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8772B1 - 하체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8772B1 KR102778772B1 KR1020220052147A KR20220052147A KR102778772B1 KR 102778772 B1 KR102778772 B1 KR 102778772B1 KR 1020220052147 A KR1020220052147 A KR 1020220052147A KR 20220052147 A KR20220052147 A KR 20220052147A KR 102778772 B1 KR102778772 B1 KR 102778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element
- user
- lower body
- support
- b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2—Lying down supi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는 침상에 배치되는 하체 운동 기구로서, 상기 침상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요소,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요소,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상기 제2 지지 요소를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적인 연결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하고, 상기 침상의 지지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체 운동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용이하게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침상에 누워서 장시간 생활하는 환자는 활동량이 적어져 상체와 하체의 근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침상에 누운 환자는 상체를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하체는 사용 빈도가 적어 근력이 약해지기 쉽다. 몸을 일으키는 동작에 관여하는 근육인 대퇴사두근, 대둔근 및 슬굴곡근을 포함한 하체 근육의 약화는 환자가 걷거나 뛰는 동작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
종래 기술로서 환자의 재활을 돕는 다양한 하체 운동 기구가 있으나, 이들 운동 기구는 공통적으로 환자가 침상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실시하거나, 침상에 매우 복잡한 구성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환자가 침상 등에 누운 상태에서도 복잡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손쉽게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하체 운동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는 침상에 배치되는 하체 운동 기구로서, 상기 침상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요소,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요소,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상기 제2 지지 요소를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적인 연결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하고, 상기 침상의 지지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요소의 길이가 변하여,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상기 제2 지지 요소의 이격 거리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요소 및 상기 제2 지지 요소는 상기 침상의 상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변형 가능한 패브릭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폭 방향으로 양 가장자리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 배치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침상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요소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 요소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 패널과 접하는 면에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사용자의 족부와 접하는 면에 배치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링크, 상기 발판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제2 지지 요소를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링크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는 침상 등에 누워있는 환자들도 용이하게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는 별도의 복잡한 메커니즘 없이 침상 등에 배치되는 하체 운동 기구를 이용해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1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100)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70)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7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100)는 제1 지지 요소(110), 제2 지지 요소(130), 연결 요소(150) 및 받침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요소(110)는 바닥 등 지지면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요소(110)는 후술하는 침상(2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요소(110)는 평평하고 얇은 플레이트로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 요소(110)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침상(200)의 폭보다 작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요소(110)는 사용자의 신체가 부드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지지 요소(110)는 적어도 상면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제1 지지 요소(110)는 바닥이나 침상(200) 등에 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찰 부재는 제1 지지 요소(110)의 하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제1 지지 요소(1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되, 제1 지지 요소(110) 자체는 지지면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는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 예를 들어 부직포, PDMS 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는 제1 지지 요소(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마찰 부재는 침상(200)의 상면에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끄럼 부재는 벨크로 등과 같은 탈착 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지지 요소(110) 상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11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111)는 제1 지지 요소(110)의 상면에 서로 이격하여 2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111)는 제1 지지 요소(110)의 폭 방향으로 양 가장자리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111)는 일측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111)는 제1 지지 요소(110)의 폭 방향 내측으로, 즉 사용자가 하체 운동 기구(100)에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체를 향하는 면에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111)는 사용자의 하체가 외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여 운동 중에 사용자의 하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111)는 내측에 경사면을 갖는 삼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111)는 제1 지지 요소(110)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요소(130)는 제1 지지 요소(110)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요소(130)는 제1 지지 요소(110)와 마찬가지로 바닥 등 지지면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요소(130)는 후술하는 침상(200),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요소(130)는 평평하고 얇은 플레이트로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지지 요소(130)의 형상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제1 지지 요소(110)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요소(130)도 침상(200)의 폭보다 작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요소(110)는 사용자의 신체가 부드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재질, 예를 들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지지 요소(130)는 상기 마찰 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마찰 부재는 제1 지지 요소(110)의 하면에만 배치되고, 제2 지지 요소(130)의 하면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상체는 제2 지지 요소(130)와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연결 요소(150)는 제1 지지 요소(110)와 제2 지지 요소(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 요소(110) 및 제2 지지 요소(130)를 연결한다. 연결 요소(150)는 제1 지지 요소(110) 및/또는 제2 지지 요소(130)가 움직이면 그에 따라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체를 제1 지지 요소(110) 및 제2 지지 요소(130)에 지지한 상태에서 이들과 상대 이동하지 않고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요소(150)는 길이 및/또는 형상이 가변적이므로 침상(200)의 다양한 형상과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상(200)의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30) 간의 간격이 긴 경우, 연결 요소(15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고, 반대로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30) 간의 간격이 짧은 경우, 연결 요소(150)의 길이를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연결 요소(150)는 길이가 고정되며, 사용자는 제1 지지 요소(110)와 제2 지지 요소(130)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운동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용소(150)의 길이가 가변적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지지 요소(110) 및 제2 지지 요소(130)에 누워 무릎을 편 상태에서 연결 요소(150)는 최대 길이 L1을 가질 수 있다. 이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면 제2 지지 요소(130)가 제1 지지 요소(110)를 향해 접근하면서 연결 요소(150)가 길이 방향으로 변형되어, 길이가 L2로 줄어들게 된다.
일 실시예로 연결 요소(150)는 변형 가능한 패브릭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요소(150)는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제1 지지 요소(110)과 제2 지지 요소(130) 간의 변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져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또는 연결 요소(150)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150)는 제1 지지 요소(110)와 제2 지지 요소(13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 연결 요소(150)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면서 제2 지지 요소(130)를 제1 지지 요소(110)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그로부터 이격시켜 연결 요소(150)를 압축 또는 신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요소(150)의 복원력이 운동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연결 요소(150)는 적어도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주름 부재일 수 있다. 즉 연결 요소(150)는 주름관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요소(110)와 제2 지지 요소(130) 간의 변위에 따라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받침대(170)는 제1 지지 요소(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170)는 제1 지지 요소(11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받침대(170)의 일면을 발로 지지한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받침대(170)는 침상(200)의 지지 패널(250)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때 하체 운동 기구(10)가 침상(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받침대(170)는 바디(171), 길이 조절 부재(173) 및 미끄럼 방지 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71)는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하며, 침상(200)의 지지 패널(250)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디(171)는 사용자의 족부와 닿는 면이 넓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71)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 부재(17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 부재(173)가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재(173)는 바디(171)의 일면에 배치되어 일측을 향해, 예를 들어 지지 패널(2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 부재(173)는 스크류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 부재(173)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바디(171)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조절 부재(173)와 지지 패널(25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재(173)의 개수와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길이 조절 부재(173)는 1개 또는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부재(173)는 등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길이 조절 부재(173)는 복수 개 배치되고, 길이 조절 부재(173)의 단부에는 조절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 부재(173)는 바디(171)의 일면에 배치되며, 전체 길이 조절 부재(173)의 단면적의 합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상기 조절 플레이트가 길이 조절 부재(17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을 갖는 상기 조절 플레이트를 통해 받침대(170)를 지지 패널(250)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75)는 바디(17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부재(175)는 사용자의 족부와 마주보는 면, 즉 길이 조절 부재(173)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75)는 바디(171)에 형성된 요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부재(175)는 바디(171)의 일면에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 중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75)는 바디(171)의 길이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자로 형성되거나 웨이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받침대(17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177a), 제1 링크(177b), 제2 링크(177c) 및 제3 링크(177d)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177a)은 바디(171)의 일측에,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족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발판(177a)은 바디(17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170)가 발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족부는 바디(171)가 아닌 발판(177a)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175)는 발판(177a)에 형성될 수 있다. 발판(177a)은 후술하는 제2 링크(177c) 및 제3 링크(177d)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링크(177b)는 발판(177a)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바닥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177b)는 발판(177a)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바닥이나 침상(200)의 상면 등의 지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177b)는 발판(177a)이 회전하더라도 지지면과 평행하게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링크(177c)는 발판(177a)과 일체로 회전하며, 제2 지지 요소(130)를 향해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링크(177c)는 발판(177a)의 양측에 한 쌍 연결되며, 발판(177a)과 제1 링크(177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177c)가 회전하면 발판(177a)도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제3 링크(177d)는 한 쌍의 제2 링크(177c)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운동 중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3 링크(177d)를 잡은 상태에서 이를 내측으로 당기거나 외측으로 밀어, 발판(177a)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발판(177a)의 각도를 조절하여 받침대(170)와 접촉하는 발목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 부위와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받침대(170)는 발판(177a)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링크(177d)를 잡아당겨 발판(177a)을 기울이면, 상기 각도 조정 부재가 기울어진 발판(177a)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 조정 부재는 고정된 제1 링크(177b) 또는 바디(171)의 양측에서 삽입되어, 발판(177a) 및 제2 링크(177c)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하체 운동 시에 제3 링크(177d)를 잡은 상태에서 상체의 힘을 보조받아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발판(177a)는 제1 링크(177b), 제2 링크(177c) 및 제3 링크(177d)와 별개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177a)은 이를 회전시키는 별개의 회전 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제1 링크(177b), 제2 링크(177c) 및 제3 링크(177d)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상체를 지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부재는 손잡이 및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판(177a)의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조절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바디(171)와 발판(177a)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어, 소정의 각도 단위로 발판(177a)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부재는 5도 단위, 10도 단위 또는 15도 단위로 발판(177a)와 바디(171)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조절 부재에 일체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체 운동 기구(100)는 침상(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체 운동 기구(100)는 침상(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는 침상(200)에 누운 상태에서 하체 운동 기구(100)를 이용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침상(200)은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30) 및 지지 패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30)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며, 제2 프레임(230)은 제1 프레임(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30)은 상방으로 제1 프레임(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하체는 제1 프레임(210)에 지지되고, 상체는 제2 프레임(23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지지 요소(110)는 제1 프레임(210)에 배치되고, 제2 지지 요소(130)는 제2 프레임(230)에 배치되고,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30) 사이에는 연결 요소(15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패널(250)은 제1 프레임(210)의 단부에 배치되며, 받침대(170)와 접촉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 기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침상(200) 위에 하체 운동 기구(100)를 배치한다. 여기서 침상(200)은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운동 강도 또는 자세를 고려해 적절한 기울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체 운동 기구(100)의 제1 지지 요소(110)는 제1 프레임(100)에 벨크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하체 운동 기구(100)에 눕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하체는 제1 지지 요소(1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상체는 제2 지지 요소(13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족부는 받침대(17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무릎을 구부렸다가 펴면서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면 제2 지지 요소(130)가 침상(20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 지지 요소(110)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 요소(15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사용자가 무릎을 피면 제2 지지 요소(130)가 침상(20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 지지 요소(110)에서 멀어지며, 연결 요소(15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받침대(17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족부로 받침대(170)를 지지한 상태에서 제3 링크(177d)를 잡아당겨, 발판(177a)을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이 구부려지고, 이 상태에서 하체 운동을 실시할 경우 후면 근육에 보다 큰 자극을 줄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링크(177d)를 밀거나 당기면서 적절한 발판 각도를 유지하여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하체 운동 기구
200: 침상
200: 침상
Claims (8)
- 침상에 배치되는 하체 운동 기구로서,
상기 침상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요소;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요소;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상기 제2 지지 요소를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적인 연결 요소; 및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하고, 상기 침상의 지지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일면이 사용자의 족부를 지지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타면에서 상기 지지 패널을 향해 연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부재;
상기 복수 개의 길이 조절 부재의 단부에 있으며 상기 지지 패널에 지지되는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인 미끄럼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하체 운동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요소의 길이가 변하여, 상기 제1 지지 요소와 상기 제2 지지 요소의 이격 거리가 변하는, 하체 운동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요소 및 상기 제2 지지 요소는 상기 침상의 상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체 운동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변형 가능한 패브릭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체 운동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요소의 폭 방향으로 양 가장자리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 배치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하체 운동 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요소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 요소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하체 운동 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사용자의 족부와 접하는 면에 배치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링크;
상기 발판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제2 지지 요소를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링크;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체 운동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2147A KR102778772B1 (ko) | 2022-04-27 | 2022-04-27 | 하체 운동 기구 |
PCT/KR2023/003557 WO2023210967A1 (ko) | 2022-04-27 | 2023-03-17 | 하체 운동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2147A KR102778772B1 (ko) | 2022-04-27 | 2022-04-27 | 하체 운동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2416A KR20230152416A (ko) | 2023-11-03 |
KR102778772B1 true KR102778772B1 (ko) | 2025-03-12 |
Family
ID=8851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2147A Active KR102778772B1 (ko) | 2022-04-27 | 2022-04-27 | 하체 운동 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8772B1 (ko) |
WO (1) | WO2023210967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39301A2 (en) * | 2002-10-29 | 2004-05-13 | Encore Medical Asset Corporation | Therapeutic exercise device |
US20150290061A1 (en) * | 2012-11-16 | 2015-10-15 | Hill-Rom Services, Inc. | Person support apparatuses having exercise therapy featur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00481A (ja) * | 1990-11-30 | 1992-07-21 | Yukiya Niitsu | 下肢ストレッチング装置 |
KR20010096741A (ko) * | 2000-04-14 | 2001-11-08 | 신영철 | 온열물리치료침대 |
KR20100077516A (ko) * | 2008-12-29 | 2010-07-08 | 정경래 |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
KR101154934B1 (ko) * | 2010-03-22 | 2012-06-13 | 구경순 | 견인치료 및 운동마사지용 의료장치 |
KR102036743B1 (ko) * | 2018-02-06 | 2019-10-25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지 근육 운동 장치 |
KR102020292B1 (ko) | 2018-06-19 | 2019-09-10 | 김병훈 | 누워서 하는 스쿼트 운동기구 |
KR102409379B1 (ko) * | 2020-08-25 | 2022-06-15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퇴부의 신장 기능이 강화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
2022
- 2022-04-27 KR KR1020220052147A patent/KR102778772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3-17 WO PCT/KR2023/003557 patent/WO202321096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39301A2 (en) * | 2002-10-29 | 2004-05-13 | Encore Medical Asset Corporation | Therapeutic exercise device |
US20150290061A1 (en) * | 2012-11-16 | 2015-10-15 | Hill-Rom Services, Inc. | Person support apparatuses having exercise therapy fea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210967A1 (ko) | 2023-11-02 |
KR20230152416A (ko) | 2023-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6001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ush-up exercises | |
CN112020382B (zh) | 身体平衡辅助器具 | |
KR101726649B1 (ko) | 손가락 운동장치 | |
JPH0386182A (ja) | 運動装置 | |
US20100062913A1 (en) | Abdominal exercise device | |
US20150182791A1 (en) | Training apparatus | |
JP7275260B2 (ja) | トラス構造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椅子 | |
US20190125613A1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 |
JP2020032159A (ja) | アシスト装置 | |
DE102021129199A1 (de) | Fußpedalübungsgerät | |
KR102778772B1 (ko) | 하체 운동 기구 | |
KR101723893B1 (ko) | 손가락 운동장치 | |
US6368257B1 (en) | Exercise assembly | |
KR20170102833A (ko) | 복합운동기구 | |
JP2022017841A (ja) | トレーニング器具 | |
US20230064507A1 (en) | Exercise apparatus | |
KR102074592B1 (ko) | 휴대용 운동기구 | |
KR20170042273A (ko) | 손가락 운동장치 | |
JP3124288U (ja) | 腰痛治療器具 | |
KR20180001873A (ko) | 보행 보조 장치 | |
JP5547845B1 (ja) | 健康運動器具 | |
US11745041B2 (en) | Exercising assembly | |
JP3180186U (ja) | 自力式運動器具 | |
JP2011098204A (ja) | 腹部運動装置 | |
WO2016129471A1 (ja) | 健康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