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8429B1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8429B1
KR102778429B1 KR1020190081706A KR20190081706A KR102778429B1 KR 102778429 B1 KR102778429 B1 KR 102778429B1 KR 1020190081706 A KR1020190081706 A KR 1020190081706A KR 20190081706 A KR20190081706 A KR 20190081706A KR 102778429 B1 KR102778429 B1 KR 10277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heater
making cell
m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5782A (en
Inventor
이동훈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08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8429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80064582.0A priority patent/CN112823264B/en
Priority to US17/282,144 priority patent/US12140361B2/en
Priority to EP19870027.0A priority patent/EP3862686B1/en
Priority to PCT/KR2019/012873 priority patent/WO2020071760A1/en
Priority to EP25152841.0A priority patent/EP4517227A3/en
Publication of KR2021000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782A/en
Priority to US18/899,541 priority patent/US20250020380A1/en
Priority to KR1020250027713A priority patent/KR202500405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842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4Temperature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12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들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eater.
A refriger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to be turned on so that ic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ies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forward to the freezing position.

Description

제빙기 및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ce maker and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ealed by a door.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can keep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통상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Usually, refrigerators come with an ice maker to make ice.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The above ice maker collect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water tank in a tray and then cools the water to create ice.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ce maker can remove the ice that has been made from the ice tray by heating or twisting.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This type of ice maker, which automatically supplies and removes ice, is formed to open upwards and scoop up the formed ice.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Ice produced in an ice maker of this type of structure has at least one flat surface, such as a crescent or cubic shape.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ice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it can be more convenient to use the ice and provide a different exper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storing the ice,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ice pieces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ice from sticking togeth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개시된다.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09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discloses an ice maker.

선행문헌1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상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The ice maker of prior art document 1 includes an upper tray having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upper cells arranged therein and a pair of link guide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a lower tray having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lower cells arranged therein a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tray; a rotational shaft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tray so that the lower tra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a pair of link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tra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guide portion; and an upper ejecting pin assembly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links while being fitted into the link guide portions and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nks.

선행문헌1의 경우, 반구 형태의 상부 셀 및 반구 형태의 하부 셀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나, 얼음이 상부 셀 및 하부 셀에서 동시에 생성되므로, 물에 포함된 기포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고, 기포 들이 물 내부에서 분산되어 생성된 얼음이 불투명한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prior art document 1,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by a hemispherical upper cell and a hemispherical lower cell. However, since ice is created simultaneously in the upper cell and the lower cel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 bubbles are dispersed inside the water, making the created ice opaque.

선행문헌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69172호(이하 "선행문헌2"라 함)에는 제빙장치가 개시된다. Prior art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691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discloses an ice making device.

선행문헌2의 제빙장치는, 제빙접시와, 제빙접시에 공급된 물의 저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The ice making device of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n ice making plate and a heater that heats the bottom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plate.

선행문헌2의 제빙장치의 경우, 제빙 과정에서 히터에 의해서 제빙 블록의 한 쪽면 및 밑면의 물이 가열된다. 따라서, 수면 측에서 응고가 진행되고, 물 내에서는 대류가 일어나게 되어, 투명 빙이 생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ce making device of prior art document 2, water on one side and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block is heated by a heater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Accordingly, solidification occurs on the water surface side, and convection occurs within the water, so that transparent ice can be created.

투명 빙의 성장이 진행되어, 제빙 블록 내에 물의 부피가 작아지면 서서히 응고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응고 속도에 적당한 충분한 대류가 일으킬 수 없게 된다. As the transparent ice grows, the volume of water within the ice block decreases, and the solidification speed gradually increases, so that sufficient convection suitable for the solidification speed cannot occur.

따라서, 선행문헌2의 경우, 물의 대략 2/3 정도 응고되었을 때, 히터의 가열량을 증가시켜, 응고 속도의 상승을 억제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prior literature 2, when approximately 2/3 of the water is solidified,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is increased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solidification speed.

그런데, 선행문헌2에 의하면, 단순히 물의 부피가 줄어들었을 때, 히터의 가열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개시될 뿐이고, 제빙 속도의 저감을 줄이면서 투명도가 높은 얼음 생성하기 위한 구조 및 히터 제어로직을 개시하지 못한다. However, 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2, when the volume of water is simply reduced,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is only increased, and a structure and heater control logic for generating ice with high transparency while reducing the decrease in ice-making speed are not disclosed.

본 실시 예는, 제빙 과정에서 작동하는 히터가 인접한 일 트레이로 전달되는 열이 다른 트레이가 형성하는 제빙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함으로써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ducing ice having uniform transparency by reducing the heat transferred to an adjacent tray by a heater operating during an ice-making process and transferred to an ice-making cell formed by another tray.

본 실시 예는, 투명한 얼음을 형성하면서도 얼음의 단위 높이 별로 투명도가 균일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that forms transparent ice while having uniform transparency per unit height of ice.

본 실시 예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tray assembly during a freezing process.

본 실시 예는, 이빙의 원활을 위하여 푸셔의 이동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면서도 제빙기가 컴팩트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ce maker is compact while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usher for smooth ice-making.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may include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ortion of an ice-making cell an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푸셔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이빙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빙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트레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둘러싸는 트레이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보다 상기 이빙 히터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에 상기 이빙 히터가 배치될 수 있다. A pusher may be arrang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n ice heater may be provid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ce heater to be turned on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forward to the ice position so that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The tray assembly may be defined as a tray. The tray assembly may be defined as a tray and a tray case surrounding the tra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may be closer to the ice heater than the other tray assembly. The ice heater may be arranged on one of the tray assemblies.

제빙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가 다른 하나의 트레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얼음과 상기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가 큰 트레이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부착도가 큰 것은,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결합각도가 큰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각도는 상기 트레이의 재질적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케이스 사이의 부착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의 얼음이 상기 트레이에 부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케이스 사이의 부착도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냉장고의 케이스 사이의 부착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장고의 케이스는 철을 포함한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기 금속재질은 열전달도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지만, 상기 얼음과의 부착도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상기 부착도가 큰 것은,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가 결합되어 있는 시간이 큰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빙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의 제빙셀에서 상기 제 2 트레이의 제빙셀 방향으로 생성된다면, 상기 얼음과 상기 제 1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가 상기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보다 클 수 있다. When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may be greater for one tray than for the other tray.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pusher to be placed on a tray having a greater adhesion between the ice and the tray. The greater adhesion may be defined as a greater bonding angle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The bonding angle may be a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tray.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may be smaller than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case. This configuration may reduce the adhesion of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to the tray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case may be smaller than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In general,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iron. The metal material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heat transfer, but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adhesion to the ice. The above-mentioned high degree of adhesion can be defined as a long time for which the ice of the ice-making cell and the tray are combined. For example, if i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of the first tray toward the ice-making cell of the second tray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and the first tray can be greater than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and the second tray.

상기 냉장고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의 운동위치(직선/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 2 트레이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구동부의 운동위치를 역방향으로 변화시켜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1,2트레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의 운동위치가 역방향으로 추가로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제공된 냉장고는 상기 푸셔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1,2트레이 사이의 결합력이 클 수록 상기 얼음과 상기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ray may be controlled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linear/rotary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to be ch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so that the second tray moves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to be additionally ch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ys in the ice-making position.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such a configuration may advantageously include the pusher. This is because the great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ys, the greater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and the tray.

상기 푸셔는, 상기 제1,2트레이 중 얼음과의 부착도가 큰 트레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하도록 얼음이나 트레이를 가압하는 면이 형성된 제 1 에지, 상기 제 1 에지에서 연장된 바와, 상기 바의 끝단에 위치한 제 2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푸셔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푸셔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셔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기 전에, 상기 이빙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푸셔나 상기 제 2 트레이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히터가 오프된 이후에 상기 푸셔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빙 히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의 누전으로 인한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푸셔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는 구간과 상기 이빙 히터가 온되는 구간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히터를 온된 이후 그리고 상기 히터가 오프되기 이전에 상기 푸셔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usher may be placed on a tray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ys, which has a high adhesion to ice. The pusher may include a first edge formed with a surface that presses ice or the tray so that the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 bar extended from the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located at an end of the ba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second tray to be mov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usher is chang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ce heater to be turned on before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second tray is moved. In this case, damage to the pusher or the second tray can be reduc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second tray to be changed after the ice heater is turned off. In this case, the risk of a leakage of a wire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ice heater can be reduced. The sec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second tray moves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moving heater is turned on may overlap.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second tray to be changed after the moving heater is turned on and before the heater is turned off.

한편, 상기 푸셔는, 상기 제 1 트레이 와 제 2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푸셔 및 상기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 중 다른 하나의 트레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usher may include a first pusher positioned closer to one of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and a second pusher positioned closer to the other of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제빙셀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 사이의 최소거리는 상기 제 2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제빙셀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푸셔가, 상기 제1,2트레이 중 얼음과의 부착도가 큰 트레이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제빙셀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 사이 거리는 0보다 크고 상기 제빙셀 반경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dge of the first pusher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of the trays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dge of the second pusher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tray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first pusher and a horizont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smaller tha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second pusher and a horizont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In this case,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first pusher to be placed on a tray having a high degree of adhesion to 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y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second pusher and a horizont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2 of a radius of the ice-making cell.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기가 콜드(Cold)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투명빙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가, 제 1,2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 상기 투명빙 히터는, 상기 제1,2 트레이 중 다른 하나의 트레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투명빙 히터는 상기 제 2 트레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 얼음은 상기 제 1 트레이의 제빙셀에서 상기 제 2 트레이의 제빙셀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얼음과 상기 제 1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가 상기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푸셔는 상기 투명빙 히터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제 1 트레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that is turned on du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ooler supplies cold so that bubbles dissolved in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move from the section where ice is formed toward the liquid water, thereby forming transparent ice. The heater may be a transparent ice heater. When the first pusher is arranged closer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the transparent ice heater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t ice heater is arranged closer to the second tray, ice may be formed from the ice-making cell of the first tray toward the ice-making cell of the second tray. In this case,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and the first tray may be greater than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and the second tray. Therefore,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first pusher to be arranged closer to the first tray on which the transparent ice heater is not arranged.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위치가 변화되는 푸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실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실은 상기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에지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수용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실은 상기 급수 위치 혹은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 2 에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3 수용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수용실은 상기 제 1 수용실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chamber that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usher whose position is changed. The receiving chamber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chamber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second edge is located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receiving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ceiving chamber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second edge is located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r the ice-making position and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edge. The third receiving chamber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ing chamb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급수 위치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에 공급된 물이 상기 푸셔에 부착하여 상기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에지의 제2방향의 운동은, 회전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지의 제2방향의 운동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각도의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dge to be in different positions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 ice making position. In this cas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may be reduced from freezing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by attaching to the push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dge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 separating position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may control the first edge to additional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to the ice making position.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dge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 separating position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may control the first edge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to the ice making position. Here, the movement of the first edge in the second direction may include a rotational movement. The second direction movement of the first edge may include a movement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에지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에 공급된 물이 상기 푸셔에 부착하여 상기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first edge to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to additionally move after the first edge reaches the ice-making position. In this cas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can be reduced from freezing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by attaching to the pusher.

상기 구동부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에지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이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가 얼음에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금속보다 내변형도가 작고, 복원도가 클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케이스보다 내변형도가 작고, 복원도가 클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first edge can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ove additionally after the first edge reaches the ice-breaking position. In this case,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first edge to the ice at the ice-breaking position can be increased. The tray may have a smaller deformation resistance and a larger recovery resistance than the metal. The tray may have a smaller deformation resistance and a larger recovery resistance than the tray case.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지지되는 면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브라켓과 지지되는 면을 형성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과 지지되는 면을 형성하는 제 3 부분을 가지는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including a surface on which the second tray is supported.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first portion forming a surface supported by the bracket.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having a third portion forming a surface supported by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면과 상기 브라켓이 상기 커버부재의 제1부분에 지지되는 면 사이에 상기 제 2 에지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가 상기 브라켓이 상기 커버부재에 지지되는 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제 3 부분이 상기 저장실에 지지되는 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가 배치된 저장실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를 컴팩트하게 배치할수록 상기 저장실의 남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tray is supported by the bracket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bracket is support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cover member.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second edg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 on which the bracket is supported by the cover member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thir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is supported by the storage room. This configuration can enable a wider use of the space of the storage roo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re arranged. That is, the more compactly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re arranged, the more the remaining space of the storage room can be u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급수부에 구비된 관통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에지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관통공보다 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에지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 1 에지가 결빙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제빙셀을 향해 바라보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edge to move away from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during the process of the second tray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edge to move upward relative to the through hole.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edge to rotate away from the through hole. This configuration can reduce freezing of the first edge. The through hole can b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faces the ice-making ce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에지가 추가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구동부가 추가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econd edge to move additionally during the process of the second tray moving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to rotate additionally at the ice-making position. This configuration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온도 센서; 물이 상기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이격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상기 제빙셀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ay include: a storage room in which food is stored;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storage room;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within the storage room;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in which water is phase-changed into ice by the col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connected to a driving unit so as to be abl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ray assembly during an ice-making process and be abl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assembly during an ice-separating proces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making cell;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water or ice in the ice-making cell; a heater position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and the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의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제빙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cooler to supply cold to the ice making cell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ice making cell is completed and then move the second tray assembly to the ice making posi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econd tray assembly to move forward to the ice removal position and then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move ice from the ice removal cell after ice production in the ice making cell is completed.

상기 제어부는, 이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역 방향으로 급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start supplying water after the second tray assembly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supply position after the ice-making is comple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들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heater to be turned on so that ic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ies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forward to the ice removal position.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tray and a first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may include a second tray and a second tray case supporting the second tray.

제빙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사이의 부착도는 상기 제 1 및 2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가 다른 하나의 트레이 보다 클 수 있다. When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the adhesion between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may be greater fo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than for the other tray.

상기 부착도가 큰 것은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트레이 사이의 결합 각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The above high degree of adhesion means that the bonding angle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is large.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들 사이의 부착도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케이스 사이의 부착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 케이스 사이의 부착도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냉장고의 케이스 사이의 부착도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s may be less than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case.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case may be less than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ce of the ice making cell and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상기 부착도가 큰 것은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트레이가 결합되어 있는 시간이 큰 것을 의미한다. The high degree of adhesion means that the time that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and the tray are combined is long.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heater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중 다른 하나의 트레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추가적인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heater positioned adjacent to an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공급되는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상기 추가적인 히터의 가열량 보다 클 수 있다. The amount of heating supplied by the heater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to the icing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heating supplied by the additional hea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운동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는,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구동부의 운동 위치를 역 방향으로 변화시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역 방향으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의 운동 위치를 역방향으로 추가로 변화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control the driving unit to change the motion posi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and may further change the motion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in the reverse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t the ice-making position.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기가 콜드(cold)를 공급하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는 추가적인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e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heater that is turned on in at least a portion of a section where cold is supplied so that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can move from the section where ice is formed toward the liquid water, thereby forming transparent ice.

상기 추가적인 히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heater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an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얼음이나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면이 형성된 제 1 에지와, 상기 제 1 에지에서 연장된 바와, 상기 바의 끝단에 위치한 제 2 에지를 구비하는 푸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usher having a first edge formed with a surface that presses the ice o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to easily separate the ice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 bar extending from the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ba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셔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제빙셀 간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at least one tray assembl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pusher and the ice-making cell chang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셔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 중 하나 이상이 이동하기 전에,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heater to be turned on before one or more of the pusher and the at least one tray assembly move.

상기 푸셔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인접하는 배치되는 제 1 푸셔와, 다른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usher may include a first pusher disposed adjacent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nd a second pusher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tray assemb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edge of the first pusher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of the tray assemblies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 외부의 제 1 지점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edge of the second pusher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tray assembly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1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접촉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One of the above tray assemblies may include a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other of the above tray assemblies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surface at the ice-making position.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제 1 접촉면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제 2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제 2 접촉면 간의 최소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first pusher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can be less tha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second pusher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제빙 위치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푸셔의 제 1 에지와 상기 접촉면 간의 거리는 0보다 크고 상기 제빙셀의 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In the ice-making position, the other tray assembly can include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one of the tray assemblies. In the ice-making positio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of the second pusher and the contact surface can be greater than zero and less than hal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to the outer periphery.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냉각기가 콜드(cold)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히터를 온시키므로, 히터의 열에 의해서 제빙 속도가 늦어지게 되어,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heater is turned on du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od in which the cooler supplies cold, the ice-making speed is slowed down by the heat of the heater, so that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move from the part where ice is formed to the liquid water, thereby allowing transparent ice to be formed.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따라 상기 냉각기의 냉력 및 상기 히터의 가열량 중 하나 이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빙셀의 형태와 무관하게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er and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to vary depending o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ice having uniform transparency can be produced overall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또한, 본 실시 예는, 제빙셀 내의 물과 저장실 내의 콜드(cold) 사이의 열전달량 가변에 대응하여 투명빙 히터의 가열량 및/또는 냉각기의 냉력을 가변하여,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duce ice having uniform transparency overall by varying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and/or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er in response to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water in the ice making cell and the cold in the storage chamber.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형 푸셔가 얼음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되어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force of the movable pusher to pressurize the ice is increased, so that the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during the ice-breaking process.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형 푸셔의 제2에지가 커버부재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므로, 푸셔의 이동 거리가 증가되도록 하면서도 제빙기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edge of the movable pusher is positioned within the space formed by the cover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ce maker becomes compact while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us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빙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의 제빙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제 1 트레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제 1 트레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도 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제 1 트레이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제 1 트레이 커버의 하부 사시도.
도 14는 제 1 트레이 커버의 평면도.
도 15는 제 1 트레이 케이스의 측면도.
도 16은 제 1 히터 케이스와 제 1 트레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제 1 트레이 서포터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트레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제 2 트레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0은 제 2 트레이의 저면도.
도 21은 제 2 트레이의 평면도.
도 22는 도 18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3은 제 2 트레이 커버의 사시도.
도 24는 제 2 트레이 커버의 평면도.
도 25는 제 2 트레이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26은 제 2 트레이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27은 도 25의 27-2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8은 제 2 히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9는 제 2 히터 케이스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도면.
도 30은 도 29의 30-3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1은 제 2 히터 케이스의 일부 확대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 푸셔를 보여주는 도면.
도 33은 제 1 푸셔가 푸셔 링크에 의해서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푸셔의 사시도.
도 35는 도 2의 35-3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8은 제빙셀에 대한 투명빙 히터의 상대 위치에 따른 높이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는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당 투명빙 히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급수 위치에서의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1은 도 40에서 급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2는 제빙 위치에서의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3은 제빙 완료 상태에서 제 2 트레이의 가압부가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4는 이빙 과정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5는 이빙 위치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6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제빙 위치에서 이빙 위치로 이동할 때의 푸셔 링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7은 제빙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 위치에서 제 1 푸셔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8은 제빙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 위치에서 제 1 푸셔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9는 제빙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빙 위치에서 제 1 푸셔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0은 브라켓의 관통공과 냉기 덕트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1은 제빙 과정에서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가변되는 경우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ice maker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with the bracket removed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viewed from abov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viewed from below.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Fig. 10 of Fig. 8.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8.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cover.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cover.
Figure 14 is a plan view of the first tray cover.
Figure 1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tray case.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heater case and the first tray.
Figure 17 is a plan view of the first tray supporter.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tray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viewed from below.
Fig. 20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tray.
Figure 21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tray.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22 of Fig. 18.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cover.
Figure 24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tray cover.
Figure 2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Figure 2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7-27 of Fig. 25.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eater case.
Figure 29 is a drawing of the lower heater coupled to the second heater case.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0-30 of Fig. 29.
Figure 3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heater case.
Fig. 32 is a drawing showing the first p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y assembly by a pusher link.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us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5-35 of Fig. 2.
Figure 3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ice in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height standar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to the ice making cell.
Figure 3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utput of a transparent ice heater per unit height of water in an ice making cell.
Fig. 4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Figure 41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is completed in Figure 40.
Figure 4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at the ice making position.
Figure 4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part of the second tray is deformed in the ice-making completed state.
Figure 4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during the icing process.
Figure 4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in the moving position.
Figure 46 is a drawing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usher link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ice-removing position.
Figure 47 is a drawing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er in the water supply position when the ice maker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Fig. 4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er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with the ice mak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Figure 4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er in the ice removal position with the ice mak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Figure 50 is a drawing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bracket and the cold air duct.
Figure 5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cold air and water is variable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 외에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와 상기 냉각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ice-making cell,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making cell, and a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water or ice in the ice-making cell.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tray assembly.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capable of moving the tray assembly.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in addition to the ice-making cell.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storage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cool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eater and the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제빙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빙이 완료된 후에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역 방향으로 급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급수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oler to supply cold to the ice-making cell after the tray assembly is moved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ray assembly to move forward to the ice-taking position to take out ice from the ice-making cell after the ice-mak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ray assembly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fter the ice-taking is completed and then start the water supp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ray assembly to move to the ice-making position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본 발명에서, 저장실은 냉각기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외측 케이스는 상기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외부 공간(즉 냉장고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는 단열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는 내측 케이스가 위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room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can be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cooler. The outer case can be defined as a wall that divides the storage room and the space outside the storage room (i.e., the space outside the refrigerator). An insulating material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storage room. An inner case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storage room.

본 발명에서, 제빙셀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위치하며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원주(circumference)는 상기 제빙셀의 형상에 관계없고, 상기 제빙셀의 외부 표면을 의미한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은 상기 제빙셀을 형성하는 벽의 내부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중심(center)은 상기 제빙셀의 무게중심이나 체적중심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center)은 상기 제빙셀의 대칭선을 지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cell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and can be defined a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The circumference of the ice-making cell is not related to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and refer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In another aspe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may refer to the inner surface of a wall forming the ice-making cell.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refers to the center of gravity or the center of volume of the ice-making cell. The center may pass through the line of symmetry of the ice-making cell.

본 발명에서,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과 상기 저장실 내부를 구획하는 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을 모두 둘러싸거나 일부만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트레이는 복수 개의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트레이는 복수 개의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의 하부에 배치되는 트레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후술할 상기 트레이의 열전달도, 상기 트레이의 냉전달도, 상기 트레이의 내변형도, 상기 트레이의 복원도, 상기 트레이의 과냉각도, 상기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내부에 응고된 얼음 사이의 부착도, 복수개 트레이에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의 결합력 등을 고려한 구조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may be defined as a wall dividing the ice-making cell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The tray may be defined as a wall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ice-making cell entirely or only a part of it. The tray may include a first part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art extending from a certain point of the first part. The tray may be present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tray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tray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ys. The tray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ys.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tray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The refrigerator may additionally include a tray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The abov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have a structur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heat transfer of the tray, the cold transfer of the tray, the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tray, the recovery resistance of the tray, the supercooling degree of the tray, the adhesion between the tray and the ice solidified inside the tray,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one tray and another among a plurality of tray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트레이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트레이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트레이 케이스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트레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트레이 이외의 부품 (예. 히터, 센서, 동력전달부재 등)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부품과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부품과 사이에 매개물을 통해 상기 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셀을 형성하는 벽이 박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박막을 둘러싸는 구조물이 있다면, 상기 박막은 트레이로 정의되고, 상기 구조물는 트레이 케이스로 정의된다. 또 다른 예로, 제빙셀을 형성하는 벽의 일부가 박막으로 형성되고, 구조물은 상기 제빙셀을 형성하는 벽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박막을 둘러싸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면, 상기 박막과 상기 구조물의 제 1 부분은 트레이로 정의되고, 상기 구조물의 제 2 부분은 트레이 케이스로 정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cas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ray and the storage room. That is, the tray case may be arrang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The tray case may be present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tray case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ray case may be in contact with the tray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The tray case may be configured so that a component other than the tray (e.g., a heater, a sensor, a power transmission member, etc.) is connected. The tray case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component or coupled to the component through an intermediary therebetween. For example, if a wall forming an ice-making cell is formed of a thin film and there i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thin film, the thin film is defined as a tray, and the structure is defined as a tray case. As another example, if a part of a wall forming an ice-making cell is formed of a thin film, and the structure includes a first part forming another part of the wall forming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art surrounding the thin film, the thin film and the first part of the structure are defined as a tray, and the second part of the structure is defined as a tray case.

본 발명에서, 트레이 어셈블리는 적어도 상기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assembly may be defined as including at least the tr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assembly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tray case.

본 발명에서, 냉장고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 어셈블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X,Y,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X,Y,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세설명에서 기재된 내용에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가진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tray assembly configured to be movable and connected to a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tray assembly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of the X, Y, and Z axes or to rotate the tray assembly around at least one axis of the X, Y, and Z axe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frigerator having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excluding the driv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tray assembly a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assembly can be moved in a first direction.

본 발명에서, 냉각기는 증발기와,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er can be defined as a means for cooling the storage chamber, including an evaporator and at least on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에서, 냉장고는 상기 히터가 배치되는 트레이 어셈블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가 배치된 트레이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제빙셀을 가열하도록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기가 콜드(cold)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도록 제어되는 히터 (이하 "투명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빙이 완료된 이후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도록 제어되는 히터 (이하 "이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복수개의 투명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복수개의 이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가 투명빙 히터와 이빙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 히터의 가열량이 상기 투명빙 히터의 가열량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tray assembly in which the heater is disposed. The heater may be disposed near the tray assembly so as to heat an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tray assembly in which the heater is disposed. The heater may include a heater (hereinafter, "transparent ice heater") that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during at least a portion of a section while the cooler supplies cold so that bubbles dissolved in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move toward liquid water in a section where ice is generated, thereby generating transparent ice. The heater may include a heater (hereinafter, "separating heater") that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during at least a portion of a section after ice-making is completed so that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parent ice heaters.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parating heaters.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transparent ice heater and a separating heat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ating amount of the separating heater to be greater than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본 발명에서,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The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portion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portion.

일예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제 1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제 1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이 상기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제빙셀의 하부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제빙셀의 상부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와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영역의 하부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영역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가 접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may be formed in a first portion of the tray assembly.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formed in a first portion of the tray assembly.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parts of one tray assembly.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arranged to contact each other. The first region may be a lower portion of an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tray assembly. The second region may be an upper portion of an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tray assembly.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n additional tray assemb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additional tray assembly. When the additional tray assembly is located below the first region, the additional tray assembly may be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When the additional tray assembly is located above the second region, the additional tray assembly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may be in contact.

다른 예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서로 접촉될 수 있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에 상기 제 1 영역이 위치하고,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상기 제 2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제빙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가 형성하는 제빙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ray assembly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region may be located in a first tray assembly among the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located in a second tray assembly. The first region may be the first tray assembly. The second region may be the second tray assembly.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assembly may be located below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may be located above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한편,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히터와의 거리가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히터가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 냉각기의 흡열부(즉 냉매관 혹은 열전모듈의 흡열부)와의 거리가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에 냉기를 공급하는 관통공과의 거리가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냉각기가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품에 추가적인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 상기 추가적인 관통공과의 거리가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투명빙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콜드(cold)에 대한 상기 제 2 영역의 단열도는 상기 제 1 영역의 단열도 보다 작을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region may be a region closer to the heater than the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may be a region where the heater is arranged. The second region may be a region closer to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cooler (i.e.,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or the thermoelectric module) tha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may be a region closer to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cooler supplies cold air to the ice-making cell than the first region. In order for the cooler to supply cold air through the through-hole, an additional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another component. The second region may be a region closer to the additional through-hole than the first region. The heater may be a transparent ice heater.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second region with respect to the cold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한편, 냉장고의 제1,2트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에 히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다른 하나에는 상기 히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기가 콜드(cold)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다른 하나에 추가적인 히터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기가 콜드(cold)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상기 추가적인 히터의 가열량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투명빙 히터일 수 있다. Meanwhile, a heater may be arrang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if the heater is not arranged in the other on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ater to be turned on during at least some sections while the cooler supplies cold. As another example, if an additional heater is arranged in the other on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to be greater than the heating amount of the additional heater during at least some sections while the cooler supplies cold. The heater may be a transparent ice heater.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된 내용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를 제외한 구성을 가진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frigerator having a configuration excluding the transparent ice heater a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레이 어셈블리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얼음이나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을 가압하는 면이 형성된 제 1 에지를 가진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제 1 에지에서 연장된 바와 상기 바의 끝단에 위치한 제 2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푸셔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푸셔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관점에 따라, 관통형 푸셔, 비관통형 푸셔, 이동형 푸셔, 고정형 푸셔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sher having a first edge formed with a surface that presses ice o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y assembly so that the ic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assembly. The pusher may include a bar extending from the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ba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pusher and the tray assembly so that a position of the pusher is changed. The pusher may be defined as a penetrating pusher, a non-penetrating pusher, a movable pusher, or a fixed pusher, depending on the viewpoint.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상기 푸셔가 이동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푸셔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내부의 얼음에 직접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관통형 푸셔로 정의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usher moves may be formed in the tray assembly, and the pusher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apply pressure to ice within the tray assembly. The pusher may be defined as a through-type pusher.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상기 푸셔가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푸셔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비관통형 푸셔로 정의될 수 있다. A pressurizing portion that pressurizes the pusher may be formed in the tray assembly, and the pusher may be configured to apply pressure to one surface of the tray assembly. The pusher may be defined as a non-penetrating pusher.

상기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의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제빙셀의 내부의 제2지점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셔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pusher to move so that the first edge of the pusher can be positioned between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oint inside the ice-making cell.

상기 푸셔는 이동형 푸셔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구동부, 구동부의 회전축, 혹은 구동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트레이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 pusher may be defined as a movable pusher. The pusher may be connected to a drive unit, a rotational shaft of the drive unit, or a movable tray assembly connected to the drive.

상기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의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제빙셀의 내부의 제2지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푸셔를 향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푸셔가 상기 제빙셀의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가압부와 접촉한 후에 상기 가압부를 추가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푸셔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상대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고정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고정형 푸셔로 정의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tray assemblies to move so that the first edge of the pusher can be positioned between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oint inside the ice-making cell.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tray assemblies to move toward the pusher.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usher and the tray assembly so that the pusher additionally pressurizes the pressurization unit after the pusher contacts the pressurization unit at the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The pusher may be coupled to a fixed end. The pusher may be defined as a fixed push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셀은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빙셀이 위치하는 저장실이 0도 보다 낮은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냉동실이고, 상기 제빙셀은 상기 냉동실을 냉각하는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cell can be cooled by the cooler that cools the storage room. For example, the storage room where the ice-making cell is located is a freezer that can be controlled to a temperature lower than 0 degrees, and the ice-making cell can be cooled by the cooler that cools the freezer.

상기 냉동실은 복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빙셀은 복수의 영역 중 일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freezer may be divided into multiple zones, and the ice making cell may be located in one of the multiple zones.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셀은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기가 아닌 다른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빙셀이 위치하는 저장실이 0도 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될 수 있는 냉장실이고, 상기 제빙셀은 상기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각기가 아닌 다른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즉 냉장고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빙셀은 상기 냉장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빙셀은 상기 냉동실을 냉각하는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cell may be cooled by a cooler other than the cooler that cools the storage room. For example, the storage room where the ice-making cell is located may be a refrigerator that can be controll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0 degrees, and the ice-making cell may be cooled by a cooler other than the cooler that cools the refrigerator room. That is, the refrigerator may have a refrigerator room and a freezer room, the ice-making cell may be located inside the refrigerator room, and the ice-making cell may be cooled by a cooler that cools the freezer room.

상기 제빙셀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ice-making cell can be located 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셀은 상기 저장실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 전체가 상기 제빙셀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cell is not located inside the storage room, but can be cooled by a cooler. For example, the entire storage room formed inside the outer case can be the ice-making cell.

본 발명에서, 열전달도 (degree of heat transfer)는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히트(Heat)가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물체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물체의 재질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물체의 재질의 관점에서, 상기 물체의 열전달도가 큰 것은 상기 물체의 열전도도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도는 물체가 가지는 고유한 재질적 특성일 수 있다. 물체의 재질의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물체의 형상 등에 의해 상기 열전달도가 달라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heat transfer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a high-temperature object to a low-temperature object,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object, the material of the object, et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 of the object, a high degree of heat transfer of the object may mean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object is high. The thermal conductivity may be a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Even when the material of the object is the same, the degree of heat transf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bject, etc.

상기 물체의 형상에 따라 열전달도가 달라질 수 있다. A지점에서 B지점으로의 열전달도는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이 전달되는 경로 (이하 "Heat transfer path")의 길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전달 경로가 길수록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전달도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전달 경로가 짧을 수록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전달도가 커질 수 있다.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bove object, the heat transfer rate may vary. The heat transfer rate from point A to point B may be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 transfer path”) through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point A to point B. The longer the heat transfer path from point A to point B, the lower the heat transfer rate from point A to point B. The shorter the heat transfer path from point A to point B, the higher the heat transfer rate from point A to point B.

한편, A지점에서 B지점으로의 열전달도는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이 전달되는 경로의 두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이 전달되는 경로 방향으로의 두께가 얇을 수록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으로 열전달도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까지의 열이 전달되는 경로 방향으로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상기 A지점에서 상기 B지점까지의 열전달도가 커질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 transfer from point A to point B may be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path along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point A to point B. The thinner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path along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point A to point B, the lower the heat transfer from point A to point B. The thicker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path along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point A to point B, the higher the heat transfer from point A to point B.

본 발명에서, 냉전달도 (degree of cold transfer)는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콜드(cold)가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물체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물체의 재질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상기 냉전달도는 콜드(cold)가 흐르는 방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열전달도와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열전달도와 동일한 개념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cold transfer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cold is transferred from a low-temperature object to a high-temperature object,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object, the material of the object, etc. The degree of cold transfer is a term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d flows, and can be viewed as the same concept as the degree of heat transfer. The explanation of the same concept as the degree of heat transfer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과냉각도(degree of supercool)는 액체가 과냉각되는 정도를 나는 것으로, 상기 액체의 재질,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재질이나 형상, 상기 액체의 응고 과정에서 상기 액체에 가해지는 외부 영향인자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 과냉각되는 빈도가 증가된 것은 상기 과냉각도가 증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액체가 과냉각 상태로 유지되는 온도가 낮아진 것은 상기 과냉각도가 증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과냉각은 상기 액체가 상기 액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에서도 응고되지 않고 액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과냉각된 액체는 과냉각이 해지되는 시점부터 급격하게 응고가 일어나는 특징이 있다. 액체가 응고되는 속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과냉각 현상이 저감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supercooling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 liquid is supercooled, and can be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material of the liquid, the material or shape of a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external influence factors applied to the liquid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the liquid, etc.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supercooling of the liquid can be regarded as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supercooling. A decrease i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liquid is maintained in a supercooled state can be regarded as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supercooling. Here, supercool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liquid does not solidify but exists in a liquid phase even at a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of the liquid. The supercooled liquid has the characteristic of rapidly solidifying from the point at which supercooling is relieved. In a case where the speed at which the liquid solidifies is to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would be advantageous to design the system so that the supercooling phenomenon is reduced.

본 발명에서, 내변형도 (degree of deformation resistance)는 물체가, 물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해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물체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물체의 재질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일례로, 상기 외력은 제빙셀 내부의 물이 응고되어 팽창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외력은 얼음과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분리하기 위한 푸셔가 얼음이나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트레이 어셈블리간 결합된 경우, 상기 결합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deformation resistance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n object resists deformation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bject,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object, the material of the object, etc. As an example, the external force may include a pressure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solidifies and expands. As another example, the external force may include a pressure applied to ice or a part of the tray assembly by a pusher for separating the ice and the tray assembly.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ray assemblies are coupled, the pressure applied by the coupling may be included.

한편, 물체의 재질의 관점에서, 상기 물체의 내변형도가 큰 것은 상기 물체의 강성이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도는 물체가 가지는 고유한 재질적 특성일 수 있다. 물체의 재질의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물체의 형상 등에 의해 상기 내변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내변형도는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내변형 보강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내변형 보강부의 강성이 클수록 상기 내변형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연장된 내변형 보강부의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내변형도가 커질 수 있다. Meanwhile,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erial of the object, a larg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the object may mean that the rigidity of the object is large. The thermal conductivity may be a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Even when the material of the object is the same,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bject, etc.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may be affected by an internal deformation reinforcement portion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greater the rigidity of the internal deformation reinforcement portion, the greater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The greater the height of the extended internal deformation reinforcement portion, the greater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본 발명에서, 복원도 (degree of restoration)는 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외력이 제거된 후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물체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물체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물체의 재질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일례로, 상기 외력은 제빙셀 내부의 물이 응고되어 팽창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외력은 얼음과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분리하기 위한 푸셔가 얼음이나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트레이 어셈블리간 결합된 경우, 상기 결합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restoration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n object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s restored to its shape before the external force was applied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object, the material of the object, etc. As an example, the external force may include a pressure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solidifies and expands. As another example, the external force may include a pressure applied to ice or a part of the tray assembly by a pusher for separating the ice and the tray assembly.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ray assemblies are joined, the pressure applied by the joining force may be included.

한편, 물체의 재질의 관점에서, 상기 물체의 복원도가 큰 것은 상기 물체의 탄성계수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계수는 물체가 가지는 고유한 재질적 특성일 수 있다. 물체의 재질의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물체의 형상 등에 의해 상기 복원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원도는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보강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탄성 보강부의 탄성계수가 클수록 상기 복원도가 커질 수 있다. Meanwhi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 of the object, a large degree of restitution of the object may mean a large elastic modulus of the object. The elastic modulus may be a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Even when the material of the object is the same, the degree of restitu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bject, etc. The degree of restitution may be affected by an elastic reinforcement portion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degree of restitution may increase as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reinforcement portion increases.

본 발명에서, 결합력은 복수의 트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결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재질, 상기 트레이를 결합시킨 힘의 크기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force represents the degree of bonding between a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tray assembly, the material of the tray assembly, the size of the force bonding the trays, etc.

본 발명에서, 부착도는 용기에 담긴 물이 얼음이 되는 과정에서 얼음과 용기가 부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용기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용기의 재질, 용기 내에서 얼음이 된 후 경과된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adhesion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ice and the container are adhered during the process in which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turns into ice,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the time elapsed after the water turns into ice inside the container, etc.

본 발명의 냉장고는, 물이 상기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 외에 저장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이격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와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due to the col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ice-making cell,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making cell, and a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room in addition to the ice-making cell. The storage room may include a space for storing food. The ice-making cell may be arranged inside the storage room.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water or ice in the ice-making cell. The second tray assembly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un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assembly during an ice-making process an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assembly during an ice-removing process.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position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의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제빙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역 방향으로 급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급수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eater and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cooler to supply cold to the ice making cell after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to the ice making position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ice making cell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econd tray assembly to move forward to the ice removing position and then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ake out ice from the ice making cell after the ice production in the ice making cell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econd tray assembly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fter the ice removal is completed and then start the water supply.

투명빙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물 속에는 기포가 녹아 있고, 상기 기포가 포함된 채로 응고된 얼음은 상기 기포로 인해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포가 제빙셀에서 먼저 결빙되는 부분에서 아직 결빙되지 않은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면, 얼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Explaining about transparent ice. There are bubbles dissolved in water, and ice solidified with the bubbles included may have low transparency due to the bubbles. Therefore, if the bubbles are induced to move from the part where the water freezes first in the ice-making cell to another part that is not yet frozen, the transparency of the ice can be increased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트레이 어셈블리에 형성된 관통공은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 관통공은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제빙셀에서 먼저 결빙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빙셀의 외부로 상기 기포가 이동하도록 유도하면, 얼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기포가 상기 제빙셀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측에 관통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포는 상기 액체보다 밀도가 낮으므로, 상기 기포가 상기 제빙셀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유도하는 관통공(이하 "공기 빼기홀")이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tray assembly can affect the generation of transparent ice. The through-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assembly can affect the generation of transparent ic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ice, if the air bubbles are induced to move from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where the ice is first frozen to the outside of the ice-making cell, the transparency of the ice can be increased. In order to induce the air bubbles to move to the outside of the ice-making cell, the through-hole can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tray assembly. Since the air bubbles have a lower density than the liquid, a through-hole (hereinafter, "air bleeding hole") that induces the air bubbles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ice-making cell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assembly.

냉각기와 히터의 위치는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냉냉각기와 히터의 위치는 제빙셀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방향인 제빙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location of the cooler and heater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clear ice. The location of the cooler and heater can affect the ice-making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ice is produced within the ice-making cell.

제빙 과정에서, 제빙셀에서 물이 먼저 응고되는 영역에서 액상인 상태의 다른 일정한 영역으로 기포가 이동하거나 포집되도록 유도하면,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기포가 이동하거나 포집되는 방향이 제빙 방향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영역은 상기 제빙셀에서 물이 늦게 응고되도록 유도하고 싶은 영역일 수 있다. In the ice-making process, if bubbles are induced to move or be captured from an area where water is first solidified in the ice-making cell to another predetermined area in a liquid stat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can be increas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bbles move or are captured may be similar to the ice-making direction. The predetermined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water is desired to be induced to solidify late in the ice-making cell.

상기 일정한 영역은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에 대해 공급하는 콜드(cold)가 늦게 도달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예로,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의 하부로 상기 기포를 이동시키거나 포집하기 위해서,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에 냉기를 공급하는 관통공이 상기 제빙셀의 하부보다 상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냉각기의 흡열부(즉 증발기의 냉매관 혹은 열전소자의 흡열부)가 상기 제빙셀의 하부보다 상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빙셀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제빙셀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측의 영역과 하측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region may be a region where the cold supplied by the cooler to the ice-making cell reaches late. For example,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in order to move or capture the bubbles to the low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cooler supplies cold air to the ice-making cell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upper part than the low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s another example, the heat absorbing part of the cooler (i.e., the refrigerant pipe of the evaporator or the heat absorbing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upper part than the low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defined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based on the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상기 일정한 영역은 히터가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일예로, 제빙 과정에서, 제빙셀의 하부로 물속의 기포를 이동시키거나 포집하기 위해서, 히터는 상기 제빙셀의 상부보다 하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fixed area may be an area where a heater is placed. For example,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in order to move or capture bubbles in the water to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cell, the heater may be placed closer to the bottom than the top of the ice making cell.

상기 일정한 영역은 제빙셀의 중심보다는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에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중심 인근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일정한 영역이 제빙셀의 중심 인근인 경우에는, 상기 중심 인근으로 이동하거나 포집된 기포로 인한 불투명한 부분이 사용자에게 쉽게 보일 수 있고, 얼음의 대부분이 녹을 때까지 상기 불투명한 부분이 잔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를 물이 담긴 제빙셀의 내부에 배치해야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일정한 영역이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이나 그 인근에 위치할 경우에는, 물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 타측 방향으로 응고될 수 있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는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이나 그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나 그 인근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region may be a region closer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ice-making cell than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However, the vicinity of the center is not excluded. When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region is near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an opaque portion due to air bubbles moving or captured near the center may be easily visible to the user, and the opaque portion may remain until most of the ice melts. In addition, it may be difficult to place the he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containing water. In contrast, when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region is located at or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ice-making cell, water may solidify from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ce-making cell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ce-making cell, thereby re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transparent ice heater may be placed at or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ice-making cell. The heater may also be placed at or near the tray assembly.

상기 일정한 영역은 제빙셀의 상부보다는 상기 제빙셀의 하부에 가까운 위치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상부도 배제하지 않는다. 제빙 과정에서, 얼음보다 밀도가 큰 액상의 물은 하강하므로, 상기 일정한 영역이 상기 제빙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fixed area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ice-making cell than the top of the ice-making cell. However, the top is not excluded.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liquid water with a density greater than ice descends, so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above-mentioned fixed area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ce-making cell.

트레이 어셈블리의 내변형도, 복원도 및 복수개의 트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력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내변형도, 복원도 및 복수개의 트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력 중 적어도 하나는 제빙셀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방향인 제빙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영역은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deformation degree of the tray assembly, the degree of recovery,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ice. At least one of the deformation degree of the tray assembly, the degree of recovery,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can affect the ice-making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ice is produced inside the ice-making cell. As described above, the tray assembly can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parts constituting one tray assembly.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region can be a first tray assembly. The second region can be a second tray assembly.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 제빙셀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방향이 일정하도록 냉장고가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빙방향이 일정할수록 상기 제빙셀 내에 일정한 영역으로 물속의 기포가 이동되거나 포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부분에서 다른 부분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일부분의 내변형도가 상기 다른 부분의 내변형도보다 큰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얼음은 상기 내변형도가 작은 부분 쪽으로 팽창하면서 얼음이 성장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생성된 얼음을 제거한 후 다시 제빙을 시작하려면, 상기 변형된 부분이 다시 복원되어야 동일한 형상의 얼음을 반복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변형도가 작은 부분은 상기 내변형도가 큰 부분에 비해 복원도가 큰 것이 유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duce transparent ice, it may be advantageous to configure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ice is produced within the ice-making cell is constant. This is because the more constant the ice-making direction is, the more likely it is that air bubbles in the water are moving or being captured within a certain area within the ice-making cell. In order to induce ice to be produced from one part of the tray assembly to another part,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part to be greater than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other part. Ice tends to grow as it expands toward the part with the smaller degree of deformation. Meanwhile, in order to start producing ice again after removing the produced ice, the deformed part must be restored so that ice of the same shape can be repeatedly produced. Therefore,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part with the smaller degree of deformation to have a greater degree of restoration than the part with the larger degree of deformation.

외력에 대한 트레이의 내변형도가 상기 외력에 대한 트레이 케이스의 내변형도보다 작거나, 상기 트레이의 강성이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강성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는 변형되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트레이를 둘러싸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변형이 저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만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셀 내부의 물이 응고되어 팽창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변형이 허용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의 다른 일부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변형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트레이의 복원도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복원도보다 크거나, 상기 트레이의 탄성계수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탄성계수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변형된 트레이가 쉽게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tray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tray c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or the rigidity of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rigidity of the tray case. The tray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tray to be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while the tray case surrounding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have reduced deformation. For example, the tray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with the tray case. In this cas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during the process of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solidifying and expa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allowed to be deformed,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tray case, thereby limiting de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degree of restoration of the tray may be larger than the degree of restoration of the tray case, 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tray may be larg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tray case. This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deformed tray can be easily restored.

외력에 대한 트레이의 내변형도는 상기 외력에 대한 냉장고 가스켓의 내변형도보다 크거나, 상기 트레이의 강성이 상기 가스켓의 강성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내변형도는 낮을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가 형성하는 제빙셀 내의 물이 응고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트레이가 지나치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의 변형은, 원하는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트레이의 복원도는 상기 외력에 대한 냉장고 가스켓의 복원도보다 작거나, 상기 트레이의 탄성계수가 상기 가스켓의 탄성계수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tray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may be greater tha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gasket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or the rigidity of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rigidity of the gasket. Whe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tray is low,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tray is excessively deformed as water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tray solidifies and expands. Such deformation of the tray may make it difficult to produce ice of a desired shape.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recovery of the tray may be smaller than the recovery of the refrigerator gasket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gasket.

외력에 대한 트레이 케이스의 내변형도는 상기 외력에 대한 냉장고 케이스의 내변형도 보다 작거나,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강성이 상기 냉장고 케이스의 강성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케이스는 스틸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트레이 케이스의 복원도는 상기 외력에 대한 냉장고 케이스의 복원도보다 크거나,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탄성계수가 상기 냉장고 케이스의 탄성계수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tray case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c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or the rigidity of the tray cas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rigidity of the refrigerator case. In general,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steel.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recovery of the tray case may be larger than the recovery of the refrigerator c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tray case may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refrigerator case.

투명한 얼음과 내변형도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t ice and deformation resistance is as follows.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내변형도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내변형도가 상기 제 2 영역 중 다른 하나의 내변형도 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하면,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second regions may have different internal deformations in th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making cell. The internal deformation of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another of the second regions. Such a configuration may help induce ice to be formed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한편,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1,2영역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내변형도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내변형도가 상기 제 1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내변형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have different degrees of internal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higher than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This configuration can help induce ice to be formed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이 경우, 물은 응고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데,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의 방향이나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내변형도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제빙셀 내부의 물이 응고되어 팽창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상기 압력 중 수직방향 (Z축 방향)의 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ter may expand in volume as it solidifies and apply pressure to the tray assembly, which may induce ice to be formed in either the other direction of the second region or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may be a degree of resistance to deformation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external force may be a pressure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solidifies and expands.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ressure.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acting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toward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일례로, 제빙셀의 중심에서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두께는,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보다 두껍거나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제빙셀의 최상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일부보다 두껍도록 구성하면, 외력에 대해 상기 제 2 영역의 내변형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은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보다 두껍거나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최소값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은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보다 두껍거나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최대값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최소값은, 상기 영역에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최소값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은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보다 두껍거나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평균값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는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보다 작거나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보다 작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ray assembly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cell from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may be such that one of the second regions is thicker than another one of the second regions or is thicker than one of the first regions.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is not surrounded by the tray case. The other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is surrounded by the tray case.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is not surrounded by the tray cas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forms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ce making cell among the second regions. The second region may include a tray and a tray case that locally surrounds the tray.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configured to be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 in this way,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may be improved.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thick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second regions, or thicker than the minimum value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thick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second regions, or thicker than the maximum value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The minimum value means the minimum value among the remaining regions excluding the part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whe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gio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thick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second regions, or thicker than the average value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small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second regions, or small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다른 예로,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가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멀어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변형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멀어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변형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변형 보강부를 포함하면, 외력에 대해 상기 제 2 영역의 내변형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n internal deformation reinforcing memb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surface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another one of the second regions. Meanwhi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n internal deformation reinforcing memb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surface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region includes the internal deformation reinforcing member in this way,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can be improved.

또다른 예로,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의다른 하나가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냉장고의 고정단 (예. 브라켓, 저장실 벽 등)에 연결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냉장고의 고정단(예. 브라켓, 저장실 벽 등)에 연결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는 지지면을 포함하게 되면, 외력에 대해 상기 제 2 영역의 내변형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rface connected to a fixed end (e.g., a bracket, a storage compartment wall, etc.) of the refrigerato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another one of the second regions from the first surfac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rface connected to a fixed end (e.g., a bracket, a storage compartment wall, etc.) of the refrigerator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from the first surface.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support surface connected to the fixed end in this way,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can be improved.

또다른 예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추가적인 내변형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면, 상기 외력에 대해 상기 제 2 영역의 내변형도가 향상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에 추가적인 내변형 보강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고정단에 추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portion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n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a point of the first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deformation-resistant reinforcement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rface connected to the fixed end.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dditionally includes the second portion, the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second reg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may be advantageously improved. This is because an additional deformation-resistant reinforcement member is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or the second portion may be additionally supported by the fixed end.

또다른 예로,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제1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관통공이 형성되면, 상기 제 2 영역의 제빙셀에서 응고되는 얼음은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빙셀의 외부로 팽창하므로, 상기 제 2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감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빙셀에 물이 과다하게 급수된 경우,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물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역이 변형되는 것을 저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Whe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is way, ice solidified in the ice-making cell of the second region expands out of the ice-making cell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region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water is excessively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the first through hole can contribute to reducing de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during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water.

한편,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 2 영역의 제빙셀 내의 물속에 포함된 기포가 이동하거나 탈출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2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관통공이 형성되면, 응고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second through hole for providing a path for air bubbles contained in water within the ice-making cell of the second region to move or escape.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is way, the transparency of the solidified ice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관통형 푸셔가 가압할 수 있도록 제3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내변형도가 커지면, 비관통형 푸셔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표면을 가압하여 얼음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2,3관통공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2,3관통공은 하나의 관통공에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formed with a third through hole so that the through-type pusher can pressurize. This is because, if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increase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non-through type pusher to pressurize the surface of the tray assembly to remove i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ough holes may overlap.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one through hole.

한편,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이빙히터가 위치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된다는 것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얼음이 먼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얼음이 부착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이러한 얼음을 상기 제 2 영역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빙히터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빙셀의 중심에서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두께가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이빙히터가 장착된 부분이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 하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이빙히터가 공급하는 열이 상기 제빙셀에 전달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단은 저장실을 형성하는 벽의 일부이거나 브라켓일 수 있다. Meanwhi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where an ice-making heater is positioned. The fact that ice is induced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may mean that the ice is formed first in the second region. In this case, the time for which the ice is attached to the second region may be long, and an ice-making heater may be required to separate the ice from the second region. The thickness of the tray assembly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thinner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where the ice-making heater is mounted than in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heat supplied by the ice-making heater may increase the amount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The fixed end may be a part of a wall forming a storage chamber or a bracket.

투명한 얼음과 트레이 어셈블리의 결합력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transparent ice and the tray assembly is as follows.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1,2영역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물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팽창하면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가하는 압력이, 상기 제1,2영역 사이의 결합력보다 큰 경우에는, 제1,2영역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팽창하면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가하는 압력이, 상기 제1,2영역 사이의 결합력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2영역 중 내변형도가 작은 영역의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order to induce ice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 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in the ice 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it may be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which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water solidifying,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while expanding is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ce can be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separat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water solidifying,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while expanding is small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ice can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 making cell of the region with the smaller internal deforma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상기 제1,2영역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다양한 예가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구동부의 운동위치를 제1방향으로 변화시켜 상기 제1,2영역 중 어느 하나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2영역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의 운동위치를 상기 제1방향으로 추가로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2영역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빙 과정이 시작된 이후 (혹은 상기 히터가 온된 이후) 팽창하는 얼음에 의해 제빙셀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된 힘에 대한 상기 제1,2영역의 내변형도 혹은 복원도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과 마주보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면은 분리 및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제1,2영역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파손을 저감하면서 상기 제1,2영역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2영역사이로 급수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of methods for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o change the motion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control the motion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to additionally change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s another example,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the deformation or recovery degre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with respect to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so as to reduce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due to the expanding ice after the ice-making process starts (or after the heater is turned 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acing the second region. The second region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regi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be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be arranged to be separated and joined. In this case, the areas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increased while reducing damage to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ontact each other.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leakage of water su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reduced.

투명한 얼음과 복원도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t ice and resilience is as follows.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생성되는 얼음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고 얼음이 제거된 후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부분은 팽창하는 얼음의 수직방향 외력에 대해 복원도를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수평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팽창하는 얼음의 수평방향 외력에 대해 복원도를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수직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portion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n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formed by expansion of the ice produced and restored after the ice is removed. The second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extension provided to increase the degree of recovery against a vertical external force of the expanding ice. The second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extension provided to increase the degree of recovery against a horizontal external force of the expanding ice. Such a configuration may help induce ice to be produced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toward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복원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내변형도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복원도가 상기 제 1 영역 중 다른 하나의 복원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변형도가 상기 다른 하나의 내변형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first regions may have different degrees of resilience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making cell. In addition, the first regions may have different degrees of internal deformation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making cell. The degree of resilience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higher than the degree of resilience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In addition,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lower than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the other. This configuration may help induce ice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한편,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1,2영역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복원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영역은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내변형도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복원도가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복원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내변형도가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내변형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have different degrees of restitution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have different degrees of internal deformation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The degree of restitution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higher than the degree of restitution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In addition,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lower than the degree of internal deformation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is configuration may help induce ice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이 경우, 물은 응고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데, 상기 내변형도가 작거나 상기 복원도가 큰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도는 외력이 제거된 이후에, 복원되는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제빙셀 내부의 물이 응고되어 팽창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상기 압력 중 수직방향 (Z축 방향)의 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의 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ter may expand in volume as it solidifies and apply pressure to the tray assembly, which may induce ice to be generated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where the internal deformation is small or the degree of restitution is large. Here, the degree of restitution may be a degree of restoration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xternal force may be a pressure applied to the tray assembl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solidifies and expands.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ressure.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toward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일례로, 제빙셀의 중심에서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두께가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영역 중 상기 제빙셀의 최하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ray assembly from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 making cell may be such that one of the first regions is thinner than another one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one of the second regions.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is not surrounded by the tray case. The other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a portion surrounded by the tray cas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surrounded by the tray case.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a portion forming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ice making cell among the first regions.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tray and a tray case locally surrounding the tray.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최소값은, 상기 영역에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최소값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는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보다 크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보다 클 수 있다.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thinn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thinn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minimum value means the minimum value among the remaining regions excluding the part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gion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thinn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great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or great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다른 예로,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형상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형상과 다르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곡률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곡률과 다르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곡률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곡률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곡률보다 작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얼음이 팽창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얼음이 팽창하는 방향이나 상기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의 중심에서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 변형량은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의 중심에서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 변형량은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a shape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different from the shape of one of the second regions. A curvature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one of the second regions. A curvature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smaller than a curvature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smaller than a curvature of one of the second regions.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include a flat surface.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include a shape that is sunk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ce is induced to be formed.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ce is induced to expand 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ce is induced to be formed.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amount of deformation from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cell may be greater in one of the first regions than in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amount of deformation from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cell may be greater in one of the first regions than in one of the second regions.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2면을 제외하면, 다른 부품에 직접 지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부품은 냉장고의 고정단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induce ice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in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and supported on anoth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The first region may be configured not to be directly supported by another component except for the second surface. The other component may be a fixed end of the refrigerator.

한편,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비관통형 푸셔가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내변형도가 낮거나 복원도가 커지면, 비관통형 푸셔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표면을 가압하여 얼음을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Meanwhile,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so that a non-penetrating pusher can pressurize it. This is because whe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first region is low or the degree of recovery is high, the difficulty of the non-penetrating pushe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tray assembly to remove ice can be reduced.

제빙셀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인 제빙속도는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제빙속도는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에 영향을 줄수 있다. 상기 제빙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상기 제빙셀에 공급되는 가냉량 및/또는 가열량일 수 있다. 상기 가냉량 및/또는 가열량은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가냉량 및/또는 가열량은 얼음의 투명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ice making speed, which is the speed at which ice is formed inside the ice making cell,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ice. The ice making speed can affec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form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ce making speed can be the amount of cooling and/or the amount of heating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The amount of cooling and/or the amount of heating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ice. The amount of cooling and/or the amount of heating can affec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상기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제빙 속도가 제빙셀 내의 기포가 이동하거나 포집되는 속도보다 클수록 얼음의 투명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빙 속도가 상기 기포가 이동하거나 포집되는 속도보다 느리면 얼음의 투명도는 높아질 수 있으나, 상기 제빙 속도를 낮을 수록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빙 속도가 균일한 범위에서 유지될수록 얼음의 투명도는 균일해 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above transparent ic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may decrease as the ice-making speed is grea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bubbles in the ice-making cell move or are captured. On the other hand, if the ice-making speed is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bubbles move or are captured, the transparency of the ice may increas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to generate transparent ice becomes excessive as the ice-making speed is lowered. In addition, the transparency of the ice may become more uniform as the ice-making speed is maintained within a uniform range.

제빙 속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빙셀에 공급되는 콜드(cold)와 히트(heat)의 양이 균일하면 된다. 하지만, 냉장고의 실제 사용 조건에서는 콜드(cold)가 가변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여 히트(heat)의 공급량을 가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저장실의 온도가 불만영역에서 만족영역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저장실의 냉각기에 대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 등 매우 다양하다. 또한 상기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물의 양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단위 높이당 동일한 콜드(cold)와 히트(heat)를 공급하면, 상기 단위 높이당 투명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maintain the ice-making speed uniformly within a given range, the amount of cold and heat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must be uniform. However, in the actual usage conditions of the refrigerator, there are cases where the cold varies, and it is necessary to vary the amount of heat supplied accordingly. For exampl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reaches the satisfactory range from the unsatisfactory range, where a defros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cooler of the storage room, where the door of the storage room is opened, etc.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per unit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is different, if the same cold and heat are supplied per unit height, a problem may occur where the transparency per unit height vari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는 제빙셀 내부의 물의 제빙 속도가 히터를 오프한 채 제빙을 수행할 경우의 제빙 속도보다 낮은 소정범위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셀의 냉각을 위한 냉기와 상기 제빙셀의 물 사이의 열전달량이 증가된 경우에 상기 투명빙 히터의 가열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빙셀의 냉각을 위한 냉기와 상기 제빙셀의 물 사이의 열전달량이 감소된 경우에 상기 투명빙 히터의 가열량을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o increase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cold air for cooling the ice cell and the water in the ice cell increases, and to decrease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cold air for cooling the ice cell and the water in the ice cell decreases, so that the ice-making speed of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ower than the ice-making speed when ice-making is performed with the heater turned off.

제어부는,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따라 냉각기의 콜드(cold) 공급량 및 히터의 히트(heat) 공급량 중 하나 이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셀의 형상 변화에 맞게 투명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cold supply amount of the cooler and the heat supply amount of the heater to vary according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In this case, transparent ice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냉장고는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물의 질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냉각기의 콜드(cold) 공급량 및 히터의 히트(heat)공급량 중 하나 이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about the mass of water per unit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least one of a cold supply amount of the cooler and a heat supply amount of the heater to be varied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or.

냉장고는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냉각기의 구동 정보가 기록된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기의 콜드(cold)공급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predetermined operation information of a cooler is record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mass per unit height of an ice-making cell, and a control unit can control a cold supply amount of the cooler to be varied based on the information.

냉장고는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히터의 구동 정보가 기록된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히트(heat) 공급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된 시간에 따라 냉각기의 콜드(cold)공급량과 히터의 히트(heat) 공급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냉각기가 구동된 시간이나 상기 히터가 구동된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된 온도에 따라 냉각기의 콜드(cold) 공급량과 히터의 히트(heat) 공급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상기 제빙셀의 온도나 상기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 어셈블리의 온도일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predetermined heater oper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mass per unit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heat supply amount of the heater to be varied based on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cold supply amount of the cooler and the heat supply amount of the heater to be var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mass per unit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The time may be a time for which the cooler is driven to produce ice or a time for which the heater is driven.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cold supply amount of the cooler and the heat supply amount of the heater to be var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mass per unit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The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cell or a temperature of a tray assembly forming the ice-making cell.

한편, 제빙셀의 단위 높이당 물의 질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오작동하거나, 상기 제빙셀에 공급되는 물이 부족하거나 과다할 경우에, 제빙되는 물의 형상이 변경되므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빙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급수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급수 위치 혹은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에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해 트레이 어셈블리는 누수가 저감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빙셀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셀을 형성하는 제1,2트레이 어셈블리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정밀 급수 방법과 트레이 어셈블리의 누수 저감구조 및 상기 제1,2트레이 어셈블리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트레이 형상에 근접하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Meanwhile, if a sensor measuring the mass of water per unit height of the ice-making cell malfunctions or if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is insufficient or excessive, the shape of the water to be iced changes, so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may deteriora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ater supply method that precisely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is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water leakage from the ice-making cell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r the ice-making position, the tray assembly may include a structure for reducing leak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forming the ice-making cell so as to reduc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due to the expansion force of ice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In addition, the precise water supply method, the leakage reduction structure of the tray assembly, and the increasing bond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are also necessary to produce ice having a shape close to a tray shape.

제빙셀 내부의 물의 과냉각도는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물의 과냉각도는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water inside the ice making cell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ice.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water can affec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빙셀 내부의 온도를 소정 범위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과냉각도나 낮아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과냉각된 액체는 과냉각이 해지되는 시점부터 급격하게 응고가 일어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얼음의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In order to produce transparent ice,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supercooling degree to be lowered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ice-making cel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is is because the supercooled liquid has the characteristic of rapidly solidifying from the point at which supercooling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may be reduced.

냉장고의 제어부는, 상기 액체를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에 도달한 이후, 응고점 이하의 특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액체의 과냉각도를 저감하기 위해 과냉각 해지수단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응고점 도달한 이후, 과냉각이 발생하여 응고가 일어나지 않을수록 상기 액체의 온도는 빠르게 응고점 이하로 냉각된다고 볼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 supercooling release means to reduce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liquid if, during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liquid, the time required for the liquid to reach a specific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after reaching the freezing point is shorter than a reference value. It can be seen that, as supercooling occurs and solidification does not occur after reaching the freezing poin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s cooled below the freezing point more quickly.

상기 과냉각 해지수단의 일예로, 전기적 스파크 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에 상기 스파크를 공급하면, 상기 액체의 과냉각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과냉각 해지수단의 다른 예로, 상기 액체가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용기를 X,Y,Z축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운동하거나 X,Y,Z축 중 적어도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액체에 운동에너지를 공급하면, 상기 액체의 과냉각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과냉각 해지수단의 또다른 예로, 상기 용기에 상기 액체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제어부는 상기 용기의 체적보다 작은 제1체적의 액체를 공급한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 이하의 일정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용기에 상기 제1체적보다 큰 제2체적의 액체를 추가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에 액체를 분할하여 공급하면, 먼저 공급된 액체가 응고되어 빙결핵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로 공급되는 액체의 과냉각도를 저감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above supercooling release means, an electric spark generating means may be included. When the spark is supplied to the liquid, the supercooling degree of the liquid can be reduced. As another example of the above supercooling release means, a driving means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move the liquid can be included. The driving means can cause the container to move in at least one direction among the X, Y, and Z axes or to rotate around at least one axis among the X, Y, and Z axes. When kinetic energy is supplied to the liquid, the supercooling degree of the liquid can be reduced. As another example of the above supercooling release means, a means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container can be included. 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can control to additionally supply a second volume of liquid larger than the first volume to the containe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after supplying a first volume of liquid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container. When the liquid is supplied in a divided manner to the above container in this manner, the liquid supplied first can solidify and act as an ice nucleus,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additionally supplied liquid.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열전달도가 높을수록 상기 액체의 과냉각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열전달도가 낮을수록 상기 액체의 과냉각도가 낮아질 수 있다. The higher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the higher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liquid can be. The lower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the lower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liquid can be.

트레이 어셈블리의 열전달도를 포함하여 제빙셀을 가열하는 구조와 방법은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영역은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The structure and method of heating the ice making cell, including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tray assembly,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ice. As described above, the tray assembly can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ice making cell.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parts of one tray assembly.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region can be a first tray assembly. The second region can be a second tray assembly.

냉각기가 제빙셀에 공급되는 콜드(cold)와 히터가 상기 제빙셀에 공급되는 히트(heat)는 반대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제빙 속도를 증가시키거나/그리고 얼음의 투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냉각기와 상기 히터의 구조 및 제어, 상기 냉각기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관계, 상기 히터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와의 관계에 대한 설계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The cold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by the cooler and the heat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by the heater have opposite proper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ice making speed and/or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the design of the structure and control of the cooler and the he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ler and the tray assemb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er and the tray assembly may be very important.

냉각기가 공급하는 일정한 냉량와 히터가 공급하는 일정한 열량에 대해, 냉장고의 제빙 속도를 증가시키거나/그리고 얼음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히터는 제빙셀을 국부적으로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히터가 상기 제빙셀에 공급하는 열이 상기 히터가 위치하는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 전달되는 것이 저감될수록 제빙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제빙셀의 일부만 강하게 가열할 수록, 상기 제빙셀에서 히터가 인접한 영역으로 기포를 이동시키거나 포집할 수 있어,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For a constant amount of cold supplied by the cooler and a constant amount of heat supplied by the he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ice-making speed of the refrigerator and/or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heater to be arranged to locally heat the ice-making cell. The ice-making speed can be improved as the heat supplied by the heater to the ice-making cell is reduced from being transferred to areas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heater is positioned. As the heater strongly heats only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it can move or capture air bubbles from the ice-making cell to an area adjacent to the heater, thereby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상기 히터가 제빙셀에 공급하는 열량이 크면, 상기 열을 공급받는 부분에 물 속의 기포를 이동 혹은 포집시킬 수 있어서, 생성되는 얼음이 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에 대해 균일하게 열을 공급하면,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록,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높이고, 제빙속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If the amount of heat supplied by the heater to the ice-making cell is large, the bubbles in the water can be moved or captured in the part that receives the heat, so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can be increased. However, if the heat is supplied uniform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the ice-making speed at which the ice is produced can be reduced. Therefore, as the heater locally heats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can be increased, and the reduction in the ice-making speed can be minimized.

상기 히터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트레이와 트레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제빙셀을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The heater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ntact one side of the tray assembly. The heat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ray and the tray cas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may be advantageous in locally heating the ice-making cell.

상기 히터가 트레이와 접촉하지 않는 타측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재로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히터가 공급하는 열이 저장실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eater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ray may be sealed with insulation. This configuration may reduce the heat supplied by the heater from being transferred toward the storage chamber.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에서 제빙셀의 중심 방향으로의 열전달도가 상기 히터에서 상기 제빙셀의 원주(circumference) 방향으로의 열전달도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tray assembly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 transfer from the heater toward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is greater than the heat transfer from the heater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cell.

트레이에서 제빙셀 중심방향으로 상기 트레이의 열전달도가 트레이 케이스에서 저장실 방향으로 열전달도 보다 크거나, 상기 트레이의 열전도도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열전도도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히터가 공급하는 열이 상기 트레이를 경유하여 상기 제빙셀에 전달되는 것이 증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열이 상기 트레이 케이스를 경유하여 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of the tray toward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in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heat transfer from the tray case toward the storage room, o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ray may be great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ray case. This configuration can induce an increase in the heat supplied by the he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via the tray. In addition, the heat of the heater can be reduc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torage room via the tray case.

트레이에서 제빙셀 중심방향으로 상기 트레이의 열전달도가 냉장고 케이스(일례로 내측 케이스 혹은 외측케이스)의 외부에서 저장실 방향으로 상기 냉장고 케이스의 열전달도 보다 작거나 상기 트레이의 열전도도가 상기 냉장고 케이스의 열전도도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열전달도 혹은 열전도도가 높아질 수록, 상기 트레이가 수용하는 물의 과냉각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물의 과냉각도가 높아질 수록, 상기 과냉각이 해지되는 시점에서 상기 물이 더 급속하게 응고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의 투명도가 균일하지 않거나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케이스는 스틸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of the tray toward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in the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heat transfer of the refrigerator case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case (for example,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toward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ray may be small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frigerator case. This is because as the heat transfer or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ray increases,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tray may increase. As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water increases, the water may solidify more rapidly at the point when the supercooling is relieved. In this cas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the ice is not uniform or the transparency deteriorates. In general,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steel.

저장실에서 트레이 케이스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열전달도가 냉장고의 외부공간에서 상기 저장실방향으로 단열벽의 열전달도 보다 크거나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열전도도가 상기 단열벽(일례로, 냉장고 내/외측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단열재)의 열전도도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벽은 상기 외부공간과 저장실을 구획하는 단열벽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열전달도가 상기 단열벽의 열전달도와 같거나 크게 되면, 상기 제빙셀이 냉각되는 속도가 지나치게 저감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tray case in the storage room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insulating wall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direction, o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ray case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insulating wall (for example, an insulating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inner/outer cases of the refrigerator). Here, the insulating wall may mean an insulating wall that partitions the external space and the storage room. This is because i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tray cas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insulating wall, the cooling speed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excessively reduced.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열전달도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열전달도가 상기 제 1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열전달도 보다 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 2 영역까지 트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열전달도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first regions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at transfer rates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he heat transfer rate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configured to be lower than the heat transfer rate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This configuration may help reduce the heat transfer rate transmitted through the tray assembly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한편,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1,2영역은 상기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열전달도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열전달도가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열전달도 보다 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 2 영역까지 트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열전달도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히터에서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로 전달된 열이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로 전달되는 것을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으로 전달되는 열을 줄일수록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를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제빙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히터가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영역 내에 기포를 이동시키거나 포집시킬 수 있어, 얼음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투명빙 히터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at transfer rates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he heat transfer rate of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configured to be lower than the heat transfer rate of one of the second regions. This configuration may help reduce the heat transfer rate transferred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through the tray assembly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In another aspect, it may be advantageous to reduce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er to one of the first regions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The less heat transferred to the second region, the more the heater can locally heat one of the first regions. This reduces the decrease in the ice-making speed due to the heating of the heater. In another aspect, the heater may move or capture bubbles within the region that it locally heats, thereby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the ice. The heater may be a transparent ice heater.

일례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까지 열전달 경로의 길이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까지의 외주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빙셀의 중심에서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두께가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영역 중 상기 제빙셀의 최하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heat transfer path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length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ray assembly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to the ice making cell may be thinner in one of the first regions than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one of the second regions.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is not surrounded by the tray case. The other of the first region may be a portion surrounded by the tray cas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surrounded by the tray case.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a portion forming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ice making cell among the first regions.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tray and a tray case locally surrounding the tray.

이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 방향으로의 열전달을 저감하면서, 상기 제빙셀의 중심 방향으로의 열전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thinly, heat transfer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can be reduced while heat transfer toward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first region can be locally heated.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소값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최대값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최소값은, 상기 영역에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최소값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보다 얇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평균값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는 상기 제 1 영역의 다른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보다 크거나 상기 제 2 영역의 어느 하나의 두께의 균일도보다 클 수 있다.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thinn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thinn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other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minimum value means the minimum value among the remaining regions excluding the part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gion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thinn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or thinn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may be great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first regions or great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second regions.

다른 예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에 상기 제 1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에 접촉할 수 있는 추가적인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하는 제빙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전달된 열은, 상기 제 2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portion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n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a point of the first portion. The first region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region may be disposed in an additional tray assembly that may contact the first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may extend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region. In this cas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er to the first region may be reduc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econd region.

트레이 어셈블리의 냉전달도를 포함하여 제빙셀을 냉각하는 구조와 방법은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빙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영역은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cooling the ice making cell, including the cold transfer rate of the tray assembly, can affect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ice. As described above, the tray assembly can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ice making cell.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parts of one tray assembly.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region can be a first tray assembly. The second region can be a second tray assembly.

냉각기가 공급하는 일정한 냉량와 히터가 공급하는 일정한 열량에 대해, 냉장고의 제빙 속도를 증가시키거나/그리고 얼음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냉각기가 제빙셀의 일부를 더 집중적으로 냉각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가 제빙셀에 공급하는 콜드(cold)가 클수록 제빙속도는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빙셀의 외주면에 대해 균일하게 콜드(cold)가 공급될수록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는 저하될 수 이다. 따라서,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더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록, 상기 제빙셀의 다른 영역으로 기포를 이동시키거나 포집할 수 있어,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높이고, 제빙속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For a constant amount of cold supplied by a cooler and a constant amount of heat supplied by a he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ice-making speed of a refrigerator and/or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ice, it may be advantageous to configure the cooler to cool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more intensively. The greater the amount of cold supplied by the cooler to the ice-making cell, the higher the ice-making speed. However, the more uniformly cold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the lower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Therefore, as the cooler cools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more intensively, bubbles can be moved or captured to other areas of the ice-making cell, thereby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and minimizing the decrease in the ice-making speed.

상기 냉각기가 제빙셀의 일부를 더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기는 상기 제 2 영역에 공급하는 콜드(cold)의 양과 상기 제 1 영역에 공급하는 콜드(cold)의 양이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가 상기 제 2 영역에 공급하는 콜드(cold)의 양이 상기 제 1 영역에 공급하는 콜드(cold)의 양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cooler to cool a portion of the ice cell more intensively, the coo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mount of cold it supplies to the second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cold it supplies to the first region. The coo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mount of cold it supplies to the second regio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cold it supplies to the first region.

일례로, 상기 제 2 영역은 냉전달도가 큰 금속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금속보다 냉전달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may be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cold conductivity, and the first region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cold conductivity than the metal.

다른 예로, 저장실에서 제빙셀의 중심방향으로 트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냉전달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중심방향으로 냉전달도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냉전달도가 상기 제 2 영역 중 다른 하나의 냉전달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기의 흡열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기의 공급하는 냉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상기 관통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가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제빙셀의 최상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를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부를 냉전달도가 크도록 구성할 경우에, 상기 냉전달도가 큰 트레이 어셈블리에 과냉각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과냉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cold transfer rate transmitted through the tray assembly toward the center of the ice making cell in the storage room, the secon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cold transfer rates toward the center. The cold transfer rate of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greater than the cold transfer rate of another of the second regions.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one of the second region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cooler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 passage through which cold air supplied by the cooler passes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that is not surrounded by the tray case. The other may be a portion surrounded by the tray case. The one of the second regions may be a portion forming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ce making cell. The second region may include a tray and a tray case locally surrounding the tray. In this way, when a portion of the tray assembly is configured to have a high cold transfer rate, supercooling may occur in the tray assembly having a high cold transfer rate. As mentioned above, design may be required to reduce the degree of supercool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14)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4) includ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8)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32)은 하측에 배치되어서, 각각의 도어에 의해서 각각의 저장실이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다. The above storage room may include a refrigerator (18) and a freezer (32). The refrigerator (18)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freezer (32) is positioned at the bottom, so that each storage room can be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by each door.

다른 예로서, 상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타측에 냉장실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place the freezer on the top and the refrigerator on the bottom. Or,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the freezer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frigerator on the other side.

상기 냉동실(3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서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 공간에는,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한 드로워(4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freezer (32)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a drawer (40) that can be pulled out from the lower space can be provided in the lower space.

상기 도어는,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10, 20, 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10, 20, 30) that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or (18) and the freezer (32).

상기 복수의 도어(10, 20, 30)는 회전되는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 2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doors (10, 20, 30) may include some or all of a door (10,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in a rotating manner and a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in a sliding manner.

상기 냉동실(32)은 하나의 도어(3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더라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freezer (3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eparated into two spaces, even though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door (3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동실(32)을 제1저장실이라 할 수 있고, 상기 냉장실(18)을 제2저장실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eezer (32)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torage room, and the refrigerator (18)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torage room.

상기 냉동실(32)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일례로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freezer (32) may be equipped with an ice maker (200) capable of making ice. The ice maker (200) may be located, for example, in the upper space of the above freezer (32).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빙기(200)에서 생산된 얼음이 낙하되어 보관되는 아이스 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스 빈(600)을 상기 냉동실(32)에서 꺼내서, 상기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An ice bin (600)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ice maker (200) into which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200) is dropped and stored. A user may take the ice bin (600) out of the freezer (32) and use the ice stored in the ice bin (600).

상기 아이스 빈(600)은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벽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The above ice bin (60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horizontal wall dividing the upper space and lower space of the above freezer (32).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닛(14)에는 상기 제빙기(20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가 구비된다(미도시). 상기 덕트는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제빙기(200) 측으로 안내한다. Although not shown, the cabinet (14) is provided with a duct (not shown)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ice maker (200). The duct guides the cold air that has exchanged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toward the ice maker (200).

일례로, 상기 덕트는 상기 캐비닛(14)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4)의 전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덕트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uct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14) to discharge cold ai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4). The ice maker (200)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duct.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덕트의 토출구는 상기 냉동실(32)의 후측벽 및 상측벽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discharge port of the duct may be provided on one or more of the rear wall and upper wall of the freezer (32).

위에서는 상기 냉동실(32)에 상기 제빙기(2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빙기(20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은 상기 냉동실(32)에 제한되지 않으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한 다양한 공간에 제빙기(200)가 위치될 수 있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ice maker (200) is provided in the freezer (32), the space where the ice maker (200) can be located is not limited to the freezer (32), and the ice maker (200) can be located in various spaces as long as it can be supplied with cold air.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기(200)가 저장실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ice maker (200) is located in the storage roo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빙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의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ice maker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with the bracket removed in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5, each component of the ice maker (200)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bracket (220), so that the ice maker (200) can form one assembly.

상기 제빙기(200)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include a first tray assembly and a second tray assembly.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1 트레이(320)를 포함하거나,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tray (320), a first tray case, or the first tray (320) and a first tray case.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2 트레이(380)를 포함하거나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380) 및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assembly may include a second tray (380), a second tray case, or the second tray (380) and a second tray case.

상기 브라켓(220)은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The above bracket (220) can define at least a portion of a space that accommodates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상기 브라켓(220)은, 일례로 상기 냉동실(32)의 상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20)에는 급수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부(240)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의 상측으로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The above bracket (22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on the upper wall of the above freezer (32). A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installed on the above bracket (220).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guid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상기 급수부(240)로 공급된 물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기 급수 배관에서 토출되는 물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해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ied to the above water supply unit (240) can move downward. The above water supply unit (240) can prevent water discharged from the above water supply pipe from falling from a high position,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splashing.

상기 급수부(240)는 상기 급수 배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상기 급수부(240)까지 튀지 않고 하방으로 안내되고, 낮아진 높이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물이 튀는 양을 줄일 수 있다. Since the above water supply unit (24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above water supply pipe, water is guided downward without splashing up to the above water supply unit (240), and even if water moves downward due to the lowered height, the amount of water splashing can be reduced.

상기 제빙기(200)는, 물이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include an ice cell (see 320a of FIG. 35),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by cold air.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The second tray (380) may form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직선 운동하거나 회전 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380)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y (320). The second tray (380) can move linearly or rotate.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회전 운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ray (38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일례로,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이동하여,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접촉할 수 있다. For example,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second tray (380) may move relative to the first tray (320), so that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may come into contact.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접촉하면 완전한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이 정의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are in contact, a complet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can be defined.

반면, 제빙 완료 후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이동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이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ce making is completed, the second tray (380) may m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y (320) during the ice separation process, so that the second tray (38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can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forming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320)를 상부 트레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하부 트레이라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tray (320)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tray, and the second tray (380)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tray.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복수의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일례로 3개의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see 320a of FIG. 35) can be defined by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In the following, as an example, three ice-making cells (see 320a of FIG. 35) are formed in the drawing.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면,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and the water is cooled by cold air, ice of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at of the ice 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can be created.

본 실시 예에서, 일례로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은 구 형태 또는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or a shape similar to a spherical shape.

물론,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above ice-making cell (see 320a in FIG. 35) can also be formed in a rectangular solid shape or a polygonal shape.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와, 제 1 트레이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as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and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된 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supporter (340) and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nufactur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then combined.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cover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y (320).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상기 브라켓(220)과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어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거나 상기 브라켓(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가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item from the bracket (220)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bracket (220)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220). That is, the first tray case may include the bracket (220).

상기 제빙기(200)는, 제 1 히터 케이스(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에는 이빙 히터(도 16의 290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eater case (280). An ice heater (see 290 of FIG. 1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heater case (280). The first heater case (28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or formed separately.

상기 이빙 히터(도 16의 290참조)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도 16의 290참조)는 일례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moving heater (see 290 of FIG. 16)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320). The above-mentioned moving heater (see 290 of FIG. 16) may be, for example, a wire-type heater.

일례로, 상기 이빙 히터(도 16의 290참조)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ving heater (see 290 of FIG. 16)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or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tray (320).

어느 경우든, 상기 이빙 히터(도 16의 290참조)는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공급된 열은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In either case, the ice heater (see 290 of FIG. 16) can supply heat to the first tray (320), and the heat supplied to the first tray (320) can be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측과 접촉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of the first tray (320),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빙기(200)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의 분리를 위한 제 1 푸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260)는 후술할 구동부(48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include a first pusher (260) for separating ice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first pusher (260) may receive power from a driving unit (48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에는, 상기 제 1 푸셔(26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3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302)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cov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slot (302)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 pusher (260). The guide slot (302)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가이드 슬롯(302)에는 후술할 제 1 푸셔(260)의 가이드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A guid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pusher (26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above guide slot (302). Accordingly, the guide connection part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slot (302).

상기 제 1 푸셔(260)는 적어도 하나의 푸싱 바(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의 갯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푸싱 바(26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pusher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pushing bar (264). For example, the first pusher (260) may include a number of pushing bars (264) equal to the number of the ice-making cells (see 320a of FIG. 3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푸싱 바(264)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푸싱 바 (264)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The pushing bar (264) can push out ice located in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For example, the pushing bar (264) can be inserted into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by penetrating the first tray cover (300).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에는 상기 제 1 푸셔(26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304)(또는 관통공)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tray cover (3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304) (or through hole) for a part of the first pusher (260) to penetrate through.

상기 제 1 푸셔(260)는 푸셔 링크(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셔 링크(500)가 움직이면 상기 제 1 푸셔(260)도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pusher (260) may be coupled to the pusher link (500). At this time, the first pusher (260) may be coupled to the pusher link (500)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Accordingly, when the pusher link (500) moves, the first pusher (260) may also move along the guide slot (302).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일례로 제 2 트레이 커버(360)와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tray case may include, for example, a second tray cover (360) and a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와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된 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tray cover (360) and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nufactur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then combined.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cover (36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y (38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tray supporter (400) can support the second tray (380) 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ray (380).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셀(320c)을 형성하는 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ming a second cell (320c)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일측에는 스프링(40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2)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로 제공할 수 있다. A spring (40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The spring (402) may provide elasticity 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so that the second tray (380) may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일부를 둘러싸는 둘레벽(3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는, 상기 둘레벽(387)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The second tray (380) may include a peripheral wall (387)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first tray (320) whil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The second tray cover (36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387).

상기 제빙기(200)는, 제 2 히터 케이스(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에는 후술할 투명빙 히터(43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ater case (420). A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heater case (420).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case (4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or formed separately and combined with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제빙기(2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4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푸셔(260)가 이동할 수 있다. The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480)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he second tray (380) may move relative to the first tray (320)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480). The first pusher (260) may move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force (480).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81)에는 관통공(282)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282) may be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281) extending downward on one side of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일측에 연장된 연장부(403)에는 관통공(404)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404) may be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40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관통공(282, 404) 들을 함께 관통하는 샤프트(440)(또는 회전축)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shaft (440) (or rotating shaft) that penetrates the through holes (282, 404) together.

상기 샤프트(440)의 양단에는 회전 암(46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40)는 상기 구동부(4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될 수 있다. A rotary arm (460)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shaft (440). The shaft (44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rotary force from the driving unit (480).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402)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링(402)이 인장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암(460)의 위치가 초기 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above rotary arm (46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bove spring (402), so that when the above spring (402) is tensioned, the position of the above rotary arm (460) can be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상기 구동부(480)는, 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riving unit (480) may include a motor and a plurality of gears.

상기 구동부(480)에는 만빙 감지 레버(5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도 회전될 수 있다. A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can be connected to the above driving unit (480).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can als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riving unit (480).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제 1 레버(521)와, 상기 제 1 레버(521)의 양단에서 상기 제 1 레버(5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레버(5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may have an overall 'ㄷ' shape.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may include a first lever (521) and a pair of second levers (522)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lever (521)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lever (521).

상기 한 쌍의 제 2 레버(52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부(48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브라켓(220) 또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에 결합될 수 있다. One of the above pair of second levers (522)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unit (480), and the other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220) or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The above ice detection lever (520) can detect ice stored in the ice bin (600) by rotating.

상기 구동부(480)는,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riving unit (480) may further include a cam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rotation of the cam.

일례로, 상기 캠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캠의 회전 과정에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자석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출력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 중 어느 하나는 High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low 신호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m may be equipped with a magnet, and the sensor may be a Hall sensor for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agnet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cam. Depending on whether the sensor detects the magnet, the sensor may output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which are different outputs. On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may be a high signal, and the other may be a low signal.

후술할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 및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또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트레이(380) 및 상기 캠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므로, 상기 캠에 구비되는 자석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econd tray (380) (or the second tray assembly) based on the type and patter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That is, since the second tray (380) and the cam are rotated by the motor, the position of the second tray (380) can be indirectly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cam.

일례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할 급수 위치, 제빙 위치 및 이빙 위치가 구분 및 판단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bove sensor, the water supply position, ice making position, and ice removal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상기 제빙기(200)는, 제 2 푸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40)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22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sher (540). The second pusher (54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on the bracket (220).

상기 제 2 푸셔(540)는 적어도 하나의 푸싱 바(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푸셔(540)는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의 갯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푸싱 바(54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pusher (540) may include at least one pushing bar (544). For example, the second pusher (540) may include a number of pushing bars (544) equal to the number of the ice-making cells (see 320a of FIG. 3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푸싱 바(544)는,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푸싱 바(544)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접촉될 수 있고, 접촉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할 수 있다. The pushing bar (544) can push out ice located in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For example, the pushing bar (544) can penetrate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380) forming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and pressurize the second tray (380) that has come into contact.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샤프트(44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cover (3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and the shaft (440)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angle changes around the shaft (44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ray (380) may be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될 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tray (38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or malleable material that can change shape when pressed by the second pusher (540).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일례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second tray (38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ilicone material.

따라서,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에 의해서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분리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pressurizing the second tray (380) by the second pusher (540),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usher (540) can be transmitted to the ice as the second tray (380) is deformed. The ice and the second tray (380) can be separat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usher (540).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비금속 재질 및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면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380) 간의 결합력 또는 부착력이 줄어들 수 있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If the second tray (380)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a flexible or malleable material, the bonding or adhesive force between the ice and the second tray (380) may be reduced, so that the ice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또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비금속 재질 및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원래의 형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econd tray (380)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a flexible or malleable material, after the shape of the second tray (380) is deformed by the second pusher (540),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usher (540) is removed, the second tray (380)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얼음의 결합력 또는 부착력이 강하므로, 본 실시 예의 제빙기(200)는, 상기 이빙 히터(도 16의 290참조)와 상기 제 1 푸셔(2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rst tray (320) to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this case, since the bonding or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tray (320) and the ice is strong, the ice make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ce heater (see 290 of FIG. 16) and the first pusher (260).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제 1 푸셔(260)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tray (320) may be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When the first tray (320)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the ice maker (200) may include only one of the ice heater (290) and the first pusher (260).

또는,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제 1 푸셔(26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ce maker (200) may not include the ice heater (290) and the first pusher (260).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일례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first tray (3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ilicone material.

즉,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can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접촉 부위에서 실링 성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경도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경도는 다를 수 있다. When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the hardness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hardness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different so that sealing performance is maintained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어 형태 변형이 되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경도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경도 보다 낮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tray (380) is pressed by the second pusher (540) to change shape, the hardness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first tray (320) so that the shape of the second tray (380) can be easily changed.

<브라켓><Bracke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220)은, 상기 저장실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저장실에 고정된 커버 부재(후술함)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bracket (220)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storage room or to a cover member (described later) fixed to the storage room.

상기 브라켓(220)은, 관통공(221a)이 형성된 제 1 벽(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221)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bracket (220) may include a first wall (221) having a through hole (221a) formed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wall (221)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벽(221)은 상기 저장실의 일면 또는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벽(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벽(221b)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벽(221b)을 수평 방향 고정벽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 first wall (221) may include a first fixed wall (221b) for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room or the cover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ixed wall (221b)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fixed wall (221b)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fixed wall.

상기 제1고정벽(221b)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용 돌출부(22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제1고정벽(221b)에는 복수의 고정용 돌출부(221c)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fixed wall (221b)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221c). In order to firmly fix the bracket (220), the first fixed wall (221b)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21c).

상기 제 1 벽(221)은 상기 저장실의 일면 또는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되기 위한 제2고정벽(221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벽(221e)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벽(221e)을 수직 방향 고정벽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wall (22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ed wall (221e) for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room or the cover member.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xed wall (221e)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fixed wall (221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fixed wall.

일례로, 상기 제2고정벽(221e)은 상기 제1고정벽(221b)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벽(221e)은 고정용 리브(221e1) 및/또는 후크(221e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fixed wall (221e) may extend upward from the first fixed wall (221b). The second fixed wall (221e) may include a fixing rib (221e1) and/or a hook (221e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벽(221)은, 상기 브라켓(22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제1고정벽(221b)과 상기 제2고정벽(221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all (22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wall (221b) and the second fixing wall (221e) for fixing the bracket (220).

상기 제 1 벽(221)은 다수의 벽이 상하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벽이 수평 방향으로 높이 차를 가지고 배치되고, 다수의 벽이 수직 방향 연결벽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wall (22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walls are ste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walls may be arranged with a height differe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walls may be connected by a vertical connecting wall.

상기 제 1 벽(221)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벽(2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21d)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wall (22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wall (221d) that supports the first tray assembly.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wall (221d)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지지벽(221d)은 상기 제1고정벽(221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례로 상기 지지벽(221d)이 상기 제1고정벽(221b) 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The above-mentioned support wall (221d)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fixed wall (221b) or may be positioned at a different height. As an example, FIG. 6 illustrates that the support wall (221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fixed wall (221b).

상기 브라켓(220)은, 냉각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냉기가 통과하는 관통공(222a)을 구비하는 제 2 벽(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racket (2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ll (222) having a through hole (222a) through which cold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means passes.

상기 제 2 벽(222)은 상기 제 1 벽(2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22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2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벽(221d)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례로 상기 관통공(222a)의 최하단이 상기 지지벽(221d)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The second wall (222)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221).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all (222)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22a)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upport wall (221d). As an example, FIG. 6 illustrates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through hole (222a)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upport wall (221d).

상기 브라켓(220)은, 상기 구동부(480)가 설치되는 제 3 벽(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벽(223)은 상기 제 1 벽(2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벽(223)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bracket (22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all (223) on which the driving unit (480) is installed. The third wall (223)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221).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wall (223)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3 벽(22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벽(222)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벽(22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222)과 상기 제 3 벽(223) 사이에 상기 제빙셀(도 35의 320a참조)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wall (223)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wall (222)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wall (222).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see 320a of FIG. 3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wall (222) and the third wall (223).

상기 구동부(480)는 상기 제 2 벽(222)과 제 3 벽(223) 사이에서 상기 제 3 벽(223)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480)는, 상기 제 2 벽(222)과 상기 구동부(480) 사이에 상기 제 3 벽(223)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 3 벽(223)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80) may be installed in the third wall (223) between the second wall (222) and the third wall (223).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480) may be installed in the third wall (223) such that the third wall (223)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wall (222) and the driving unit (480).

이 경우에는, 상기 제 3 벽(223)에는 상기 구동부(480)를 구성하는 모터의 축이 통과하는 축 홀(223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제 3 벽(223)에 축 홀(223a)이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In this case, an axial hole (223a) through which the shaft of the motor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 (48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third wall (223). FIG. 7 illustrates an axial hole (223a) formed in the third wall (223).

상기 브라켓(220)은, 제 2 푸셔(540)가 고정되는 제 4 벽(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racket (22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wall (224) to which the second pusher (540) is fixed.

상기 제 4 벽(224)은 상기 제 1 벽(2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224)은 상기 제 2 벽(222)과 상기 제 3 벽(223)을 연결할 수 있다. The fourth wall (224)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221). The fourth wall (224) may connect the second wall (222) and the third wall (223).

상기 제 4 벽(224)은 수평선 및 수직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4 벽(224)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축 홀(223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fourth wall (224)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For example, the fourth wall (224)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aft hole (223a)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 제 4 벽(224)에는 상기 제 2 푸셔(54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2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4a)에는 상기 제 2 푸셔(54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224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ourth wall (224)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224a) for mounting the second pusher (540). A mounting hole (224b)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224a) for a mounting member to pass through to be mounted with the second pusher (540).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제 4 벽(22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상기 제 2 푸셔(54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ile the second pusher (540) is fixed to the fourth wall (224),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pusher (540) may come into contact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econd tray assembly. During the process of the second pusher (540) pressuring the second tray (380),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할 때,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분리되기 전에는 얼음도 상기 제 2 푸셔(54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 2 푸셔(540)를 가압하는 힘은 상기 제 4 벽(224)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224)은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4 벽(224)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4 벽(224)에는 강도 보강 부재(224c)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pusher (540) presses the second tray (380), the ice also presses the second pusher (540) before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The force pressing the second pusher (540) can be transmitted to the fourth wall (224). Since the fourth wall (224)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 strength reinforcing member (224c) can be provided on the fourth wall (224)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fourth wall (224).

일례로 상기 강도 보강 부재(224c)는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리브 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강도 보강 부재(224c)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리브와,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224c) may include ribs arranged in a grid shape. That is, th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224c) may include a first rib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ib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벽 내지 제 4 벽(221 내지 224) 중 둘 이상은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wo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walls (221 to 224) can define a space for positioning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제 1 트레이><Tray 1>

도 8은 제 1 트레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 1 트레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도 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as viewed from below.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 of Fig. 8.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제빙셀(320a)의 일부인 제 1 셀(321a)을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to 10, the first tray (320) can define a first cell (321a), which is a part of an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빙셀(320a)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벽(3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320) may include a first tray wall (321)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일례로 복수의 제 1 셀(321a)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셀(321a)은 일례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셀(321a)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320) can define,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can be arranged in a row,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9,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can be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이 상기 복수의 제 1 셀(321a)을 정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tray wall (321) can define a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은, 복수의 제 1 셀(321a)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셀 벽(3211)과, 상기 복수의 제 1 셀 벽(3211)을 연결하는 연결벽(3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일 수 있다. The first tray wall (3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ell walls (3211) for forming each of a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and a connecting wall (321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ell walls (3211). The first tray wall (321) may be a wal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개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324)는 상기 제 1 셀(321a)과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include an opening (324). The opening (324)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ell (321a).

상기 개구(324)는, 냉기가 상기 제 1 셀(321a)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324)는 얼음 생성을 위한 물이 상기 제 1 셀(321a)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opening (324) can allow cold air to be supplied to the first cell (321a). The above opening (324) can allow water for ice formation to be supplied to the first cell (321a).

상기 개구(324)는 상기 제 1 푸셔(260)의 일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일부가 상기 개구(324)를 통과하여 상기 제빙셀(320a)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The above opening (324) may provide a passage for a part of the first pusher (260) to pass through. For example,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a part of the first pusher (260)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324) and be drawn into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복수의 제 1 셀(321a)에 대응한 복수의 개구(3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324) 중에서 어느 하나는, 냉기의 통로, 물의 통로 및 제 1 푸셔(260)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324)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324) may provide a passage for cold air, a passage for water, and a passage for the first pusher (260).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개구(324)를 통해 기포가 탈출할 수 있다.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air bubbles can escape through the opening (324).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케이스 수용부(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수용부(321b)는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include a case receiving portion (321b). The case receiving portion (321b)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 portion of the first tray wall (321) sinking downward.

상기 케이스 수용부(321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324)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수용부(321b)의 바닥면은 상기 개구(32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receiving portion (321b)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pening (324).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receiving portion (321b)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ning (324).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빙셀(320a)과 연통되는 보조 저장실(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실(325)은 일례로, 상기 제빙셀(320a)에서 넘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room (325) that is connect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 example,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may store water overflowing from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보조 저장실(325)에는 급수된 물이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팽창되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다. 즉, 팽창되는 얼음이 상기 개구(324)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저장실(325)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ice that expands in the process of the supplied water changing phases can be positioned. That is, the expanded ice can pass through the opening (324) and be positioned in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상기 보조 저장실(325)은 저장실 벽(325a)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벽(325a)은 상기 개구(324)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auxiliary storage room (325) can be formed by a storage room wall (325a). The storage room wall (325a) can extend upward around the opening (324).

상기 저장실 벽(325a)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torage room wall (325a)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저장실 벽(325a)을 지난 후에 상기 개구(324)를 통과할 수 있다. In practice, the first pusher (260) can pass through the opening (324) after passing the storage room wall (325a).

상기 저장실 벽(325a)은 상기 보조 저장실(325)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개구(324)를 상기 제 1 푸셔(260)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324) 주변이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The above storage room wall (325a) not only forms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but also can reduce deformation around the opening (324) during the process of the first pusher (260) passing through the opening (324) during the freezing process.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복수의 제 1 셀(321a)을 정의하는 경우, 복수의 저장실 벽(325a) 중 적어도 하나(325b)는 급수부(240)를 지지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tray (320) defines a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at least one (325b) of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 walls (325a) can support the water supply unit (240).

상기 급수부(240)를 지지하는 저장실 벽(325b)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실 벽(325b)은,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라운드부와,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wall (325b) supporting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For example, the storage wall (325b) may include a round portion that is rou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일례로, 상기 저장실 벽(325b)은 라운드벽과, 상기 라운드벽의 양단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벽과, 상기 한 쌍의 직선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벽은 라운드진 벽이거나 직선벽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orage room wall (325b) may include a round wall, a pair of straight walls extending parallel from both ends of the round wall, and a connecting wall connecting the pair of straight walls. The connecting wall may be a round wall or a straight wall.

상기 연결벽의 상단부는 나머지 벽의 상단부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벽은 상기 급수부(2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를 지지하는 저장실 벽(325b)에 대응하는 개구도 상기 저장실 벽(325b)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above connecting wall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remaining wall. The above connecting wall may support the water supply unit (240).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room wall (325b) supporting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torage room wall (325b).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히터 수용부(3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321c)에는 이빙 히터(29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290)는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An ice heater (290) may be received in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The ice heater (29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상기 히터 수용부(321c)는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321c)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321b)에서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321c)는 상기 제 1 셀(321a)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first tray wall (321).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sunken downward from the case receiving portion (321b).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cell (321a).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rou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바닥면은 상기 개구(32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ning (324).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접촉되는 제 1 접촉면(3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바닥면은 상기 개구(324)와 상기 제 1 접촉면(322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surface (322c)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380).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pening (324)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320a)(또는 제 1 셀(321a)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ice-making cell (320a) (or the first cell (321a))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 벽(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 벽(327)은 상기 제 1 트레이 벽(321)의 상측 단부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3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327)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tray wall (321).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wall (327) may extend horizontally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tray wall (321).

상기 제 1 연장 벽(327)에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홀(327a)이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체결홀(327a)이 X축 및 Y축 하나 이상의 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extension wall (327)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first fastening holes (327a). Although not limited,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327a) may be arranged along one or more axes of the X-axis and the Y-axis.

상기 저장실 벽(325b)의 상단은 상기 제 1 연장 벽(327)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room wall (325b)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or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wall (327).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복수의 제 1 셀(321a)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폭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부피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tray (3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ells (321a), the length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increased, but the width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ray (320), so that the volume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도 11은 도 8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ure 8.

도 8,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제 2 온도 센서(700)(또는 트레이 온도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수용부(32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9, and 11, the first tray (32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in which a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or tray temperature sensor) is received.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water or ice in the ice 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온도센서(7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제빙셀(320a)의 내부 온도라 할 수 있다.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32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320), thereby indirectl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r the temperature of the ice in the ice-making cell (320a).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r the temperature of the ice in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referred to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센서 수용부(321e)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321b)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can be formed by sinking downward from the case receiving portion (321b).

이때, 상기 센서 수용부(321e)에 상기 제 2 온도센서(7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온도센서(700)가 상기 이빙 히터(29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 수용부(321e)의 바닥면은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바닥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from interfering with the ice heater (290) while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is accommodated in the sensor accommodation portion (321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nsor accommodation portion (321e) can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r accommodation portion (321c).

상기 센서 수용부(321e)의 바닥면은 상기 히터 수용부(321c)의 바닥면보다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321c).

상기 센서 수용부(321e)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빙셀(320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수용부(321e)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셀(321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ice-making cells (320a). For example,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cells (321a).

상기 센서 수용부(321e)가 두 개의 제빙셀(320a)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가 상기 제 2 트레이(250)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수용부(321e)가 두 개의 제빙셀(320a) 사이에 위치되면 적어도 두 개의 제빙셀(320a)의 온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상기 제2온도 센서가 감지하는 온도가 상기 제빙셀(320a)의 내부의 실제 온도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is positioned between two ice-making cells (320a),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second tray (250). In addition, when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is positioned between two ice-making cells (320a), it can be affected by the temperatures of at least two ice-making cells (320a), so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can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ice-making cells (320a).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제 1 셀(321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셀(321a) 사이에 상기 센서 수용부(321e)가 위치될 수 있다.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can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cells (321a) among three first cells (321a)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제 1 트레이 커버><Tray Cover 1>

도 12는 제 1 트레이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 1 트레이 커버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 1 트레이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제 1 트레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cover, Fig.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cover, Fig. 14 is a plan view of the first tray cover, and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tray case.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는 상부 플레이트(30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to 15, the first tray cover (300) may include an upper plate (301) that contacts the first tray (320).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의 하면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상측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부분(322)의 상면 및 제 2 부분(323)의 상면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1) can be combi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y (320). For example, the upper plate (301) can b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3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323)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에는 플레이트 개구(304)(또는 관통공)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개구(304)는 직선부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late opening (304) (or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301). The plate opening (304) may include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상기 플레이트 개구(304)를 통해 상기 급수부(24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개구(304)를 통해 제 1 푸셔(260)의 푸싱 바(264)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트레이(3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개구(304)를 통해 냉기가 통과하여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할 수 있다.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40) to the first tray (320) through the plate opening (304). In addition, the pushing bar (264) of the first pusher (260) can pass through the plate opening (304) to separate ice from the first tray (320). In addition, cold air can pass through the plate opening (304)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에서 플레이트 개구(304)의 직선부 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제 1 케이스 결합부(301b)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case joining portion (301b) extending upward can be formed on the straight side of the plate opening (304) in the upper plate (301).

상기 제 1 케이스 결합부(301b)는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와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case coupling part (301b)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heater case (280).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상부 플레이트(30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벽(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wall (303)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plate (301).

상기 둘레벽(303)은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벽이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한 쌍의 벽이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erimeter wall (303) may include two pairs of walls facing each other. For example, one pair of walls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other pair of walls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도 12의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둘레벽(303)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벽(302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wall (303)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of Fig. 12 may include an extension wall (302e) extending upward.

상기 연장벽(302e)은 상기 둘레벽(30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extension wall (302e) can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303).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상기 제 1 푸셔(26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슬롯(3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include a pair of guide slots (30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pusher (260).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일부는 상기 연장벽(302e)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연장벽(302e)의 하측에 위치되는 둘레벽(30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하측 부분이 상기 둘레벽(303)에 형성될 수 있다. A part of the above guide slot (302)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wall (302e), and another part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303)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wall (302e). The lower part of the above guide slot (302)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303).

상기 가이드 슬롯(302)은 도 12의 Z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guide slot (302) can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of Fig. 12.

상기 가이드 슬롯(302)은 상기 제 1 푸셔(260)가 삽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above guide slot (302) can be movable by inserting the first pusher (260). In addition, the first pusher (26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302).

상기 가이드 슬롯(302)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슬롯(302a)과 상기 제 1 슬롯(302a)의 상부 끝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슬롯(30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슬롯(302)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슬롯(302a)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bove guide slot (302) may include a first slot (302a)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301) and a second slot (302b)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ot (302a). Alternatively, the guide slot (302) may include only the first slot (302a) extending vertically.

상기 제 1 슬롯(302a)의 하단(302d)는 상기 둘레벽(303)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슬롯(302a)의 상단(302c)은 상기 둘레벽(303)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302d) of the first slot (302a)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303). Additionally, the upper end (302c) of the first slot (302a)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303).

상기 제 1 슬롯(302a)으로부터 제 2 슬롯(302b)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상기 둘레벽(30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first slot (302a) to the second slot (302b) can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eripheral wall (303).

상기 제 1 슬롯(302a)의 길이가 상기 제 2 슬롯(302b)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2 슬롯(302b)은 수평 연장부(305)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slot (302a)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lot (302b). The second slot (302b) may be bent toward the horizontal extension (305).

상기 제 1 푸셔(260)가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슬롯(302b)을 따라 이동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 1 푸셔(260)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된다. When the first pusher (260)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slot (302), the first pusher (260) rotates or tilts at a certain angle in the portion where it moves along the second slot (302b).

상기 제 1 푸셔(260)가 회전하면, 제 1 푸셔(260)의 푸싱 바(264)가 회전하여 상기 푸싱 바(264)가 제 1 트레이(320)의 개구(324)의 수직 상방에서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When the first pusher (260) rotates, the pushing bar (264) of the first pusher (260) rotates so that the pushing bar (264) moves to a position spaced vertically above the opening (324) of the first tray (320).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기 제 2 슬롯(302b)을 따라 상기 제 1 푸셔(26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푸싱 바(264)의 단부가 급수 시 공급되는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어 상기 푸싱 바(264)의 단부에서 물이 냉각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개구(324)로 상기 푸싱 바(264)가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pusher (260) moves along the second slot (302b) that is bent and extended, the end of the pushing bar (264) can be spaced apart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upplied during the water supply,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pushing bar (264) not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324) of the first tray (320) due to the water being cooled at the end of the pushing bar (264).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제 1 트레이(320) 및 후술하는 제 1 트레이 서포터(340, 도 17 참조)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301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01a) for coupling with the first tray (320) and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see FIG. 17) described later.

상기 복수의 체결부(301a)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01a) can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301).

상기 복수의 체결부(301a)는 X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1a)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301a)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X-axis and/or Y-axis directions. The above fastening members (301a)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1).

일례로, 상기 복수의 체결부(301a) 중 일부가 상기 둘레벽(303)과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som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01a) may be connected to the peripheral wall (303).

상기 체결부(301a)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above fastening portion (301a) can secure the first tray (320) by combining a fastening member.

상기 체결부(301a)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는 일례로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가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의 하면에서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의 체결홀(341a) 및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체결홀(327a)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301a)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above fastening portion (301a) may be, for example, a bolt.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portion (301a) by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341a) of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327a) of the first tray (3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도 12의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둘레벽(303) 중 일 둘레벽(303)에는 상기 둘레벽(303)에서 외부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연장부(305)가 형성될 수 있다. Among the peripheral walls (303)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of Fig. 12,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305)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peripheral wall (303) may be formed on one of the peripheral walls (303).

상기 수평 연장부(305)는 브라켓(220)의 지지벽(221d)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둘레벽(303)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30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above horizontal extension (305) can extend away from the plate opening (304) from the peripheral wall (303)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221d) of the bracket (220).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둘레벽(303) 중 다른 하나의 둘레벽(303)에는, 상기 브라켓(220)과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수직 체결부(303a)가 구비될 수 있다. Among the facing peripheral walls (303)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another peripheral wall (30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fastening parts (303a) for joining with the bracket (220).

상기 수직 체결부(303a)는 브라켓(220)의 제 1 벽(22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체결부(303a)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The above vertical fastening portion (303a)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wall (221) of the bracket (220). The above vertical fastening portions (303a)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돌출부(30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301)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protrusion (306) protruding downward.

상기 하측 돌출부(306)는 상부 플레이트(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둘레벽(303) 중 다른 하나의 둘레벽(303)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lower protrusion (306)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301) and may be positioned around another peripheral wall (303) among the peripheral walls (303)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상기 하측 돌출부(306)에는 단차(306a)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한 쌍의 연장부(281) 사이에 상기 단차(30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트레이(380)의 회전 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 step (306a) may be formed on the lower protrusion (306). The step (306a) may be formed between a pair of extensions (281)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the second tray (380) and the first tray cover (300)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tray (380) rotates.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상기 브라켓(220)의 제 1 벽(221)에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307)는 일례로 상기 수평 돌출부(306)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oks (307) coupled to the first wall (221) of the bracket (220). The hooks (307) may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protrusion (306), for example.

상기 복수의 후크(307)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크(307)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28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hooks (307)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above plurality of hooks (30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s (281).

상기 후크(307)는 상기 둘레벽(303)으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1 부분(307a)과 상기 제 1 부분(307a)의 끝에서 절곡되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07b)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hook (307) may include a first portion (307a)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peripheral wall (303)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plate (301) and a second portion (307b) bent from an end of the first portion (307a)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샤프트(44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부(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extension parts (281) to which a shaft (440) is coupled.

상기 한 쌍의 연장부(281)는 일례로 상기 하측 돌출부(306)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pair of extensions (281) may, for example,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protrusion (306).

상기 한 쌍의 연장부(281)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pair of extension parts (281)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연장부(281)는 상기 샤프트(440)가 관통되는 관통공(28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extension (281) may include a through hole (282) through which the shaft (440) passes.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는 후술하는 이빙 히터(290, 도 21 참조)에 연결된 전선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전선 가이드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tray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wire guide portion (310) for guiding a wire connected to the moving heater (290, see FIG. 21) described later.

상기 상부 전선 가이드부(310)는, 일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1)의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선 가이드부(31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이드(312)와 제 2 가이드(3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wire guide portion (310) may, for example,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late (301). The upper wire guide portion (310) may include a first guide (312) and a second guide (31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례로, 상기 제 1 가이드(312) 및 상기 제 2 가이드(314)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ide (312) and the second guide (314) may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plate (310).

상기 제 1 가이드(312)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304)의 일측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312a)과, 상기 제 1 부분(312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부분(312b), 상기 제 2 부분(312b)에서 절곡되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31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312c)은 일 둘레벽(303)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31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312a)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plate opening (304), a second portion (312b) extending by being bent from the first portion (312a), and a third portion (312c)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by being bent from the second portion (312b). The third portion (312c) may be connected to one peripheral wall (303).

상기 제 2 부분(312b)의 상단에 상기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protrusion (313)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312b) to prevent the wire from coming off.

상기 제 2 가이드(314)는, 상기 제 1 가이드(312)의 제 2 부분(312b)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1 연장부(314a)와, 상기 제 1 연장부(314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3 부분(312c)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2 연장부(31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314)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314a)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portion (312b) of the first guide (312),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14b)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4a) and positioned to face the third portion (312c).

상기 제 1 가이드(312)의 제 2 부분(312b)과 제 2 가이드(314)의 제 1 연장부(314a) 및 상기 제 1 가이드(312)의 제 3 부분(312c)과 제 2 가이드(314)의 제 2 연장부(314b)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312b) of the first guide (312)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314a) of the second guide (314) and the third part (312c) of the first guide (3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4b) of the second guide (314) can b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제 1 연장부(314a)의 상단에 상기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돌기(315)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protrusion (315)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4a) to prevent the wire from coming off.

상기 제 1 돌기(313) 및 제 2 돌기(315)에 대응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는 전선 가이드 슬롯(313a, 31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의 일부가 상기 전선 가이드 슬롯(313a, 315a)에 인입되어 상기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wire guide slot (313a, 315a)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3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313) and the second protrusion (315), and a part of the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slot (313a, 315a) to prevent the wire from coming off.

도 16은 제 1 히터 케이스와 제 1 트레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heater case and the first tray.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에는 제빙셀(320a)로 열을 제공하기 위한 이빙 히터(290)가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n ice heater (290) for providing heat to an ice-making cell (320a) can be fixed to the first heater case (280).

상기 이빙 히터(290)는, 일례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빙 히터(290)는 절곡이 가능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moving heater (290) may be, for example, a wire-type heater. Accordingly, the above-mentioned moving heater (290) may be bendable.

상기 이빙 히터(290)의 열이 복수의 제빙셀(320a) 각각으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빙 히터(290)는 복수의 제빙셀(320a)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빙 히터(290)는 상기 제 1 셀(32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heat of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to be evenly transferr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320a),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320a).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cell (321a).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case (280)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at the top of the first tray (320). Alternatively, the first heater case (28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는, 제 2 온도 센서(700)를 수용하기 위한 온도 센서 수용부(284)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heater case (280)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receiving portion (284) for receiving a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상세히, 상기 온도 센서 수용부(284)는 이빙 히터(290)와는 접촉되지 않고, 제 1 트레이(320)와는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의 하방에서 수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emperature sensor receiving portion (284) may be receiv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heater case (28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and not in contact with the moving heater (290).

상기 온도 센서 수용부(284)는 이빙 히터(290)와 접촉을 방지하고 제 2 온도 센서(7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측에 온도 센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temperature sensor receiving portion (284)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receiving space on the lower side to prevent contact with the ice heater (290) and secure a space in which a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can be received.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상기 센서 수용부(321e)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가 상기 센서 수용부(321e)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이빙 히터(290)와 이격된다.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of the first tray (320). 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is accommodated in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321e),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is spaced apart from the ice heater (290).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220)의 지지벽(221d)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moving heater (29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support wall (221d) of the bracket (220).

또한,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은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상단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pper part of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ice heater (29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storage chamber (325).

<제 1 트레이 서포터><1st Tray Supporter>

도 17은 제 1 트레이 서포터의 평면도이다.Figure 17 is a plan view of the first tray supporter.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결합되어 제 1 트레이(320)를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to support the first tray (320).

상세히,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는 제 1 트레이(320)의 상단의 하면과 접촉하는 수평부(341)와 상기 수평부(341)의 중앙에 제 1 트레이(320)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342)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341) tha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ray (320) and an insertion opening (342)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ray (320)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341).

상기 수평부(341)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상부 플레이트(301)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portion (341)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301) of the first tray cover (300).

또한, 상기 수평부(341)는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체결부(301a)와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홀(341a)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rizontal portion (34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41a) that are coupled with the fastening portion (301a) of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복수의 체결홀(341a)은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체결부(301a)에 대응되도록 도 17의 X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41a)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X-axis and/or Y-axis direction of Fig. 17 so as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ortion (301a) of the first tray cover (300).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 제 1 트레이(320) 및 제 1 트레이 서포터 (340)가 결합되면,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상부 플레이트(301),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연장 벽(327) 및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의 수평부(341)는 차례로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first tray cover (300), the first tray (320) and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are combined, the upper plate (301) of the first tray cover (300), the first extension wall (327)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horizontal portion (341) of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can be sequentially brought into contact.

상세히,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상부 플레이트(301)의 하면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연장 벽(327)의 상면이 접촉되고,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연장 벽(327)의 하면과 상기 제 1 트레이 서포터(340)의 수평부(341)의 상면이 접촉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1) of the first tray cover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wall (327) of the first tray (320) can be in contac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wall (327)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341) of the first tray supporter (340) can be in contact.

<제 2 트레이><2nd tray>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트레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9는 제 2 트레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tray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viewed from below.

도 20은 제 2 트레이의 저면도이고, 도 21은 제 2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Figure 20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tray, and Figure 21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tray.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320a)의 다른 일부인 제 2 셀(381a)을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8 to 21, the second tray (380) can define a second cell (381a), which is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320a)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벽(38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380) may include a second tray wall (381)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일례로 복수의 제 2 셀(381a)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셀(381a)은 일례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1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셀(381a)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second tray (380) above can define,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can be arranged in a row,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21,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can be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이 상기 복수의 제 2 셀(381a)을 정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tray wall (381) can define a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은 복수의 제 2 셀(381a)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셀 벽(3811)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셀 벽(3811)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tray wall (38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ell walls (3811) for forming each of a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Two adjacent second cell walls (3811) may be interconnected.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둘레벽(38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380) may include a peripheral wall (387) extending along the upper perimeter of the second tray wall (381).

상기 둘레벽(387)은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의 상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eripheral wall (387) may, for example,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tray wall (381) and may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ay wall (381).

다른 예로서, 상기 둘레벽(387)은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의 상단부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둘레벽(387)은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과 접촉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과 이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eripheral wall (387)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tray wall (381) and position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ay wall (381). In this case, the peripheral wall (387)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wall (381) 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ray wall (381).

어느 경우든, 상기 둘레벽(387)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In either case, the peripheral wall (387) can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320).

만약,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둘레벽(387)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를 둘러쌀 수 있다. If the second tray (380) includes the peripheral wall (387), the second tray (380) can surround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상기 둘레벽(387)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둘레벽(387)은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tray (380) and the peripheral wall (387) are formed separately, the peripheral wall (387)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tray case or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tray case.

일례로 하나의 제 2 트레이 벽이 복수의 제 2 셀(381a)을 정의하고, 하나의 연속적인 둘레벽(387)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For example, a single second tray wall may define a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and a single continuous peripheral wall (387) may surround the perimeter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둘레벽(387)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387b)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387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eripheral wall (387)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387b)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extension wall (387c)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연장벽(387b)에는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와의 체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홀(387a)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체결홀(387a)이 X축 및 Y축 하나 이상의 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wall (387b)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second fastening holes (387a) for fastening with the second tray case.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387a) may be arranged along one or more axes of the X-axis and the Y-axis.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면(382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380)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surface (382c)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1 접촉면(322c) 및 상기 제 2 접촉면(382c)는 수평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면(322c) 및 상기 제 2 접촉면(382c)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320a)이 구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접촉면(322c) 및 상기 제 2 접촉면(382c)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may be horizontal planes.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When the ice-making cell (320a) is spherical,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도 22는 도 18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22 of Fig. 18.

도 22에는 중심선(C1)을 지나는 Y-Z 절단면이 도시된다. Figure 22 shows a Y-Z cross s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line (C1).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320a)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부분(382)(first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82)은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벽(381)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second tray (38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382)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320a). The first portion (382) may be, for example, a portion or all of the second tray wall (381).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부분(322)은 용어 상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1 부분(382)과 구분되기 위하여 제 3 부분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은 용어 상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과 구분되기 위하여 제 4 부분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part (322)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terminologically named as the third part to distinguish it from the first part (382) of the second tray (380). In addition, the second part (323)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terminologically named as the fourth part to distinguish it from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1 부분(382)은 상기 제빙 셀(320a) 중 제 2 셀(381a)을 형성하는 제 2 셀 면(382b)(또는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portion (382) may include a second cell surface (382b) (or outer surface) forming a second cell (381a) among the ice-making cells (320a).

상기 제 1 부분(382)은 도 22의 두 개의 점선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portion (382) can be defined as the area between the two dotted lines in Fig. 22.

상기 제 1 부분(382)의 최 상단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는 상기 제 2 접촉면(382c)이다. The uppermost part of the first portion (382) is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제 2 부분(383)(second por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전달되는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형성하는 제빙셀(320a)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분(383)은 열전도 경로가 상기 제 1 셀(321a)에서 멀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tray (38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rtion (383). The second portion (383) may reduce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second tray (38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tray (320). That is, the second portion (383) serves to move the heat conduction path away from the first cell (321a).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둘레벽(387)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The above second portion (383) may be part or all of the peripheral wall (387).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부분(382)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상기 제 2 부분(383)이 상기 제 1 부분(382)과 연결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from a certain point of the first portion (382). Hereinafter, as an example, the second portion (383)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382).

상기 제 1 부분(382)의 일정 지점은 상기 제 1 부분(382)의 일단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부분(382)의 일정 지점은 상기 제 2 접촉면(382c)의 일 지점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part (382) may be one end of the first part (382). Or,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part (382) may be one point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부분(382)의 일정 지점과 접촉하는 일단과 접촉하지 않은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83)의 타단은 상기 제 2 부분(383)의 일단에 비하여, 상기 제 1 셀(321a) 보다 더 멀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portion (383) may include one end that is in contact with a point of the first portion (382) and the other end that is not in contac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be positioned further away from the first cell (321a) than the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383).

상기 제 2 부분(38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셀(32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8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셀(38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ell (321a).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cell (381a).

상기 제 2 부분(38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접촉면(382c)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8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선(C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horizont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C1).

상기 제 2 부분(383)의 적어도 일부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구동부(48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440)의 회전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The center of curvatur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haft (440) that is connected to and rotates the driving unit (480).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부분(382)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는 제 1 파트(384a)(first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383) may include a first part (384a) extending from a point of the first part (382).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파트(384a)와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38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파트(384a)와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38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38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384b)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part (384a). Alternatively, the second part (38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384b)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part (384a).

또는,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파트(384a)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 2 파트(384b)(second part) 및 제 3 파트(384c)(third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part (38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384b) and a third part (384c) formed by branching from the first part (384a).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파트(384a)는 상기 제 1 부분(38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84a)의 일부는 상기 제 2 접촉면(382c)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파트(384a)는 수평 방향 연장 파트와 수직 방향 연장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84a)는 상기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art (384a)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first part (382). A portion of the first part (384a)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That is, the first part (384a) may include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and a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The first part (384a)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predetermined point.

일례로 상기 제 3 파트(384c)의 길이는 상기 제 2 파트(384b)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third part (384c)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art (384b).

상기 제 1 파트(384a)의 적어도 일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파트(384b)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84b)와 상기 제 3 파트(384c)의 연장 방향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384c)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1 파트(384a)의 연장 방향과 다를 수 있다. The extension direc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rt (384a) may be the same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part (384b).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second part (384b) and the third part (384c) may be differ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hird part (384c) may be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part (384a).

상기 제 3 파트(384c)는, Y-Z 절단면을 기준으로 곡률이 일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파트(384c)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 반경이 일정할 수 있다. The third part (384c) may have a constant curvature based on the Y-Z cross-section. That is, the third part (384c) may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2 파트(384b)의 곡률은 0일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84b)가 직선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2 파트(384b)의 곡률은 상기 제 3 파트(384c)의 곡률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84b)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3 파트(384c)의 곡률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The curvature of the second part (384b) may be 0. When the second part (384b) is not a straight line, the curvature of the second part (384b)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third part (384c).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part (384b)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hird part (384c).

상기 제 2 부분(38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320a)의 최상단과 같거나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부분(383)이 형성하는 열전도 경로가 길어 상기 제빙셀(320a)로 열이 전달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as or higher tha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320a). In this case, the heat conduction path formed by the second portion (383) may be longer, so that heat transfer to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reduced.

상기 제 2 부분(383)의 길이는 상기 제빙셀(320a)의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샤프트(440)의 회전 중심(C4) 보다 높은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샤프트(440)의 최상단 보다 높은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383)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ice-making cell (320a).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to a point higher than the rotation center (C4) of the shaft (440). For example, the second portion (383) may extend to a point higher than the top of the shaft (440).

상기 제 2 부분(383)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형성하는 제빙셀(320a)로 전달하는 것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 1 부분(382)의 제1지점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83a)와, 제 1 부분(382)의 제2지점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8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383)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383a) extending from a first point of the first part (382)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83b) extending from a second point of the first part (382) so as to reduce the transfer of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tray (320).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부(383a) 및 제 2 연장부(383b)는,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8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83b) may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도 2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장부(383a)는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연장부(383b)는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Based on Fig. 22, the first extension part (383a)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83b) may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상기 제 1 연장부(383a)와 상기 제 2 연장부(383b)는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83a)와 상기 제 2 연장부(383b)는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8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83b)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8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83b)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Y축 방향으로의 상기 제 2 연장부(383b)의 길이(수평 길이)는 상기 제 1 연장부(383a)의 길이(수평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ngth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383b)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383a).

상기 제 1 연장부(383a)는 상기 제 2 연장부(383b) 보다 상기 브라켓(220)의 제 2 벽(222) 또는 제 3 벽(223) 중에서 상기 제 4 벽(224)이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에지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83a)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edge portion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fourth wall (224) is connected among the second wall (222) or the third wall (223) of the bracket (220) tha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83b).

상기 제 2 연장부(383b)는 상기 제 1 연장부(383a) 보다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4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383b)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shaft (440) provid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than the first extension (383a).

본 실시 예의 경우, Y축 방향으로의 상기 제 2 연장부(383b)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장부(383a)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빙기(200)가 설치되는 공간 대비 브라켓(220)의 폭을 줄이면서도 열전도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383b)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383a).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bracket (220)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space in which the ice maker (200) is installed, while increasing the heat conduction path.

Y축 방향으로의 상기 제 2 연장부(383b)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장부(383a)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는 제 2 트레이(380)를 구비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된다.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383b) in the Y-axis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383a),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having the second tray (380)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increases.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면,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원심력이 증가되어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빙력이 증가될 수 있어, 얼음의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increases,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second tray assembly increases, so that the ice separation force for separating ice from the second tray assembly during the ice separation process can increase, thereby improving the ice separation performance.

상기 제 2 연장부(383b)의 적어도 일부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구동부(48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440)를 곡률의 중심으로 할 수 있다. The center of curvatur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383b) may be the shaft (440) tha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80) and rotates as the center of curvature.

상기 중심선(C1)을 지나는 Y-Z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장부(383a)의 하측부와 상기 제 2 연장부(383b)의 하측부 간의 거리 보다 상기 제 1 연장부(383a)의 상측부와 상기 제 2 연장부(383b)의 상측부 간의 거리가 클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83a)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83b)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83a)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83b) based on the Y-Z cross-s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line (C1).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부(383a)와 제 2 연장부(383b)의 간의 거리는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8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83b) may increase upward.

상기 제 1 연장부(383a) 및 상기 제 2 연장부(383b) 각각이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3 파트(384a, 384b, 384c)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83a)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83b) may include the first to third parts (384a, 384b, 384c).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제 3 파트(384c)는,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83a) 및 제 2 연장부(383b)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third part (384c) can also be described as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art (383a)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83b)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상기 제 1 부분(382)은 Y축 방향으로 반경이 가변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part (382) can have a variable radius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제 1 부분(382)은 제 1 영역(382d)(도 22에서 A 영역 참조)과 제 2 영역(382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portion (382) may include a first region (382d) (see region A in FIG. 22) and a second region (382e).

상기 제 1 영역(382d)의 적어도 일부의 곡률은 상기 제 2 영역(382e)의 적어도 일부의 곡률과 다를 수 있다. The curvatur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gion (382d) may be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382e).

상기 제 1 영역(382d)은 상기 제빙셀(320a)의 최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region (382d) may include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영역(382e)은 상기 제 1 영역(382d)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382e)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egion (382d).

상기 제 1 영역(382d)과 제 2 영역(382e)은 상하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region (382d) and second region (382e) can be divid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상기 제 1 영역(382d)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382d)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접촉되기 위한 히터 접촉면(382g)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region (382d). The first region (382d) can include a heater contact surface (382g) for bringing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to contact with the first region (382d).

상기 히터 접촉면(382g)은 일례로 수평면일 수 있다. 상기 히터 접촉면(382g)은 상기 제 1 부분(382)의 최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heater contact surface (382g) may be, for example, a horizontal plane. The heater contact surface (382g)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382).

상기 제 2 영역(382e)은 상기 제 2 접촉면(382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382e) may include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상기 제 1 영역(382d)은,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팽창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region (382d) may include a shape that sink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ice expands in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상기 제 2 영역(382e)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상기 제 1 영역(382d)에서 함몰되는 형상이 위치하는 부분까지의 거리가 짧을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o the part where the sunken shape is located in the first region (382d)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o the second region (382e).

일례로, 상기 제 1 영역(382d)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는 가압부(382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82f)로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382f)가 변형되면서 얼음이 상기 제 1 부분(382)에서 분리된다. 상기 가압부(382f)로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부(382f)는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382d) may include a pressurizing portion (382f) that is pressurized by the second pusher (540)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usher (540) is applied to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is deformed and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ortion (382).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is removed,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may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상기 중심선(C1)은 상기 제 1 영역(382d)을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심선(C1)은 상기 가압부(382f)를 관통할 수 있다. The above center line (C1) can penetrate the first region (382d). For example, the above center line (C1) can penetrate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상기 히터 접촉면(382g)은 상기 가압부(382f)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heater contact surface (382g) can be arranged to surround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상기 히터 접촉면(382g)은 상기 가압부(382f)의 최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쉬 있다. The above heater contact surface (382g) is likely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most part of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상기 히터 접촉면(382g)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선(C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 접촉면(382g)에 접촉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적어도 일부도 상기 중심선(C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contact surface (382g)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line (C1).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contact with the heater contact surface (382g) may also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line (C1).

따라서,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가압부(382f)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제 2 푸셔(54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econd pusher (540) pressurizes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econd pusher (540).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상기 가압부(382f)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상기 제 2 영역(382e)까지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o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o the second region (382e).

<제 2 트레이 커버><2nd tray cover>

도 23은 제 2 트레이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제 2 트레이 커버의 평면도이다.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cover, and Figure 24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tray cover.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는 제 2 트레이(380)의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362)(또는 관통공)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3 and 24, the second tray cover (360) includes an opening (362) (or through hole) into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is inserted.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하측에서 삽입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일부가 상기 개구(362)를 통해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tray (380)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ray cover (360),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cond tray cover (360) through the opening (362).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는, 상기 개구(362)를 둘러싸는 수직벽(361)과 곡선벽(3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econd tray cover (360) may include a vertical wall (361) and a curved wall (363) surrounding the opening (362).

상세히, 상기 수직벽(361)은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3면을 형성하고, 상기 곡선벽(363)은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나머지 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vertical wall (361) may form three sides of the second tray cover (360), and the curved wall (363) may form the remaining side of the second tray cover (360).

상기 수직벽(361)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이고, 상기 곡선벽(363)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362)에서 멀어지도록 라운드지는 벽일 수 있다.The above vertical wall (361) may be a wall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the above curved wall (363) may be a wall that rounds upwardly to move away from the opening (362).

상기 수직벽(361)과 곡선벽(363)에는 제 2 트레이(380) 및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361a, 361c, 363a)가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wall (361) and the curved wall (36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61a, 361c, 363a)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수직벽(361)과 곡선벽(363)은 상기 복수의 체결부(361a, 361c, 363a)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홈(361b, 361d, 36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vertical wall (361) and curved wall (363)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361b, 361d, 363b)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361a, 361c, 363a).

상기 복수의 체결부(361a, 361c, 363a)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제 2 트레이(380)를 관통하여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결합부(401a, 401b, 401c)에 결합될 수 있다.A fasten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361a, 361c, 363a) and may penetrate the second tray (38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401a, 401b, 401c)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이 때, 복수의 체결홈(361b, 361d, 363b)을 통해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수직벽(361)과 곡선벽(363)의 상부로 돌출되어 다른 구성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above the vertical wall (361) and the curved wall (363) thr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361b, 361d, 363b) and interfering with other configurations.

상기 수직벽(361)의 상기 곡선벽(363)과 마주보는 벽에는 복수의 제 1 체결부(361a)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ortions (361a) may be provided on the wall facing the curved wall (363) of the vertical wall (361).

상세히,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부(361a)는 도 23의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ortions (361a)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of FIG. 23.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361a)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체결홈(361b)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groove (361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361a).

일례로, 상기 제 1 체결홈(361b)은 상기 수직벽(36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체결부(361a)는 상기 제 1 체결홈(361b)의 함몰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groove (361b) may be formed by the vertical wall (361) being sunken,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61a) may be provided in the sunken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361b).

또한, 상기 수직벽(361)은 복수의 제 2 체결부(36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rtical wall (36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361c).

상기 복수의 제 2 체결부(361c)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수직벽(36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arts (361c) can be provided on vertical walls (361)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상세히, 상기 복수의 제 2 체결부(361c)는 후술하는 제 3 체결부(363a)에 비해 상기 제 1 체결부(361a)와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와 결합 시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연장부(40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detail,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361c) can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61a) than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3a) described later, and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xtension portion (403)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described later.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 2 체결부(361c)가 위치되는 상기 수직벽(361)에는 상기 제 2 체결부(361c)를 제외한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체결홈(361d)이 더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ertical wall (361) o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361c) are positione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astening groove (361d) formed so that the portions exclud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361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곡선벽(363)에는 제 2 트레이(380) 및 제 2 트레이 서포터 (40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 3 체결부(363a)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urved wall (36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portions (363a)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 3 체결부(363a)는 도 23의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parts (363a)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of FIG. 23.

상기 곡선벽(363)에는 상기 제 3 체결부(363a) 각각에 대응되는 제 3 체결홈(363b)이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urved wall (363)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fastening groove (363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ird fastening portions (363a).

일례로, 상기 제 3 체결홈(363b)은 상기 곡선벽(363)이 수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 체결부(363a)는 상기 제 3 체결홈(363b)의 함몰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fastening groove (363b) may be formed by vertically sinking the curved wall (363),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3a) may be provided in the sunken portion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363b).

도 25는 제 2 트레이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6은 제 2 트레이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27-2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2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and Fig. 2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7-27 of Fig. 25.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제 2 트레이(380)의 하부가 안착되는 서포터 바디(40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5 to 27,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include a supporter body (407)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is secured.

상기 서포터 바디(407)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40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er body (407) may include a receiving space (406a) in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can be received.

상기 수용공간(406a)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1 부분(382)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406a)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 (382)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hem.

상기 서포터 바디(407)는 이빙 과정에서 제 2 푸셔(54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406b)(또는 관통공)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er body (407) may include a lower opening (406b) (or through hole) for a part of the second pusher (540) to pass through during the icing process.

일례로, 상기 서포터 바디(407)에 3개의 수용공간(406a)에 대응하도록 3개의 하부 개구(406b)가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lower openings (406b)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er body (407) to correspond to three receiving spaces (406a).

또한, 상기 하부 개구(406b)로 제 2 트레이(380)의 하측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406b)에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exposed through the lower opening (406b).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positioned in the lower opening (406b).

상기 서포터 바디(407)의 상면(407a)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407a) of the above supporter body (407) can extend horizontally.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서포터 바디(407)의 상면(407a)과 단차진 하부 플레이트(4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407a) of the supporter body (407) and a stepped lower plate (401).

상기 하부 플레이트(401)는 상기 서포터 바디(407)의 상면(407a)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The above lower plate (401)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407a) of the supporter body (407).

상기 하부 플레이트(401)는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401a, 401b, 401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lower plate (4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401a, 401b, 401c)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tray cover (360).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와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 사이에 제 2 트레이(38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tray (380) can be inserted and joined between the second tray cover (360) and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하측에 제 2 트레이(380)가 위치되고,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상측에서 제 2 트레이(380)가 수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 second tray (38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ray cover (360), and the second tray (380) may be accommod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또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1연장벽(387b)이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의 체결부(361a, 361b, 361c) 및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결합부(401a, 401b, 401c)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wall (387b) of the second tray (380) can be combined with the fastening portion (361a, 361b, 361c) of the second tray cover (360) and the joining portion (401a, 401b, 401c)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부(401a)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401a) 와 상기 제 2, 3 결합부(401b, 401c)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401a)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401a) and the second and third coupling portions (401b, 401c)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제 3 결합부(401c)는 제 2 결합부(401b)보다 제 1 결합부(401a)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coupling portion (401c) may be positioned further away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401a) tha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01b).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40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벽(4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extension wall (405)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lower plate (401).

상기 수직 연장벽(405)의 일면에는 샤프트(440)와 결합되어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연장부(403)가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vertical extension wall (405)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extension parts (403) coupled with a shaft (440) to rotate the second tray (380).

상기 한 쌍의 연장부(403)는 도 25의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장부(403)는 관통공(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air of extension parts (403)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of Fig. 25. In addition, each of the above extension parts (403)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404).

상기 관통공(404)은 상기 샤프트(440)가 관통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403)의 내측으로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연장부(281)가 배치될 수 있다.The shaft (440) can pass through the above through hole (404), and the extension (281) of the first tray cover (300) can be placed inside the pair of extensions (403).

또한, 상기 관통공(404)은 중심부(404a)와 상기 중심부(404a)에 대칭으로 연장되는 연장공(40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rough hole (404)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portion (404a) and an extension hole (404b) extending symmetrically to the central portion (404a).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스프링(402)이 결합되기 위한 스프링 결합부(40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coupling portion (402a) to which a spring (402) is coupled.

상기 스프링 결합부(402a)는 상기 스프링(402)의 하단이 걸리도록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bove spring coupling part (402a) can form a ring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402) is caught.

또한, 상기 수직 연장벽(405)의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벽 중 하나에는 후술하는 투명빙 히터(430) 또는 투명빙 히터(430)에 연결되는 전선을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408)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wall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vertical extension wall (405)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hole (408) for guiding a transparent ice heater (430) or a wire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outside.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푸셔 링크(500)가 결합되는 링크 연결부(40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405a)는 일례로 상기 수직 연장벽(405)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further include a link connecting portion (405a) to which the pusher link (500) is coupled. The link connecting portion (405a) may, for example, protrude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vertical extension wall (405).

상기 링크 연결부(405a)는 도 27을 기준으로, 중심선(CL1)과 상기 관통공(404)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link connection part (405a) may be located in the area between the center line (CL1) and the through hole (404) based on Fig. 27.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401)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제 2 히터 케이스(420, 도 28 참조)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히터 결합부(409)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heater coupling parts (409)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1) to be coupled with a second heater case (420, see FIG. 28)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복수의 제 2 히터 결합부(409)는,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second heater coupling parts (409)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and/or the Y-axis direction.

도 27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제빙셀(320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380)를 지지하는 제 1 부분(4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서 상기 제 1 부분(411)은 두 개의 점선 사이 영역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포터 바디(407)가 상기 제 1 부분(411)을 형성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 27,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include a first part (411) that supports a second tray (380) that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320a). In FIG. 27, the first part (411) may be an area between two dotted lines. For example, the supporter body (407) may form the first part (411).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제 1 부분(411)의 일정 지점에서 연장되는 제 2 부분(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413) extending from a certain point of the first part (411).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로 전달되는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형성하는 제빙셀(320a)로 전달되는 것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413) can reduce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2 부분(41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형성하는 제 1 셀(32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413)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ell (321a) formed by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멀어지는 방향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방향일 수 있다. The above second part (413) may have a moving direction that is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멀어지는 방향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기준으로 하측 방향일 수 있다. The above second part (413) may have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평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파트(414a)와, 상기 제 1 파트(414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41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part (413) may include a first part (414a)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above point, and a second part (414b)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part (414a).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평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파트(414a)와, 상기 제 1 파트(414a)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414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413) may include a first part (414a)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predetermined point, and a third part (414c)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part (414a).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평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파트(414a)와, 상기 제 1 파트(414a)에서 분지되도록 형성된 제 2 파트(414b) 및 제 3 파트(414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part (413) may include a first part (414a)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above-described point, and a second part (414b) and a third part (414c) formed to branch from the first part (414a).

상기 서포터 바디(407)의 상면(407a)이 일례로 상기 제 1 파트(414a)를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407a) of the above supporter body (407) can form, for example, the first part (414a).

상기 제 1 파트(414a)는 수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파트(414d)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401)가 일례로 상기 제 4 파트(414d)을 형성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part (414a) may additionally include a fourth part (414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late (401) may form the fourth part (414d), for example.

상기 수직 연장벽(405)이 일례로 상기 제 3 파트(414c)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bove vertical extension wall (405) may form, for example, the third part (414c).

상기 제 3 파트(414c)의 길이는 상기 제 2 파트(414b)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third part (414c)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art (414b).

상기 제 2 파트(414b)는 상기 제 1 파트(414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414c)는 상기 제 1 파트(414a)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part (414b)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part (414a). The third part (414c) may exten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part (414a).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제 1 셀(321a)의 최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은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portion (413)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first cell (321a) or may extend to a lower point.

상기 제 2 부분(413)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선(C1)과 대응되는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1 연장부(413a)와 제 2 연장부(41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ortion (413)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413b)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L1) corresponding to the center line (C1) of the ice-making cell (320a).

도 27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장부(413a)는 상기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연장부(413b)는 상기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Based on Fig. 27, the first extension part (413a)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13b) may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1).

상기 제 1 연장부(413a)와 상기 제 2 연장부(413b)는 상기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413a)와 상기 제 2 연장부(413b)는 상기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b)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1).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b)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1).

수평선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연장부(413b)가 상기 제 1 연장부(413a)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연장부(413b)의 열전도 길이가 상기 제 1 연장부(413a)의 열전도 길이가 길다.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b) is longer tha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That is, the heat conduction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b) is longer than the heat conduction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상기 제 1 연장부(413a)는 상기 제 2 연장부(413b)보다 상기 브라켓(220)의 제 2 벽(222) 또는 제 3 벽(223) 중에서 상기 제 4 벽(224)이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에지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edge portion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fourth wall (224) is connected among the second wall (222) or the third wall (223) of the bracket (220) tha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b).

상기 제 2 연장부(413b)는 상기 제 1 연장부(413a) 보다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4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413b)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shaft (440) provid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than the first extension (413a).

본 실시 예의 경우, Y축 방향으로의 상기 제 2 연장부(413b)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장부(413a)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는 제 2 트레이(380)를 구비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 반경도 커지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sion (413b) in the Y-axis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413a),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having the second tray (380)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also becomes larger.

상기 제 2 연장부(413b)의 적어도 일부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구동부(48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440)의 회전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The center of curvatur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413b)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haft (440) that is connected to and rotates the driving unit (480).

상기 제 1 연장부(413a)는 상기 수평선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414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414e)은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The above first extension portion (413a) may include a portion (414e) extending upward relative to the horizontal line. The portion (414e) may, for example, surround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상기 하부 개구(406b)를 포함하는 제 1 영역(415a)과,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빙셀(320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 2 영역(415b)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415a) including the lower opening (406b) and a second region (415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e-making cell (320a) to support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1 영역(415a)과 상기 제 2 영역(415b)은 일례로 상하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7에서 일례로 상기 제 1 영역(415a)과 상기 제 2 영역(415b)이 1점 쇄선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이 도시된다. The first region (415a) and the second region (415b) can be divided, for examp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27, as an example, the first region (415a) and the second region (415b) are shown to be divided by a dashed line.

상기 제 1 영역(415a)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region (415a) can support the second tray (380).

제어부는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제빙셀(320a)의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하부 개구(406b)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트레이 서포터(400) 내부의 제2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빙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ice maker (200) so that the second pusher (540) moves from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 making cell (320a) to a second point inside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via the lower opening (406b).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내변형도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내변형도 보다 클 수 있다.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be greater than the internal deformation of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복원도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복원도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degree of restoration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tray (380).

또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는, 하부 개구(406b)을 포함하는 제 1 영역(415a)과, 상기 제 1 영역(415a)에 비하여 상기 투명빙 히터(43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제 2 영역(415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can be described as including a first region (415a) including a lower opening (406b) and a second region (415b) located further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han the first region (415a).

<제 2 히터 케이스><2nd heater case>

도 28은 제 2 히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9는 제 2 히터 케이스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도면이고, 도 30은 도 29의 30-3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1은 제 2 히터 케이스의 일부 확대도이다.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eater case, FIG. 29 is a drawing of the lower heater coupled to the second heater case,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0-30 of FIG. 29, and FIG. 3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heater case.

본 실시 예의 제빙기는,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열을 가하기 위한 투명빙 히터(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ice heater (430) for applying heat to the second tray (380)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도 28 내지 도 41를 참조하면, 제 2 히터 케이스(420)는 제 2 트레이(380)의 하측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투명빙 히터(430)를 수용하는 제 2 히터 수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8 to 41, the second heater case (420) may include a second heater receiving portion (425) that receives a transparent ice heater (430) for transferring hea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case (4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제 2 히터 수용부(425)가 형성되는 제 2 히터 플레이트(421)와 상기 제 2 히터 플레이트(42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히터 수직벽(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eater case (4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ater plate (421) in which the second heater receiving portion (425) is formed and a second heater vertical wall (424)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an edge of the second heater plate (421).

상기 제 2 히터 수용부(425)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하단과 접촉하는 복수의 곡선부(425a)와 상기 복수의 곡선부(425a)를 연결하는 복수의 직선부(425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eater receiving portion (42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425a) that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ray (380) and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425b) that connect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425a).

상기 복수의 곡선부(425a)의 중앙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422)가 구비될 수 있다.An opening (422) into which a lower part of the second tray (380) is inserted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425a).

상기 개구(422)를 둘러싸는 상기 복수의 곡선부(425a)의 내측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하단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425a) surrounding the opening (422)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ray (380).

일례로, 상기 곡선부(425a)의 내측이 상기 곡선부(425a)의 외측보다 낮을 수 있고, 상기 곡선부(425a)의 내측은 경사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425a) may be lower than the out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425a), and the inn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425a) may be inclined.

상기 제 2 히터 플레이트(421)의 바닥에서 상기 제 2 히터 수용부(425)의 둘레를 따라 히터 지지벽(4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지지벽(425c)은 상기 제 2 히터 수용부(425)에 수용된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 2 히터 수용부(42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heater support wall (425c) may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second heater receiving portion (425) at the bottom of the second heater plate (421). The heater support wall (425c) may prevent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received in the second heater receiving portion (42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heater receiving portion (425).

또한, 상기 복수의 곡선부(425a)의 도 28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425a) based on the X-axis direction of Fig. 28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상기 복수의 곡선부(425a)의 양 끝단 중 하나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외측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425d)이 구비될 수 있다. A guide groove (425d) through which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guided outward may be provided at one of the two ends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425a).

또한, 상기 가이드 홈(425d)이 형성되는 방향의 상기 제 2 히터 플레이트(421)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벽(423)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vertically extending guide wall (423) may be formed on the second heater plate (4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groove (425d) is formed.

상기 가이드 벽(423)은 상기 가이드 홈(425d)을 따라 가이드된 상기 투명빙 히터(430) 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 연결된 전선을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의 외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above guide wall (423) can guid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r the wire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425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eater case (420).

상기 가이드 벽(423)은 인접한 곡선부(425a)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guide wall (423)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djacent curved portion (425a).

상기 가이드 벽(423)은 상기 가이드 홈(425d)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guide wall (423)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guide groove (425d) as the center.

상기 복수의 직선부(425b)에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425c1)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anti-separation protrusions (425c1) may be formed on the plurality of straight sections (425b).

또한, 상기 제 2 히터 플레이트(421)에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제 2 히터 결합부(409)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히터 체결부(421a)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heater plate (42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heater fastening portions (421a) for fastening with the second heater fastening portions (409)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복수의 제 2 히터 체결부(421a)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second heater fastening parts (421a)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의 하측에서 체결 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히터 체결부(421a) 및 상기 제 2 히터 결합부(409)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A fasten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eater case (420) and may penetrate and be coupled to the second heater fastening portion (421a) and the second heater coupling portion (409).

상기 제 2 히터 수직벽(424)의 네 면 중 일면의 일부에 절개부(424a)가 구비될 수 있다. A cutout (424a)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second heater vertical wall (424).

일례로, 상기 가이드 벽(423)을 통해 가이드된 상기 투명빙 히터(430) 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 연결된 전선이 절개부(424a)를 통해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의 외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guided through the guide wall (423) or a wire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eater case (420) through the cut portion (424a).

상기 절개부(424a)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가이드 홀(408)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ut portion (424a) can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hole (408)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The above transparent ice heater (4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 예의 제어부(800)는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셀(320a)에 냉기가 공급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빙셀(320a)에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supply heat to the ice making cell (320a) during at least some of the sections in which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320a) so that transparent ice can be created.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320a)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음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빙기(200)에서 투명빙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상기 제빙셀(320a)의 외부로 탈출하거나 상기 제빙셀(320a) 내에 일정한 위치로 포집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By the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he speed of ice formation can be delayed so that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320a) can move from the part where ice is formed to the liquid water, thereby allowing transparent ice to be formed in the ice maker (200). In other words,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can be induced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ice-making cell (320a) or be captured at a certain position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한편, 상기 제빙셀(320a)에 후술할 냉기공급수단(900)이 냉기를 공급할 때,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빠르면 상기 제빙셀(320a)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지 못한 채 결빙되어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described later supplies cold air to the ice making cell (320a), if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is fast,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 making cell (320a) may freeze without moving from the part where ice is created to the liquid water, and thus the transparency of the created ice may be low.

이에 반해, 상기 제빙셀(320a)에 냉기공급수단(900)이 냉기를 공급할 때,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리면 상기 문제점이 해소되어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는 높아 질 수 있으나, 제빙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supplies cold air to the ice making cell (320a), if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is slow,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and the transparency of the ice created can be increased, but the problem of the ice making time taking a long time can occur.

따라서, 제빙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줄이면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빙셀(320a)에 대해 국부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셀(320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the delay in ice making time and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cell (320a) so as to locally supply heat to the ice making cell (320a).

한편,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빙셀(320a)의 일측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빙셀(320a)의 타측으로 쉽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wher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ce-making cell (320a),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metal so as to reduce the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from being easily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of the ice-making cell (320a).

또는, 이빙 과정에서 트레이(320, 380)에 부착된 얼음이 잘 분리되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수지(resin) 일 수 있다.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may be made of a resin including plastic so that the ice attached to the trays (320, 380) is easily separated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한편, 이빙 과정에서 푸셔(260, 540)에 의해 변형된 트레이가 원래의 형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시블 혹은 연성 재질일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may be made of a flexible or malleable material so that the tray deformed by the pusher (260, 540) during the moving process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일례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second tray (380).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for example, a wire-type heater.

일례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380) or may be plac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ray (38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다른 예로서,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투밍빙 히터(430)가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econd heater case (420) not to be provided separately, and for the tumbling heater (430) to be installed on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어느 경우든,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공급된 열은 상기 제빙셀(320a)로 전달될 수 있다. In any cas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supply heat to the second tray (380), and the heat supplied to the second tray (380) can be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제 1 푸셔> <1st Pusher>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 푸셔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2의 (a)는 제 1 푸셔의 사시도이고, 도 32의 (b)는 제 1 푸셔의 측면도이다. FIG. 32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p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of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usher, and (b) of FIG. 32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usher.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푸셔(260)는 푸싱 바(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싱 바(264)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나 트레이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제 1 에지(264a)와, 상기 제 1 에지(264a)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에지(264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the first pusher (260) may include a pushing bar (264). The pushing bar (264) may include a first edge (264a) on which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ice or a tray during the freezing process is formed, and a second edge (264b) located opposite the first edge (264a).

상기 가압면은 일례로 평면이거나 곡면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ressurized surface may be, for example, flat or curved.

상기 푸싱 바(26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직선 형태 또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pushing bar (264) can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or a curved shape with at least a portion being rounded.

상기 푸싱 바(264)의 직경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개구(324)의 직경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푸싱 바(264)는 상기 개구(324)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320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제빙셀(320a)을 관통하는 관통형 푸셔라고 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pushing bar (26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324) of the first tray (320). Therefore, the pushing bar (264) can be inserted into the ice-making cell (320a) by penetrating the opening (324). Therefore, the first pusher (260) can be referred to as a penetrating pusher that penetrates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빙기가 복수의 제빙셀(3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푸셔(260)는 복수의 푸싱 바(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푸싱 바(264)는 연결부(26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ice maker includes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320a), the first pusher (2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shing bars (264). Two adjacent pushing bars (264)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263).

상기 연결부(263)는 상기 푸싱 바(264)의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싱 바(264)가 상기 제빙셀(320a)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에지(264a) 및 상기 연결부(263)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263) can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ushing bars (264) to each other. 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ushing bar (264) into the ice-making cell (320a), the second edge (264a) and the connecting portion (263)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관통하는 가이드 연결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푸셔(260)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의 수직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usher (260) may include a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penetrating the guide slot (302). For example,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usher (260).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val, or polygonal shape.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에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abov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can be positioned in the guide slot (302).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can move lengthwise along the guide slot (302) while positioned in the guide slot (302). For example,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can move in the up-down direction.

상기 가이드 슬롯(302)이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브라켓(220) 또는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above guide slot (302)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first tray cover (300), it may also be formed in the bracket (220) or the wall forming the storage room.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기 푸셔 링크(500)와 결합되기 위한 링크 연결부(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266)는 상기 제 2 에지(264b)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may further include a link connecting portion (266) for coupling with the pusher link (500). The link connecting portion (266)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edge (264b).

상기 링크 연결부(266)가 상기 푸셔 링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연결부(266)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nk connecting portion (266)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while the link connecting portion (266) is coupled with the pusher link (500).

<제 1 푸셔와 푸셔 링크의 연결 관계>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usher and the pusher link>

도 33은 제 1 푸셔가 푸셔 링크에 의해서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3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y assembly by a pusher link.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 링크(500)는 상기 제 1 푸셔(260)와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푸셔 링크(500)는 상기 제 1 푸셔(260)와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the pusher link (500) can connect the first pusher (260)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For example, the pusher link (50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usher (260) and the second tray case.

상기 푸셔 링크(500)는, 링크 바디(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바디(502)는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 바디(502)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푸셔 링크(500)의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푸셔 링크(500)가 상기 제 1 푸셔(26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The above pusher link (500) may include a link body (502). The link body (502) may have a rounded shape. Since the link body (502)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the pusher link (500) can rotate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and the pusher link (500) can move the first pusher (260) up and down.

상기 푸셔 링크(500)는 상기 링크 바디(502)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504)와, 상기 링크 바디(502)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연결부(50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usher link (5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provided at one end of the link body (502)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502).

상기 제 1 연결부(504)는 상기 링크 연결부(266)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홀(50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266)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연결부(504)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hole (504a) for coupling the link connecting portion (266). The link connecting portion (26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after passing through the guide slot (302).

상기 제 2 연결부(506)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 제 2 연결부(506)에는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구비된 링크 연결부(405a)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홀(50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hole (506a) to which a link connecting portion (405a) provided on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is coupled.

상기 제 2 연결부(506)는 샤프트(440)의 회전중심(C4)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중심(C4)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4) of the shaft (440) or the rotation center (C4) of the second tray assembly.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연결된 푸셔 링크(5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푸셔 링크(500)의 회전에 과정에서 상기 푸셔 링크(500)와 연결된 제 1 푸셔(260)가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er link (500) connected to the second tray assembly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sher link (500), the first pusher (260) connected to the pusher link (5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302).

상기 푸셔 링크(5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푸셔(260)의 상하 이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above pusher link (500) can serve to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tray assembly into the up-and-down movement force of the first pusher (260).

따라서, 상기 제 1 푸셔(260)를 이동형 푸셔라고도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pusher (260) may also be called a movable pusher.

<제 2 푸셔><Second Pusher>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푸셔의 사시도이다.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us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푸셔(540)는, 푸싱 바(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싱 바(544)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제 1 에지(544a)와, 상기 제 1 에지(544a)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에지(544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4, the second pusher (5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ushing bar (544). The pushing bar (544) may include a first edge (544a) on which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second tray (380) during the icing process is formed, and a second edge (544b)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dge (544a).

이빙 과정에서 회전 동작하는 제 2 트레이(38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푸싱 바(544)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ushing bar (544)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time for which it presses the second tray (380) increase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econd tray (380) that rotates during the icing process.

상기 제 1 에지(544a)는 평면으로서 수직면이거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edge (544a) may be a vertical plane or may include an inclined plane.

상기 제 2 에지(544b)가 상기 브라켓(220)의 제 4 벽(224)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 2 에지(544b)가 결합판(542)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220)의 제 4 벽(224)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edge (544b) may be joined to the fourth wall (224) of the bracket (220), or the second edge (544b) may be joined to the fourth wall (224) of the bracket (220) by a joining plate (542).

상기 결합판(542)은 상기 브라켓(220)의 제 4 벽(224)에 형성된 안착홈(224a)에 안착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joining plate (542) can be seated in a seating groove (224a) formed in the fourth wall (224) of the above-mentioned bracket (220).

상기 제빙기(200)가 복수의 제빙셀(320a)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푸셔(540)는 복수의 푸싱 바(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푸싱 바(544)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결합판(542)에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ice mak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320a), the second pusher (5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shing bars (544). The plurality of pushing bars (544)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542)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푸싱 바(544)는 상기 결합판(54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판(54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pushing bars (54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joining plate (542) or may be joined to the joining plate (542).

상기 제 1 에지(544a)는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선(C1)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edge (544a) can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1 에지(544a)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선(C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above first edge (544a)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C1) of the ice-making cell (320a) from top to bottom.

수직선에 대한 상기 제 1 에지(544a)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제 2 에지(544b)가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angle of the inclined plane formed by the first edge (544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may be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inclined plane formed by the second edge (544b).

상기 푸싱 바(544)가 상기 제 1 에지(544a)의 중심에서 상기 제 2 에지(544b)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은 적어도 2개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ing bar (544)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edge (544a)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edge (544b) may include at least two directions.

일례로, 상기 푸싱 바(544)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ushing bar (544) may include a first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portion.

상기 푸싱 바(544)를 따라 상기 제 1 에지(544a)의 중심에서 상기 제 2 에지(544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일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edge (544a) to the center of the second edge (544b) along the pushing bar (544) may be a curve.

상기 제 1 에지(544a)와 제 2 에지(544b)는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에지(544a)는 상기 제 2 에지(544b)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dge (544a) and the second edge (544b) may have different heights. The first edge (544a)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dge (544b).

도 35는 도 2의 35-3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5-35 of Fig. 2.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 the ice maker (200) may include a first tray assembly (201) and a second tray assembly (211)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는, 상기 제빙셀(320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부분(212)과, 상기 제 1 부분(212)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부분(2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ay include a first part (212)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a second part (213) extended from a certain point of the first part (212).

상기 제 2 부분(213)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가 형성하는 제빙셀(320a)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above second part (213) can reduce the transfer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tray assembly (201).

상기 제 1 부분(212)은 도 35에서 두 개의 점선 사이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above first part (212) may be an area located between two dotted lines in Fig. 35.

상기 제 1 부분(212)의 일정 지점은 상기 제 1 부분(212)의 끝단이거나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first part (212) may be an end of the first part (212) or a point where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eet.

상기 제 1 부분(2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가 형성하는 제빙셀(320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12)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tray assembly (201).

상기 제 2 부분(213)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213)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열전달을 저감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지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13) may be branched into at least two or more portions to reduce heat transfer in a direction extending into the second portion (213).

상기 제 2 부분(213)의 일부는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213)의 일부는 상기 제빙실(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 part of the second part (213)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A part of the second part (213) may extend upward based on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room (320a).

상기 제 2 부분(213)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파트(213c)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213d) 및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213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213) may include a first part (213c)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a second part (213d) extending upwardly based on the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a third part (213e) extending downwardly.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로 전달되는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가 형성하는 제빙셀(320a)로 전달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 1 부분(212)은 상기 제빙셀(320a)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열전달도가 다를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tray assembly (201), the first part (212) may have a different heat transfer rate in the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1 부분(212)의 최하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을 가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positioned to heat both sides centered on the lowest part of the first part (212).

상기 제 1 부분(212)은, 제 1 영역(214a)과, 제 2 영역(214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에는 1점 쇄선에 의해서 상기 제 1 영역(214a)과, 제 2 영역(214b)이 구분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2 영역(214b)은 상기 제 1 영역(214a)의 상측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portion (212) may include a first region (214a) and a second region (214b). In Fig. 35, the first region (214a) and the second region (214b) are illustrated as being divided by a dashed line. The second region (214b) may be an region located above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 2 영역(214b)의 열전달도는 상기 제 1 영역(214a)의 열전달도 보다 클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second region (214b) may be greater tha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 1 영역(214a)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214a)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214a)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positioned. That is,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 1 영역(214a)에서 상기 제빙셀(320a)을 형성하는 최하단부(214a1)는 상기 제1영역(214a)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열전달도가 낮을 수 있다. In the first region (214a), the lowermost portion (214a1) forming the ice-making cell (320a) may have lower heat transf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 2 영역(214b)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region (214b)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come into contact.

상기 제 1 영역(214a)은 상기 제빙셀(320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14b)은 상기 제빙셀(320a)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214a) may form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320a). The second region (214b) may form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영역(214b)은 상기 제 1 영역(214a) 보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서 더 멀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214b) may be positioned further away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han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서 상기 제 1 영역(214a)으로 전달되는 열이 상기 제 2 영역(214b)이 형성하는 제빙셀(320a)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제 1 영역(214a)의 일부는 상기 제 1 영역(214a)의 다른 일부에 비하여 열전달도가 작을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the first region (214a) to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second region (214b), a part of the first region (214a) may have a lower heat transfer rate than another part of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 2 영역(214b)이 형성하는 제빙셀(320a)에서 상기 제 1 영역(214a)이 형성하는 제빙셀(320a) 방향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영역(214a)의 일부는 상기 제 1 영역(214a)의 다른 일부 보다 내변형도는 작고 복원도는 클 수 있다. In order to cause ice to b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region (214a) in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second region (214b), a part of the first region (214a) may have a smaller deformation resistance and a larger recovery resistance than another part of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외주면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제 1 영역(214a)의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214a)의 다른 일부보다 얇을 수 있다. The thickness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thinner in a part of the first region (214a) than in another part of the first region (214a).

상기 제 1 영역(214a)은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region (214a)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and a second tray cas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Y-Z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의 평균 단면적 또는 평균 두께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평균 단면적 또는 평균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Based on the Y-Z cross-section, the average cross-sectional area or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tray assembly (201) may be greater than the average cross-sectional area or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Y-Z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의 최대 단면적 또는 최대 두께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최대 단면적 또는 최대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Based on the Y-Z cross-section,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r maximum thickness of the first tray assembly (201)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r maximum thickn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Y-Z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의 최소 단면적 또는 최소 두께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최소 단면적 또는 최소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Based on the Y-Z cross-section,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r minimum thickness of the first tray assembly (201) may be greater than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r minimum thickn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Y-Z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의 최소 단면적의 균일도 또는 최소 두께의 균일도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최소 단면적 의 균일도 또는 최소 두께의 균일도 보다 클 수 있다. Based on the Y-Z cross-section, the uniformity of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r the uniformity of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first tray assembly (201) may be greater than the uniformity of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r the uniformity of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한편, 상기 브라켓(220)의 Y축 방향으로 길이를 이등분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중심(C4)은 편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enter of rotation (C4) may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a line that bisects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bracket (220).

또한, 상기 브라켓(220)의 Y축 방향으로 길이를 이등분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빙셀(320a)은 편심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a line that bisects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bracket (220).

상기 회전 중심(C4)은 상기 제빙셀(320a) 보다 상기 제 2 푸셔(5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rotation center (C4)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second pusher (540) than to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부분(213)은 상기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1 연장부(213a) 및 제 2 연장부(21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ortion (213)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213a)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13b) positioned opposit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1).

상기 제 1 연장부(213a)는 도 35를 기준으로 중심선(C1)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연장부(213b)는 상기 중심선(C1)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art (213a) may be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center line (C1) based on Fig. 35,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13b) may be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center line (C1).

상기 급수부(240)는 상기 제 1 연장부(213a)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302)을 포함하고, 한 쌍의 가이드 슬롯(302) 사이 영역에 상기 급수부(24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water supply unit (240)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extension unit (213a). The first tray assembly (201) includes a pair of guide slots (302), and the water supply unit (240) can be positioned in an area between the pair of guide slots (302).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길이는 상기 제빙셀(320a)의 반경과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높이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above guide slot (302) may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radius of the abov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height of the above auxiliary storage room (325).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Figure 3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32)(또는 제빙셀)에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6,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freezer (32) (or ice making cell).

도 36에는 일례로 상기 냉각기가 냉기공급수단(900)을 포함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Fig. 36 illustrates that the cooler includes a cold air supply means (900).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상기 냉동실(32)로 공급할 수 있다. The abov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supply cold air to the freezer (32) using a refrigerant cycle.

일례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냉매를 압축하기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출력(또는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include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er (32) may vary depending on the output (or frequency) of the compressor.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증발기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출력(또는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달라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include a fan for blowing air to the evaporator. The amount of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er (32) may vary depending on the output (or rotation speed) of the fan.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량을 조절하는 냉매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include a refrigerant valve that controls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cycle.

상기 냉매밸브에 의한 개도 조절에 의해서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량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cycle can be vari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refrigerant valve,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er (32) can be vari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상기 압축기, 팬 및 냉매밸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ompressor, fan, and refrigerant valve.

상기 냉기공급수단(900)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제빙기(20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further include an evaporator for heat-exchanging the refrigerant and air. Cold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800) that controls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급수부(2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 밸브(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242)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240).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 히터(290), 상기 투명빙 히터(430), 상기 구동부(480), 냉기공급수단(900), 급수 밸브(242)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some or all of the ice heater (290),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he driving unit (480),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and the water supply valve (24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기(200)가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빙 히터(290)의 출력과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다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ce maker (200) includes both the ice heater (290) an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he output of the ice heater (290) and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different.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다른 경우, 상기 이빙 히터(290)의 출력 단자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단자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두 출력 단자의 오체결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outputs of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and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ice heater (430) are different, the output terminal of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so that incorrect connection of the two output terminals can be prevented.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이빙 히터(290)의 출력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빙 히터(290)에 의해서 신속하게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output of the ice heater (290)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Accordingly, the ice can be quickly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by the ice heater (29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빙 히터(29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ice heater (290) is not provide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plac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tray (380) described above, or may be plac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tray (320).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32)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센서(33)(또는 고내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33) (or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1 온도센서(33)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33).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3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ice in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제빙셀에 대한 투명빙 히터의 상대 위치에 따른 높이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9는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당 투명빙 히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height standar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a transparent ice heater with respect to an ice-making cell, and Figure 3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utput of a transparent ice heater per unit height of water in an ice-making cell.

도 40은 급수 위치에서의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Fig. 4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도 41은 도 40에서 급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41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is completed in Figure 40.

도 42는 제빙 위치에서의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3은 제빙 완료 상태에서 제 2 트레이의 가압부가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4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in the ice-making position, and Fig. 43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izing portion of the second tray is deformed in the ice-making completed state.

도 44는 이빙 과정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5는 이빙 위치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4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during the icing process, and FIG. 4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ray assembly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at the icing position.

도 41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를 급수 위치로 이동시킨다(S1). Referring to FIGS. 41 to 45, in order to create ice in the ice maker (200), the control unit (800) moves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S1).

본 명세서에서, 도 42의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도 45의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정방향 이동(또는 정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of FIG. 42 to the ice-breaking position of FIG. 45 may be referred to as forward movement (or forward rotation).

반면, 도 45의 이빙 위치에서 도 42의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역방향 이동(또는 역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from the ice position of Fig. 45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Fig. 42 can be called reverse movement (or reverse rotation).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급수 위치 이동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킨다. The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s detected by a sensor,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has moved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control unit (800) stops the driving unit (480).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이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320)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회전중심(C4)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는 제 1 각도(θ1)를 이룬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과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접촉면(382c)이 제 1 각도를 이룬다.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form a firs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C4). That is,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form a first angle.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급수가 시작된다(S2). Water supply begins when the second tray (380) is moved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S2).

급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급수 밸브(242)를 온시키고, 설정된 양 만큼의 물이 공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급수 밸브(242)를 오프시킬 수 있다. To supply water, the control unit (800) turns on the water supply valve (24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et amount of water has been supplied, the control unit (800) can turn off the water supply valve (242).

일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도시되지 않은 유량 센서에서 펄스가 출력되고, 출력된 펄스가 기준 펄스에 도달하면, 설정된 양 만큼의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For example, dur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a pulse is output from an undisclosed flow sensor, and when the output pulse reaches a reference puls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set amount of water has been supplied.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은 제 1 트레이(320)를 둘러쌀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을 둘러쌀 수 있다. In the supply position,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can surround the first tray (320). For example,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can surround the second part (323) of the first tray (320).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에서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빙셀(320a)에 급수된 물이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빙 과정에서 팽창되는 물이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 사이로 누수되어 결빙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econd tray (380) moves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from leaking between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water that expands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from leaking between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and freezing.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3).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driving unit (480) to move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o the ice-making position (S3).

일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급수 위치에서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480) to move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접촉면(382c)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과 가까워지게 된다.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becomes closer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접촉면(382c)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제 2 셀(381a)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된다. Then, the water between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is divided and distribu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381a).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접촉면(382c)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제 1 셀(321a)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When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r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the first cell (321a) is filled with water.

이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접촉면(382c)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접촉면(322c)이 밀착되면, 제빙셀(320a)의 물이 누수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re in close contact, water leakage from the ice-making cell (320a) can be reduced.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빙 위치 이동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킨다. The movement of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s detected by a sensor,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has moved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control unit (800) stops the driving unit (480).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S4). Ice making begins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s moved to the ice making position (S4).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과 마주볼 수 있다.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can face the second part (323)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second portion (383)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portion (323) of the first tray (320)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320a)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second portion (383)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portion (323)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or higher than the top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최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second portion (383)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portion (323)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과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art (323) of the first tray (320) to form a space.

상기 공간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부분(322)이 형성하는 제빙셀(320a)의 최상단과 같은 높이이거나 더 높은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최상단보다 낮은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above space may extend to a point that is the same height as or higher than the top of the ice-making cell (320a) formed by the first part (322) of the first tray (320). The above space may extend to a point that is lower than the top of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상기 이빙 히터(29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2 부분(323) 사이 공간에서 물이 결빙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can provide heat to reduce freezing of water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and the second part (323) of the first tray (3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부분(383)은 누수 방지부 역할을 한다. 상기 누수 방지부의 길이가 가능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art (383) of the second tray (380) functions as a leak prevention part. It is advantageous for the length of the leak prevention part to be formed as long as possible.

상기 누수 방지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사이로 누수되는 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as the length of the above-mentioned leak prevention section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leak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can be reduced.

상기 제 2 부분(383)이 형성하는 누수 방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leakage prevention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portion (383)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부분(322)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1 부분(382)을 마주보는 제1면의 면적 보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1 부분(382)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 1 부분(322)을 마주보는 제2면의 면적 보다 크다. 이러한 면적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area of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322) of the first tray (320) facing the first portion (382) of the second tray (380) is great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382) of the second tray (380) facing the first portion (322) of the first tray (320). This difference in area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에 도달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로 도달하고, 급수 시간이 설정 시간 경과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Ice making may start when the second tray (380) reaches the ice making position. Alternatively, ice making may start when the second tray (380) reaches the ice making position and the water supply time has elapsed for a set time.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냉기가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ice making begins, 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so that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320a).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이 상기 제빙셀(320a)로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fter ice making begins, 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be turned on during at least some of the period in which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supplies cold air to the ice making cell (320a).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는 경우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빙셀(320a)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빙셀(320a)에서의 얼음의 생성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When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the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so the speed of ice production in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delayed.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320a)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음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제빙기(200)에서 투명빙이 생성될 수 있다. As in this embodiment, transparent ice can be created in the ice maker (200) by delaying the speed of ice creation so that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320a) can move from the part where ice is created toward the liquid water by the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whether the on condi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satisfied (S5).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빙이 시작되고 바로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되어야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될 수 있다(S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not turned on immediately after ice making starts, but rather,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turned on only when the on condi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satisfied (S6).

일반적으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되는 물은 상온의 물이거나 상온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일 수 있다. 이렇게 급수된 물의 온도는 물의 어는점 보다 높다. In general,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water at room temperature or water at a temperature lower than room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in this manner is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of water.

따라서, 급수 이후 냉기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낮아지다가 물의 어는점에 도달하면 물이 얼음으로 변화된다. Therefore, after the water is immers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ecreases due to the cold air, and when it reaches the freezing point of water, the water changes into ice.

본 실시 예의 경우,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기 전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온시키지 않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not be turned on before the water changes into ice.

만약,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의 온도가 어는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어는점에 도달하는 속도가 느려져 결과적으로 얼음의 생성 시작이 지연된다. I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reaches the freezing point, the speed at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eaches the freezing point is slowed down by the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and as a result, the start of ice formation is delayed.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 이후에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의 기포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얼음이 생성되기 전부터 제빙셀(320a)로 열이 공급되면, 얼음의 투명도와 무관하게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작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transparency of ice can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bubbles in the area where ice is formed after ice begins to be formed. However, if heat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before ice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perates regardless of the transparency of the ic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는 경우, 불필요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작동에 따라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after the on condi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satisfied,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prevented.

물론,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제빙 시작 후 바로 온되더라도 투명도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제빙 시작 후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since the transparency is not affected even i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immediately after ice making starts, it is also possible to turn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n after ice making start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800)는, 설정된 특정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 되기 이전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800) may determine that the on condi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satisfie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rom a set specific point in time. The specific point in time may be set to at least one of the points in time befor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시점은 제빙을 위해 냉기공급수단(900)이 냉력을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제빙 위치에 도달한 시점, 급수 공급이 완료된 시점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ecific point in time may be set as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starts supplying cold power for ice making, the point in time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reaches the ice making position, the point in time 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etc.

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800) may determine that the on condi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satisfie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reaches the on reference temperature.

일례로,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상기 제빙셀(320a)의 최 상측(개구(324)측)에서 물이 얼기 시작한 것임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for determining that water has started to freeze at the uppermost side (the opening (324) side) of the ice making cell (320a).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의 일부가 어는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다. When some of the water freezes in the ice making cell (320a), the temperature of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320a) is below zero.

상기 제빙셀(320a)에서의 얼음의 온도 보다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온도가 높을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320a).

물론, 상기 제빙셀(320a)에는 물이 존재하기는 하나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영하의 온도일 수 있다. Of course, water exists in the ice-making cell (320a), but after ice starts to form in the ice-making cell (320a),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may be below zero.

따라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하였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영하 이하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at ice has started to be formed in the ice making cell (320a)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the on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set to a temperature below zero.

즉,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온 기준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므로, 상기 제빙셀(320a)의 얼음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로서 온 기준 온도 보다 낮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얼음이 생성된 것임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reaches the on-reference temperature, the on-reference temperature is a sub-zero temperature, so the temperature of the ice in the ice-making cell (320a) will be sub-zero and lower than the on-reference temperature. Therefore, it can be indirectly determined that ice has been formed in the ice-making cell (320a).

이와 같이,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빙셀(320a) 내로 전달된다. In this way, when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the hea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ransferred into the ice-making cell (320a).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열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320a)의 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cond tray (380)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tray (320) an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arranged to supply heat to the second tray (380), ice can start to be cre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ce-making cell (320a).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이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액체 상태의 물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ice is generated from the top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bubbles move downward toward the liquid water in the part where ice is generated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물의 밀도는 얼음의 밀도 보다 크므로,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물 또는 기포가 대류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빙 히터(430) 측으로 기포가 이동할 수 있다. Since the density of water is greater than that of ice, water or air bubbles can convect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air bubbles can move towar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ce-making cell (320a), the mass (or volume) per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예를 들어, 상기 제빙셀(320a)이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다. For example, when the ice-making cell (320a) is a rectangular solid, the mass (or volume) per unit height of water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is the same.

반면, 상기 제빙셀(320a)이 구형이나 역삼각형, 초승달 모양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는 다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making cell (320a) has a shape such as a sphere, an inverted triangle, a crescent moon, etc., the mass (or volume) per unit height of water is different.

만약,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동일하면,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다르므로,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If, assuming that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s constant,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he same,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is different, so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per unit height may be different.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반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큰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리다. For example,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small, the rate of ice formation is fast, whereas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large, the rate of ice formation is slow.

결국,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어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경우, 기포가 얼음에서 물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얼음이 기포를 포함하게 되어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Ultimately, the rate at which ice is formed per unit height of water is not constant, so the transparency of the ice may vary by unit height. In particular, if the rate of ice formation is fast, the bubbles may not be able to move from the ice to the water side, so the ice may contain bubbles and have low transparency.

즉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의 편차가 작을수록 생성된 얼음의 단위 높이 당 투명도의 편차도 작아지게 된다. That is, the smaller the deviation in the rate at which ice is formed per unit height of water, the smaller the deviation in the transparency of the formed ice per unit height.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and/or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vary depending o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가변은, 상기 압축기의 출력 가변, 팬의 출력 가변 및 상기 냉매밸브의 개도가 가변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cooling capacity variation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ation in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variation in the output of the fan, and variation in the opening degree of the refrigerant valv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의 가변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가변하는 것 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듀티를 가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variation of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mean variation of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r variation of the duty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이때,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듀티는, 1회 주기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온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거나, 1회 주기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오프 시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uty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mean the ratio of the on time to the off time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one cycle, or may mean the ratio of the off time to the on time and off time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one cycle.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의 기준은, 상기 제빙셀(320a)과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tandard for the unit height of water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may vary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예를 들어, 도 38의 (a)와 같이 제빙셀(320a)의 바닥에서 투명빙 히터(43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38,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height is the same from the bottom of the ice-making cell (320a).

이 경우,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연결하는 선은 수평선이고, 상기 수평선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이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단위 높이의 기준이 된다. In this case, the line connecting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a horizontal line, and a lin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line becomes the standard for the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도 38의 (a)의 경우에는 제빙셀(320a)의 최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얼음이 생성되고, 성장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of Fig. 38, ice is created and g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ce-making cell (320a).

반면, 도 38의 (b)와 같이 제빙셀(320a)의 바닥에서 투명빙 히터(430)의 높이가 다르도록 배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38,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of the ice-making cell (320a).

이 경우, 상기 제빙셀(320a)의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빙셀(320a)로 열이 공급되므로, 도 38의 (a)와 다른 패턴으로 얼음이 생성된다. In this case, heat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at different heights of the ice-making cell (320a), so ice is generated in a pattern different from that in (a) of Fig. 38.

일례로, 도 38의 (b)의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 최상단에서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투명빙 히터(430)가 위치되는 우측 하방으로 얼음이 성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b) of Fig. 38, ice is created at a location spaced to the left from the top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ice can grow to the lower right wher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located.

따라서, 도 38의 (b)의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수직한 선(기준선)이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단위 높이의 기준이 된다. 도 38의 (b)의 기준선은 수직선에서 소정 각도 경사진다. Therefore, in the case of (b) of Fig. 38, a line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points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becomes the standard for the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The reference line of Fig. 38 (b)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vertical line.

도 39는 도 38의 (a)와 같이 투명빙 히터가 배치된 경우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 구분 및 단위 높이 당 투명빙 히터의 출력량을 보여준다. Figure 39 shows the unit height division of water and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per unit height in the case where the transparent ice heater is arranged as in Figure 38 (a).

이하에서는, 물의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생성 속도가 일정해지도록 투명빙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a transparent ice heater so that the ice production speed is constant for each unit height of water is explained.

도 39를 참조하면, 제빙셀(320a)이 일례로 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최대가 되고, 다시 감소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9, when the ice-making cell (320a)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for example,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reaches a maximum, and then decreases again.

일례로 직경이 50mm인 구 형태의 제빙셀(320a)내의 물(또는 제빙셀 자체)을 6mm 높이(단위 높이)로 9개의 구간(A 구간 내지 I 구간)으로 구분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단위 높이의 크기 및 구분되는 구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For example, water (or the ice-making cell itself) in a spherical ice-making cell (320a) with a diameter of 50 mm is divided into 9 sections (sections A to I) at 6 mm heights (unit heights) as an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ize of the unit height and the number of sections divided.

상기 제빙셀(320a) 내의 물을 단위 높이로 구분하는 경우, 구분되는 각 구간 별 높이는 A 구간 내지 H 구간은 동일하고, I 구간은 나머지 구간 보다 높이가 낮다. 물론, 상기 제빙셀(320a)의 직경 및 구분되는 구간의 개수에 따라서, 구분되는 모든 구간의 단위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is divided into unit heights, the heights of each divided section are the same for sections A to H, and section I is lower than the remaining sections. Of course,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number of divided sections, the unit heights of all divided sections may be the same.

다수의 구간 중에서 E 구간은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대인 구간이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대인 구간은, 상기 제빙셀(320a)이 구 형태인 경우, 상기 제빙셀(320a)의 직경, 상기 제빙셀(320a)의 수평 단면적 또는 원주 둘레가 최대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Among the multiple sections, section E is the section where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maximum. For example, the section where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maximum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ce-making cell (320a) or the circumference is maximum when the ice-making cell (320a) is spherical.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일정하고,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일정한 경우를 가정할 때, E 구간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제일 느리고, A구간 및 I 구간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제일 빠르다. 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s constant and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constant, the ice creation speed in section E is the slowest, and the ice creation speeds in sections A and I are the fastest.

이러한 경우,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생성 속도가 달라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지게 되고, 특정 구간에서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너무 빨라 기포를 포함하여 투명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the speed of ice creation differs by unit height, so the transparency of the ice differs by unit height, and in certain sections, the speed of ice creation is so fast that it contains air bubbles, which causes a problem of reduced transparency.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물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동일하거나 유사해지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peed at which ice is formed per unit height becomes the same or similar while allowing air bubbles to move toward the water side in the part where ice is formed during the ice formation process.

구체적으로, E 구간의 질량이 가장 크므로, E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5)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mass of section E is the largest, the output (W5)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section E can be set to a minimum.

E 구간의 질량 보다 D 구간의 질량이 작으므로, 질량이 작아지는 만큼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빨라지므로, 얼음 생성 속도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Since the mass of section D is smaller than that of section E, the speed of ice formation increases as the mass decreases, so it is necessary to delay the speed of ice formation.

따라서, D 구간에서의 상기 투밍빙 히터(430)의 출력(W4)은 E 구간에서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5)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output (W4) of the above-mentioned tumbling heater (430) in section D can be set higher than the output (W5) of the transparent tumbling heater (430) in section E.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C 구간의 질량이 D 구간의 질량 보다 작으므로, C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3)은 D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4)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For the same reason, since the mass of section C is smaller than the mass of section D, the output (W3)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f section C can be set higher than the output (W4)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f section D.

또한, B 구간의 질량이 C 구간의 질량 보다 작으므로, B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2)은 C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3)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ss of section B is smaller than the mass of section C, the output (W2)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f section B can be set higher than the output (W3)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f section C.

또한, A 구간의 질량이 B 구간의 질량 보다 작으므로, A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1)은 B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2)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ss of section A is smaller than the mass of section B, the output (W1)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f section A can be set higher than the output (W2)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of section B.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E 구간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줄어드므로, E 구간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W6, W7, W8, W9 참조). For the same reason, since the mass per unit height decreases as one goes downward in section E,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increase as one goes downward in section E (see W6, W7, W8, and W9).

따라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변화 패턴을 살펴보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된 후에, 최초 구간에서 중간 구간 까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Therefore, when examining the output change patter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after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gradually reduced from the initial section to the middle section.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소인 구간인 중간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최소가 될 수 있다.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minimum in the middle section, which is the section where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minimum.

상기 중간 구간의 다음 구간에서부터는 다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From the next section of the above intermediate section,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increased stepwise again.

생성되는 얼음의 형태나 질량에 따라서, 인접하는 두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구간과 D구간의 출력이 동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적어도 2개 구간에서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동일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shape or mass of the ice being generat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two adjacent sections to be the sam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utput of sections C and D to be the same. That is,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at least two sections can be the same.

또는, 단위 높이당 질량이 가장 작은 구간 외의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a minimum in a section other than the section with the smallest mass per unit height.

예를 들어, D 구간 또는 F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일 수 있다. E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 출력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section D or section F may be minimum.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section E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nimum output.

정리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초기 출력이 최대일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최소 출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In summary,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the maximum initial output.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reduced to the minimum output.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각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감소하거나, 적어도 2개 구간에서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The output of the abov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reduced stepwise in each section, or the output may be maintained in at least two sections.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상기 최소 출력에서 종료 출력까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종료 출력은 상기 초기 출력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The output of the abov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increased from the minimum output to the end output. The end output can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initial output.

또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 출력에서 종료 출력까지 각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적어도 2개 구간에서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increased stepwise in each section from the minimum output to the final output, or the output may be maintained in at least two sections.

또는, 다수의 구간 중 마지막 구간 이전의 어느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종료 출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마지막 구간에서는 종료 출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종료 출력이 된 후에는 상기 종료 출력이 마지막 구간까지 유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come a termination output in any section before the last section among multiple sections.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be maintained as a termination output in the last section. That is, after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becomes a termination output, the termination output may be maintained until the last section.

제빙이 수행될 수록 상기 제빙셀(320a)에 존재하는 얼음의 양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이 출력이 마지막 구간이 될때까지 계속 증가되면,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되는 열이 과하게 되어 상기 마지막 구간 종료 후에도 상기 제빙셀(320a) 내에 물이 존재할 수 있다. As ice making is performed, the amount of ice existing in the ice making cell (320a) decreases. Therefore, if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ontinues to increase until the last section, the heat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320a) becomes excessive, and water may exist in the ice making cell (320a) even after the last section ends.

따라서, 마지각 구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종료 출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maintained as the end output in at least two sections including the final section.

이러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제어에 의해서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균일해지고, 최하측 구간으로 기포가 모이게 된다. 따라서, 얼음 전체적으로 볼때, 국부적인 부분에 기포가 모이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cy of the ice becomes uniform for each unit height, and air bubbles gather in the lowest section. Accordingly, when looking at the entire ice, air bubbles gather in localized areas, and the remaining areas can become transparent overall.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셀(320a)이 구 형태가 아니라도, 상기 제빙셀(320a)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경우,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ce-making cell (320a) is not in a spherical shape,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when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varied according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within the ice-making cell (320a).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큰 경우의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은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작은 경우의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보다 작다.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large is smaller than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small.

일례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반비례 하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maintaining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the same,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varie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또한,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가변시킴으로써,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ransparent ice can be created by varying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ing supply means (900) according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큰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증가시키고,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large,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be increased, and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is small,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be decreased.

일례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maintaining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onstant, the cooling power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be varied in proportion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의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가변 패턴을 살펴보면, 제빙 과정 중, 최초 구간에서 중간 구간 까지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증가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cooling power variation pattern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n the case of producing spherical ice, the cooling power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increase from the initial section to the middle section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소인 구간인 중간 구간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최대가 될 수 있다.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ing air supply means (900) can be maximized in the middle section, which is the section where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minimum.

상기 중간 구간의 다음 구간에서부터는 다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감소될 수 있다. From the next section of the above intermediate section,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ing air supply means (900) can be reduced again.

또는,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가변시킴으로써,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ransparent ice can be created by varying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and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depending o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가변시키고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반비례 하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ing supply means (900) can be varied in proportion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and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vari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본 실시 예와 같이,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경우,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의 생성 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one or more of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and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the speed of ice production per unit height of water can be maintained substantially the same 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도 43과 같이,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가압부(382f)가 얼음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82f)의 변형에 의해서 얼음의 하측 부분이 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As shown in Fig. 43,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may be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ell (320a) by being pressurized by the ice. The lower part of the ice may take on a spherical shap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ressurizing portion (382f).

한편,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 Meanwhile,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S8).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킬 수 있다(S9).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the control unit (800) can turn of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S9).

일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800) may determine that ice making is complete and turn of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이때,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와 각 제빙셀(320a) 간의 거리가 다르므로, 모든 제빙셀(320a)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 또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이빙을 시작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and each ice-making cell (320a) is different, in order to determine that ice creation is complete in all ice-making cells (320a), the control unit (800) can start ice-mak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at which ice-making is determined to be complete or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reaches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a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 히터(290) 및 투명빙 히터(430)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킨다(S10).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800) operates at least one of the ice removal heater (290) and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o separate the ice (S10).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 중 하나 이상이 온되면, 히터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상기 제 2 트레이(380)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제 2 트레이(380) 중 하나 이상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ice heater (290) and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turned on, the heat of the heater is transferr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so that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또한, 상기 히터(290, 430)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접촉면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1접촉면(322c)과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2접촉면(382c) 간에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heat of the heater (290, 430) is transferr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thereby making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separable.

상기 이빙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 중 하나 이상이 설정 시간 작동되거나,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800)은 온된 히터(290, 430)를 오프시킨다(S10). When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ice heater (290) and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ice heater (430) operates for a set time o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700) becomes higher than the off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800) turns off the turned-on heater (290, 430) (S10).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오프 기준 온도는 영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above off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set to the temperature of the image.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시킨다(S11). The above control unit (800) operates the driving unit (480) so that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S11).

도 44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로부터 이격된다. As shown in Fig. 44, when the second tray (38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tray (38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한편,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력이 상기 푸셔 링크(500)에 의해서 상기 제 1 푸셔(26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푸셔(260)가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상기 푸싱 바(264)가 상기 개구(324)를 관통하게 되고, 상기 제빙셀(320a) 내의 얼음을 가압한다. Meanwhile, the moving force of the second tray (38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usher (260) by the pusher link (500). Then, the first pusher (260) descends along the guide slot (302), causing the pushing bar (264) to pass through the opening (324) and pressurize the ice in the ice-making cell (320a).

본 실시 예에서, 이빙 과정에서, 상기 푸싱 바(264)가 얼음을 가압하기 전에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온된 히터의 열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before the pushing bar (264) pressurizes the ice. That is,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tray (320) by the heat of the turned-on heater.

이 경우에는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ce can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tray (38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tray (380).

다른 예로서, 상기 히터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표면에서 얼음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even if the heat of the heater is applied to the first tray (320), there may be cases where ice is not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tray (320).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정 방향 이동 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개구(324)를통과한 상기 푸싱 바(264)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밀착된 얼음을 가압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state, during the movement process of the second tray (380), the pushing bar (264) that passed through the opening (324) presses the i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ray (320), so that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된 얼음은 다시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The ic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can be supported again by the second tray (380).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함께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ice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tray (38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tray (380),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by its own weight even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tray (380).

만약,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지 않더라도 도 44 및 45과 같이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하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분리되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If, during the movement process of the second tray (380), the ice does not fall from the second tray (380) due to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S. 44 and 45, when the second pusher (5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380) and presses the second tray (380), the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and fall downward.

일례로 도 44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푸셔(540)의 푸싱 바(544)와 접촉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4,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tray (38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ushing bar (544) of the second pusher (540).

도 44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푸셔(540)와 접촉하는 시점에서, 상기 회전중심(C4)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는 제2각도(θ2)를 이룬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1접촉면(322c)과 제 2 트레이(380)의 제2접촉면(382c)이 제2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2각도는 제1각도 보다 크며, 90도와 가까울 수 있다. As shown in Fig. 44,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tray (38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usher (540),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form a second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C4). That is,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form a second angle. The second angle is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and may be close to 90 degrees.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푸싱 바(544)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변형되고, 상기 푸싱 바(544)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continues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ushing bar (544) presses the second tray (380), so that the second tray (380) is deform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ing bar (544) is transmitted to the ice, so that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tray (380).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600)에 보관될 수 있다. Ic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tray (380) can fall downward and be stored in the ice bin (600).

본 실시 예에서 도 45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어 변형된 위치를 이빙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tray (380) is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the second pusher (540) as shown in FIG. 45 can be called the moving position.

도 45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이빙 위치에서, 상기 회전중심(C4)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는 제3각도(θ3)를 이룬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1접촉면(322c)과 제 2 트레이(380)의 제2접촉면(382c)이 제3각도(θ3)를 이룬다. 상기 제3각도(θ3)는 제2각도(θ2) 보다 크다. 일례로 상기 제3각도(θ3)는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다. As shown in Fig. 45, at the mov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first tray assembly (201) and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form a third angle (θ3) based on the center of rotation (C4). That is,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form a third angle (θ3). The third angle (θ3) is larger than the second angle (θ2). For example, the third angle (θ3) is larg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80 degrees.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푸셔(540)의 제 1 에지(544a)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2접촉면(382c) 간의 거리는, 상기 제 2 푸셔(540)의 제 1 에지(544a)와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하부 개구(406b) 간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usher (540), at the moving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544a) of the second pusher (54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544a) of the second pusher (540) and the lower opening (406b)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얼음의 부착도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얼음의 부착도 보다 크다. 따라서,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제 1 에지(264a)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1접촉면(322c)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제 2 푸셔(540)의 제 1 에지(544a)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2접촉면(382c) 간의 최소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The adhesion of the ice to the first tray (320) is greater than the adhesion of the ice to the second tray (380). Therefore,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264a) of the first pusher (260)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at the ice-moving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544a) of the second pusher (54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82c) of the second tray (380).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제 1 에지(264a)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1접촉면(322c)을 지나는 선 간의 거리는 0보다 크고, 상기 제빙셀(320a)의 반경의 1/2 보다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제 1 에지(264a)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1접촉면(322c)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므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edge (264a) of the first pusher (260)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half the radius of the ice-making cell (320a). Accordingly, the first edge (264a) of the first pusher (260) moves to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of the first tray (320), so that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320).

한편,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제빙 위치에서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빈(600)의 만빙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Meanwhile,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ice-removing position, whether the ice bin (600) is full can be detected.

일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얼음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의 회전이 간섭되면,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얼음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으면,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and the rotation of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interfered with by ice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ce bin (600) is in a full ice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rotation of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not interfered with by ice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ce bin (600) is not in a full ice state.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11). After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380),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driving unit (480) so that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S11).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급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T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from the moving position toward the water supply position.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도 40의 급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킨다(S1).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Fig. 40, the control unit (800) stops the driving unit (480) (S1).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푸싱 바(544)와 이격되면, 변형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tray (380) is separated from the pushing bar (544) during the proc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eformed second tray (380)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역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력이 상기 푸셔 링크(500)에 의해서 상기 제 1 푸셔(260)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푸셔(260)가 상승하고, 상기 푸싱 바(264)는 상기 제빙셀(320a)에서 빠지게 된다. During the reverse movement proc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moving force of the second tray (38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usher (260) by the pusher link (500), so that the first pusher (260) rises and the pushing bar (264) is removed from the ice-making cell (320a).

도 46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제빙 위치에서 이빙 위치로 이동할 때의 푸셔 링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46 is a drawing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usher link when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ice-removing position.

도 46의 (a)는 제빙 위치, 도 46의 (b)는 급수 위치, 도 46의 (c)는 제 2 트레이가 제 2 푸셔와 접촉한 위치, 도 47의 (d)는 이빙 위치를 보여준다. Figure 46 (a) shows the ice-making position, Figure 46 (b) shows the water supply position, Figure 46 (c) shows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tra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usher, and Figure 47 (d) shows the ice-making position.

도 47은 제빙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 위치에서 제 1 푸셔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8은 제빙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 위치에서 제 1 푸셔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9는 제빙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빙 위치에서 제 1 푸셔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47 is a drawing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er in the water supply position when the ice maker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FIG. 4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er in the water supply position when the ice maker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FIG. 4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er in the ice removal position when the ice maker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도 46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푸셔(260)의 푸싱 바(264)는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제 1 에지(264a)와 제 2 에지(264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6 to 49, the pushing bar (264) of the first pusher (260) may include the first edge (264a) and the second edge (264b)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구동부(4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pusher (260) can mov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480).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이 상기 제 1 푸셔(260)에 부착하여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제 1 에지(264a)가 급수 위치와 제빙 위치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first edge (264a) so that it is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 ice making position, so as to reduce freezing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by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320a)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attaching to the first pusher (260).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어부(800)가 위치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800)가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함으로써 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posi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80).

상기 제어부(800)는, 급수 위치와 제빙 위치 및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position so that the first edge (264a) is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ice making position, and the ice removal position.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가 추가적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first edge (264a)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supplying position, and to additional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가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first edge (264a)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supplying position, and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슬롯(302) 중 제 1 슬롯(302a)에 의해서 상기 제 1 에지(264a)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슬롯(302b)에 의해서 상기 제 2 에지(264a)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제1방향과 경사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dge (264a)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slot (302a) of the guide slots (302), and the second edge (264a) can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r mov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second slot (302b).

상기 제 1 에지(264a)는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외측의 제1지점에 위치되고,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320a) 내의 제2지점에 위치되도록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first edge (264a)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is positioned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making cell (320a) at the ice-making position and at a second point inside the ice-making cell (320a)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브라켓(22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제 1 부분(101)과, 수용 공간(104)을 형성하는 제3부분(103)을 포함하는 커버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01)의 상면에는 상기 냉동실(32)을 형성하는 벽(32a)이 지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00) including a first part (101) forming a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bracket (220) and a third part (103)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104). A wall (32a) forming the freezer (32) may be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01).

상기 제 1 부분(101)과 제 3 부분(103)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2 부분(10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101) and the third part (103)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by the second part (102).

상기 제 2 부분(102) 및 제 3 부분(103)은 제빙기(2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10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04)에는 가이드 슬롯(30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part (102) and the third part (103) can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04)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er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slot (302) can b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일례로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상단(302c)은 상기 수용 공간(10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하단(302d)은 상기 수용 공간(104)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end (302c) of the guide slot (302)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04). The lower end (302d) of the guide slot (302) may be located outside the receiving space (104).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하단(302d)은 상기 브라켓(220)의 지지벽(221d) 보다 높고,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둘레벽(303)의 상면(303b)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lower end (302d) of the above guide slot (30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upport wall (221d) of the bracket (220) an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303b) of the peripheral wall (303) of the first tray cover (300).

따라서, 상기 제빙기(200)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302)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length of the guide slot (302)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ice maker (200).

한편, 상기 브라켓(220)에는 급수부(2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관통공(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44)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공(244)은 상기 급수부(240)에서 상기 제빙셀(320a)을 바라보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220).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include a through hole (244). Wa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44) may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To this end, the through hole (244)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facing the ice-making cell (320a).

일 예로, 상기 급수부(240)는, 제 1 부분(241)과, 제 1 부분(241)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제 2 부분(242)과, 제 1 부분(241)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제3부분(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241)이 상기 제빙셀(320a)을 바라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분(241)에 상기 관통공(2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부분(241)과 상기 제 2 부분(242) 사이에 상기 관통공(244)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241), a second portion (242)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ion (241), and a third portion (243)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portion (241). The first portion (241) may face the ice-making cell (320a). Accordingly, the through hole (244)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241). Alternatively, the through hole (244)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ortion (241) and the second portion (242).

상기 급수부(24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부분(242)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관통공(244)을 통해 상기 급수부(24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4)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보조 저장실(325) 및 개구(324)를 지나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240) can flow downward along the second portion (242) and then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40) through the through hole (244).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44) can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through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and the opening (324) of the first tray (320).

상기 관통공(244)은, 상기 급수부(240)가 상기 제빙셀(320a)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244) can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240) faces the ice-making cell (320a).

상기 급수부(240)의 최하단(240a)은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의 최하단(240a)은 상기 보조 저장실(325)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owermost end (240a)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The lowermost end (240a)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positioned in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급수부(240)의 관통공(24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에지(264a)가 이동하도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관통공(24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first edge (264a) to move away from the through hole (244)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during the process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ing from the ice position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edge (264a) can be rotated away from the through hole (244).

상기 제 1 에지(264a)가 상기 관통공(244)에서 멀어지면 급수 과정에서 물이 상기 제 1 에지(264a)에 접촉하는 것이 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264a)에서 물이 결빙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edge (264a) is moved away from the through hole (244), wat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dge (264a)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freezing of water at the first edge (264a).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추가로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moves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can additionall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제빙셀(320a)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At the above water supply location, the first edge (264a) may be located outside the ice-making cell (320a). At the above water supply location, the first edge (264a) may be located outside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관통공(244)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the first edge (264a)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244).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선(C1)과 상기 제 1 에지(264a)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선(C1)과 상기 저장실 벽(325a)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 클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line (C1)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first edge (264a)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line (C1) of th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storage room wall (325a).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상단(325c) 보다 높고,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둘레벽(303)의 상단(325b) 보다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에지(264a)가 상기 제빙셀(320a)와 가깝게 위치되어 이빙 과정 초기에 상기 제 1 에지(264a)가 얼음 가압하여 이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position, the first edge (264a)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325c) of the auxiliary storage chamber (325) and lower than the upper end (325b) of the peripheral wall (303) of the first tray cover (300). In this case, the first edge (264a) may be positioned close to the ice-making cell (320a), so that the first edge (264a) may pressurize ice at the beginning of the ice-mak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ice-making performance.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푸셔(260)가 상기 제빙셀(320a)에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제 2 푸셔(540)가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에 삽입되는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ice position, the length at which the first pusher (260) is inserted into the ice-making cell (320a)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at which the second pusher (5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샤프트(440)의 최고점 및최저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1접촉면(322c)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선 사이 영역(도 49의 두 개의 점선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moving position, the first edge (264a) can be located in an area between parallel line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while passing through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of the shaft (440) (an area between two dotted lines in FIG. 49).

또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는 상기 제1접촉면(322c)에서 연장되는 연장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above-described moving position, the first edge (264a) may be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322c).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3 부분(103)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the second edge (264b) can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hird portion (103) of the cover member (100).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의 상단(241b)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241b) of the first portion (241) of the water supply section (240).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상기 브라켓(220)의 제1고정벽(221b)의 상면(221b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221b1) of the first fixing wall (221b) of the bracket (220).

상기 제어부(800)는,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상기 제 1 에지(264a) 보다 상기 급수부(240)에 가깝도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position so that the second edge (264b) is closer to the water supply unit (240) than the first edge (264a)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1 부분(101)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3 부분(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t the supply location, the second edge (264b) can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art (101) of the cover member (100) and the third part (103) of the cover member (100).

일례로,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수용 공간(1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200)의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104)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빙기(200)에 의해서 냉동실(32)에서 음식물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 수 있으며, 상기 제 1 푸셔(260)의 이동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260)의 이동 길이가 증가되면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푸셔(260)가 얼음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edge (264b)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4). Accordingly, since a part of the ice maker (200)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4), the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in the freezer (32) by the ice maker (200) may be reduced, and the moving length of the first pusher (260) may be increased. When the moving length of the first pusher (260) increases,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pusher (260) for pressing ice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may be increased.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수용 공간(104)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located outside the receiving space (104).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브라켓(220)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를 지지하는 지지면(221d1)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1 부분(10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221d1) supporting the first tray assembly (201) in the bracket (220) and the first part (101) of the cover member (100).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브라켓(220)의 제1고정벽(221b)의 상면(221b1)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221b1) of the first fixed wall (221b) of the bracket (220).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제빙셀(320a)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보조 저장실(325)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ice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located outside the ice-making cell (320a). In the ice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located outside the auxiliary storage room (325).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지지벽(221d)의 지지면(221d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급수부(240)의 관통공(24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221d1) of the support wall (221d). In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through hole (244)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의 하단(241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moving position, the second edge (264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241a) of the first portion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 1 푸셔(2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은 하단(241a)에서 상단(241b)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푸셔(260)와 멀어지도록 상기 제 1 부분(24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or a part thereof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other part thereof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usher (260). Alternatively, the first part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part (241) becomes farther away from the first pusher (260) as it goes from the lower end (241a) to the upper end (241b).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와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 사이의 거리는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와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 사이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dge (264b) and the first part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dge (264b) and the first part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at the ice-making position.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와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이 상기 제 1 푸셔(260)와 마주보는 부분 간의 거리는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와 상기 급수부(240)의 제 1 부분(241)이 상기 제 1 푸셔(260)와 마주보는 부분 간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dge (264b) and the first part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facing the first pusher (26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dge (264b) and the first part (241) of the water supply unit (240) facing the first pusher (260) at the moving position.

한편, 상기 제 1 푸셔(260)의 위치 제어와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sition of the guide connecting part (265) can also be controll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in response to the position control of the first pusher (260).

예시적으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급수 위치와 제빙 위치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can be controlled to b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 ice making position.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guide connecting part (265) can be controll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supplying position, and to additional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또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가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he guide connecting part (265)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guide connecting part (265)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슬롯(302) 중 제 1 슬롯(302a)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슬롯(302b)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제1방향과 경사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uide connection part (265)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slot (302a) of the guide slots (302), and the guide connection part (265) can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r mov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second slot (302b).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이 상기 제 1 푸셔(260)에 부착하여 상기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가 상기 제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480)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freezing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by attaching to the first pusher (260)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driving unit (480) may be controlled to move additionally after the guide connecting unit (265) reaches the ice-making position.

또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제 1 에지(264a)가 얼음을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가 상기 이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480)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480) may be controlled to move additionally after the guide connecting unit (265) reaches the ice-free position so that the first edge (264a) of the first pusher (260) can increas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ice at the ice-free position.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1 부분(101)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3부분(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moving position,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can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art (101) of the cover member (100) and the third part (103) of the cover member (100).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연결부(265)는 상기 브라켓(220)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를 지지하는 지지면(221d1)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1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the guide connecting portion (265)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221d1) supporting the first tray assembly (201) in the bracket (220) and the first part of the cover member (100).

또한, 상기 제 1 푸셔(260)의 링크 연결부(266)에 상기 푸셔 링크(500)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 1 푸셔(260)의 위치 제어에 대한 내용은 상기 푸셔 링크(500)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usher link (500) is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on part (266) of the first pusher (260), the contents regarding position control of the first pusher (260) can be appli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pusher link (500).

일 예로,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이 상기 제 1 푸셔(260)에 부착하여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푸셔 링크(500)의 제1연결부(504)는 급수 위치와 제빙 위치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of the pusher link (500) can be controlled to b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 ice making position so that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cell (320a)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is attached to the first pusher (260) and freezes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상기 제1연결부(504)가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art (504) can be controll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supplying position, and to additional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또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연결부(504)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연결부(504)가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he first connecting part (504)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ater-supplying position to the ice-making position, the first connecting part (504)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슬롯(302) 중 제 1 슬롯(302a)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부(504)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슬롯(302b)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부(504) 또는 제1연결부(504)에 연결된 제 1 푸셔(26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제1방향과 경사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504)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slot (302a) of the guide slots (302). The first connection part (504) or the first pusher (26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504) can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or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second slot (302b).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이 상기 제 1 푸셔(260)에 부착하여 상기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504)가 상기 제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480)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freezing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by attaching to the first pusher (260)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driving unit (480) may be controlled to move additionally aft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4) reaches the ice-making position.

또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제 1 에지(264a)가 얼음을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504)가 상기 이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480)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480) may be controlled to move additionally aft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04) reaches the ice-free position so that the first edge (264a) of the first pusher (260) can increas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ice at the ice-free position.

상기 제1연결부(504)가 직선 운동하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연결부(506)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can rotate in at least some s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moves linearly.

상기 제1연결부의 이동 거리를 줄이면서 상기 제2연결부(506)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링크 바디(502)는 일 지점에서 상기 제2연결부(506)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o increase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while reduc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link body (502) can be inclined at one poi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504)는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1 부분(101)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3부분(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moving posi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can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art (101) of the cover member (100) and the third part (103) of the cover member (100).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504)는 상기 브라켓(220)에서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를 지지하는 지지면(221d1)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 1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04)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221d1) supporting the first tray assembly (201) in the bracket (220) and the first part of the cover member (100).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링크 연결부(405a)를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1결합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 1 푸셔(2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푸셔 링크(500)에 의해서 상기 제 1 푸셔(260)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nk connection part (405a)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usher (260). 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usher (260) by the pusher link (500).

상기 제 2 트레이 서포터(400)의 연장부(403)의 일부를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2결합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샤프트(440)를 통해 상기 구동부(480)와 연결될 수 있다. A part of the extension (403) of the second tray supporter (40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portion (480) through the shaft (440).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제빙셀(320a)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일례로 수평선)으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빙셀 방향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may be position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a reference line (for example,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the ice-making cell (320a) in the direction of the ice-making cell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제빙셀(제 2 셀)이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201)의 제빙셀(제 1 셀)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기준선에 대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ce-making cell (second cell)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ice-making cell (first cell) of the first tray assembly (201).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low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위치 혹은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빙셀(320a)과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결합부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rotate the first coupling part around the second coupling part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ice-making cell (320a)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r the ice-making position, and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at the ice-breaking position.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는 상기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연장부(403)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403)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211)가 형성하는 제빙셀의 하측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includes an extension (403) hav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403) can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ce-making cell formed by the second tray assembly (211).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푸셔 링크(500)의 제 2 연결부(506)와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connecting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06) of the pusher link (50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급수 위치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coupling unit to be in different positions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 ice making position.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추가로 운동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above-mentioned ice position to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position, the first coupling membe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position to the above-mentioned ice-making position, the first coupling member can additional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접촉하여 상기 제1결합부의 추가적인 이동이 제한되는 동안, 상기 제 1 푸셔(260)는 추가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pusher (260) to move additionally while the first tray (320) and the second tray (380) are in contact and further movement of the first coupling unit is restricted.

상기 구동부(480)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can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part (480).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이 상기 제 1 푸셔(260)에 부착하여 상기 제빙 과정에서 결빙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480)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freezing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by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320a) at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location by attaching to the first pusher (260),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480) to additionally move after the first coupling unit reaches the ice-making position.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에지(264a)가 얼음에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이빙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480)가 추가로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ce by the first edge (264a) at the ice-free positio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480) to move additionally after the first coupling unit reaches the ice-free position.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빙기(220)에서 상기 제 1 푸셔(260)는 냉기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빙기(220)가 상기 제 1 푸셔(260)를 둘러싸는 푸셔 수용실을 포함하는 수용실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usher (260) in the ice maker (220) is position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ld air, but alternatively, the ice maker (220)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wall including a pusher chamber surrounding the first pusher (260).

물론, 상기 수용실 벽은 이동하는 상기 제 1 푸셔(260)와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실 벽은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상기 연장벽(302e)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chamber wall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ing first pusher (260).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chamber wall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onnects the extension wall (302e) in which a pair of guide slots are formed.

따라서, 상기 수용실 벽은 상기 제 1 푸셔(26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302)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chamber wall can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30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pusher (260).

일 예로, 상기 푸셔 수용실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푸셔(260)의 제 2 에지(264b)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실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usher receiving room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room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second edge (264b) of the first pusher (260) is positioned during the moving process.

상기 푸셔 수용실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는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제 1 에지(264a)만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에지(264a)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수용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실에 상기 급수부(2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The above pusher receiving roo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iving room located outside the first edge (264a) to provide a space where only the first edge (264a) is located and the second edge (264b) is not located during the icing process. The water supply unit (24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receiving room.

상기 푸셔 수용실은 상기 급수 위치 또는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에지(264b)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에지(264b)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수용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usher receiving chamber may include a third receiving chamber located outside the second edge (264b)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second edge (264b) is located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r ice making position.

상기 제3수용실은 상기 제1수용실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containment room can be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inment room.

상기 제1수용실은 상기 제2수용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수용실은 제2수용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accommodation room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accommodation room. The above third accommodation room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accommodation room.

상기 제1수용실의 체적은 상기 제3수용실의 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수용실의 높이는 상기 제3수용실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잇다. The volume of the first receiving room may be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third receiving room. The height of the first receiving room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receiving room.

상기 제1수용실의 폭은 상기 제2저장실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3수용실의 폭은 상기 제2저장실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rst storage room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torage room. The width of the third storage room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torage room.

상기 푸셔 수용실은 폭 보다 높이가 클 수 있다. 상기 푸셔 수용실은 상기 제빙셀(320a)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셔 수용실은 상기 제 1 푸셔(260)의 푸싱 바(26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pusher receiving room may be larger in height than in width. The pusher receiving room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ice-making cell (320a). The pusher receiving room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pushing bars (264) of the first pusher (260).

상기 수용실 벽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벽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실 벽은 상기 냉동실(32)을 벽의 일부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chamber wall may be a wall of the first tray assembly or the second tray assembly. Alternatively, the receiving chamber wall may be a part of the wall of the freezer (32).

도 50은 브라켓의 관통공과 냉기 덕트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50 is a drawing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ough-hole of the bracket and the cold air duct.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는, 냉기공급수단(900)의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 덕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0,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duct (120) that guides cold air from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상기 냉기 덕트(120)의 출구(121)는 상기 브라켓(220)의 관통공(222a)과 정렬될 수 있다. The outlet (121) of the above cold air duct (120) can be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222a) of the above bracket (220).

상기 냉기 덕트(120)의 출구(121)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바라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가 상기 가이드 슬롯(302)로 바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슬롯(302)에서 결빙이 발생하여 상기 제1푸셔(260)가 원활히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let (121) of the cold air duct (120)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face at least the guide slot (302). If the cold air flows directly into the guide slot (302), freezing may occur in the guide slot (302) and the first pusher (260) may not move smoothly.

상기 냉기 덕트(120)의 출구(12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의 둘레벽(303)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let (121) of the above cold air duct (1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303) of the first tray cover (300).

일례로 상기 냉기 덕트(120)의 출구(121)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개구(32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제빙셀(320a)의 상방에서상기 개구(324)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120)의 출구(121) 중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중첩되는 영역 보다 크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00)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빙셀(320a)의 상방을 유동하여 상기 제빙셀(320a)의 물 또는 얼음을 냉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let (121) of the cold air duct (1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opening (324) of the first tray (320). Accordingly, cold air may flow from above the ice-making cell (320a) toward the opening (324). Among the outlets (121) of the cold air duct (120), an area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is larger than an area that overlaps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Accordingly, the cold air may flow above the ice-making cell (320a)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tray cover (300) to cool water or ice in the ice-making cell (320a).

즉, 냉기공급수단(900)(또는 냉각기)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위치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보다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냉기(또는 콜드cold))의 양이 많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or cooler) can be arranged so that the amount of cold air (or cold) supplied to the first tray assembly is greater than that to the second tray assembly where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positioned.

또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또는 냉각기)는 상기 제 1 셀(321a)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와 가까운 영역 보다 먼 영역으로 공급되는 냉기(또는 콜드cold))의 양이 많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or cooler) may be arranged so that the amount of cold air (or cold) supplied to an area farther away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the first cell (321a) is greater than the amount supplied to an area near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일례로, 상기 냉각기와 상기 제 1 셀(321a)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와 가까운 영역 간의 거리는, 상기 냉각기와 상기 제 1 셀(321a)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와 멀게 위치되는 영역 간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cooler and an area close to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the first cell (321a)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oler and an area located far from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the first cell (321a).

상기 냉각기와 상기 제 2 셀(381a) 간의 거리는 상기 냉각기와 상기 제 1 셀(321a) 간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cooler and the second cell (381a)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oler and the first cell (321a).

도 51은 제빙 과정에서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가변되는 경우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5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cold air and water is variable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도 36 및 도 51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실(32)의 목표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에 의해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6 and FIG. 51,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be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Cold air generated by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be supplied to the freezer (32).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된 냉기와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열전달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can change into ice through heat transfer between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above-mentioned freezer (32) and the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본 실시 예에서, 물의 단위 높이 별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은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미리 결정된 냉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per unit height of water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edetermined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미리 결정된 냉력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기준 가열량이라 한다. 물의 단위 높이 당 기준 가열량의 크기는 다르다.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edetermined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s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heating amount. The size of the reference heating amount per unit height of water is different.

그런데, 상기 냉동실(32)의 냉기와 상기 제빙셀(320a) 내의 물 간의 열전달양이 가변될 때, 이를 반영하여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조절되지 않으면, 단위 높이 별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cold air in the freezer (32) and the water in the ice-making cell (320a) changes, if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s not adjusted to reflect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changes per unit height.

본 실시 예에서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증가되는 경우는 일례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증가되는 경우이거나, 상기 냉동실(32)로 상기 냉동실(32) 내의 냉기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cold air and water increases may be, for example, when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ncreases or when ai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inside the freezer (32) is supplied to the freezer (32).

반면,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감소되는 경우는 일례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감소되는 경우이거나, 상기 냉동실(32)로 상기 냉동실(32) 내의 냉기의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ases where the heat transfer amount between cold air and water is reduced may be, for example, cases where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s reduced or cases where air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inside the freezer (32) is supplied to the freezer (32).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32)의 목표 온도가 낮아지거나, 상기 냉동실(32)의 작동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급속 냉각 모드로 변경되거나, 압축기 및 팬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이 증가되거나, 상기 냉매 밸브의 개도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증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is lowered, the operation mode of the freezer (32) is chang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rapid cooling mode, the output of one or more of the compressor and the fan is increased, or the opening degree of the refrigerant valve is increased,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can be increased.

반면, 상기 냉동실(32)의 목표 온도가 증가되거나, 상기 냉동실(32)의 작동 모드가 급속 냉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변경되거나, 압축기 및 팬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이 감소되거나, 상기 냉매 밸브의 개도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increases, or the operation mode of the freezer (32) is changed from the rapid cooling mode to the normal mode, or the output of one or more of the compressor and the fan is reduced, or the opening degree of the refrigerant valve is reduced,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may be reduced.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증가되면, 상기 제빙기(200) 주변의 냉기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When the cooling capacity of the above-mentioned cold air supply means (900) increases, the cold air temperature around the ice maker (200) decreases, thereby accelerating the ice production speed.

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감소되면, 상기 제빙기(200) 주변의 냉기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제빙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decreases, the cold air temperature around the ice maker (200) increases, causing the ice production speed to slow down and the ice making time to become longer.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킨 채로 제빙이 수행될 때의 제빙 속도 보다 낮은 소정 범위 내에서 제빙 속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cold air and water increases,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controlled to increase so that the ice making speed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ower than the ice making speed when ice making is performed with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turned off.

반면, 상기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 transfer amount of the cold air and water decreases,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controlled to decreas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속도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이동하는 속도 보다 제빙 속도가 느리게 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if the ice-making speed is maintain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ice-making speed becomes s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air bubbles move in the part where ice is created in the ice-making cell (320a), so that no air bubbles exist in the part where ice is created.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증가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증가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감소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감소될 수 있다. If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increases,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increase. On the other hand, if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900) decreases,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may decrease.

이하에서는 상기 냉동실(32)의 목표 온도가 가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Below, an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is variable.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냉동실(32)의 목표 온도의 가변과 무관하게 얼음의 제빙 속도가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so that the ice making speed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regardless of the variation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예를 들어, 제빙이 시작되고(S4),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의 변경이 감지될 수 있다(S31). For example, ice making can start (S4) and a change in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cold air and the water can be detected (S31).

일례로, 도시되지 않은 입력부를 통해 상기 냉동실(32)의 목표 온도가 변경되는 것이 감지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hange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32) can be detected through an input section that is not shown.

상기 제어부(800)는,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이 증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 일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목표 온도가 증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whether the heat transfer amount of cold air and water has increased (S3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00) can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temperature has increased.

단계 S32에서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온도가 증가되었으면, 상기 제어부(800)는 현재 구간 및 나머지 구간 각각에서 미리 결정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기준 가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 that the target temperature has increased, the control unit (800) can reduc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each of the current section and the remaining sections.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구간 별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5). Until ice making is completed, th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can be controlled normally for each section (S35).

반면, 상기 목표 온도가 감소되었으면, 상기 제어부(800)는 현재 구간 및 나머지 구간 각각에서 미리 결정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기준 가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구간 별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5). 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temperature is reduced, the control unit (800) can increas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heating amount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in each of the current section and the remaining sections. Until ice making is completed, the variable heating amount control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430) for each section can be performed normally (S35).

본 실시 예에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기준 가열량은 미리 결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heating amount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and stored in memory.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냉기와 물의 열전달량의 가변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빙 히터의 구간 별 기준 가열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얼음의 제빙 속도가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어, 얼음의 단위 높이 별 투명도가 균일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tandard heating amount for each section of the transparent ice heater in response to the variation in the heat transfer amount of cold air and water, the ice-making speed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er unit height becomes uniform.

Claims (20)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물이 상기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로 상기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에서 상기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역 방향으로 급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급수를 시작하며,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의 부착도가,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보다 작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기가 상기 콜드(cold)를 공급하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는 추가적인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인 히터는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되며,
제빙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의 부착도가, 상기 제 2 트레이보다 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트레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작동되는 냉장고.
A storage room where food is stored;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above storage room;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due to the col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the second tray assembly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assembly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and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y assembly during the ice-breaking proces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cell;
a heater disposed in the first tray assembly;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above driving unit,
The abov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tray assembly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ice removal position to remove ice from the ice making cell after the ice making cell has completed producing the ice.
The above control unit starts supplying water after the second tray assembly is moved to the supply posi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ice-making is completed.
Controlling the heater to be turned on so that the ice is easily separated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forward to the ice removal position;
The first tray assembly comprises a first tray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first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tray.
The second tray assembly comprises a second tra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tray case supporting the second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second tray,
The first tray includes a portion whose adhesion to the ice of the ice-making cel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ray case,
The cooler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heater that is turned on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tion where the cold is supplied so that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can move toward the liquid water in the section where ice is formed, thereby forming transparent ice, and the additional heater is arranged in the second tray assembly.
When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tray includes a portion whose adhesion to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tray,
A refrigerator wherein the heater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and is operated after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히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A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heater case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A refrigerator wherein the above heater is installed in the first tray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A refrigerator wherein the heater comprises a portion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공급되는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상기 추가적인 히터의 가열량 보다 큰 냉장고.
In paragraph 1,
A refrigerator wherein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supplied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to the freezing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heating amount of the additional h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공급되는 상기 히터의 출력이 상기 추가적인 히터의 출력보다 큰 냉장고.
In paragraph 1,
A refrigerator wherein the output of the heater supplied before the second tray assembly moves to the freezing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h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얼음이나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을 가압하는 면이 형성된 제 1 에지를 가진 푸셔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A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pusher having a first edge formed with a surface that presses the ice o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tray assembly so that the ic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assemb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제 1 에지에서 연장된 바 및 상기 바의 끝단에 위치한 제 2 에지를 포함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7,
A refrigerator wherein the pusher comprises a bar extending from the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ba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가 이동하기 전에, 상기 히터가 온되는 냉장고.
In paragraph 7,
A refrigerator in which the heater is turned on before the above pusher mov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In paragraph 7,
A refrigerator wherein the pusher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assembly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y assembli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제 1 에지가 상기 제빙셀 외부의 제1지점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가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In paragraph 7,
A refrigerator wherein the first edge of the pusher is controlled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tray assembly at a first point outside the ice making cell.
물이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인 히터는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콜드(Cold)가 공급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고,
제빙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의 부착도가, 상기 제 2 트레이보다 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트레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작동되는 제빙기.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due to col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 heater disposed in the first tray assembly; and
An additional heater is included that is disposed on the second tray assembly;
The first tray assembly comprises a first tray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first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tray.
The second tray assembly comprises a second tra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tray case supporting the second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second tray,
The additional heater is turned on du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supply so that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move from the part where ice is formed to the liquid water, thereby forming transparent ice.
When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tray includes a portion whose adhesion to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tray,
The above heater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The above heater is an ice maker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ice after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물이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콜드(Cold)가 공급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온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의 부착도가, 상기 제 2 트레이보다 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얼음이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얼음이나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을 가압하는 면이 형성된 제 1 에지와, 상기 제 1 에지에서 연장된 바 및 상기 바의 끝단에 위치한 제 2 에지를 가지는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제빙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작동되는 제빙기.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due to col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 heater is included, which is placed in the second tray assembly and is turned on du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supply period so that bubbles dissolved in water inside the ice-making cell move toward liquid water in the area where ice is created, thereby creating transparent ice.
The first tray assembly comprises a first tray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first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tray.
The second tray assembly comprises a second tra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tray case supporting the second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second tray,
When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the first tray includes a portion whose adhesion to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tray,
A pusher further comprises a first edge formed with a surface that presses the ice o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tray assembly so that the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assembly, a bar extending from the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bar,
The above pusher is an ice maker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ice after the abov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 및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트레이 서포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In Article 13,
An ice maker, wherein the first tray case includes the first tray cover and a first tray support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y cov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 및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와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된 후에 결합되는 제 1 트레이 서포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In Article 13,
An ice maker, wherein the first tray case comprises the first tray cover and the first tray supporter, which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then combined with the first tray cov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도는, 용기에 담긴 물이 얼음이 되는 과정에서 얼음과 용기가 부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용기의 두께를 포함한 형상, 용기의 재질, 용기 내에서 얼음이 된 후 경과된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정의되는 제빙기.
In Article 13,
The above adhesion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ice and the container are attached during the process of water in the container turning into ice, and is defined a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and the time elapsed after the ice is turned into ice inside the contain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제 1 트레이의 제 1 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시간은,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가 결합되어 있는 시간보다 긴 제빙기.
In Article 13,
An ice maker wherein the time during which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and the first part of the first tray are combined is longer than the time during which the ice in the ice making cell and the second tray are combin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는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을 포함하는 제빙기.
In Article 13,
An ice maker wherein the first tray comprises a flexible or malleable material.
물이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이빙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얼음과의 부착도가,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보다 작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빙 히터는,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작동되는 제빙기.
A first tray assembly forming a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into ice due to cold;
a second tray assembly forming another part of said ice-making cell; and
Including a moving heater disposed in the first tray assembly,
The first tray assembly comprises a first tray forming a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first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tray.
The second tray assembly comprises a second tra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a second tray case supporting the second tray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second tray,
The first tray includes a portion whose adhesion to the ice of the ice-making cel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ray case,
The above-mentioned moving heater includes a portion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The above ice maker heater is an ice maker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ice when ice making is complete.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상기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및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또는 제 19 항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A storage room where food is stored;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storage room;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2 or claim 13 or claim 19.
KR1020190081706A 2018-10-02 2019-07-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Active KR102778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06A KR102778429B1 (en) 2019-07-06 2019-07-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7/282,144 US12140361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70027.0A EP3862686B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73 WO2020071760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582.0A CN112823264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EP25152841.0A EP4517227A3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8/899,541 US20250020380A1 (en) 2018-10-02 2024-09-27 Refrigerator
KR1020250027713A KR20250040592A (en) 2019-07-06 2025-03-04 Refrigerator and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06A KR102778429B1 (en) 2019-07-06 2019-07-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27713A Division KR20250040592A (en) 2019-07-06 2025-03-04 Refrigerator and ic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782A KR20210005782A (en) 2021-01-15
KR102778429B1 true KR102778429B1 (en) 2025-03-12

Family

ID=741270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706A Active KR102778429B1 (en) 2018-10-02 2019-07-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20250027713A Pending KR20250040592A (en) 2019-07-06 2025-03-04 Refrigerator and ice mak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27713A Pending KR20250040592A (en) 2019-07-06 2025-03-04 Refrigerator and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7784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0155182A1 (en) 2023-11-10 2025-05-15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20250069384A (en) 2023-11-10 2025-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20250085227A (en) * 2023-12-05 2025-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072A (en) * 2001-10-03 2003-04-18 Sanyo Electric Co Ltd Ice plant and freezing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is pl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939B1 (en) *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072A (en) * 2001-10-03 2003-04-18 Sanyo Electric Co Ltd Ice plant and freezing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is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782A (en) 2021-01-15
KR20250040592A (en) 202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50040592A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KR20250069838A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KR20250072567A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KR102560540B1 (en) Refrigerator
KR20240115208A (en) Refrigerator
KR20250037446A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CN112823264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102599989B1 (en) Refrigerator
CN116182454A (en) refrigerator
CN112789463B (en) refrigerator
KR102784671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2824128B1 (en) Refrigerator
KR102778427B1 (en) Refrigerator
KR102772204B1 (en) Refrigerator
KR102775814B1 (en) Refrigerator
KR102798075B1 (en) Refrigerator
KR102761595B1 (en) Refrigerator
KR102766718B1 (en) Refrigerator
KR102817973B1 (en) Refrigerator
KR102770444B1 (en) Refrigerator
KR102772198B1 (en) Refrigerator
CN112805516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112789461B (en) refrigerator
CN112771334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116294337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