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3490B1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3490B1 KR102783490B1 KR1020230078978A KR20230078978A KR102783490B1 KR 102783490 B1 KR102783490 B1 KR 102783490B1 KR 1020230078978 A KR1020230078978 A KR 1020230078978A KR 20230078978 A KR20230078978 A KR 20230078978A KR 102783490 B1 KR102783490 B1 KR 102783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housing
- driving device
- damping
- lens dr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네트, 하우징 및 보빈과 결합되는 탄성 부재 및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를 포함하고, 보빈은 보빈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광축 방향으로 보빈의 돌출부와 중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댐핑부는 보빈의 돌출부 및 하우징의 수용홈과 결합된다.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coil and a magnet for moving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an optical axis, an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a damp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groove overlapping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the damp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오토 포커싱을 실행할 때 보빈의 광축 방향 진동을 감쇠하여 보빈의 광축 방향 공진현상을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that prevent optical axis direction resonance of the bobbin by damping optical axis direction vibration of the bobbin when performing auto focusing.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IT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with built-in miniature digital cameras is actively underway.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렌즈 구동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IT products with conventional built-in miniature digital cameras, a lens drive device is built in to align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image sensor that converts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digital video and the lens.
그러나,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형성된 디지털 이미지의 선명성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에 가장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는 지점을 찾는 제어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초점 방식을 실행하는 경우 렌즈가 장착된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보빈의 광축 방향 이동시 보빈에는 광축 방향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보빈의 광축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보빈 및 하우징의 고유 진동수에 가까워지거나 일치하는 경우 탄성부재로 서로 연결된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는 공진현상이 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범위를 초과하여 탄성부재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또는 공진 현상이 심한 경우 보빈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However, conventional ultra-small digital cameras are configured to execute a control process to find a point where the sharpest image is generated on the image sensor based on the sharpness of the digital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n order to perform the auto-focus function. When this auto-focus method is executed, the bobbin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when this bobbin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vibration occurs in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hen the frequency of this vibration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pproaches or matche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and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elastic recovery range of the elastic member is exceeded, the life of the elastic member is reduced, or if the resonance phenomenon is severe, the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using is damaged.
따라서, 실시 예는 오토 포커싱 실행시의 공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provides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a resonance phenomenon during auto-focusing executio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또한, 실시 예는 오토 포커싱 실행시의 공진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provides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that more efficiently eliminates a resonance phenomenon when performing auto-focusing.
또한,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공정 중 조립된 렌즈 구동 장치의 세정 과정에서 댐핑부의 손실 현상을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provides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that prevents loss of a damping part during a cleaning process of an assembled lens driving device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의 돌출부와 중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과 결합된다.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coil and a magnet for moving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an optical axis; an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a damp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groove overlapping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the damp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The protrusion of the above bobbi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above housing.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The protrusion of the above bobbin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above housing.
상기 수용홈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보빈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보빈의 하측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groove can contact the protrusion when the bobbin moves downward, thereby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range of the bobbin.
상기 하우징은 측부와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코너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bove housing includes a side portion and a corner portion. The above protrusion of the bobbin can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above corn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1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n upper elastic member including a first inner frame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 first outer frame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inner frame and the first outer frame. The first outer frame may include a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하면보다 상기 보빈의 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상면보다 상기 보빈의 하면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tha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Alternatively, the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tha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하우징은 측부와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side portion and a corner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can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lower elastic member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coil may be placed on the bobbin, and the above magnet may be placed on the housing.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2개의 스프링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elastic member may include two spring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prings.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용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sensing magnet arranged on the bobbin;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acing the sensing magne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bbin.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네트;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와 중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과 결합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이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a bobbin disposed in the housing; a coil and a magnet for moving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an optical axis; an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a damp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groove overlapping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the damp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와 결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돌기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includes an upper elastic member including an inner frame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n outer frame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coupled with the inner frame,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coupled with the outer frame, and when viewed from above,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second protrusion.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상술한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ens; a lens driv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an image sensor.
실시 예는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 댐핑부를 포함함으로써, 오토 포커싱 실행시 보빈의 광축 방향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 예는 오토 포커싱 실행시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 공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시 예는 보빈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부 탄성부재 및/또는 하부 탄성부재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dampen vibration of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auto-focusing is performed by including a damping member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As a result, the embodiment can eliminate resonance phenomen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when auto-focusing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embodiment can prevent damage and breakag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or the low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using.
또한 실시 예는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서 댐핑부의 부착영역을 증가시키는 댐핑용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댐핑부의 감쇠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오토 포커싱 실행시의 공진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서 댐핑부의 부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increase the damping area of the damping portion by providing a damping connecting portion that increases the attachment area of the damping por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thereby more efficiently eliminating the resonance phenomenon during auto-focusing execution and improving the attachment stability of the damping por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또한 실시 예는 댐핑부를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공정 중 조립된 렌즈 구동 장치의 세정과정에서 댐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세정과정의 세정액의 유압으로 인해 댐핑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provides a damping member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damping memb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a cleaning process of an assembled lens driving device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and as a result, preventing part or all of the damping member from being lost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부분 확대 저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수용홈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및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 하우징 및 커버부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 하우징 및 커버부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및 커버부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및 하우징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23a는 댐핑부가 없는 종래기술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 진동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3b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 진동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3c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 렌즈 구동 장치의 세정공정에 의해 댐핑부가 손실된 경우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 진동에 대한 그래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driving device with the cover member removed in Fig. 1.
Figure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than Figure 5.
Figure 7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upper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wer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2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1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3.
Figure 15 is a partially enlarged bottom view of Figure 13.
Figure 16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18 is a bottom view of a bobbin and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 housing, and a cover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2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housing and cov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nd cov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2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a bobbin and housing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Figure 23a is a graph of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thout a damping part.
Figure 23b is a graph of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3c is a graph of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when a damping part is lost due to a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 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drawing number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in other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ome features 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in an appropriate ratio.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ese details.
참고로, 도 1 내지 도 17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 방향, x축 방향은 제2 방향, y축 방향은 제3 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S. 1 to 17,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s, the x-axis and the y-axis mean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s the third direction.
도 1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커버부재(300)를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15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16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with a cover member (300) removed from FIG. 1,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140)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 5, FIG. 7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n upper elastic memb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and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wer elastic member (1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가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0)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a lens and an image sensor in a camera module so that the image sensor is positioned at the focal distance of the lens. In other words,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a device that performs an auto-focusing func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는, 커버부재(300), 상측 탄성부재(150), 보빈(110),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 하우징(140),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 및 인쇄회로기판(170), 하측 탄성부재(160), 베이스(210) 및 상기 보빈(110)의 광축 방향(즉, 제1 방향)의 변위량을 판단하는 변위 감지부와, 감쇠기(減衰器) 역할을 하는 댐핑부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ver member (300), an upper elastic member (150), a bobbin (110), a coil (120) provided in the bobbin (110), a housing (140), a driving magnet (13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70) provided in the housing (140), a lower elastic member (160), a base (210), and a displacement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amou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e., the first direction) of the bobbin (110), and a damping unit that functions as a damper.
커버부재(300)는 전체적으로 상자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베이스(210)와 함께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상측 탄성부재(150), 보빈(110),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 하우징(140),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수용한다.The cover member (300) has an overall box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10). The cover member (300) accommodates an upper elastic member (150), a bobbin (110), a coil (120) provided on the bobbin (110), a housing (140), a driving magnet (130) provided on the housing (14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70) withi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ogether with the base (210).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부면에 보빈(110)에 결합되는 렌즈가 외부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개구부에는 광투과성 물질로 구성된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 cover member (300) has an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to allow the lens coupled to the bobbin (110) to be exposed to external light. Additionally, a window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amera module.
상기 커버부재(300)는 하부에서 제1 홈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될 때 상기 제1 홈부(310)와 맞닿는 부분(즉, 제1 홈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홈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시 제1 홈부(310)와 제2 홈부(211)의 결합을 통해 일정 면적의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홈부에는 점도를 갖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즉, 상기 요홈부에 도포된 접착부재는 상기 요홈부를 통해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우어, 커버부재(300)가 베이스(210)와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서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include a first groove (310) at the bottom. At this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ase (210) may have a second groove (211) at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roove (310) wh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are combined (i.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310)). Wh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are combined, a groove of a certain area may be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groove (310) and the second groove (211). An adhesive having viscosity may be applied to the groove. That is,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grooved portion fills the gap between the facing surfaces of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through the grooved portion, so that when the cover member (300) is combined with the base (210), the space betwe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can be sealed, and also, when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are combined, the side can be sealed.
또한, 커버부재(300)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단자면과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단자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3 홈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320)는 상기 단자면과 마주보는 면 전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 3 홈부 안쪽으로 상기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서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groove (3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 The third groove (320) may be formed concavely on the entire surface facing the terminal surface, and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groove to seal the cover member (300), the base (2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and further, when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are combined, the side surface may be sealed.
한편, 상기 제1 홈부(310) 내지 상기 제3 홈부(320)는 베이스(210)와 커버부재(300)에 각각 형성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베이스(210)에만 형성되거나, 커버부재(300)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groove (310) to the third groove (320) are formed on the base (210) and the cover member (300),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ly on the base (210) in a similar shape or may be formed only on the cover member (300).
상기 베이스(21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300)와 결합하여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The above base (210) may be formed in an overall square shape and is combined with the cover member (300)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상기 베이스(210)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외측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된 단턱부가 구비된다. 상기 단턱부의 상기 소정 두께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부재(300)의 측면은 상기 단턱부의 상부 또는 측면에 안착 또는 접촉 또는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단턱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단부는 밑면 또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와 커버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밀봉될 수 있다.A step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to surround the lower edge of the base (210).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step portion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and when the cover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base (210),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can be settled or contacted or arranged or coupled to the upper or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ccordingly, the cover member (30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ep portion can be guided, and further, the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300) can be coupled so as to make surface contact,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can include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step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300) can be bonded and fixed and seal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제1 홈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홈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홈부(211)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제1 홈부(310)와 결합하여 요홈부를 형성하며, 접착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step portion, a second groove portion (2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of the cover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groove portion (211)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of the cover member (300) to form a groove portion, and may form a space filled with an adhesive member.
상기 베이스(210)는 중앙부근에서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above base (210) has an opening near the center. The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mage sensor arranged in the camera module.
또한, 상기 베이스(210)는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직각으로 돌출된 네 개의 가이드부재(21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다각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16)는 후술할 하우징(140)의 하부 가이드홈(148)에 삽입 또는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부재(216)와 상기 하부 가이드홈(148)로 인해, 상기 베이스(210)부의 상부에 하우징(140)이 안착 또는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210) 상의 하우징(14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140)이 렌즈 구동 장치(100)의 작동과정 중 진동 등으로 인해 또는 결합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장착되어야 할 기준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210) includes four guide members (216) that protrude upwardly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right angles from the four corner portions. The guide members may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The guide members (216) may be inserted into, fastened to, or coupled to the lower guide groove (148) of the housing (14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way, when the housing (140) is seated or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10) due to the guide members (216) and the lower guide groove (148),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housing (140) on the base (210) can be gu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housing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t which it should be mounted due to vibration, etc.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or due to a worker's mistake during the coupling process.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기둥 형상(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사각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인쇄회로기판(17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보빈(110)이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빈(110)을 수용한다.As illustrated in FIGS. 4 to 9, the housing (140) may have an overall hollow column shape (for example, a hollow square column shap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housing (140) is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two driving magnets (13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70), and accommodates a bobbin (110) therein so that the bobbin (110)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상기 하우징(140)은 네 개의 평평한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above has four flat sides. The sides of the housing (14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or larger than the driving magnet (13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마주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되는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또는 홈이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또는 홈은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를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각각에는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 즉 총 2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장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each of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140) facing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 magnet through-hole (141a) or groove in which a driving magnet (130) is installed, arranged, or fixed. The magnet through-hole (141a) or groove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agnet (130), and may also have a shape capable of serving as a guide. A first driving magnet (131) and a second driving magnet (132), i.e., a total of two driving magnets (130), may be mounted in each of the magnet through-holes (141a).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후술할 위치 감지센서(180)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고정 또는 안착되는 센서용 관통공(14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은 후술할 위치 감지센서(18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면에서는, 인쇄회로기판(170)이 장착 또는 배치 또는 가고정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용 돌출부(149)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용 돌출부(149)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170)에 형성된 장착용 관통구(173)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장착용 관통구(173)와 상기 장착용 돌출부(149)는 형상끼워맞춤 방식 또는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단순 가이드 기능만을 할 수도 있다.And,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140), a sensor through-hole (141b) into whic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or placed or fixed or settl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perpendicular to the two sides or on a side other than the two sid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through-hole (141b)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t least one mounting protrusion (149) is provided on the one side so that a printed circuit board (170) can be mounted or placed or temporarily fixed or settled. The above-described mounting protrusion (149) is inserted into a mounting through-hole (173) form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170)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through-hole (173) and the above-described mounting protrusion (149) are combined in a form-fitting manner or a force-fitting manner, but they may also have only a simple guide function.
여기서,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은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140),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may be configured as a flat pl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우징(140)의 추가 실시 예로서,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마주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141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과 상기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센서용 관통공(141b)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일측면에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housing (140), first and second magnet through-holes (141a)(141a') in which driving magnets (130) are installed, arranged, or fixed are provided on each of the opposing sides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140). In addition, a third magnet through-hole and a sensor through-hole (141b)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ird magnet through-hol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perpendicular to the opposing sides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140) or on a side other than the opposing sides. In addition, a fourth magnet through-hol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140).
즉,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에는 네 개의 마그네트용 관통공과 하나의 센서용 관통공(141b)이 구비된다.That is, four magnet through-holes and one sensor through-hole (141b) are provided on the four sides (141) of the housing (140).
이때, 상기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140)의 측면의 측방향 길이 전체에 (거의)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가진다. 반면, 상기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 및 상기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보다 측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측면에는 센서용 관통공(141b)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센서용 관통공(141b)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first magnet through-hole (141a) and the second magnet through-hole (141a') have the same size and the same shape, and have (almost) the same lateral length over the entire lateral leng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On the other hand, the third magnet through-hole and the fourth magnet through-hole have the same size and the same shap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lateral length than the first magnet through-hole (141a) and the second magnet through-hole (141a'). This is to secure a space for the sensor through-hole (141b), since the sensor through-hole (141b) must be formed on one side surface where the third magnet through-hole is formed.
당연하겠지만, 상기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 내지 상기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 각각에는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내지 제4 구동용 마그네트 각각이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된다. 이때, 마찬가지로, 상기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상기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140)의 측면의 측방향 길이 전체에 거의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 및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는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상기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보다 측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first driving magnet (131) to the fourth driving magnet are respectively installed, arranged, or fixed in the first magnet through-hole to the fourth magnet through-hole. At this time, similarly, the first driving magnet (131) and the second driving magnet (132)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nd have almost the same lateral length along the entire lateral leng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In addition, the third driving magnet and the fourth driving magnet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lateral length than the first driving magnet (131) and the second driving magnet (132).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마그네트 관통공과 상기 제4 마그네트 관통공은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제3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제4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과 무관하게 일측에 편향된 채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에 전자기력이 상기 일측에 편향되게 작용하므로 보빈(110)이 틸트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보빈(110) 및 코일(120)에 편향되지 않은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어, 보빈(110)의 제1 방향 이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Here, preferably, the third magnet through-hole and the fourth magnet through-hole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140). That is, the third driving magnet (130) and the fourth driving magnet (13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140). If the third driving magnet (130) and the fourth driving magnet (13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biased to one side regardless of the center of the housing (14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obbin (110) may tilt since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s on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to be biased to the one side. In other words, the third driving magnet (130) and the fourth driving magnet (130)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140), thereby applying an unbiased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bobbin (110) and the coil (120), thereby guiding the bobbin (110)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easily and accurately.
또한, 도 3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 스토퍼(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43)는 상기 커버부재(300)와 하우징(140) 몸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 발생 시 하우징(140)의 상부면이 커버부재(300)의 상부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143)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 스토퍼(14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3 to 6 and 8, a plurality of first stoppers (143)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The first stoppers (143) are intended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housing body (140), and can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In addition, the first stoppers (143) may also serve to guid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9, a guide groove (155)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ppers (143)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또한, 하우징(140)의 상측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상기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대응되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통공(152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곳에서 접착제 또는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frame support protrusions (144) may be formed protrudingly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40) to which the outer frame (152)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coupled. Meanwhi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first through hole (152a) or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may be formed on the outer frame (152)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ame support protrusions (144), and fixed therein by an adhesive or fusion, and the fusion may include thermal fusion or ultrasonic fusion.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대응되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162a)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곳에서 접착제 또는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a plurality of lower frame support protrusions (147) may be formed protruding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40) to which the outer frame (162)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is coupled. Meanwhile, an insertion groove (162a) or hole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may be formed on the outer frame (162)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support protrusions (147), and the insertion grooves or holes may be fixed therein by an adhesive or fusion, and the fusion may include thermal fusion or ultrasonic fusion.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변형 실시 예로서,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대신 하우징(140)의 내측면에는 요홈 형상의 마그네트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그네트 안착부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magnet (130) may be fixed to the magnet through-hole (141a) with an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 double-sided tape may be used. Alternatively, as a modified embodiment, instead of the magnet through-hole (141a), a grooved magnet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and the magnet mounting portion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driving magnet (130).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의 경우 보빈(110)의 코일(120)을 마주보는 면을 N극, 바깥쪽 면은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riving magnet (13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provided on the bobbin (110). In addition, the driving magne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the surface facing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may be arranged as the N pole, and the outer surface as the S pole. 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the opposit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 driving magne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wo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일정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또는 홈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넓은 면이 하우징(140)의 측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구동용 마그네트(130)들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서로 평행이 되도록 평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구동용 마그네트(130)과 보빈(110)의 코일(120) 중 어느 하나만이 평면이고, 다른 한 쪽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보빈(110)의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은 모두가 곡면일 수도 있으며, 이때, 보빈(110)의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의 곡률은 같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magnet (130)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installed in the magnet through-hole (141a) or groove so that a wide surface of the driving magnet (130) may form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At this time, the driving magnets (130) facing each other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driving magnet (13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At this time, the surfaces of the driving magnet (130) and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facing each other may be arranged in a plane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design, only one of the driving magnet (130) and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may be configured as a plane, while the other may be configured as a curved surface. Alternatively, the facing surfaces of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and the driving magnet (130) may both be curved, and in this case, the curvatures of the facing surfaces of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and the driving magnet (13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의 일측면에는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에는 위치 감지센서(180)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안착되며,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솔더링 또는 납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170)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이 구비되는 일측면의 외측면에 고정 또는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sensor through-hole (141b) or groov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40),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is inserted, placed, or fixed in the sensor through-hole (141b),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170) by soldering or soldering. In other words,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can be fixed, supported, or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141) of the housing where the sensor through-hole (141b) or groove is provided.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후술할 보빈(110)의 센싱용 마그네트(190)와 함께 상기 보빈(11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판단하는 변위 감지부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 및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abov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can be a displacement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ensing magnet (190) of the bobbin (110) to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and the sensor through-hole (141b) or groove are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magnet (190).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보빈(110)의 센싱용 마그네트(19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 예는 홀센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The abov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magnetic force emitted from a sensing magnet (190) of a bobbin (110). 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may be a Hall sensor.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Hall sensor, and any sensor that can detect a change in magnetic force may be used, and any sensor that can detect a position in addition to magnetic force may be used, and for example, a method using a photoreflector, etc. is also possible.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결합 또는 배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용 관통구(173)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장착용 돌출부(149)에 의해 설치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170) is coupled or plac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40) and may have a mounting through hole (173) or groove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can be guided by the mounting protrusion (14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40).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복수 개의 단자(17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 및 위치 감지센서(18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형성된 단자(171)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FPCB로 마련될 수 있다.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171) arranged thereon, and can receive external power to supply current to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The number of terminals (171)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onents that require control.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can be formed of an FPCB.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상기 변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변위값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120)의 인가전류량을 재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즉, 제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 상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실장되지 않고 별도의 다른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 다른 기판일 수도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re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20) based on the first displacement value detected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i.e.,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not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but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substrate, which may be a substrate on which an image sensor of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or may be a separate substrate.
상기 홀센서에 의해 탐지된 마그넷플럭스(즉, 자속밀도) 변화에 대한 홀전압차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 구동거리를 캘리브레이션을 추가로 할 수 있다.The actuator driving distance can be additionally calibrated based on the Hall voltage difference for the change in magnet flux (i.e., magnetic flux density) detected by the above Hall sensor.
보빈(110)은 제1 축 방향으로 고정된 하우징(140)에 대해 제1 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빈(110)의 제1 축 방향 이동으로 인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실행된다.The bobbin (110) is configur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fix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The auto-focusing function is execu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보빈(11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Regarding the bobbin (110), more specific description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광축 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can elastically support the rising and/or falling mo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bobbin (110).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can be provided as a plate spring.
도 2 내지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161)과 하우징(140)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162) 및 내측 프레임(151)(161)과 외측 프레임(152)(162)을 연결하는 연결부(153)(16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9 and 10,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include an inner frame (151)(161) coupled with the bobbin (110), an outer frame (152)(162) coupled with the housing (140), and a connecting portion (153)(163) connecting the inner frame (151)(161) and the outer frame (152)(162).
상기 연결부(153)(16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3)(16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광축방향의 제 1 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above connecting portion (153)(163) can be formed by being folded at least once to form a pattern of a certain shape. Through positional changes and micro-deformations of the connecting portion (153)(163), the bobbin (110) can be elastically (or elastically) supported in a rising and/or falling motion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복수 개의 제1 통공(152a)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51)에서 복수 개의 제2 통공(151a)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9,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ha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52a) in the outer frame (152)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51a) in the inner frame (151).
상기 제1 통공(152a)은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통공(151a) 또는 홈은 후술할 보빈(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지지돌기와 결합한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52)은 제1 통공(152a)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51)은 제2 통공(15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된다.The first hole (152a) is coupled with an upper frame support projection (14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and the second hole (151a) or groove is coupled with an upper support projec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outer frame (152) is fix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140) through the first hole (152a), and the inner frame (151) is fixed and coupled to the bobbin (110) through the second hole (151a) or groove.
상기 연결부(153)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이 상기 외측 프레임(15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한다.The above connecting portion (153) connects the inner frame (151) and the outer frame (152) so that the inner frame (151)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frame (152).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 및 외측 프레임(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inner frame (151) and the outer frame (152)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외측 프레임(162)에서 복수 개의 삽입홈(162a) 또는 홀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61)에서 복수 개의 제3 통공(161a)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hav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62a) or holes in the outer frame (162) and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161a) or grooves in the inner frame (161).
상기 삽입홈(162a) 또는 홀은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결합하고, 상기 제3 통공(161a) 또는 홈은 후술할 보빈(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지지돌기(114)와 결합한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62)은 삽입홈(162a) 또는 홀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61)은 제3 통공(16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된다.The above insertion groove (162a) or hole is coupled with the lower frame support protrusion (147)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and the third through hole (161a) or groove is coupled with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14)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outer frame (162) is fix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140)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62a) or hole, and the inner frame (161) is fixed and coupled to the bobbin (11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161a) or groove.
상기 연결부(163)는 상기 내측 프레임(161)이 상기 외측 프레임(16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한다.The above connecting portion (163) connects the inner frame (161) and the outer frame (162) so that the inner frame (161)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frame (162).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 하측 탄성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부재(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하측 탄성부재(160)는 제1 하측 탄성부재(160a)와 제2 하측 탄성부재(160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이 각각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결합된 후, 보빈(110)에 배치된 코일(120)의 양 끝선과 대응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위치에 솔더부를 마련하여, 상기 솔더부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하측 탄성부재가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다른 하나와 제2 하측 탄성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 및/또는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include a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a) and a second lower elastic member (160b)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10. Through this two-part structure,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receive power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r different powers from each other from the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a) and the second lower elastic member (160b). That is, after the inner frame (161) and the outer frame (16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a solder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inner frame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coil (120) arranged on the bobbin (110), and a conductive connection such as soldering is performed at the solder portion, so that power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r different powers can be received. In addition, the first lower elastic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two end wires of the coil, and the other of the two end wires of the coi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ower elastic member, so that current and/or voltage can be appli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와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조립 순서에 따라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nd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can be assembled through heat fusion and/or bonding using an adhesive, etc. At this time, the fixing work can be completed by bonding using an adhesive after heat fusion fixing according to the assembly order.
변형 실시 예로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2분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As a modified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as a two-part structure,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structure.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 및 외측 프레임(16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inner frame (161) and the outer frame (162)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상기 댐핑부는 렌즈 구동 장치의 오토 포커싱 작동시 발생하는 광축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기 역할을 한다. 상기 댐핑부는 렌즈 구동 장치의 오토 포커싱 작동시 이동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 및 렌즈 구동 장치의 오토 포커싱 작동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는 예를 들어 커버부재, 하우징, 베이스 등일 수 있고, 상기 이동체는 보빈 또는 렌즈일 수 있다.The above damping member acts as a damper that absorbs vib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at occurs when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is performed. The damp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a fixed body that does not move when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is performed and is fixed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a movable body tha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hen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is performed. The fixed body may be, for example, a cover member, a housing, a base, or the like, and the movable body may be a bobbin or a lens.
바람직하게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댐핑부는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amp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이때,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댐핑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또는 상기 댐핑부가 부착되는 부착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댐핑용 연결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댐핑용 연결부는 상기 보빈의 일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bobbin and the housing are provided with a damping connection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amping unit or an attachment area to which the damping unit is attached. That is, the damping connection is formed by a part of the bobbin and a part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댐핑부 및 댐핑용 연결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damping member and the damping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부분 확대 저면도이고, 도 16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용홈(117)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7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FIG. 15 is a partial enlarged bottom view of FIG. 13, FIG. 16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groove (1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10)은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40)의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여,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보빈(110)을 제1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1 to 17, the bobbin (11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40). A coil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so as to be able to electromagnetically interact with the driving magnet (130) of the housing (140), so that the bobbin (110) can be reciprocal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coil (120) and the driving magnet (130). In addition, the bobbin (110) is elastically (or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so as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상기 보빈(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렌즈배럴은 후술할 카메라모듈의 구성부품으로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필수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보빈(110)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bobbin (110) may include a lens barrel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lens installed therein, although not shown. However, the lens barrel may be a component of a camera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not be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female screw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male screw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so that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by screw coupling.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by a method other than screw coupling without forming screw threa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lternatively, one or more lenses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110) without the lens barrel. The lens coupled to the above lens barrel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iece, or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lenses to form an optical system.
또한,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113)와 복수 개의 하측 지지돌기(1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rotrusions (113) and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protrusions (114) may be formed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110).
상측 지지돌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기 상측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통공(151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돌기와 제2 통공(151a) 또는 홈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측 지지돌기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prism shape, and may combine and fix the inner frame (151)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econd through-hole (151a) or a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of the inner frame (151)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t this tim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and the second through-hole (151a) or the groove may be fixed by heat fusion, or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epoxy. 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within a range that can avoid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That is,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or the intervals may not be regular, but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specific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하측 지지돌기(11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하측 탄성부재(160)의 상기 내측 프레임(161)의 상기 하측 지지돌기(11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3 통공(161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돌기(114)와 제3 통공(161a) 또는 홈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측 지지돌기(11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114)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114)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14), as illustrated in FIG. 1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prism shape lik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described above, and may combine and fix the inner frame (161)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nd the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hird through hole (161a) or a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14) of the inner frame (161)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t this time,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114) and the third through hole (161a) or the groove may be fixed by heat fusion, or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such as epoxy.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protrusions (114) may be provided as illustrated in FIG. 12.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each lower support protrusion (114) can be appropriately arranged within a range that can avoid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That is, each lower support protrusion (114) can be arranged at a constant interval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그리고, 상기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연결부(153) 및 하측 탄성부재(160)의 연결부(16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 도피홈(112) 및 하측 도피홈(118)이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 upper escape groove (112) and a lower escape groove (118)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153)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63)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상기 상측 도피홈(112)과 상기 하측 도피홈(118)이 구비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부(153)(163)와 보빈(11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여 연결부(153)(163)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도피홈의 위치는 실시 예처럼 하우징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부재의 연결부 형상 및/또는 위치에 따라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By providing the upper escape groove (112) and the lower escape groove (118),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spatial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53)(163) and the bobbin (110) is eliminated, thereby facilitat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53)(163).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upper escape groove may be arranged at the corner of the housing as in the embodiment, but may also be arranged on the side depending on the shape and/or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코일(120)이 설치되는 코일용 안착홈(116)이 구비될 수 있으나, 안착부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il mounting groove (116) in which a coil (12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but only a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상기 코일(120)은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코일용 안착홈(116) 또는 안착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120)을 직접 보빈(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코일용 안착홈(116) 또는 안착부에 권선할 수도 있다.The above coil (120) may be provided as a ring-shaped coil block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or the coil mounting groove (116) or mounting por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120) may be wound direct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or the coil mounting groove (116) or mounting portio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1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8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빈(110) 또한 8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0)은 적어도 4면은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들 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또는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직선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0)과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상기 코일(12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코일(120)이 직선이면,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120)이 곡선이면,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곡선일 수 있으며, 또한, 같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0)이 곡선이더라도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il (120) may be formed into an approximately octagonal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3. This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the bobbin (110) may also be provided in an octagonal shape. In addition, the coil (120) may have at least four sides formed as straight lines, and the corner portions connecting these sides may be configured as round or straight lines. At this time, the straight lines may be formed to b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agnet (130).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driving magnet (130)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coil (120). That is, if the coil (120) is straight,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magnet (130) may be straight, and if the coil (120) is curved,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magnet (130) may be curved and may also have the same curvature. In addition, even if the coil (120) is curved,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magnet (130) may be straight, or vice versa.
상기 코일(120)은 보빈(110)을 광축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력이 보빈(110)을 움직일 수 있다.The above coil (120) is intended to perform an auto-focus function by moving the bobbin (11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hen current is supplied, it can form an electromagnetic force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driving magnet (130), and the formed electromagnetic force can move the bobbin (110).
한편, 상기 코일(120)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 전체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면, 상기 코일(120)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만일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광축에 수직한 면으로 2분할 되어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코일(120) 역시 분할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coil (12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magnet (130). As illustrated, if the driving magnet (130) is configured as a single body so that the entire surface facing the coil (120) has the same polarity, the coil (120) may also be configured so that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agnet (130) has the same polarity. Meanwhile, although not illustrated, if the driving magnet (130) is divided into two by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the surface facing the coil (12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the coil (12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driving magnets (130).
그리고, 상기 보빈(110)은 전술한 하우징(140)의 위치 감지센서(180)와 함께 변위 감지부에 포함되는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구비한다.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상기 보빈(110)에 고정 또는 배치 또는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상기 보빈(110)의 제1 방향 이동시에 상기 보빈(110)과 동일한 변위량만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빈(110)의 상부 방향이 N극, 보빈(110)의 하부 방향이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nd, the bobbin (110) is provided with a sensing magnet (190) included in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together wit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of the housing (140) described above. The sensing magnet (190) is fixed, arranged, or coupled to the bobbin (110). As a result, the sensing magnet (19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same displacement amount as the bobbin (110)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sensing magnet (190) can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can be arranged so that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is the N pole,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is the S pole. 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the opposit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 sensing magnet (190) can be configured so as to be divided into two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10)은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7)을 구비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13 to 17, the bobbin (110) may have a receiving groove (117) for receiving the sensing magnet (19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상기 수용홈(117)은 보빈(110)의 외부면에서부터 소정 깊이 보빈(1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eceiving groove (117) can be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수용홈(117)의 적어도 일부 이상이 상기 코일(1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빈(1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7)은 적어도 일부 이상이 코일용 안착홈(116)보다 더 보빈(11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수용홈(117)을 보빈(1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보빈(11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빈(110)의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groove (1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bbin (11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7)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coil (120).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7)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more than the coil mounting groove (116). In this way, by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117) in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the sensing magnet (19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bbin (110), and thus, there is no need to secure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for the sensing magnet (190),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obbin (110).
특히,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하우징(140)의 위치 감지센서(18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센싱용 마그네트(190)와 위치 감지센서(180) 사이의 거리가 코일(120)의 두께와 코일(120)과 위치 감지센서(180)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여기에 코일과 위치 감지센서 사이의 거리를 더 포함하여 그 거리로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위치 감지센서(180)의 자력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groove (117)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of the housing (140) (or at a position facing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magnet (190)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can be minimized to the thickness of the coil (120)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il (120)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an be further included therein, so that the magnetic detection accuracy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can be improved.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보빈(110)의 하부면 및 상부면 중 하나의 면에서 상기 수용홈(117)에 연통되는 개구(119)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7)은 보빈(110)의 하부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119)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119)는 상기 수용홈(117)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119)를 통하여 센싱용 마그네트(190)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분리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117) has an opening (119) tha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117) on on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receiving groove (117) may be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10) to form an opening (119), and the opening (119) may form an entrance of the receiving groove (117). A sensing magnet (190) may be inserted, placed, or fixed through the opening (119), and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일면이 지지되는 내측면과,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면보다 소정 깊이 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용 홈(117b)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5 to 17, the receiving groove (117)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on which one side of the sensing magnet (190) is supported, and an adhesive groove (117b) that is formed to be concave inward by a predetermined depth more than the inner surface so that adhesive can be injected.
상기 내측면은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일면으로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넓은 면이 접촉 또는 안착되는 면이다.The inner surface is a surface positioned in an inner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and is a surface on which a wide surface of the sensing magnet (190) comes into contact or is seated when the sensing magnet (19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내측면 중 일부분을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더 깊게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접착용 홈(117b)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119)에서부터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일면이 접촉 또는 안착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의 내부 일면까지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adhesive groove (117b) may be a groov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is more deeply concave in the inner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The above-mentioned adhesive groove (117b) is preferably formed from the opening (119)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bbin (110) where one surface of the sensing magnet (190) comes into contact with, is seated, or is arranged.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보빈(110)의 상하 두께방향으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1 추가홈(117c)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추가홈(117c)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이면이 접촉 또는 안착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의 내부 일면보다 더 깊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착용 홈(117b)의 연장부이다. 상기 제1 추가홈(117c)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가 개구(119)를 통하여 접착용 홈(117b)에 주입될 때 제1 추가홈(117c)에서부터 접착제가 충진되어 접착용 홈(117b) 내부를 충진하므로, 접착제가 접착용 홈(117b)에서 오버 플로우되어 센싱용 마그네트(190)와 수용홈(117) 사이의 틈새를 따라 코일(120)에까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결합과정 중 렌즈 구동 장치(100)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7, the adhesive groove (117b) further includes a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nsing magnet (190) in the vertical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bbin (110). That is, the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is an extension of the adhesive groove (117b) formed to be concave deeper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bobbin (110) on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sensing magnet (190) comes into contact or is seated or placed. By providing the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when the adhesive is injected into the bonding groove (117b) through the opening (119), the adhesive is filled from the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and fills the inside of the bonding groove (117b), so that the adhesive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from the bonding groove (117b) and flowing along the gap between the sensing magnet (190) and the receiving groove (117) to the coil (120),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s in the lens driving device (100) dur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sensing magnet (190).
또한,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개구(119)로부터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된 제2 추가홈(117a)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상기 개구(119)의 부근에서 상기 내측면보다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상기 접착용 홈(117b)과 연통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상기 접착용 홈(117b)의 연장부이다. 이렇게, 상기 제2 추가홈(117a)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가 제2 추가홈(117a)를 통하여 접착용 홈(117b)에 주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구(119) 근처에서 접착제가 오버 플로우되어 코일(120) 등 보빈(110)의 다른 구성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결합과정 중 렌즈 구동 장치(100)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groove (117b) further includes a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from the opening (119) toward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That is,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is formed deeper i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than the inner surface near the opening (119).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is connected to the adhesive groove (117b). In other words,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is an extension of the adhesive groove (117b).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the adhesive can be injected into the bonding groove (117b) through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from overflowing near the opening (119) and sticking to other components of the bobbin (110), such as the coil (120),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s in the lens driving device (100) dur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sensing magnet (190).
또한, 변형 실시 예로서,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접착용 홈(117b) 없이 단독으로 상기 보빈(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제2 추가홈(117a)에 주입하여 보빈(110)과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dified embodiment,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may be provided on the bobbin (110) alone without the adhesive groove (117b). In this case, the bobbin (110) and the sensing magnet (190) may be combined and fixed by injecting an adhesive into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제1 추가홈(117c) 및 상기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제1 추가홈(117c)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추가홈(117a)만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dhesive groove (117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and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That is, the adhesive groove (117b) may have only the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or only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변형 실시 예로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의 일면(즉, 넓은 면)이 지지되는 내측면과 상기 코일이 구비되는 상기 외주면(즉, 코일용 안착홈 표면) 사이의 깊이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는 코일의 권취로 인한 코일의 내측 가압력으로 수용홈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As a modified embodiment, the depth between the inner surface on which one side (i.e., the wide surface) of the sensing magnet is supported and the outer surface (i.e., the coil mounting groove surface) on which the coil is provided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ensing magnet. Accordingly, the sensing magnet can be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the inner pressing force of the coil due to the winding of the coil.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use an adhesive.
추가 실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빈(110)은, 상기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7)과 대칭된 위치에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추가 수용홈(117)과, 상기 추가 수용홈(117)에 수용되는 중량균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obbin (11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receiving groove (117)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receiving groove (117)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where the receiving groove (117) is formed, and a weight balance member received in the additional receiving groove (117).
즉, 상기 추가 수용홈(117)은 상기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7)과 일직선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소정 깊이 보빈(11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균형부재는 상기 추가 수용홈(117) 내에 고정 및 결합되며, 상기 자력 센싱부재와 동일한 중량을 가진다.That is, the additional receiving groove (117) is formed inwardly of the bobbin (110) at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symmetrical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eceiving groove (117)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where the receiving groove (117) is formed. In addition, the weight balance member is fixed and combined within the additional receiving groove (117) and has the same weight as the magnetic sensing member.
이렇게, 상기 추가 수용홈(117)과 상기 중량균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수용홈(117)과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구비로 인한 보빈(110)의 수평방향 무게 불균형을 중량균형부재의 장착으로 보상할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additional receiving groove (117) and the weight balance member, the horizontal weight imbalance of the bobbin (110) due to the provis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7) and the sensing magnet (190) can be compensated for by installing the weight balance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수용홈(117)은 상기 접착용 홈(117b), 상기 제1 추가홈(117c) 및 상기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dditional receiving groove (117)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groove (117b), the first additional groove (117c), and the second additional groove (117a).
도 18은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 하우징(140) 및 커버부재(300)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실시 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 하우징(140) 및 커버부재(300)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1은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 및 커버부재(300)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FIG. 18 is a bottom view of a bobbin (110) and a housing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110), a housing (140), and a cover memb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110), a housing (140), and a cover memb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110) and a cover member (300)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과 상기 보빈(110) 사이에는 댐핑부(410)가 구비된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댐핑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8, a damping member (410)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40) and the bobbin (110).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amping member (4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ving body and the fixed body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한 상기 제1 방향(즉, 광축 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damping part (410) serves to dampen vibration in the first direction (i.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due to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driving magnet (130) and the coil (120).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보빈(110)이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된다.The above damping member (410) is provided o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so that the bobbin (11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를 위하여, 상기 댐핑부(410)는 광경화성 수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핑부(410)는 UV경화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핑부(410)는 UV경화성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damping member (410) is composed of a photocurable resin. Preferably, the damping member (410) may be composed of a UV-curable resin, and more preferably, the damping member (410) may be composed of a UV-curable silicone.
상기 보빈(110)이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소정 범위에서 광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댐핑부(410)는 반경화된 겔(gel) 상태로 구비된다.In order to allow the bobbin (110)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out being completely fixed to the housing (140), the damping member (410) is provided in a semi-hardened gel state.
여기서, 상기 댐핑부(410)의 반경화 과정은 보빈(110)과 하우징(140) 사이의 공간(즉, 댐핑부(410)가 구비된 공간 및 댐핑부(410))을 빛(또는 UV)에 일정 시간 노출시킴으로써 실행된다.Here, the semi-hardening process of the damping part (410) is performed by exposing the space betwee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i.e., the space in which the damping part (410) is provided and the damping part (410)) to light (or UV)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그리고,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하우징(140)과 상기 보빈(110) 사이에서 복수 개 구비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댐핑부(410)는 상기 하우징(140) 및 상기 보빈(110)의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시 보빈(110)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광축 방향의 진동을 보빈(110) 둘레에서 균일하게 흡수함으로써 보빈(110)의 광축 방향의 진동이 일측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nd, the damping members (410)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between the housing (140) and the bobbin (110). In this case, preferably, the multiple damping members (410)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the same ang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140) and the bobbin (110). This is to prevent the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bobbin (110) from being biased in one direction by uniformly absorbing the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genera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bobbin (110) during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round the bobbin (110).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댐핑부(410)가 짝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댐핑부(410)는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 사이에서 한 쌍씩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when the plurality of damping parts (410) are provided in an even number, the plurality of damping parts (410) may be arranged in pairs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은 댐핑용 연결부(4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사익 댐핑용 연결부(420)는 상기 보빈(110)의 일부와 상기 하우징(140)의 일부로 구성된다.The abov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include a damping connection (420). In other words, the damping connection (420) is composed of a part of the bobbin (110) and a part of the housing (140).
상기 댐핑용 연결부(420)는 상기 댐핑부(410)의 감쇠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댐핑부(410)의 부착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The above damping connection part (42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attachment area of the damping part (410) in order to increase the damping area of the damping part (410).
또한, 상기 댐핑용 연결부(420)는 상기 댐핑부(410)가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 사이에서 안전하게 수용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댐핑부(410)가 반경화 과정을 거치기 전에는 액상 또는 반액상 상태이므로 보빈(110)과 하우징(140) 사이에 댐핑부(410)를 주입하는 경우 댐핑부(410)가 보빈(110)과 하우징(140) 사이의 일정 위치에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damping connection part (420) is configured so that the damping part (410) can be safely accommodated or fixed betwee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This is because, since the damping part (410) is in a liquid or semi-liquid state before undergoing a semi-hardening process, it is difficult for the damping part (410) to be maintained at a certain position betwee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when the damping part (410) is injected betwee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상기 댐핑용 연결부(420)는, 상기 보빈(110)의 일부와 상기 하우징(140)의 일부가 렌즈 구동 장치(100)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공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된다.The above damping connection part (420) is configured so that a part of the bobbin (110) and a part of the housing (140) overlap spatial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plan view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구체적으로, 상기 댐핑용 연결부(420)는,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 중 하나의 부재에 구비되는 댐핑용 돌출부(421)와,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부재에 구비되는 댐핑용 수용홈(423)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damping connection part (420) includes a damping protrusion (421) provided on one of the member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and a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provided on the other member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즉,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보빈(110)에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damping projection (421) may be provided on the bobbin (110)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40), or the damping projection (421)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40)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may be provided on the bobbin (110).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급적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가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가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for the sake of clarity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damping protrusion (421) is provided on the bobbin (110)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provided on the housing (140)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 중 하나의 부재에서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이 대향하는 대향면에 복수 개 구비된다. 즉,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110)에 속하는 대향면을 제1 대향면(P1)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140)에 속하는 대향면을 제2 대향면(P2)이라고 할 경우,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대향면(P1)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가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제2 대향면(P2)에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damping protrusions (421)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in one of the member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That is,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have opposing surfaces that face each other, and when the opposing surface belonging to the bobbin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opposing surface (P1) and the opposing surface belonging to the housing (140) is referred to as a second opposing surface (P2), the damping protrusions (421) are provided on the first opposing surface (P1) as illustrated in FIGS. 18 to 21. Of course, when the damping protrusions (421) are provided on the housing (140), the damping protrusions (421)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opposing surface (P2).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의 제1 대향면(P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40) 또는 상기 제2 대향면(P2)을 향해 소정 길이 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전체적으로 판형 부재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 damping protrusion (421)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first facing surface (P1) of the bobbin (110) toward the housing (140) or the second facing surface (P2) by a predetermined length. Preferably, the damping protrusion (421) may have an overall plate-shaped member shape.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소정 두께를 구비하고,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소정 두께가 후술할 댐핑용 수용홈(423)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된다.The above damping protrusion (421)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damping protrusion (421) is configured so that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하우징(140)의 제2 대향면(P2)에서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구비된다.The above damping receiving grooves (423)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damping protrusions (421) on the second facing surface (P2) of the housing (140).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제2 대향면(P2)에서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일부 및 상기 댐핑부(410)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하우징(140)의 제2 대향면(P2)에서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abov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concavely on the second facing surface (P2) to receive a part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portion (410). That is,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concavely in an outward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40) on the second facing surface (P2) of the housing (140).
그리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소정의 폭(즉, 수평방향의 좌우길이)과 소정의 높이(즉, 수직방향의 상하길이)를 가진다. 이때,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의 소정의 폭이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폭보다 크도록 그리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의 소정의 높이가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소정 두께보다 크도록 구성된다.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has a predetermined width (i.e., horizontal left-right length) and a predetermined height (i.e., vertical up-down length). At this time,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이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과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과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가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들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과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가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들이 소정 거리 이격된 수용공간에 구비 또는 부착 또는 충진된다.In other words,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nd the damping protrusion (421) are provided in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so that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nd the damping protrusion (4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damping member (410) is provided or attached to or filled in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nd the damping protrusion (4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으로 한정되는 단턱부(423a)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이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423a)는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같은 취지로,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이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423a)는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부(423a)로 인해, 반경화 과정 전의 댐핑부(410)가 하우징(140)의 댐핑용 수용홈(423) 내에서 일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댐핑부(410)의 위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댐핑부(410) 최종 형성과정(즉, 반경화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has a step portion (423a) that is limi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For example, when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40), the step portion (423a) is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In the same manner, when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40), the step portion (423a) is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Due to this step portion (423a), the damping portion (410) before the semi-curing process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position within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of the housing (140), an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damping portion (410) can be stably maintained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worker, thereby facilitating the final forming process (i.e., semi-curing process) of the damping portion (410).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일부의 외측면 전체를 소정 두께로 둘러싸도록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에 부착 또는 수용된다. 즉,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에 수용되는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일부의 상하면 및 전방면 그리고 양측면과,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의 단턱부(423a) 및 양측면 그리고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전방면의 대향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구비된다.The above damping member (410) is attached to or accommodated in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the damping member (410)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front surface, and both sides of a portion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accommodated in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the step portion (423a) and both sides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핑부(410),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에서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이 대향하는 대향면들의 모서리에 구비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 각각은 하우징(140)의 제2 대향면(P2) 각각에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된다. 즉, 상기 댐핑부(410),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안착되는 면과 중첩되지 않는 면에 구비된다.As illustrated in FIG. 18, the damping portion (410), the damping project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re provided at corners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where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magnets (130) is mounted, arranged, or fixed to each of the second opposing surfaces (P2) of the housing (140). That is, the damping portion (410), the damping project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re provided on a surfac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driving magnets (130) are mounted.
도 19 내지 도 21에는, 상기 댐핑부(410),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에서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이 대향하는 대향면들의 모서리에서 높이에 따른 구비위치를 다양한 실시 예로 도시되어 있다.In FIGS. 19 to 21, the damping portion (410),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re illustrated in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at the corners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according to height.
우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하우징(140)의 개방된 하부단부(즉, 댐핑용 수용홈(423)의 시작부분)로부터 상기 댐핌용 돌출부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형성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1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the damping projection (421)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10),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igher than the damping projection from the open lower end of the housing (140) (i.e., the start portion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즉,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의 단턱부(423a)가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상부면보다 소정 높이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re provided so that the step (423a)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a predetermined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이러한 상황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조립과정을 완료하면, 상기 하우징(140)의 개방된 하부단부 및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하우징(140) 및/또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의해 밀폐된다. 즉, 상기 댐핑부(410)는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된다.In this situation, whe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completed, the open lower end of the housing (140) and the damping portion (410) are seal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40) and/or the bobbin (110). That is, the damping portion (410) is block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따라서, 이렇게 댐핑부(410)의 외부로의 노출이 베이스(21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이 실행되므로, 세정액의 유압이 댐핑부(410)에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되므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에 의한 댐핑부(410)의 유실 또는 손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xposure of the damping part (410) to the outside is blocked by the base (210),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cannot affect the damping part (410), and thus the loss or damage of the damping part (410) due to the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can be reliably prevented.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하우징(140)의 개방된 상부단부(즉, 댐핑용 수용홈(423)의 시작부분)로부터 상기 댐핌용 돌출부보다 소정 높이 더 낮게 형성된다.And, as illustrated in FIG.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projection (4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110),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lower than the damping projection from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140) (i.e., the start portion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즉,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의 단턱부(423a)가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하부면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re provided so that the step (423a) of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a predetermined height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damping protrusion (421).
이러한 상황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조립과정을 완료하면, 상기 하우징(140)의 개방된 상부단부 및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하우징(140) 및/또는 상기 보빈(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의 상부면(즉, 상부면의 내측면)에 의해 밀폐된다. 즉, 상기 댐핑부(410)는 커버부재(300)의 상부면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된다.In this situation, whe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completed,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140) and the damping member (410) are sealed by the upper surface (i.e.,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40) and/or the bobbin (110). That is, the damping member (410) is block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따라서, 이렇게 댐핑부(410)의 외부로의 노출이 커버부재(30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이 실행되므로, 세정액의 유압이 댐핑부(410)에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되므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에 의한 댐핑부(410)의 유실 또는 손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xposure of the damping part (410) to the outside is blocked by the cover member (300),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cannot affect the damping part (410), and thus the loss or damage of the damping part (410) due to the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의 제1 대향면(P1)에서 상기 보빈(110)의 중간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하우징(140)의 개방된 하부단부로부터 상기 댐핌용 돌출부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protrusion (421) is provided at a mid-height of the bobbin (110) on the first facing surface (P1) of the bobbin (110),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igher than the damping protrusion from the open lower end of the housing (140).
이때,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구동용 코일(120)은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를 피해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의 상하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coil (120) provided on the bobbin (110) be wound above and below the damping protrusion (421) while avoiding the damping protrusion (421).
그리고, 이 경우에 상기 댐핑부(410)는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으로부터 깊숙이 배치되므로, 베이스(210)에 의한 상기 개방된 하부단부 및 댐핑부(410)의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세정액의 유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즉,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210)와 하우징(140) 및/또는 보빈(110)과의 결합 전에 세정공정을 실행하여도 댐핑부(410)의 손실우려가 없다.And, in this case, since the damping member (410) is positioned deep from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ba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even if the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open lower end and the damping member (410) by the base (210) are not sealed, it is hardly affec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if th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combination of the base (210) and the housing (140) and/or the bobbin (110), there is no concern about the loss of the damping member (410).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의 변형 실시 예로서,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는 상기 보빈(110)의 제1 대향면(P1)에서 상기 보빈(110)의 중간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40)의 개방된 상부단부로부터 상기 댐핌용 돌출부보다 소정 높이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 modified embodimen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the damping protrusion (421) may be provided at the middle height of the bobbin (110) on the first facing surface (P1) of the bobbin (110)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lower than the damping protrusion from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140).
이 경우도, 전술한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유사하게, 커버부재(300)에 의한 상기 개방된 상부단부 및 댐핑부(410)의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세정액의 유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즉,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부재(300)와 하우징(140) 및/또는 보빈(110)과의 결합 전에 세정공정을 실행하여도 댐핑부(410)의 손실우려가 없다.In this case, similarly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ven if the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open upper end and the damping portion (410) are not sealed by the cover member (300), the cleaning process is hardly affec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if th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housing (140) and/or the bobbin (110), there is no concern about the loss of the damping portion (410).
도 22는 실시 예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FIG. 22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a bobbin (110) and a housing (14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에서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이 대향하는 대향면들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향면들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rather than at the corners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이 경우, 복수 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 각각은 하우징(140)의 제2 대향면(P2)들의 모서리면 각각에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된다. 즉, 상기 댐핑부(410),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안착되는 면과 중첩되지 않는 면에 구비된다. 그러나, 실시 예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댐핑부(410)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전술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magnets (130) is mounted, arranged, or fixed to each of the corner surfaces of the second facing surfaces (P2) of the housing (140). That is, the damping portion (410),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are provided on a surfac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driving magnets (130) are mounted.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magnets (130) and the damping portion (410).
실시 예의 경우에도, 도 19 내지 도 21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댐핑부(410), 상기 댐핑용 돌출부(421) 및 상기 댐핑용 수용홈(423)은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에서 상기 보빈(110)과 상기 하우징(140)이 대향하는 대향면들에서 높이에 따른 구비위치를 다양한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9 to 21, the damping portion (410), the damping protrusion (421) and the damping receiving groove (423)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with positions according to height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facing each other.
도 23a는 댐핑부(410)가 없는 종래기술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광축 방향 진동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23b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광축 방향 진동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23c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에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에 의해 댐핑부(410)가 손실된 경우 렌즈 구동 장치(100)의 광축 방향 진동에 대한 그래프이다.FIG. 23a is a graph of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ology without a damping unit (410), FIG. 23b is a graph of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3c is a graph of vibra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when a damping unit (410) is lost due to a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에 대한 댐핑부(41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23a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 중 진동실험에 결과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폭이 극대화되는 공진점 또는 공진구간(적색 원형 표시 참고)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damping unit (410) for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not provided, it can be confirmed that a resonance point or resonance section (see red circle mark) where the amplitude is maximized occurs as shown in the result graph of the vibration experiment during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23a.
이와는 달리, 실시 예과 같이,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에 대한 댐핑부(410)를 구비하는 경우, 도 23b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 중 진동실험에 결과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23a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 중 진동실험에 결과 그래프에 나타났던 공진점 또는 공진구간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the damping unit (410) for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provided as 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result graph of the vibration experiment during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shown in FIG. 23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onance point or resonance section shown in the result graph of the vibration experiment during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shown in FIG. 23a is removed.
그러나, 댐핑부(410)가 구비된 렌즈 구동 장치(100)라도 이러한 렌즈 구동 장치(100)에 대해 렌즈 구동 장치(100)의 세정공정이 실행되는 경우 댐핑부(410)가 세정공정의 세정액 유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도 23c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작동 중 진동실험에 결과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폭이 극대화되는 공진점 또는 공진구간(적색 원형 표시 참고)이 다시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lens driving device (100) equipped with a damping unit (410), when a clean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s performed on the lens driving device (100),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part or all of the damping unit (410) is lost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of the cleaning process, and as a result, as shown in the result graph of the vibration experiment during the auto-focusing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23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onance point or resonance section (see the red circle mark) where the amplitude is maximized occurs again.
실시 예는 이렇게 세정공정에 의한 댐핑부(410)의 유실 또는 손실로 인한 공진점 또는 공진구간의 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부(410)를 안전하게 수용 또는 배치 또는 고정하는 댐핑용 연결부(420)를 구비하고, 댐핑부(410) 및 댐핑용 연결부(420)의 구비위치를 댐핑부(410)가 베이스(210) 및/또는 커버부재(300)에 의해 밀폐되어 세정공정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In order to prevent recurrence of a resonance point or resonance section due to loss or damage of the damping member (410) by the clea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amping connection member (420) that safely receives, places, or fixes the damping member (410), and the position where the damping member (410) and the damping connection member (420) are provided is such that the damping member (410) is sealed by the base (210) and/or the cover member (30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cleaning process.
전술한 바에 의하면, 실시 예는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 댐핑부를 포함함으로써, 오토 포커싱 실행시 보빈의 광축 방향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 예는 오토 포커싱 실행시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 방향 공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시 예는 보빈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부 탄성부재 및/또는 하부 탄성부재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can attenuate vibration of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auto-focusing is performed by including a damping member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As a result, the embodiment can eliminate the optical axis direction resonance phenomen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when auto-focusing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embodiment can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or the low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using.
또한, 실시 예는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서 댐핑부의 부착영역을 증가시키는 댐핑용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댐핑부의 감쇠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오토 포커싱 실행시의 공진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서 댐핑부의 부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increase the damping area of the damping portion by providing a damping connecting portion that increases the attachment area of the damping por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thereby more efficiently eliminating the resonance phenomenon during auto-focusing execution and improving the attachment stability of the damping por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또한, 실시 예는 댐핑부를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공정 중 조립된 렌즈 구동 장치의 세정과정에서 댐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세정과정의 세정액의 유압으로 인해 댐핑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prevent the damping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a cleaning process of an assembled lens driving device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by providing the damping part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as a result, can prevent part or all of the damping part from being lost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또한, 실시 예의 렌즈 구동 장치에 렌즈를 결합하고, 하부에 이미지센서 및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카메라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베이스와 상기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mera module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lens with a lens driving device of an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ing an image senso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arranged at the bottom, and the base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combin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arranged.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에는 카메라모듈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변화값에 기초하여 계산된 제1 변위값과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렌즈의 초점거리를 비교한다. 이후,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는 상기 제1 변위값 또는 렌즈의 현재위치와 렌즈의 초점거리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보빈(110)의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재조절하여, 상기 보빈(110)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변위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감지부는, 고정체인 하우징(140)에 고정 결합된 위치 감지센서(180)가 이동체인 보빈(110)에 고정 결합된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전류 변화량에 근거하여 별도의 드라이버 IC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에서 보빈(110)의 현재위치 또는 제1 변위량을 계산 또는 판단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변위 감지부에 의해 계산 또는 판단된 보빈(110)의 현재위치 또는 제1 변위량은 인쇄회로기판(170)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가 오토 포커싱을 위한 보빈(110)의 위치를 재결정하여 코일(120)의 인가전류량을 조절한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control unit, and compares a first displacement value calculated based on a current change value detected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with a focal length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ens. Thereafter, if the first displacement value 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an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do not correspond, the camera module control unit may readjust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to move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by a second displacement amount. In addition,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emitted from the sensing magnet (190) according to the first direction movement of the sensing magnet (190) fixedly coupled to the bobbin (110), which is a movable body,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140), which is a fixed body, an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tected magnetic force, a separate driver IC or the camera module control unit can calculate or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r the first displacement amount of the bobbin (110). The current position or the first displacement amount of the bobbin (110) calculated or determined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so that the control unit re-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bobbin (110) for auto-focusing and 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20).
이상에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실시 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실시 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실시 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embodimen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19)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의 돌출부와 중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과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이격되는 렌즈 구동 장치.housing;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coil and a magnet for moving the abov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Including a damping member arrang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The abov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groove that overlaps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damp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상기 수용홈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보빈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보빈의 하측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groov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when the bobbin moves downward, thereby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range of the bobbin.
상기 하우징은 측부와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코너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ousing includes sides and corners.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above bobbin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corner of the above housing.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1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comprising an upper elastic memb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comprises a first inner frame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 first outer frame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inner frame and the first outer frame.
상기 제1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Article 6,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outer frame includes a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하면보다 상기 보빈의 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tha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상면보다 상기 보빈의 하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tha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하우징은 측부와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ousing includes sides and corners,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above protrusion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above housing.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Article 6,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lower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coil is disposed on the bobbin and the magnet is disposed on the housing.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elastic member comprises two spring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상기 2개의 스프링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Article 13,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bove two springs.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용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sensing magnet placed on the above bobbin; and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acing the sensing magne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bbin.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네트;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와 중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과 결합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이격되는 렌즈 구동 장치.housing;
A bobbin disposed in the above housing;
A coil and a magnet for moving the abov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Including a damping member arrang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The abov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abov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groove that overlaps the above protrusion of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damp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와 결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돌기에 가깝게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Article 16,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n upper elastic member including an inner frame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n outer frame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The bobbin includes a first projection that engages with the inner frame, and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projection that engages with the outer frame.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when viewed from above,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positioned close to the second projection.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A lens driving device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7; and
A camera module containing an imag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8978A KR102783490B1 (en) | 2020-11-25 | 2023-06-20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259A KR102326536B1 (en) | 2014-04-24 | 2020-11-25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1020210153290A KR102547299B1 (en) | 2020-11-25 | 2021-11-09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1020230078978A KR102783490B1 (en) | 2020-11-25 | 2023-06-20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3290A Division KR102547299B1 (en) | 2020-11-25 | 2021-11-09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3231A KR20230093231A (en) | 2023-06-27 |
KR102783490B1 true KR102783490B1 (en) | 2025-03-19 |
Family
ID=78717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3290A Active KR102547299B1 (en) | 2020-11-25 | 2021-11-09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1020230078978A Active KR102783490B1 (en) | 2020-11-25 | 2023-06-20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3290A Active KR102547299B1 (en) | 2020-11-25 | 2021-11-09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472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4581B1 (en) * | 2021-12-14 | 2022-07-25 |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 Actuator device for camera lens autofocusing |
WO2025009691A1 (en) * | 2023-07-06 | 2025-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module comprising damp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6662B1 (en) | 2005-01-13 | 2006-08-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Focus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vibration and impact resistance |
US20120120512A1 (en) | 2010-01-26 | 2012-05-17 | Nidec Sankyo Corporation | Lens drive device |
US20130050828A1 (en) * | 2011-08-24 | 2013-02-28 | Mitsumi Electric Co., Ltd. |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9297A (en) * | 2008-09-08 | 2010-03-17 |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 Device for small camera |
-
2021
- 2021-11-09 KR KR1020210153290A patent/KR102547299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6-20 KR KR1020230078978A patent/KR10278349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6662B1 (en) | 2005-01-13 | 2006-08-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Focus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vibration and impact resistance |
US20120120512A1 (en) | 2010-01-26 | 2012-05-17 | Nidec Sankyo Corporation | Lens drive device |
US20130050828A1 (en) * | 2011-08-24 | 2013-02-28 | Mitsumi Electric Co., Ltd. |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7299B1 (en) | 2023-06-23 |
KR20230093231A (en) | 2023-06-27 |
KR20210135980A (en) | 202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1677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CN110579923B (en) | Lens moving device | |
KR102185688B1 (en) | Lens moving unit | |
KR102230966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798058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221597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783490B1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CN112198618A (en) | Lens moving device | |
KR102145916B1 (en) | Lens apparatus | |
KR102438026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326536B1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145917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708602B1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696313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689980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671493B1 (en) | Lens apparatus | |
KR102356000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20210034563A (en) | Lens mov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110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15329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