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6432B1 - 복공판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복공판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6432B1
KR102786432B1 KR1020240072217A KR20240072217A KR102786432B1 KR 102786432 B1 KR102786432 B1 KR 102786432B1 KR 1020240072217 A KR1020240072217 A KR 1020240072217A KR 20240072217 A KR20240072217 A KR 20240072217A KR 102786432 B1 KR102786432 B1 KR 10278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stopper
support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7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문택
Original Assignee
서주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주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7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6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64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공판의 체결장치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체결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절곡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 상방으로 지지판을 구비하는 체결축; 상기 체결축이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하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스토퍼; 상기 체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체결축의 상부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을 누르는 조임너트; 및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복공판에 상기 스토퍼를 고정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공판의 체결장치{FASTENING APPARATUS OF DECK PLATE}
본 발명은 복공판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노면을 복개하는 경우 하부구조물 위에 철제빔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이 철제빔 사이에 수십 내지 수백 개가 평평하게 배열되도록 시공되며, 그 위로 차량 등이 지나가게 되므로 강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공판 설치 구조는, 복수의 복공판(70)이 지중에 고정되는 지지트러스 구조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트러스 구조는, 복수의 지지기둥(10)과, 복수의 지지기둥의 하부 중간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보(20)와, 복수의 지지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단지지보(40)와, 복수의 지지기둥과 수평연결보와 상단지지보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복수의 크로스바(50)와, 복수의 상단지지보 상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주형보(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결보(20)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기둥(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측과 후방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수평연결보(20)의 상면 양단부에는 한 쌍의 세로연결보(3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복공판(70)에는 4개의 체결구(80)가 체결되어 복공판(70)을 두 주형보(6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종래의 복공판(70)은 그 길이가 약 2m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 경우 12m 폭의 도로에 6개의 복공판(70)이 설치되었다. 이때, 지지기둥(10)들은 2m 간격마다 설치되어야 하고, 크로스바(50)들도 2m 간격마다 설치되어야 하였다.
그래서, 종래기술에 따른 복공판 설치 구조는 지지기둥, 크로스바, 체결구 등의 자재가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서로 용접하거나 체결하여 결합하는 작업도 많아지며, 체결구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이 풀릴 가능성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공판을 주형보에 장착한 다음 복공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주형보에 결합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체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체결 작업이 어렵고, 결합력이 약해서 복공판이 주형보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2088호
본 발명은 복공판을 주형보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공판의 체결장치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체결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절곡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 상방으로 지지판을 구비하는 체결축; 상기 체결축이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하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스토퍼; 상기 체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체결축의 상부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을 누르는 조임너트; 및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복공판에 상기 스토퍼를 고정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단부에 복공판의 하면판에 스토퍼의 본체부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체결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하부지지홈은 스토퍼의 본체부 하반부에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축의 상부나사부보다 큰 내경을 가진 지지너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축은 상단면에 상기 지지판의 방향을 나타내는 체결방향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복공판의 체결장치에 의하면, 복공판을 주형보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공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복공판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복공판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복공판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H형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H형강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고무패드를 나타내는 상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3은 주형보에 장착된 복공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4는 주형보에 장착된 복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체결하는 체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체결장치가 풀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체결장치가 잠긴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복공판을 주형보에 결합하는 체결장치가 풀린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결합하는 체결장치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복공판 설치 구조는, 소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기둥(310), 복수의 지지기둥의 하부 중간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보(320), 복수의 지지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단지지보(340), 복수의 상단지지보 상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주형보(350), 및 복수의 주형보 사이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복공판(100)을 포함하고, 복공판은 3.5~4.5미터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지지기둥(310)은 금속 바 형태로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기둥(310)은 H형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바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수평연결보(320)는 복수의 지지기둥(310)의 하부 중간 높이에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평연결보(320)는 상하로 단절된 두 지지기둥(3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면이 결합되어 있는데, 지지기둥(310)의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수평연결보(320)는 각 지지기둥(310)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거나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수평연결보(320)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되 복공판의 길이방향과 같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단지지보(340)는 복수의 지지기둥(31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단지지보(340)는 각 지지기둥(310)의 상면에 체결되거나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기둥(310)과 수평연결보(320)와 상단지지보(340)는 모두 H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형보(350)는 복수의 상단지지보(34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단지지보(340)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형보(350)는 I형강 형태를 가지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형보(350)는 복공판(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복공판(100)은 하면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두 주형보(350)의 상면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공판(100)은 외관이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장변의 길이가 3.5~4.5미터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연결보(320)는 복수의 지지기둥(310)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고, 한 쌍의 수평연결보(320)의 상면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결보(320)는 복수의 지지기둥(310)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연결보(330)는 한 쌍의 수평연결보(3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세로연결보(330)도 H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연결보(32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기둥(310)과 복수의 주형보(350)는 복공판(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공판(100)의 장변의 길이가 4미터로 형성될 경우, 복수의 지지기둥(310)과 복수의 주형보(350)도 4미터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복공판은 길이가 약 2미터로 제작되었음에 반해, 본 발명의 복공판(100)은 약 4미터로 형성되는바 종래보다 약 2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공판(100)들은 4미터 간격으로 배치된 두 주형보(350) 상에 양단부가 장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공판(100)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지지기둥(310), 주형보(350)의 갯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복공판을 제작하기도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소음 발생도 적은 효과가 있다.
복수의 복공판(100)은 각각 복수의 체결장치(500)에 의해 주형보(35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장치(500)의 상세한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복공판의 상면도이며, 도 8은 복공판의 하면도이고, 도 9는 복공판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H형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복수의 H형강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2는 고무패드를 나타내는 상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00)은 상면에 돌출무늬(212)가 형성된 복수의 H형강(200)을 측방으로 용접하여 접합하고, 접합된 복수의 H형강(200)의 양측면에 측면판(130)을 용접하여 접합하며, 접합된 복수의 H형강의 전면과 후면에 전면판(140)과 후면판(150)을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복공판(100)의 외형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공판(100)은 상면판(110)과, 하면판(120)과, 측면판(130)과, 전면판(140)과, 후면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판(110)은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되, 상면에 돌출무늬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돌출무늬는 직선 형태, "ㄷ"자 반복 패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무늬의 높이는 약 2mm일 수 있다. 상면판(110)에는 용접 비드가 노출될 수 있는데, 상면판(110)의 상면에서 용접 비드의 높이는 3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판(110)은 두 H형강(200) 사이에 용접되는 용접부(112)와, 용접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H형강(200)에서 세로방향으로 지지하는 리브부(114)와, 상면의 모서리부 가까이에 관통형성된 복수의 인양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판(120)은 두 H형강(200) 사이에 용접되는 용접부(122)와, 용접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H형강(200)에서 세로방향으로 지지하는 리브부(124)와, 하면의 모서리부 가까이에 관통형성된 복수의 체결홀(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판(110)과 하면판(120)은 복수의 H형강(200)을 측방으로 용접하여 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판(110)의 용접부(112)는 두 H형강(200)의 상판부 측단면 사이가 용접되어 용접 비드가 형성되는 부위이다.
리브부(114)는 용접되는 H형강(200)의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연결되는 리브이다. 그래서, 복수의 리브부(114)는 복공판(100) 내부에서 하면판(120)과 상면판(110) 사이에 연결되어 하면판(120)에 대해 상면판(110)을 세로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인양홀(116)은 상면판(110)의 모서리부 가까이에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인양 고리를 삽입하여 복공판(100)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판(120)의 용접부(122)는 두 H형강(200)의 상판부 측단면 사이가 용접되어 용접 비드가 형성되는 부위이다.
리브부(124)는 용접되는 H형강(200)의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연결되는 리브이다. 그래서, 복수의 리브부(124)는 복공판(100) 내부에서 하면판(120)과 상면판(110) 사이에 연결되어 하면판(120)에 대해 상면판(110)을 세로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126)은 하면판(120)의 모서리부 가까이에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각 체결홀(126)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지지트러스(300)의 주형보(35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30)은 접합된 복수의 H형강(200)의 양측면에 각각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측면판(130)에는 양측 단부 가까이에 한 쌍의 관통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5)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판(110)의 인양홀(116)과 하면판(120)의 체결홀(126)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인양홀(116)과 관통홀(135)을 통해 인양 고리를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체결홀(126)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할 때 관통홀(135)을 통해 체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40)과 후면판(150)은 접합된 복수의 H형강(2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전면판(140)과 후면판(150)은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접합된 복수의 H형강(200)의 양측면에 측면판(130)이 접합된 상태에서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판(120)은 하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토퍼(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28)는 직사각형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고, 하면판(120)의 하면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128)는 두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128)는 복공판(100)을 주형보(350)에 장착할 때 그 위치 맞춤을 쉽게 할 수 있고, 복공판(100)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공판(100)은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있어서,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소음량이 적다. 또한, 양 측면판(13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135)은 그 형태와 크기를 조절하여 공명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200)은 상면에 돌출무늬(212)가 형성된 상판부(210)와, 하면에 돌출무늬(232)가 형성된 하판부(230)와, 상판부(210)와 하판부(230)의 폭방향 중심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리브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H형강(200)은 인발 가공에 의해 성형되는바, 도 10에 도시된 단면 형태가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210)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소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무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무늬(212)는 예를 들어, 상판부(210)가 8mm 두께일 때 2mm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무늬(212)는 상판부(210)의 상면에 예를 들어 5개의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에 배열된 3개의 돌출무늬(212)의 폭에 비해, 양측단부에 배열된 2개의 돌출무늬(212)는 중앙부 돌출무늬(212)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판부(230)도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소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무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무늬(232)는 예를 들어, 하판부(230)가 8mm 두께일 때 2mm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무늬(232)는 하판부(230)의 하면에 예를 들어 5개의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에 배열된 3개의 돌출무늬(232)의 폭에 비해, 양측단부에 배열된 2개의 돌출무늬(232)는 중앙부 돌출무늬(232)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브판부(220)는 상판부(210)의 하면 중앙부와 하판부(230)의 상면 중앙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210)와 하판부(230)의 두께가 8mm로 형성될 때, 리브판부(220)는 두께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H형강(200)은 상판부(210)와 하판부(230)의 양단 모서리부에 각각 면취부(216, 236)가 형성되어 다른 H형강(200)과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210)와 하판부(230)의 양측면은 각각 다른 H형강(200)과 용접되는 용접부(214, 234)를 구성할 수 있다. 상판부(210)의 용접부(214)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소정 각도(예를 들어 45도)로 면취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판부(230)의 용접부(234)의 하측 모서리부에는 소정 각도(예를 들어 45도)로 면취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면취부들(216, 236)에 의해, 용접부(214, 234) 사이의 틈으로 용입되는 깊이가 깊어져서 결합 강도가 커질 수 있고, 표면에서 돌출되는 용접 비드의 높이가 3mm 이하로 형성되어 자동차 제동시 미끄럼을 줄일 수 있다.
종래의 복공판은 20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철강재를 면취할 때 면취 열로 인해 휘어지거나 면취시 충격에 의해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면취를 하지 못하고 있었다. 종래의 복공판은 형간의 면취 없이 맞대기 용접을 함에 따라 용입 깊이가 3mm 이하로 용입량이 적기 때문에 복공판에 피로 파단이 발생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복공판은 철강재 모서리에 3mm 이상의 폭과 깊이를 가진 면취부를 형성하여 용접하였다. 이에 따라, 용접의 용입량이 5~8mm로 많아서 용접 파단을 막을 수 있는 강도 성능 효과가 있음이 피로성능시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도 12는 고무패드를 나타내는 상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8, 도 9,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00)은 하면판(120)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무패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무패드(400)는 하면판(120)의 하면에 각 꼭지점 가까이에 4개가 결합될 수 있다. 고무패드(400)는 대략 직사각형 고무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하면판(120)의 하면에서 주형보(350) 상에 지지되는 복공판(10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드(400)는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상면돌출패턴(410)과, 하면판(1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핀(420)과,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하면홈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면돌출패턴(410)은 고무패드(400)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면돌출패턴(410)은 길이방향 중간부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중간부의 상면돌출패턴(41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양단부의 상면돌출패턴(410)은 복수의 리브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의 상면돌출패턴(410)과 양단부의 상면돌출패턴(410)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핀(420)은 고무패드(400)의 상면 중앙부 양측에 한 쌍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체결핀(420)은 하면판(120)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체결핀(420)은 중간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핀(420)은 상단부 상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체결핀(420)이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단부가 탄성변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하면홈부(430)는 고무패드(400)의 하면 중간부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중간부의 하면홈부(430)와 길이방향 양단부의 하면홈부(430)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주형보에 장착된 복공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14는 주형보에 장착된 복공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체결하는 체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체결장치가 풀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체결장치가 잠긴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8은 복공판을 주형보에 결합하는 체결장치가 풀린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9는 복공판을 주형보에 결합하는 체결장치가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00)을 주형보(350)에 체결하는 체결장치(500)는, 절곡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 상방으로 지지판(516)을 구비하는 체결축(510), 체결축(510)이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하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스토퍼(520), 체결축(510)에 장착되고 스토퍼(520)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프링(530), 체결축(510)의 상부나사부(514)에 체결되어 스프링(530)을 누르는 조임너트(550), 및 스토퍼(52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복공판(100)에 스토퍼(520)를 고정하는 풀림방지너트(560)를 포함한다.
체결축(510)은 원형 단면을 가진 바가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본체(512)와, 절곡본체(512)의 상반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부(514)와, 절곡본체(512)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단부에 직경이 크게 형성된 지지판(516)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본체(512)의 상반부는 하단 절곡부보다 훨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나사부(514)는 절곡본체(512)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조임너트(550)가 체결될 수 있다.
지지판(516)은 원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어 주형보(350)의 상부 플랜지부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스토퍼(520)는 대략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522)와, 본체부(522)의 하반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하부지지홈(5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22)의 중심에는 체결축(510)이 통과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지지홈(526)은 본체부(522)의 하단부 측벽에 형성되어 체결축(510)의 중간부가 하나의 하부지지홈(526)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520)는 상단부에 복공판(100)의 하면판(120)에 스토퍼(520)의 본체부(522)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체결홀(126)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풀림방지너트(560)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나사부(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나사부(524)의 외경은 복공판(100)의 하면판(120)에 형성된 체결홀(126)보다 작게 형성되고, 본체부(522)의 외경은 체결홀(12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단나사부(524)에는 풀림방지너트(560)가 체결되어 복공판(100)의 하면판(120)에 스토퍼(520)를 고정할 수 있다.
스프링(530)은 용수철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체결축(510)의 상반부 외주부에 하단이 상단나사부(524)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임너트(550)는 일반적인 육각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축(510)의 상부나사부(514)에 체결될 수 있다. 조임너트(550)는 스프링(530)을 소정 높이에서 눌러서 스프링(530)의 복원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풀림방지너트(560)는 스토퍼(520)의 상단나사부(524)에 체결되는 원형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풀림방지너트(560)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풀림방지너트(560)를 쉽게 돌릴 수 있다.
풀림방지너트(560)는 상단나사부(524)의 높이보다 절반 이하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복공판(100)의 하면판(120)에 형성된 체결홀(126)에 스토퍼(52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다음, 풀림방지너트(560)를 상단나사부(524)에 체결함으로써 스토퍼(520)를 복공판(100)의 하면판(120)에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의 하부지지홈은 스토퍼의 본체부 하반부에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20)의 하부지지홈(526)은 2개 또는 4개가 중심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체결축(510)의 중간부가 하나의 하부지지홈(52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6에는 2개의 하부지지홈(526)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4개의 하부지지홈(526)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530)의 상단부는 체결축(510)의 상부나사부(514)보다 큰 내경을 가진 지지너트(54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너트(540)는 스프링(530)의 상단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너트(540)는 육각너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래서, 지지너트(540)는 체결축(510)의 상부나사부(514) 외주면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다.
체결축(510)은 상단면에 지지판(516)의 방향을 나타내는 체결방향표시부(518)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방향표시부(518)는 체결축(510)의 상단면에 화살표 모양으로 표시되어 지지판(516)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복공판(100)의 상면판(110)의 인양홀(116)을 통해서, 조임너트(550)를 렌치로 조일 때, 하면판(120) 아래에 있는 지지판(516)의 방향을 체결방향표시부(518)를 봄으로써 쉽게 알 수 있다.
도 14에서 확대도-A는 체결장치(500)가 주형보(35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확대도-B는 체결장치(500)의 지지판(516)이 주형보(350)의 상부 플랜지부 하면에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체결장치(500)를 체결하는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스토퍼(520)에 삽입된 체결축(510)의 상부나사부(514)에 스프링(530)을 끼우고 조임너트(550)를 체결하여 지지너트(540)를 누르는 위치까지 조임너트(550)를 조여서 조립한다.
다음으로, 스토퍼(520)의 상단나사부(524)를 복공판(100)의 하면판(120)에 형성된 체결홀(126)에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고, 풀림방지너트(560)를 체결함으로써 스토퍼(520)를 하면판(12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체결방향표시부(518)를 확인하며 체결축(510)을 주형보(350) 쪽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축(510)이 하부지지홈(526)에 자동으로 삽입되면서 지지판(516)이 주형보(350)에 밀착된다.
마지막으로, 조임너트(550)를 더 조여서 복공판(100)과 주형보(350)가 더 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복공판의 체결장치에 의하면, 복공판을 주형보에 쉽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지지기둥 20: 수평연결보
30: 세로연결보 40: 상단지지보
50: 크로스바 60: 주형보
70: 복공판 80: 체결구
100: 복공판
110: 상면판 112: 용접부
114: 리브부 116: 인양홀
120: 하면판 122: 용접부
124: 리브부 126: 체결홀
128: 스토퍼
130: 측면판 135: 관통홀
140: 전면판 150: 후면판
200: H형강
210: 상판부 212: 돌출무늬
214: 용접부 216: 면취부
220: 리브판부
230: 하판부 232: 돌출무늬
234: 용접부 236: 면취부
300: 지지구조체
310: 지지기둥 320: 수평연결보
330: 세로연결보 340: 상단지지보
350: 주형보
400: 고무패드 410: 상면돌출패턴
420: 체결핀 430: 하면홈부
500: 체결장치
510: 체결축 512: 절곡본체
514: 상부나사부 516: 지지판
518: 체결방향표시부
520: 스토퍼 522: 본체부
524: 상단나사부 526: 하부지지홈
530: 스프링 540: 지지너트
550: 조임너트 560: 풀림방지너트

Claims (5)

  1. 복공판을 주형보에 체결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상방으로 절곡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 상방으로 지지판을 구비하는 체결축;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축이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반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하부지지홈을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체결축에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체결축의 상부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을 누르는 조임너트; 및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복공판에 상기 스토퍼를 고정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공판은 하면판에 상기 스토퍼의 본체부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단부에 상기 체결홀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서 체결홀에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의 하부지지홈은 스토퍼의 본체부 하반부에 2개 또는 4개가 중심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의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축의 상부나사부보다 큰 내경을 가진 지지너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의 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은 상단면에 상기 지지판의 방향을 나타내는 체결방향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의 체결장치.
KR1020240072217A 2024-06-03 2024-06-03 복공판의 체결장치 Active KR10278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72217A KR102786432B1 (ko) 2024-06-03 2024-06-03 복공판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72217A KR102786432B1 (ko) 2024-06-03 2024-06-03 복공판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6432B1 true KR102786432B1 (ko) 2025-03-26

Family

ID=9520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72217A Active KR102786432B1 (ko) 2024-06-03 2024-06-03 복공판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6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07A (ja) * 1994-05-25 1995-12-05 Kawashiyou Lease Syst Kk 覆工板の取付構造
JPH08338003A (ja) * 1995-06-14 1996-12-24 Nissho Iwai Tekko Lease Kk 覆工板の締結装置
KR100772088B1 (ko) 2006-12-18 2007-11-01 주식회사 미래 복공판용 로킹장치
KR20100099947A (ko) * 2009-03-04 2010-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공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07A (ja) * 1994-05-25 1995-12-05 Kawashiyou Lease Syst Kk 覆工板の取付構造
JPH08338003A (ja) * 1995-06-14 1996-12-24 Nissho Iwai Tekko Lease Kk 覆工板の締結装置
KR100772088B1 (ko) 2006-12-18 2007-11-01 주식회사 미래 복공판용 로킹장치
KR20100099947A (ko) * 2009-03-04 2010-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공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859B1 (ko) 강합성보 및 그에 따른 강합성보의 시공방법
KR20200041715A (ko) 데크조립체
KR102786432B1 (ko) 복공판의 체결장치
KR100835188B1 (ko) 크레인용 레일 고정장치
US20250198097A1 (en) Bridg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CA1310938C (en) Rail clip assembly
CN210712574U (zh) 一种连接装置
JP2021092029A (ja) 既設トンネルの補強構造
JP2008068961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継目板
KR20250044202A (ko) 복공판
JP3933271B2 (ja) 筋かい固定金具及び筋かい固定構造
JP6327740B2 (ja) 覆工板敷設方法
CN110512528B (zh) 一种连接装置及方法
JP2017133186A (ja) 鋼製地覆部の取付け構造
KR100742222B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JP4167609B2 (ja) ホールダウン金物およびその金物と支持ボルトとの固定構造
JP5667515B2 (ja) 背面板の取付構造及び取付治具
JP2008057138A (ja) 壁パネル取付装置
JP3861247B2 (ja) 覆工板の締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1346B2 (ja) 母材間連結構造及びその母材間連結構造用の添板
JP7438846B2 (ja)
JP6216588B2 (ja) 覆工板取付器具
JP4098702B2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構造
JP2630579B2 (ja) 覆工版の連結構造
JP2550785B2 (ja) レール敷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6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