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1041B1 - Ovum pick-up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 Google Patents
Ovum pick-up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1041B1 KR102781041B1 KR1020230059656A KR20230059656A KR102781041B1 KR 102781041 B1 KR102781041 B1 KR 102781041B1 KR 1020230059656 A KR1020230059656 A KR 1020230059656A KR 20230059656 A KR20230059656 A KR 20230059656A KR 102781041 B1 KR102781041 B1 KR 102781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ower unit
- retrieval device
- pow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5—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는, 내부에 배양액,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 통로가 되는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배양액,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동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흡입 또는 토출의 조절이 선택 가능한 모터를 갖는 동력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의 구동이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의 구동에 의해 배양액의 분사 또는 난자나 난포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관유닛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배양액이 충진되어 상기 동력부의 토출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 측으로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시린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에서 흡입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송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삽관유닛, 시린지유닛 및 보관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결합된다.The egg retrieval device with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guide path formed therein as a passage for the movement of culture solution, oocytes or follicular fluid, a power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generate power to move the culture solution, oocytes or follicular fluid and having a motor that can select the control of suction or discharge, a drive leve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drive of the power unit, an intubation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t least a part of the unit inserted into the vagina of a woman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prayed or the oocytes or follicles are sucked in by the drive of the power unit, a syring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culture solution filled therein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upplied to the intubation unit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and a storag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oocytes or follicular fluid sucked in the intubation unit are transported and stored by the suction drive of the power unit, and the intubation unit, the syringe unit and The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guide path in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conn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소 내부의 난자 또는 난포액을 채취하는 시술 과정에서 보조자의 보조 없이도 사용자 단독으로 난포액의 세척과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난자를 채취하는 플러싱 과정의 횟수 및 배양액의 주입량 등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난자 채취 시술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which enables a user to wash and suction an egg or follicular fluid without the assistance of an assistant during a procedure for retrieving an egg or follicular fluid inside an ovary, thereby easily controlling the number of flushing processes for retrieving an egg and the amount of culture medium injected, thereby allowing the egg retrieval procedure to be performed conveniently and stably.
시험관 아기 시술은 난소로부터 배란되기 전에 난자를 체외로 채취하여 시험관 내에서 수정시키고, 수정된 배아를 다시 자궁경부를 통하여 자궁 내로 이식하는 방법이다.In vitro fertilization is a method in which eggs are collected outside the body before ovulation from the ovaries, fertilized in a test tube, and the fertilized embryos are then transferred back into the uterus through the cervix.
시험관 아기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산부인과 의사가 초음파 영상을 보면서 여성의 난소에서 난자 또는 난포액을 채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In vitro fertilization (IVF) involves a process in which an obstetrician/gynecologist extracts eggs or follicular fluid from a woman's ovaries while looking at an ultrasound image.
이때, 난자 또는 난포액을 채취하는 과정을 플러싱이라고 하며, 이러한 플러싱은 산부인과 의사(이하, '사용자'라 칭한다.)가 이중 루멘 바늘을 여성의 생식기관, 즉, 질 내부에 삽입하고, 이를 통해 배양액을 주입/분사하여 난포액을 세척하는 과정과 난자 또는 난포액을 흡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온전한 난자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collecting an egg or follicular fluid is called flushing, and this flushing refers to the process of an obstetrician/gynecolog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ser") inserting a double lumen needle into the female reproductive organ, i.e., the vagina, and injecting/spraying a culture solution through it to wash the follicular fluid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aspirating an egg or follicular fluid to ensure the aspiration of an intact egg.
종래에는, 사용자를 보조하는 보조자가 동석하여 배양액이 충진된 시린지를 조작하여 배양액을 분사하여 난포액을 세척하고, 이후, 사용자가 난자 또는 난포액을 흡입하는 방법으로 시술이 진행되었다.In the past, the procedure was performed by having an assistant assist the user operate a syringe filled with culture medium to spray the culture medium to wash the follicular fluid, and then having the user aspirate the egg or follicular fluid.
하지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초음파를 통해 확인한 난포의 크기에 따라 주입해야 하는 배양액의 양을 보조자에게 매번 알려주고 체크해야 하여, 시술 과정이 매끄럽지 못했으며, 보조자가 미숙련자일 경우, 플러싱 속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난포가 파열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However, in these cases, the user had to inform and check the assistant each time the amount of culture solution to be injected based on the size of the follicle confirmed through ultrasound, which made the procedure not smooth, and if the assistant was inexperienced, there were cases where the follicle ruptured because the flushing speed was not controlled.
또한, 사용자와 보조자의 호흡이 맞지 않을 경우, 플러싱 과정 자체에 딜레이가 생기게 되며, 이는 난자 채취 시술의 소요 시간의 증가는 물론, 난자를 채취하고자 하는 환자에게도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f the breathing of the user and the assistant is not in sync, there is a delay in the flushing process itself,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time required for the egg retrieval procedure, but also places a burden on the patient who wants to retrieve the egg.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보조자의 보조 없이 사용자가 직접 단독으로 난포액의 세척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플러싱 조절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난자 채취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has the purpose of enabling a user to perform washing of follicular fluid and suction of an egg or follicular fluid alone without the assistance of an assistant, thereby facilitating flushing control and enabling stable oocyte retrieval.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는, 내부에 배양액,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 통로가 되는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배양액,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동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흡입 또는 토출의 조절이 선택 가능한 모터를 갖는 동력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의 구동이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의 구동에 의해 배양액의 분사 또는 난자나 난포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관유닛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배양액이 충진되어 상기 동력부의 토출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 측으로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시린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에서 흡입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송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삽관유닛, 시린지유닛 및 보관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결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guide channel formed therein as a passage for the movement of culture solution, oocytes or follicular fluid; a power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generate power to move the culture solution, oocytes or follicular fluid and having a motor capable of selecting suction or discharge control; a drive leve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drive of the power unit; an intubation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a woman's vagina to spray the culture solution or suck in an oocyte or follicle by the drive of the power unit; a syring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aving culture solution filled therein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upplied to the intubation unit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and a storag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aving oocytes or follicular fluid sucked in the intubation unit by the suction drive of the power unit to be transported and stored; the intubation unit, The syringe unit and the storage unit are combined in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connected with the above guide path.
이때, 상기 가이드유로는 일측이 상기 삽관유닛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시린지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동력부의 토출 구동에 의해 배양액이 상기 시린지유닛에서 상기 삽관유닛 측으로 이동 되도록 하는 제1유로 및 일측이 상기 제1유닛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보관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동력부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에서 흡입된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보관유닛 측으로 이동 되도록 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path may include a first path having one end communicated with the intubation unit, the other end communicated with the syringe unit, and allowing the culture medium to move from the syringe unit to the intubation unit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and a second path having one e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unit, the other end communicated with the storage unit, and allowing the oocytes or follicular fluid sucked from the intubation unit to move to the storage unit by the suction drive of the power unit.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동력부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유로가 상기 동력부와 연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안정적인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head part having the power unit, the first flow path formed inside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nd a grip part formed to extend to one side of the head part, the second flow path formed inside, and allowing the user to stably grip the head part.
이때,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제1유로가 상기 동력부와 연계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유로가 분기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연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path may be branched into the second path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path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thereby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또한, 상기 구동레버는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파지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ever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grip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while gripping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동력부의 구동 방향을 스위칭하여 상기 동력부에서 선택적으로 토출 구동 및 흡입 구동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lever that switch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ower unit so that the power unit selectively performs either discharge driving or suction driving.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스위칭레버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스위칭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부에서 토출 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연통 부위를 차단하고, 상기 스위칭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부에서 흡입 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시린지유닛의 연통 부위를 차단하는 차단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can be linked to the switching lever, and when the power unit performs a discharge drive by operating the switching lever, the main body can further include a blocking unit that blocks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nd when the power unit performs a suction drive by operating the switching lever, the main body can further include a blocking unit that blocks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yringe unit.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관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제1유로의 일측과 연통 되도록 끼움 삽입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so that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first passage.
이러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에서 돌출 연장되되, 이분할 되어 중심에 상기 삽관유닛의 일단부가 끼움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유닛 및 상기 끼움유닛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전후 이동되며, 상기 끼움유닛에 삽입된 상기 삽관유닛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체결 고정하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ing unit that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is divided into two, and has one end of the intubation unit inserted into the center, and has screw thread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joint unit tha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screw threads formed in the fastening unit and presses and fasten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ubation uni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unit.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린지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끼움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와 연통 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syringe un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돌출 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보관유닛의 상부커버가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유로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보관유닛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main body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that protrudes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and has screw thread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upper cover of the storage unit is connected in a screw manner, and the second channel can be extended and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channel and the storage unit can be connected.
이때, 상기 난자 채취 장치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보관유닛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보관유닛이 상기 연결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 경로가 상기 보관유닛까지 연장 되도록 하는 연장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gg retriev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egg or follicular fluid moving along the second channel while the storage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is extended to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이격된 상기 보관유닛이 끼움 거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having its own elasticity so that the storage unit,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is fitted and mounted thereon, but is detachable.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동력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동력부의 흡입력 및 토출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하는 조절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above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lever that controls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so that the suction power and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unit are selec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gg retrieval device with flush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난포액의 세척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을 사용자가 직접 단독으로 수행 가능함으로써, 난자 채취 시술의 플러싱 과정이 매끄럽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user can independently perform the washing of the follicular fluid and the suctioning of the egg or follicular flui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lushing process of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can be smoothly controlled.
둘째, 구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동력부가 구비됨으로써, 난포액 세척을 위한 배양액의 분사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난자 채취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a power unit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a drive lever is provided, spraying of culture solution for washing the follicular fluid and suction of oocytes or follicular fluid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셋째, 그에 따라 난자 채취 시술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보조자 인력에 대한 부담 및 시술 받는 환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it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egg retrieval procedures and reducing the burden on assistants and patients receiving the procedure.
넷째, 동력부의 출력이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양액의 분사량 또는 분사 강도의 조절이 세밀하게 이루어져 난포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by allowing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to be adjusted, the amount or intensity of the culture solution sprayed can be precisely adjust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stable treatment without damaging the follicles.
다섯째, 배양액의 분사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모두 이루어지되, 구성이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휴대가 용이함으로써, 병원내의 수술/시술실 등 여러 공간에서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축사나 농가, 동물 병원 등의 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fth, since the spraying of the culture medium and the suctioning of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are all performed,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act and easy to carr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moved and used in various spaces such as surgical/procedure rooms in hospitals, and can also be used in livestock sheds, farms, and animal hospital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있어서 배양액이 분사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있어서, 난자 또는 난포액이 흡입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있어서, 체결부, 결합부, 스위칭레버, 조절레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있어서, 체결부를 통해 삽관유닛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있어서, 연장유닛에 의한 연결부와 보관유닛의 결속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있어서, 보관유닛이 파지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ulture solution sprayed in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low of oocytes or follicular fluid being sucked in an oocyte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astening portion, a coupling portion, a switching lever, and a control lever in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 oocyte retrieval device with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tubation unit is detachably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portion;
FIG. 6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a connection part and a storage unit by an extension unit in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storage unit on a holding portion in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난소 내부의 난자 또는 난포액을 채취하는 시술 과정에서 보조자의 보조 없이도 사용자 단독으로 난포액의 세척과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난자를 채취하는 플러싱 과정의 횟수 및 배양액의 주입량 등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난자 채취 시술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ocyte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which enables a user to wash and suction an oocyte or follicular fluid without the assistance of an assistant during a procedure for retrieving an oocyte or follicular fluid inside an ovary, thereby easily controlling the number of flushing processes for retrieving an oocyte and the amount of culture medium injected, thereby allowing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to be performed conveniently and stably.
이러한 상기 난자 채취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난포액을 세척하기 위해 분사되는 배양액 및 난자의 채취를 위해 흡입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 통로가 되는 가이드유로(500)가 형성될 수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 가능하여 배양액이나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가이드유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배양액의 분사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흡입과 토출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모터를 갖는 동력부(M)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M)의 구동이 제어 가능하여 on/off 시키며,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세밀하게 조절 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레버(130)와, 상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M)의 구동에 의해 배양액이 분사되도록 하거나, 난자나 난포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삽관유닛(200)과, 상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배양액이 충진되어 상기 동력부(M)의 토출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200) 측으로 배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시린지유닛(300) 및 상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부(M)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200)에서 흡입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송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gg retrieval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1, comprises a main body (100) in which a guide channel (500) that serves as a passage for the culture solution sprayed to wash the follicular fluid inside and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sucked for the retrieval of the oocyte can be formed, a power unit (M) that can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o generate power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oocyte or follicular fluid can move along the guide channel, and which has a motor whose suction and discharge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so that either the spraying of the culture solution or the suction of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 drive lever (130) that can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M) and turn it on/off, and to enable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to be finely adjusted, and a drive lever (130) tha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 woman's vagina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prayed or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is sucked by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M). It may be composed of an intubation unit (200) that enables suction of ovules, a syringe unit (300)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has a culture medium filled therein so that the culture medium can be supplied to the intubation unit (200)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M), and a storage unit (400)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allows ovules or ovarian fluid sucked from the intubation unit (200) by the suction drive of the power unit (M) to be transported and stored.
이때, 상기 삽관유닛(200), 시린지유닛(300) 및 보관유닛(4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유로(500)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됨으로써, 배양액의 분사나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ubation unit (200), syringe unit (300) and storage unit (40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mutually connected with the guide path (5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ereby enabling smooth spraying of the culture solution or suction of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동력부(M)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동력부(M)의 교체나 점검과 같은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 등과 같이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picts the power unit (M) as being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on the outside, such as the top or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r inspection of the power unit (M)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유로(500)는 일측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기 삽관유닛(200)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기 시린지유닛(300)과 연통되며, 상기 동력부(M)의 토출 구동에 의해 상기 시린지유닛(300)에 충진된 배양액이 상기 시린지유닛(300)에서 상기 삽관유닛(200) 측으로 이동 되도록 하는 제1유로(510) 및 일측이 상기 제1유로(510)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기 보관유닛(400)과 연통되며, 상기 동력부(M)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200)을 통해 상기 제1유로(510) 측으로 흡입된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보관유닛(400) 측으로 이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유로(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hannel (5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has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intubation unit (2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e oth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syringe unit (3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channel (510) that allows the culture medium filled in the syringe unit (300) to move from the syringe unit (300) to the intubation unit (200)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M), and the storage unit (400) that has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nnel (510)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100), and the oocyte or It can be formed by including a second path (520) that allows the ovarian fluid to move toward the storage unit (400).
즉, 상기 가이드유로(500)는 하나의 유로가 일측에서 둘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above guide path (50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one path branches into two on one side.
또한, 내부에 상기 가이드유로(500)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100)는 상기 동력부(M)가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배양액이나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부(M)와 연계 가능한 상기 제1유로(510)가 내부에 형성되는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제1유로(510)와 연통되는 상기 제2유로(520)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난자 채취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n which the guide channel (500) is formed inside may include a head part (110) in which the power part (M) may be provided either inside or outside, and the first channel (51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part (M) so that the flow of culture medium, oocytes, or follicular fluid can be induced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part (M) is formed inside, and the head part (110) may be formed to extend to one side of the head part (110), and the second channel (520)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510) is formed inside, and may include a grip part (120) that allows a user to stably grip the head part to perform an oocyte retrieval procedure.
이때,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동력부(M)의 연계는 상기 동력부(M)가 상기 헤드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유로(510)가 상기 동력부(M)를 관통하거나, 상기 제1유로(510)의 일측에 상기 동력부(M)가 갖는 상기 모터의 일측이 연통되어 흡입 또는 토출에 대한 동력에 따른 압력이 상기 제1유로(510)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510) and the power unit (M) can be achieved by, when the power unit (M) is provided inside the head unit (110), the first flow path (510) penetrating the power unit (M), or by connecting one side of the motor of the power unit (M) to one side of the first flow path (510) so that pressure according to the power for suction or discharg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flow path (510).
또한, 상기 동력부(M)가 상기 헤드부(110)의 외부, 다시 말해, 상기 헤드부(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상기 동력부(M)가 구비될 경우, 상기 헤드부(11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유로(510)의 일측과 상기 동력부(M)가 갖는 상기 모터의 일측이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흡입 또는 토출에 대한 동력에 따른 압력이 상기 제1유로(510)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동력부(M)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unit (M)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ead unit (110),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r side of the head unit (110), a hole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flow path (510) formed inside the head unit (110) and one side of the motor of the power unit (M) are connected, so that pressure according to the power for suction or discharge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is applied to the first flow path (510), thereby enab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510) and the power unit (M).
이때, 상기 가이드유로(500)는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동력부(M)가 연계되는 지점의 상기 제1유로(510)의 일측에 상기 제2유로(520)가 분기되어 상기 제1유로(5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력부(M)가 흡입 구동을 할 시,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따른 압력이 상기 제2유로(520) 측으로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관유닛(200)을 통해 흡입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흐름이 상기 보관유닛(400) 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path (500) is configured so that the second path (520) branches off from one side of the first path (510)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path (510) and the power unit (M) are connec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ath (510), so that when the power unit (M) performs suction driv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is applied to the second path (520), thereby allowing the flow of the oocytes or follicular fluid sucked through the intubation unit (200) to be directed toward the storage unit (400).
예컨대, 상기 본체(100), 그 중에서도 상기 헤드부(110)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삽관유닛(200) 및 상기 시린지유닛(300)이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하여 난포액을 세척하는 배양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제1유로(51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난자 채취 시술 중 난포액을 세척하는 과정이 끝난 후 진행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 과정에서 상기 삽관유닛(200)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제1유로(510)를 따라 이동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시린지유닛(300)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유로(5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동력부(M)와 연계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상기 제1유로(510)의 일측에 상기 제2유로(520)가 분기/연통되도록 이어져 상기 삽관유닛(200)을 통해 흡입된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보관유닛(4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flow path (510) is used as a reference so that the intubation unit (200) and the syringe unit (3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especially the head part (1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ulture medium for washing the follicular fluid can be smoothly moved, after the process of washing the follicular fluid during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is completed, during the process of sucking the oocyte or the follicular fluid, before the oocyte or the follicular fluid sucked through the intubation unit (200) and moved along the first flow path (510) reaches the syringe unit (300), the second flow path (5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flow path (510), 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first flow path (510) located at the point connected to the power unit (M), so that the oocyte or the follicular fluid sucked through the intubation unit (200) can be This is to enable the follicular fluid to be delivered to the storage unit (40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부(M)와 연계되는 상기 제1유로(510)는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토출력 및 흡입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을 받아 배양액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출력과 흡입력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힘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유로(510)에서의 배양액이 흐르는 방향과 난자 또는 난포액이 흐르는 방향은 서로 상반됨을 인지하여야 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low path (510) connected to the power unit (M) can cause movement of the culture medium and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applied by the discharge force and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an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lture medium flow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flows in the first flow path (510) are opposite to each other as they are moved by the opposing forces of the discharge force and suction force.
예컨대, 상기 제1유로(510)에서의 배양액의 흐름이 정방향이라 가정할 경우, 상기 제1유로(510)에서의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흐름 방향은 역방향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flow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first channel (510) is forward, the flow direction of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in the first channel (510) can be seen as reverse.
이때, 상기 본체(100)는 난자 채취 시술 중, 배양액 분사 과정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 과정에 맞춰 상기 동력부(M)의 구동 방향을 스위칭하여 상기 동력부(M)에서 선택적으로 토출 구동 및 흡입 구동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레버(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switching lever (140) that switch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ower unit (M) according to the process of spraying the culture solution and the process of sucking the egg or follicular fluid during the egg retrieval procedure, so that the power unit (M) can selectively perform either the ejection drive or the suction drive.
또한, 상기 스위칭레버(140)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스위칭레버(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부(M)에서 토출 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제2유로(520)의 연통 부위를 차단하여 배양액이 상기 제2유로(52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레버(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부(M)에서 흡입 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시린지유닛(300)의 연통 부위를 차단하여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시린지유닛(300)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보관유닛(40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유닛(G)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ing unit (G)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linked to the switching lever (140) and, when the power unit (M) is driven to discharg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lever (140), blocks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channel (510) and the second channel (520) to prevent the culture medium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channel (520), and, when the power unit (M) is driven to suck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lever (140), blocks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channel (510) and the syringe unit (300) to prevent the oocytes or follicular fluid from flowing into the syringe unit (300) and smoothly moving toward the storage unit (400).
이러한 스위칭레버(140)는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한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시술 과정에 맞춰 손쉽게 조작 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레버(140)와 연계되는 상기 차단유닛(G)은 일측이 상기 스위칭레버(140)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레버(140)의 작동과 동시에 움직이게 되며, 타측은 상기 제1유로(510) 및 상기 제2유로(520) 중 어느 하나의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s switching lever (140) can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easily oper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that the user who has grasped the above-mentioned grip part (120) wants to perform, and the blocking unit (G)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switching lever (14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switching lever (140) and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switching lever (140), and the other side can be formed in a folded plate shape so that either one of the above-mentioned first flow path (510) and the above-mentioned second flow path (520) can be selectively blocked.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구동 및 흡입 구동 중 사용자가 상기 스위칭레버(140)를 조작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상기 동력부(M)에 의한 배양액의 분사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이 흡입되는 난자 채취 시술 과정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차단유닛(G)과 상기 스위칭레버(140)의 연계 구조는 도 4를 함께 참고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oocyte retrieval, in which the power unit (M) sprays the culture medium and sucks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by operating the switching lever (140) by the user during either the discharge drive or the suction drive,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locking unit (G) and the switching lever (14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부(M)의 구동을 on/off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구동레버(130)는 상기 본체(100) 중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파지부(120)에 인접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lever (130)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M) by turning it on/off is preferably provided adjacent to the grip part (1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while gripping the grip part (120) of the main body (100).
이러한 상기 구동레버(130)는 일축을 기준으로 스윙 이동되는 방아쇠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동력부(M)의 구동을 on/off 함은 물론, 방아쇠를 당기는 힘, 다시 말해, 상기 방아쇠의 스윙 각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driving lever (130)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igger that swings around a single axis so as to turn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M) on/off, and also to enable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to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force of pulling the trigger, that is, the swing angle of the trigger.
예컨대, 방아쇠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구동레버(130)의 최초 위치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당기게 될 때, 최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동력부(M)가 on 상태가 되어 구동되게 되며, 상기 구동레버(130)를 당기는 힘, 즉, 상기 구동레버(130)를 더 많이 당기게 될 경우, 그에 비례하여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토출력 및 흡입력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uts his finger on the drive lever (130) in the initial position in the form of a trigger and pulls it, the power unit (M) is turned on and driven by the initial force applied, and the power to pull the drive lever (130), that is, when the drive lever (130) is pulled more, increases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in proportion thereto, thereb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discharge output and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반대로, 상기 구동레버(130)를 당긴 상태에서 점차 풀어주어 상기 구동레버(130)가 최초 위치와 가까워 질수록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감소하여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토출력 및 흡입력의 세기가 약해지게 되며, 상기 구동레버(130)가 최초 위치에 도달하게 될 경우, 상기 동력부(M)의 구동은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drive lever (130) is pulled and gradually released,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decreases as the drive lever (130) approaches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discharge output and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weakens, and when the drive lever (130)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the drive of the power unit (M) can be switched to the off state.
이러한 상기 구동레버(13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난자 채취 시술 과정에서 배양액의 분사량이나 분사력, 그리고 난자 또는 난포액이 흡입되는 흡입력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By operating the above-mentioned driving lever (130), the user can precisely control the spray amount or spray force of the culture solution and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egg or follicular fluid in real time during the egg retrieval procedur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난자 채취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부(M)의 출력 제어가 상기 구동레버(13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 및 토출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19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gg retrie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by operating the drive lever (130)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lever (190)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in the head unit (110), so that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s operation, thereby selective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uction power and discharg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이러한 상기 조절레버(190)는 상기 동력부(M)가 갖는 상기 모터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레버(19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M)에서 낼 수 있는 출력의 한계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ontrol lever (190) can be linked with the motor of the power unit (M), and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can be controlled by setting a limit on the output that can be produced by the power unit (M)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lever (190).
예컨대, 상기 조절레버(19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약(1단계), 중(2단계), 강(3단계)으로 결정될 수 있는 위치를 기 설정하여, 사용자는 난자 채취 시술 과정에 필요한 출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레버(190)를 기 설정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동력부(M)의 과도한 출력에 의한 난포의 파괴, 또는 미약한 출력에 따른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 불가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by setting the positions where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can be determined as weak (stage 1), medium (stage 2), and strong (stage 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rol lever (190), the user can rotate the control lever (190) to the preset positions so that the output required for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can be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follicle due to excessive output of the power unit (M), or the inability to suck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due to weak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레버(130) 및 상기 조절레버(19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나, 보다 섬세한 출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난자 채취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레버(130)의 조작 및 상기 조절레버(190)의 조작이 모두 적용된 방법으로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조절/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as described above, either the drive lever (130) or the control lever (190) may be selected and applied, but in order to enable more precise output control and thereby enable more stable oocyte retrieval surgery,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may be adjusted/controlled in a method in which both the operation of the drive lever (130)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lever (190) are applied.
예컨대, 상기 조절레버(190)에서 기 설정될 수 있는 약(1단계), 중(2단계), 강(3단계)에 따른 설정은 각 단계에서 상기 동력부(M)가 낼 수 있는 최대 출력을 제한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조절레버(190)를 회전시켜 원하는 단계의 출력이 나오도록 하되, 설정된 단계 내의 출력 범위에서 상기 구동레버(130)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보다 세밀하게 조절되어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ettings according to weak (stage 1), medium (stage 2), and strong (stage 3) that can be preset in the control lever (190) limit the maximum output that the power unit (M) can produce at each stage, and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lever (190) to produce the output of the desired stage, but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can be more precisely adjust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drive lever (130) is pulled within the output range of the set stage.
다시 말해, 전체를 10이라 가정했을 시, 기 설정될 수 있는 약(1단계)에서의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은 1~3 이며, 중(2단계)에서의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은 4~7, 그리고 강(3단계)에서의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은 8~10 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ssuming the total to be 10,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at the weak (stage 1) that can be set is 1 to 3,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at the medium (stage 2) is 4 to 7, and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at the strong (stage 3) is 8 to 10.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동력부(M)의 출력 범위가 중(2단계) 일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조절레버(190)를 회전시켜 중(2단계)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중(2단계)에 속하는 4~7까지의 출력 범위는 상기 구동레버(130)의 당김 정도에 따라 세밀하게 조절 되되, 상기 구동레버(130)를 아무리 강하게 당기더라도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은 7을 초과하지 못하며, 아무리 약하게 당기더라도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은 4의 세기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output range of the power unit (M) desired by the user is in the middle (stage 2), the user can fix it to the middle (stage 2) by rotating the control lever (190), and the output range of 4 to 7 belonging to the middle (stage 2) is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ulling degree of the drive lever (130), but no matter how strongly the drive lever (130) is pulled,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does not exceed 7, and no matter how weakly the pull is made,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does not fall below the strength of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부(M)의 구동을 on/off 함은 물론,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구동레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아쇠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볍게 누르는 동작만으로 상기 동력부(M)의 구동 및 출력을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lever (130) that turns the drive of the power unit (M) on/off and allows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to be finely adjusted is not limited to a trigger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drive and output of the power unit (M) by simply lightly pressing it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120).
이러한 버튼 형태의 상기 구동레버(13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아쇠 형태의 구동레버(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되, 상기 방아쇠 형태의 구동레버(130)가 스윙 이동 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였다면,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는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제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button-shaped drive lever (130)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trigger-shaped drive lever (130), but if the trigger-shaped drive lever (13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according to the swing angle, the button-shaped drive lever (13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예컨대,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를 최초 누르는 시점에서 상기 동력부(M)는 on 상태가 되어 구동되게 되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를 점차 강하게 눌러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가 상기 본체(100)에 내입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증가하여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토출력 및 흡입력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is first pressed, the power unit (M) is turned on and driven, and as the user gradually presses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harder and harder, the degree to which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discharge output and suction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를 누르는 힘을 약하게 하여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가 최초의 위치와 가까워 질수록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감소하여 상기 동력부(M)에서 발생되는 토출력 및 흡입력의 세기가 약해지게 되며,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가 최초 위치에 도달하게 될 경우, 상기 동력부(M)의 구동이 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Conversely, as the user weakens the force with which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is pressed, and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approaches the initial position,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decreases,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discharge output and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M) weakens, and when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M)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이때,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가 적용될 경우, 상기 본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20)가 없는 'ㅡ'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난자 채취 장치의 전체적인 형태가 보다 간결해 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ㅡ'자 형태의 상기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is applied,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ㅡ' shape without the grip portion (120)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egg retrieval device can be made simpl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button-shaped driving lever (130) while gripping the 'ㅡ'-shaped main body (100).
이와 같은 상기 버튼 형태의 구동레버(130)는 상기 방아쇠 형태의 구동레버(130)의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조절레버(190)와의 조합으로 상기 동력부(M)의 출력이 보다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하며, 그 방법은 상술한 상기 방아쇠 형태의 구동레버(130)와 상기 조절레버(190)의 조합과 동일한 바, 이를 참고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button-shaped drive lever (130) can enable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M) to be more finely controlled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ontrol lever (190), as mentioned in the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trigger-shaped drive lever (130). The method for doing so is the same as 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trigger-shaped drive lever (130) and the above-described control lever (190), so that it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삽관유닛(20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150) that allows the intubation unit (200) to be detachably coupled.
이러한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헤드부(110)의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관유닛(200)의 일단부가 끼움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삽관유닛(200)이 상호 연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삽관유닛(200)인 만큼 소독을 하거나 깨끗한 것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astening member (15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110), and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200) so that the first path (510) formed inside the head portion (110) and the insertion unit (200) may be mutually connected, and as the insertion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vagina of a woman, it may be easily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sterilized or replaced with a clean one.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헤드부(110)의 선단부에서 돌출 연장되되, 이분할 되어 중심에 상기 삽관유닛(200)의 일단부가 끼움 삽입될 수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유닛(151) 및 상기 끼움유닛(151)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전후 이동되며, 이분할 된 상기 끼움유닛(151)이 모이거나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끼움유닛(151)에 삽입된 상기 삽관유닛(200)의 외주면이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삽관유닛(20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거나, 교체를 위해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유닛(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fastening portion (150)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fastening unit (151) that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10) and is divided into two, into which one end of the intubation unit (200) can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center, and a joint unit (152) tha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screw threads formed on the fastening unit (151) and allows the fastening unit (151) that is divided into two to come together or spread apart, thereby pressuriz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tubation unit (20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unit (151) so that the intubation unit (200) is fastened and fixed, or can be removed for replacement.
이때, 상기 끼움유닛(151)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유닛(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스크류 이동된 상기 조인트유닛(15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조인트유닛(152)이 상기 끼움유닛(1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topper may be formed protrudingly at one end of the fitting unit (151) to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joint unit (152) that is screw-moved along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unit (151) and prevent the joint unit (15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tting unit (15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50)의 구조 및 상기 체결부(150)를 통해 상기 삽관유닛(200)이 상기 헤드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도록 하는 것은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150) and the way in which the intubation unit (200)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head portion (110)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5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이러한 상기 체결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유닛(151) 및 조인트유닛(1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끼움홈에 상기 삽관유닛(200)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거나, 상기 삽관유닛(200) 자체가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스크류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난자 채취 시술 간에 상기 삽관유닛(200)이 무분별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유닛(151)과 이를 조여서 상기 삽관유닛(200)의 외주면이 가압되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조인트유닛(152)의 조합 또는 이와 유사하게 상기 삽관유닛(20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portion (150) is not limited to a structure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fitting unit (151) and the joint unit (152), and may be formed by a screw hole structure in which the cannulation unit (200)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or the cannulation unit (200) itself is coupled in a screw manner. Howev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mbination of the fitting unit (151) and the joint unit (152)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cannulation unit (200) is pressurized and fixed by tightening it so that the cannulation unit (200) is prevented from being indiscriminately detached during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cannulation unit (200) can be fastened and fixed in a similar manner.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헤드부(110)의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시린지유닛(300)의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110)의 내측으로 끼움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11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유로(510)와 상기 시린지유닛(300)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결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1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160) in which one end of the syringe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110) so that the first flow path (510) formed inside the head portion (110) and the syringe unit (300) are mutually connected.
이때, 상기 시린지유닛(300)은 바늘이 결합되지 않은 일반적인 주사기에 해당하며, 주사기의 돌출부 및 몸체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160)에 끼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yringe unit (300) corresponds to a general syringe without a needle attached, and a protrusion of the syringe and a part of the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160) to form a connection.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파지부(1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120)의 하단면에 돌출 연장되어 상기 보관유닛(400)의 상부커버(41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보관유닛(400)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70) that protrudes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120),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20), so that the upper cover (410) of the storage unit (400) is fitted and connected so that the storage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이때, 상기 연결부(170)의 내측에는 상기 파지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유로(520)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유로(520)와 상기 보관유닛(400)이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econd channel (520) formed inside the grip part (120) by extending it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art (170), so that the second channel (520) and the storage unit (400) can be mutually connected.
또한, 상기 연결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20)의 하단면에 돌출되어 상기 보관유닛(400)의 상부커버(4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관유닛(400)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17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41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관유닛(400)이 상기 연결부(170)에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17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20) so that the upper cover (410) of the storage unit (400) may be fitted into 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rder to more stably couple the storage unit (400), it is preferable that screw threads ar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70), and a connecting hole with screw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410) is formed so that the storage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70) in a screw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난자 채취 장치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1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이 상기 보관유닛(40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보관유닛(400)이 상기 연결부(17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2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유로(520)를 따라 이동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 경로가 상기 보관유닛(400)까지 연장되어 난자의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유닛(C)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gg retriev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unit (C) that can b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nnection portion (170)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unit (400) so tha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egg or follicular fluid moving along the second channel (520) formed inside the holding portion (120) while the storage unit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70) is extended to the storage unit (400) so that egg retrieval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러한 상기 연장유닛(C)은 PVC 또는 실리콘 재질의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난자가 독성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시술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캐뉼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The above extension unit (C) may be made of a hose made of PVC or silicon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medical cannula generally used in the procedure to prevent the oocyte from being exposed to potentially toxic chemicals.
또한, 상기 연결부(170)에 끼움 결합되어 연장된 상기 연장유닛(C)의 타측은 상기 보관유닛(400)의 내부에 그대로 안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관유닛(400)의 상부커버(410)를 관통하여 상기 보관유닛(4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unit (C) extended by being fit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170) may be installed as is inside the storage unit (4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unit (400) by penetrating the upper cover (410) of the storage unit (400),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installation.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장유닛(C)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기 보관유닛(400)이 난자 채취 시술 과정에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난자 또는 난포액의 채취 상황을 사용자가 시술 간에도 실시간으로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파지부(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유닛(400)이 끼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18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ing portion (120) to which the storage unit (400) can be inserted and mounted so as to prevent the storage unit (400) provid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0) by the extension unit (C) from being damaged by falling during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o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retrieval situation in real time even during the procedure.
이러한 상기 거치부(180)는 상기 보관유닛(400)이 끼워졌을 시, 상기 보관유닛(400)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보관유닛(400)이 상기 파지부(120)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체 탄성력 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보관유닛(400)이 거치되되, 난자 채취 시술이 끝나면 상기 보관유닛(400)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mounting portion (180) may be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when the storage unit (400) is fitted, it is tightly fitt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400) so that the storage unit (4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120).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180)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or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torage unit (400) is mounted, but is mounted in a detachable manner so that the storage unit (400) can be easily recovered when the oocyte retrieval procedure is finish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결합부(160), 연결부(170), 연장유닛(C) 및 거치부(180)의 구조와 그에 따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또는 거치 되는 상기 시린지유닛(300) 및 상기 보관유닛(400)의 결속 관계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160), the connecting portion (170), the extension unit (C) and the mounting portion (180)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yringe unit (300) and the storage unit (40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or mounted to the main body accordingly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는 기본적으로 산부인과와 같은 병원의 시술/수술실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기구로 배양액의 분사 및 난자 또는 난포액의 흡입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여 병원 내 여러 공간, 다시 말해 시술실이나 수술실 등과 같은 병원 내의 여러 공간을 이동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삽관유닛(200)을 변경하여 사람 뿐만 아니라 축사나 농가의 동물들 또는 동물병원에서 동물을 대상으로 한 난자 채취 시술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asically used in a procedure/operation room of a hospital such as an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ince it is configured in a compact manner in which both spraying of a culture medium and suctioning of an egg or follicular fluid can be performed with a single device, it is easy to carry and convenient to use in various spaces within a hospital, that is, in other words, in various spaces within a hospital such as a procedure room or an operating room, and in some cases,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used for egg retrieval procedures targeting not only humans but also animals in livestock farms or farms or animals in animal hospitals by changing the intubation unit (2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본체
110 : 헤드부
120 : 파지부
130 : 구동레버
140 : 스위칭레버
150 : 체결부
151 : 끼움유닛
152 : 조인트유닛
160 : 결합부
170 : 연결부
180 : 거치부
190 : 조절레버
200 : 삽관유닛
300 : 시린지유닛
400 : 보관유닛
410 : 상부커버
500 : 가이드유로
510 : 제1유로
520 : 제2유로
C : 연장유닛
G : 차단유닛
M : 동력부100 : Body
110 : Head
120 : Phage Department
130 : Drive lever
140 : Switching lever
150 : Fastening part
151 : Insertion unit
152 : Joint Unit
160 : Joint
170 : Connection
180 : Mounting part
190 : Control lever
200 : Intubation Unit
300 : Syringe unit
400 : Storage Unit
410 : Top cover
500 : Guide Euro
510 : 1st Euro
520 : 2nd Euro
C: Extension unit
G: Blocking unit
M: Power unit
Claims (14)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배양액,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동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흡입 또는 토출의 조절이 선택 가능한 모터를 갖는 동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의 구동이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레버;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의 구동에 의해 배양액의 분사 또는 난자나 난포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관유닛;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배양액이 충진되어 상기 동력부의 토출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 측으로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시린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에서 흡입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이 이송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삽관유닛, 시린지유닛 및 보관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로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A body in which a guide channel is formed inside to serve as a passage for the movement of culture medium, oocytes or follicular fluid;
A power unit provided in the above body that generates power to move culture solution, eggs or follicular fluid, and has a motor that can selectably control suction or discharge;
A driving lever provided in the above body to enable control of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An insertion unit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s at least a portion inserted into the vagina of a woman so that the injection of culture medium or suction of eggs or follicles is performed by the driving of the power unit;
A syringe unit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s a culture medium filled inside so that the culture medium is supplied to the intubation unit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and
A storage unit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ransports and stores oocytes or follicular fluid sucked from the intubation unit by the suction drive of the power unit;
Including,
An oocyte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wherein the above-mentioned intubation unit, syringe unit, and storage unit are structured to be mutually connected with the above-mentioned guide channel.
상기 가이드유로는,
일측이 상기 삽관유닛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시린지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동력부의 토출 구동에 의해 배양액이 상기 시린지유닛에서 상기 삽관유닛 측으로 이동 되도록 하는 제1유로; 및
일측이 상기 제1유닛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보관유닛과 연통되며, 상기 동력부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삽관유닛에서 흡입된 난자 또는 난포액이 상기 보관유닛 측으로 이동 되도록 하는 제2유로;
를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guideline is,
A first flow pat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ubation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yringe unit, and allowing the culture medium to move from the syringe unit to the intubation unit by the discharge drive of the power unit; and
A second channe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configured to move oocytes or follicular fluid sucked from the intubation unit toward the storage unit by the suction drive of the power unit;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동력부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유로가 상기 동력부와 연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안정적인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body,
A head part having the power unit and having the first flow path formed in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nd
A gripping portion formed by extending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having the second flow path formed inside, and allowing the user to have a stable grip;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제1유로가 상기 동력부와 연계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유로가 분기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연통이 이루어지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guideline is,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ushing, wherein the second flow path branches off at a point where the first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there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상기 구동레버는,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파지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driving lever,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which is provided adjacent to the grip se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grip section while gripping it.
상기 본체는,
상기 동력부의 구동 방향을 스위칭하여 상기 동력부에서 선택적으로 토출 구동 및 흡입 구동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레버;
를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body,
A switching lever that switch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ower unit so that the power unit selectively performs either discharge driving or suction driving;
An egg retrieval device having adjustable flushing capability,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스위칭레버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스위칭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부에서 토출 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연통 부위를 차단하고, 상기 스위칭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부에서 흡입 구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시린지유닛의 연통 부위를 차단하는 차단유닛;
을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body,
It can be linked with the above switching lever,
A blocking unit that blocks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when the power unit performs a discharge driv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lever, and blocks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yringe unit when the power unit performs a suction driv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lever;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관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제1유로의 일측과 연통 되도록 끼움 삽입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body,
A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so that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first passage;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체결부는,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에서 돌출 연장되되, 이분할 되어 중심에 상기 삽관유닛의 일단부가 끼움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유닛; 및
상기 끼움유닛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전후 이동되며, 상기 끼움유닛에 삽입된 상기 삽관유닛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체결 고정하는 조인트유닛;
을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Article 8,
The above connecting part is,
An insertion unit that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head portion and is divided into two, with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center, and has screw thread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and
A joint unit tha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above fitting unit and pressurizes and secure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above fitting unit;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린지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끼움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와 연통 되도록 하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body,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wherein one end of the syringe un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돌출 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보관유닛의 상부커버가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유로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보관유닛이 연통되도록 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body,
A connecting portion that protrudes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above-mentioned portion and has screw thread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upper cover of the above-mentioned storage unit is connected in a screw manner;
Including,
An egg retrieval device capable of flushing control, wherein the second channel is formed to extend inside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channel and the storage unit are connected.
상기 난자 채취 장치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보관유닛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보관유닛이 상기 연결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난자 또는 난포액의 이동 경로가 상기 보관유닛까지 연장 되도록 하는 연장유닛;
을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Article 11,
The above egg retrieval device,
An extension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mounted inside the storage unit such tha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oocyte or follicular fluid moving along the second path while the storage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s extended to the storage unit;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이격된 상기 보관유닛이 끼움 거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거치부;
를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Article 12,
The above body,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bove-mentioned portion, wherein the storage uni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is fitted and mounted, but has its own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detached;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상기 본체는,
상기 동력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동력부의 흡입력 및 토출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하는 조절레버;
를 더 포함하는 플러싱 조절이 가능한 난자 채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ody,
A control lev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ower unit so that the suction power and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unit are selec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An egg retrieval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9656A KR102781041B1 (en) | 2023-05-09 | 2023-05-09 | Ovum pick-up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
PCT/KR2024/005876 WO2024232588A1 (en) | 2023-05-09 | 2024-04-30 | Flushing-adjustable ovum pickup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9656A KR102781041B1 (en) | 2023-05-09 | 2023-05-09 | Ovum pick-up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2711A KR20240162711A (en) | 2024-11-18 |
KR102781041B1 true KR102781041B1 (en) | 2025-03-14 |
Family
ID=9343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9656A Active KR102781041B1 (en) | 2023-05-09 | 2023-05-09 | Ovum pick-up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81041B1 (en) |
WO (1) | WO2024232588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24434A (en) | 1987-01-14 | 1989-04-25 | Seitz Jr H Michael | Apparatus used in a method for removing tissue and living organisms from human body cavities |
CN208481430U (en) | 2017-10-25 | 2019-02-12 | 周桦 | One kind taking egg apparatus too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778B1 (en) * | 2010-05-17 | 2012-07-27 | 대한민국 | Apparatus and methods for animal ovum pick-up using abdominal cavity images |
KR101602576B1 (en) | 2014-10-21 | 2016-03-16 | (주)메디엔비즈 | Ovum pick up apparatus and aspiration needle for ovum pick up |
CN111839654B (en) * | 2020-07-24 | 2022-05-20 | 中南大学湘雅医院 | Guide positioning type electric bone drill |
-
2023
- 2023-05-09 KR KR1020230059656A patent/KR102781041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4-30 WO PCT/KR2024/005876 patent/WO2024232588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24434A (en) | 1987-01-14 | 1989-04-25 | Seitz Jr H Michael | Apparatus used in a method for removing tissue and living organisms from human body cavities |
CN208481430U (en) | 2017-10-25 | 2019-02-12 | 周桦 | One kind taking egg apparatus t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2711A (en) | 2024-11-18 |
WO2024232588A1 (en) | 2024-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31052A (en) | Method for removing tissue and living organisms | |
US11839390B2 (en) | Method for reducing biofilm formation | |
EP0565694B1 (en) | Laser delivery system | |
CN106604687B (en) | Sheath assembly and porous catheter for endoscopic surgery in different fields including suction, irrigation and material removal | |
US4824434A (en) | Apparatus used in a method for removing tissue and living organisms from human body cavities | |
US20140074136A1 (en) | Surgical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 |
CA252358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ling delivery and placement | |
US20020173699A1 (en) | Endoscope sleeve and irrigation device | |
EP0558846A1 (en) | Suction tube for use in surgical operation | |
JP2001521424A (en) | Medical suction device and its use | |
US20120116245A1 (en) | Puncture device | |
EP2103266B1 (en) | Flushing device for a puncturing device | |
US20070233059A1 (en) | Versatile irrigation system dissector | |
CN209019565U (en) | A kind of flushing aspirator suctioning integrated angle adjustable | |
US8038597B2 (en) | Instrument for endoscope | |
KR102781041B1 (en) | Ovum pick-up device with adjustable flushing | |
CN108113730A (en) | It is a kind of that there is the rongeur attracted with pre-washing function | |
KR200495284Y1 (en) | Medical cannula with multiple structures | |
WO2019104682A1 (en) | Water jet for tissue pulverizer | |
CN208464172U (en) | A kind of head-shield of hemorrhoids ligator | |
EP0553461A1 (en) | Suction-irrigation chirurgical device | |
CN221513017U (en) | Suction instrument for surgical robot | |
CN215274861U (en) | Special suction device for nasal endoscope operation | |
CN209713065U (en) | A kind of Medical forceps | |
CN111803730B (en) | Suction device for throat, neck and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nd use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