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1090B1 -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1090B1
KR102781090B1 KR1020200015917A KR20200015917A KR102781090B1 KR 102781090 B1 KR102781090 B1 KR 102781090B1 KR 1020200015917 A KR1020200015917 A KR 1020200015917A KR 20200015917 A KR20200015917 A KR 20200015917A KR 102781090 B1 KR102781090 B1 KR 10278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plastic housing
grounding
bushing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665A (ko
Inventor
박정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1090B1/ko
Priority to US17/156,949 priority patent/US11643036B2/en
Publication of KR2021010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10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6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removing electrostatic 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60R2021/26082Material
    • B60R2021/26088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커버가 없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10)을 채택해서 PCB(20)를 고정하고, 특히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위치한 PCB(20)와 외부의 차체(30)를 연결하는 별도의 접지기구(40)를 활용해서 접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한 구성으로, 에어백 제어기의 슬림화 및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AIR BAG CONTROL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와 원가절감 및 슬림화가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에는 여러 종류의 에어백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인 차량의 에어백장치는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 인플레이터에서 분사된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개되어서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쿠션, 및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인플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기(ACU, Airbag Control Unit)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종래의 에어백 제어기는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안착되는 하우징, 및 PCB의 고정을 위해 다수개의 스크루(볼트)를 매개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우징과 커버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품수 증가 및 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백 제어기는 커버를 이용해서 접지를 하는 구성이고, 이를 위해 커버 전체를 전기가 통하는 스틸 플레이트로 제작해서 PCB의 접지부와 차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커버 전체가 스틸 플레이트로 제작됨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접지를 위해 커버 전체가 스틸 플레이트로 제작되면 수분이 하우징으로 유입되어서 PCB와 접촉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커버에 단차 층을 두어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 바, 이로 인해 종래의 에어백 제어기는 높이(두께) 축소에 한계가 있어서 외형적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기가 어려운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6069호
본 발명은, 커버 일체형 하우징을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부품수 감축과 중량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하우징에 결합된 PCB의 접지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차체와 연결되는 접지기구를 이용해서 접지를 하는 구성으로, 접지를 위해 커버 전체가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된 종래의 에어백 제어기와 비교하여 볼 때 중량감소를 이룩할 수 있고, 특히 하우징의 외부에서 차체와 접촉하는 별도의 접지기구를 사용함에 따라 하우징내에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내부공간, 내부공간을 노출하는 개구부, 코너부로 연장된 부위에 제1구멍(14)이 형성된 플라스틱 하우징;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하우징의 제1구멍(14)과 정렬된 제2구멍(22)이 형성된 접지부를 구비한 PCB; 및 일측은 플라스틱 하우징내에 위치한 PCB의 접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에서 차체와 연결됨에 따라 접지를 완성하는 접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기구는 플라스틱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PCB의 접지부와 접촉하며, PCB의 접지부와 플라스틱 하우징의 코너부 사이에 끼워지고, 제1구멍(14) 및 제2구멍(22)과 정렬된 제3구멍(414)이 형성된 PCB접촉부;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차체에 연결된 부싱접촉부; 및 상기 PCB접촉부와 부싱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14)과 제2구멍(22) 및 제3구멍(414)을 관통해서 플라스틱 하우징의 코너부에 고정되고, PCB의 접지부와 접지기구의 PCB접촉부를 서로 접촉시키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PCB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PCB안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PCB는 PCB안착면에 안착되어서 플라스틱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지구는 PCB접촉부와 부싱접촉부 및 연결부를 구비한 접지링; 및 상기 접지링의 부싱접촉부와 차체를 연결하는 접지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B접촉부와 부싱접촉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PCB접촉부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서 플라스틱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싱접촉부와 접지부싱 및 차체를 관통해서 결합되고, 부싱접촉부와 접지부싱을 연결시키면서 접지부싱과 차체를 연결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링은 다수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접지링 중 어느 한 개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에서 차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커버가 없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채택해서 PCB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부품수 감축과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슬림화 및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콘솔부가 없는 전기차량 또는 자율주행 차량에도 탑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플라스틱 하우징내에 위치한 PCB와 외부의 차체를 연결하는 별도의 접지기구를 활용해서 접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PCB와 접지기구가 연결된 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기구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가 차체에 연결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하우징(10);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위치하도록 안착된 PCB(20); 및 일측은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위치한 PCB(20)의 접지부(21)와 연결되고 타측은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차체(30)와 연결됨에 따라 접지를 완성하는 접지기구(40);를 포함한다.
종래의 에어백 제어기는 PCB가 안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품수 증가 및 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접지를 위해 커버 전체를 전기가 통하는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함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커버 전체를 스틸 플레이트로 제작함에 따라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했기에 에어백 제어기의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PCB가 안착되는 하우징을 커버가 없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10)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과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 에어백 제어기의 장착위치는 차량의 롤(Roll)과 요(Yaw), 피치(Pitch) 및 가속도 X,Y,Z를 감지하는 센서를 탑재하기 때문에 차량의 중심인 콘솔 하단부에 장착된다.
하지만 친환경 차량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전기차량 및 자율주행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는 넓은 실내공간의 활용을 위해 콘솔부가 없고 플로어가 평평해지고 있다.
따라서 높이(두께)가 두꺼운 종래의 에어백 제어기는 콘솔부가 없는 전기차량 또는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가 어려운 단점이 있기에 에어백 제어기의 슬림화가 필요하며, 에어백 제어기의 슬림화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커버가 없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10)을 채택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과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커버가 없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10)을 채택하면 차체(30)와의 접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위치한 PCB(20)와 연결되면서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차체(30)와 연결되도록 하는 별도의 접지기구(40)를 활용해서 접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한 구성이 특징이다.
특히,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차체(30)와 접촉하는 별도의 접지기구(40)를 사용함에 따라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고, 이를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슬림화 및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라스틱 하우징(10)의 내부에는 PCB안착면(11)이 구비되고, 상기 PCB안착면(11)은 플라스틱 하우징(10)의 개구부(12)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PCB(20)는 플라스틱 하우징(10)의 개구부(12)를 통해 플라스틱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PCB안착면(11)에 안착된다.
그리고, 접지기구(40)는 PCB(20)의 접지부(21)와 연결되는 접지링(410), 및 상기 접지링(410)과 차체(30)를 연결하는 접지부싱(420)을 포함한다.
접지링(410)과 접지부싱(420)은 모두 통전이 가능한 금속재질(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기가 통하는 재질이면 다양한 재질로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접지링(410)은 PCB(20)의 접지부(21)와 면접촉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PCB접촉부(411), 상기 접지부싱(420)과 면접촉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부싱접촉부(412), 및 상기 PCB접촉부(411)와 부싱접촉부(412)를 연결하는 연결부(413)를 포함한다.
접지링(410)의 PCB접촉부(411)와 PCB(20)의 접지부(21)가 서로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접지가 가능하며, 또한 접지링(410)의 P부싱접촉부(412)와 접지부싱(420)도 서로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접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10)은 사출 성형되고,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사출 성형시 접지링(410)의 PCB접촉부(411)는 인서트 사출되어서 플라스틱 하우징(10)과 일체로 결합되는 바, 이를 통해 PCB접촉부(411)는 보다 강건한 결합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하우징(10)이 사출 성형될 때에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차체마운팅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접지링(410)의 부싱접촉부(412)와 접지부싱(420)은 차체마운팅부(13)에 인서트 사출로서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부싱접촉부(412)와 접지부싱(420)은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접지링(410)의 부싱접촉부(412)와 접지부싱(420)이 차체마운팅부(13)에 인서트 사출로서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보다 강건한 결합력을 구비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차체마운팅부(13)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차체(30)와 결합되는 부위이며, 플라스틱 하우징(10)과 차체(30)의 강건한 결합력 유지를 위해 차체마운팅부(13)는 플라스틱 하우징(10)에 최소한 1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20)가 플라스틱 하우징(10)의 개구부(12)를 통해 플라스틱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PCB안착면(11)에 안착되면, PCB(20)의 접지부(21)는 플라스틱 하우징(10)에 인서트 사출로서 결합된 접지링(410)의 PCB접촉부(411)와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50)가 PCB접촉부(411)와 PCB(20)의 접지부(21)를 관통하면 PCB접촉부(411)와 PCB(20)의 접지부(21)는 서로 면접촉으로 연결되면서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차체마운팅부(13)에 인서트 사출로서 일체로 결합된 접지링(410)의 부싱접촉부(412)와 접지부싱(420)을 제2체결부재(60)가 일체로 관통하면, 제2체결부재(60)에 의해 부싱접촉부(412)와 접지부싱(420)은 서로 면접촉으로 연결되고, 또한 접지부싱(420)은 차체(30)와 연결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에어백 제어기의 차체(30)연결을 통해 접지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안정적인 접지를 위해 접지링(410)이 다수개로 구성되며, 필요시 다수개의 접지링(410) 중 어느 한 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접지부싱(420)없이 직접 차체(30)와 연결되게 결합됨에 따라 접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커버가 없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10)을 채택해서 PCB(2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부품수 감축과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일체형의 플라스틱 하우징(10)을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슬림화 및 전체적인 외형적 사이즈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콘솔부가 없는 전기차량 또는 자율주행 차량에도 탑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는, 플라스틱 하우징(10)내에 위치한 PCB(20)와 외부의 차체(30)를 연결하는 별도의 접지기구(40)를 활용해서 접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플라스틱 하우징 11 - PCB안착면
12 - 개구부 13 - 차체마운팅부
20 - PCB 21 - 접지부
30 - 차체 40 - 접지기구
410 - 접지링 411 - PCB접촉부
412 - 부싱접촉부 413 - 연결부
420 - 접지부싱

Claims (7)

  1. 내부공간, 내부공간을 노출하는 개구부, 코너부로 연장된 부위에 제1구멍이 형성된 플라스틱 하우징;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하우징의 제1구멍과 정렬된 제2구멍이 형성된 접지부를 구비한 PCB; 및
    일측은 플라스틱 하우징내에 위치한 PCB의 접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에서 차체와 연결됨에 따라 접지를 완성하는 접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기구는 플라스틱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PCB의 접지부와 접촉하며, PCB의 접지부와 플라스틱 하우징의 코너부사이에 끼워지고, 제1구멍 및 제2구멍과 정렬된 제3구멍이 형성된 PCB접촉부;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차체에 연결된 부싱접촉부; 및
    상기 PCB접촉부와 부싱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과 제2구멍 및 제3구멍을 관통해서 플라스틱 하우징의 코너부에 고정되고, PCB의 접지부와 접지기구의 PCB접촉부를 서로 접촉시키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PCB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PCB안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PCB는 PCB안착면에 안착되어서 플라스틱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 제어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기구는 PCB접촉부와 부싱접촉부 및 연결부를 구비한 접지링; 및
    상기 접지링의 부싱접촉부와 차체를 연결하는 접지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접촉부와 부싱접촉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PCB접촉부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서 플라스틱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싱접촉부와 접지부싱 및 차체를 관통해서 결합되고, 부싱접촉부와 접지부싱을 연결시키면서 접지부싱과 차체를 연결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지링은 다수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접지링 중 어느 한 개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에서 차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KR1020200015917A 2020-02-10 2020-02-10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Active KR10278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17A KR102781090B1 (ko) 2020-02-10 2020-02-10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US17/156,949 US11643036B2 (en) 2020-02-10 2021-01-25 Airbag controll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17A KR102781090B1 (ko) 2020-02-10 2020-02-10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65A KR20210101665A (ko) 2021-08-19
KR102781090B1 true KR102781090B1 (ko) 2025-03-12

Family

ID=7717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917A Active KR102781090B1 (ko) 2020-02-10 2020-02-10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43036B2 (ko)
KR (1) KR1027810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8475A1 (en) * 2008-06-02 2011-07-14 Manfred Moser Control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KR101372551B1 (ko) 2007-08-30 2014-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제어판 체결장치.
US20150264829A1 (en) * 2013-11-29 2015-09-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ctronic Assembly with a Housing Having a Plastic Part and a Metal Par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8114A1 (de) * 1983-08-04 1985-02-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usloesevorrichtung fuer rueckhaltesysteme in kraftfahrzeugen
DE19742458C1 (de) * 1997-09-26 1998-11-26 Telefunken Microelectron Kunststoffgehäuse zur Aufnahme einer elektrischen Leiterplatte
DE59907318D1 (de) * 1998-11-25 2003-11-13 Bayer Ag Steuergerät für den insassenschutz in einem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euergeräts
DE19911989C2 (de) * 1999-03-17 2003-04-24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Metallgehäuse
DE29918914U1 (de) * 1999-10-27 2000-03-09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78315 Radolfzell Steuergerät für Insassen-Rückhaltesysteme in Fahrzeugen
US6940412B2 (en) * 2001-09-13 2005-09-06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rming control unit mount to non-conductive surface
DE10235162A1 (de) 2002-08-01 2004-02-19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in einem Fahrzeug
DE102004034290A1 (de) * 2004-07-15 2007-01-11 Siemens Ag Sensor für Kraftfahrzeuge
US7291023B1 (en) * 2006-11-21 2007-11-06 Autoliv Asp, Inc. Electric vehicle motion sensor
DE102008040157A1 (de) * 2008-07-03 2010-01-07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für Personenschutzmittel für ein Fahrzeug bzw.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s solchen Steuergeräts
US8966975B2 (en) * 2008-07-28 2015-03-03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crash sensors
JP5184286B2 (ja) * 2008-09-30 2013-04-1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筐体固定構造
KR20140013358A (ko) * 2012-07-23 2014-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제어유닛 케이스
JP5831481B2 (ja) * 2013-03-25 2015-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装置
JP6006174B2 (ja) * 2013-05-31 2016-10-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制御ユニット用ケース取付構造
JP6401534B2 (ja) * 2014-07-29 2018-10-10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制御装置
JP6856600B2 (ja) * 2018-10-03 2021-04-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そのアース接続構造
JP6820303B2 (ja) * 2018-10-29 2021-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そのアース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51B1 (ko) 2007-08-30 2014-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제어판 체결장치.
US20110168475A1 (en) * 2008-06-02 2011-07-14 Manfred Moser Control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US20150264829A1 (en) * 2013-11-29 2015-09-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ctronic Assembly with a Housing Having a Plastic Part and a Metal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5691A1 (en) 2021-08-12
US11643036B2 (en) 2023-05-09
KR20210101665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576B2 (en) Housing fixing structure
US9221438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behavior control device
CN105180984B (zh) 用于卡扣配合安装碰撞传感器的设备
US9190766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CN102105335B (zh) 用于封装碰撞传感器的方法和设备
US8112196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behavior control device
US8210037B2 (en) Sensor module with a housing which may be mounted on a wall
JP2009501916A (ja) 静電容量型雨滴センサ
US20140285986A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CN100567908C (zh) 用于汽车的传感器
CN102356012B (zh) 驾乘员束缚装置控制装置
JP2009504500A (ja) 締結具一体化センサ
US20130210256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2637239B1 (ko)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JP2010215127A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2781090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기
US20070001678A1 (en) Sensing apparatus
EP3541154B1 (en) Passenger protection control device
CN115250588B (zh) 电子控制装置
KR101846199B1 (ko)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JP4222196B2 (ja) 電気回路機器の破壊防止構造
JP5790580B2 (ja) 電子部品収容ケース
JP2004090875A (ja) 車載用電子制御装置
KR102019379B1 (ko) 일체형 전자 제어 장치
JPH05238341A (ja) エアバッグ装置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