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0522B1 -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0522B1
KR102780522B1 KR1020240138449A KR20240138449A KR102780522B1 KR 102780522 B1 KR102780522 B1 KR 102780522B1 KR 1020240138449 A KR1020240138449 A KR 1020240138449A KR 20240138449 A KR20240138449 A KR 20240138449A KR 102780522 B1 KR102780522 B1 KR 102780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content
kiosk
information
kios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38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운
정우진
Original Assignee
대한노인회정보화사업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노인회정보화사업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노인회정보화사업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13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05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052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07F9/0235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the arrangements being full-front touch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운영 서버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관리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갱신(update)하는 콘텐츠 관리부;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키오스크 이용 관리부;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각각으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와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당 키오스크의 장애를 감지하는 장애 관리부;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이용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들 각각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기관 서버 연동부; 및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고, 실시간 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방송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부를 포함한다.An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a route-based kiosk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content from each of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management servers and continuously updates the stored content; a kiosk use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and processes us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oute-based kiosks; a failure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based kiosks and detects a failure of at least one route-based kiosk based on the collect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usage information; an agency server linkage unit that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to provide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management server and manages access righ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for the plurality of route-based kiosks; and a broadcast management unit that performs a broadcast service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route-based kiosks and generates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a real-time broadcast status.

Description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방법{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ntrol technology for a kiosk per rout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for a kiosk per rout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고령화 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베이비 붐 세대가 노인층에 합류하는 10년간은 매년 최대 약 900만명의 노인층이 매년 편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As the aging society accelerate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t is expected that up to 9 million elderly people will be added to the elderly population each year for the next 10 years as the baby boomers join the elderly population.

또한, 최근에는 누구나 모바일 단말을 소지하고 활용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경로당에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설비가 갖춰져있다.In addition, as it has become commonplace for anyone to carry and use a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facilities are also installed at each route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경로당은 지난 수년동안 단순히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불과하였으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비를 통해 노인 개개인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노년층의 건강하고 정보화된 삶을 보조할 수 있는 장비의 보급이 절실해진 상태이다.These paths have served simply as community spaces for several years, but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vide equipment that can bridge the digital divide for individual seniors and help them lead healthy, information-savvy live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그러나, 이러한 경로당 키오스크는 단방향 통신으로서 단순히 콘텐츠를 경로당의 노년층에게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실질적으로 노년층의 문화, 여가, 의료, 돌봄, 지자체 관련 활동을 통합적으로 보조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는 지지부진한 상태이다.However, these kiosks for each route are one-way communications that simply provide content to the elderly in each route, and thus are not very supportive of finding ways to comprehensively assist and interact with the elderly's cultural, leisure, medical, care, and local government-related activities.

또한, 경로당 키오스크가 단순히 각 경로당에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활용되는 것에 그치는 것뿐만 아니라, 각 경로당에 설치된 경로당 키오스크들의 안정적인 통합 관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table integrated control plan for the route kiosks installed at each route, rather than simply installing them at each route and using them individual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operation serve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를 제공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상기 운영 서버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관리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갱신(update)하는 콘텐츠 관리부;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키오스크 이용 관리부;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각각으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와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당 키오스크의 장애를 감지하는 장애 관리부;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이용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들 각각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기관 서버 연동부; 및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고, 실시간 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방송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부를 포함한다.The above operation server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unit which receives and stores content from each of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management servers and continuously updates the stored content; a kiosk use management unit which collects and processes us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a failure management unit which collect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and detects a failure of at least one route-specific kiosk based on the collect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usage information; an agency server linkage unit which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to provide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management server and manages access righ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for the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and a broadcast management unit which performs a broadcast service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and generates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a real-time broadcast status.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보편 콘텐츠와 특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각각에 업로드하되, 상기 특화 콘텐츠는, 특정 지자체에 한정된 정보를 취급하는 콘텐츠이고, 상기 보편 콘텐츠는 상기 특화 콘텐츠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 콘텐츠이다.The above content management unit uploads content including universal content and specialized cont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wherein the specialized content is content that handles information limi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content is the remaining content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alized content.

상기 이용 정보는, 경로당 키오스크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오스크 접근 기록,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앱 구동 기록,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열람 기록,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당 시설 접근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abov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registered at a kiosk per route, a kiosk access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 app operation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 content viewing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 route facility access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상기 운영 서버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와 연동된 건강 관리 장치의 유무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전원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내장된 앱의 동작을 기록한 로그 이력 정보,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에 내장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종류와 식별 기호, 콘텐츠 별 열람횟수, 콘텐츠 별 표시시간, 및 내장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r type of a health management devic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route kiosk,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wer on/off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user has logged in, log history information record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app, the type and identification symbol of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uilt into the corresponding route kiosk, the number of views for each content, the display time for each content, and error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error of the built-in hardware or software.

상기 기관 서버 연동부는, 미리 생성된 복수의 지자체 식별코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접근 권한 레벨로 구성된 접근 권한 테이블을 미리 생성하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한다.The above-mentioned institution server linkage unit creates an access authority table composed of access authority level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re-generated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s in advance and stores the table in internal storage.

상기 접근 권한 테이블은, 지자체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지회나 연합회의 고유 명칭, 해당 지회 또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의 고유 식별기호, 및 상기 접근 권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above access authority table includes a unique name of a branch or association corresponding to a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a unique identifier of a kiosk per route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associ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above access authority levels.

상기 경로당 키오스크의 고유 식별기호는 상기 지자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생성된다.The unique identifier of the kiosk for each route is generated using the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When using the operation server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route-based kios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oute-based kiosks can be stably managed.

또한, 경로당 키오스크들의 이용 현황과 방송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오류를 즉각적으로 보고하고 현장 파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can be carried out quickly because the usage status and broadcast status of each route's kiosks are monitored in real time, errors are reported immediately, and on-site dispatch is made.

또한, 경로당 키오스크들과 그 소속 관리 서버들의 유기적인 연계를 이용하여 복구작업을 자동적으로 즉각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맞춤형 콘텐츠에 특화된 복구가 가능하므로 향후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로 운용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utilizing the organic linkage between the kiosks per route and their management servers, recovery work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immediately, and recovery specialized for customized content is possibl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 most efficient management possible for operating a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content for users in the futur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의 통합 관제를 위한 표준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권한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관리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부를 통해 표시되는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부의 이슈 리포팅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ndard model for integrated control of a kiosk per rou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n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a kiosk per rou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a kiosk per route according to FIG. 2.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screen for monitoring operating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rights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exemplifying the operation of a broadcas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nitoring interface displayed through a faul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for performing issue reporting of a faul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faul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의 통합 관제를 위한 표준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ndard model for integrated control of a kiosk per rou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키오스크 형태의 이른바 경로당 키오스크가 각 경로당에 설치되고 보급되는 것을 목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2021년부터 스마트 경로당 구축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re implementing a smart route construction project starting in 2021 with the goal of installing and distributing so-called route-specific kiosks in the form of kiosks at each route.

이와 연계된 방향성으로, 출원인은 정부 및 노인복지 관계자의 기획이 아닌 노인에 의한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에 의해 설계한’ 스마트 경로당 표준안을 마련하였다.In this direction, the applicant has prepared a standard for a smart path that is ‘designed by, for, and centered on users’ by the elderly, rather than planned by the government or senior welfare officials.

이러한 스마트 경로당 표준안은 노인들이 실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키오스크 사용방법과 개인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경로당 전용 인터넷 환경, 경로당 전용 TV 채널 등을 통해 현실적인 경로당의 스마트화를 담고 있다.These smart path standards contain realistic smartening of senior centers through methods of using kiosks that seniors face difficulties in real life,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a dedicated internet environment for senior centers, and dedicated TV channels for senior centers.

또 하나의 주요한 기능으로는 신경망 같은 경로당 간에 유기적인 연결 시스템을 구축하여 67,870개소의 경로당과 직접 소통하는 지역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많은 기능과 콘텐츠를 담은 키오스크형 ‘올인원’ 컴퓨터를 형평성, 보편성, 공공성을 보장하는 멀티미디어 보급을 표준안의 핵심으로 하고 있다.Another major feature is the provision of customized content for each region by directly communicating with 67,870 route parties by building an organic connection system between route parties like a neural network, and the provision of multimedia that guarantees fairness, universality, and publicness with a kiosk-type ‘all-in-one’ computer that contains many functions and contents so that it is not restricted by place and time, with the core of the standard being multimedia distribution.

특히 지역게시판을 통해 일자리 정보, 복지정보, 지역의 생활정보, 뉴스, 날씨 등의 정보와 지회게시판을 통해 지회 소식, 지회장과 소통, 일정, 행사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자칫 전달에 소홀할 수 있는 노인복지와 혜택에 대한 정보를 모든 경로당 회원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였다.In particular, by providing job information, welfare information, local living information, news, weather, etc. through the local bulletin board and branch news, communication with the branch manager, schedules, events, etc. through the branch bulletin board, we have created a window where all senior center members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on welfare and benefits for the elderly that may otherwise be neglected.

또한 다양한 부분을 플랫폼과 모듈 형태로 개발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콘텐츠의 추가와 폐기, 새로운 기술의 적용과 시스템의 장착이 용이 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various part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platforms and modules to facilitate the addition and disposal of content,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installation of systems for long-term use.

도 1에 따른 스마트 경로당 표준모델은 각 지자체와 지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경로당 사업의 중복투자를 줄이고, 양질의 문화, 건강, 여가, 금융, 일자리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The standard model for smart routes according to Fig. 1 will reduce duplicate investments in smart route projects being promoted by each local government and branch, and provide quality cultural, health, leisure, financial, and job content.

전국의 경로당들을 총괄하는 대한 노인회측에 통합관제센터를 설치하고, 설치된 통합관제센터 내의 운영 서버를 통해 각 지회에 설치된 서버로부터 각종 콘텐츠 장애 신고, 문의 등을 전달받고, 각 지회 산하의 경로당마다 설치된 키오스크에 대한 신상정보, 로그인 정보, 콘텐츠별 이용정보, 이용 통계 등을 각 지회에 설치된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An integrated control center is installed in the Korea Senior Citizens Association, which oversees all senior centers nationwide.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i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reports of content failures and inquiries are received from servers installed in each branch. Personal information, login information, content-specific usage information, usage statistics, etc. for kiosks installed in each senior center under each branch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s installed in each branch.

또한, 대한 노인회 산하의 광역 자치단체에 설치된 서버에서도 광역 단체에 특화된 콘텐츠를 준비하여 운영 서버에 전달하고, 해당 광역자치단체 산하의 각 경로당마다 설치된 키오스크에 직접 관련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servers installed in local governments under the Korea Senior Citizens Association can prepare content specialized for local governments and deliver it to the operating server, and support the direct upload of related content to kiosks installed at each senior center under the local government.

본 발명에서 연합회는 대한 노인회 산하의 단체로서 광역자치단체별로 지정된 산하 조직을 의미하고, 지회는 대한 노인회 산하의 단체로서 기초자치단체별로 지정된 산하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deration may be interpreted as an organization under the Korean Senior Citizens' Association and a subordinate organization designated by each metropolitan autonomous body, and the Branch may be interpreted as an organization under the Korean Senior Citizens' Association and a subordinate organization designated by each basic autonomous body.

각 경로당에 설치된 키오스크는 문화와 여가 콘텐츠, 의료와 돌봄 콘텐츠, 정부와 지자체 또는 지회 관련 정보 등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키오스크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신상정보나 로그인정보, 콘텐츠별 이용 정보, 의료 정보 등을 통합관제센터 내의 운영 서버에 제공한다. Kiosks installed at each route receive and display cultural and leisure content, medical and care content,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or branch-related information, etc., and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or login information of users logged into the kiosk, content-specific usage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etc. to the operation server withi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지금까지의 경로당은 지자체의 관계 공무원 분들과 단체들의 수고로움으로 유익한 프로그램도 진행되지만 대부분은 인근 지역 노인분들이 시간을 보내는, 모이는 분들만 모이는 그런 곳이었다.Up until now, the path party has been a place where only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rganizations can work hard to run beneficial programs, but most of them have been places where only local senior citizens can spend time, or where only people who want to gather gather.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경로당으로 전환한다면 각 지역의 경로당은 반드시 회원으로 가입하고 찾을 수밖에 없고 필수적인 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이자 건강지원센터가 될 수 있다.However, if the smart route par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each regional route party will have no choice but to join as a member and visit, and it can become an essential administrative agenc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health support cente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n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a kiosk per rou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100, 이하 운영 서버로 약칭될 수 있음)는, 경로당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및 상기 경로당을 관할하는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operation server (100, hereinafter abbreviated as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plurality of kiosks per route (200) arranged per route and a management server (300) that manages the route.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각 지역마다 위치한 경로당 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카메라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장치(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 사용자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RFID 결제 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route kiosk (200) may be placed one by one within each route located in each region. In one embodiment, the route kiosk (200) may include a camera for identifying a user's face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user. In a further embodiment, the route kiosk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device (e.g., a touch screen, a keyboard, a mouse, etc.) fo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an RFID payment module for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from a user, etc.

또한,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경로당 내에 비치된 각종 건강 관리 장치들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여 사용자 정보에 따른 건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는, 혈압계, 체온계, 혈당 측정기, 심박 센서, 러닝 머신, 사이클링 머신 등일 수 있다. 건강 정보는, 혈압계, 체온계, 혈당측정기, 심박 센서 각각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혈압, 체온, 혈당량, 심박수 등을 포함하고, 러닝 머신이나 사이클링 머신에 대한 이용 시간, 이용 시간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운동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iosk (200) per route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health management devices installed within the route us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generate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health management devices can be a blood pressure monitor, a thermometer, a blood sugar meter, a heart rate sensor, a treadmill, a cycling machine, etc. The health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blood sugar level, heart rate, etc. measured by the blood pressure monitor, thermometer, blood sugar meter, and heart rate sensor, respectively, and can include the usage time for the treadmill or cycling machine,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according to the usage time, exercise intensity, etc.

관리 서버(300)는, 경로당을 관할(또는 관리)하는 단체(예를 들어, 단체는 대한노인회의 광역지자체 또는 기초지자체에 소재한 지회일 수 있음)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n organization that governs (or manages) the route (for example, the organization may be a branch of the Korea Senior Citizens Association located in a metropolitan or basic local government).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운영 서버(100)로부터 콘텐츠(여기서 콘텐츠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열람 가능한 콘텐츠-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하는 특정 확장자 데이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콘텐츠-예를 들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열람이 용이한 이미지 파일, 영상 파일 등-를 모두 포함한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내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영 서버(100)는, 운영 서버(100)로부터 보편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편 콘텐츠는 특정 지자체와 관련성이 없는 콘텐츠로서, 특화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화 콘텐츠는, 특정 지자체에 한정된 정보를 취급하는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해당 지자체에서의 날씨 정보, 복지 혜택 정보, 지자체 정책 정보, 지자체 운영시간 정보, 지자체에 속하는 시설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ute kiosk (200) can receive and store content (here, the content includes not only content that can be viewed only in a specific application - for example, specific extension data used only in a specific application - but also content that is commonly used in multiple applications - for example, image files, video files, etc. that can be easily viewed in multiple applications)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display the stored content to the user through the internal display. To this end, the operation server (100) can receive universal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ransmit content including the received universal content to the route kiosk (200). Here, the universal content refers to content that is not rela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may refer to the remaining content excluding specialized content. For example, specialized content refers to content that handles information limi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weather information, welfare benefit information, local government policy information, local government operating hours information, and facility-related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local government.

또한,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내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특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경로당 키오스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kiosk (200) can receive and store cont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display the stored content to the user through an internal display. The management server (300) can transmit content including specialized content to the route kiosk (200).

운영 서버(100)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정보는,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오스크 접근 기록,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앱 구동 기록,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열람 기록,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 정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당 시설 접근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00) can collect usage information from the route kiosk (200). For example, the usage information can include us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oute kiosk (200), kiosk access record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pp operation record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content viewing record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route facility access record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etc.

운영 서버(100)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마다 수집된 이용정보를 결합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계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서 열람 가능한 내부 저장소의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00) can generate statistical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usage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kiosk (200) per route, and store the generated statistical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view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For example, the statistical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 storage area of an internal storage that can be view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운영 서버(100)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 정보는, 전원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운영 서버(10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와 연동된 건강 관리 장치(또는 건강기기)의 유무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내장된 앱의 동작을 기록한 로그 이력 정보, 표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 내장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00) can collect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kiosk (200) per route. For example,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can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wer on/off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type of a health management device (or health device) linked to the kiosk (200) per rou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user has logged in, log history information record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app, content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error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error of the built-in hardware or software, etc.

일 실시예에서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되거나 이를 내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iosk (200) per route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d with or incorporate any one of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notebook, a smart phone,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smart watch, smart glasses, an e-book read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ortable game console, a navigation device, a digital camera,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layer, a digital audio recorder, a digital audio player, a digital video recorder, a digital video play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도 3은 도 2에 따른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권한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관리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부를 통해 표시되는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부의 이슈 리포팅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a kiosk per route according to FIG. 2.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access authority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 broadcas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interface displayed through a faul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for performing issue reporting of a faul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운영 서버(100)는, 미리 등록된 복수의 관리 서버(300)들 각각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갱신(update)하는 콘텐츠 관리부(101), 경로당 키오스크(200)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키오스크 이용 관리부(102),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으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와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장애를 감지하는 장애 관리부(103),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300)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3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이용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300)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들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300)들 각각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기관 서버 연동부(104), 및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중 적어도 둘 이상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고, 실시간 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방송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100)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unit (101) that receives and stores content from each of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management servers (300) and continuously updates the stored content, a kiosk use management unit (102) that collects and processes usage information from a kiosk (200) per route, a failure management unit (103) that collect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kiosks (200) per route and detects a failure of at least one kiosk per route (200) based on the collect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usage information, an agency server linkage unit (104) that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management server (300) among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300) to provide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management server (300) and manages access righ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300) for the plurality of kiosks per route (200), and performs a broadcast service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kiosks (200) per route and provides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a real-time broadcast status. It may include a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that generates the broadcast.

콘텐츠 관리부(101)는, 운영 서버(1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내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01) can receive and store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display the stored content to the user through an internal display.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부(101)는, 운영 서버(100)로부터 보편 콘텐츠를 수신하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특화 콘텐츠를 수신하고, 보편 콘텐츠와 특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01) can receive universal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 specialized cont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store content including the universal content and specialized content, and upload it to a kiosk (200) per route.

키오스크 이용 관리부(102)는, 수집된 이용 정보를 가공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따른 나이, 주소지, 계절, 일자(월/일) 등에 따라 이용 정보를 분류하여 산출된 키오스크 접근(access) 유지 시간, 구동 앱의 종류, 구동 앱의 사용 시간, 열람한 콘텐츠의 종류, 건강 관리 장치로부터 획득된 건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예시로서 통계 정보는 나이대별 구동 앱의 종류, 사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use management unit (102) can process the collected use information to generat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tatistical information can include kiosk access maintenance time, type of running app, usage time of running app, type of viewed content, health information obtained from a health management device, etc., which are calculated by classifying the use information according to age, address, season, date (month/day), etc.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That is, as a specific example, the statistical information can include type of running app, usage time, etc. by age group.

장애 관리부(103)는,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소속 지자체와 지회명칭(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구 지회 등), 설치 위치에 따라 동작 상태 정보를 분류하여 동작 상태 정보로서 운영 서버(10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도면에서 연결 상태로 지칭),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와 연동된 건강 관리 장치의 유무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도면에서 건강기기로 지칭)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disability management unit (103) can display the collect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in real tim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 and branch name (e.g., Jongno-gu, Seoul, Jongno-gu branch, etc.)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route kiosk (200),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a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referred to as connection status in the drawing),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r type of health management devic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route kiosk (200) can be displayed to the administrator in real time.

그 밖에도 장애 관리부(103)는, 동작 상태 정보로서, 전원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내장된 앱의 동작을 기록한 로그 이력 정보,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내장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종류(날씨/문화/여가/건강/자전거/헬스/골프 등)와 식별 기호(여기서 식별기호는 보편 콘텐츠와 특화 콘텐츠 각각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 콘텐츠 별 열람횟수, 콘텐츠 별 표시시간, 내장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실시간에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display, in real time to the administrator,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wer on/off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is logged in, log history information record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app, the type of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uilt into the kiosk (200) per route (weather/culture/leisure/health/bicycle/fitness/golf, etc.) and identification symbol (wherein the identification symbol can be configured to be uniquely set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tent of each of the universal content and specialized content), the number of views per content, the display time per content, and error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error of the built-in hardware or software.

기관 서버 연동부(104)는, 생성된 통계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300)의 요청 메시지request message)에 따라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agency server linkage (104) can transmit the generated statistica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according to a request message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또한, 기관 서버 연동부(104)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고유의 지자체 식별코드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지자체 식별코드를 검증하고, 검증된 지자체 식별코드에 대하여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대한 접근(access)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ency server linkage unit (104) can request and receive a unique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verify the received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and grant access to the kiosk (200) for each route for the verified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이를 위해, 기관 서버 연동부(104)는, 미리 생성된 복수의 지자체 식별코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접근 권한 레벨로 구성된 접근 권한 테이블을 미리 생성하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stitution server linkage unit (104) can create an access authority table composed of access authority level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re-created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s in advance and store it in internal storage.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접근 권한 테이블은, 지자체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지회나 연합회의 고유 명칭, 해당 지회 또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의 고유 식별기호, 접근 권한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access rights table may include a unique name of a branch or federation corresponding to a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a unique identifier of a kiosk per route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federation, an access rights level, etc.

이때, 경로당 키오스크의 고유 식별기호는 지자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시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는 해당 서울시 연합회의 지자체 식별코드에서 미리 정의된 자리(예를 들어 첫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기호(예를 들어, 알파벳 A)와 동일한 기호를 동일한 자리(예를 들어 A****)에 할당받을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종로구 지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는 해당 종로구 지회의 지자체 식별코드에서 미리 정의된 자리(예를 들어 두번째와 세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기호(예를 들어 7C)와 동일한 기호를 동일한 자리(예를 들어 *7C**)에 할당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kiosk per route can be generated using the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kiosk per route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sociation can be assigned the same symbol (e.g., alphabet A) as the predefined digit (e.g., first digit) in the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sociation to the same digit (e.g., A****). In the same manner, a kiosk per route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Jongno-gu branch can be assigned the same symbol (e.g., *7C**) as the predefined digit (e.g., second and third digit) in the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of the Jongno-gu branch to the same digit (e.g., 7C).

예를 들어 접근 권한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해당 지회 또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열람 권한이 부여되고, 제2 레벨인 경우 해당 지회 또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열람 권한 및 수정 권한이 부여되고, 제3 레벨인 경우 해당 지회 또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열람 권한, 수정 권한, 새로운 데이터의 기록 권한이 부여되고, 제3 레벨인 경우 해당 지회 도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열람 권한, 수정 권한, 새로운 데이터의 기록 권한, 및 초기화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ccess level is level 1, the right to view data stored in a route kiosk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association is granted, if it is level 2, the right to view and modify data stored in a route kiosk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association is granted, if it is level 3, the right to view, modify, and record new data stored in a route kiosk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association is granted, and if it is level 3, the right to view, modify, record new data, and initialize data stored in a route kiosk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association may be granted.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접근 권한 레벨에 관계없이 관리 서버(300)에서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권한은 항상 부여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접근 권한 레벨에서의 새로운 데이터의 기록 권한은 기존에 설치되지 않았거나 삭제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또는 재설치) 권한,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고유식별기호의 재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uthority to upload content to the route kiosk (2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always granted regardless of the access authority level, and the authority to record new data at the access authority level can include the authority to install (or reinstall) an application that was not previously installed or deleted, and the resetting of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route kiosk (200), etc.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관리부(105)는 실시간 방송을 위해 소정의 단말로부터 방송 일정(또는 방송 편성표로 혼용하여 지칭될 수 있음)을 수신받아 등록(또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단말은 방송을 하고자 하는 강사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이거나 경로당 키오스크(200), 개인 PC 등과 같이 기타 각종 유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receive and register (or store) a broadcast schedule (or may be referred to interchangeably as a broadcast program schedule) from a predetermined terminal for real-time broadcasting. Here, the predetermined terminal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n instructor or manager who wishes to broadcast, or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various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a kiosk (200) per route, a personal PC, etc.

방송 일정은, 실시간 방송이 수행될 시간(일자와 시각을 포함), 해당 실시간 방송의 콘텐츠 종류(교육/회의/상담 등), 해당 실시간 방송을 위한 접근 코드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주소, 해당 실시간 방송에 참여할 제3자의 단말에 대한 IP주소(또는 MAC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주소는 email 주소, 핸드폰 번호 등을 포함한다. The broadcast schedule may include the time (including date and time) at which the live broadcast will be conducted, the type of content of the live broadcast (education/meeting/consultation, etc.), the receiving address that can receive the access code for the live broadcast, the IP address (or MAC address) of the terminal of a third party that will participate in the live broadcast, etc. The receiving address may include an email address, mobile phone number, etc.

방송 관리부(105)는, 등록된 방송 일정에 미리 설치된 내부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온라인 회의실을 생성하고, 생성된 온라인 회의실에 대한 접근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방송 관리부(105)는, 생성된 접근 코드를 방송 일정에 포함된 수신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create an online conference room by running an internal broadcast application pre-installed in the registered broadcast schedule and generate an access code for the created online conference room.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transmit the created access code to a receiving address included in the broadcast schedule.

예를 들어, 접근 코드는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대해 웹(web) 기반의 접근을 위한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ccess code could be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for web-based access to that online meeting room.

일 실시예에서 방송 관리부(105)는, 접근 코드를 통해 접근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권한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관리부(105)는, 접근 코드를 통해 접근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IP 주소(또는 MAC 주소)를 방송 일정에 포함된 제3자의 단말에 대한 IP 주소(또는 MAC 주소)와 대조하여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에 해당 컴퓨팅 디바이스가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접근하도록 허용(grant)할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리부(105)는, 방송 일정에서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접근 코드를 통해 접근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IP 주소(또는 MAC 주소)를 미리 수집된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에 대응하는 IP 주소(또는 MAC 주소)와 대조하여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컴퓨팅 디바이스가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may verify the authority of the computing device accessing through the access code. For example,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may allow (grant) the computing device to access the online conference room if the IP address (or MAC address) of the computing device accessing through the access code is confirmed to be identical to the IP address (or MAC address) of a third-party terminal included in the broadcast schedule. In addition, even if the identity is not confirmed in the broadcast schedule,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may allow the computing device to access the online conference room if the IP address (or MAC address) of the computing device accessing through the access code is confirmed to be identical to the IP address (or MAC addres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kiosks (200) per route collected in advance.

방송 관리부(105)는, 생성된 온라인 회의실의 목록(list)을 생성하고, 생성된 목록을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회의실 목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생성된 목록을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전송하고,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선택된 온라인 회의실에 대한 접근 코드를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전송하고, 경로당 키오스크(200)가 해당 접근 코드를 통해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create a list of generated online conference rooms and allow the generated list to be viewed at the route kiosk (200). For example, when a message requesting a list of conference rooms is received at the route kiosk (200), the generated list can be transmitted to the route kiosk (200), an access code for an online conference room selected at the route kiosk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route kiosk (200), and the route kiosk (200) can be allowed to access the online conference room through the access code.

방송 관리부(105)는,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접근하도록 허용된 단말 또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들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 방송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receives data in real time from terminals or kiosks (200) per route that are permitted to access the online conference room, and creates a broadcast video using the received data, thereby enabling two-way communication.

예를 들어, 방송 관리부(105)는,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접근하도록 허용된 강사의 단말로부터 강의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강의 영상을 포함하는 방송 영상을 생성하고,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해당 온라인 회의실의 방송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receive a lecture video from the terminal of an instructor who is permitted to access the online conference room, create a broadcast video including the received lecture video, and receive the broadcast video of the online conference room in real time at the route kiosk (200) and display it to the user of the route kiosk (200).

또한, 방송 관리부(105)는, 해당 온라인 회의실에 접근하도록 허용된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카메라를 통해 해당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영상을 포함하는 방송 영상을 생성하고, 강사의 단말이 온라인 회의실의 방송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강사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receive a user image of a user of a kiosk (200) through a camera of a path that is allowed to access the online conference room, generate a broadcast image including the received user image, and cause the instructor's terminal to receive the broadcast image of the online conference room in real time and display it to the instructor.

방송 관리부(105)는, 실시간 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방송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현황 정보는, 온라인 회의실에 대응하는 회의 영상, 미리 등록된 방송 일정, 생성된 온라인 회의실의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방송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통계 정보는, 월별/요일별/시간대별 온라인 회의실에 대응하는 방송 시간, 온라인 회의실의 개수, 콘텐츠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management unit (105) can generate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al-time broadcast status. For example, the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can include conference video corresponding to an online conference room, a pre-registered broadcast schedule, and broadcast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log data of the generated online conference room. The broadcast statistical information can include broadcast time corresponding to an online conference room by month/day/time zone, the number of online conference rooms, the type of content, etc.

장애 관리부(103)는, 동작 상태 정보와 방송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열람 가능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disability management department (103) can display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r through an internal display so that they can view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작 상태 정보와 방송 현황 정보를 복수의 격자들(grid)로 구성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a monitoring interface consisting of multiple grids can be created and displayed to the administrator, showing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여기서 복수의 격자들 각각은 동작 상태 정보와 방송 현황 정보에 포함된 개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국의 경로당 키오스크(200)들의 현황 관련 정보와 현재 노출되고 있는 화면, 방송 중인 방송 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multiple grids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individual data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manager can monitor the status-related information of the kiosks (200) for each route nationwide,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the broadcast video being broadcast, etc. in real time through the monitoring interface and quickly check for abnormal signs.

또한, 장애 관리부(103)는, 관리자가 선택한 경로당 키오스크(200)로의 원격 접속과 원격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bility management unit (103) can support remote access and remote control to a kiosk (200) per route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예를 들어, 장애 관리부(103)는, 관리자가 선택한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접속하여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표시되는 실시간 표시화면 등을 열람할 수 있고,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ability management department (103) can access the route-specific kiosk (200)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view the list of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route-specific kiosk (200), log data stored in the route-specific kiosk (200), real-time display screens displayed in the route-specific kiosk (200), etc., and transmit control commands to the route-specific kiosk (200).

예를 들어, 장애 관리부(103)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명령을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전송함으로써,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또는 운영시스템)의 삭제, 신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ability management unit (103) can perform deletion of an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route kiosk (200), installation of a new application, update of an installed application, etc.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route kiosk (20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anager.

또한, 장애 관리부(103)는, 관리자가 선택한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로그 데이터로서 오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관리부(103)는, 오류 정보로서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발생한 버그의 유형(종류), 버그가 발생하는 상황, 해당 버그가 발생한 시점, 해당 버그를 보고한 관리자의 식별 정보, 해당 버그의 수정을 담당할 현장관리자의 식별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record error information as log data in the kiosk (200) per route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For example,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record the type (kind) of bug that occurred in the kiosk (200) per route, the situation in which the bug occurred, the time when the bug occurr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who reported the bu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administrator in charge of fixing the bug, etc. as error inform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관리자가 관제센터 내의 운영 서버(100)를 통해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오류 정보를 기록하고, 원격 제어를 통해 해당 오류 정보에 따른 오류의 수정을 시도할 수 있고, 원격 제어를 통해 오류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버그의 수정을 현장관리자의 식별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현장관리자가 직접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200)가 설치된 현장을 방문하여 수정하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체계화된 오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ministrator can remotely access a route kiosk (200) through an operation server (100) in a control center to record error information and attempt to correct an error according to the error information through remote control. If error correction through remote control is not possible, a site manager, identified through the site manag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directly visit the site where the route kiosk (200) is installed to correct the bug, thereby enabling quick and systematic error correction.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faul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경로당 키오스크(200)는, 각 지회 내부의 사정과 현황에 따라 또는 해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구성과 형태에 따라 각자 다양한 콘텐츠가 설치 또는 삭제되며, 선택적으로 경로당 키오스크(200)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 이력에 따라 맞춤형 콘텐츠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기반으로 경로당 키오스크(200) 자체적으로 또는 운영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맞춤형 콘텐츠가 설치되도록 키오스크 내부에 설치된 콘텐츠의 종류와 내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기술이 연구되고 공개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공개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current status within each branch or the composition and type of the user using the kiosk, the route kiosk (200) can be configured to install or delete various contents, and optionally, to install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usage history of the route kiosk (200). For example, the type and content of the contents installed inside the kiosk can be adjusted so that customized contents are installed by the route kiosk (200) itself or by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server (100) based on AI. At this time, since various types of customized content provision technologies have been studied and disclosed regarding the method of configuring customized contents, it is easy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elect and implement one of the disclosed customized content provision technologi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한 결과로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콘텐츠는 해당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별적 사용이력이나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치되므로, 중간에 장애 등으로 인하여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콘텐츠를 모두 초기화할 경우 또다시 사용이력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를 즉시 제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as a result of configuring customized content, the content installed on the route kiosk (200) and displayed to the user is customized based on the individual usage history or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kiosk. Therefore, if all the content of the route kiosk (200) is initialized due to a failure in the middle, it may be difficult to immediately provide customized content again through the usage histor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장애 관리부(103)는, 복수의 관리서버(300)들을 트리(tree) 구조를 갖는 복수의 계층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계층에 따라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장애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referring to FIG. 9,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classify multiple management servers (300) into multiple layers having a tree structure and perform fault recovery of the kiosk (200) per route according to the classified layers.

구체적으로, 장애 관리부(103)는, 복수의 관리 서버(300)들 중에서 광역지자체에 대응하는 연합회 소속의 관리서버(300)들을 제3 계층으로 분류하고, 해당 광역지자체에 속하는 기초지자체에 대응하는 지회 소속의 관리서버(300)들을 제3 계층의 하위 계층인 제2 계층으로 분류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ability management department (103) can classify the management servers (300) belonging to the association corresponding to the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among the multiple management servers (300) into the third layer, and classify the management servers (300) belonging to the branch corresponding to the basic local government belonging to the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into the second layer, which is a lower layer of the third layer.

이때, 제3 계층에 속하는 관리서버(300)들 각각은 해당 광역지자체에 속하는 기초지자체들에 대응하는 지회 소속의 관리서버(300)들을 자식 노드(child node)로 갖는 부모 노드(parent node)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시 연합회의 관리서버(300)는 해당 서울시에 속하는 기초지자체인 종로구, 성동구, 광진구 등의 지회에 대응하는 관리서버(300)들을 자식 노드로 갖는 부모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belonging to the third layer may be configured as a parent node having, as child nodes, management servers (300) belonging to branches corresponding to basic local governments belonging to the relevant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Seoul City Federation may be configured as a parent node having, as child nodes, management servers (300) corresponding to branches of Jongno-gu, Seongdong-gu, Gwangjin-gu, etc., which are basic local governments belonging to the relevant Seoul City.

지회 소속의 관리서버(300)들 각각은 해당 지회에서 관리하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들을 자식 노드로 갖는 부모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경로당 키오스크(200)들은 제2 계층의 하위 계층인 제1 계층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트리 구조로 구성된 각 관리 서버(300)들과 경로당 키오스크(200)들은 각각 노드(node)로 지칭되며, 동일한 부모 노드를 공유하는 자식 노드들은 서로 형제 노드(sibling node)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성동구 지회의 관리 서버(300)를 부모 노드로 갖는 제1 경로당 키오스크는 해당 성동구 지회의 관리 서버(300)를 부모 노드로 갖는 제2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형제 노드로 정의된다.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belonging to a branch may be configured as a parent node having the route kiosks (200) managed by the branch as child nodes. All route kiosks (200) may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layer, which is a lower layer of the second layer. In addition,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and route kiosks (200) configured in a tree structure are each referred to as nodes, and child nodes sharing the same parent node are referred to as sibling nodes. For example, the first route kiosk having the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Seongdong-gu branch as a parent node is defined as a sibling node of the second route kiosk having the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Seongdong-gu branch as a parent node.

여기서 부모 노드, 자식 노드, 형제 노드 등의 정의와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트리 구조를 갖는 자료구조 데이터 형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definition and composition method of parent nodes, child nodes, sibling nodes, etc. are well known to ordinary technicians as data structures having a tree structure, so a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이하 실시예에서, 연합회와 지회를 각각 제3 계층과 제2 계층으로 각각 부모 노드와 그 자식 노드로 구성하고, 지회 소속 경로당 키오스크(200)들을 제1 계층으로 분류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직 구성의 개편과 형태에 따라 3개 이상의 계층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대한노인회의 소속 편제 또는 행정구역의 편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assumed that the federation and branch are each configured as a third layer and a second layer, respectively, with parent nodes and child nodes thereof, and that the kiosks (200) belonging to the branch are classified as a first laye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or more layers depending on the reorganization and form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Korean Senior Citizens' Association or the 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장애 관리부(103)는, 제3 계층과 제2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초기 복구 콘텐츠 이미지들을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주 또는 1달)마다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복구 콘텐츠 이미지들을 후술하는 제1 복구 이미지 및 제2 복구 이미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운영 시스템(OS) 및 운영 시스템에 저장된 콘텐츠와 설치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복구 파일 형식을 의미한다.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generate initial recovery content images corresponding 1:1 to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classified into the third layer and the second layer at preset intervals (e.g., one week or one month). Here, the initial recovery content images include the first recovery image and the second recovery image described below. Here, the image means a recovery file format that includes both the operating system (OS)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stalled application.

구체적으로, 장애 관리부(103)는, 제2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에 소속된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에서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동작 상태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의 종류, 콘텐츠의 식별기호, 콘텐츠 별 열람횟수, 콘텐츠 별 표시시간을 이용하여 제2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복구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obtain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kiosks (200) per route belonging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classified as the second layer, and can use the type of content, the identifier of the content, the number of views for each content, and the display time for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obtain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generate first recovery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classified as the second layer.

예를 들어, 장애 관리부(103)는, 동작 상태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별 열람횟수와 표시시간이 각각 소정의 제1 임계 열람횟수와 제1 임계표시시간을 초과하는 콘텐츠들을 자식 노드에 해당하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마다 선별하고, 선별된 콘텐츠들을 자식 노드에 해당하는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사이에서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select contents for which the number of views and the display time for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exceed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number of views and a first threshold display time, respectively, for each kiosk (200) per path corresponding to a child node, and compare the selected contents between the kiosks (200) per path corresponding to the child nodes.

장애 관리부(103)는, 비교 결과, 콘텐츠의 식별기호가 동일한 제1 콘텐츠, 콘텐츠의 종류가 동일하고 콘텐츠 별 열람횟수가 제1 임계 열람횟수보다 큰 제2 임계 열람횟수를 초과하는 제2 콘텐츠, 콘텐츠의 종류가 동일하고 콘텐츠 별 표시시간이 제1 임계표시시간보다 큰 제2 임계표시시간을 초과하는 제3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복구 이미지를 제2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들마다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disability management unit (103) can individually generate a first recovery image including, for each management server (300) classified as a second layer, first content having the same content identifi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econd content having the same type of content and exceeding a second threshold number of views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number of views, and third content having the same type of content and exceeding a second threshold display tim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display time.

장애 관리부(103)는, 제2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들마다 개별적으로 생성된 제1 복구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제3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제2 복구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create second recovery images corresponding 1:1 to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classified into the third tier by using the first recovery images individually created for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classified into the second tier.

예를 들어, 장애 관리부(103)는, 제3 계층으로 분류된 관리 서버(300)들 각각을 대상으로, 해당하는 관리 서버(300)의 자식 노드에 해당하는 관리 서버(300)들에 대응하는 제1 복구 이미지들을 서로 비교하여 소정의 임계 갯수 이상의 제1 복구 이미지들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콘텐츠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콘텐츠들 중에서'보편 콘텐츠'로 분류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포함하는 제2 복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may compare the first recovery images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servers (300) corresponding to the child nodes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servers (300) for each of the management servers (300) classified as the third layer, select contents commonly included in a predetermined threshold number or more of the first recovery images, and generate a second recovery image including contents classified as 'universal contents' among the selected contents.

또한, 장애 관리부(103)는, 모든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을 대상으로 소정의 주기마다 각각의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1:1로 대응하는 제3 복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bility management unit (103) can generate a third recovery image corresponding 1:1 to each of the kiosk (200) per rou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ach of the kiosks (200) per route.

장애 관리부(103)는, 각각의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동작 상태 정보에 포함된 내장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오류 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확인된 오류 코드 정보를 미리 지정된 오류 코드 리스트와 대조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류 코드 리스트는 발생 가능한 오류 코드를 나열한 데이터로서 해당 오류 코드에 대해 경로당 키오스크의 자체 복구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checks error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error of built-in hardware or software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each route kiosk (200), and when error code information is confirmed in the first route kiosk (200), the confirmed error code information can be compared with a pre-specified error code list. Here, the error code list is data listing possible error codes and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route kiosk is capable of self-recovery for the corresponding error code.

장애 관리부(103)는, 대조 결과 오류 코드 리스트에서 확인된 오류 코드가 자체 복구가 가능한 오류 코드인 경우, 장애 관리부(103)는 오류 코드 정보가 확인된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대응하는 제3 복구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대한 자동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구는 제3 복구 이미지를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내부 저장소에 덮어씌우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If the error code identified in the error code lis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s an error code that can be recovered by itself,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perform automatic recovery for the first route kiosk (200) using the third recovery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ute kiosk (200) for which the error code information has been identified. Here, recovery may mean a process of overwriting the third recovery image on the internal storage of the first route kiosk (200).

장애 관리부(103)는, 대조 결과 오류 코드 리스트에서 확인된 오류 코드가 자체 복구가 불가능한 오류 코드인 경우, 장애 관리부(103)는, 오류 코드 정보가 확인된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부모 노드(또는 그 부모노드의 부모노드를 모두 포함함)에 해당하는 제3 계층의 관리 서버(300)에 대응하는 제2 복구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대한 자동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error code identified in the error code lis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s an error code that cannot be recovered by itself,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perform automatic recovery for the first route kiosk (200) by using the second recovery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third layer corresponding to the parent node (or all parent nodes of the parent node) of the first route kiosk (200) for which the error code information has been identified.

제2 복구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복구가 수행된 후에, 장애 관리부(103)는,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와 형제 노드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2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automatic recovery using the second recovery image is performed,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perform secondary recovery us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route kiosk (200) and at least one route kiosk (200) corresponding to a sibling node.

예를 들어, 형제 노드에 해당하는 경로당 키오스크(200)가 하나인 경우, 형제 노드에 해당하는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저장된 콘텐츠들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들을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추가 저장하는 방식으로 2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one kiosk (200) per route corresponding to a sibling node, secondary recovery can be performed by searching for contents stored in the kiosk (200) per route corresponding to the sibling node and additionally storing the searched contents in the first kiosk (200) per route.

한편, 형제 노드에 해당하는 경로당 키오스크(200)가 복수개인 경우, 장애 관리부(103)는, 복수개의 형제 노드에 해당하는 제2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에서 내장된 앱의 동작을 기록한 로그 이력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 이력 정보는,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일별 동작시기와 계절별 동작 시기, 동작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예를 들어 건강관리/뉴스/체험교육/인지능력향상훈련/날씨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및 동작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where there are multiple kiosks (200) per route corresponding to sibling nodes, 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can obtain log history information that records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app in each of the second kiosks (200) per route corresponding to the multiple sibling nodes. Here, the log history information can include the daily operation time and seasonal operation time of the built-in application, the type of the operated application (for example, an app tha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health management/news/experience education/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training/weather, etc.), and information on the user who logged in to the operated application.

장애 관리부(103)는, 획득된 로그 이력 정보들 각각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종류들 중에서 복구를 수행하는 현재 시점과 가장 인접한 요일별 또는 계절별 동작 시기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선정하고, 선정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들을 제2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에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제2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이용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The fault management unit (103) selects the type of application that has the day of the week or seasonal operation period closest to the current time point of performing recovery from among the types of applications stored in each of the acquired log history information, and can acquire user information logged into the selected type of application from each of the second path kiosks (200). Here, the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path kiosks (200).

장애 관리부(103)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들 각각에서 성별에 따른 나이들의 평균값(평균값은 남자들의 나이들의 평균인 제1 평균값 및 여자들의 나이들의 평균인 제2 평균값을 포함)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서 미리 백업된 이용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의 성별에 따른 나이들의 평균값(평균값은 남자들의 나이들의 평균인 제3 평균값 및 여자들의 나이들의 평균인 제4 평균값을 포함)과 비교할 수 있다.The disability management unit (103)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ages by gender from each piece of acquired user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includes a first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ages of men and a second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ages of women), and compare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with an average value of ages by gender of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backed up in advance at the first path kiosk (200) (the average value includes a third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ages of men and a fourth average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ages of women).

비교 결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오차범위(오차범위는 제1 평균값과 제3 평균값 사이의 차이인 제1 오차, 제2 평균값과 제4 평균값 사이의 차이인 제4 오차값을 포함) 이내에 있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된 경우, 제2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중에서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 제3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들을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추가 저장하는 방식으로 2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user information within a preset error range (the error range includes a first error valu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third average value, and a fourth error valu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verage value and the fourth average value) is searched, secondary recovery can be performed by searching for contents stored in a third route kiosk (200) from which the searched user information was obtained among the second route kiosks (200) and additionally storing the searched contents in the first route kiosk (200).

한편, 비교 결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장애 관리부(103)는,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의 부모 노드에 해당하는 제 2계층의 관리 서버(300)에 대응하는 제1 복구 이미지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들을 제1 경로당 키오스크(200)에 추가 저장하는 방식으로 2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if user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set in advance is not fou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failure management unit (103) can perform secondary recovery by extracting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recovery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layer management server (300) corresponding to the parent node of the first path-based kiosk (200) and additionally storing the extracted contents in the first path-based kiosk (20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 구조의 자료구조데이터를 기반으로 복구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복구를 수행하기 때문에, 복구 즉시 기존에 유실된 맞춤형 콘텐츠와 유사하게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경로당 키오스크(200)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맞춤형 콘텐츠 조정 과정이 진행되면서 매우 빠르게 복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recovery is performed by selectively utilizing a recovery image based on data structure data of a tree structure, customized content similar to previously lost customized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mmediately after recovery,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very fast recovery as an additional customized content adjustment process is performed during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kiosk (200) per route.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운영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ing serve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0) and a memory (120) that stores instructions that instruct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운영 서버(100)의 동작이나 기능부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The above at least one operation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server (100) or the operations of the functional unit, and a specific description is omitted to avoid redundant explanatio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processor (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메모리(12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12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또한, 운영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내부 저장소와 혼용하여 지칭될 수 있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transceiver (13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via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a storage device (160, which may be referred to interchangeably with internal storage), etc.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nd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nfiguration or function,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00: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200: 경로당 키오스크
300: 관리 서버
100: Operation server for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200: Kiosk per route
300: Management Server

Claims (3)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로서,
미리 등록된 복수의 관리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갱신(update)하는 콘텐츠 관리부;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키오스크 이용 관리부;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각각으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와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경로당 키오스크의 장애를 감지하는 장애 관리부;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이용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관리 서버들 각각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기관 서버 연동부; 및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들 중 적어도 둘 이상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고, 실시간 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방송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As an operation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A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content from each of multiple pre-registered management servers and continuously updates the stored content;
Kiosk usage management department that collects and processes usage information from multiple route kiosks;
A fault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based kiosks and detects a fault in at least one route-based kiosk based on the collecte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usage information;
An agency server linkage unit that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to provide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management server and manages access righ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nagement servers for the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and
A broadcast management unit that performs a broadcast service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above multiple path-based kiosks and generates broadcast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real-time broadcast status,
An operational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청구항 1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보편 콘텐츠와 특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경로당 키오스크(200)들 각각에 업로드하되, 상기 특화 콘텐츠는, 특정 지자체에 한정된 정보를 취급하는 콘텐츠이고, 상기 보편 콘텐츠는 상기 특화 콘텐츠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 콘텐츠이며,
상기 이용 정보는, 경로당 키오스크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오스크 접근 기록,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앱 구동 기록,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열람 기록,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당 시설 접근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상기 운영 서버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와 연동된 건강 관리 장치의 유무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전원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내장된 앱의 동작을 기록한 로그 이력 정보, 해당 경로당 키오스크에 내장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종류와 식별 기호, 콘텐츠 별 열람횟수, 콘텐츠 별 표시시간, 및 내장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In claim 1,
The above content management unit uploads content including universal content and specialized cont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specific kiosks (200), wherein the specialized content is content that handles information limi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content is the remaining content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alized content.
The abov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registered at a kiosk per route, a kiosk access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 app operation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 content viewing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 route facility access rec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he abov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r type of a health management devic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route kiosk,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wer on/off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is logged in, log history information record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app, the type and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uilt into the corresponding route kiosk, the number of views for each content, the display time for each content, and error co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error of the built-in hardware or software.
An operational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청구항 2에서,
상기 기관 서버 연동부는, 미리 생성된 복수의 지자체 식별코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접근 권한 레벨로 구성된 접근 권한 테이블을 미리 생성하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되,
상기 접근 권한 테이블은, 지자체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지회나 연합회의 고유 명칭, 해당 지회 또는 연합회 소속으로 지정된 경로당 키오스크의 고유 식별기호, 및 상기 접근 권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당 키오스크의 고유 식별기호는 상기 지자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로당 키오스크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서버.
In claim 2,
The above-mentioned institution server linkage unit creates an access authority table composed of access authority level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re-generated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s in advance and stores it in the internal storage.
The above access authority table includes a unique name of a branch or association corresponding to a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a unique identifier of a kiosk per route designated as belonging to the branch or associ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above access authority level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kiosk per route is generated using the local government identification code.
An operational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kiosks per route.
KR1020240138449A 2024-10-11 2024-10-11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2780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38449A KR102780522B1 (en) 2024-10-11 2024-10-11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38449A KR102780522B1 (en) 2024-10-11 2024-10-11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0522B1 true KR102780522B1 (en) 2025-03-12

Family

ID=9497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38449A Active KR102780522B1 (en) 2024-10-11 2024-10-11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052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65A (en) * 2000-09-20 2002-03-27 정영준 Unattended Automatic Hospital Cashing and Prescription Issueing System and its Operation Scheme
WO2002031627A2 (en) * 2000-10-13 2002-04-18 Actv, Inc. System for providing sales information via interactive digital data streams
KR100506785B1 (en) * 2000-11-17 2005-08-08 비트폰 코포레이션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KR100949871B1 (en) * 2009-09-02 2010-03-25 이승철 The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of self-government monitor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KR102596036B1 (en) * 2022-12-21 2023-11-01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unmanned store management ser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65A (en) * 2000-09-20 2002-03-27 정영준 Unattended Automatic Hospital Cashing and Prescription Issueing System and its Operation Scheme
WO2002031627A2 (en) * 2000-10-13 2002-04-18 Actv, Inc. System for providing sales information via interactive digital data streams
KR100506785B1 (en) * 2000-11-17 2005-08-08 비트폰 코포레이션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KR100949871B1 (en) * 2009-09-02 2010-03-25 이승철 The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of self-government monitor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KR102596036B1 (en) * 2022-12-21 2023-11-01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unmanned store management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jović et al. Education in times of crisis: Rapid transition to distance learning
US202102485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ask time estimation and scheduling
Sockalingam et al. Building provincial mental health capacity in primary care: an evaluation of a project ECHO mental health program
Arnez et al. Criminological perspectives on school exclusion and youth offending
US201300968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user performance
Ortmann et al. Crowdsourcing linked open data for disaster management
US20140120511A1 (en) TeachAtCafe - TeaChatCafe, Transparent Digital and Social Media as an Open Network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with User Driven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Submission Capability for Educators and Their Students
US20140164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able communications
MX2012008206A (en) Dynamically recommending learning content.
McIntyre et al. Media use and gender differences in negative psychological responses to a shooting on a university campus
Armstrong et al. Best practices of mobile health in clinical care: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petency-based provider training program.
Ab Aziz et al. Electronic document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in Malaysia: A preliminary study of issues embracing the initiative
AU20172762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user performance
Iniesto et al. What are the expectations of disabled learners when participating in a MOOC?
Queirós et al. SmartWalk: Personas and scenarios definition and functional requirements
Wangdi et al. Teaching online during the Covid pandemic in rural Bhutan: Challenges and coping strategies
KR102780522B1 (en) Operating server for performing integrated control of smart route kios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khtar et al. Formal architecture and verification of a smart flood monitoring system-of-systems.
Bowers et al. Forming student teams to incorporate soft skills and commonality of schedule
Bejster et al.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Academic-Practice Partnerships: Implications for Nursing Education
Scholl et al. Disaster Manage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Gotham et al.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all-hazards health preparedness and response: New York State Health Emergency Response Data System
Nizomutdinov Telegram Bots and Groups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uthorities and Citizens
Sadath et al. Mental health and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for people of tribal origin in Wayanad: Institute of Mental Health and Neurosciences model
Malallah et al. Electronic student feedback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