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0201B1 - How to manage menstrual cramps and menstrual pain - Google Patents

How to manage menstrual cramps and menstrual p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0201B1
KR102780201B1 KR1020197015235A KR20197015235A KR102780201B1 KR 102780201 B1 KR102780201 B1 KR 102780201B1 KR 1020197015235 A KR1020197015235 A KR 1020197015235A KR 20197015235 A KR20197015235 A KR 20197015235A KR 102780201 B1 KR102780201 B1 KR 10278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trol
estrog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dysmenorrhea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6014A (en
Inventor
모드 요스트
글라디스 로신
Original Assignee
에스테트라, 소시에떼 아 레스폰서빌리떼 리미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테트라, 소시에떼 아 레스폰서빌리떼 리미떼 filed Critical 에스테트라, 소시에떼 아 레스폰서빌리떼 리미떼
Priority to KR102022703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2911B1/en
Publication of KR2019007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020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A61K31/58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containing lactone rings, e.g. oxandrolone, buf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월경통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에스테트롤 및 에스테트롤-유사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트로겐 성분의 투여를 수반한다. 놀랍게도, 에스테트롤-유사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 또는 프로게스토겐 성분과 병용되는 경우에서 월경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현재 이용 가능한 방법에 비해서 유리한 부작용 프로파일(side-effect profile) 및 다른 조성물과 함께 획득된 결과를 능가하는 정도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menstrual cramps, preferably involving the administration of an estrogen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tetrol and estetrol-like compounds. Surprisingly, it has been found that estetrol-like compounds, when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progestogen component, are capable of alleviating menstrual cramps, with a favorable side-effect profile compared to currently available methods and to an extent that surpasses the results obtained with other compositions.

Description

월경통 및 생리통의 관리방법How to manage menstrual cramps and menstrual pain

본 발명은 사람에서 월경통의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람에게 에스트로겐 성분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에스트로겐 성분은 본원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에스테트롤 성분이고, 상기 방법은 현재 이용 가능한 방법에 비해서 유리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향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lleviating symptoms of menstrual cramps in a huma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human an effective amount of an estrogen component. In particular, the estrogen component is an estetrol component as further described herein, wherein said method enjoys a favorable side effect profile compared to currently available methods.

월경통은 생리(menses) 동안에 발생하는 반복성, 경련성 하복통(recurrent, crampy, lower abdominal pain)의 존재에 의해 특징화되는 의학적 질환이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첫번째 생리 기간(menstrual period)의 대개 4년 내지 5년 이내인 청소년기 동안에 월경통을 겪는다. 고통스러운 기간은 여성이 나이 듦에 따라 덜 흔해진다. 임상적 목적으로, 월경통은 두 개의 넓은 범주로 나뉘는데, 원발성 월경통(primary dysmenorrhea)과 속발성 월경통(secondary dysmenorrhea)이다.Dysmenorrhea is a medical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recurrent, crampy, lower abdominal pain that occurs during menstruation. Most women experience dysmenorrhea during adolescence, usually within four to five years of their first menstrual period. Painful periods become less common as women age. For clinical purposes, dysmenorrhea is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primary dysmenorrhea and secondary dysmenorrhea.

원발성 월경통은 생리 동안에 발생하는 반복성, 경련성 하복통의 존재를 의미하며, 이러한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입증 가능한 질병(demonstrable disease)은 없다.Primary dysmenorrhea refers to the presence of recurrent, crampy lower abdominal pain that occurs during menstruation, without a demonstrable disease that can cause this symptom.

속발성 월경통은 동일한 임상적 특성을 가지나,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자궁선근증(adenomyosis), 또는 자궁근종(uterine fibroids)과 같은 이들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을 앓는 여성에서 발생한다. Secondary dysmenorrhea has the same clinical characteristics, but occurs in women who also have conditions that can cause these symptoms, such as endometriosis, adenomyosis, or uterine fibroids.

원발성 월경통Primary dysmenorrhea

가임기 여성(reproductive-aged women)의 50 내지 90 퍼센트가 고통스러운 생리 기간을 경험한 적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성의 대다수는 젊고, 원발성 월경통을 앓았다. 원발성 월경통의 유병률(prevalence)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한다 (Sundell G. et al.; Br J Obstet Gynaecol 1990; 97:588).It has been reported that between 50 and 90 percent of reproductive-aged women have experienced painful menstrual periods. The majority of these women are young and have primary dysmenorrhea. The prevalence of primary dysmenorrhea decreases with age (Sundell G. et al.; Br J Obstet Gynaecol 1990; 97:588).

원발성 월경통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합성 및 대사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생리 초반에 탈락(sloughing)하는 자궁내막으로부터 방출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은 수축의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Ylikorkala O, Dawood MY.; Am J Obstet Gynecol 1978; 130:833).Primary dysmenorrhea has been associated with alterations in prostaglandin synthesis and metabolism. Prostaglandins released from the sloughing endometrium during the early menstrual perio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duction of contractions (Ylikorkala O, Dawood MY.; Am J Obstet Gynecol 1978; 130:833).

통증은 생리 출혈 하루 내지 이틀 전에 시작하거나 또는 이의 개시(onset)와 함께 시작해서 12 내지 72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약해진다. 이는 반복성이며, 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부분의 생리 사이클(menstrual cycle)에서 발생한다. 통증은 대개 경련성이고 간헐적으로 극심하나, 지속적인 둔통(dull ache)일 수 있다. 이는 대개 하복부(lower abdomen) 및 치골상부 영역(suprapubic area)에 국한된다. 통증이 대개 정중선(midline)에서 가장 강하나, 일부 여성은 중증 허리 통증(back pain) 및/또는 대퇴부 통증(thigh pain)을 또한 앓는다.Pain begins one to two days before or with the onset of menstrual bleeding and gradually lessens over 12 to 72 hours. It is recurrent and occurs during most, if not all, menstrual cycles. The pain is usually crampy and intermittently severe, but can be a constant dull ache. It is usually confined to the lower abdomen and suprapubic area. The pain is usually strongest in the midline, but some women also have severe back pain and/or thigh pain.

통증의 중증도는 경도 내지 중증에 이른다 (아래의 표 1)(Andersch B, Milsom I.; Am J Obstet Gynecol 1982; 144:655).Pain severity ranges from mild to severe (Table 1 below) (Andersch B, Milsom I.; Am J Obstet Gynecol 1982; 144:655).

본원에서 이용된 "월경통 증상 등급"은 표 1에 제시된 평가를 적용하여 획득된 점수에 대응한다.The “dysmenorrhea symptom scale” used in our hospital corresponds to the scores obtained by applying the evaluation presented in Table 1.

[표 1 - 월경통의 평가를 위한 구두 다차원 점수 체계 (Verbal multidimensional scoring system)][Table 1 - Verbal multidimensional scoring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dysmenorrhea]

원발성 월경통과 관련된 물리적 발견은 존재하지 않았고, 원발성 월경통이 영상 연구(imaging study)에 대한 비정상적인 발견 또는 임의의 실험실 이상(laboratory abnormality)과 관련 없다는 것을 유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진단은 환자가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다른 질환의 징후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자궁선근증(adenomyosis), 섬유종(fibroid), 난소낭종(ovarian cyst)과 같은 질환이 속발성 월경통과 관련되어 있다.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are no physical findings associated with primary dysmenorrhea, and primary dysmenorrhea is not associated with abnormal findings on imaging studies or any laboratory abnormalities. Therefore, diagnosi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e patient does not have signs of other diseases that could be the cause of the pain. In particular, diseases such as endometriosis, adenomyosis, fibroids, and ovarian cysts have been associated with secondary dysmenorrhea.

원발성 Primary 월경통에 대한 치료 선택Treatment Options for Menstrual Pain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가 일선의 치료로 고려된다 (Proctor M, Farquhar C; Clin Evid 2003; :1994 - Zhang WY, Li Wan Po A.; Br J Obstet Gynaecol 1998; 105:780 - French L.; Am Fam Physician 2005; 71:285).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considered first-line treatment (Proctor M, Farquhar C; Clin Evid 2003; :1994 - Zhang WY, Li Wan Po A.; Br J Obstet Gynaecol 1998; 105:780 - French L.; Am Fam Physician 2005; 71:285).

NSAID는 생리의 개시(onset)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생리 사이클의 처음 하루 내지 이틀 동안에 또는 경련성 통증의 보통의 지속 동안에 계속되어야 한다. 중증 증상이 있는 환자는 생리의 개시 하루 내지 이틀 전에 NSAID 복용을 시작해야 한다.NSAIDs should be started at the onset of menstruation and continued for the first day or two of the menstrual cycle or for the usual duration of crampy pain. Patients with severe symptoms should start taking NSAIDs one or two days before the onset of menstruation.

복합 경구 피임약(Combined Oral Contraceptive pill, COC)이 NSAID에 차도를 보이지 못하거나 또는 이를 견딜 수 없는 환자에게 주어질 수 있다 (Davis AR, et al.; Obstet Gynecol 2005; 106:97). COC는 배란(ovulation)을 억제함으로써 생리통을 예방하여 자궁 프로스타글란딘 수준을 감소시킨다. 추가의 메커니즘이 수 개월의 이용 후에 생리 흐름(menstrual flow)의 감소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Combined oral contraceptive pills (COCs) may be given to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or cannot tolerate NSAIDs (Davis AR, et al.; Obstet Gynecol 2005; 106:97). COCs prevent menstrual cramps by suppressing ovulation, thereby reducing uterine prostaglandin levels. Additional mechanisms may result from a decrease in menstrual flow after several months of use.

성적으로 왕성한 여성에서, COC는 이중 목적(dual purpose): 임신 및 월경통의 예방 모두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는 일선의 치료에 고려될 수 있다.In sexually active women, COCs may be considered first-line treatment because they serve a dual purpose: preventing both pregnancy and dysmenorrhea.

원발성 월경통의 치료에 대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피임약 (estrogen-progestin contraceptive pill)의 무작위 시험의 체계적인 고찰(systematic review)은 치료의 현저한 이점을 보고했다 (2.99의 풀링된 OR(pooled OR), 95% CI 1.76-5.07) (Wong CL, et al.;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 :CD002120).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trials of estrogen-progestin contraceptive pills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reported a significant benefit of treatment (pooled OR of 2.99, 95% CI 1.76 to 5.07) (Wong CL, et al.;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 :CD002120).

원발성 월경통의 치료를 위한 에스트로겐의 상이한 투여량을 비교한 시험은 거의 없었다; 고찰은 통증 완화가 저 에스트로겐 투여량 (≤35 mcg) 및 중 에스트로겐 투여량 (>35 mcg)에 대해서 비슷했고, 상이한 알약 제제(pill preparation) 사이에서 효능의 명백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내렸다.Few trials have compared different doses of estrogen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 reviews concluded that pain relief was similar for low (≤35 mcg) and high (>35 mcg) estrogen doses, and that there were no clear differences in efficacy between different pill preparations.

그러나, 관찰연구 및 다른 무작위 시험으로부터의 추가의 데이터는 월경통의 치료를 위한 매우 저 투여량의 에스트로겐 알약의 입증된 효능을 가졌다 (Davis AR, et al.; Obstet Gynecol 2005; 106:97 - Callejo J, et al.; Contraception 2003; 68:183 - Winkler UH, et al.; Contraception 2004; 69:469 - Endrikat J, et al.; Contraception 1995; 52:229 - Hendrix SL, Alexander NJ.; Contraception 2002; 66:393).However, additional data from observational studies and other randomized trials have supported the efficacy of very low-dose estrogen pills for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Davis AR, et al.; Obstet Gynecol 2005; 106:97 - Callejo J, et al.; Contraception 2003; 68:183 - Winkler UH, et al.; Contraception 2004; 69:469 - Endrikat J, et al.; Contraception 1995; 52:229 - Hendrix SL, Alexander NJ.; Contraception 2002; 66:393).

그러나, 모든 이러한 접근법들이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 EE)과 같은 합성 에스트로겐을 이용하는 COC에 의존했다. 이러한 경우에, 혈전증(thromboembolism), 체액 저류(fluid retention), 메스꺼움(nausea), 팽만(bloating), 담석증(cholelithiasis), 두통 및 유방통(breast pain)을 비롯한 원치않는 부작용의 (투여량 의존성) 위험이 존재한다.However, all these approaches have relied on COCs, which use synthetic estrogens such as ethinyl estradiol (EE). In these cases, there is a risk of (dose-dependent) unwanted side effects, including thromboembolism, fluid retention, nausea, bloating, cholelithiasis, headache and breast pain.

특히 중요한 것은 에스트로겐이 안지오텐시노겐(angiotensinogen),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세룰로플라스민(ceruloplasmin),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Corticosteroid Binding Globulin, CBG), 일부 응고 인자(coagulation factor), 응고 저해제 또는 피브린 용해 마커(fibrinolysis marker)와 같은 간 내의 다양한 단백질의 합성의 조절에 참여한다는 사실이다. EE와 같은 강한 에스트로겐의 영향하에서 이러한 지혈 마커(haemostasis marker)의 변화는 정맥 혈전 색전증 (Venous ThromboEmbolism, VTE) 사건의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응고 인자(pro-coagulation factor)와 항-응고 인자(anti-coagulation factor) 사이의 불균형의 생성에 집합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fact that estrogen participates in the regulation of the synthesis of various proteins in the liver, such as angiotensinogen,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ceruloplasmin, Corticosteroid Binding Globulin (CBG), some coagulation factors, coagulation inhibitors or fibrinolysis markers. Under the influence of strong estrogens such as EE, changes in these haemostasis markers may collective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mbalance between pro- and anti-coagulation factors,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events.

SHBG 혈장 수준은 간세포에 의한 이러한 단백질의 합성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의 신뢰할 수 있는 마커이다. 이는 상관관계(correlation)가 특정 COC에 의해 유도된 SHBG의 수준 및 이 COC와 관련 있는 VTE의 위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dlind V, et al.;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2; 81:482).SHBG plasma levels are a reliable marker of the influence of estrogens on the synthesis of this protein by hepatocytes. This suggests that a correlation may exist between the levels of SHBG induced by specific COCs and the risk of VTE associated with these COCs (Odlind V, et al.;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2; 81:482).

충분한 수의 피험자에 대해서 수행되는 코호트 연구는 특정 COC와 함께 VTE의 위험을 평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상이한 지혈 마커 및 담체 단백질(carrier protein) (SHBG와 같은)이 측정되어 제한된 수의 피험자에 대한 이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Cohort studies conducted on sufficient numbers of subjects are needed to assess the risk of VTE with specific COCs, and different markers of haemostasis and carrier proteins (such as SHBG) may be measured to assess this risk in a limited number of subjects.

따라서, 월경통의 관리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가능한 한 적은 부작용을 가지나,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효율적임을 입증하는 치료학적 접근법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있다.Therefore, there remains a need for therapeutic approaches that, on the one hand, have as few side effects as possible in the management of menstrual pain, while, on the other hand, demonstrating high efficiency.

본 발명은 사람에서 월경통(dysmenorrhea)의 증상을 완화(alleviat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람에게 에스트로겐 성분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에스트로겐 성분은 본원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에스테트롤 성분이고, 상기 방법은 현재 이용 가능한 방법에 비해서 유리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향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lleviating symptoms of dysmenorrhea in a huma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human an effective amount of an estrogen component. In particular, said estrogen component is an estetrol component as further described herein, wherein said method enjoys a favorable side effect profile compared to currently available methods.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비슷한 효능의 다른 월경통 치료제(dysmenorrhea treatments)에 비해서, 치료-관련 부작용의 횟수, 빈도, 및 중증도(severity) 중 하나 이상이 감소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number, frequency, and severity of treatment-related adverse effects is reduced compared to other dysmenorrhea treatments of similar efficacy.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비슷한 효능의 다른 월경통 치료제에 비해서 VTE 사건의 횟수, 빈도 및/또는 중증도가 감소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frequency and/or severity of VTE events is reduced compared to other antimenstrual pain treatments of similar efficacy.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서 더 기술되는 정상 범위의 경계를 초과하는 지혈 변화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대해서 발생하지 않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mostatic changes exceeding the normal range boundaries further described herein do not occur upon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비슷한 효능의 다른 월경통 치료제에 비해서 두통의 횟수, 빈도 및/또는 중증도가 감소된다.In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frequency and/or severity of headaches is reduced compared to other antimenstrual pain treatments of similar efficacy.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비슷한 효능의 다른 월경통 치료제에 비해서 유방통 사건의 횟수, 빈도 및/또는 중증도가 감소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frequency and/or severity of breast pain events is reduced compared to other antimenstrual pain treatments of similar efficacy.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방법은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유효량의 투여를 수반한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ethod involves administering effective amounts of an estrogen component and a progestogen component.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단일 투여 단위(single dosage unit)에 포함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상기 투여 단위는 일일 투여 단위이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estrogen component and the progestogen component are contained in a single dosage unit. In a further embodiment, the dosage unit is a daily dosage unit.

추가의 양태에서,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드로스피레논이고, 이 성분은 0.5 mg 내지 10 mg의 일일 투여량, 바람직하게는 1 mg 내지 4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progestogen component is drospirenone, which component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0.5 mg to 10 mg, preferably 1 mg to 4 mg.

다른 추가의 양태에서, 에스트로겐 성분은 1 mg 내지 40 mg의 일일 투여량, 바람직하게는 5 mg 내지 25 mg의 일일 투여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20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 특정 양태에서, 에스트로겐 성분은 에스테트롤 모노하이드레이트이다.In another further embodiment, the estrogen component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1 mg to 40 mg, preferably in a daily dosage of 5 mg to 25 mg, more preferably in a daily dosage of 10 mg to 20 mg.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estrogen component is estetrol monohydrate.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에스트로겐 성분은 약 15 mg의 일일 투여량의 에스테트롤 모노하이드레이트이고,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약 3mg의 일일 투여량의 드로스피레논이다.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estrogen component is estetrol monohydrate in a daily dosage of about 15 mg and the progestogen component is drospirenone in a daily dosage of about 3 mg.

본 발명의 방법은 천연 에스트로겐(즉,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및 바이오제닉 에스트로겐(biogenic estrogen) (즉, 인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인 에스트로겐 성분을 이용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estrogen components that are natural estrogens (i.e., found in nature) and biogenic estrogens (i.e., naturally occurring in the human body).

바이오제닉 에스트로겐이 태아 및 여성 신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이러한 에스트로겐의 외인성 투여(exogenous administration)로부터 야기된 혈청 수준이 자연적으로 발생한 농도를 상당히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좋은 내약성(tolerability) 및 안전성 프로파일(safety profile)이 관측된다. 이 좋은 내약성의 직접적인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획득된 다른 방법에 비해서 유리한 부작용 프로파일이다.Since biogenic estrogens are naturally present in the fetus and the female body, a good tolerability and safety profile is observed, especially when serum levels resulting from exogenous administration of these estrogens do not significantly exceed naturally occurring concentrations. A direct consequence of this good tolerability is the favorable side effect profile achiev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other methods.

정의definition

이 문서 전반에 이용되는 용어 "에스트로겐 성분"은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경우에, 생체 내에서 에스트로겐 반응을 촉발시킬 수 있는 물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생체 내에서 에스트로겐 성분을 유리시킬 수 있는 전구체를 또한 포함한다. 에스트로겐 성분이 이러한 반응을 촉발시키기 위해, 이들은 일반적으로 포유동물 신체 내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해야 한다.The term "estrogen component" as used throughout this document, when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substances capable of triggering an estrogenic response in vivo, but also precursors capable of liberating such estrogenic components in vivo. In order for estrogenic components to trigger such a response, they must generally bind to estrogen receptors found in various tissues within the mammalian body.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에스테트롤 성분이다. 이 문서 전반에 이용되는 용어 "에스테트롤 성분"은 히드록실기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1-25개 탄소 원자의 탄화수소 카르복시산(hydrocarbon carboxylic acid), 술폰산 (sulfonic acid) 또는 술팜산(sulfamic acid)의 아실 라디칼(acyl radical)로 치환된 에스테트롤, 에스테트롤의 에스테르(ester)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스테트롤 성분은 에스테트롤 (에스테트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에 함유된 에스테트롤 성분은 에스테트롤 모노하이드레이트이다.The estroge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estetrol component. The term "estetrol component" as used throughout this document includes a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tetrol, esters of estetrol, and combinations thereof, wherein at least one hydrogen atom of a hydroxyl group is replaced by an acyl radical of a hydrocarbon carboxylic acid, a sulfonic acid or a sulfamic acid having 1 to 25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is estetrol (including estetrol hydrate). Most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contained in the dosage unit is estetrol monohydrate.

용어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생체 내에서 프로게스토겐 반응(progestogenic response)을 촉발시킬 수 있는 물질, 또는 생체 내에서 이러한 물질을 유리시킬 수 있는 전구체로 정의된다. 대개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프로게스토겐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The term "progestogenic agent" is defined as a substance capable of triggering a progestogenic response in vivo, or a precursor capable of liberating such a substance in vivo. Typically, a progestogenic agent is capable of binding to a progestogen receptor.

파라미터, 양 (amount), 시간적인 기간(temporal duration) 등을 비롯한 측정 가능한 값을 나타내며 본원에서 이용되는 "약 (about)"은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의 변형 및 명시된 값으로부터의 변형이 개시된 발명에서 수행하기에 적합한 한, 이들 변형을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그러나, 수식어(modifier) "약"이 지칭하는 값이 그 자체로 또한 구체적으로 개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The term "about" as used herein to indicate a measurable value, including a parameter, an amount, a temporal duration, and the like, is intended to include variations of +/- 10% or less, more preferably +/- 5%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 1% or less, and variations from the stated value, so long as such variations are suitable to perform the disclosed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value to which the modifier "about" refers is also specifically disclosed per se.

용어 "유효량"은 생리학적 효과를 획득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생리학적 효과는 일회 투여량 또는 반복적인 투여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유효량"은 월경통 증상의 감소, 제거, 치료 또는 조절에 효과적인 양을 의미한다. 용어 "조절"은 월경통 진행의 둔화, 방해, 저지 또는 중단이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과정을 의미하려는 의도이나, 반드시 월경통의 완전한 제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예방적 치료(prophylactic treatment) 및 만성적인 이용(chronic use)을 포함하려는 의도이다.The term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a physiological effect. The physiological effect may be achieved by a single dose or by repeated doses. In particular, an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eliminate, treat or control the symptoms of menstrual cramps. The term "control" is intended to mean any process that may slow, hinder, arrest or stop the progression of menstrual cramps, but does not necessarily imply complete elimination of menstrual cramps, and is intended to include prophylactic treatment and chronic use.

실시예 5에 설명된 대로, 월경통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이 낮은 일일 투여(daily dosage)로 이용되었음에도 놀랍게도 효율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의 우월성이 어느 정도는 월경통을 그 자체로 경감시킬 수 있는 에스테트롤 성분의 놀라운 효과로 인한 것이라고 여기며, 이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임상적 결과에서 설명된다.As described in Example 5,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lieving symptoms of menstrual cramps has been surprisingly proven to be effective even when used at a low daily dosage. Without wishing to be bound by theor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ieve that the superiority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ue in part to the remarkable effect of the estetrol component which can relieve menstrual cramps per se, as illustrated by the clinical results shown in Example 1.

사실, 이는 저 투여량의 에스트로겐의 투여가 월경 편두통(catamenial migraine)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월경통에 대해서 늘 보고된 이러한 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에스테트롤 성분이 단독으로 투여되는 경우에, 에스테트롤 성분이 월경통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본 발견의 유일성은 이러한 증상이 감소하도록 한다. 방법의 한 특정한 양태에서, 에스테트롤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의 프로게스틴-비투여 간격(progestin-free interval) 동안에 단독으로 투여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기술된다.In fact, while it is known that administration of low doses of estrogen reduces menstrual migraine, this effect has not always been reported for dysmenorrhea. The uniqueness of the present discovery that the estetrol component can alleviate the symptoms of dysmenorrhea when administered alon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such symptoms to be reduced. In one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method, the estetrol component is administered alone during the progestin-free interval of the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urther described below.

상당수의 과학분야 출판물이 에스테트롤을 약한 에스트로겐으로서 특징화했고, 그러니, 실시예에서 보고된 임상시험에서 이용된 투여량에서, 월경통 증상의 관리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positive effect)가 관찰될 것이라고 예견되지 않은 것은 더욱 예상 밖이다.A significant number of scientific publications have characterized estrogen as a weak estrogen, so it is all the more unexpected that such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symptoms would not have been observed at the doses used in the clinical trials reported in the examples.

재차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방법의 우월성이 또한 에스테트롤 성분이 자궁내막(endometrium) 상에서 가지는 경도-특히, 다수의 COC에서 이용되는 에스트로겐인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의 더 강한 자극 효과와 비교하면-의 자극 효과로 인한 것으로 여긴다. 결과적으로, 자궁내막 두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대해서 강하게 줄어든다는 것이 밝혀졌다. 얇은 자궁내막은 상대적으로 소량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대부분의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위한 기질을 함유한다. 자궁내막의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리 때 생리 흐름 및 자궁 수축 모두를 감소시켜서 월경통을 감소시킨다.Without wishing to be bound by theory agai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ieve that the superiority of the present method is also due to the stimulatory effect of the estrogen component on the endometrium - particularly compared to the stronger stimulatory effect of ethinyl estradiol, the estrogen used in many COC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endometrial thickness is strongly reduced upon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n endometrium contains relatively small amounts of arachidonic acid, the substrate for the synthesis of most prostaglandins.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in the endometrium,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both menstrual flow and uterine contractions during menstruation, thereby reducing menstrual cramps.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환자의 100%에서 배란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배란의 억제는 자궁 프로스타글란딘 수준을 감소시킨다.Moreove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inhibit ovulation in 100% of patients, and inhibition of ovulation decreases uterine prostaglandin levels.

비교연구에서, 놀랍게도 에스테트롤과 프로게스토겐 성분으로서 드로스피레논의 병용물이 에스테트롤과 프로게스토겐 성분으로서 레보노르게스트렐의 병용물 보다 월경통 증상의 관리에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실시예 2에서 보고된 임상 시험의 결과에 의해 설명된다.In a comparative study, surprisingly, the combination of estetrol and drospirenone as a progestoge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managing dysmenorrhea symptoms than the combination of estetrol and levonorgestrel as a progestogen. This is illustrated by the results of the clinical trial reported in Example 2.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의 다른 중요한 이점은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약물-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이의 상대적인 무감응(insensitivity)으로부터 유래된다. 어떤 약물이 에티닐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에스트로겐의 유효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른 약물이 이들의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 -가능한 증가된 부작용을 야기하는- 이 주지되어 있다. 비슷하게, 에스트로겐은 다른 약물의 물질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약물의 에스트로겐에 대한 효과는 이러한 에스트로겐의 흡수, 물질대사 또는 배설을 방해하는 것으로 인한 반면에, 다른 약물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효과는 물질대사 경로에 대한 경쟁 때문이다.Another important advantage of the estetro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from its relative insensitivity to interactions with other drugs (drug-drug interactions). It is well known that certain drugs can decrease the effectiveness of estrogens, such as ethinyl estradiol, and that other drugs can enhance their activity - possibly resulting in increased side effects. Similarly, estrogens can interfere with the metabolism of other drugs. In general, the effect of other drugs on estrogens is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absorption, metabolism or excretion of such estrogens, whereas the effect of estrogens on other drugs is due to competition for metabolic pathways.

임상적으로 가장 유의한 그룹의 에스트로겐 약물 상호작용은 에스트로겐 혈장 수준을 치료학적 수준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간 미소체 효소(hepatic microsomal enzyme)를 유도할 수 있는 약물[예를 들어, 항경련 제제(anticonvulsant agent); 페니토인(phenytoin), 프리미돈(primidone), 바비튜레이트(barbiturate),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에토숙시미드(ethosuximide), 및 메토숙시미드(methosuximide); 리팜핀(rifampin)과 같은 항결핵제(antituberculous drug);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과 같은 항진균제(antifungal drug)]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물질 (estrogenic substance)은 간 미소체 효소 (예, P450)의 상향 조절 및 하향 조절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다른 P450 기질과의 경쟁에 민감하지 않다. 비슷하게, 이들은 다른 약물의 물질대사를 유의하게 방해하지 않는다.The most clinically significant group of estrogen drug interactions occur with drugs that can induce hepatic microsomal enzymes, which can reduce estrogen plasma levels to subtherapeutic levels (e.g., anticonvulsant agents; phenytoin, primidone, barbiturates, carbamazepine, ethosuximide, and methosuximide; antituberculous drugs such as rifampin; antifungal drugs such as griseofulvin). The estrogenic subst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ly on up- and down-regulation of hepatic microsomal enzymes (e.g., P450) and are insensitive to competition with other P450 substrates. Similarly, they do not significantly interfere with the metabolism of other drugs.

특히, 10 μmol/l의 고농도의 에스테트롤은 에스트라디올과 다르게 주요 시토크롬(cytochrome) P450 효소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및 CYP3A4)를 저해하지 않는다 (10% 미만). 사실, 에스트라디올은 CYP2C19 및 CYP1A2에 대해서 각각 63% 및 19%의 상당한 저해 효과를 가한다. 비슷하게, 다수의 COC에 이용되는 에스트로겐인 에티닐 에스트라디올은 CYP2C19 및 CYP3A4에 대한 각각 82% 및 45%의 상당한 저해 효과를 가한다.In particular, estradiol at high concentrations of 10 μmol/l, unlike estradiol, does not inhibit (less than 10%) the major cytochrome P450 enzymes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and CYP3A4). In fact, estradiol has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CYP2C19 and CYP1A2, with inhibitory effects of 63% and 19%, respectively. Similarly, ethinyl estradiol, the estrogen used in many COCs, has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CYP2C19 and CYP3A4, with inhibitory effects of 82% and 45%, respectively.

상기 관찰은 왜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이 약물-약물 상호작용으로부터 거의 피해를 보지 않고 매우 일관된, 즉 예측 가능한 충돌을 초래하는지를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물질의 효능은 매우 신뢰할 수 있다.The above observations explain why the estroge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ers little from drug-drug interactions and produces very consistent, i.e. predictable, collisions. Therefore, the efficacy of the estrogen sub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reliable.

또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에스트로겐의 최종 반감기(terminal half-life)가 2 내지 14시간에 이르는 반면에, 에스테트롤은 31.7시간의 최종 반감기에 의해 특징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에스테트롤의 이용은 치료에 의한 수용체의 24시간 이상의 커버리지(coverage)를 허용한다. 이 약동학적 특성(pharmacokinetic property)은 이용자에 의한 낮은 치료 순응(treatment compliance)의 경우에서 조차도 제품의 효능을 증대시킨다.Furthermore, while the terminal half-life of naturally occurring estrogens ranges from 2 to 14 hours, estetrol is characterized by a terminal half-life of 31.7 hours. Thus, the use of estetrol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a therapeutic coverage of the receptors of more than 24 hours. This pharmacokinetic property enhances the efficacy of the product even in cases of poor treatment compliance by the user.

에스테트롤 (E4)이 3 mg의 드로스피레논 (DRSP) 또는 150 μg의 레보노르게스트렐 (LNG)과 관련되는 경우에, 출혈 프로파일(bleeding profile) 및 사이클 제어가 생리학적 에스트로겐, 즉, 에스트라디올-발러레이트 (estradiol-valerate, E2V) 또는 에스트라디올(E2)을 이용한 다른 복합 경구 피임약에 비해서 개선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when estetrol (E4) is associated with 3 mg of drospirenone (DRSP) or 150 μg of levonorgestrel (LNG), the bleeding profile and cycle control are improved compared to other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using physiological estrogens, i.e. estradiol-valerate (E2V) or estradiol (E2).

상이한 E4/DRSP 또는 E4/LNG 병용물의 출혈 패턴 및 사이클 제어를 평가하는 연구에서, E2V 및 데소게스트렐 (DSG)을 함유하는 시판중인 사상성 복합 경구 피임약 (quadriphasic combined oral contraceptive)에 비해서, 15 mg E4/DRSP의 병용물 및 20 mg E4/LNG의 병용물 모두 대조약(comparator) 보다 계획되지 않은 출혈(bleeding)/부정출혈(spotting) 일(day)의 더 낮은 발병률과 관련 있었다. 게다가, 소퇴성 출혈(withdrawal bleeding) [무월경(amenorrhea)으로도 일컬음]의 부재는 E4 함유 제제로, 특히 E4가 DRSP와 관련되는 경우에 대조약보다 훨씬 더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사이클에 의한 계획되지 않은 출혈/부정출혈이 있는 평균 일(day)수도 또한 E2V/DNG 제제에 비해서 15 mg E4/DRSP의 병용물로 더 감소되었다. 또한, 노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nomegestrol acetate, NOMAC)와 관련하여 에스트로겐으로서 E2를 함유하는 시판중인 복합 경구 피임약에 대한 공개적으로 입수 가능한 데이터와 비교되는 경우에, 이는 상기 사례(case)였다.In a study evaluating bleeding patterns and cycle control of different E4/DRSP or E4/LNG combinations, both the 15 mg E4/DRSP and 20 mg E4/LNG combinations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incidence of unscheduled bleeding/spotting days than the comparators, compared with a marketed quadriphasic combined oral contraceptive containing E2V and desogestrel (DSG). Furthermore, the absence of withdrawal bleeding (also referred to as amenorrhea)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E4-containing formulations compared with the comparators, particularly when E4 was associated with DRSP. Finally, the mean number of days per cycle with unscheduled bleeding/spotting was also reduced more with the 15 mg E4/DRSP combination than with the E2V/DNG formulation. This was also the case when compared with publicly available data on marketed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E2 as an estrogen,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nomegestrol acetate (NOMAC).

게다가, 현재 시판중인 에스트로겐[에티닐에스트라디올(ethinylestradiol, EE), E2, E2V, 접합 마에스트로겐(conjugated equine estrogens)]의 일일 이용은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수준의 투여량-비례 증가 (dose-proportional increase)와 관련된다. 인간 신체에서, 혈류 중 고농도의 트리글리세리드는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및, 더 나아가, 심장병 및 뇌졸중의 위험과도 관계되었다. 현재 입수 가능한 에스트로겐과 반대로, E4는 더 높은 투여에서 조차도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최소한도로 증가시킨다.Moreover, daily use of currently available estrogens (ethinylestradiol (EE), E2, E2V, conjugated equine estrogens) is associated with a dose-proportional increase in triglyceride levels. In humans, high blood triglyceride levels have been linked to atherosclerosis and, by extension, the risk of heart disease and stroke. In contrast to currently available estrogens, E4 causes minimal increases in triglyceride levels even at higher doses.

마지막으로, 복합 피임약(combined contraceptive)의 이용은 정맥 혈전색전증 (venous thromboembolic event, VTE)의 증가된 위험과 관련있다. 비-이용자에 비해서, 2세대 COC(second generation COC)의 이용은 VTE의 위험을 2배 증가시키고, 3세대 COC 및 4세대 COC의 이용은 위험을 4배 증가시킨다. 특정한 복합 피임약의 이용과 관련된 VTE의 절대 위험(absolute risk)은 매우 큰 역학적 시험(epidemiological trial) 동안에만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럽 의약품 기구(European Medicinal Agency)에 의해 요청됨에 따라, VTE 위험의 몇몇 대리 마커(surrogate marker)들이 더 작은 임상적 환경(clinical setting)에서 측정되어 위험을 추정할 수 있다.Finally, combined contraceptive us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venous thromboembolic events (VTE). Compared with non-users, use of second-generation COCs increases the risk of VTE by twofold, and use of third- and fourth-generation COCs increases the risk by fourfold. The absolute risk of VTE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particular combined contraceptive can only be estimated during very large epidemiological trials. However, as requested by the European Medicines Agency, several surrogate markers of VTE risk have been measured in smaller clinical settings to allow for an estimate of risk.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대로, E4 및 DRSP 또는 LNG의 병용물로 획득된 임상적 결과로부터, VTE의 대리 마커의 변화는 Yaz® (20 μg EE 및 3 mg DRSP의 병용물)로 측정된 변화에 비해서 최소였다. DRSP는 합성 에스트로겐 EE와 병용되는 경우에 VTE의 가장 높은 위험과 관련 있는 4세대 프로게스틴이다. 따라서, EE 및 DRSP의 병용물로 보인 VTE의 대리 마커의 변화는 상당하다. 비교하자면, E4 병용물로 관찰된 변화는 DRSP가 에스트로겐과 관련된 경우에서도 최소이다. 예를 들어, E4가 3 mg DRSP와 관련된 경우에 관찰된 SHBG 혈장 수준 변화는 20 μg EE 및 3 mg DRSP의 병용물로 관찰된 SHBG 증가 (치료 사이클 3에서 Yaz®에 대한 306.3 %의 평균 백분율 변화)보다 상당히 더 낮았다 (치료 사이클 3에서 5 mg E4/3 mg DRSP 그룹에 대한 7.9%의 평균 백분율 변화 및 10 mg E4/3 mg DRSP 그룹에 대한 44.5%의 평균 백분율 변화). 변화의 동일한 양의 패턴(positive pattern)이 이 시험에서 측정된 VTE의 14개 추가의 대리 마커로 관찰되었다.As described in Example 4, from the clinical outcomes obtained with the combination of E4 and DRSP or LNG, the changes in surrogate markers of VTE were minimal compared to the changes measured with Yaz® (combination of 20 μg EE and 3 mg DRSP). DRSP is the fourth generation progestin associated with the highest risk of VTE when combined with the synthetic estrogen EE. Therefore, the changes in surrogate markers of VTE seen with the combination of EE and DRSP are significant. In comparison, the changes observed with the E4 combination are minimal even when DRSP is combined with estrogen. For example, the SHBG plasma level changes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E4 in combination with 3 mg DRSP were significantly lower (mean percentage change of 7.9% for the 5 mg E4/3 mg DRSP group and mean percentage change of 44.5% for the 10 mg E4/3 mg DRSP group at cycle 3) than the SHBG increases observed with the combination of 20 μg EE and 3 mg DRSP (mean percentage change of 306.3% for Yaz® at cycle 3). The same positive pattern of change was observed with 14 additional surrogate markers of VTE measured in this trial.

치료방법Treatment method

본 발명의 방법은 대개 적어도 10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일의 기간 동안에,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중단되지 않는 경구 투여(uninterrupted oral administration)를 이용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uninterrupted oral administration of an estrogen component and a progestogen component, typically for a period of at least 10 days, preferably at least 20 days.

여기서 이용된 용어 "중단되지 않는(uninterrupted)"은 성분이 (치료학적으로) 유의한 중단 없이 상대적으로 정기적인 간격(regular interval)에서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스럽게, 본 발명의 방법의 전반적인 유효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작은 중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실 이러한 일탈(aberration)은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더 산술적으로, 투여 요법은 두 후속적인 투여 사이의 가장 긴 간격이 평균 간격보다 길지만 3.5배 미만인 경우에 연속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장 긴 간격이 평균 간격보다 길지만 2.5배 미만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간격보다 길지만 1.5배 미만이다.The term "uninterrupted" as used herein means that the components are administered at relatively regular intervals without (therapeutically) significant interruptions. Naturally, minor interruptions may occur which do not affect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act such aberrations are encompa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more arithmetically, the dosing regimen is considered continuous if the longest interval between two subsequent administrations is longer than the mean interval but less than 3.5 times. Even more preferably, said longest interval is longer than the mean interval but less than 2.5 times, and most preferably, said longest interval is longer than the mean interval but less than 1.5 times.

본 발명의 방법에서,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별도의 투여 단위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성분을 단일 투여 단위로 결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사실 매우 편리하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trogen component and the progestogen component may be administered in separate dosage units. However, it is also possible and in fact very convenient to combine these two components in a single dosage uni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프로게스토겐 성분 및 에스트로겐 성분의 병용물은 적어도 10일의 기간 동안 중단되지 않고 적합하게 투여된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a progestogen component and an estrogen component is suitably administered without interruption for a period of at least 10 days.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투여 방법의 형태로 실시되도록 적합하게 축소될 수 있다. 소위 "병용(combined)" 방법이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이다. 사이클 전반에 프로게스토겐의 단계적인 증가를 수반하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수준의 에스트로겐을 함유하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병용 방법은 일정한 양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토겐이 있는 투여 단위를 함유하는 단상성 제제(monophasic preparation), 또는 변화하는 수준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토겐을 갖는 이상성 제제 (biphasic preparation) 또는 삼상성 제제(triphasic preparation)를 이용한다. 병용 방법은 약 7일의 비투여-간격을 수반하는 요법에 기초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로써 자연적인 생리를 가장하는(simulating) 소퇴성 출혈(withdrawal bleeding)이 발생한다. 따라서, 21일 간격의 호르몬 투여는 호르몬이 투여되지 않는 7일과 교대로 일어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suitably adapted to be practiced in the form of various administration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o-called "combined" method is one of these methods. In most cases containing a relatively constant level of estrogen with a stepwise increase in progestogen throughout the cycle, the combined method uses a monophasic preparation containing dosage units with constant amounts of estrogen and progestogen, or a biphasic or triphasic preparation with varying levels of estrogen and progestogen. The combined method has in common that it is based on a regimen with a non-administration interval of about 7 days, which results in withdrawal bleeding simulating natural menstruation. Thus, 21-day intervals of hormone administration can alternate with 7 days of hormone-free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약 4일의 비투여-간격이 이용된다. 이 양태에서, 24일 간격의 호르몬 투여가 호르몬이 투여되지 않는 4일과 교대로 일어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administration interval of about 4 days is utilized. In this embodiment, 24-day intervals of hormone administration may alternate with 4 days of hormone-free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투여되는 24일 간격의 호르몬 투여가 에스트로겐 성분만 투여되는 4일 (25일째 내지 28일째)과 교대로 일어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4-day intervals of hormone administration in which estrogen and progestogen components are administered alternate with 4 days (days 25 to 28) in which only estrogen components are administered.

상기 언급된 병용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소위 "순차적인" 방법이 제안되었다. 순차적인 방법을 대표하는 것은 두 연속적인 시기(consecutive phase), 즉, 에스트로겐은 투여되고 프로게스토겐은 투여되지 않는 한 시기 및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겐의 병용물이 투여되는 다른 한 시기를 포함한다. 첫번째 순차적인 방법은 상기 언급된 병용 방법과 마찬가지로 약 7일의 비투여-간격을 이용했다. 더 최근에, 비투여 [또는 위약(placebo)] 기간을 포함하지 않는 순차적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전체 사이클 내내 에스트로겐이 투여되고, 프로게스토겐은 이 사이클의 단지 일부 동안에 공동-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국제특허공보 WO 제95/17895호 (Ehrlich et al.)는 이러한 중단되지 않는 순차적인 방법을 기술한다.As an alternative to the above-mentioned combination method, the so-called "sequential" method has been proposed. The sequential method comprises two consecutive phases, i.e. one phase in which estrogen is administered but no progestogen is administered, and another phase in which a combination of estrogen and progestogen is administered. The first sequential method used a non-administration interval of about 7 days,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combination method. More recently, a sequential method has been proposed which does not include a non-administration (or placebo) period, meaning that estrogen is administered throughout the entire cycle and a progestogen is co-administered only during a part of this cycle. WO 95/17895 (Ehrlich et al.) describes such an uninterrupted sequential method.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방법의 또 다른 예시는 소위 "연속적인 병용(continuous combined)" 방법으로, 예를 들어, 50일이 넘는 연장된 기간 동안에 프로게스토겐 성분 및 에스트로겐 성분의 중단되지 않는 병용 투여를 이용하는 병용 방법의 특정 버전이다. 보통의 병용 및 순차적인 방법과 대조적으로, 연속적인 병용 방법에서는 표시된 양의 프로게스토겐의 연속적인 투여가 무월경(amenorrhoea)을 유도함에 따라, 규칙적인 생리가 발생하지 않는다.Another example of a method encompa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called "continuous combined" method, which is a specific version of a combination method utilizing uninterrupted combined administration of a progestogen component and an estrogen component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more than 50 days. In contrast to the usual combined and sequential methods, in the continuous combined method, the continuous administration of the indicated amount of progestogen induces amenorrhoea, so that regular menstruation does not occur.

연속적인 병용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본 방법은 적어도 28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일의 기간 동안에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 병용물의 중단되지 않는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ing a continuous combination method, the method comprises uninterrupted oral administration of a combination of an estrogen component and a progestogen component for a period of at least 28 days, preferably at least 60 days.

유의한 비투여-간격을 이용하는 순차적 및 병용 방법에 관련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게스토겐 성분 및 에스트로겐 성분이 투여되지 않아서 프로게스토겐 성분 및 에스트로겐 성분의 혈청 농도의 초래된 감소가 생리를 유도하는 적어도 2일, 바람직하게는 3-9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5-8일의 간격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ing sequential and combined methods utilizing significant non-administration-interval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n interval of at least 2 days, preferably 3-9 days, most preferably 5-8 days, during which no progestogen component and no estrogen component are administer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he progestogen component and the estrogen component inducing menstruation.

유의한 중지(significant pause)가 없는 순차적인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적어도 28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일의 기간 동안에 에스트로겐 성분의 중단되지 않는 경구 투여를 포함하고,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병용 투여 후에 3-18일의 연속일, 바람직하게는 5-16일의 연속일 동안에 에스트로겐 성분은 투여되고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투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징화되고,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혈청 농도의 초래되는 감소는 정상적으로 생리의 유도에 충분해야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a sequential method without significant pause comprises uninterrupted oral administration of an estrogen component for a period of at least 28 days, preferably at least 60 day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the estrogen component and the progestogen component, the estrogen component is administered for 3 to 18 consecutive days, preferably 5 to 16 consecutive days, and the resulting decrease in the serum concentration of the progestogen component should be sufficient to induce menstruation normally.

본 발명에 따르면, 월경통의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VTE, 두통, 유방통 등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VTE, 두통, 및 유방통을 포함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VTE 및 두통을 포함하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VTE를 포함하는 부작용의 횟수, 빈도 및/또는 증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VTE의 부작용을 유의하게 낮은 빈도 및 중증도로 감소시키면서, 월경통 증상의 효과적인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ion for use in a method for alleviating symptoms of dysmenorrhea can reduce the number, frequency and/or severity of side effects including VTE, headache, breast pain, etc., preferably including VTE, headache, and breast pain, more preferably including VTE and headache, and most preferably including VT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dysmenorrhea symptoms while reducing the side effects of VTE to a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and severity.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방법은 정상 범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혈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 본원에 이용된 "지혈 변화"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대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의 혈장 수준의 변화로 정의된다: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유리 조직 인자 경로 저해제(free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free TFPI), 유리 및 전체 단백질-S, 단백질-S 활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Corticosteroid Binding Globulin, CBG), 세룰로플라스민(Ceruloplasmin), 항트롬빈 III(antithrombin III), 활성화 단백질 C (activated protein C, APC) 저항성 (예, APTT에 기초한 APCr 또는 ETP에 기초한 APCr), 단백질-C 활성, D-이량체, 프로트롬빈(Prothrombin), 프로트롬빈 단편 1+2, 인자 VII,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 인자 II, PAI-1, 조직형 플라스미노겐(tissue-type plasminogen, t-PA), 플라스미노겐, E-셀렉틴 (E-selectin), 및 피브리노겐. 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method does not cause hemostatic change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range. As used herein, "change in hemostasis" is defined as a change in plasma levels of one or more marker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in response to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free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free TFPI), free and total protein-S, protein-S activity, corticosteroid Binding Globulin (CBG), ceruloplasmin, antithrombin III, activated protein C (APC) resistance (e.g. APCr based on APTT or APCr based on ETP), protein-C activity, D-dimer, prothrombin, prothrombin fragment 1+2, factor VII, factor VIII, von Willebrand factor, factor II, PAI-1, tissue type Tissue-type plasminogen (t-PA), plasminogen, E-selectin, and fibrinogen.

상기 나열된 마커는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주지되어 있고, 이들의 수준의 측정방법은 통상적인 기술자의 통상적인 일반적 지식에 속한다.The markers listed above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ethods for measuring their levels are within the general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지혈 마커의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에 본원에 이용된 "정상 범위(normal range)"는 집단의 95%가 속하는 예측 구간(prediction interval)을 의미한다.When referring to levels of hemostasis markers, the term “normal range”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prediction interval within which 95% of the population falls.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방법은 한 사이클의 치료 후에 정상 범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혈 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두 사이클의 치료 후에 정상적인 범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혈 변화를 야기하지 않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세 사이클의 치료 후에 정상 범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혈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does not cause hemostatic change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range after one cycle of treatment, preferably the method does not cause hemostatic change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range after two cycles of treatment, and more preferably the method does not cause hemostatic change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range after three cycles of treatment.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에서, 방법은 정상 범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단백질-S의 수준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ethod does not cause a change in the level of protein-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range.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에서, 방법은 정상 범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유리 TFPI의 수준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ethod does not cause a change in the level of free TFPI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range.

조성물Composition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에스테트롤 성분으로, 히드록실기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1-25개 탄소 원자의 탄화수소 카르복시산(hydrocarbon carboxylic acid), 술폰산 (sulfonic acid) 또는 술팜산(sulfamic acid)의 아실 라디칼(acyl radical)로 치환된 에스테트롤, 에스테트롤의 에스테르(ester)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스테트롤 성분은 에스테트롤 (에스테트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에 함유된 에스테트롤 성분은 에스테트롤 모노하이드레이트이다.The estroge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estetrol component, which includes a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tetrol, esters of estetrol and combinations thereof, wherein at least one hydrogen atom of a hydroxyl group is replaced by an acyl radical of a hydrocarbon carboxylic acid, a sulfonic acid or a sulfamic acid having 1 to 25 carbon atoms. Even more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is estetrol (including estetrol hydrate). Most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contained in the dosage unit is estetrol monohydrate.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은 0.1 mg 내지 100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이 1 mg 내지 40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이 5 mg 내지 25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이 10 mg 내지 20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The estetro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daily dosage of 0.1 mg to 100 mg.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1 mg to 40 mg. More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5 mg to 25 mg. Even more preferably, the estetro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10 mg to 20 mg.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스테트롤 성분은 약 15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In a most preferred embodiment, the estetro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about 15 mg.

다른 양태에서, 투여는 사이클 내내 다양할 수 있다 (이상성, 삼상성 또는 사상성 투여).In other embodiments, dosing may vary throughout the cycle (biphasic, triphasic or isobaric dosing).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레보노르게스트렐, 노르게스티메이트, 노르에티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드로스피레논, 3-베타-히드록시데소게스트렐, 3-케토데소게스트렐, 17-데아세틸노르게스티메이트, 19-노르프로게스테론, 아세톡시프레그네놀론, 알릴에스트레놀(allylestrenol), 암게스톤(amgestone), 클로르마디논(chlormadinone), 사이프로테론(cyproterone), 데메게스톤(demegestone), 데소게스트렐, 디에노게스트, 디하이드로게스테론(dihydrogesterone), 디메티스테론(dimethisterone), 에티스테론(ethisterone),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ethynodiol diacetate), 플루오로게스톤 아세테이트(fluorogestone acetate), 가스트리논(gastrinone), 게스토덴, 게스트리논(gestrinone), 히드록시메틸프로게스테론,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리네스트레놀(lynestrenol), 메시로게스톤(mecirogestone),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메게스트롤(megestrol), 멜렌게스트롤(mele,gestrol), 노메게스트롤(nomegestrol), 노르에틴드론(norethindrone), 노르에티노드렐(norethynodrel), 노르게스트렐(norgestrel) (d-노르게스트렐, 및 dl-노르게스트렐을 포함), 노르게스트리에논(norgestrienone), 노르메티스테론(normethisterone), 프로게스테론, 퀸게스타놀(quingestanol), (17알파)-17-히드록시-11-메틸렌-19-노르프레그나-4, 15-디엔-20-인-3-온, 티볼론(tibolone), 트리메게스톤, 알게스톤-아세토페니드(algestone-acetophenide), 네스토론(nestorone), 프로메게스톤(promegestone), 17-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에스테르, 19-노르-17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17알파-에티닐테스토스테론, 17알파-에티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d-17베타-아세톡시-13베타-에틸-17알파-에티닐곤-4-엔-3-온 옥심(oxime), 6베타, 7베타;15베타,16베타-디메틸렌-3-옥소-17-프레그나-4,9(11)-디엔-21, 17베타-카르보락톤 또는 타나프로게트(tanaproget) 및 본 발명에 이용되는 경우에 이들 프로게스토겐을 생체 내에서 유리시킬 수 있는 이들 화합물의 전구체.Examples of progestogen components that may be suitably util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evonorgestrel, norgestimate, norethisterone, dydrogesterone, drospirenone, 3-beta-hydroxydesogestrel, 3-ketodesogestrel, 17-deacetylnorgestimate, 19-norprogesterone, acetoxypregnenolone, allylestrenol, amgestone, chlormadinone, cyproterone, demegestone, desogestrel, dienogest, dihydrogesterone, dimethisterone, ethisterone, ethynodiol diacetate, fluorogestone acetate. acetate), gastrinone, gestodene, gestrinone, hydroxymethylprogesterone, hydroxyprogesterone, lynestrenol, mecirogestone, medroxyprogesterone, megestrol, mele, gestrol, nomegestrol, norethindrone, norethynodrel, norgestrel (including d-norgestrel and dl-norgestrel), norgestrienone, normethisterone, progesterone, quingestanol, (17alpha)-17-hydroxy-11-methylene-19-norpregna-4, 15-dien-20-yn-3-one, tibolone, trimegestone, algestone-acetophenide, nestorone, promegestone, 17-hydroxyprogesterone ester, 19-nor-17hydroxyprogesterone, 17alpha-ethynyltestosterone, 17alpha-ethynyl-19-nortestosterone, d-17beta-acetoxy-13beta-ethyl-17alpha-ethynylgon-4-en-3-one oxime, 6beta, 7beta; 15beta, 16beta-dimethylene-3-oxo-17-pregna-4,9(11)-diene-21, 17beta-carbolactone or Tanaproget and precursors of these compounds capable of liberating these progestogens in vivo whe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되는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프로게스테론, 데소게스트렐, 게스토덴, 디에노게스트, 레보노르게스트렐, 노르게스티메이트, 노르에티스테론, 드로스피레논, 트리메게스톤, 디드로게스테론, 이들 프로게스토겐의 전구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Preferably, the progestogen component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gesterone, desogestrel, gestodene, dienogest, levonorgestrel, norgestimate, norethisterone, drospirenone, trimegestone, dydrogesterone, precursors of these progestogens,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의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드로스피레논인 경우에, 이는 바람직하게는 0.5 mg 내지 10 mg의 일일 투여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g 내지 4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프로게스토겐 성분은 드로스피레논이고, 이는 약 3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이용된다.When the progestoge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ospirenone, it can be preferably used in a daily dosage of 0.5 mg to 10 mg, and more preferably in a daily dosage of 1 mg to 4 mg. In a most preferred embodiment, the progestoge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ospirenone, and it is used in a daily dosage of about 3 mg.

상이한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이용되는 경우, 일일 투여량은 조정되어, 예를 들어, 0.5 mg 내지 10 mg 투여량의 드로스피레논으로 동일한 약리학적 효과(pharmacological effect)를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1 mg 내지 4 mg 투여량의 드로스피레논으로 동일한 약리학적 효과를 제공한다.When different progestogen components are used, the daily dosage is adjusted so that, for example, a dosage of 0.5 mg to 10 mg of drospirenone provides the same pharmacological effect, and preferably a dosage of 1 mg to 4 mg of drospirenone provides the same pharmacological eff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조성물은 5 mg 내지 25 mg의 일일 투여량의 에스테트롤과 0.5 mg 내지 10 mg의 일일 투여량의 드로스피레논을 병용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조성물은 10 mg 내지 20 mg의 일일 투여량의 에스테트롤을 1 mg 내지 4 mg의 일일 투여량의 드로스피레논과 병용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15 mg의 일일 투여량의 에스테트롤과 약 3 mg의 일일 투여량의 드로스피레논을 병용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es a daily dose of estetrol of from 5 mg to 25 mg and a daily dose of drospirenone of from 0.5 mg to 10 mg.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es a daily dose of estetrol of from 10 mg to 20 mg and a daily dose of drospirenone of from 1 mg to 4 mg. In a still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es a daily dose of about 15 mg of estetrol and a daily dose of about 3 mg of drospirenone.

본 발명은 많은 예시적 양태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기술되었다. 일부분 또는 일부 요소의 변경 및 대안적인 실행이 가능하며, 첨부되는 청구항에서 정의된 보호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many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implementations of some or all of the elements are possible and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실시예Example ]]

[[ 실시예Example 1]1]

이 연구 동안에, 건강한 여성 피험자는 하나의 28일 사이클 동안에 10 또는 20 mg의 E4를 단독 (각각 n=10 및 11) 또는 프로게스테론 (P) 또는 데소게스트렐 (DSG)과 E4의 병용물 (각각 n=15 또는 16)을 처리했다.During this study, healthy female subjects were treated with 10 or 20 mg of E4 alone (n=10 and 11,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with progesterone (P) or desogestrel (DSG) (n=15 or 16, respectively) for one 28-day cycle.

기초선에서, 가끔의 월경통이 11명의 피험자 (21.2%)에 의해 보고되었고, 빈번한 월경통이 19명의 피험자 (36.5%)에 의해 보고되었다. 월경통의 분포(distribution)가 아래 표 2에 제시된다. 전반적으로, 월경통은 이 시험에 포함된 피험자의 25% 내지 53.3%에 의해 보고되었다.At baseline, occasional dysmenorrhea was reported by 11 subjects (21.2%) and frequent dysmenorrhea was reported by 19 subjects (36.5%). The distribution of dysmenorrhea is presented in Table 2 below. Overall, dysmenorrhea was reported by 25% to 53.3% of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trial.

[표 2 - [Table 2 - 기초선에서의At the baseline 보고] report]

아래의 치료 후 발생한 이상반응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 TE-AE)의 표 3에 제시된, 치료 시기 동안의 월경통의 보고는 기초선에서 기록된 발병률에 비해서 낮았다. 흥미롭게도, E4는 단독으로 임의의 투여량-관련 비례(dose-related proportionality) 없이 월경통의 발병률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 (positive impact)을 갖는 것으로 보였다.As shown in Table 3 of the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TE-AEs) below, the incidence of dysmenorrhea during the treatment period was lower than the incidence recorded at baseline. Interestingly, E4 alone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cidence of dysmenorrhea without any dose-related proportionality.

[표 3 - 치료 후 발생한 이상반응][Table 3 - Adverse reactions occurring after treatment]

. .

[[ 실시예Example 2]2]

본 발명에 따라 에스트로겐 성분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상이한 투여량 및 상이한 병용을 비교하는 이 임상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기초선에서 피험자의 68.9%가 이전에 월경통을 경험했었는데, 피험자의 40.4%가 가끔 월경통을 경험했었고, 피험자의 28.5%가 빈번히 월경통을 경험했다.In this clinical study comparing different dosages and different combinations of estrogen and progestoge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all, at baseline, 68.9% of the subjects had previously experienced dysmenorrhea, 40.4% of the subjects had occasionally experienced dysmenorrhea, and 28.5% of the subjects had frequently experienced dysmenorrhea.

임의의 치료 그룹 내 적어도 2명의 피험자에 의해 보고된 치료 후 발생한 이상반응 (TE-AE)으로부터 발췌된 아래의 표 4에 도시된 대로, 월경통은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레보노르게스트렐인 경우보다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드로스피레논인 경우에 더욱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As shown in Table 4 below, which is an excerpt from the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TE-AEs) reported by at least two subjects within any treatment group, dysmenorrhea was reported less frequently when the progestogen was drospirenone than when the progestogen was levonorgestrel.

게다가, 꽤 놀랍게도, 최저 투여량의 에스트로겐 성분 (일일 15 mg)이 더 높은 투여량 (일일 20 mg)보다 TE-AE로서 월경통의 보다 적은 보고를 초래하는 것이 표 4에서 또한 제시된다.Moreover, quite surprisingly, Table 4 also shows that the lowest dose of estrogen component (15 mg daily) resulted in fewer reports of dysmenorrhea as a TE-AE than the higher dose (20 mg daily).

[표 4 - 치료 후 발생한 이상반응][Table 4 - Adverse reactions occurring after treatment]

마지막으로, 중단을 초래하는 월경통 TE-AE는 각각의 20 mg E4 그룹에서 일회 발생했으나(1.3%), 임의의 15 mg E4 그룹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0%).Finally, dysmenorrhea TE-AE leading to discontinuation occurred once in each 20 mg E4 group (1.3%), but did not occur in any of the 15 mg E4 groups (0%).

[[ 실시예Example 3]3]

본 발명에 따른 에스트로겐 성분과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병용물을 천연 에스트로겐을 또한 이용하는 시판중인 피임 치료제[독일 소재의 바이엘 헬스케어(Bayer HealthCare, Germany)에 의해 Qlaira ®로 시판중인 1, 2 또는 3 mg 투여량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estradiol valerate)와 0, 2 또는 3 mg 투여량의 디에노게스트(dienogest)]와 비교하는 이 임상적 연구에서, 약물-관련 이상반응의 수 [치료 후 발생한 이상반응 (TE-AE)이 임의의 치료 그룹 내 적어도 2명의 피험자에 의해 보고됨] 및 SHBG 마커의 수준을 모니터링했다.In this clinical study comparing the combination of estrogen and progestoge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ontraceptive treatments that also utilize natural estrogens (estradiol valerate in doses of 1, 2 or 3 mg and dienogest in doses of 0, 2 or 3 mg, marketed as Qlaira ® by Bayer HealthCare, Germany), the number of drug-related adverse events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TE-AEs) reported by at least two subjects in any treatment group) and the levels of the SHBG marker were monitored.

아래 표 5에 도시된 대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와 디에노게스트에 기초한 시판중인 제품을 이용한 치료군(treatment arm) 내 13명의 피험자 (16.7%에 해당함)가 두통에 관련된 TE-AE를 보고한 반면에, 15 mg의 에스테트롤과 3 mg의 드로스피레논의 병용물로 치료된 그룹 내 오직 6명의 피험자만 (7.6 %에 해당함) 두통에 관련된 TE-AE를 보고했다. 따라서, 두통에 관련된 반응의 수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에서 훨씬 낮은 것으로 보였다.As shown in Table 5 below, 13 subjects (corresponding to 16.7%) in the treatment arm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based on estradiol valerate and dienogest reported TE-AEs related to headache, whereas only 6 subjects (corresponding to 7.6%)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15 mg estetrol and 3 mg drospirenone reported TE-AEs related to headache. Thus, the number of headache related reactions appeared to be much lower in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게다가, 유방통과 관련된 이상반응의 수는 두 치료제에서 비슷했고, 매우 낮았다 (1.3%만 발생).Moreover, the number of adverse reactions related to breast pain was similar in both treatments and very low (occurring only in 1.3%).

[표 5 - 치료 후 발생한 이상반응][Table 5 - Adverse reactions occurring after treatment]

이 연구 외에도, SHBG 농도의 변화를 기초선에서 및 여성 -복합 피임법(combined contraception)을 시작하는 ("개시자"라고 불리는 환자의 그룹)- 으로의 E4/DRSP 및 E2V/DNG의 병용물의 사이클 4 및 사이클 6의 투여 동안에 순차적으로 평가했다. 여성이 무작위 배치 3개월 이전에 호르몬 피임약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이 여성은 개시자로 정의되었다. 이 "휴약(wash-out)" 기간은 SHBG 수준이 이전에 이용된 COC에 의해 영향받은 환자를 제외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o this study, changes in SHBG concentrations were sequentially assessed at baseline and during Cycle 4 and Cycle 6 of the combination of E4/DRSP and E2V/DNG in women initiating combined contraception (a group of patients called “initiators”). A woman was defined as an initiator if she had not used hormonal contraception in the 3 months prior to randomization. This “wash-out” period allowed the exclusion of patients in whom SHBG levels were affected by previously used COCs.

기초선으로부터의 변화에 대한 결과가 아래 표 6에 제시된다.The results for changes from baseline are presented in Table 6 below.

[표 6 - [Table 6 - 기초선에서At the baseline 사이클 4 및 Cycle 4 and 기초선에서At the baseline 사이클 6으로의 평균 백분율 SHBG 수준 변화][Mean percentage change in SHBG levels to cycle 6]

본 발명의 방법은 천연 에스트로겐을 또한 이용하는 시판중인 COC에 비해서, 기초선에서 사이클 4 및 사이클 6 모두에서 SHBG 수준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표 6으로부터 명백하다.The present method allows to minimize SHBG level changes from baseline to both cycle 4 and cycle 6 compared to commercial COCs which also utilize natural estrogens, as evident from Table 6.

[[ 실시예Example 4]4]

본 발명에 따른 에스트로겐 성분과 프로게스토겐 성분의 두 병용물과 시판중인 피임 치료제(20 microg의 에티닐 에스트라디올을 3 mg의 드로스피레논과 이용하는, 독일 소재의 바이엘 헬스케어에 의해 시판된 Yaz ®)를 비교하는 이 임상 연구에서, 담체 단백질 뿐만 아니라 일부 지혈 마커(haemostasis marker)를 측정했고, 기초선에서 사이클 3의 말(end)까지의 이들 파라미터의 변화가 아래 표 7에서 제시된다.In this clinical study comparing two combinations of estrogen and progestoge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contraceptive treatment (Yaz ®, marketed by Bayer Healthcare, Germany, which uses 20 microg ethinyl estradiol with 3 mg drospirenone), carrier proteins as well as some haemostasis markers were measured and the changes in these parameters from baseline to the end of cycle 3 are presented in Table 7 below.

[표 7 - E4/[Table 7 - E4/ DRSPDRSP 또는 or EEEE // DRSP의DRSP's 병용물을Concurrent use 이용하는 여성에서, 지혈 파라미터 및 In women using hemostatic parameters and 담체carrier 단백질에 대한 About protein 기초선에서At the baseline 치료 사이클 3의 말까지의 평균 (SD) 백분율 변화][Mean (SD) percentage change by the end of treatment cycle 3]

E4, 에스테트롤; EE, 에티닐에스트라디올; DRSP, 드로스피레논; APC, 활성화 단백질 C; TFPI, 유리 조직 인자 경로 저해제; tPA,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CBG,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 SHBG,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E4, estetrol; EE, ethinyl estradiol; DRSP, drospirenone; APC, activated protein C; TFPI, free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tPA, tissue plasminogen; CBG, corticosteroid-binding globulin; SHBG, sex hormone-binding globulin.

20 microg EE를 함유하는 DRSP 병용물과 5 또는 10 mg E4를 함유하는 병용물 사이에서 많은 차이점이 관찰되었다: 응고 촉진성 마커(procoagulant marker) 프로트롬빈 단편 1 + 2 혈장 수준이 상이한 E4/DRSP 병용물로 감소된 반면, EE/DRSP로는 증가되었다 (기초선으로부터 3개월의 이용까지 +63%). 이러한 반대의 결과는 혈전증 마커(thrombosis marker) 프로트롬빈 단편 1 + 2의 증가가 에스트로겐의 유형 (및 투여량) (여기서, EE vs. E4)에 결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천연 항응고제(anticoagulant)는 E4을 함유하는 병용물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거나 (항트롬빈 III, 단백질 S 활성) 또는 약간 감소했고 (유리 TFPI), 통상적으로 EE/DRSP에 의해서는 감소했다. 반면에, 보통 때와 같이, APC에 대한 민감도와 관련된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이 모든 제제로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 정규화된 APC 민감도 비율(normalized APC sensitivity ratio)은 E4 병용물로 변화되지 않은 반면, 단백질 C에 대한 저항성은 EE/DRSP 병용물에 의해 강하게 증가되었다. E4와 DRSP의 병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응고 촉진성 마커의 비-증가와 동시에 tPA 및 D-이량체 수준과 같은 피브린 용해 파라미터(fibrinolysis parameter)의 약간의 감소가 존재했다.A number of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DRSP combinations containing 20 microg EE and those containing 5 or 10 mg E4: Plasma levels of the procoagulant marker prothrombin fragment 1 + 2 were decreased with the different E4/DRSP combinations, whereas they were increased with EE/DRSP (+63% from baseline to 3 months of use). These contradictory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in the thrombosis marker prothrombin fragment 1 + 2 is coupled to the type (and dose) of estrogen (here, EE vs. E4). Furthermore, natural anticoagulants were either unchanged (antithrombin III, protein S activity) or slightly decreased (free TFPI) by the E4 containing combinations, whereas they were generally decreased by EE/DRSP. In contrast, as usual,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hich is associated with sensitivity to APC, was hardly changed by all agents and the normalized APC sensitivity ratio was not altered by the E4 combination, whereas resistance to protein C was strongly increased by the EE/DRSP combination. With the combination of E4 and DRSP,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fibrinolysis parameters such as tPA and D-dimer levels, concomitant with a non-increase in procoagulant markers.

EE/DRSP 병용물을 이용한 SHBG의 증가는 중요했다 (+306%). E4 (5, 10 mg)와 DRSP의 모든 병용물은 SHBG의 중등도 증가를 보였다. SHBG가 간 물질대사(liver metabolism)에서 COC의 에스트로겐 효과에 대한 가장 적절한 바이오마커로 고려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Odlind V. et al.;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2; 81:482). The increase in SHBG with the EE/DRSP combination was significant (+306%). All combinations of E4 (5, 10 mg) and DRSP showed a moderate increase in SHBG. It is noted that SHBG is considered the most relevant biomarker for the estrogenic effect of COCs in liver metabolism (Odlind V. et al.;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2; 81:482).

CBG 및 세룰로플라스민은 에스트로겐의 영향하에서 본질적으로 합성되고, 프로게스틴의 안드로겐 작용(androgenic action)에 대해 훨씬 덜 민감하다. E4와 DRSP 그룹에서, 에스트로겐의 투여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CBG 및 셀룰로플라스민에 대한 기초선으로부터의 약간의 증가를 야기했다. 그러나, 기초선으로부터의 단연코 가장 큰 변화는 E4 치료 그룹과 비교하여 EE/DRSP 그룹에서 관찰되었다.CBG and ceruloplasmin are synthesized essentially under the influence of estrogen and are much less sensitive to the androgenic action of progestins. In the E4 and DRSP groups, increasing the dose of estrogen resulted in a slight increase from baseline for CBG and ceruloplasmin. However, by far the greatest change from baseline was observed in the EE/DRSP group compared to the E4 treatment group.

[[ 실시예Example 5]5]

월경통의 질환(complaint)의 완화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이점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공개표지, 위약-대조군, 무작위 연구(multicenter, open label, placebo-controlled, randomised study)를 수행하였다.A multicenter, open label, placebo-controlled, randomised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enefit of the present method for alleviating the complaint of menstrual pain.

연구 집단은 12세 내지 35세의, 포괄적인 (스크리닝 할 때), 원발성 월경통[개시 < 초경(menarche) 후 3년]을 앓는 건강한 여성 피험자에 있었다.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healthy female subjects aged 12 to 35 years with comprehensive (at screening) primary dysmenorrhea (onset <3 years after menarche).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품은 일일 일회 연속적으로 또는 24/4-일 요법 [즉, 24일의 활성 정제(active tablet) 후에 4일의 위약 정제(placebo tablets)]으로 경구 투여되는 에스테트롤 (15 mg)과 드로스피레논 (3 mg)이 있는 복합 정제(combination tablet)였다. 다른 투여량의 에스테트롤이 위약군(placebo arm) 외에 보충군(supplementary arm)에도 포함되었다.The product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 combination tablet containing estetrol (15 mg) and drospirenone (3 mg)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continuously or as a 24/4-day regimen (i.e. 24 days of active tablets followed by 4 days of placebo tablets). Different doses of estetrol were included in the supplementary arm as well as the placebo arm.

본 발명의 방법의 효능이 기초선 평가 기간과 치료 평가 기간 사이의 변화에 따라서 입증되었는데, 이는 주로 월경통 통증이 있는 일수(number of days)였다.The efficacy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monstrated by changes between the baseline assessment period and the treatment assessment period, primarily in the number of days with dysmenorrhea pain.

월경통 통증은 생리/소퇴성 출혈 삽화(episode) 및 이 삽화 전 2일 동안의 골반통(pelvic pain)으로 정의되었다.Dysmenorrhea pain was defined as pelvic pain during the menstrual/withdrawal bleeding episode and the 2 days preceding this episode.

두번째로, 효능 후에 다음의 척도에 따른 월경통 통증의 일일 점수를 측정했다:Second, after efficacy, daily scores for dysmenorrhea pain were measured using the following scale:

0 - 통증 없음;0 - no pain;

1 - 진통제가 필요하지 않은 경도 통증;1 - Mild pain that does not require painkillers;

2 - 진통제가 필요한 중등도 통증;2 - Moderate pain requiring pain medication;

3 - 진통제가 필요한 중증 통증.3 - Severe pain requiring painkillers.

추가의 효능 평가를 다음과 같이 수행했다:Additional efficacy evaluations were performed as follows:

1. 질 출혈(Vaginal Bleeding)의 발생과 관계없이 골반통이 있는 일수(number of days)의 기초선 평가 기간과 치료 평가 기간의 말(end) 사이의 변화;1. Change between baseline and end of treatment evaluation period in number of days with pelvic pain, with or without vaginal bleeding;

2. 계획되지 않은 출혈(Unscheduled Bleeding) 동안 골반통이 있는 일수의 기초선 평가 기간과 치료 평가 기간 사이의 변화;2. Changes between baseline and treatment assessment periods in the number of days with pelvic pain during unscheduled bleeding;

3. 응급 약제 이용(Rescue Medication Use)의 기초선 평가 기간과 치료 평가 기간 사이의 변화. 응급 약제 이용은 200 mg 이부프로펜 정제(Ibuprofen tablet)의 표준화된 섭취(standardized intake)일 것이다;3. Changes in Rescue Medication Use between baseline and treatment assessment periods. Rescue medication use will be a standardized intake of 200 mg ibuprofen tablets;

4. 월경통 통증의 직장/학교 및 사회활동 또는 다른 활동 방해가 있는 참가자의 백분율;4. Percentage of participants with dysmenorrhea pain interfering with work/school and social or other activities;

5. 기초선, 3개월째 및 마지막 진찰 (6개월째 후)에서 월경통 통증으로 인한 직장에서 누락된 시간(Missing Time)의 시간/일(day) 및 참가자의 백분율 ;5. Hours/day and percentage of participants missing time from work due to dysmenorrhea pain at baseline, 3 months and last visit (after 6 months);

6. 연구 치료(Study Treatment)에 만족한 참가자의 백분율;6. Percentage of participants satisfied with study treatment;

7. 자원 이용 설문지 (Resource Use Questionnaire) (유로화(euro)로 변환됨)의 완성에 의해 평가되는 월경통 통증의 치료마다 물리치료(Physiotherapy), 대체의학(Alternative Medicine), 침술(Acupuncture), 오스테오파티 요법(Osteopathy), 의학적 상담(Medical Counselling), 마사지, 허브 보충물(Herbal supplement)/차(Tea) 자체의 비용;7. Cost of each treatment for dysmenorrhea pain (Physiotherapy, Alternative Medicine, Acupuncture, Osteopathy, Medical Counselling, Massage, Herbal supplement/Tea itself) assessed by completing the Resource Use Questionnaire (converted to Euro);

8. 연구자에 의해 완료되는 전반적 임상 인상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척도에 따른 연구 과정 동안의 환자의 개선;8. Patient improvement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cale completed by the investigator;

9. 참가자에 의해 완성되는 전반적 임상 인상(CGI) 척도에서 환자의 평가 및 연구 과정 동안의 이들의 개선의 등급평가(rating);9. Rating of patients' assessments and their improvement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on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cale completed by participants;

10. SF-36 자기-기입식 설문지 (SF-36 administered questionnaire), 상이한 집단에 걸친 환자 집단의 평가 및 건강 상태의 비교에 이용되는 일반 건강 상태 측정을 이용하여 기초선, 3개월째 및 마지막 진찰에서 일반 건강 및 웰빙 설문지 SF-36(General Health and Well-being Questionnaire SF-36)에 의해 측정되는 일반 건강, 신체 통증(Body Pain), 신체적 및 사회적 기능, 정신 건강 및 활력.10. General health, body pain,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mental health and vitality measured by the General Health and Well-being Questionnaire SF-36 at baseline, 3 months and last visit using the SF-36 administered questionnaire, a measure of general health status used to assess patient populations and compare health status across different populations.

임상 연구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품이 월경통의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증명한다.Clinical studies demonstrate that product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ffective in improving symptoms of menstrual cramps.

Claims (17)

사람에서 월경통(dysmenorrhea)의 증상을 완화(alleviating)하는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15 mg의 에스테트롤 및 3 mg의 드로스피레논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a method of alleviating symptoms of dysmenorrhea in a human, said composition comprising 15 mg of estetrol and 3 mg of drospirenone.
제1항에 있어서,
비슷한 효능의 다른 월경통 치료제(dysmenorrhea treatments)에 비해서, 상기 방법은 치료-관련 부작용의 횟수, 빈도, 및 중증도(severity) 중 하나 이상의 감소를 야기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method results in a reduction in one or more of the number, frequency, and severity of treatment-related adverse effects, compared to other dysmenorrhea treatments of similar efficacy.
제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은 7일의 비투여-간격 (administration-free interval), 또는 4일의 비투여-간격이 있는 병용 방법(combined method)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administration method is a 7-day administration-free interval, or a combined method with a 4-day administration-fre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트롤은 에스테트롤 모노하이드레이트(estetrol monohydrate)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above estetrol is estetrol monohyd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 단위(oral dosage unit)로 제형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n oral dosag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단위는 일일 투여 단위(daily dosage unit)에 대응하도록 제형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paragraph 5,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oral dosage unit is formulated to correspond to a daily dos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월경통 증상은 한 사이클의 투여(1 cycle of administration) 후에 개선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menstrual pain symptoms are improved after one cycle of administration.
제7항에 있어서,
월경통 증상 등급(dysmenorrhea symptoms grade)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unit)에 의해 개선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Article 7,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dysmenorrhea symptoms grade is improved by at least one unit.
제1항에 있어서,
지혈 변화(haemostatic change)는 한 사이클의 투여 후에 정상 범위의 경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haemostatic changes do not exceed the normal range after one cycle of administration.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투여 패턴(administration pattern)이 이용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에스트로겐 성분(estrogenic component) 및 프로게스토겐 성분이 투여되는 24일의 간격; 및
이와 교대로, 에스트로겐 성분만 투여되는 4일의 간격 (25일째 내지 28일째).
In the first paragrap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following administration pattern is used:
A 24-day interval during which estrogen components and progestogen components are administered; and
Alternately, there is a 4-day interval (days 25 to 28) during which only estrogen is administ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15235A 2016-08-05 2016-10-28 How to manage menstrual cramps and menstrual pain Active KR102780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5524A KR102712911B1 (en) 2016-08-05 2016-10-28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76104 WO2018065076A1 (en) 2016-10-28 2016-10-28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524A Division KR102712911B1 (en) 2016-08-05 2016-10-28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014A KR20190076014A (en) 2019-07-01
KR102780201B1 true KR102780201B1 (en) 2025-03-12

Family

ID=5720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235A Active KR102780201B1 (en) 2016-08-05 2016-10-28 How to manage menstrual cramps and menstrual pai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8533542A (en)
KR (1) KR102780201B1 (en)
AU (1) AU2016425935B2 (en)
CA (1) CA3041016C (en)
MY (1) MY205032A (en)
WO (1) WO201806507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3279A1 (en) 2011-07-19 2011-11-02 Pantarhei Bioscience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stetrol
PT3701944T (en) 2015-06-18 2022-01-11 Estetra Srl Orodispersible dosage unit containing an estetrol component
GEP20217308B (en) 2015-06-18 2021-10-25 Estetra Sprl Orodispersible dosage unit containing an estetrol component
CA2988485A1 (en) 2015-06-18 2016-12-22 Mithra Pharmaceuticals S.A. Orodispersible tablet containing estetrol
CA3178291A1 (en) 2016-08-05 2018-04-12 Estetra Srl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CA3178181A1 (en) 2018-02-07 2019-08-15 Estetra Srl Contraceptive composition with reduced cardiovascular effects
TWI801561B (en) 2018-04-19 2023-05-11 比利時商依思特拉私人有限責任公司 Compounds and their uses for alleviating menopause-associated symptoms
JOP20200260A1 (en) 2018-04-19 2019-10-19 Estetra Sprl Compounds and their uses for alleviating menopause-associated symptoms
HU231240B1 (en) 2019-09-03 2022-04-28 Richter Gedeon Nyrt. Industria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purity estetrol
IT202000003964A1 (en) * 2020-02-26 2021-08-26 Umberto Cornelli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EA AND / OR PREMESTRUAL SYNDROME
CA3205533A1 (en) * 2021-02-02 2022-08-11 Guangzhou Hutongyouwu Biotechnology Co., Ltd New use of pqq and derivativ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5840A1 (en) * 2010-10-28 2012-05-03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and use of a hormonal agent and a zinc salt for treatment of menstrual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44405C2 (en) 1993-12-24 1995-12-07 Marika Dr Med Ehrlich Anti-ovulation agent and method for hormonal contraception
CA3178291A1 (en) * 2016-08-05 2018-04-12 Estetra Srl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5840A1 (en) * 2010-10-28 2012-05-03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and use of a hormonal agent and a zinc salt for treatment of menstrual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raception 95 (2017) 140-147*
J Fam Plann Reprod Health Care 2012, 38, 94-101*
J Pediatr Adolesc Gynecol 29 (2016) 143e147*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2015, 20, 463-475*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2015, 20, 476-4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1016C (en) 2023-09-05
AU2016425935B2 (en) 2023-01-19
KR20190076014A (en) 2019-07-01
WO2018065076A1 (en) 2018-04-12
MY205032A (en) 2024-09-28
CA3041016A1 (en) 2018-04-12
AU2016425935A1 (en) 2019-05-16
JP2018533542A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2911B1 (en)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KR102780201B1 (en) How to manage menstrual cramps and menstrual pain
JP7651645B2 (en) Contraceptive compositions with reduced cardiovascular effects - Patents.com
US20200046729A1 (en) Methods using combined oral contraceptive compositions with reduced cardiovascular effects
JP2013139464A (en) Composition for contraception
KR20060126671A (en) Prolonged use combinations including estrogen and progestin
EP1796725B1 (en) Treatment or prevention of unscheluded bleeding in women on progestogen containing medication
JP4908399B2 (en) Staged contraceptive formulation based on natural estrogen
JP2010520159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the relief of endometriosis
Von Schoultz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combined estradiol valerate and dienogest: a new no-bleed treatment
JP2008527018A (en) Contraceptive pharmaceutical formulation
EA048171B1 (en) CONTRACEPTIVE COMPOSITION WITH REDUCED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US20080280861A1 (en) Method of Female Contraception and a Kit For Use Therein
HK1112200A (en) Contraceptive pharmaceutical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2101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3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