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3698B1 - Spoon holder integrated bowl - Google Patents

Spoon holder integrated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3698B1
KR102783698B1 KR1020240010580A KR20240010580A KR102783698B1 KR 102783698 B1 KR102783698 B1 KR 102783698B1 KR 1020240010580 A KR1020240010580 A KR 1020240010580A KR 20240010580 A KR20240010580 A KR 20240010580A KR 102783698 B1 KR102783698 B1 KR 10278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bowl body
bowl
rim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0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세희
Original Assignee
정세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희 filed Critical 정세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369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47G21/145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jar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받침이 일체화되어 있는 그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그릇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의 세로길이와 동일한 세로길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 너비의 1/2 이상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 with an integrated spoon rest,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ical field of a bowl with an integrated spoon rest, which includes a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laterally from a bowl body, has the same vertical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wl body, and has a width of at least half the width of the bowl body.

Description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Spoon holder integrated bowl}Spoon holder integrated bowl

본 발명은 수저받침이 일체화되어 있는 그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그릇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의 세로길이와 동일한 세로길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 너비의 1/2 이상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 with an integrated spoon rest,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wl with an integrated spoon rest including a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laterally from a bowl body, has the same vertical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wl body, and has a width of at least half the width of the bowl body.

일반적으로 수저 받침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받치는 도구로서 식사시 꺼내고 세팅하는게 귀찮고 불편하여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식사시 음식물이 묻은 수저가 식탁면에 직접 닿으면서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식탁면이 지저분해져 밥맛이 떨어지기도 하고, 숟가락을 밥그릇에 올려놓다 떨어져 음식물이 튀기기도 하고 양손으로 수저를 번갈아 들고 식사를 하는 불편함이 따르기도 한다.In general, a spoon rest is a tool to hold a spoon and chopsticks, and it is often not used because it is inconvenient and troublesome to take it out and set it up when eating. Therefore, when eating, the spoon with food on it touches the table directly, which is not only unsanitary, but also makes the table dirty and reduces the taste of the food. Also, the spoon may fall when placed on the rice bowl and food may splatter, and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alternately hold the spoon with both hands while eating.

주로 우리나라 음식은 밥을 주식으로 하여 많은 반찬이 제공되고 있고, 식사 중에 음식을 담은 그릇이나 접시가 많아 손님이 멀리 있는 음식을 먹기 곤란한 경우 음식물을 일정량씩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개인용 앞접시를 사용하고 있다.Korean food is mainly served with rice as the staple food, and many side dishes are provided. During a meal, when there are many bowls or plates containing food, and it is difficult for guests to eat food that is far away, personal plates are used so that they can eat a certain amount of food.

그러나 수저 받침대와 별도로 개인용 앞접시를 추가로 사용하게 되면 이로 인해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식사를 하는데 불편하게 되는데, 특히 한정식같이 반찬이 많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수저 받침대와 앞접시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면 식탁 공간이 더욱 협소해지게 된다.However, if you use a personal plate separately from the spoon rest, it will take up a lot of space at the table, making it inconvenient to eat. Especially in cases where many side dishes are served, such as in a Korean meal, using a separate spoon rest and plate will make the table space even narrow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545236호(발명의 명칭 :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및 등록실용신안 20-0175671호(고안의 명칭 :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가 제공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registered patent No. 10-1545236 (title of invention: spoon rest for serving as a plate)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75671 (title of design: food container with food utensil rest) are provided.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는 가장자리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테두리부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나 국그릇과 같은 용기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spoon rest that is also used as a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hape of a container, such as a plate or a soup bowl, in which the edge portion is raised upward 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area of the edge portion to hold foo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edge portion to hold a spoon and chopsticks.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는 가장자리 테두리부의 높은 위치에 형성된 거치홈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가로질러 거치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식탁면으로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the spoon and chopstick rest of the prior art was not only difficult to hold in a stable manner by placing the spoon and chopsticks across the holding groove formed at a high position on the edge of the front plate, but also had the inconvenience of falling down to the table surface.

또한, 선행기술의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는 숟가락, 젓가락과 같은 음식용구를 안정감 있게 올려놓을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ood container having the food utensil holder of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be hygienic and convenient to use as it can stably place food utensils such as spoons and chopsticks on it.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 또한, 음식용 용기의 상부테두리 상에 형성된 받침부 사이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걸쳐 보관함으로써 안정적인 보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높은 위치로 인해 식탁면으로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even with this prior art, not only was it difficult to store spoons and chopsticks stably by hanging them between the support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food container, but there was also the inconvenience of them falling onto the table surface due to their high posi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236호(2015.08.1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45236 (August 11,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35514호(2021.04.01.)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21-0035514 (2021.04.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42609호(2023.03.29.)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23-0042609 (2023.03.2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하기 위한 홈 및 면적이 좁아 숟가락 및 젓가락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어렵고, 사용후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the conventional spoon rest for a plate has a narrow groove and area for holding a spoon and chopsticks, making it difficult to stably hold a spoon and chopsticks, and making it difficult to wash after use.

그릇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의 세로길이와 동일한 세로길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 너비의 1/2 이상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oon and chopstick rest integrated bowl that can stably hold a spoon and chopsticks and is easy to clean, through a support portion that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bowl body, have the same vertical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wl body, and have a width of at least half the width of the bowl body.

또한 받침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받침돌기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보관 수납하고, 사용자가 받침부의 상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 안착시켰을 때 본 발명의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이 기울어져 음식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form a protruding hook and a support proj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to enable stable stacking and storage, and to prevent the spoon and chopstick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ilting and spilling food when the user places a spoon and chopsticks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가장자리에 테두리부(13)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3)에 의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되는 그릇본체(10);와 상기 그릇본체(10)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한 세로길이(h')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10) 너비(w)의 1/2 이상의 너비(w')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적층 수납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그릇본체(10)의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proposes a bowl with an integrated spoon 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wl body (10) having a rim (13) protruding upwardly on an edge and a receiving space (14) capable of containing food formed by the rim (13); a support (20) which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bowl body (10) but has a vertical length (h') that is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bowl body (10) and has a width (w') that is at least half the width (w) of the bowl body (10); and a catch (15) which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body (10) but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m (13) for stability in stacking storag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그릇본체(10)와 테두리부(13)의 내측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테두리부(13)의 외측과 상기 받침부(20)의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R-surface (1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wl body (10) and the rim portion (13), and a curved R'-surface (17)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rim portion (13) and the support portion (2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그릇본체(10)방향에 숟가락안착면(22)을 형성하고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에 복수 개의 전방고정홈(26)과 후방고정홈(25)을 갖는 젓가락안착면(24)을 형성하도록 상부면을 구획하며,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획돌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tition protrusion (21)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protruded and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spoon mounting surface (22) in th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a chopstick mounting surface (24) having a plurality of front fixing grooves (26) and rear fixing grooves (25)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the side surface is formed to slope laterally as it goes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돌기(21)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이 젓가락안착면(24)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2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rojection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can be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chopstick seating surface (24).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고, 골프공의 딤플형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is positioned at the rear,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mple of a golf ball to correspond to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로안착홈(2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eating grooves (23a) that are formed with a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안착홈(23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eating grooves (23b) whose length is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tachment prevention protrusion (27) that protrudes upward at the end and has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치시킬 수 있는 받침부가 그릇본체의 세로길이와 동일한 세로길이를 가지고 상기 그릇본체 너비의 1/2 이상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치시킬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oon rest integrated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oon and chopsticks resting portion formed to have a vertical length equal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wl body and a width of at least half the width of the bowl body, thereby securing a sufficient area for resting the spoon and chopsticks,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of stably resting the spoon and chopsticks.

또한, 본 발명은 그릇본체와 테두리부의 내측 사이 및 테두리부의 외측과 받침부의 사이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릇본체의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통해 복수 개를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clean by forming a curved shap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wl body and the rim an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rim and the support, and can obtain the effect of stably stack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bowls by means of a catch that protrudes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body but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m.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의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에 의해 받침부에 거치되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받침부의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받침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of allowing the spoon and chopsticks to be placed on the support more stably by minimizing the spoon and chopsticks placed on the support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by a separation-preventio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the end of the suppo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릇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릇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릇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릇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그릇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bow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w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bow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5.

본 발명은 수저받침이 일체화되어 있는 그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그릇본체(10)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한 세로길이(h')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10) 너비(w)의 1/2 이상의 너비(w')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릇본체(10)와 테두리부(13)의 내측 사이 및 테두리부(13)의 외측과 받침부(20)의 사이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그릇본체(10)의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5)를 통해 복수 개를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 with an integrated spoon rest, and more specifically, the bowl comprises a support portion (20) that extends laterally from a bowl body (10) to have a vertical length (h') that is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bowl body (10) and has a width (w') that is at least half the width (w) of the bowl body (10), and is formed so that the area between the bowl body (10) and the inner side of the rim portion (13) and the area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rim portion (13) and the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reby facilitating cleaning. In addition, the bowl comprises an integrated spoon res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body (10) and allows a plurality of spoons to be stably stacked and stored by means of a catch projection (15) that protrudes so as to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m portion (13).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은 가장자리에 테두리부(13)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3)에 의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되는 그릇본체(10);와 상기 그릇본체(10)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한 세로길이(h')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10) 너비(w)의 1/2 이상의 너비(w')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적층 수납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그릇본체(10)의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oon rest integrated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bowl body (10) having a rim (13) protruding upwardly from an edge and a receiving space (14) capable of containing food formed by the rim (13); a support (20)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bowl body (10) so as to have a vertical length (h') that is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bowl body (10) and so as to have a width (w') that is at least half the width (w) of the bowl body (10); and a catch (15)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m (13) for stability in stacking storag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그릇본체(10)와 테두리부(13)의 내측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테두리부(13)의 외측과 상기 받침부(20)의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R-surface (1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wl body (10) and the rim portion (13), and a curved R'-surface (17)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rim portion (13) and the support portion (2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그릇본체(10)방향에 숟가락안착면(22)을 형성하고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에 복수 개의 전방고정홈(26)과 후방고정홈(25)을 갖는 젓가락안착면(24)을 형성하도록 상부면을 구획하며,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획돌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tition protrusion (21)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protruded and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spoon mounting surface (22) in th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a chopstick mounting surface (24) having a plurality of front fixing grooves (26) and rear fixing grooves (25)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the side surface is formed to slope laterally as it goes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돌기(21)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이 젓가락안착면(24)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2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rojection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can be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chopstick seating surface (24).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고, 골프공의 딤플형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is positioned at the rear,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mple of a golf ball to correspond to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로안착홈(2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eating grooves (23a) that are formed with a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안착홈(23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eating grooves (23b) whose length is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20)는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tachment prevention protrusion (27) that protrudes upward at the end and has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to 6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그릇본체(10)는The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l body (10),

원형 또는 다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 테두리부(13)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3)에 의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14)에 음식을 담아 먹을 수 있도록 하고, 형상과 크기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t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 shape, and a border (1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edge, and a storage space (14) capable of storing food is formed by the border (13), so that foo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and eaten.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hape and size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러한 본 발명의 그릇본체(10)는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owl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tch (15) that protrudes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and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m (13).

상기 걸림돌기(15)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그릇본체(10)를 적층시켜 보관할 때, 상부에 위치한 그릇본체(10)의 걸림돌기(15)가 하부에 위치한 그릇본체(10)의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그릇본체(10)가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s shown in Drawing 4, the above-mentioned catch (15) realiz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catch (15) of the bowl body (10) located at the top to be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edge (13) of the bowl body (10) located at the bottom when storing multiple bowl bodies (10) in a stacked state,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bowl body (10) located at the top in a stacked state.

아울러, 본 발명의 그릇본체(10)와 테두리부(13)의 내측 사이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의 R면(16)이 형성되는데, 상기 R면(16)에 의해 세척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Drawing 4, a curved R-surface (1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wl body (10) and the rim (1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ffect of easy cleaning can be obtained by the R-surface (16).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받침부(20)는The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20),

상기 그릇본체(10)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한 세로길이(h')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10) 너비(w)의 1/2 이상의 너비(w')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식사시 숟가락과 젓가락을 상부에 올려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탁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며 식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bowl body (10)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but has a vertical length (h') that is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bowl body (10), and has a width (w') that is at least 1/2 of the width (w) of the bowl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place a spoon and chopsticks on top and use them when eating, thereby improving the hygiene of the dining table and making eating more convenient.

이러한,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종래에 그릇과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수저받침대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wider area than a spoon support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a bowl in the past,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allowing a spoon and chopsticks to be used more stably.

이때,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에 돌출형성되는 받침돌기(2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rojection (20a) that protrudes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and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상기 받침돌기(20a)는 사용자가 받침부(20)의 상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 안착시켰을 때 본 발명의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이 기울어져 음식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above-mentioned support protrusion (20a) prevents the spoon rest integrated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ilting and food from spilling when the user places a spoon and chopsticks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2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받침부(20)의 세로길이(h')는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세로길이(h')가 상기 세로길이(h)의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받침부(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시킬 우려가 있고, 상기 세로길이(h')가 상기 세로길이(h)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받침부(20)의 면적이 너무 넓어져 식탁의 상부 공간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숟가락과 젓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explain in more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support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bowl body (10). This is because, if the vertical length (h')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vertical length (h),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ser may unconsciously place the spoon or chopsticks in front or behind the support portion (20), and if the vertical length (h') is formed to exceed the vertical length (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of the support portion (20) becomes too large and the usability of the upper space of the table is re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by forming it to be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bowl body (10) as described above, a sufficient area is secured for placing the spoon and chopsticks,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spoon and chopstick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아울러, 본 발명의 받침부(20)의 너비(w')는 상기 그릇본체(10)의 너비(w)의 1/2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너비(w')가 상기 너비(w)의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통상의 식사시 사용되는 앞접시 등과 같은 그릇의 너비를 고려할 때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안착시킬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기 어렵고, 상기 너비(w')가 상기 너비(w)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받침부(20)의 면적이 너무 넓어져 식탁의 상부 공간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상기 그릇본체(10)의 너비(w)의 1/2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안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숟가락과 젓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 of the support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be formed to be at least 1/2 of the width (w) of the bowl body (10). This is because, if the width (w')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width (w),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area where a spoon and chopsticks can be placed together when considering the width of a bowl such as an appetizer plate used during a normal meal. In addition, if the width (w') is formed to exceed the width (w), the area of the support portion (20) becomes too large, which reduces the usability of the upper space of the dining ta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by forming it to be at least 1/2 of the width (w) of the bowl body (10) as described above, a sufficient area where a spoon and chopsticks can be placed together is secured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spoon and chopstick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이때, 상기 테두리부(13)의 외측과 상기 받침부(20)의 사이는 앞서 설명된 그릇본체(10)와 테두리부(13)의 내측 사이와 마찬가지로 만곡된 형상의 R'면(17)이 형성되는데, 상기 R'면(17)에 의해 세척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a curved R' surface (17)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rame (13) and the support (20), similar to the inner side of the bowl body (10) and the frame (13) described above, and an effect of easy cleaning can be obtained by the R' surface (17).

아울러,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말단 즉,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도면에서는 세로길이(h)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on protrusion (27) tha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the end, that is, the end opposite to the bowl body (10), and has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vertical length (h) direction in the drawing).

상기 이탈방지돌기(27)는 상기 받침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상기 받침부(20)의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above-mentioned anti-separation protrusion (27)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to minimize the spoon and chopsticks being used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20),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enabling the spoon and chopsticks to be used more stably.

이때, 상기 이탈방지돌기(27)와 받침부(20)의 상부면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도면 미표시)이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curved R-shaped surface (not shown in the drawing)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eparation protrusion (27) and the support part (20) to facilitate cleaning.

아울러,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전후방향(도면에서는 세로길이(h)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그릇본체(10)방향에 숟가락안착면(22)을 형성하고,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에 젓가락안착면(24)을 형성하도록 상부면을 구획하며,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획돌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and forming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vertical length (h) direction in the drawing) to form a spoon mounting surface (22) in th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a chopstick mounting surface (24)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titioning protrusion (21) formed so that the side surface slopes laterally as it goes downward.

상기 구획돌기(21)는 사용자가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하여 받침부(2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받침부(20)의 상부면을 구획함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의 음식물이 서로 묻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숟가락과 젓가락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above-mentioned partition protrusion (21) partition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spoon and chopsticks separately on the support portion (20), thereby preventing food from the spoon and chopsticks from getting on each other and making it easier to use the spoon and chopsticks.

이때, 상기 구획돌기(21)는 측면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이 근접한 경우 각각 숟가락안착면(22)과 젓가락안착면(24)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partition protrusion (21) is formed so that it slopes laterally as it goes downward on the side, so that when the spoon and chopsticks come close, they can move to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and the chopstick seating surface (24), respectively.

부가하여, 상기 구획돌기(21)의 측면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이는 본 발명의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above-mentioned partition projection (21)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which not only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spoon rest integrated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realize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clean.

아울러, 상기 구획돌기(21)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이 젓가락안착면(24)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2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숟가락이 차지하는 면적이 젓가락보다 크기 때문에 안정정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이 각각 받침부(20)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artition projection (21)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spoon seating surface (22) can be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chopstick seating surface (24). This is to ensure that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stably seated on the support portion (20) respectively,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spo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chopsticks.

한편,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 즉,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먼 곳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poon mounting surface (22)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3)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that is, far from the user.

상기 안착홈(23)은 골프공의 딤플 형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 일부가 내입되어 숟가락이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숟가락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above-mentioned settling groove (2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mple of a golf ball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so that a part of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is embedded, thereby allowing the spoon to be more stably sett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making it easy to clean, and also realizing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poon from being dislodged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안착홈(23)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 즉,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먼 곳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로안착홈(23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nchoring groove (23),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spoon anchoring surface (22), but may be formed to be located at the rear, that is, far from the use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anchoring grooves (23a) that are formed in a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다른 실시예의 가로안착홈(23a) 또한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 일부가 내입되어 숟가락이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숟가락이 측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하여 숟가락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orizontal fixing groove (23a) is also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so that a part of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is recessed, thereby allowing the spoon to be more stably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nd not only making it easy to clean, but also allowing the spoon to move only in a lateral direction, thereby minimizing the spoon from being dislodged forward or backward.

안착홈(23)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 즉,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먼 곳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안착홈(2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nchoring groove (23),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spoon anchoring surface (22), but may be formed to be located at the rear, that is, far from the use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anchoring grooves (23b) that are formed in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또 다른 실시예의 세로안착홈(23b) 또한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 일부가 내입되어 숟가락이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숟가락이 전후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하여 숟가락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fixing groove (23b) is also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so that a part of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is recessed, thereby allowing the spoon to be more stably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nd not only making it easy to clean, but also allowing the spoon to move on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reby minimizing the spoon from being detached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세가지 실시예의 안착홈 즉, 안착홈(23)과 가로안착홈(23a) 및 세로안착홈(23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함께 형성될 수 있는데, 모두 함께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는 숟가락안착면(22)의 곳곳에 고르게 분포되어 형성되고, 가로안착홈(23a)은 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세로안착홈(23b)은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숟가락이 숟가락안착면(22)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ee mounting groov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the mounting groove (23), the horizontal mounting groove (23a), and the vertical mounting groove (23b), can all be formed together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y are all formed together, a preferred embodiment is that they are evenly distributed and formed throughout the spoon mounting surface (22), the horizontal mounting groove (23a) is formed to be positioned forward, and the vertical mounting groove (23b) is formed to be positioned backward, so that the spoon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oon mounting surface (22).

한편,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상기 젓가락안착면(24)에 형성되되, 후방 모서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고정홈(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후방고정홈(25)은 젓가락의 하부 즉, 음식과 접촉되는 하부가 유동이 최소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chopsticks resting surface (24)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ar fixing grooves (25) formed on the rear edge. The rear fixing grooves (25) realize the effect of allowing the lower part of the chopsticks, i.e. the lower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d, to be stably rested with minimal movement.

또한, 본 발명의 받침부(20)는 상기 젓가락안착면(24)에 형성되되, 전방 모서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방고정홈(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전방고정홈(26)은 젓가락의 상부 즉,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는 상부가 유동이 최소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chopsticks resting surface (24)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ront fixing grooves (26) formed on the front edge. The front fixing grooves (26) realize the effect of allowing the upper part of the chopsticks, i.e. the upper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hand, to be stably rested with minimal movement.

이때, 상기 후방고정홈(25)은 상기 전방고정홈(26)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젓가락의 하부가 상부보다 폭 또는 직경이 작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젓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fixing groove (25) be formed with a smaller width than the front fixing groove (26). This is to enable the chopsticks to be more stably secured since the lower part of the chopsticks has a smaller width or diameter than the upper part.

부가하여, 상기 전방고정홈(26)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고정홈(25)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되, 젓가락안착면(24)보다 세로길이가 높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fixing groove (26)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s it goes toward the rear, and the rear fixing groove (25)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toward the front, but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length higher than that of the chopsticks mounting surface (24).

이는 음식물이 닿은 젓가락의 하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젓가락안착면(24)에 안착된 젓가락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닿은 젓가락의 하부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is allows the chopsticks, which are placed on the chopstick resting surface (24), to remain tilted upwards as they move backwar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hopsticks that touches the food can remain floating in the air,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ygiene of the lower part of the chopsticks that touches the food.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10 : 그릇본체 h, h' : 세로길이
w, w' : 너비 13 : 테두리부
14 : 수용공간 15 : 걸림돌기
16 : R면 17 : R'면
20 : 받침부 20a : 받침돌기
21 : 구획돌기
22 : 숟가락안착면 23 : 안착홈
23a : 가로안착홈 23b : 세로안착홈
24 : 젓가락안착면 25 : 후방고정홈
26 : 전방고정홈 27 :이탈방지돌기
10: bowl body h, h': vertical length
w, w' : width 13 : border
14 : Reception space 15 : Obstacle
16: R side 17: R' side
20: Support part 20a: Support protrusion
21: Compartment protrusion
22: Spoon resting surface 23: Resting groove
23a: Horizontal mounting groove 23b: Vertical mounting groove
24: Chopstick mounting surface 25: Rear fixing groove
26: Front fixing groove 27: Anti-separation projection

Claims (7)

가장자리에 테두리부(13)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3)에 의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되는 그릇본체(10);와
상기 그릇본체(10)의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세로길이(h)와 동일한 세로길이(h')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그릇본체(10) 너비(w)의 1/2 이상의 너비(w')를 갖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0);와
적층 수납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그릇본체(10)의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받침부(2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그릇본체(10)방향에 숟가락안착면(22)을 형성하고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에 복수 개의 전방고정홈(26)과 후방고정홈(25)을 갖는 젓가락안착면(24)을 형성하도록 상부면을 구획하며,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획돌기(21)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받침부(20)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7)와, 상기 이탈방지돌기(27)와 받침부(20)의 상부면 사이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R면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구획돌기(21)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이 젓가락안착면(24)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2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것과,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고, 골프공의 딤플형상으로 형성되어 숟가락의 볼록한 하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23);과 상기 받침부(20)의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그릇본체(10)의 반대방향에 돌출형성되는 받침돌기(2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
A bowl body (10) in which a rim (13) protrudes upward on the edge and a receiving space (14) for containing food is formed by the rim (13); and
A support part (20) that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above bowl body (10) and has a vertical length (h') that is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h) of the above bowl body (10) and a width (w') that is at least 1/2 of the width (w) of the above bowl body (10); and
In order to ensure the stability of stacked storag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tch (15) tha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body (10) and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m (13).
The above-mentioned support part (20) is formed by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and forming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form a spoon-receiving surface (22) in th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a chopstick-receiving surface (24) having a plurality of front fixing grooves (26) and rear fixing grooves (25)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and forms a partition protrusion (21) formed so that the side surface slopes laterally as it goes downward,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20) is form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27)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opposite end of the bowl body (10) to protect the spoon and chopsticks from being separated laterally, but has a length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curved R-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27)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to facilitate cleaning.
The above-mentioned partition projection (21)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spoon mounting surface (22) can be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chopstick mounting surface (24).
A spoon rest-integrated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20) is formed on the spoon resting surface (22), is positioned at the rear,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23) formed in the shape of a golf ball's dimples to correspond to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spoon; and a support projection (20a)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but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wl body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본체(10)와 테두리부(13)의 내측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테두리부(13)의 외측과 상기 받침부(20)의 사이는 만곡된 형상의 R'면(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
In the first paragraph,
A spoon rest-integrated bowl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R-surface (1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wl body (10) and the rim (13), and a curved R'-surface (17)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rim (13) and the support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로안착홈(2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
In the first paragraph,
A spoon rest integrated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20) is formed on the spoon resting surface (22),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resting grooves (23a) having a length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숟가락안착면(22)에 형성되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안착홈(23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일체형 그릇.
In the first paragraph,
A spoon rest integrated bowl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20) is formed on the spoon resting surface (22),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resting grooves (23b) whose length is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KR1020240010580A 2024-01-24 Spoon holder integrated bowl Active KR102783698B1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3698B1 true KR102783698B1 (en) 2025-03-1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020A (en) Dinner tray
US3069046A (en) Drinking cup construction
US20120273384A1 (en) Food and beverage tray
US20130160679A1 (en) Multi-Purpose Table with Inlaid Storage Container
KR101545236B1 (en)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compatible with container
KR102783698B1 (en) Spoon holder integrated bowl
KR20120038858A (en) Tableware for infant
KR200496299Y1 (en) Baby tableware
KR20230042609A (en) Dish Having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GB2140290A (en) Lap tray
KR101908849B1 (en) Baby food plate
KR102769400B1 (en) Cutlery tableware holder
KR200390922Y1 (en) A vessel structure for a cold noodle dish
JP6888197B1 (en) Kitchen tool holder
JP5078292B2 (en) Stable self-help tableware
KR102569777B1 (en) A Bowl with a Spoon and Chopsticks Groove
KR20220000442U (en) 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combined small dish
JP3236253U (en) Food utensils
KR200287246Y1 (en) Sanitary spoon stand
KR200175671Y1 (en) Food vessels having a holding portion of tablewares
KR20210035514A (en) Integral food container
JP3109621U (en) Tableware for food and drink, onion, eggplant and rice cake
KR20230115029A (en) Cutlery holder
JP3118370U (en) Pet tableware
KR20180000188U (en) Spo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