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0060B1 - 다용도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다용도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0060B1
KR102780060B1 KR1020240178683A KR20240178683A KR102780060B1 KR 102780060 B1 KR102780060 B1 KR 102780060B1 KR 1020240178683 A KR1020240178683 A KR 1020240178683A KR 20240178683 A KR20240178683 A KR 20240178683A KR 102780060 B1 KR102780060 B1 KR 10278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boss
lid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7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마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마일
Priority to KR102024017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0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00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expansible, e.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용기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시키기 위한 다용도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 뚜껑은
용기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에 적용되고,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1보스와, 상기 제1보스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선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나선형 돌기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형 회전편이 외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슬롯이 원주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승강부재가 이탈되지않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보스에 고정되는 스토퍼;
상기 승강부재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용기 뚜껑{multi cap for container}
본 명세서는 다용도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료 또는 식품 등이 수용되는 용기 등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시키기 위한 다용도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음료용기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개폐장치와,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가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방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본체 결합형 개폐장치로 구별되는데, 야외에서 수시로 음료를 섭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료용기를 보면 음료용기에 형성된 개구부에 뚜껑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음료용기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을 회전시켜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뚜껑을 완전히 분리시킨 후 음료용기에 담겨 있는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음료수를 음용한 후에는 다시 뚜껑을 개구부에 결합함에 따라 내용물의 외부 유출 및 이물질 등의 내부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음료용기 및 뚜껑의 상호 결합면에 암수형태의 나사부가 대응되게 형성됨에 따라, 뚜껑과 음료용기의 대응되는 나사부를 완전하게 체결시키지 않을 경우 수용된 음료가 전술한 상호 결합면 틈새를 통해 누출(누수)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음료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무리한 힘을 가하여 음료용기에 체결하게 되므로 음료수를 음용할 때마다 불편함을 감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음료용기의 개구부 내측면에 요철형성된 나사부에 달라붙는 물떼 등의 이물질을 청결하게 제거(세정)하기가 힘들어 비위생적인 단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68648호(2014.12.03.공고)에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료용기(또는 식품용기) 등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체결 시, 상호 체결부(음료용기와 뚜껑의 상호 결합면을 말함)에 나사부가 형성되지않아(무나사 결합형태임) 제작이 용이하고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용기 뚜껑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에 적용되고,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1보스와, 상기 제1보스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선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나선형 돌기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형 회전편이 외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슬롯이 원주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승강부재가 이탈되지않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보스에 고정되는 스토퍼;
상기 승강부재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 뚜껑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음료용기(또는 식품용기) 등의 개구부에 뚜껑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 및 체결 시, 음료용기 및 뚜껑의 상호 체결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지않아 구조 간단화로 인해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적은 힘으로도 뚜껑을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되며, 음료용기 등의 무나사 형태의 개구부 내측면을 용이하게 세정시킬 수 있어 수용되는 음료 또는 식품 등을 항시 청결한 상태로 식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 뚜껑을 결합시킨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을 분리시킬 경우의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을 체결시킬 경우의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을 개구부에 결합 및 체결시킬 경우의 순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의 변형예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용기 뚜껑의 다른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 뚜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 뚜껑은 를 특징으로 한다.
음료용기 또는 식품용기 등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에 적용되고,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1보스(10)와, 제1보스(10)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선형 돌기부(20)가 형성되는 제2보스(30)를 포함하는 본체(40);
나선형 돌기부(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형 회전편(50)이 외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부재(60)와, 내측부재(60)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상하방향의 슬롯(slot)(70)이 원주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외측부재(80)를 포함하는 승강부재(90);
본체(40)로부터 승강부재(90)가 이탈되지않도록 체결부재(100)에 의해 제1보스(10)에 고정되는 스토퍼(110);
승강부재(90) 외측면에 결합되어 용기(120)의 개구부(120a)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봉시키는 밀봉캡(130)(일 예로서, 인체에 무해한 통상적인 실리콘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40)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체(40) 내부에 승강부재(90), 스토퍼(110) 및 체결부재(100)를 결합시킬 경우 정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토퍼(110)는
날개형 회전편(50)이 외주연에 경사지게 형성되는(승강부재(90)가 본체(40)의 나선형 돌기부(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내측부재(60)의 서포터링(140)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편(150)과, 제1고정편(150)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고정편(150)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제1보스(10) 외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제2고정편(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승강부재(90)는
이웃한 슬롯(70)과 슬롯(70)사이의 분할편(170)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180);를 포함함에 따라,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뚜껑(190)을 결합하여 체결되도록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2보스(30) 외측으로 결합되는 외측부재(80)의 분할편(170) 상측을 가압돌기(180)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개구부(120a)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뚜껑(190)을 체결(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밀봉캡(130)에 의해 음료용기(120)의 개구부(120a)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밀봉캡(130)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링형태로 돌출형성되며, 승강부재(90)의 분할편(170) 탄성변형으로 인해 용기(120)의 개구부(120a) 내측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돌출부(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 뚜껑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용기(일 예로서, 음료용기 또는 식품용기 등을 말하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120)에 대해 뚜껑(190)을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결합시켜 체결하는 것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5,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뚜껑(190)을 파지하여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압입(壓入)하여 결합시킨 후(도 6의 S10 참조), 뚜껑(190)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도 6의 S20 참조) 개구부(120a)에 결합되는 뚜껑(190)의 승강부재(90)에 의해 체결되고, 밀봉캡(130)에 의해 개구부(120a)를 실링시켜 용기(120)로부터 음료(飮料)가 누출(漏出)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뚜껑(190)은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무나사방식으로 압입결합된 후 체결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뚜껑(190)을 압입시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뚜껑(190)의 제2보스(30) 내측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부(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형 회전편(50)에 의해 승강부재(90)가 뚜껑(190) 윗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9)의 내측부재(60) 상단이 본체(40)의 제1,2보스(10,30) 사이의 본체(40) 바닥면에 접촉되는 경우 뚜껑(190)은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대해 체결이 완료된다(즉, 날개형 회전편(50)이 나선형 돌기부(20)를 따라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뚜껑(190)의 회전이 멈추어지고, 개구부(120a)에 체결되어진다).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슬롯(70)에 의해 분할형성된 분할편(17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180)에 의해 분할편(170) 상단을 바깥쪽으로 벌리게 된다(도 6의 S30 참조).
즉, 분할편(170) 각각의 상단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어(이웃한 슬롯(70)과 슬롯(70) 사이에 형성된 분할편(170)이 제2보스(30) 외측면에 밀착되는 가압돌기(180)에 의해 탄성변형됨) 개구부(120a) 내측면에 밀착되어 체결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부재(90)에 결합된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재의 밀봉캡(130)을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용기(120)의 개구부(120a)를 기밀시켜 용기(120)의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6의 S40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20a)에 대해 뚜껑(190)을 압입하여 체결시킴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밀봉캡(130)의 외측면에 링형태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30a)에 의해 용기(120)의 개구부(120a) 내측면에 대해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에 따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도 6의 S50 참조).
이와 반면에, 도 1, 도 2,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체결된 뚜껑(190)을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전술한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결합되어 체결된 뚜껑(190)을 파지하여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개구부(120a)에 대한 뚜껑(190)의 체결상태를 간단하게 해지시켜 개구부(120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뚜껑(190)은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무나사방식으로 압입결합된 후 체결되어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결합되어 체결된 뚜껑(19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부재(90)의 내측부재(60) 외측면에 임의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날개형 회전편(50)이 뚜껑(190)의 제2보스(30) 내측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부(20)를 따라 뚜껑(190) 아랫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승강부재(90)의 서포터링(140) 상면이 스토퍼(110)의 제1고정편(150) 상단에 접촉되는 경우 승강부재(90)는 더 이상 하강되지 않게 된다. 이때 스토퍼(110)의 제2고정편(160)은 본체(40)의 제1보스(10)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인접한 슬롯(70)과 슬롯(70)사이에 형성된 분할편(170)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180)가 본체(40)의 제2보스(30) 외측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상단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탄성변형된 분할편(170)은 초기상태로 복원되므로 외측부재(80)는 원통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대한 뚜껑(190)의 로킹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뚜껑(190)을 파지하여 용기(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즉, 뚜껑(190)의 분리 동작은 뚜껑(190)을 용기(120)의 개구부(120a)에 체결하는 경우의 역순(逆順)에 의해 이루어져 개구부(120a)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용기 뚜껑은, 전술한 날개형 회전편(50)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내측부재(6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측부재(80)와, 승강부재(90) 외측으로 끼워지는 밀봉캡(130)과, 뚜껑(190)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120)의 개구부(120a)를 사각형(일 예로서, 사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으로 형성하되,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승강부재(90)의 외측부재(80)와, 밀봉캡(130)과, 용기(120)의 개구부(120a)를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한 다용도 용기 뚜껑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용기 뚜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용기 뚜껑은, 전술한 본체(40)와, 날개형 회전편(50)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내측부재(6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측부재(80)와, 승강부재(90) 외측으로 끼워지는 밀봉캡(130)과, 뚜껑(190)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120)의 개구부(120a)의 외측을 정사각형(일 예로서, 정사각형 형태의 락앤락 밀폐용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본체(40)와, 승강부재(90)의 외측부재(80)와, 밀봉캡(130)과, 용기(120)의 개구부(120a)의 외측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한 다용도 용기 뚜껑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용기 뚜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190)이 개구부(120a)에 개폐 가능하게 압입 결합되어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120)(음료용기 또는 식품용기)는 통상적인 음료 또는 식품 등을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부에 뚜껑을 개폐가능하게 결합시켜 밀봉시킬 수 있는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고, 또한 통상적인 보온병, 와인병, 위스키병, 텀블러(tumbler)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즉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보스
20; 나선형 돌기부
30; 제2보스
40; 본체
50; 날개형 회전편
60; 내측부재
70; 슬롯(slot)
80; 외측부재
90; 승강부재
100; 체결부재
110; 스토퍼(stopper)
120; 용기
130; 밀봉캡
140; 서포터링
150; 제1고정편
160; 제2고정편
170; 분할편
180; 가압돌기
190; 뚜껑

Claims (6)

  1. 용기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에 적용되고,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1보스와, 상기 제1보스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선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나선형 돌기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형 회전편이 외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슬롯이 원주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승강부재가 이탈되지않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보스에 고정되는 스토퍼;
    상기 승강부재 외측면에 결합되어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날개형 회전편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서포터링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편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보스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이웃한 상기 슬롯과 슬롯사이의 분할편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여 체결되도록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2보스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기 분할편을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상기 밀봉캡에 의해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링형태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개구부 내측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날개형 회전편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내측부재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측부재와, 상기 승강부재 외측으로 끼워지는 밀봉캡과, 상기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의 개구부의 외측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뚜껑.















KR1020240178683A 2024-12-04 2024-12-04 다용도 용기 뚜껑 Active KR10278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78683A KR102780060B1 (ko) 2024-12-04 2024-12-04 다용도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78683A KR102780060B1 (ko) 2024-12-04 2024-12-04 다용도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0060B1 true KR102780060B1 (ko) 2025-03-12

Family

ID=9497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78683A Active KR102780060B1 (ko) 2024-12-04 2024-12-04 다용도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00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9703U (en) * 1999-07-23 2000-10-21 Guo Shu Tz Adjustable bottle plug device
KR20180001287U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지에프테크 립스틱의 색상확인이 가능한 립스틱용기
JP3225434U (ja) * 2019-12-25 2020-03-05 寧波立羊真空器皿有限公司 飲料容器
CN112591293A (zh) * 2020-08-11 2021-04-02 卢绿涵 一种容器的膨胀式密封器件
JP2023108436A (ja) * 2022-01-25 2023-08-04 株式会社マーナ 容器の密封キャップ
US12065287B1 (en) * 2023-10-26 2024-08-20 Zhejiang Coolests Technology Co., Lid. Threadless stopper cover for contain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9703U (en) * 1999-07-23 2000-10-21 Guo Shu Tz Adjustable bottle plug device
KR20180001287U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지에프테크 립스틱의 색상확인이 가능한 립스틱용기
JP3225434U (ja) * 2019-12-25 2020-03-05 寧波立羊真空器皿有限公司 飲料容器
CN112591293A (zh) * 2020-08-11 2021-04-02 卢绿涵 一种容器的膨胀式密封器件
JP2023108436A (ja) * 2022-01-25 2023-08-04 株式会社マーナ 容器の密封キャップ
US12065287B1 (en) * 2023-10-26 2024-08-20 Zhejiang Coolests Technology Co., Lid. Threadless stopper cover for contain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25434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1259C2 (ru) Нажимно-вытяжной затвор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RU2372265C2 (ru) Система укупор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крышки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JP5240313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20100163442A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8919595B2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losure
ES2886845T3 (es) Cierre con tapa cobertora
KR102780060B1 (ko) 다용도 용기 뚜껑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GB2459519A (en) Closure element for a fluid container
KR200396097Y1 (ko) 용기의 기밀구조
KR200440149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KR20120131012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0749826B1 (ko) 밀폐용기
JP7506183B2 (ja) 容器キャップ及びそれが結合された容器
KR200446474Y1 (ko) 액상 포장 용기
KR200496582Y1 (ko) 용기
KR20240173675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200121091A (ko) 밀폐용기
US12358697B2 (en) Closure assembly for a container
KR20080000506U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