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5616B1 - Multi type filter assembly - Google Patents
Multi type filte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5616B1 KR102785616B1 KR1020200049494A KR20200049494A KR102785616B1 KR 102785616 B1 KR102785616 B1 KR 102785616B1 KR 1020200049494 A KR1020200049494 A KR 1020200049494A KR 20200049494 A KR20200049494 A KR 20200049494A KR 102785616 B1 KR102785616 B1 KR 1027856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dielectric
- cavity
- window
- dielectric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8—Dielectric windo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2—Dielectric waveguide fil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에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 중 어느 하나(이하, '기준 캐비티'라 칭함)에 구비된 캐비티 필터 및 상기 기준 캐비티에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이하, '인접 캐비티'라 칭함)에 각각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사이의 노치 특성이 상기 기준 캐비티와 상기 인접 캐비티 사이의 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호 연통되는 윈도우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윈도우는 상이한 위치로 설계됨으로써, 별도의 노치 형성을 위한 금속 크로스 바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크로스 커플링의 설계가 매우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filter, comprising: a cavity filter provided in one of a plurality of cav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cavity')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in a housing; and dielectric resonant filters provided in at least two cav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jacent cavities') adjacent to the reference cavity, wherein the notch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at least two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re adjusted according to a window in which a portion of a partition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adjacent cavities is cut out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windows are designed at different positions,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in that the design of cross coupling is very easy without the need for a metal cross bar, etc. for forming a separate no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형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배치 설계의 표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노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형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ter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osite filter assembly capable of presenting a standard for filter layout design while maximizing notch characteristics.
일반적으로, 기지국 장치에 적용된 필터는, 캐비티 필터(Cavity Filter)와 유전체 공진 필터(Dielectric Resonator Filter : DR Filter)로 대변된다.In general, filters applied to base station devices are represented by cavity filters and dielectric resonator filters (DR filters).
캐비티 필터의 대표적인 예로써 노치 필터를 들 수 있는 데, 이는 노치(Notch)를 이용한 대역통과 필터(Bandpass Filter)로서, 각종 무선 통신 기지국 및 RF(Radio Frequency) 대역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써, 특정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신호는 감쇠시키는 특성을 갖는 수동소자이다. 이와 같은 대역통과 필터의 중요한 특성 가운데 통과 대역내에서의 삽입 손실과 저지 대역에서의 감쇠 특성 등은 필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이러한 감쇠 특성 중 인접 채널이나 송수신 대역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특정 대역에서의 감쇠 특성이 좋아야 한다.A typical example of a cavity filter is a notch filter, which is a bandpass filter using a notch. It is a component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s and RF (Radio Frequency) bands, and is a passive element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passing only a specific band of frequencies and attenuating the remaining frequency signals. Among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uch bandpass filters, the insertion loss within the pass band and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top band are important factors indic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n particular, among thes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a specific band must be good in order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channels 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nds.
한편, 유전체 공진 필터는 캐비티 필터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그 특유의 높은 Q(Quality Factor) 값에 의해 최소의 손실로 필터링하여 소망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출력단자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유전체 공진 필터는, 공동마다 설치된 유전체공진기와 그 상부에 배치된 튜닝스크류 간의 간격을 조정, 공동과 공동 사이에 위치한 격벽에 형성된 윈도우, 그리고 윈도우 상부에 설치된 튜닝스크류와 윈도우간의 간격 조정 등에 의해 상기 공동의 전자계(Electromagnetic Field) 특성을 조절하여 공진 특성(즉, 중심주파수) 및 커플링 특성(즉, 주파수 대역)이 조절된다.Meanwhile,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like the cavity filter, has the function of filtering the input frequency with the minimum loss by its unique high Q (Quality Factor) value and outputting only the frequency of a desired specific band to the output terminal.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adjusts the gap between the dielectric resonator installed for each cavity and the tuning screw arrang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he window formed in the partition located between the cavities, and the gap between the tuning screw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and the window, there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cavity, thereby controlling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i.e., center frequency) and coupling characteristics (i.e., frequency band).
상기와 같은 유전체 공진 필터는 소형, 저손실이라는 점 때문에 더욱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The above-mentioned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being further developed due to their compactness and low loss.
그러나, 현재까지는 캐비티 필터와 유전체 공진 필터의 각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이 상이하여 단일의 필터에 복합적으로 적용하지 못하였다.However, up to now, the methods for enhanc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kirt of the cavity filter and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have been different, so they could not be applied in combination to a single filter.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티 필터와 유전체 공진 필터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각 필터가 위치되는 캐비티 간 윈도우의 개방 방향을 설계할 수 있는 복합형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posite filter assembly in which a cavity filter and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are applied in combination, and in which the opening direction of a window between cavities in which each filter is positioned can be designed.
아울러,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간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크로스 금속 바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소망하는 스커트 특성 구현이 가능한 복합형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filter assembly capable of implementing desired skirt characteristics without having a separate cross metal bar for reinforcing the skirt characteristics between cavity filters.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에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 중 어느 하나(이하, '기준 캐비티'라 칭함)에 구비된 캐비티 필터 및 상기 기준 캐비티에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이하, '인접 캐비티'라 칭함)에 각각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사이의 노치 특성이 상기 기준 캐비티와 상기 인접 캐비티 사이의 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호 연통되는 윈도우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윈도우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상이한 위치로 편심되게 설계된다.One embodiment of 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vity filter provided in one of a plurality of cav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cavity')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in a housing, and dielectric resonant filters provided in at least two cav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jacent cavities') adjacent to the reference cavity, wherein a notch characteristic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at least two dielectric resonant filters is adjusted according to a window that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a partition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adjacent cavities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window is designed to be eccentric to different left and right positions centered on the center so that the window is adjusted.
여기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기준 캐비티 및 상기 인접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window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adjacent cavity.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가 2개로 구비되되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유전체 필터를 각각 제1유전체 필터 및 제2유전체 필터라 정의할 때,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1윈도우 및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2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provided in two units and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dielectric filters are defined as a first dielectric filter and a second dielectric filter, respectively, the window may include a first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a secon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에 C-노치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create a 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first window may be cut eccentrically in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에 L-노치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와 반대편인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create an L-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first window may be cut eccentrically outwardly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가 3개로 구비되되, 상기 기준 캐비티의 주변으로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유전체 필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1유전체 필터라 정의하고, 상기 제1유전체 필터의 일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2유전체 필터 및 상기 제1유전체 필터의 타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3유전체 필터라 정의할 때,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1윈도우,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2윈도우 및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3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provided in three units and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reference cavity,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ielectric filters is defined as a first dielectric filter,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defined as a second dielectric filter,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defined as a third dielectric filter, the window may include a first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 secon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and a thir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멀티 C-노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되되,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a multi-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first window may be formed by cutting it eccentrically inwardly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window may be formed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멀티 L-노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와 반대편인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되되,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a multi-L-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first window may be formed by cutting it eccentrically outwardly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window may be formed by cutting it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제3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window may be cut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가 3개로 구비되되, 상기 기준 캐비티의 주변으로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유전체 필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1유전체 필터라 정의하고, 상기 제1유전체 필터의 일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2유전체 필터 및 상기 제1유전체 필터의 타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3유전체 필터라 정의할 때,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2윈도우 및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3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provided in three units and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reference cavity,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ielectric filters is defined as a first dielectric filter,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defined as a second dielectric filter,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defined as a third dielectric filter, the window may include a secon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and a thir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but not formed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 사이의 C-노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가 구비된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create a 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the second window may be cut eccentrically toward the inside where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can be achieved.
첫째, 캐비티 필터와 유전체 필터를 복합적으로 하나의 필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cavity filter and a dielectric filter to be appli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filter.
둘째, 캐비티 필터와 유전체 필터가 구비된 각 캐비티 간 크로스 커플링을 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크로스 금속 바와 같은 구성을 불요하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cross metal bar-like configuration in forming cross coupling between each cavity equipped with a cavity filter and a dielectric filter.
셋째, 캐비티 간 격벽에 형성되는 윈도우 위치의 변화를 통하여 설계자가 원하는 스커트 특성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Third,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designer to implement the skirt characteristics desir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formed in the inter-cavity part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Cross Coupling 구조 별 노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결과 테이블이고,
도 4a 내지 도 5c는 윈도우 형상에 따른 L-coupling 및 C-coupling 유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전계 형성도이며,
도 6a 내지 도 7b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두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C-노치 생성 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고,
도 8a 내지 도 9b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두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L-노치 생성 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세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노치 생성 제1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세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노치 생성 제2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며,
도 12a 내지 도 12c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세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노치 생성 제3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d are conceptual diagrams and result tables for explaining the notch generation principle for each cross coupling structure.
Figures 4a to 5c are perspective views and field form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coupling and C-coupling induction principles according to window shape.
Figures 6a to 7b are a design plan for generating a C-notch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wo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a graph of the results.
Figures 8a to 9b are a design plan for generating an L-notch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wo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a graph of the results.
Figures 10a to 10c are a first design of not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hree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a graph of the results.
Figures 11a to 11c are a second design of not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hree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the resulting graphs.
Figures 12a to 12c are a third design of not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hree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the resulting graph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1)을 포함한다. 하우징(1)에는, 캐비티 필터(100) 및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는 다수의 캐비티(도 1 및 도 2의 도면부호 10,21,22,23 참조) 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formed therein that are open on one 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housing (1), a plurality of cavities (see
다수의 캐비티 내부에는, TEM(Transverse Electric and Magnetic) 모드 공진을 위한 금속 재질의 공진기가 구비된 캐비티 필터(100)와, TE(Transverse Electric) 모드 공진을 위한 유전체 공진기가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side a plurality of cavities, a cavity filter (100) equipped with a metal resonator for TEM (Transverse Electric and Magnetic) mode resonance and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220, 230) equipped with a dielectric resonator for TE (Transverse Electric) mode resonance may be respectively equi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는, 다수의 RF 필터의 조합체이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RF 필터는 미리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장치로서, 필터링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및 밴드 스탑 필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A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F filters. As is well known, an RF filter is a device that passes only signals of a preset specific frequency band,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low pass filter, a band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nd a band stop filter, depending on the frequency band to be filtered.
필터의 중요한 특성으로는 삽입 손실과 스커트 특성이 있는데, 삽입 손실이란 신호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손실되는 전력을 의미하고, 스커트 특성은 필터의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이 가파른 정도를 의미한다.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 filter include insertion loss and skirt characteristics. Insertion loss refers to the power lost when a signal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skirt characteristics refer to the steepness of the passband and stopband of the filter.
위 삽입 손실과 스커트 특성은 필터의 차수에 따라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 즉, 필터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스커트 특성은 좋아지나 삽입 손실은 나빠지는 관계가 성립한다.The above insertion loss and skirt characteristics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order of the filter. That is, as the order of the filter increases, the skirt characteristics improve, but the insertion loss worsens.
필터의 삽입 손실을 유지하면서 필터의 스커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치(감쇠 극)를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이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삽입 손실을 유지하면서 필터의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skirt characteristics of a filter while maintaining the insertion loss of the filter, a method of forming a notch (attenuation pole) is mainly used. This is a method of strengthening the skirt characteristics of a filter while maintaining the insertion loss of the filter by forming a notch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노치의 형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크로스 커플링 방법이 이용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크로스 커플링은 커플링 금속 바를 이용하여 구현되고, 커플링 금속 바는 캐비티를 정의하는 내벽(또는 격벽)에 관통되어 설치되고, 연관된 공진기 간의 커플링 현상을 발생시킨다.It is well known that a cross-coupling method is generally used for forming a notch. Cross-coupling is usually implemented using a coupling metal bar, which is installed by penetrating the inner wall (or bulkhead) defining the cavity and causes a coupling phenomenon between the associated resonators.
도 3a 내지 도 3d는 Cross Coupling 구조 별 노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결과 테이블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윈도우 형상에 따른 L-coupling 및 C-coupling 유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전계 형성도이다.FIGS. 3a to 3d are conceptual diagrams and result tables for explaining the notch generation principle for each cross coupling structure, and FIGS. 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and field form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coupling and C-coupling induction principles according to window shap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는, 일반의 금속 재질의 공진기가 구비된 캐비티 필터(100) 및 유전체 공진기가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 사이의 크로스 커플링을 생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구성의 추가 없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 크로스 커플링 생성 원리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generate cross-coupling between a cavity filter (100) equipped with a resonator made of a general metal material and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220, 230) equipped with a dielectric resonator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figura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ross-coupling.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L-Cross Coupling 구조 또는 C-Cross Coupling 구조에서 2번 공진이 90도 위상일 때, 혹은 -90도 위상일 때, 크로스 커플링 형성을 위한 L-Coupling의 위상 또는 C-Coupling의 위상이 1-2-3 경로를 통과한 위상과 1-3 경로를 통과한 위상이 같으면 노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편, 180도 위상 차이가 발생하면 노치 생성이 된다. 따라서, 도 3a의 경우, In phase 경우에는 노치가 생성되지 않으나, Out of phase의 경우에는 L-노치가 생성되며, 도 3b의 경우에도, In phase 경우에는 노치가 생성되지 않으나, Out of phase의 경우에는 C-노치가 생성되는 것이다.As referenced in FIGS. 3a and 3b, in the L-Cross Coupling structure or the C-Cross Coupling structure, when the second resonance is at a 90 degree phase or a -90 degree phase, if the phase of the L-Coupling or the phase of the C-Coupling for forming the cross coupling is the same as the phase passing through the 1-2-3 path and the phase passing through the 1-3 path, no notch is generated, whereas a notch is generated if a 180 degree phase difference occurs. Accordingly, in the case of FIG. 3a, no notch is generated in the In phase case, but an L-notch is generated in the Out of phase case, and in the case of FIG. 3b, no notch is generated in the In phase case, but a C-notch is generated in the Out of phase case.
한편, 도 3c 및 도 3d에 참조된 바와 같이, Multi L-Cross Coupling 구조 또는 Multi C-Cross Coupling 구조에서 2번 공진이 90도 위상일 때, 혹은 -90도 위상일 때, 크로스 커플링 형성을 위한 L-Coupling의 위상 또는 C-Coupling의 위상이 1-2-3 경로를 통과한 위상과 1-3 경로를 통과한 위상이 같으면 노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편, 180도 위상 차이가 발생하면 노치 생성이 된다. 또한, 1-3-4 경로를 통과한 위상과 1-4 경로를 통과한 위상이 같으면 노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편, 180도 위상 차이가 발생하면 노치 생성이 된다. 따라서, 도 3c의 경우, In phase 경우에는 노치가 생성되지 않았으나, Out of phase의 경우에는 Multi L-노치가 생성되며, 도 3d의 경우, In phase 경우에는 노치가 생성되지 않았으나, Out of phase의 경우에는 Multi C-노치가 생성되는 것이다.Meanwhile, as referenced in FIGS. 3c and 3d, in the Multi L-Cross Coupling structure or the Multi C-Cross Coupling structure, when the second resonance is at a 90 degree phase or a -90 degree phase, if the phase of the L-Coupling or the phase of the C-Coupling for forming the cross coupling is the same as the phase that passed through the 1-2-3 path and the phase that passed through the 1-3 path, no notch is generated, whereas a notch is generated if a 180 degree phase difference occurs. In addition, if the phase that passed through the 1-3-4 path and the phase that passed through the 1-4 path are the same, no notch is generated, whereas a notch is generated if a 180 degree phase difference occurs. Accordingly, in the case of FIG. 3c, no notch is generated in the In phase case, but Multi L-notches are generated in the Out of phase case, and in the case of FIG. 3d, no notch is generated in the In phase case, but Multi C-notches are generated in the Out of phase case.
여기서, 금속 공진기를 이용한 캐비티 필터(100) 간의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종 방향으로 발생하고, 위상이 동일한 Even mode로 구현되며,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 간의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횡 방향으로 발생하고, 위상이 동일한 Even mode로 구현된다. 즉, 동일한 종류의 필터 간의 커플링 모드는 동일한 위상의 Even mode로 구현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의 경우와 같이, 상이한 종류의 필터 간의 커플링 모드에 대한 커플링 모드 유도 방식은 상이하다.Here, the coupling between cavity filters (100) using metal resonators generally occu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mplemented as an Even mode having the same phase, and the coupling between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 220, 230) using dielectric resonators generally occu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implemented as an Even mode having the same phase. That is, the coupling mode between the same type of filters is implemented as an Even mode having the same phase, but, as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ode induction method for the coupling mode between different types of filters is different.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캐비티 필터(100)와 유전체 공진 필터(210)가 인접되는 캐비티에 각각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캐비티 필터(100)가 구비된 캐비티를 '기준 캐비티(10)'라 칭하고, 유전체 공진 필터(210)가 구비된 캐비티를 '인접 캐비티(21)'라 칭한다.Referring to FIGS. 4A to 4C, a cavity filter (100) and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adjacent caviti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vity provided with a cavity filter (100)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cavity (10)', and a cavity provided with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is referred to as an 'adjacent cavity (21)'.
기준 캐비티(10)와 인접 캐비티(21) 사이에는 격벽(300)이 형성되는데, 격벽(300)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기준 캐비티(10)와 인접 캐비티(21)를 상호 연통시키는 윈도우(300a)가 구비될 수 있다.A partition wall (300) is formed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10) and the adjacent cavity (21).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00) may be cut to provide a window (300a) that allows the reference cavity (10) and the adjacent cavity (21)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 4a 내지 도 4c의 경우, 윈도우(300a)가 일측(도 4c의 도면상 상측) 으로 편심되게 연통되도록 형성된 경우로서, 캐비티 필터(100)의 전계(E-field) 방향이 도면상 위를 향할 때, 도 4c를 참조하면, 인접 캐비티(21) 내의 유전체 공진 필터(210)에 형성되는 전계(E-field) 방향은 도면상 Even mode 방향, 즉 시계방향임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FIGS. 4a to 4c, when the window (300a) is formed to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of FIG. 4c), and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ield) of the cavity filter (100) faces upward in the drawing, referring to FIG. 4c,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ield) formed in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in the adjacent cavity (21) is the Even mode direction in the drawing, that is, the clockwise direction.
한편, 도 5a 내지 도 5c의 경우, 윈도우(300)가 타측(도 5c의 도면상 하측) 으로 편심되게 연통되도록 형성된 경우로서, 캐비티 필터(100)의 전계(E-field) 방향이 도면상 위를 향할 때, 도 5c를 참조하면, 인접 캐비티(21) 내의 유전체 공진 필터(210)에 형성되는 전계(E-field) 방향이 도면상 Odd mode 방향, 즉 반시계방향임을 알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FIGS. 5A to 5C, when the window (300) is formed to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of FIG. 5C), and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ield) of the cavity filter (100) faces upward in the drawing, referring to FIG. 5C,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ield) formed in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in the adjacent cavity (21) is in the Odd mode direction in the drawing, that is, counterclockwise.
이처럼, 유전체 공진 필터(210)의 횡 방향 모드는, 윈도우(300a) 형상의 변화(또는 위치)에 따라 캐비티 필터(100)의 종 방향 모드와 연계하여 변경되는 커플링 생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 필터(210)의 모드 방향, 즉 Even mode와 Odd mode를 사용하여 180도 위상 차이를 발생시킬 경우 Cross Coupling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nsverse mode of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can generate coupling that changes in conjunction with the longitudinal mode of the cavity filter (100) depending on the change (or position) of the shape of the window (300a).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a 180-degree phase difference is generated by using the mode dir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210), that is, the Even mode and the Odd mode, cross coupling can be generated.
즉, 후술하는 본 발명의 복합형 필터 조립체의 실시예들은, 하우징(1)에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 중 기준 캐비티(10)에 구비된 캐비티 필터(100)와, 기준 캐비티(10)에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인접 캐비티(21,22 또는 21,22,23)에 각각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 또는 210,220,230)를 포함하고, 캐비티 필터(100)와 적어도 2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 사이의 노치 특성이 기준 캐비티(10)와 인접 캐비티(21,22,23) 사이의 격벽(310,320 또는 310,320,330)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호 연통되는 윈도우(310a,320a 또는 310a,320a,330a)에 따라 조절되도록, 윈도우(310a,320a 또는 310a,320a,330a)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상이한 위치로 편심되게 설계 될 수 있다. 여기서의 윈도우((310a,320a 또는 310a,320a,330a)는, 기준 캐비티(10) 및 인접 캐비티(21,22 또는 21,22,23)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절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윈도우(310a,320a 또는 310a,320a,330a)는, 기준 캐비티(10) 및 인접 캐비티(21,22 또는 21,22,23)의 중간 높이보다 더 깊이 또는 중간 높이보다 더 높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clude a cavity filter (100) provided in a reference cavity (10) among a plurality of cavities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in a housing (1), and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220 or 210,220,230) provided in at least two adjacent cavities (21,22 or 21,22,23) adjacent to the reference cavity (10), and a notch characteristic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at least two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220,230) is such that a portion of a partition (310,320 or 310,320,330)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10) and the adjacent cavities (21,22,23) is cut ou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ndow (310a,320a or In order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ndow (310a, 320a or 310a, 320a, 330a), the window (310a, 320a or 310a, 320a, 330a) can be designed to be eccentrically formed to different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with the center as the center. Here, the window ((310a, 320a or 310a, 320a, 330a)) is preferably formed by cutting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erence cavity (10) and the adjacent cavity (21, 22 or 21, 22,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ndow (310a, 320a or 310a, 320a, 330a) can be formed by cutting so as to have a deeper or higher height than the middle height of the reference cavity (10) and the adjacent cavity (21, 22 or 21, 22, 23).
도 6a 내지 도 7b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두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C-노치 생성 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고, 도 8a 내지 도 9b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두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L-노치 생성 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다.FIGS. 6a to 7b are graphs of a design for generating a C-notch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wo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the resulting design, and FIGS. 8a to 9b are graphs of a design for generating an L-notch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wo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the resulting desig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는, 도 6a 내지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가 2개로 구비되되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유전체 필터를 각각 제1유전체 필터(210) 및 제2유전체 필터(220)라 정의할 때, 윈도우(310a,320a)는,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의 격벽(310)에 형성된 제1윈도우(310a) 및 캐비티 필터(100)와 제2유전체 필터(220) 사이의 격벽(310)에 형성된 제2윈도우(320a)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A to 7B , a composite filter assembly is provided with two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 220) that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when the dielectric filters are defined as a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a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the windows (310a, 320a) may include a first window (310a) formed in a partition wall (310) between a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a second window (320a) formed in a partition wall (310)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여기서,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에 C-노치의 생성을 위하여, 제1윈도우(310a)는,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b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의 제1윈도우(310a)에 의하여 패스 밴드의 좌측에는 C-노치가 형성된다.Here, in order to create a 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the first window (310a) may be formed by cutting eccentrically in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s shown in FIG. 6a.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6b, a C-notch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pass band by the first window (310a)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이때, 제2윈도우(320a)의 형성 위치를 당초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한 것을,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의 반대편인 외측으로 변경하더라도, 도 7b를 참조하면,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의 제1윈도우(310a)에 의하여 패스 밴드의 좌측에 기 생성된 상기 C-노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 formation location of the second window (320a) is changed from the original inwardly eccentrically cut portion, which is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to the outer portion,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s shown in FIG. 7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notch previously cre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ass band by the first window (310a) of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is not affected, as shown in FIG. 7b.
아울러, 도 8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에 L-노치의 생성을 위하여, 제1윈도우(310a)는,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와 반대편인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8b를 참조하면,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의 제1윈도우(310a)에 의하여 패스 밴드의 우측에는 L-노치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referenced in FIG. 8a, in order to create an L-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the first window (310a) may be cut eccentrically outwardly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8b, an L-notch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ss band by the first window (310a)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여기서도, 제2윈도우(320a)의 형성 위치를 당초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한 것을,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의 반대편인 외측으로 변경하더라도, 도 9b를 참조하면,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의 제1윈도우(310a)에 의하여 패스 밴드의 우측에 기 생성된 상기 L-노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Here too, even if the formation location of the second window (320a) is changed from the original inwardly eccentrically cut portion, which is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to the outer portion,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s shown in FIG. 9a,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does not affect the L-notch previously cre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ss band by the first window (310a) of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s shown in FIG. 9b.
도 10a 내지 도 10c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세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노치 생성 제1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와 인접하는 세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간의 윈도우 위치에 따른 노치 생성 제2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다.FIGS. 10A to 10C are graphs of a first design for not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hree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the results thereof, and FIGS. 11A to 11C are graphs of a second design for not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window position between one cavity filter and three adjacent dielectric resonant filters and the results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는, 도 10a 및 도 10b,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가 3개로 구비되되, 기준 캐비티(10)의 주변으로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유전체 필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1유전체 필터(210)라 정의하고, 제1유전체 필터(210)의 일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2유전체 필터(220) 및 제1유전체 필터(210)의 타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3유전체 필터(230)라 정의할 때, 윈도우(300)는,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의 격벽(310)에 형성된 제1윈도우(310a), 캐비티 필터(100)와 제2유전체 필터(220) 사이의 격벽(320)에 형성된 제2윈도우(320a) 및 캐비티 필터(100)와 제3유전체 필터(230) 사이의 격벽(330)에 형성된 제3윈도우(330a)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filter assembly is provided with thre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 220, 230)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and FIGS. 11A and 11B, and it is assumed that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 220, 230)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a reference cavity (10),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ielectric filters is defined as a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is defined as a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is defined as a third dielectric filter (230). A window (300) is formed in a first window (310a) formed in a partition (310)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a third dielectric filter (230) formed in a partition (310)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It may include a second window (320a)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20) and a third window (330a)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30)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230).
여기서,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의 멀티 C-노치 생성을 위하여,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윈도우(310a)는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3유전체 필터(230)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윈도우(320a)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210)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create a multi-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first window (310a) may be cut eccentrically in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230). In addition, the second window (320a) may be cut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반대로, 캐비티 필터(100)와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의 멀티 L-노치 생성을 위하여, 도 11a 및 도 1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윈도우(310a)는 제1유전체 필터(210)와 제3유전체 필터(230)의 경계 부위와 반대편인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윈도우(320a)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210)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220)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Conversely, in order to create a multi-L-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first window (310a) may be cut eccentrically outwardly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230). Here, the second window (320a) may be cut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relativ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이와 같이, 멀티 C-노치 또는 멀티 L-노치는 캐비티 필터(100)와 다수의 유전체 필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인 제1유전체 필터(210), 일측에 위치한 제2유전체 필터(220) 사이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a multi C-notch or a multi L-notch can be easily formed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which is a dielectric filter located in the center among the multiple dielectric filters,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located on one side.
도 12a 내지 도 12c는 하나의 캐비티 필터(100)와 인접하는 세 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 간의 윈도우(300) 위치에 따른 노치 생성 제3설계안 및 그 결과 그래프이다.FIGS. 12A to 12C are a third design of not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window (300) between one cavity filter (100) and three adjacent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 220, 230) and the resulting graph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는, 도 12a 및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 필터(210,220,230)가 3개로 구비되되, 기준 캐비티(10)의 주변으로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유전체 필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1유전체 필터(210)라 정의하고, 제1유전체 필터(210)의 일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2유전체 필터(220) 및 제1유전체 필터(210)의 타측에 위치한 유전체 필터를 제3유전체 필터(230)라 정의할 때, 윈도우(300)는, 캐비티 필터(100)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210) 사이에는 형성되지 않고, 캐비티 필터(100)와 제2유전체 필터(220) 사이의 격벽(320)에 형성된 제2윈도우(320a) 및 캐비티 필터(100)와 제3유전체 필터(230) 사이의 격벽(330)에 형성된 제3윈도우(330a)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filter assembly is provided with thre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210, 220, 230)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and assuming that they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a reference cavity (10), a dielectric filter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ielectric filters is defined as a first dielectric filter (210),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is defined as a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nd a dielectric filt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is defined as a third dielectric filter (230), a window (300) is not formed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but is formed in a second window (320a) formed in a partition (320)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nd a cavity filter (300). It includes a third window (330a) formed in a partition (330) between the filter (100)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230).
여기서, 캐비티 필터(100)와 제2유전체 필터(220) 사이의 C-노치 생성을 위하여, 도 12a 및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윈도우(320a)는 제1유전체 필터(210)가 구비된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2c를 참조하면, 제3윈도우(330a)의 절개 위치는 제2윈도우(320a)를 통하여 형성된 C-노치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create a 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100)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220),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second window (320a) may be cut eccentrically inwardly where the first dielectric filter (210) is provided.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12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ut position of the third window (330a) does not affect the C-notch formed through the second window (320a) at al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 실시예들은, 기준 캐비티(10)와 인접 캐비티(21,22,23) 사이의 크로스 커플링 특성을 강화함에 있어서, 별도의 커플링 금속 바와 같은 부재의 사용이 없이도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므로, 복합형으로 적용된 필터들 간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this way, 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sent a standard between filters applied in a composite form, since various designs are possible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coupling metal bar or the like, in strengthening the cross-coupling characteristic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10) and the adjacent cavities (21, 22, 23).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필터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within an equivalent scop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1: 하우징 10: 기준 캐비티
21,22,23: 인접 캐비티 100: 캐비티 필터
210: 제1유전체 필터 220: 제2유전체 필터
230: 제3유전체 필터 300a: 윈도우
310a: 제1윈도우 320a: 제2윈도우
330a: 제3윈도우1: Housing 10: Reference cavity
21,22,23: Adjacent cavities 100: Cavity filter
210: First genetic filter 220: Second genetic filter
230:
310a:
330a: 3rd window
Claims (11)
상기 기준 캐비티에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이하, '인접 캐비티'라 칭함)에 각각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사이의 노치 특성이 상기 기준 캐비티와 상기 인접 캐비티 사이의 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호 연통되는 윈도우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윈도우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상이한 위치로 편심되게 설계되고,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가 2개로 구비되되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를 각각 제1유전체 필터 및 제2유전체 필터라 정의할 때,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1윈도우; 및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2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에 C-노치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에 L-노치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와 반대편인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된, 복합형 필터 조립체.A cavity filter provided in one of a number of cavities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of the hous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cavity'); and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is provided in each of at least two cav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jacent cavities') adjacent to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cavity;
The window is designed to be eccentrically positioned to different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so that the notch characteristic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at least two dielectric resonant filters is adjusted according to a window in which a part of the partition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adjacent cavity is cut out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ssuming that the abov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provided in two units and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defined as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respectively,
The above window is,
A first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A secon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In order to create a 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first window is cut eccentrically in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A composite filter assembly, wherein the first window is cut eccentrically outwardly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to create an L-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상기 제1윈도우 및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기준 캐비티 및 상기 인접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는, 복합형 필터 조립체.In claim 1,
A composite filter assembly, wherein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adjacent cavity.
상기 기준 캐비티에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이하, '인접 캐비티'라 칭함)에 각각 구비된 유전체 공진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전체 공진 필터 사이의 노치 특성이 상기 기준 캐비티와 상기 인접 캐비티 사이의 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호 연통되는 윈도우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윈도우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상이한 위치로 편심되게 설계되고,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가 3개로 구비되되, 상기 기준 캐비티의 주변으로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 필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유전체 공진 필터를 제1유전체 필터라 정의하고, 상기 제1유전체 필터의 일측에 위치한 유전체 공진 필터를 제2유전체 필터 및 상기 제1유전체 필터의 타측에 위치한 유전체 공진 필터를 제3유전체 필터라 정의할 때,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1윈도우;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2윈도우; 및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제3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멀티 C-노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되되,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필터와 상기 제1유전체 필터 사이의 멀티 L-노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와 반대편인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되되,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2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된, 복합형 필터 조립체. A cavity filter provided in one of a number of cavities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of the hous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cavity'); and
A dielectric resonance filter is provided in each of at least two cav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jacent cavities') adjacent to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cavity;
The window is designed to be eccentrically positioned to different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so that the notch characteristic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at least two dielectric resonant filters is adjusted according to a window in which a part of the partition between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adjacent cavity is cut out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ssuming that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are provided in three units and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reference cavity, and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s is defined as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defined as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and the dielectric resonance filt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filter is defined as the third dielectric filter,
The above window is,
A first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 secon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and
A third window formed in a partition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In order to create a multi-C-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the first window is formed by cutting eccentrically in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window is formed by cutting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A composite filter assembly, wherein the first window is formed by cutting eccentrically toward the outside opposit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to create a multi-L-notch between the cavity filter and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window is formed by cutting eccentrically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second dielectric filter.
상기 제3윈도우는, 상기 제1유전체 필터와 상기 제3유전체 필터의 경계 부위인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절개 형성된, 복합형 필터 조립체.
In claim 6,
The above third window is a composite filter assembly formed by cutting eccentrically inwardly or outward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filter and the third dielectric filter.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05972 WO2020231066A1 (en) | 2019-05-10 | 2020-05-07 | Multi-type filter assembly |
JP2021566581A JP7229393B2 (en) | 2019-05-10 | 2020-05-07 | Composite filter assembly |
CN202080035054.5A CN114270623B (en) | 2019-05-10 | 2020-05-07 | Composite filter assembly |
EP20804916.3A EP3968452A4 (en) | 2019-05-10 | 2020-05-07 | Multi-type filter assembly |
US17/520,834 US20220059915A1 (en) | 2019-05-10 | 2021-11-08 | Multi-type filte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54809 | 2019-05-10 | ||
KR1020190054809 | 2019-05-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0123A KR20200130123A (en) | 2020-11-18 |
KR102785616B1 true KR102785616B1 (en) | 2025-03-26 |
Family
ID=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7800856U (en) * | 2017-12-26 | 2018-08-31 |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 Hybrid guided mode cavity body filter |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7800856U (en) * | 2017-12-26 | 2018-08-31 |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 Hybrid guided mode cavity body fil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98195B2 (en) | Radio frequency filter employing notch structure | |
WO2015079227A1 (en) | Ceramic waveguide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 |
US9899716B1 (en) | Waveguide E-plane filter | |
CN110416669B (en) | Dielectric filter, signal transceiver and base station | |
US11936086B2 (en) | Wide bandwidth folded metallized dielectric waveguide filters | |
EP1932206A1 (en) | Waveguide bandstop filter | |
EP3583656A1 (en) | A microwave resonator, a microwave filter and a microwave multiplexer | |
JP7317215B2 (en) | waveguide filter | |
KR20160015063A (en) |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Notch Structure | |
US12160027B2 (en) | Metallized dielectric waveguide filters having irregular shaped resonant cavities, slanted metallized openings and/or spurious coupling windows | |
KR102785616B1 (en) | Multi type filter assembly | |
KR100844163B1 (en) | Multi Notch Filter | |
KR101274031B1 (en) | Band rejection filter for controlling return loss of pass band | |
KR101187644B1 (en) | Band sstop filter comprising coupling tuning plates | |
KR102662455B1 (en) | Ceramic waveguide filter for antenna | |
KR102116271B1 (en) | Radio frequency filter with notch structure | |
JP7229393B2 (en) | Composite filter assembly | |
KR20180134830A (en) | Radio frequency filter with notch structure | |
JP2024509604A (en) | ceramic waveguide filter | |
KR20200130123A (en) | Multi type filter assembly | |
KR100541067B1 (en) | Duplexer dielectric filter | |
KR20240060565A (en) | Ceramic waveguide filter for antenna | |
KR102785615B1 (en) | Waveguide filter | |
WO2020240192A1 (en) | A microwave filter | |
KR102785617B1 (en) | Waveguide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