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2714B1 -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 Google Patents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2714B1
KR102782714B1 KR1020220178901A KR20220178901A KR102782714B1 KR 102782714 B1 KR102782714 B1 KR 102782714B1 KR 1020220178901 A KR1020220178901 A KR 1020220178901A KR 20220178901 A KR20220178901 A KR 20220178901A KR 102782714 B1 KR102782714 B1 KR 10278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ens
source unit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97124A (ko
Inventor
전시욱
장인석
한승헌
송광염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7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2714B1/ko
Publication of KR2024009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27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군을 이루며, 각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 경로를 조정하여,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Lighting for Improved Visibility and Reduced Glare and Lens Included therein}
본 발명은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전방에는 야간 주행시에도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조등이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벌브(Bulb) 타입의 램프가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고휘도 방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가 차량용 전조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조등은 빛의 조사각도에 따라 상향등 또는 하향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조등이 상향등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 전방의 비교적 먼 거리까지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운전자가 야간에 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맞은 편에서 오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줄 수 있다.
또한, 전조등이 하향등으로 설정된 경우, 맞은편에서 오는 차량의 운전자나 전방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은 경감될 수 있으나 상향등에 비해 하향등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맞은편에서 오는 차량 등에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명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마주하여 보는 이의 눈부심을 저감시킨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군을 이루며, 각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 경로를 조정하여,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각 광원부는 기 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는 각 광원부 내 각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각 광원의 배치와 같이 기 설정된 제3 간격만큼 떨어진 채로 광원의 개수만큼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는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길이만큼 분산되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각 구성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여, 각 구성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군을 이루며, 각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 경로를 조정하여,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와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는 지그 커버와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프로세서를 안착시키며,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다각형으로 구현되며 각 모서리마다 모따기(Chamfering)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광원부 내 각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어 분산되며 진행하는 광을 분산이 억제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를 거친 광을 길이방향으로 시준(Collimating)하며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를 거친 광을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 분산시키며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조명은 상기 광원부가 광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상기 PCB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PCB로 전달되는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PCB와 물리적 또는 열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마주하여 보는 이의 눈부심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일 이용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과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측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에서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내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거친 광의 각 축에 따른 진행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간의 거리에 따라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거쳐 출력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의 렌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의 렌즈를 거쳐 출력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일 이용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110)은 히트싱크(310), PCB(320), 광원부(330), 프로세서(340), 지그(350), 제1 렌즈(360), 제1 지그 커버(370), 제2 렌즈(380) 및 제2 지그 커버(390)를 포함한다.
조명(110)은 차량 등 다양한 이동수단 또는 장치 내 배치되어, 이동수단 또는 장치의 이용자가 보고자 하는 방향의 영역을 조명한다. 이때, 조명(110)은 어느 하나의 축의 방향으로는 분산이나 중첩되지 않은 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해당 방향으로 영역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 별로 조명하거나 조명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등의 전조등으로 이용될 경우, 조명(110)은 도로 등의 폭에 적합한 폭을 갖는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맞은편에서 다른 차량이 접근하고 있을 경우, 해당 구간 만의 광의 조사는 중단할 수 있다. 일 축 방향으로의 광의 분산이나 중첩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간 별로 조명(광의 조사)여부를 제어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조명(110)을 바라보는 다른 이들의 눈부심도 최소화할 수 있다.
히트싱크(310)는 광원부(330)가 광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PCB(320)의 후방에 배치되어, PCB(320)로 전달되는 열을 방출한다. PCB(320)에 안착된 광원부(330) 또는 프로세서(340)는 동작을 하며 상당한 열을 발생시킨다. 히트싱크(310)는 PCB(320)와 물리적 또는 열적으로 접촉하여, 전술한 구성에서 발생하여 PCB(320)를 따라 전도되는 열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히트싱크(310)는 전술한 구성(320, 330)들이 열에 의해 온전히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PCB(320)는 광원부(330) 및 프로세서(340)를 안착시키며,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광원부(330a, 330b)는 조명하기 위한 광을 조사한다. 광원부(330a, 330b)는 복수 개의 광원이 하나의 군을 이루며, 조명(110) 내 복수 개의 군이 기 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며 배치된다. 광원부(330a, 330b)의 구성과 배치는 도 4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의 구성과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측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에서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7에는 광원부(330)가 2개의 군으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원부(330)는 2개 이상의 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330a, 330b)는 m개의 광원(410a) 및 n개의 광원(410b)로 구현된다. 광원부(330) 내에 포함되는 광원(410)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보다 세세히 조명하는 구역을 구분하여 각 구역을 조명하거나 조명하지 않을 수 있으나, 광원부(330) 및 기타 구성의 부피가 커져야 한다. 반대로, 광원부(330) 내에 포함되는 광원(410)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광원부(330) 및 기타 구성의 부피는 작아질 수 있으나, 조명하거나 조명하지 않을 수 있는 구역이 세세히 구분되기 곤란할 수 있다. 패키징(420)된 복수의 광원(410)이 광원부(330) 내에 포함되고, 각 광원부(330) 내 포함된 광원(410)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간격은 광원(410)의 폭을 기준으로 5% 이내의 오차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각 광원(410)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배치될 경우, 광원부(330)에서 출력되는 광은 도 5 및 6과 같이 조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330a) 내에 3개의 광원(410a)이 포함되었다고 가정하면, 광원부(330a)에서 출력되는 광은 길이방향(도 2에서 x축 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높이방향 또는 연직방향(도 2에서 y축 방향)으로는 분산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광원부(330a)에서 출력되는 광은 전술한 형태가 광원(410)의 배치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채로 광원(410)의 개수만큼 출력된다.
광원부(330b)는 광원부(330a)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광을 조사한다. 광원부(330b)에서 출력되는 광도 광원부(330a)와 마찬가지로 광원부(330b)에 포함된 광원(410)의 배치와 개수만큼 출력된다.
광원부(330a)와 광원부(330b)에서 출력되는 광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는 양 광이 독립적으로 도 5 및 6에 도시한 형태의 광을 출력한다. 다만, 양 광원부(330a)와 광원부(330b)에서 출력된 광은 기 설정된 거리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지 않으며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은 채로 출력될 수 있다. 어느 광원부(330)에서 광원의 개수와 배치에 따라 전술한 형태의 광이 일정 간격만큼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전술한 형태의 광의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광원부(330)에서 출력되는 광은 길이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기 설정된 폭을 갖기에 이처럼 출력될 수 있다.
이는 각 광원(410)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배치되기에 도 5 및 6과 같이 조사되며, 기 설정된 제2 간격보다 좁게 배치될 경우, 광원부(330)에서 출력되는 광들이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채로 출력되지 못하고 그보다 좁은 간격으로 출력된다. 반대로, 기 설정된 제2 간격보다 넓게 배치될 경우, 광원부(330)에서 출력되는 광들이 일정한 간격보다 넓게 출력되기에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거리에서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지 못하고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광원부(330) 내 각 광원(410)은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모든 영역을 조명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할 수 있는 영역 중 일부분은 조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40)는 각 광원부(330),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부(330) 내 각 광원(410)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필요(예를 들어, 조명을 마주하는 이가 나타난 경우)에 따라 특정 광원(4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명하는 영역 전체의 광 조사를 제어할 수도 있고, 조명하는 영역 중 일부분만의 광 조사를 제어할 수도 있다.
지그(350)는 내부에 각 구성(360 내지 390)이 안착될 수 있는 홈(355)을 포함하여, 각 구성(360 내지 390)을 고정시킨다. 도 3에는 지그(350) 내 형성된 홈(355)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렌즈(380)의 배치에 따라 홈(355)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55)이 떨어져 구현될 수도 있고, '∞' 형상과 같이 홈(355)이 서로 붙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홈(355)은 지그(35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355)은 지그(350) 내에서 높이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고, 홈(355) 내에 각 구성(360 내지 390)이 배치될 수 있다.
각 렌즈(360, 380)는 광원부(330)에서 조사되는 광 경로를 조정하여, 길이 방향으로는 분산을 방지하여 광원(4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폭이 기 설정된 폭으로 조사되도록 하고, 높이 또는 연직 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길이만큼 분산되어 조사되도록 한다.
각 지그 커버(370, 380)는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각 렌즈(360, 3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그(350)의 홈(355) 내에서 각 렌즈(360, 380)를 고정시킨다.
각 렌즈(360, 38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내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거친 광의 각 축에 따른 진행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렌즈(360)는 광원부(330)에서 조사되어 분산되며 진행하는 광을 분산이 억제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진행시킨다.
제2 렌즈(380)는 제1 렌즈(360)를 거친 광을 길이방향으로 시준(Collimating)하는 반면,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는 분산시키며 진행시킨다.
이에 따라, 광원부(330) 내 각 광원(410)에서 출력되는 광은 길이방향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분산되지 않고 조사된다.
반면, 광원부(330) 내 각 광원(410)에서 출력되는 광은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길이만큼 분산되며 조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350) 내 홈(355) 간의 간격은 달라질 수 있다. 홈(355) 간의 간격이 달라지면, 홈(355) 내에 배치되는 렌즈(360, 380)를 거쳐 출력되는 광의 형태는 달라지게 된다. 달라지는 광의 형태는 도 13 및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간의 거리에 따라 조사되는 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55) 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멀어질 경우, 각 광원부(330)에서 출력되는 광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빈공간이나 중첩없이 온전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3b는 조명(110)을 기준으로 25m 되는 지점에서, 도 13c는 조명(110)을 기준으로 50m 되는 지점에서, 도 13d는 조명(110)을 기준으로 100m 되는 지점에서 조사되는 광을 각각 예시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00m 내외 되는 지점에서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55) 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가까워질 경우, 각 광원부(330)에서 출력되는 광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빈공간이나 중첩없이 온전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4b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도 14a의 경우에는 도 14c에서와 같이 50m 되는 지점에서 온전한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조명(110)이 설치될 장치나 사용목적 등에 따라, 광원부(330)의 개수, 광원부(330) 내 포함된 광원(410)의 개수, 지그(350) 내 형성된 홈(355)의 개수 또는 지그(350) 내 형성된 홈(355)이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 등은 달라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거쳐 출력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종래의 렌즈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종래의 렌즈를 거쳐 출력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렌즈(360, 380)는 각 모서리마다 모따기(1510, Chamfering)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원형으로 구현될 때보다 다각형으로 구현될 경우, 보다 많은 양의 광을 입사받을 수 있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광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렌즈(360, 380)가 다각형으로 구현됨에 따라, 복수의 렌즈들이 인접하여 배치되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각형으로 구현된 렌즈(360, 380)가 각 모서리마다 모따기(1510)를 포함할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광의 간격 내에 기타 잡광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도 17에 도시된 종래의 렌즈와 같이, 렌즈(1700)가 다각형으로 구현될 경우, 모서리 부분에서는 원하는 대로 광 경로의 조정이 곤란하기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광 내에 잡광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조명
310: 히트싱크
320: PCB
330: 광원부
340: 프로세서
350: 지그
360: 제1 렌즈
370: 제1 지그 커버
380: 렌즈
390: 제2 지그 커버

Claims (12)

  1.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군을 이루며, 각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 경로를 조정하여,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조사되도록 하고,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길이만큼 분산되어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각 광원부는 기 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고,
    상기 기 설정된 제2 간격은 광원의 폭을 기준으로 5% 이내의 오차범위를 가지며,
    상기 광원부 내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은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갖고, 높이방향 또는 연직방향으로 분산된 형태를 가지며, 각 광원의 배치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광원의 개수만큼 출력되고,
    각 광원부에서 출력된 광은 어느 하나의 광원부에서 출력된 광의 빈 공간을 다른 하나의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채움으로써, 기 설정된 거리에서 중첩되지 않으며 빈공간을 형성하지 않은 채로 출력되며,
    상기 렌즈는 다각형으로 구현되며 각 모서리마다 모따기(Chamfering)를 포함하여, 입사광량 및 출력광량을 증가시키고 출력되는 광의 간격 내에 기타 잡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어 분산되며 진행하는 광을 분산이 억제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를 거친 광을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 분산시키며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5. 내부에 각 구성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여, 각 구성을 고정시키는 지그;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군을 이루며, 각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 경로를 조정하여,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조사되도록 하고,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길이만큼 분산되어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는 지그 커버;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광원부 및 상기 프로세서를 안착시키며,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다각형으로 구현되며 각 모서리마다 모따기(Chamfering)를 포함하여, 입사광량 및 출력광량을 증가시키고 출력되는 광의 간격 내에 기타 잡광의 발생을 방지하고,
    각 광원부는 기 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고,
    상기 기 설정된 제2 간격은 광원의 폭을 기준으로 5% 이내의 오차범위를 가지며,
    상기 광원부 내 광원이 기 설정된 제2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은 길이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폭을 갖고, 높이방향 또는 연직방향으로 분산된 형태를 가지며, 각 광원의 배치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광원의 개수만큼 출력되고,
    각 광원부에서 출력된 광은 어느 하나의 광원부에서 출력된 광의 빈 공간을 다른 하나의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채움으로써, 기 설정된 거리에서 중첩되지 않으며 빈공간을 형성하지 않은 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광원부 내 각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어 분산되며 진행하는 광을 분산이 억제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를 거친 광을 길이방향으로 시준(Collimating)하며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를 거친 광을 높이 또는 연직방향으로 분산시키며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광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상기 PCB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PCB로 전달되는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PCB와 물리적 또는 열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KR1020220178901A 2022-12-20 2022-12-20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Active KR10278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901A KR102782714B1 (ko) 2022-12-20 2022-12-20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901A KR102782714B1 (ko) 2022-12-20 2022-12-20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124A KR20240097124A (ko) 2024-06-27
KR102782714B1 true KR102782714B1 (ko) 2025-03-18

Family

ID=9171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901A Active KR102782714B1 (ko) 2022-12-20 2022-12-20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27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2358A1 (en) * 2002-04-30 2003-10-30 Pierre Albou Dual-function lamp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19029076A (ja) * 2017-07-26 2019-02-2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808A (ko) * 2018-12-13 2020-06-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753549B1 (ko) * 2019-06-25 2025-0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2358A1 (en) * 2002-04-30 2003-10-30 Pierre Albou Dual-function lamp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19029076A (ja) * 2017-07-26 2019-02-2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124A (ko) 202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824B2 (en) Vehicular lamp
CN106662314B (zh) 灯具单元及车辆用前照灯
EP2119957B1 (en) Vehicle lighting device
KR101606772B1 (ko) 차량용 멀티 어레이 엘이디 칩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램프
EP2407710B1 (en) Vehicle lamp
US10119669B2 (en) Vehicle lamp
US9719651B2 (en) Vehicle lamp
WO2016024489A1 (ja) 車両用前照灯
US20170276312A1 (en) Vehicle lamp and vehicle having the vehicle lamp
KR20040073330A (ko) 차량용 전조등
JP7112253B2 (ja) 車両用灯具
JP6065249B2 (ja) セグメントに区切られた配光を生成するための照明装置
EP1686309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and vehicle headlamp unit including the lighting device
US11976798B2 (en) Vehicle headlight
JP6857490B2 (ja) 車両用前照灯
JP6019769B2 (ja) 車両用前照灯
US10267476B2 (en) Vehicle lamp
JP5711558B2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JP5686240B2 (ja) 車両用灯具
US20160230959A1 (en) Reflecting structure of lamp
WO2023048043A1 (ja) 車両用灯具
JP5381351B2 (ja) 車両用灯具
JP6216159B2 (ja) 車両用灯具
KR102782714B1 (ko)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및 그에 포함된 렌즈
KR102782710B1 (ko) 시인성 향상 및 눈부심 저감을 위한 조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