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제1 격자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작업대 상에 적층되는 제2 작업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업대는
제2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네 개의 제2 지지 기둥;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층계;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타측에서 제1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층계; 및
상기 제3 층계와 상기 제4 층계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제2 격자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기둥 상부에 상기 제1 지지 기둥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기둥 하단에 상기 돌출 결합부와 대응되는 함몰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가 상기 함몰 결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 개의 제1 지지 기둥 중 하나의 제1 지지 기둥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제1 지지 기둥의 하단을 잇는 하단 프레임, 중단을 잇는 중단 프레임 및 상단을 잇는 상단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과 상기 중단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프레임은 가로로 연장되는 가로 지지부, 세로로 연장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가로 지지부와 상기 세로 지지부의 단부를 잇는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따기부와 상기 제1 지지 기둥 사이에 결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상기 함몰 결합부를 관통하는 결합 볼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 볼트의 일부는 상기 결합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층계의 상단에는 제1 발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3 층계의 하단에는 제2 발판이 배치되되, 상기 제1 발판과 상기 제2 발판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격자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격자 프레임의 하단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작업대 상에 배치되는 제3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작업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층계 및 상기 제5 층계의 상단에 배치되는 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층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작업자의 안전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재 등 운반이 편리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대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을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의 "아래"로 기술된 구성은 다른 구성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구성은 시점에 따라 다른 구성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1000)는 제1 작업대(100), 제2 작업대(200) 및 제3 작업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업대(100), 제2 작업대(200) 및 제3 작업대(3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작업대(100)는 첫 번째 층에 배치되고, 제3 작업대(300)는 꼭대기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작업대(100)와 제3 작업대(30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작업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작업대(200)는 생략되고, 제3 작업대(300)와 제1 작업대(100)만을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도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작업대(100)를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 제1 작업대(100)는 네 개의 지지 기둥(600), 제1 층계(510), 제2 층계(520) 및 격자 프레임(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기둥(600)은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 기둥(600)은 강철재로 형성되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기둥(600)은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둥(600)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 개의 지지 기둥(600)은 사각형의 네 꼭지점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네 개의 지지 기둥(600)에 의해 제1 작업대(100)는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네 개의 지지 기둥(600)에 의해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작업대(100)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사각형은 경우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기둥(600) 상단에는 지지 기둥(6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 결합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지지 기둥(600)의 하단에는 돌출 결합부(610)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 결합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결합부(610)와 함몰 결합부(620)가 결합되는 방식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는 복수의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계(510)는 하단에 제1 발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판(410)은 제1 층계(510)의 시작 지점으로서 작업자는 제1 발판(410)을 디딤으로써 제1 층계(510)에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발판(410) 상면의 넓이는 제1 층계(510)를 이루는 복수의 계단 상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제1 발판(410)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작업자는 계단에 오르기 전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한 후 계단에 오를 수 있다.
제1 층계(510)는 제1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는 제1 작업대(100)의 일측면과 접하고 타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작업대(100) 내에서 제1 층계(510)의 일측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계(510)는 제1 작업대(100)의 하단부터 중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층계(520)은 제2 발판(420)은 제1 작업대(100)의 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의 마지막 계단은 제2 발판(420)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층계(510)의 마지막 계단은 제2 발판(420)과 서로 이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의 마지막 계단과 제2 발판(420)은 동일한 레벨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의 마지막 계단과 제2 발판(420)은 단차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작업자가 자연스럽게 계단을 오르듯이 제1 층계(510)의 마지막 계단에서 제2 발판(4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발판(420)은 제1 발판(410)과 마찬가지로 제2 층계(520)의 시작 지점이 될 수 있다.
제2 발판(420) 상면의 넓이는 제2 층계(520)를 이루는 계단 상면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발판(420)(제1 작업대(100)의 중단 부근)에서 잠시 쉬거나 자재를 정비할 수 있다.
제2 층계(520)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경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층계(510)의 연장 방향과 제2 층계(520)의 연장 방향이 갈 지(之)자 형상이 될 수 있다.
제2 층계(520)는 제1 작업대(100)의 중단부터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층계(520)는 복수의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계(520)는 제1 작업대(100)의 타측면과 접하고 일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작업대(100) 내에서 제2 층계(520)의 타측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층계(510)와 제2 층계(520)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층계(510)와 제1 작업대(10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 공간 상에 제2 층계(5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층계(520)의 상단에는 제3 발판(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발판(430)은 후술하는 제2 작업대(200)가 제1 작업대(100) 상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작업대(100)의 제1 발판(410)과 동일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 그 경우, 제3 발판(430)과 제1 발판(410)이 합쳐져 작업자에게 충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작업대(100)에 계단이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를 운반할 수도 있다. 또한, 계단의 방향을 다르게 형성하여 작업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에 발판을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을 정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와 제2 층계(520) 사이에는 격자 프레임(9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격자 프레임(950)은 강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층계(510)와 제2 층계(5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격자 프레임(950)은 복수의 세로바(910)와 복수의 가로바(9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격자 프레임(950)은 복수의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는 세로바(910)와 가로바(920)가 구획하는 사각형의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격자 프레임(950)이 3x3 배열의 격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격자의 배열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격자 프레임(900)의 세로바(910)는 제1 작업대(100)의 하단부터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격자 프레임(900)의 가로바(92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평면상에서 제1 발판(410)의 일단에서부터 제2 발판(420)의 일단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격자 프레임(900)의 일측면은 제1 층계(510)의 측면과 접촉하고, 타측면은 제2 층계(52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격자 프레임(900)은 제1 층계(510) 및 제2 층계(520)와 결합될 수 있다.
격자 프레임(900)의 세로바(910)와 가로바(920)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작업자가 계단을 오를 때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로바(920)는 작업자의 이동 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격자 프레임(900)은 제1 층계(510) 및 제2 층계(520)와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인 계단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자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의 바람을 통과시켜 작업대가 흔들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작업대(100)는 네 개의 지지 기둥(600)에 의해 네 개의 측면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측면 상에는 하단 프레임(710), 중단 프레임(720) 및 상단 프레임(73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단 프레임(71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지지 기둥(600)과 인접하는 다른 지지 기둥(600)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하단 프레임(710)은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기둥(6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단 프레임(710)은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단 프레임(72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지지 기둥(600)과 인접하는 다른 지지 기둥(600)의 중단을 연결할 수 있다. 중단 프레임(720)은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기둥(6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단 프레임(720)은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단 프레임(720)제1 층계(510)와 제2 층계(520)를 구분하는 경계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단 프레임(7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지지 기둥(600)과 인접하는 다른 지지 기둥(600)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단 프레임(730)은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기둥(6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프레임(730)은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단 프레임(710)과 중단 프레임(720) 사이에는 측면 프레임(800)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단 프레임(720)과 상단 프레임(730) 사이에도 측면 프레임(800)이 배치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800)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5가 참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측면 프레임(800)은 가로 지지부(810), 세로 지지부(820), 연결 로드(840) 및 모따기부(830)를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800)은 강성 철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 프레임(800) 강철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프레임(800)의 테두리는 가로 지지부(810), 모따기부(830) 및 세로 지지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지지부(810)는 가로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세로 지지부(820)는 세로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따기부(830)은 일정 각도 기울어져 연장되며, 인접하는 가로 지지부(810)의 단부와 세로 지지부(820)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로 지지부(810), 세로 지지부(820) 및 모따기부(830)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사후에 체결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 구성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세로 지지부(820)는 지지 기둥(600)과 접촉하여 지지 기둥(600)의 수직 지지력을 보완하며, 기울어진 모따기부(830)는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 기둥(600)을 밀어 지지 기둥(600)의 수평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다.
모따기부(830)가 경사지게 구성됨에 따라 모따기부(830)와 지지 기둥(600) 사이에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편의상 이 공간의 명칭을 결합 공간(850)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측면 프레임(800)의 네 개의 모따기부(830)와 지지 기둥(600) 사이에 네 개의 결합 공간(850)이 구획될 수 있다. (도 5의 점선 부분 참조)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하나의 작업대와 다른 작업대는 서로 볼트 결합되는데, 충분한 하중을 견디고, 작업대를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 대형 볼트를 사용하게 된다. 즉, 볼트 또는 너트는 결합 상태에서 지지 기둥(600)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될 수밖에 없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볼트 또는 너트가 결합 공간에 수납됨으로써 조립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800)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측면 프레임(800)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로드(8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로드(840)는 두 개의 가로 지지부(8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측면 프레임(800)의 형상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로드(840)는 두 개의 세로 지지부(820)를 연결하도록 가로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격자를 구성하며 가로 및/또는 세로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로드(840)는 측면 프레임(8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측면에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8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단 프레임(710)과 중단 프레임(720)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고, 중단 프레임(720)과 상단 프레임(730) 사이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 배치되는 측면 프레임(800)의 하단 가로 지지부(810)는 하단 프레임(710)과 결합되고, 상단 가로 지지부(820)는 중단 프레임(720)과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에 배치되는 측면 프레임(800)의 하단 가로 지지부(810)는 중단 프레임(720)과 체결되고, 상단 가로 지지부(820)는 상단 프레임(730)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단 프레임이 생략되고, 측면에 하나의 측면 프레임(800)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작업대(100)의 세 개의 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작업대(100)의 하나의 측면은 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면(110)에는 하단 프레임(710), 중단 프레임(720), 측면 프레임(800)이 생략될 수 있다. 즉, 개구면(110)에는 상단 프레임(730)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면(110)은 제1 발판(410)이 배치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개구면(110)을 통해 제1 발판(410)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작업대(200)를 도시한다.
제2 작업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업대(100)와 적층될 수 있다. 제2 작업대(200)는 제1 작업대(100)에 포함되는 개구면(110)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작업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작업대(200)의 경우 제1 작업대(100)의 개구면(110) 대신에 다른 세 개의 측면과 같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단 프레임(710), 중단 프레임(720) 및 상단 프레임(730)이 배치되고, 각 프레임 사이사이에 측면 프레임(800)이 개재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작업대(100)와 제2 작업대(200)가 적층되면, 제1 작업대(100)의 제3 발판(430)은 제2 작업대(200)의 제1 발판(4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발판의 상면은 동일한 레벨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발판이 단차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발판이 동일한 레벨로 결합되는 경우 작업자가 충분한 작업 공간 및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작업대(100)와 제2 작업대(200)가 적층되는 경우, 제1 작업대(100)의 격자 프레임(900)의 상단과 제2 작업대(200) 격자 프레임(900) 하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자는 볼트 결합되거나 다른 구조물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적층된 상태에서 각 작업대의 격자 프레임이 결합되는 경우, 작업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내부에서 격자 프레임끼리 결합됨으로써, 작업대가 흔들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작업대(100) 위에 n개의 제2 작업대(200)가 적층될 수 있다. 하나의 제2 작업대(200) 위에 다른 제2 작업대(200)가 적층되는 경우에도, 결합의 양상은 앞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조립대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 측면 프레임(800)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3 작업대(300)의 상단과 중단 사이에는 출구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출구부(310)는 하나의 측면에서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층된 작업대는 건물이나 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출구부(310)가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대에서 건물이나 구조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출구부(310)의 바닥에는 출구 발판(320)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 발판(320)은 개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작업대(300)는 제1 층계(510)는 포함하지만, 제2 층계(52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층계(510)의 상단에는 중간 발판(440)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발판(440)은 출구 발판(320)과 연결되며, 동일 레벨 상에 형성되거나, 단차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제3 작업대(300)의 나머지 측면은 앞서 설명한 제1 작업대(100)의 측면 구조 또는 제2 작업대(200)의 측면 구조 중 선택된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호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1 작업대(100)의 측면 구조도 제2 작업대(200)의 측면 구조 또는 제3 작업대(300)의 측면 구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2 작업대(200)의 측면 구조도 제1 작업대(100)의 측면 구조 또는 제3 작업대(300)의 측면 구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3 작업대(300)의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꼭대기층을 구성하므로, 제1 작업대(100) 및 제2 작업대(200)와 달리 지지 기둥(600) 상단에 돌출 결합부(61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하단에 함몰 결합부(620)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작업대(300)는 격자 프레임(900)과 연결되는 중간 격자 프레임(930)과 격자 지지바(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격자 프레임(930)은 중간 발판(440)으로부터 제3 작업대(30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중간 격자 프레임(930)은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격자 프레임(930)은 2x2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격자의 크기 및 배열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 격자 프레임(930)은 작업자가 중간 발판(440)에서 제1 층계(510)와 제3 작업대(300)의 측면 중 하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작업대(300)는 복수의 격자 지지바(940)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지지바(940)는 격자 프레임(900)의 상단으로부터 제3 작업대(300)의 상단 프레임(7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격자 지지바(940)는 격자 프레임(900)의 상단 가로바(9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총 4개의 격자 지지바(940)가 격자 프레임(900)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다른 상단 프레임(730)과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격자 지지바(940)의 수나 연장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업대(200)상에는 제3 작업대(300)가 적층될 수 있다. 제2 작업대(200)상에 제3 작업대(300)가 적층되면, 제2 작업대(200)의 제3 발판(440)은 제3 작업대(300)의 제1 발판(410)과 동일 레벨 상에서 결합되거나, 단차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적층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작업대(100), 제2 작업대(200)의 지지 기둥(600) 상단에는 돌출 결합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결합부(610)는 지지 기둥(600)으로부터 지지 기둥(600)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 결합부(610)는 지지 기둥(60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좌우폭을 가질 수 있다. 돌출 결합부(61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돌출 결합부(610)에 제1 관통홀(611)와 제2 관통홀(612)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관통홀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 결합부(610)의 상부에는 위로 올라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6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 결합부(610)의 상부에 경사부(613)가 형성되는 경우, 작업대를 결합할 때, 돌출 결합부(610)와 대응되는 함몰 결합부(620)가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작업대(200) 및/또는 제3 작업대(300) 지지 기둥(600)의 하단에는 돌출 결합부(610)에 대응되는 함몰 결합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 결합부(620)는 지지 기둥(600)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돌출 결합부(610)를 수납할 수 있다.
즉, 돌출 결합부(610)는 함몰 결합부(620)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적층되는 작업대의 지지 기둥(600) 상단과 하단이 접촉할 수 있다.
지지 기둥(60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지지 기둥(600)에 제1 결합홀(621) 및 제2 결합홀(622)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결합홀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대가 적층된 상태에서, 즉, 돌출 결합부(610)가 함몰 결합부(620)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홀과 관통홀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홀(621)과 제1 관통홀(611)이 중첩되고, 제2 결합홀(622)과 제2 관통홀(612)이 중첩될 수 있다.
중첩된 결합홀 및 관통홀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돌출 결합부(610)와 함몰 결합부(620)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래층 작업대와 위층 작업대의 지지 기둥이 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볼트 결합에 의해 볼트 또는 너트가 지지 기둥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돌출된 결합 볼트(650) 및/또는 결합 너트(651)는 앞서 설명한 결합 공간(850)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기둥(600)끼리 강력하게 결합되는 경우, 모듈형 작업대의 작업 하중과 안정성이 큰 폭으로 높아질 수 있다. 즉, 500kg 이상 지지할 수 있는 철강 구조물로서, 무게가 무거운 자재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강성 철골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의 바람이나 충격에도 전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를 한 번에 옮기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단위별로 운반하고 작업 위치에서 조립해서 사용하게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지게차나 기중기 등 상하 이동이 가능한 기계를 사용하여 상부에서 아래로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조립.분해 및 이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단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져 고층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기존 사다리 타입의 경우, 인력은 이동가능하지만, 자재는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인력뿐만 아니라 자재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기존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는 연결 층계(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층계(380)는 제3 작업대(300)의 출구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층계(380)는 출구부(310)와 이어지며, 출구부(310)로부터 상향 연장된 계단 또는 하향 연장된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하향 연장된 계단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층계는 제1 층계와 같은 방향 또는 제2 층계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건물이나 건설 현장에서 출구부(310)와 건물 진입 공간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 이와 같이 연결 층계(380)를 형성함으로써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작업대
200: 제2 작업대
300: 제3 작업대
510: 제1 층계
520: 제2 층계
900: 격자 프레임

Claims (10)

  1. 제1 작업대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로서,
    상기 제1 작업대는
    제1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네 개의 제1 지지 기둥;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층계;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층계; 및
    상기 제1 층계와 상기 제2 층계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제1 격자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층계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발판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층계 상단에 배치되는 제2 발판을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대 상에 적층되는 제2 작업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작업대는
    제2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네 개의 제2 지지 기둥;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층계;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층계; 및
    상기 제3 층계와 상기 제4 층계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제2 격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과 상기 제2 발판은 중력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는 모듈형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제1 지지 기둥 중 하나의 제1 지지 기둥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제1 지지 기둥의 하단을 잇는 하단 프레임, 중단을 잇는 중단 프레임 및 상단을 잇는 상단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네 개의 제1 지지 기둥 각각을 잇는 제1 상단 프레임, 제2 상단 프레임, 제3 상단 프레임 및 제4 상단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판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상단 프레임 및 상기 제2 상단 프레임과 접촉하고, 상기 제3 상단 프레임 및 상기 제4 상단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는 모듈형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프레임과 상기 중단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프레임은 가로로 연장되는 가로 지지부, 세로로 연장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가로 지지부와 상기 세로 지지부의 단부를 잇는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기둥 상부에 상기 제1 지지 기둥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기둥 하단에 상기 돌출 결합부와 대응되는 함몰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가 상기 함몰 결합부에 삽입되되,
    상기 모따기부와 상기 제1 지지 기둥 사이에 결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상기 함몰 결합부를 관통하는 결합 볼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 볼트의 일부는 상기 결합 공간에 수납되는 모듈형 작업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계의 하단에는 제3 발판이 배치되되, 상기 제2 발판과 상기 제3 발판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모듈형 작업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자 프레임과 상기 제2 격자 프레임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자 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가로바와 상기 제2 격자 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가로바가 서로 체결되는 모듈형 작업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대 상에 배치되는 제3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작업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층계 및 상기 제5 층계의 상단에 배치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층계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KR1020240156336A 2024-11-06 모듈형 작업대 Active KR102788917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8917B1 true KR102788917B1 (ko) 2025-03-28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377B1 (ko) * 2022-02-17 2022-06-16 임진수 모듈형 작업대 및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377B1 (ko) * 2022-02-17 2022-06-16 임진수 모듈형 작업대 및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0341A1 (en) Scaffolding
US10738488B2 (en) Lift truck operated stacking formwork tabl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289048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JP7362938B2 (ja) 保管システムのためのグリッドフレームワーク構造
CN115427330A (zh) 网格框架结构
KR102788917B1 (ko) 모듈형 작업대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KR20190075583A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KR200187693Y1 (ko) 조립식 가설대
KR101599139B1 (ko) 비계
CN211736515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模块化梯笼
CN216516833U (zh) 一种高耸建筑施工框架式梯笼
JP5406335B2 (ja) パイプベント構造
CN213837623U (zh) 一种多用途组合式脚手架
JP5100100B2 (ja) 作業台の組上げ方法
JPH0672487B2 (ja) モジュール式足場プラットホームとこれに用いるトラスフレーム構成要素
JP2997449B1 (ja) 鉄筋組立作業足場とこの作業足場を用いた鉄筋構造物の施工方法
JP2024058715A (ja) 四角支柱の連結構造及び支保工
CA2241053C (en) Scaffolding structure
JP5071697B1 (ja) パイプベント構造
CA2657861C (en) Stackable scaffolding frames
CN111255211A (zh) 一种定型化可周转式施工电梯钢平台
WO1994005868A1 (en) Gravitationally locked structural joint
JP2000129784A (ja) ドーム屋根及びドーム屋根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