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7497B1 -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7497B1
KR102787497B1 KR1020220079204A KR20220079204A KR102787497B1 KR 102787497 B1 KR102787497 B1 KR 102787497B1 KR 1020220079204 A KR1020220079204 A KR 1020220079204A KR 20220079204 A KR20220079204 A KR 20220079204A KR 102787497 B1 KR102787497 B1 KR 10278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signal
remote
remote control
valid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03765A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7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7497B1/en
Priority to PCT/KR2023/006864 priority patent/WO2023224432A1/en
Publication of KR2024000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74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using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명령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command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controlled driving state,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f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linked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through a network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while operating in a remote-controlled mode, a step of measuring a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a step of performing control signal validity verification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a step of performing exception processing based on a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validity verification.

Description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에서 원격 제어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 center in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 control driving state.

자율 주행 차량이란 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작없이 차량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차량을 말한다. 또한,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속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utonomous vehicles are vehicles that can drive themselve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driver or passenger. In addition, as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s, high-speed, large-capacity data transmission becomes possible, allowing for more diverse services to be provid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현재 자율 주행 차량은 기술적으로도 아직 폭우나 폭설, 짙은 안개가 있는 환경이나 돌발 상황에서 문제 없이 주행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구글이 네바다주에서 무인 자동차로 면허를 받았을 때 검사관은 여러 가지 기상 상황이나 비포장 도로 같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Current autonomous vehicles are not yet technically capable of operating in environments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 thick fog, or unexpected situations. When Google received a license for a self-driving car in Nevada, the inspector pointed out problems with the vehicle’s ability to adapt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and environments such as unpaved roads.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원격지에서 자율 주행 차량의 주행 지점에 대한 정보, 자율 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 자율 주행 차량에 의해 수집된 각종 센싱 정보 등을 기초로 자율 주행 차량을 원격으로 상시 감시하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원격 제어 자율 주행 제어 시스템, 즉 원격 주행(teleoperated driving, ToD)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교통 수단이나 서비스가 보급 및 확대됨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의 원격 제어는 매우 중요한 교통의 요소가 될 전망이다.To complement these problems of autonomous vehicles,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on a remote control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that is, teleoperated driving (ToD), which can remotely monitor and operate autonomous vehicles at all time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utonomous vehicle's driving point, location information, and various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onomous vehicle from a remote location. As various transportation methods and services become popular and expanded,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vehicles is expected to become a very important transportation element.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한 원격 제어를 위해서는 제어 명령의 신뢰성 및 유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For safe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vehicl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trol commands must be guaranteed.

원격 제어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이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 지연되어 수신되는 경우, 차량 제어가 지연되어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If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is received with a delay by the vehicle being remotely controlled, vehicle control may be delayed, increasing the risk of an accident.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센터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예, 10ms)으로 스티어링 휠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고 가정하자. 원격 제어 센터 내부 시스템상에서의 문제로 인해 제어 신호의 전송 지연 또는 전송 주기 오차가 발생되거나 네트워크상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한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의 전송 지연이 발생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회전 궤적은 원격지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a remote control center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steering wheel control at regular time intervals (e.g., 10 ms). If a transmission delay or transmission cycle error of the control signal occurs due to a problem in the internal system of the remote control center, or a transmission delay of the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occurs due to various problems that occur momentarily in the network, as illustrated in Fig. 1, the vehicle's rotation trajectory may unfol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intended by the remote driver.

물론 원격지 운전자가 원격 주행 화면을 모니터링하여 상술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원격지 운전 장치의 스티어링 휠을 조정할 수 있지만, 이는 원격지 운전자의 원격 제어 피로도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고 작은 제어 신호 지연 현상으로 인해 차량이 매우 불안하게 제어되므로 승차감이 떨어지고 각종 안전 문제가 발생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Of course, the remote driver can monitor the remote driving screen to recognize the above-mentioned problem situation and adjust the steering wheel of the remote driving device, but this can not only increase the remote control fatigue of the remote driver, but also cause the vehicle to be controlled very unstably due to large and small control signal delays, which can reduce the ride comfort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various safety problems occurring.

한국 특허공개 제10-2018-0052673호(2018.05.18)는 자율 주행 차량 제어를 위한 시스템 지연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율 주행 시스템 내부의 다양한 지연을 측정하고, 측정된 지연에 기초하여 추정된 전체 시스템 지연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2673 (May 18, 2018) relates to a method for estimating system delay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nd discloses a technology for measuring various delays within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generating control data based on an estimated overall system delay based on the measured delays.

한국 특허공개 제10-2021-0010994호(2021.01.26)에는 차량이 자동 운전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운전 시스템은 자율 모드와 메뉴얼 모드 중 어느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제1 시그널을 차량 플랫폼에 전송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제 2 시그널을 취득한 경우 제1 시그널이 자율 모드이고, 제2 시그널이 정지 신호인 경우에만 제1 시그널에 따라 시프트 변경을 실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10994 (January 26, 2021) relates to a vehicle platform that controls the vehicle in conjunction with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according to commands from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In particular,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transmits a first signal indicating whether it is in an autonomous mode or a manual mode to the vehicle platform, and when a second signal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is acquired, a method is disclosed in which a shift chang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only when the first signal indicates an autonomous mode and the second signal is a stop signal.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55596호(2020.05.21)에는 차량 단말 장치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입력 영상들을 획득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에 전송하면, 원격 제어 장치가 수신된 영상을 기초로 패킹 영상을 구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5596 (May 21, 2020)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a vehicle terminal device acquires multiple input images from multiple cameras and transmits them to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 network,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configures a packing image based on the received images.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2625(2018.11.27)에는 무인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생성된 환경 정보 지도 및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통제 장치가 무인 차량이 추종할 경로점 및 가감속 명령을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625 (2018.11.27)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a remote control device generates a path point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commands for an unmanned vehicle to follow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maps and image information generated from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unmanned vehicle.

본 개시의 목적은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controlled driving state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for.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원격 제어 센터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한 제어 신호 지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지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경고 알람 및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원격 제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controlled driving state,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for, which can ensure the stability of the remote-controlled vehicle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network delay as well as control signal delay due to an internal problem of a remote control center, and performing a warning alarm and switching to an autonomous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 신호 지연 및 네트워크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 내부에 독립적으로 장착되는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ntrol signal validation device independently mounted inside a vehicle, which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validating at least one of a control signal delay and a network dela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that is linked to a remote control center via a networ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while operating in a remote control mode, a step of measuring a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a step of performing the control signal validity verification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a step of performing exception processing based on a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validity verification.

실시 예로, 상기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장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차량 장치 타입에 기반하여 제1 임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의 상기 제1 임계 조건 만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ep of performing the validation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a vehicle device ty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step of setting a first threshold condition based on the identified vehicle device type,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satisfies the first threshold condition.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원격 제어 센터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유효성 검증을 위한 제2 임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네트워크 지연 시간과 상기 제2 임계 조건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판단 결과에 더 기반하여 상기 예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establishing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based on entering the remote control mode, a step of establishing a second threshold condition for verifying network validity, a step of measuring a network delay time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and a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network delay time with the second threshold condition to determine network delay validity, and the exception handling can be performed further based on a result of the network delay validity determination.

실시 예로, 상기 제1 임계 조건 및 상기 제2 임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 주행 상태 및 외부 환경 변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eshold condition and the second threshold condition may be dynamically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a vehicle driving state and an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주행 상태는 현재 주행 속도 및 현재 주행중인 도로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vehicle driving st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driving speed and a current road type.

실시 예로, 상기 외부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및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eather, season, and time zone.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장치 타입은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 램프, 멀티미디어, 공조 장치, 와이퍼, 열선, 도어록, 썬루프 개폐 장치 및 창문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ehicle device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a brak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lamp, multimedia, an air conditioning device, a wiper, a heating element, a door lock, a sunroof open/close device, and a window control device.

실시 예로, 상기 제1 내지 2 임계 조건은 차량에 구비된 저장소에 데이터베이스 형태 또는 파일 형태로 유지되어 관리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ritical conditions may be maintained and managed in a database or file format in a storage provided in the vehicle.

실시 예로, 상기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TCP 기반의 핑 신호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may be a TCP-based ping signal.

실시 예로, 상기 예외 처리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동작과 상기 원격 제어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작과 응급 주차를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ception handli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tion of outputting a warning alarm, an action of switching from the remote control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an action of controlling emergency parking.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측정 결과 및 상기 네트워크 지연 측정 결과를 로깅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logging and storing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measurement result and the network delay measurement result.

실시 예로, 상기 제어 신호는 스트림 형태로 주기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은 동일 차량 장치 타입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두 제어 신호의 수신 시간 차이 값에 기반하여 측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periodically in the form of a stream, and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can be measured based on a difference value in reception times between two control signals received consecutively corresponding to the same vehicle device type.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어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validation operations on a control signal by interacting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operations may include the steps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while operating in a remote control mode, measuring a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performing the control signal validation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performing exception handling based on a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validation.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차량은 원격 주행을 제어하는 원격 주행 제어기와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자율 주행 제어기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가 상기 원격 주행 제어기 및 상기 자율 주행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어 예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vehicle interoperating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through a network includes a remote driv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remote driving,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a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while operating in a remote control mode, and a validation device for measuring a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and performing validation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wherein a validation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and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so that excep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실시 예로, 상기 유효성 검증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장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량 장치 타입에 기반하여 제1 임계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의 상기 제1 임계 조건 만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validation device may identify a vehicle device ty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et a first threshold condition based on the identified vehicle device type, and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satisfies the first threshold condition.

실시 예로, 상기 유효성 검증 장치가 상기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원격 제어 센터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유효성 검증을 위한 제2 임계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네트워크 지연 시간과 상기 제2 임계 조건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을 판단하되, 상기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판단 결과에 더 기반하여 상기 예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based on the fact that the validation device has entered the remote control mode,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is established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a second threshold condition for network validation is established, a network delay time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is measured, and the network delay validity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network delay time with the second threshold condition, wherein the exception handling may be performed further based on the network delay validity determination result.

실시 예로, 상기 제1 임계 조건 및 상기 제2 임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 주행 상태 및 외부 환경 변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eshold condition and the second threshold condition may be dynamically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a vehicle driving state and an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주행 상태는 현재 주행 속도 및 현재 주행중인 도로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vehicle driving st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driving speed and a current road type.

실시 예로, 상기 외부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및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eather, season, and time zone.

실시 예로, 상기 차량 장치 타입은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 램프, 멀티미디어, 공조 장치, 와이퍼, 열선, 도어록, 썬루프 개폐 장치 및 창문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ehicle device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a brak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lamp, multimedia, an air conditioning device, a wiper, a heating element, a door lock, a sunroof open/close device, and a window control device.

실시 예로, 상기 제1 내지 2 임계 조건은 차량에 구비된 저장소에 데이터베이스 형태 또는 파일 형태로 유지되어 관리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ritical conditions may be maintained and managed in a database or file format in a storage provided in the vehicle.

실시 예로, 상기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TCP 기반의 핑 신호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may be a TCP-based ping signal.

실시 예로, 상기 예외 처리는 상기 차량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수단과 응급 주차를 제어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ception handli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ans for outputting a warning alarm to the vehicle, a means for switching from the remote control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a means for controlling emergency parking.

실시 예로, 상기 차량은 상기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측정 결과 및 상기 네트워크 지연 측정 결과를 로깅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means for logging and stor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terval betwe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network delay.

실시 예로, 상기 제어 신호는 스트림 형태로 주기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은 동일 차량 장치 타입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두 제어 신호의 수신 시간 차이 값에 기반하여 측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periodically in the form of a stream, and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can be measured based on a difference value in reception times between two control signals received consecutively corresponding to the same vehicle device type.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내 장착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장치는 제어 신호의 유효성 판단에 필요한 임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와 상기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 시 상기 원격 제어 센터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네트워크 지연 검증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와 상기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 및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소정 예외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유효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mounted in a vehicle and interconnected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via a network may include a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that maintains information on threshold conditions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a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while operating in a remote control mode, a network signal delay measuring unit that establishes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when entering the remote control mode,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for network delay verification through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and measures network delay time, and a validity judgment unit that performs validity verification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the measured delay time by referencing the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and controls that predetermined excep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a result of the validity verific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controlled driving state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for.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원격 제어 센터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한 제어 신호 지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상의 문제로 인한 지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경고 알람 및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원격 제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원격 제어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controlled driving state,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for, which can secure the stability of the remote-controlled vehicle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a delay due to a network problem as well as a control signal delay due to an internal problem of a remote control center, and performing a warning alarm and a transition to an autonomous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원격 제어 센터로부터 원격 주행 차량에 수신되는 제어 신호의 지연 및 네트워크상의 신호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 내부에 독립적으로 장착되는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control signal validation device independently mounted inside a vehicle that is designed to verify at least one of a delay i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 center to a remote driving vehicle and a signal delay on a network.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various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원격 주행 시 제어 신호 지연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원격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주행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차량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주행 시스템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검증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의 세부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The drawings appended hereto are includ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drawing to explain a problem caused by control signal delay during remote driving.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remote driving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mot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general operation of a remote-controlled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remot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li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0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measuring network delay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alidity judg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under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under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under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부" and "부"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s”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원격 주행 상태인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명령 유효성 검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command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 remote driv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device and system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원격 주행 시 제어 신호 지연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to explain a problem caused by control signal delay during remote driving.

도 1의 도면 부호 (a)는 원격 제어 센터가 전송한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가 원격 주행 차량에 일정 주기-예를 들면, 10ms-로 지연 없이 수신되었을 때 차량의 정상적인 이동 궤적을 보여준다.Drawing symbol (a) of Fig. 1 shows a normal moving trajectory of a vehicle when a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 center is received by the remote driving vehicle without delay at a certain period - for example, 10 ms.

도 1의 도면 부호 (b)는 원격 제어 센터가 전송한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가 원격 주행 차량에 지연되어 수신되었을 때 차량의 비정상적이 이동 궤적을 보여준다. Drawing symbol (b) of Fig. 1 shows an abnormal movement trajectory of a vehicle when a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 center is received with a delay by the remote driving vehicle.

도면 번호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첫 번째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가 정상적인 주기로 수신된 후 알 수 없는 이유로 두 번째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가 지연되어 수신된 경우, 차량은 정상적인 주행 궤적을 이탈하기 시작하고, 세번째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가 다시 지연되어 차량에 수신되는 경우 차량은 정해진 도로를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지 운전자는 정상적인 주행 궤적을 유지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 각도를 매우 크게 또한 자주 변화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은 지그재그 주행을 하게 되며, 이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원격 운전자의 제어 피로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안정한 제어 신호 지연 현상은 차량의 사고 위험을 급격히 증가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number (b), if the second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is received with a delay for an unknown reason after the first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is received with a normal cycle, the vehicle begins to deviate from the normal driving trajectory, and if the third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vehicle with a delay again, the vehicle may deviate from the set road. In this case, the remote driver must change the steering wheel angle very greatly and frequently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al driving trajectory. Accordingly, the vehicle drives in a zigzag manner, which not only reduces the riding comfort of the passengers but also increases the control fatigue of the remote driver. In addition, the unstable control signal delay phenomenon can drastically increase the risk of an accident of the vehicle.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의 지연 이유는 원격 제어 센터 내부의 프로세싱 지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원격 제어 센터의 내부의 지연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The reason for the delay in the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may be caused by a processing delay inside the remote control center, and in this case,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resolving the delay problem inside the remote control center.

하지만, 스티어링 휠 제어 신호의 지연 이유는 원격 제어 센터 내부의 문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상의 문제로 발생될 수 있다. 네트워크 문제에 따른 제어 신호 지연은 원격 주행 차량 및/또는 원격 제어 센터 자체의 문제가 아니므로 원격 주행 차량 및/또는 원격 제어 센터는 제어 신호 지연 원인을 정확히 인식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However, the reason for the delay in the steering wheel control signal can be caused not only by problems within the remote control center but also by network problems. Since the control signal delay due to network problems is not a problem of the remote driving vehicle and/or the remote control center itself, the remote driving vehicle and/or the remote control center cannot accurately recognize the cause of the control signal delay,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an accident.

네트워크의 채널 환경은 차량의 이동, 지역적 특성 및 현재 네트워크 운영 상태 등에 따라 급격히 변경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원격 제어를 위해서는 자율 주행 차량 및/또는 원격 제어 센터가 해당 네트워크 지연 문제를 정확히 예상 및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The channel environment of the network can change rapidly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network operation status, and for stable remote control, it is necessary for the autonomous vehicle and/or remote control center to accurately anticipate and recognize the network delay problem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ly.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원격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remote driving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원격 주행(Tele-operated driving, ToD) 시스템(100)은 자율 주행 기능이 탑재된 차량, 즉, 자율 주행 차량과 원격지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자율 주행 차량의 운행 중 문제 발생 시, 원격지 센터(또는 서버)의 원격 제어(tele-operated)를 통해 자율 주행 차량을 직-간접적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기술로서 최근 다방면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A tele-operated driving (ToD) system (100) is a technology that directly or indirectly monitors and controls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e., an autonomous vehicle,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and a remote server, through remote control (tele-operated) from a remote center (or server) when a problem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t is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in various fields recently.

원격 주행 기술은 원격지 센터(120)에 구비된 원격지 운전 장치를 원격지 운전자가 조작하여 자율 주행 차량(110)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기술로서 원격 주행 시스템(100)은 크게 세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Remote driv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in which a remote driver operates a remote driving device equipped in a remote center (120) to remotely operate an autonomous vehicle (110). The remote driving system (100)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주행 시스템(100)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자율 주행 차량인 원격 제어 차량(Tele-operated vehicle, ToV, 110), 네트워크(network, 130) 및 원격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센터(Tele-operated center, ToC, 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차량(110)은 자율 주행이 가능하며, 환경모델(E/M) 부호화가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5G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4G 통신망 또는 6G 통신망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센터(120)는 환경모델(E/M) 복호화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를 통한 원격 감시 및 차량의 원격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driving system (100) may be composed of a tele-operated vehicle (ToV, 110), which is an autonomous vehicle capable of remote control, a network (network, 130), and a tele-operated center (ToC, 120) that remotely controls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remote-controlled vehicle (110)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d is capable of encoding an environment model (E/M). In addition, the network (130) may use a 5G communication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4G communication network, a 6G communication network,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center (120) is capable of decoding an environment model (E/M) and may be capable of remote monitoring and remotely operating the vehicle through a display.

원격 제어 차량(110)은 원격 제어 대상 차량으로서, 자율 주행 기능을 반드시 탑재하고, 각종 자율 주행에 필요한 각종 안전 센서(Safety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센서는 첨단 운전자 보조 장치인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를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레이다(Radar), 라이다(Lidar), 소나(Sound Navigation And Ranging, SONAR)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is a remote control target vehicle, and must be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nd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safety sensors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Here, the safety sensor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meras, radar, lidar, and 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 SONAR) sensors for implementing an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카메라는 인간의 눈에 해당되는 차량 센서로서, 렌즈를 통해 시각적으로 주변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변 사물을 통해 주행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A camera is a vehicle sensor equivalent to the human eye, and can be used to visually recognize surrounding objects through the lens and to recognize the driving situation through the recognized surrounding objects.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를 통하여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테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amera can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At this time, the processed image frame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multiple cameras installed in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multiple image information having various angles or focal points can be input through the cameras forming such a matrix structure. In addition, multiple cameras can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obtain left and right images for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는 자율 주행 차량의 운전자 시야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자 시야 데이터는 차량 외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can sense driver view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Here, the driver view data can include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레이다는 전자기파를 발사하고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주변 사물과의 거리, 속도, 방향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레이다는 사용 주파수에 따라 단거리부터 중거리, 장거리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며, 긴급자동제동장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에 3대의 레이다 센서를 나란히 설치하면, 전방 180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레이다는 날씨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먼 거리에 있는 장애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운행 중인 차량에도 많이 적용되어 있는 센서이다.Radar emits electromagnetic waves and can extract information such as distance, speed, and direction from surrounding objects based on the reflected signals. Depending on the frequency used, radar can detect short, medium, and long distances, and can be used for emergency automatic braking systems, smart cruise control, etc. If three radar sensors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a self-driving car, it can secure a 180-degree field of view ahead. Radar is a sensor that is widely used in vehicles currently in operation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weather, etc., and can detect the presence of obstacles at a distance.

라이다는 레이저(빛)를 물체와 주고받으며 3차원 지도를 형성하여 사물의 원근감, 형태, 거리,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라이다는 주로 905나노미터(nm)의 짧은 파장을 이용해 레이더보다 공간 분해능력이 훨씬 정밀할뿐만 아니라 자체 광원으로 빛이 부족환 환경에서도 성능에 영향을 덜 받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라이다는 자율 주행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Lidar can recognize the perspective, shape, distance, and speed of objects by exchanging lasers (light) with them to form a three-dimensional map. Lidar mainly uses a short wavelength of 905 nanometers (nm), so it has much more precise spatial resolution than radar,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less affected by light in environments with insufficient light because it has its own light source. Therefore, Lidar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utonomous driving systems.

소나는 레이더와 용도가 유사하나, 전자파가 아닌 음파 전송 후 객체에 충돌한 후 다시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전방 또는 후방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소나는 주로 차량이 후진할 때 후방의 시야 사각지대의 객체를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음파는 전자파에 비해 훨씬 느린 속도로 전파되기 때문에 작은 물체도 높은 해상도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onar is a sensor that detects objects in front or behind and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jects by measuring the time it takes for sound waves to be transmitted, bounce off an object, and be received, rather than electromagnetic waves. Sonar is mainly used to detect objects in the blind spot behind a vehicle when it is backing up and to notify the driver. Since sound waves propagate at a much slower speed than electromagnetic wav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dentify even small objects with high resolution.

원격 제어 차량(110)은 각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결합 및 융합하는 센서 퓨전 기술 및 AI 기술 등을 적용하여 자율 주행을 위한 최적의 주행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A remote control vehicle (110) can provide an optimal driving algorithm for autonomous driving by applying sensor fusion technology and AI technology that combine and fus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each sensor.

원격 제어 차량(110)은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can transmit the collected sensing data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120) via a network (130).

원격 제어 센터(120)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원격 제어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center (120) can generate control data based on the collected sensing data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data to 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through the network (130).

여기에서, 환경모델은 차량의 속도/위치/방향/차량 상태 등을 식별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센서(속도, 위치, 방향, 차량 상태) 및 주변 객체 인식 및 인식된 객체의 이동 궤적을 추정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자율 주행 센서들-예를 들면, 라이다, 레이다, 소나, V2X 통신,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데이터를 모델링한 것에 대응한다. Here, the environmental model corresponds to modeling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ata using vehicle sensors (speed, position, direction, vehicle condition) that provide sens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vehicle's speed/position/direction/vehicle condition, etc., and autonomous driving sensors that recognize surrounding objects and estimate the movement trajectories of recognized objects to control the vehicle's driving - for example, lidar, radar, sonar, V2X communication, cameras, etc.

특히, 원격 주행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신환경 극복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network adaptation)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며, 업링크(uplink) 및 다운링크(downlink) 기술, 자율 주행 기술을 포함하며, 이 중 업링크 기술은 영상 및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 전송과 관련되고, 다운링크 기술은 원격 제어 센터(120)로부터 원격 제어 차량(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생성 및 전송과 관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lement a remote driving system (100), a network adaptation technology for overcom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absolutely necessary, and includes uplink and downlink technologies an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ies. Among these, the uplink technology is related to transmitting sensing data from images and sensors, and the downlink technology may be related to generating and transmit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 remotely controlled vehicle (110) from a remote control center (120).

이하, 업링크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Below, uplink transmission is described.

원격 제어 차량(ToV, 110)은 적어도 두 가지 환경모델을 부호화하여 원격 제어 센터(ToC, 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차량(110)은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경모델을 인코더(encoder)를 통해 부호화하여 네트워크(130, 예를 들어, 5G)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센터(120)는 수신된 환경모델을 디코더(decoder)를 통해 복호화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display)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A remote control vehicle (ToV, 110) can encode at least two environmental models and transmit them to a remote control center (ToC, 120).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can encode an environmental model including sensing data through an encoder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120) through a network (130, for example, 5G).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center (120) can decode the received environmental model through a decoder and output it through an equipped display.

이때, 두가지 환경모델은 운전자 시야 데이터 및 차량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시야 데이터는 차량 외부 영상(4채널 또는 2채널)을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고, 차량 센서 데이터는 차량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 및 차량 운행 상태에 관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센싱 정보는 주행 속도에 관한 정보, 제동(브레이크) 제어 정보, 가속(악셀) 제어 정보, 조향 제어 정보, 충격 감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the two environmental models may include driver vision data and vehicle sensing data. At this time, the driver vision data may compress and transmit vehicle exterior images (4 channels or 2 channels), and the vehicle sensor data may include sens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position and sens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driving status. Sens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driving statu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formation about driving speed, braking control information, acceleration (accelerator) control information, steering control information, and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이를 위하여, 저지연 영상통신 기술,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기술, 저지연 디스플레이 기술 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하여 영상 및 네트워크의 delay 및 latency를 최대한 줄여 데이터의 정확하고 빠른 통신 달성이 가능하다. To this end, low-latency video communication technology, fast and stable network technology, and low-latency display technology are required. Through the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video and network delay and latency to achieve accurate and fast data communication.

이하, 다운링크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Below, downlink transmission is described.

원격 제어 센터(ToC, 120)는 원격 제어 차량(110)의 상태를 파악하여 직/간접적인 제어 신호(및/또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차량(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접적인 제어 신호는 차량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센터(ToC, 120)는 차량 구동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간접적인 제어 신호는 운전자 가이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센터(120)는 운전자 가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원격 제어 차량(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center (ToC, 120) can detect the status of 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to generate direct/indirect control signals (and/or control commands)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s to 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Here, the direct control signals may includ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riving device.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 center (ToC, 120) can generate and transmit control data for the vehicle driving device. In addition, the indirect control signals may include driver guide data.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 center (120) can generate driver guide data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control vehicle (110).

이를 위하여, 전송된 환경모델 이해를 통한 차량 상태 및 제어 형태 추론 기술 등이 요구되며, 환경모델 이해를 통한 정확한 차량 제어 형태 정의가 중요하게 된다. To this end, vehicle status and control type inference technology through understanding the transmitted environment model is required, and accurate vehicle control type defini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model becomes important.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센터(120)는 원격 제어 차량(110)으로부터 수집된 환경 모델을 기초로 특정 도로 구간-예를 들면, 전방 자율 주행이 불가한 도로 구간-에 대한 원격 주행 궤적 경로(또는 웨이포인트(Way Point) 및/또는 루트(Route) 및/또는 트랙(Track))를 산출하고, 산출된 원격 주행 궤적 경로를 외부 클라우드 서버 또는 로컬 엣지(Local Edge) 서버 또는 프라이빗 서버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원격 주행 궤적 경로는 해당 도로 구간을 통과하는 다른 자율 주행 차량에 공유될 수 있으며, 다른 자율 주행 차량은 획득된 원격 주행 궤적 경로에 기반하여 해당 도로 구간에서의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 remote control cent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alculate a remote driving trajectory path (or waypoint and/or route and/or track) for a specific road section - for example, a road section where forward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 based on an environmental model collected from a remotely controlled vehicle (110), and may register and store the calculated remote driving trajectory path in an external cloud server, a local edge server, or a private server. At this time, the registered remote driving trajectory path may be shared with other autonomous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and the other autonomous vehicles may perform vehicle control on the corresponding road section based on the obtained remote driving trajectory path.

일 예로, 원격 주행 궤적 경로에 대한 정보(또는 간단히 원격 주행 정보)는 웨이포인트, 루트 및 트랙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포인트는 경유지 및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또는 지도상에 명명된 특정 개체를 의미할 수 있다. 루트는 목적지로 이어지는 일련의 턴포인트(turn point)를 나타내는 웨이포인트들의 순차적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트랙은 경로(path)를 묘사하는 트랙포인트들의 순차적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remote driving trajectory path (or simply remote driving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waypoint, a route, and a track. Here, a waypoint may mean a waypoint, a point of interest, or a specific named entity on a map. A route may mean a sequential list of waypoints representing a series of turn points leading to a destination. A track may mean a sequential list of trackpoints describing a path.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주행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에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mot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any part tha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given above in FIG. 2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주행 시스템(200)은 원격 제어 차량(210), 데이터 부호화부(211), 제1 네트워크 적응부(212), 원격 제어 센터(220), 데이터 복호화부(221), 제2 네트워크 적응부(222) 및 네트워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원격 주행 시스템(200)이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포함한다는 의미가 아닌 원격 주행 시스템(200)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 동작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driving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mote control vehicle (210), a data encoding unit (211), a first network adaptation unit (212), a remote control center (220), a data decoding unit (221), a second network adaptation unit (222), and a network (230). However, here, the meaning that the remote driving system (200)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does not mean that they are physically included, but rather that they are interconnected and operable within the remote driving system (200).

원격 제어 차량(210)은 데이터 부호화부(211)를 통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압축 및/또는 부호화하고 원격 제어 센터(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적응부(212)는 네트워크(2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원활한 통신을 위한 각종 시스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vehicle (210) can compress and/or encode sensed data through the data encoding unit (211)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220). At this time, the first network adaptation unit (212)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network (230) and adjust various system parameters for smooth communication.

또한, 원격 제어 센터(220)는 데이터 복호화부(221)를 통하여 원격 제어 차량(210)이 전송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화 및/또는 압축 해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 데이터는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카메라 촬영된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center (220) can receive, decrypt, and/or decompress sensing data transmitted by the remote control vehicle (210) through the data decryption unit (221). For example, the sensing data can include data collected from a vehicle sensor, image data captured by a camera, etc.

이때, 제1 네트워크 적응부(212)은 원격 제어 차량(210)의 로직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적응부(222)는 원격 제어 센터(220)의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network adaptation unit (212) can perform the logic of the remote control vehicle (210), and the second network adaptation unit (222) can perform the logic of the remote control center (220).

제1 네트워크 적응부(212)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적응부(222)는 현재의 네트워크 상태-예를 들면, 할당된 대역폭(bandwidth) 상태, 가용한 전력 상태, 채널 점유 상태 등-를 예측하여 영상압축시스템의 압축률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네트워크 적응부(212)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적응부(222)는 Channel Bonding, Channel Estimation, Channel Optimization 등을 수행하여 고용량의 압축된 영상정보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원격 제어 센터(220)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대역폭하고, 모든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들의 페이로드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network adaptation unit (212) and/or the second network adaptation unit (222) can adaptively adjust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video compression system by predicting the current network status - for example, the allocated bandwidth status, the available power status, the channel occupancy status, etc. To this end, the first network adaptation unit (212) and/or the second network adaptation unit (222) can adaptively adjust the required network bandwidth and the payload of all communicable networks to efficiently transmit a large amount of compressed video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220) via a wireless network by performing Channel Bonding, Channel Estimation, Channel Optimization, etc.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차량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general operation of a remote-controlled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차량은 크게 정보 제공 주체(301), 처리 및 판단 주체(302), 동작 주체(3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emote control vehicle can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n information providing subject (301), a processing and judgment subject (302), and an action subject (303).

정보 제공 주체(301)는 처리 및 판단 주체(302)로 고정밀 지도 정보 및 각종 센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er (301) can provide high-precision map information and various sensing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and judgment subject (30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주체(301)는 고정밀 지도 저장소, 안전 센서(Safety Sensor) 및 차량 센서(Vehicl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information provider (301) may include a high-precision map storage, a safety sensor, and a vehicle sensor.

고정밀 지도(또는 HD 지도)는 차선, 교차로, 공사 구간, 도로 표지판 등 도로나 교차로의 표면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밀 지도는 단순히 자율 주행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 이외에도 차량 운행에 필요한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High-definition maps (or HD maps) con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urface of a road or intersection, including lanes, intersections, construction zones, and road signs. In addition to simpl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utonomous vehicles, HD maps can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oute the vehicle needs to take.

일 예로, 안전 센서는 카메라, 소나 센서, 라이다, 레이다 등을 포함하고, 차량 센서는 휠 센서, 관성 센서(Inertial Measurement Unit, IMU),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safety sensors may include cameras, sonar sensors, lidar, radar, etc., and vehicle sensors may include wheel sensors, inertial measurement units (IMU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etc.

GNSS와 IMU는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고, 관성 정보 및 지리적 위치에 대한 측정 값을 200Hz 이상의 빠른 주기로 처리 및 판단 주체(302)에 제공할 수 있다. GPS의 느린 주기와 높은 정확도, IMU의 빠른 주기와 큰 누적 오차의 장/단점들을 잘 융합하도록 칼만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GNSS and IMU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 measurement values for inertial information and geographical position to the processing and judgment subject (302) at a fast cycle of 200 Hz or more. A Kalman filter can be used to effectively combin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low cycle and high accuracy of GPS and the fast cycle and large accumulated error of IMU.

라이다는 지도 매핑, 로컬라이제이션, 장애물 회피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레이저 빛의 ToF(Time of Flight)를 측정해 거리를 측정하고 단색 3D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는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HD맵을 생성하고 이동중인 차량 위치를 로컬라이제이션(추정)한 뒤,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작업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Lidar can be used for map mapping, localization, obstacle avoidance, etc. It can measure the ToF (Time of Flight) of laser light to measure distance and create a monochrome 3D map. Because Lidar has high accuracy, it can be mainly used for creating HD maps, localizing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moving vehicle, and detecting obstacles ahead.

카메라는 차로, 신호등, 보행자 감지 등과 같이, 객체 인지 및 추적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1080p 카메라가 8개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센싱 정보를 기초로 처리 및 판단 주체(302)는 전방, 후방, 좌/우 측장의 객체를 감지 및 인지하여 추적할 수 있다.Cameras can be used for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tasks, such as detecting lanes, traffic lights, and pedestrians. For example, more than eight 1080p cameras can be used to enhance safety. Based on the camera sensing information, the processing and judgment subject (302) can detect and recognize objects in the front, rear, left/right sides, and track them.

레이더와 소나는 장애물 회피를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와 소나의 센싱 정보는 차량 이동 경로 선상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대상까지의 거리와 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Radar and sonar can be used as a last resort for obstacle avoidance.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radar and sonar can provide distance and speed information to the nearest object along the vehicle's path.

처리 및 판단 주체(302)는 자율 주행 제어기에 해당될 수 있다.The processing and judgment subject (302) may correspond to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자율 주행 제어기는 고정밀 측위부, 경로 생성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부, 자율 주행 판단부, 센서 퓨전부, 제어명령생성부 및 원격 주행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gh-precision positioning unit, a path generation unit, a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unit, an autonomous driving judgment unit, a sensor fusion unit,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and a remote driving connection unit.

고정밀 측위부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 및 자세를 측정 및/또는 추정할 수 있다.A high-precision positioning unit can measure and/or estimate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a vehicl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경로 생성부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th generation unit can generate a driving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V2X 통신부는 V2X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V2X 통신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차량, 보행자,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 등과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V2X는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N(vehicle-to- network) 및 V2P(vehicle-to-pedestrian)와 같은 4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V2X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 및/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The V2X communication unit can provide V2X communication functions. V2X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xchanges information with other vehicles, pedestrians, objects with built-in infrastructure, etc.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V2X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V2V (vehicle-to-vehicle), V2I (vehicle-to-infrastructure), V2N (vehicle-to-network), and V2P (vehicle-to-pedestrian). V2X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PC5 interface and/or the Uu interface.

자율 주행 판단부는 운전자의 자율 주행 요청에 따라 자율 주행이 가능한 경우, 자율 주행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판단부는 자율 주행 중 더 이상 자율 주행 유지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동 제어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율 주행 판단부는 수동 제어 모드로의 동작 중 다시 자율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judgment unit can control to enter autonomous driving mode if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driver's autonomous driving request. In addition, if the autonomous driving judgment unit determines that autonomous driving is no longer possible during autonomous driving, it can control to switch to manual control mode. If the autonomous driving judgment unit determines that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again during operation in manual control mode, it can also control to switch to autonomous driving mode.

센서퓨전부는 각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가 가지는 장점 및 특성들을 융합하여 차량 근거리 주변의 정보들을 HD-MAP상에 표현할 수 있다.The sensor fusion unit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on the HD-MAP by integrating the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sensor.

센서 퓨전을 통해 고정밀 측위부는 차선 단위 고정밀 측위가 가능하고,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지근 거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Through sensor fusion, the high-precision positioning unit can perform lane-level high-precision positioning, and the path generation unit can generate a close-range path for the vehicle.

제어명령생성부는 V2X 통신을 통해 근거리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술한 고정밀 측위 결과 및 경로 생성 결과, 그리고 V2X 통신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상황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객체 인지 및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작 주체(303)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can obtain short-range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V2X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high-precision positioning results and path generation results described above, and the short-range situ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2X communication to recognize objects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objects, and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the action subject (303) based on this.

원격 주행 연결부(또는 ToD 연결부)는 자율 주행 중 최근 법제화되고 있는 원격 주행으로의 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mote driving linkage (or ToD linkage)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itioning from autonomous driving to remote driving, which is recently becoming legally required.

원격 주행 연결부는 자율 주행 중 전방 도로 구간의 자율 주행이 불가하거나, 또는 원격 제어 센터의 제어권 전환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운전자로부터 원격 주행이 요청된 경우 자율 주행 모드를 원격 주행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remote driving linkage can switch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remote driving mode when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on the front road section during autonomous driving, or when a request for control transfer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or when remote driving is requested from the driver.

동작 주체(303)는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제동 ECU, 조향 ECU, 변속 EC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주체(303)는 처리 및 판단 주체(30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operating subject (303) may include an engin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 braking ECU, a steering ECU, a shifting ECU, etc. The operating subject (303) may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 processing and judgment subject (302).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주행 시스템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remot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원격 주행 시스템(400)은 크게 원격 제어 차량(ToV, 410), 원격 제어 센터(ToC, 420) 및 네트워크(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mote driving system (400) can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remote control vehicle (ToV, 410), a remote control center (ToC, 420), and a network (430).

원격 제어 차량(410)은 차량 센서(411), 자율주행제어기(412), 차량 ECU(413), ToD 카메라(414), 영상압축기(415), 원격주행제어기(416), 네트워크상태예측기(417), 송수신기(418), 유효성 검증 장치(419) 및 알람 장치(431)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A remote control vehicle (410) may be configured through at least one of a vehicle sensor (411),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a vehicle ECU (413), a ToD camera (414), an image compressor (415), a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a network status predictor (417), a transceiver (418), a validation device (419), and an alarm device (431),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원격 제어 차량(410)은 지도저장소(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도저장소는 자율 주행에 필요한 고정밀 지도를 유지하고, 해당 고정밀 지도에 대한 정보를 자율 주행 제어기(412)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above drawing 5,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ap storage (not shown). The map storage may be used to maintain a high-precision map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high-precision map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차량 센서(411)는 ADAS를 위한 안전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센싱 정보 및 그 외의 다양한 차량 내 구비된 다른 센서 및/또는 차량 ECU(413)로부터의 각종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자율 주행 제어기(412)에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sensor (411) can collect various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safety sensors for ADAS and various sensing information from other sensors equipped in the vehicle and/or the vehicle ECU (413) and provide them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일 예로, 차량 센서(411)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는 네-바퀴 휠틱, 스티어링 조향각, 속도, 가속도, 차량 자세 제어, 타이어 압력 등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 장치로부터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sensor (411)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vehicle's OBD (On-Board Diagnostic) device, such as four-wheel wheel ticks, steering angle, speed, acceleration, vehicle attitude control, and tire pressure.

차량 ECU(413)는 자율 주행 제어기(412)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다양한 ECU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ECU (413) may include various ECUs that operate according to control commands of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차량 센서(411) 및 차량 ECU(41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도면들의 설명으로 대체한다.Specific descriptions of the vehicle sensor (411) and the vehicle ECU (413) are replaced with descriptions of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제어기(412)는 자율 주행 모드로 주행 중 더 이상 자율 주행 유지가 불가하거나, 운전자 또는 원격지 요청에 따라 원격 주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된 경우, 원격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원격 주행 제어기(416)에 요청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request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to switch to the remote driving mode when autonomous driving can no longer be maintained while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r when a switch to the remote driving mode is requested at the request of the driver or a remote location.

일 예로, 자율 주행 제어기(412)는 전방 도로 구간에 대한 고정밀 지도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전방 장애물 식별이 불가한 상황 등이 감지되었거나, 기준치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감지된 경우 자율 주행 유지가 더 이상 어려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may determine that it is no longer difficult to maintain autonomous driving when it detects that there is no high-precision map information for the road section ahead, that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an obstacle ahead, or that an external impact exceeding a standard value is detected.

원격주행제어기(416)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 원격 주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 ToD 카메라(4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can drive the ToD camera (414) when switched from autonomous driving mode to remote driving mode.

ToD 카메라(41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영상압축기(415)를 통해 압축된 후 송수신기(418)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ToD 카메라(414)는 원격 제어 차량(410)의 전/후/좌/우 4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되는 차량 영상 정보는 촬영된 4개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captured by the ToD camera (414) can be compressed by the image compressor (415)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by the transmitter/receiver (418). For example, the ToD camera (414) can capture four images of the front/rear/left/right of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and the vehicl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ur captured images.

원격주행제어기(416)는 원격 주행 중 더 이상 원격 주행 모드 유지가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유 주행 제어기(412)로 소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If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determines that the remote driving mode can no longer be maintained during remote driving, it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to request a transition to autonomous driving mode.

일 예로, 원격주행제어기(416)는 원격제어센터(4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may decide to switch from remote driving mode to autonomous driving mode if it determines that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is invalid.

네트워크상태예측기(417)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원격 제어 센터(420)와의 통신에 적합한 채널 및/또는 세션을 선택할 수 있다. The network status predictor (417) can monitor the current network status and select a channel and/or session suita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네트워크상태예측기(412)는 선택된 채널 및/또는 세션의 가용한 전송률에 기반하여 ToD 카메라(41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압축률을 결정하고, 결정된 압축률에 대한 정보를 영상압축기(415)에 제공할 수 있다.The network status predictor (412) can determine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ToD camera (414) based on the available transmission rate of the selected channel and/or session,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compression ratio to the image compressor (415).

영상압축기(415)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차량 센서(411)로부터 수집된 차량 센싱 데이터는 송수신기(418)를 통해 인코딩 및 변조되어 네트워크상태예측기(417)에 의해 선택된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Image data compressed by an image compressor (415) and vehicl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a vehicle sensor (411) can be encoded and modulated through a transceiver (418) and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hannel selected by a network status predictor (417).

일 예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차량 센싱 데이터는 시분할 다중화되어 전송되거나 주파수 분할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compressed image data and vehicle sensing data can be transmitted in time division multiplexing o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행제어기(416)는 네트워크상태예측기(417)에 의해 선택된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압축기(415)의 압축률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영상압축기(415)는 결정된 압축률에 따라 영상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상태가 양호할수록, 영상 압축률은 높게 결정되고, 채널 상태가 열악할수록 영상 압축률은 낮게 결정될 수 있다.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image compressor (415)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network status predictor (417), and the image compressor (415) may perform image compress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mpression ratio. For example, the better the channel status, the higher the image compression ratio may be determined, and the worse the channel status, the lower the image compression ratio may be determined.

원격주행제어기(416)는 송수신기(418)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420)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명령은 일정 주기의 스트림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대상 차량 제어기의 타입에 따라 제어 신호 전송 주기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티어링 휠 관련 제어 신호는 제1 주기로 수신되고, 엑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관련 제어 신호는 제1 주기와는 다른 제2 주기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차량 제어기의 제어 신호 수신 주기 및 허용 임계 범위(또는 임계값)은 사전 정의된 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원격제어차량(410)의 저장소 또는 메모리(미도시)에 유지될 수 수 있다.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can receive a vehicle control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through the transmitter/receiver (418). Here, the vehicle control command can be received in the form of a stream of a certain period.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period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controller to be controlled. For example, a steering wheel-related control signal can be received in a first period, and an accelerator and brake-related control signal can be received in a second period different from the first period. Here,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period and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value) of each vehicle controller can be defined in advance and then stored in a database and maintained in a storage or memory (not shown) of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원격주행제어기(416)는 수신된 차량 제어 명령을 자율주행제어기(412)로 전달할 수 있다. 자율주행제어기(412)는 수신된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차량 ECU(413)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can transmit the received vehicle control command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vehicle ECU (413) according to the received vehicle control command.

원격제어센터(420)는 원격제어센터제어기(ToC controller, 421), 송수신기(422), 영상복호기(423), 모니터링장치(424), 원격지운전장치(425) 및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 회신 장치(426)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들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 remote control center controller (ToC controller, 421), a transmitter/receiver (422), an image decoder (423), a monitoring device (424), a remote driving device (425), and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response device (426).

원격지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원격지 운전 장치(425)를 이용하여 원격지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지 운전 장치(425)는 조향 핸들, 엑셀러레이터 패달, 브레이크 패달, 기어 장치 등의 기본적인 주행 제어 수단뿐만 아니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각종 램프 및 와이퍼 등 각종 차량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 remote driver can perform remote driving using a remote driving device (425) while monitor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Here, the remote driving device (425) may be equipped with a means for controlling various vehicle functions such as an infotainment system, various lamps, and wipers, as well as basic driving control means such as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or pedal, a brake pedal, and a gear device.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 회신 장치(426)는 원격제어차량(410)으로부터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시간 정보 및 회신 신호 전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제어차량(4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는 핑(Ping)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 다른 신호 정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reply device (4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when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 vehicle (410), measure the time at which the signal is received, generate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ply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measured reception time information and reply signal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As an example,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may be a ping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signal may be defined and used.

송수신기(422)는 네트워크(4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원격제어센터제어기(421) 및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 회신 장치(426)에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422) can demodulate and decode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430) and provide it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controller (421) and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response device (426).

원격제어센터제어기(421)는 송수신기(422)를 통해 원격 제어 차량(410)으로부터의 영상 정보 및 차량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압축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center controller (421) can receive image information and vehicle sensor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 vehicle (410) through a transmitter/receiver (422). Her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compressed image information.

원격제어센터제어기(421)는 영상 정보를 영상복호기(423)로 전달하여 압축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영상 정보를 모니터링장치(424)로 전송하고, 모니터링장치(424)는 영상 정보를 구비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center controller (421) transmits image information to the image decoder (423) to decompress it, transmits the decompressed imag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424), and the monitoring device (424) can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on a screen provided therewith.

원격지 운전자는 모니터링 화면을 보면서 원격지 운전 장치(425)를 조작할 수 있다.A remote driver can operate the remote driving device (425) while viewing the monitoring screen.

원격지 운전 장치(425)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차량 제어 명령-또는 제어 신호 또는 제어 명령-은 원격제어센터제어기(421) 및/또는 송수신기(422)를 통해 원격 제어 차량(410)에 전송될 수 있다.A vehicle control command-or control signal or control command-generated by operation of a remote driving device (425) can be transmitted to a remotely controlled vehicle (410) via a remote control center controller (421) and/or a transmitter/receiver (42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원격지 제어 센터(420)는 네트워크 진연 검증 신호 회신 장치(426)를 구비함으로써, 원격 제어 차량(410)이 네트워크 지연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can measure network delay by having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reply device (426).

원격 제어 차량(410)은 원격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원격 제어 센터(420)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를 일정 주기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지연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지연 측정을 위한 전용 통신 세션은 원격 주행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enters the remote driving mode, it establishes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and transmits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established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to measure the network delay. Here,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for measuring the network delay can be maintained until the remote driving mode is terminated.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차량(410)은 네트워크 지연이 감지된 경우, 소정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센터(420)의 모니터링장치(424)의 화면 일측에는 네트워크 지연 경고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원격지 운전자는 해당 경고 알람을 통해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주의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alarm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when a network delay is detected. In this case, a network delay warning alarm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device (424) of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The remote driver may recognize that a network delay is occurring through the warning alarm, and may perform remote control more carefully accordingly.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 운전자는 네트워크 지연에 따라 더이상 원격 제어가 불가한 경우, 소정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원격 제어 차량(410)에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도 있다.A remote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lso input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o request the remotely controlled vehicle (410) to switch to autonomous driving mode when remote control is no longer possible due to network delay.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검증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FIG.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li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유효성 검증 장치(419)는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510),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520),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530), 유효성 판단부(540) 및 알람부(5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validation device (419)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validation judgment threshold database (510), a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ement unit (520), a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530), a validation judgment unit (540), and an alarm unit (550).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510)는 제어 신호 유효성 판단에 필요한 사전 정의된 임계 범위(또는 임계값)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범위(또는 임계값)은 제어 신호의 타입(또는 제어 대상 장치의 타입) 및 환경 변수 등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시간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교통량, 도로 타입, 제한 속도 등에 더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 대상 장치는 스티어링 휠, 브레이크, 엑셀러레이터, 램프, 시동, 도어록, 미러 스위치, 와이퍼, 열선, 공조기, 파노라마 선루프, 멀티미디어, 전자 편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510) may maintain a predefined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value) required for judgment of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Here, the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value) may be def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control signal (or the type of the controlled target devic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etc. For example, the environmental variables may include weather, season, time zone, etc.,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defined further based on traffic volume, road type, speed limit, etc. For example, the controlled target devi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teering wheel, a brake, an accelerator, a lamp, an ignition, a door lock, a mirror switch, a wiper, a heater, an air conditioner, a panoramic sunroof, multimedia, an electronic convenience device, etc.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520)는 제어 신호 타입 별 스트림 형태로 수신되는 연속된 두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520) can measure the reception interval of two consecutive signals received in the form of a stream for each control signal type.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530)는 네트워크 지연 측정을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주행 모드로의 진입 시 설정된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한 시간과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가 원격 제어 센터(420)로부터 수신된 시간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The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530) can measure network delay time based on the time at which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ed when entering the remote driving mode, and the time at which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유효성 판단부(540)는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520)로부터 수신된 해당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해당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임계 범위(또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해당 제어 신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can compare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ement unit (520) with a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valid.

유효성 판단부(540)는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53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 지연 임계 범위(또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현재 네트워크 지연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can compare the network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530) with a predefined network delay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network delay state is normal.

유효성 판단부(540)는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판단 결과 및 네트워크 지연 상태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원격 주행 모드 유지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can determine whether remote driving mode can be maintained based on the validity judgment result for the control signal and the network delay status judgment result.

유효성 판단부(540)는 원격 주행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주행 제어기(416) 또는 자율 주행 제어기(412)에 전송할 수 있다.If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determines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maintain the remote driving mode, it can generate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requesting a transition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416) or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412).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부(540)는 원격 주행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장치(431)에 소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경고 알람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If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termines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maintain the remote driving mode, it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alarm device (431) to request generation of a warning alarm.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부(540)는 원격 주행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에 특정 조치-또는 예외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특정 조치는 긴급 주차 유도, 비상 램프 점등 등의 조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control the vehicle to perform a specific action - or exception processing - if it is determined that maintaining the remote driving mode is no longer possible. As an example, the specific ac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asures such as emergency parking guidance and turning on the emergency lamp.

알람장치(431)는 유효성 판단부(54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경고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larm device (431) can generate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messag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유효성 판단부(540)는 제어 신호 수신 간격 및 네트워크 지연 시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 및 경고 알람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can adaptively control switching to autonomous driving mode and generating warning alarm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and network delay time.

일 예로, 제어 신호 수신 간격 및 네트워크 지연 시간이 특정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유효성 판단부(540)는 경고 알람만이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특정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경고 알람 생성 및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and the network delay time satisfy a specific first condition,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can control only the generation of a warning alarm, and if a specific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the generation of a warning alarm and the transition to autonomous driving mode can be controlled.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유효성 판단 임계치는 크게 네트워크 지연 허용 임계치와 제어 대상 장치 별 허용 임계 범위(또는 임계치)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the validity judgment threshold can be largely composed of a network delay tolerance threshold and a tolerance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for each controlled target device.

일 예로, 제어 대상 장치는 스티어링 휠, 엑셀러레이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원격 운전자가 원격 운전 장치(425)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차량의 모든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d devi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or, and a brake, and may include any device of the vehicle that can be controlled by a remote driver through a remote driving device (425).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유효성 판단 임계치는 특정 파일 형태로 소정 저장소에 기록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validity judgment thresholds may be recorded and maintained in a given storage in a specific file format.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 임계 범위(또는 임계치)는 제어 대상 장치 별 복수 개가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스티어링 휠(핸들)에 대해 최대 수신 간격(Max Interval)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수신 간격은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0km/h 이상 : 10ms”, “50km/h 이상: 15ms,” “30km/h이상 : 20ms”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최대 수신 간격은 현재 차량이 진행중인 도로의 등급(Class) 또는 타입(Type)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lass 1 도로(고속도로): 10ms”, “Class 2도로(자동차 전용 도로): 15ms”, “Class 3 도로(일반도로) : 20ms”, “Class 4 도로(골목길): 25ms"로 정의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defined multiple times for each controlled target device. For example, a maximum reception interval (Max Interval) may be defined for a steering wheel (handle). Here, the maximum reception interval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For example, it may be defined as “80 km/h or more: 10 ms”, “50 km/h or more: 15 ms”, “30 km/h or more: 20 ms”. As another example, the maximum reception interval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ass or type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For example, it may be defined as “Class 1 road (expressway): 10 ms”, “Class 2 road (automobile-only road): 15 ms”, “Class 3 road (general road): 20 ms”, and “Class 4 road (alley): 25 ms”.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 허용 임계치는 하나의 임계치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 허용 임계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 날씨, 시간대 등에 따라 복수의 임계치로 정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날씨에 대한 정보는 외부 날씨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갱신될 수 있다.The network delay tolerance thresh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defined as one threshold,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network delay tolerance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defined and used as multiple thresholds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weather, time zone, etc.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may be upda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weather provision server.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의 세부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520)는 수신 간격 측정 모듈(710), 제어 신호 분배 모듈(720) 및 수신 시간 측정 모듈(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5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ception interval measuring module (710), a control signal distribution module (720), and a reception time measuring module (730).

수신 간격 측정 모듈(710)은 제어 신호 타입 별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산출하는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The reception interval measurement module (710) may be equipped with a module that calculates the reception interval of a control signal for each control signal type.

수신 시간 측정 모듈(730)은 제어 신호의 수신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수신 시간 측정 모듈(730)은 측정된 수신 시간 정보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 분배 모듈(73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reception time measurement module (730) can measure the reception time of a control signal. The reception time measurement module (730) can provide a control signal including measured reception tim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ignal distribution module (730).

제어 신호 분배 모듈(740)는 수신된 제어 신호의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타입에 기반하여 해당 제어 신호를 전달할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산출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분배 모듈(740)은 수신 시간 정보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결정된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산출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distribution module (740) can identify the type of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determine a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calculation module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dentified type. The control signal distribution module (74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cluding reception time information to the determined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calculation module.

수신 간격 측정 모듈(710)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산출 모듈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두 제어 신호 사이의 수신 시간 차이 값에 기반하여 해당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Each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calculation module provided in the reception interval measurement module (710) can measure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ception time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control signals received continuously.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530)는 세션 설정 및 관리 모듈(910) 및 지연 시간 측정 모듈(9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5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ssion setup and management module (910) and a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920).

세션 설정 및 관리 모듈(910)은 원격 주행 모드 진입 시 원격 제어 센터(420)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원격 제어 차량(410)과 원격 제어 센터(420)의 합의하에 원격 주행 모드가 해제되기 이전까지 설정된 전용 통신 세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용 통신 세션은 신뢰성 있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연결 기반의 TCP 통신 세션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보다 신뢰성이 높은 통신 세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용 통신 세션은 원격 제어 차량(410)과 원격 제어 센터(420) 사이의 네트워크 신호 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The session setup and management module (910) can set up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when entering the remote driving mode, and maintain the set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until the remote driving mode is released under an agreement between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and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For example,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may use a connection-based TCP communication session to support reliable communication,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a more reliable communication session may be used.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a network signal delay between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and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지연 시간 측정 모듈(920)은 아주 작은 크기의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를 원격 제어 센터(420)에 전송할 수 있다. 지연 시간 측정 모듈(920)은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예를 들면,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를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원격 제어 센터(4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920) can generate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of a very small size and transmit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through a preset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The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920) can receive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 for example, a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ply signal -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through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실시 예에 따른 지연 시간 측정 모듈(920)은 원격 제어 센터(420)에서의 응답 신호 전송 시점과 원격 제어 차량(410)에서의 해당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 사이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답 신호에는 원격 제어 센터(420)에서의 응답 신호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9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easure the network delay time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and the time of receiving the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In this case, the response signal can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다른 실시 예로, 지연 시간 측정 모듈(920)은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의 전송 시점(a1)에 관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 후 a1이 포함된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를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센터(420)는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의 수신 시점(a2)을 측정하고 이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측정된 수신 시점(a2)에 관한 정보 및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의 전송 시점(a3)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를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원격 제어 차량(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센터(420)는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의 전송 시점(a3)에 관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지연 시간 측정 모듈(920)은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의 수신 시점(a4)을 측정한 후,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의 전송 시점(a1), 네트워크 지연 검증 신호의 수신 시점(a2),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의 전송 시점(a3) 및 네트워크 지연 검증 회신 신호의 수신 시점(a4)에 기반하여 RTT(Round Trip Time)을 계산하고, 계산된 RRT를 2로 나누어 네트워크 전송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920) can record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time (a1)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in the internal memory and then transmit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including a1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can measure the reception time (a2)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and record it in the internal memory.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reception time (a2) and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time (a3)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vehicle (410)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Here,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time (a3)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in the internal memory. The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920) measures the reception time (a4)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and then calculates the RTT (Round Trip Tim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a1)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the reception time (a2)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signal, the transmission time (a3)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reception time (a4) of the network delay verification response signal, and divides the calculated RRT by 2 to calculate the network transmission delay time.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 측정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Figure 10 shows the results of a network delay measurement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지연 측정은 TCP 통신을 통해 Ping Test가 사용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차량(410)은 일정 주기-예를 들면, 64ms TTL(Time To Live)-로 32바이트 크기의 Ping 신호를 기 설정된 TCP 통신 세션을 통해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network delay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using a Ping Test via TCP communication. A remote control vehicle (410) can transmit a 32-byte sized Ping signal at regular intervals - for example, 64ms TTL (Time To Live) - to a remote control center (420) via a preset TCP communication session.

이 경우, 도 10에 따른 실험 결과는 네트워크 지연이 최소 1ms에서 최대 36ms까지 발생되고, 16회의 Ping 전송에 대한 평균 지연이 8ms인 것을 보여준다. In this case, the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 to Fig. 10 show that the network delay occurs from a minimum of 1 ms to a maximum of 36 ms, and the average delay for 16 ping transmissions is 8 ms.

네트워크 지연 시간 측정 모듈(520)은 네트워크 지연 측정 결과를 로깅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The network delay time measurement module (520) can log the network delay measurement results and record them in internal memory.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성 판단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alidity judg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을 참조하면, 유효성 판단부(540)는 유효성 판단 신호 생성 모듈(1010), 네트워크 지연 비교 모듈(1020), 로깅 모듈(1030), 임계치 설정 모듈(1040) 및 제어 신호 간격 비교 모듈(10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validity judgment unit (5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alidity judgment signal generation module (1010), a network delay comparison module (1020), a logging module (1030), a threshold setting module (1040), and a control signal interval comparison module (1050).

네트워크 지연 비교 모듈(1020)은 측정된 네트워크 지연 시간과 소정 네트워크 지연 임계값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지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예로, 측정된 네트워크 지연이 네트워크 지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네트워크 지연 비교 모듈(1020)은 네트워크 지연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여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측정된 네트워크 지연이 네트워크 지연 임계값 이하인 경우, 네트워크 지연 비교 모듈(1020)은 네트워크 지연이 허용 범위 이내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 수 있다.The network delay comparison module (1020) can verify the validity of the network delay by comparing the measured network delay time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delay threshold. For example, if the measured network delay exceeds the network delay threshold, the network delay comparison module (1020) can determine that the network delay is invalid because it exceeds the allowable range. 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network delay is lower than the network delay threshold, the network delay comparison module (1020) can determine that the network delay is valid because it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제어 신호 간격 비교 모듈(1050)은 측정된 제어 신호 수신 간격과 해당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임계 범위(또는 임계값)을 비교하여 해당 제어 신호가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interval comparison module (1050) can compare the measured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with a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valid.

일 예로, 측정된 제어 신호 수신 간격이 해당 임계 범위 이내이거나 해당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 신호 간격 비교 모듈(1050)은 해당 제어 신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측정된 제어 신호 수신 간격이 해당 임계 범위를 벗어나거나 해당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신호 간격 비교 모듈(1050)은 해당 제어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easured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is within the corresponding threshold range or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corresponding threshold, the control signal interval comparison module (105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valid. 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is outside the corresponding threshold range or exceeds the corresponding threshold, the control signal interval comparison module (105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invalid.

네트워크 지연 비교 모듈(1020) 및 제어 신호 간격 비교 모듈(1050)은 각각의 유효성 검증 결과를 유효성 판단 신호 생성 모듈(1010)에 전송할 수 있다.The network delay comparison module (1020) and the control signal interval comparison module (1050) can each transmit the validity verification results to the validity judgment signal generation module (1010).

로깅 모듈(1030)은 네트워크 지연 비교 모듈(1020) 및 제어 신호 간격 비교 모듈(1050)의 비교 결과를 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logging module (1030) can log and store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network delay comparison module (1020) and the control signal interval comparison module (1050).

임계치 설정 모듈(1040)은 네트워크 지연 임계값 및 제어 신호 간격 임계 범위(또는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치 설정 모듈(1040)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예를 들면, 주행 속도, 주행 도로 등- 및 외부 환경 정보-예를 들면, 날씨 정보, 교통량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임계 범위 또는 임계값을 동적으로 선택(또는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threshold setting module (1040) can set a network delay threshold and a control signal interval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For example, the threshold setting module (1040) can dynamically select (or determine) and set a threshold range or threshold based on the vehicle's driving status information - for example, driving speed, driving road, etc. -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 for example,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etc.

유효성 판단 신호 생성 모듈(1010)은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판단 결과 및 제어 신호 유효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유효성 판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signal generation module (1010) can generate a validity judgment signal based on the network delay validity judgment result and the control signal validity judgment result.

일 예로, 유효성 판단 신호는 원격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 차량의 비상 주차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 경고 알람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validity judgment signal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ransition from remote driving mode to autonomous driving mode, a second signal for controlling emergency parking of the vehicle, a third signal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warning alarm, etc.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under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은 원격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 신호 타입 별 수신 간격 임계 조건(임계값 또는 임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1101 내지 S1102). 여기서, 임계 조건은 차량 주행 상태 및 외부 환경 변수를 더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주행 상태는 현재 주행 속도, 현재 주행 중인 도로의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변수는 현재 주행 도로의 교통량, 날씨, 시간대, 계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vehicle enters the remote driving mode, a threshold condition (threshold value or threshold range) for a reception interval for each control signal type can be set (S1101 to S1102). Here, the threshold condition can be set by further considering the vehicle driving state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For example, the vehicle driving state can include the current driving speed, the type of the road on which it is currently driving, etc. Th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ca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traffic volume of the current driving road, weather, time zone, season, etc.

차량은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제어 신호의 수신 시간을 측정하고,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S1103 내지 S1104).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vehicle can measure the reception time of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identify the type (S1103 to S1104).

차량은 동일 타입의 연속해서 수신된 두 제어 신호에 대한 수신 시간 간격-즉, 수신 시간 차이-을 계산할 수 있다(S1105). The vehicle can calculate the reception time interval—i.e., the reception time difference—for two consecutively received control signals of the same type (S1105).

차량은 계산된 수신 시간 간격이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06).The vehicle can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reception time interval satisfies a threshold condition (S1106).

판단 결과,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은 계속해서 원격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judgment, if the threshold condition is satisfied, the vehicle can continue to receive control signals for remote driving control.

반면, 임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차량은 제어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 예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107). 일 예로, 예외 처리는 원격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 응급 주차, 경고 알람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 critical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vehicle may determine that the control signal is invalid and perform certain exception processing (S1107). For example, the exception processing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witching from remote driving mode to autonomous driving mode, emergency parking, and outputting a warning alarm.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under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은 원격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네트워크 지연 측정을 위해 원격 제어 센터(420)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지연 임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201 내지 S1202). 여기서, 임계 조건은 차량 주행 상태 및 외부 환경 변수를 더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주행 상태는 현재 주행 속도, 현재 주행 중인 도로의 타입, 현재 주행 중인 지역 타입(도심/교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변수는 현재 주행 도로의 교통량, 날씨, 시간대, 계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전용 통신 세션은 신뢰성이 높은 TCP 세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vehicle enters the remote driving mode, the vehicle may establish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420) for network delay measurement and set a network delay threshold condition (S1201 to S1202). Here, the threshold condition may be set by further considering the vehicle driving state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For example, the vehicle driving state may include the current driving speed, the type of the road on which it is currently driving, the type of the area on which it is currently driving (downtown/suburban), etc. Th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traffic volume of the current driving road, weather, time zone, season, etc. For example,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highly reliable TCP session.

차량은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신호를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원격 제어 센터(420)로 전송할 수 있다(S1203). 일 예로,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신호로 핑 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vehicle can generate a network delay validation signal and transmit the generated network delay validation signal to a remote control center (420)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S1203). As an example, a ping signal can be used as the network delay validation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차량은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신호에 대한 회신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1203). 여기서,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세부 방법은 상술한 도면의 설명으로 대체한다.The vehicle can measure the network delay time b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network delay validation signal (S1203). Here, the detailed method of measuring the network delay time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drawing.

차량은 측정된 네트워크 지연 시간이 네트워크 지연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5).The vehicle can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network delay time satisfies a network delay threshold condition (S1205).

판단 결과, 네트워크 지연 임계 조건이 만족된 경우, 차량은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judgment, if the network delay threshold condition is satisfied, the vehicle can periodically transmit a network delay validation signal.

반면, 상기 1205 단계의 판단 결과, 네트워크 지연 임계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차량은 수신되는 제어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 예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206). 일 예로, 예외 처리는 원격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 응급 주차, 경고 알람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 network delay threshold condition is not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step 1205, the vehicle may determine tha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invalid and perform certain exception processing (S1206). For example, the exception processing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witching from remote driving mode to autonomous driving mode, emergency parking, and outputting a warning alarm.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중인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under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은 원격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을 위해 원격 제어 센터(420)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지연 임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301 내지 S1302).Referring to FIG. 14, when the vehicle enters remote driving mode, it can establish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420) for network delay validation and set network delay threshold conditions (S1301 to S1302).

차량은 제어 신호 수신 간격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제어 신호 타입 별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임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303).The vehicle can set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threshold conditions for each control signal typ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S1303).

차량은 설정된 임계 조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절차 및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유효성 검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304). 여기서,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절차 및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유효성 검증 절차는 상술한 도면의 설명으로 대체한다.The vehicle can perform a network delay validation procedure and a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validation procedure based on the set threshold conditions (S1304). Here, the network delay validation procedure and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validation procedure ar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drawing.

차량은 제어 신호 수신 간격 유효성 검증 결과 및 네트워크 지연 유효성 검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예외 처리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S1305).The vehicle can determine whether exception handling is necessar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ignal reception interval validation result and the network delay validation result (S1305).

판단 결과, 예외 처리가 필요한 경우, 차량은 사전 정의된 예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306 내지 S1307). 여기서, 예외 처리는 경고 알람 출력 및/또는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 및/또는 응급 주차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judgment result indicates that exception handling is required, the vehicle may perform predefined exception handling (S1306 to S1307). Here, the exception handling may include outputting a warning alarm and/or switching to autonomous driving mode and/or emergency parking.

판단 결과, 예외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차량은 상기 1304로 회귀하여 유효성 검증 절차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f the determination is that exception handling is not required, the vehicle may return to step 1304 and continue performing the validation procedur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 자율 주행 제어기, ODD 서버, 원격 제어 차량, 원격 제어 센터, ODD 정보 전송기 등의 ODD 제공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ODD providing method of the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ODD server, remote control vehicle, remote control center, ODD information transmitter, etc.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an embodiment that is not specified by combining or replac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exce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6)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차량에서의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방법에 있어서,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가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및
유효성 판단부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장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차량 장치 타입에 기반하여 임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의 상기 임계 조건 만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in a vehicle that is interconnected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via a network,
A step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while the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is operating in remote control mode;
A step for measuring the interval betwe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by the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and
A step in which the validity judgment unit performs the control signal validity verification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performs exception processing based on the control signal validity verification result.
A method comprising: a step of identifying a vehicle device ty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 step of setting a threshold condition based on the identified vehicle device type;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satisfies the threshold cond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차량 주행 상태 및 외부 환경 변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동적으로 설정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wherein the above critical conditions are dynamically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a vehicle driving state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 상태는 현재 주행 속도 및 현재 주행중인 도로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In paragraph 4,
A method wherein the vehicle driving stat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urrent driving speed and a current driving road ty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및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In paragraph 4,
A method wherein th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e at least one of weather, season, and time z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치 타입은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 램프, 멀티미디어, 공조 장치, 와이퍼, 열선, 도어록, 썬루프 개폐 장치 및 창문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wherein the vehicle device typ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a brak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lamp, multimedia, an air conditioning device, a wiper, a heating element, a door lock, a sunroof open/close device, and a window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저장소에 데이터베이스 형태 또는 파일 형태로 유지되어 관리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ritical conditions are maintain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a database or a file in a storage provided in the vehic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처리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원격 제어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작; 및
응급 주차를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ception handling is,
An action that outputs a warning alarm;
An action for switching from the above remote control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Actions that control emergency parking
A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스트림 형태로 주기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은 동일 차량 장치 타입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두 제어 신호의 수신 시간 차이 값에 기반하여 측정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in which the above control signal is received periodically in the form of a stream, and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control signal is measur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reception times between two control signals received consecutively corresponding to the same vehicle device typ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어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장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차량 장치 타입에 기반하여 임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의 상기 임계 조건 만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A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validation operations on a control signal by interacting with a remote control center over a network,
The above actions are,
A step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while operating in remote control mode;
A step of measuring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above control signal;
A step of performing validation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A step for performing exception hand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of the above control signal.
A storage medium, where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validation comprises the step of identifying a vehicle device ty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step of setting a threshold condition based on the identified vehicle device type,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satisfies the threshold condition.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차량에 있어서,
원격 주행을 제어하는 원격 주행 제어기;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자율 주행 제어기;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가 상기 원격 주행 제어기 및 상기 자율 주행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어 예외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유효성 검증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장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량 장치 타입에 기반하여 임계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의 상기 임계 조건 만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For vehicles that are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 center via a network,
A remote driving controller that controls remote driv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that controls autonomous driving;
A transmitter/receiver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while operating in remote control mode; and
A validation device that measures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above control signal and performs validation of the abov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Including,
The validation result for the abov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remote driving controller and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and excep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validation comprises identifying a vehicle device ty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etting a threshold condition based on the identified vehicle device type, an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satisfies the threshold cond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차량 주행 상태 및 외부 환경 변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동적으로 설정되는, 차량.
In Article 14,
A vehicle wherein the above threshold conditions are dynamically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vehicle driving status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 상태는 현재 주행 속도 및 현재 주행중인 도로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In Article 17,
A vehicle, wherein the above vehicle driving status includes at least one of a current driving speed and a current driving road typ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변수는 날씨, 계절 및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In Article 17,
A vehicle wherein the abov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e at least one of weather, season and time zo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치 타입은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 램프, 멀티미디어, 공조 장치, 와이퍼, 열선, 도어록, 썬루프 개폐 장치 및 창문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In Article 14,
A vehicle devic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or, a brak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lamp, multimedia, an air conditioning device, a wiper, a heating element, a door lock, a sunroof open/close device, and a window control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저장소에 데이터베이스 형태 또는 파일 형태로 유지되어 관리되는, 차량.
In Article 14,
The above critical conditions are maintain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a database or file in a storage provided in the vehicl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처리는,
상기 차량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수단;
상기 원격 제어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수단; 및
응급 주차를 제어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In Article 14,
The above exception handling is,
Means for outputting a warning alarm to said vehicle;
Means for switching from the above remote control mod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and
Means for controlling emergency parking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스트림 형태로 주기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은 동일 차량 장치 타입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두 제어 신호의 수신 시간 차이 값에 기반하여 측정되는, 차량.
In Article 14,
A vehicle in which the above control signal is received periodically in the form of a stream, and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above control signal is measur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reception times between two control signals received consecutively corresponding to the same vehicle device type.
차량 내 장착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 센터와 연동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 신호의 유효성 판단에 필요한 임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 중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을 측정하는 제어 신호 간격 측정부;
상기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 시 상기 원격 제어 센터와 1:1 전용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전용 통신 세션을 통해 네트워크 지연 검증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네트워크 신호 지연 측정부; 및
상기 유효성 판단 임계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 및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소정 예외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유효성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부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장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량 장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임계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간격의 상기 임계 조건 만족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장치.
In a device mounted in a vehicle and linked to a remote control center via a network,
A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that mai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ritical conditions required to judge the validity of a control signal;
A control signal interv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interval at which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when operating in remote control mode;
A network signal delay measurement unit that sets up a 1:1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remote control center when entering the above remote control mode, and measures the network delay tim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network delay verification through the dedicated communication session; and
A validity judgment unit that performs validity verification on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and the measured delay time by referring to the above validity judgment threshold database, and controls that a predetermined excep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validation result.
Including,
A device in which the validity judgment unit identifies a vehicle device ty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ets the threshold condition based on the identified vehicle device type, and judges the 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based on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interval satisfies the threshold condition.
KR1020220079204A 2022-05-20 2022-06-28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Active KR102787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204A KR102787497B1 (en) 2022-06-28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PCT/KR2023/006864 WO2023224432A1 (en) 2022-05-20 2023-05-19 Method for verifying control signal validity of autonomous vehicle in remote control driving state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204A KR102787497B1 (en) 2022-06-28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765A KR20240003765A (en) 2024-01-10
KR102787497B1 true KR102787497B1 (en) 2025-03-2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797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n autonomous vehicle response to sensor failure
US10719084B2 (en) Method for platooning of vehicles and vehicle using same
US12060083B2 (en) Planning with dynamic state a trajectory of an autonomous vehicle
US20200041995A1 (en) Method for realtime remote-operation of self-driving cars by forward scene prediction.
US11529955B2 (en) Traffic light estimation
US20210197805A1 (en) Safety system for vehicle
US20220289198A1 (en) Automated emergency braking system
US20220289199A1 (en) Brake arbitration
JP2025505423A (en)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KR102787497B1 (en)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2787496B1 (en)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teleoperated control center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113771845A (en)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for predicting vehicle track
US20240051581A1 (en) Determination of an action for an autonomous vehicle in the presence of intelligent agents
KR20230139950A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method based on tele-operated driv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20230236313A1 (en) Thermal sensor data vehicle perception
KR20240003765A (en)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2735463B1 (en) Method for recognizing and preventing accident in tele-operated driving system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20230173769A (en) Method for validating control signal of teleoperated control center in teleoperated driving stat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20240148773A (en) Method for monitoring network status for teleoperated driving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20190115435A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30150431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50074457A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102787706B1 (en) Autonomous driving mode engagement
US202401239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ffic light labelling via motion inference
US20230159063A1 (en) Autonomous Driving Mode Eng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