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8219B1 - Bar for connection - Google Patents

Bar for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8219B1
KR102778219B1 KR1020230060162A KR20230060162A KR102778219B1 KR 102778219 B1 KR102778219 B1 KR 102778219B1 KR 1020230060162 A KR1020230060162 A KR 1020230060162A KR 20230060162 A KR20230060162 A KR 20230060162A KR 102778219 B1 KR102778219 B1 KR 10277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button
case
pin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62938A (en
Inventor
조영태
조영봉
Original Assignee
조영봉
조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봉, 조영태 filed Critical 조영봉
Priority to KR102023006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8219B1/en
Publication of KR2024016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2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821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체결용 바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기둥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버튼홈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버튼홈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홈을 덮는 캡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높이를 형성하는 높이부를 포함하며, 절곡되는 부위에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버튼; 및
상기 케이스의 중공에 양단에서 삽입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2개의 결합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버튼과 상기 결합핀유닛이 경사운동하면서 상기 결합핀 유닛의 단부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fastening bar, comprising: a case having a button groove formed longitudinally in a hollow columnar shape having a space inside;
A button having a cap part that covers the button home and a height part that is formed by being bent and extended from the cap part,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at the bent portion; and
It includes two coupling pin unit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ase at both ends and include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ome into contact, causing the button and the coupling pin unit to tilt and move the end of the coupling pin unit to the outside of the case.

Description

체결용 T형 바{Bar for connection}T-bar for connection {Bar for connection}

본 발명은 체결용 T형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시계용 시계줄과 시계의 본체의 러그유닛을 연결하는 원터치 체결용 T형 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shaped bar for faste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one-touch T-shaped bar for fastening that connects a watch strap for a wristwatch and a lug unit of the watch body.

체결용 바는 시계줄과 시계 본체의 러그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금속봉을 말하며, 기존의 대부분의 시계는 체결용 바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사용자가 시계 줄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먼저 시계 본체의 러그유닛에서 체결용 바를 제거한 다음 시계줄을 제거하고, 새로운 시계줄 연결을 위하여 시계의 본체의 러그유닛에 다시 체결용 바를 연결한다. The fastening bar is a metal bar that connects the watch strap to the lug unit of the watch body. Most existing watches are connected and fixed by the fastening bar. When the user needs to change the watch strap, he/she first removes the fastening bar from the lug unit of the watch body, then removes the watch strap, and reconnects the fastening bar to the lug unit of the watch body to connect the new watch strap.

그러나 종래 기술의 시계줄 교체시에 특별한 공구 없이는 분해 조립이 어려워 시계줄 교체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시계줄 교체시에는 사용자는 시계 수리점을 방문하여 시계를 분해하여 시계줄을 교체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감소한다.However, when replacing watch straps with conventional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without special tool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replace watch straps. Therefore, when replacing watch straps, users generally have to visit a watch repair shop to disassemble the watch and replace the watch strap, which reduces user convenience.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137921 (공개일 : 2018년 12월 28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37921 (Publication date: December 28, 2018)

본 발명은 특별한 도구 없이 자체적으로 구비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체결용 바 양단의 결합핀의 이동이 제어되는 원터치 체결용 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touch fastening ba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ins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r is controlled by pressing a button provided by itself without a special tool.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체결용 바는 측면케이스, 버튼 및 결합핀유닛을 포함한다.A fastening ba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case, a button, and a coupling pin unit.

측면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T자 형태인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중공형 케이스와 상기 중공형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진다.The side case is a hollow case having a hollow interior in a T-shape with space inside, 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llow case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버튼은 상기 측면케이스의 적어도 일영역에 구비되는 돌출버튼홀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돌출버튼홀에 수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후크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크에는 제1경사면을 포함한다.The button includes a case including a protruding button hole provid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side case, and at least two hooks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button hole are provided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hooks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결합핀유닛은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블록부, 상기 경사블록부와 일단에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타단에서 연결되는 결합핀체결홀을 구비하는 체결블록부를 구비하는 2개의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결합핀체결홀에 각각 끼워지는 2개의 결합핀을 포함한다.The coupling pin unit includes two sliding blocks each having an inclined block portion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clined block portion at one end, and a coupling pin fastening hol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t the other end, and two coupling pins each fitted into the coupling pin fastening holes.

이 때, 상기 각 결합핀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버튼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서로 경사운동 하면서 상기 결합핀의 단부를 상기 중공형 케이스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spring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coupling pins,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ome into contact, and the button and the sliding block tilt each other, thereby moving the end of the coupling pin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ase.

또한, 상기 경사블록부는 상기 제2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기저가 되는 부분 받침부(427), 상기 제2경사면(424)의 단부에 구비되는 잠금핀(425)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block portion may include a partial support portion (427) that serves as a base for form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locking pin (425)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또한, 상기 체결블록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중공형 케이스의 중공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며, 제1연장부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상기 결합핀체결홀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block portion may hav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hollow direction of the hollow case from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coupling pin fastening hole into which a coupling pin is inserted.

또한, 상기 결합핀은 일단에 시계의 케이스에 있는 연결홀에 끼워지는 부위인 케이스연결핀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연결핀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upling pin may have a case connection pin at one end that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hole in the case of the watch, and a spring connection pin at the other end to which the spring is connected.

또한, 상기 버튼에 힘이 가해져 상기 버튼의 후크에 구비된 제1경사면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제2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은 수축하고, 힘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은 수축이 완화되어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hook of the button descends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the spring contracts, and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spring can be relieved of the contraction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ity.

본 발명은 구비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양단에 구비된 결합핀의 이동을 제어하여 시계의 수리 및 시계 본체와의 교체 또는 보수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시계줄과 시계 본체(또는 러그유닛)와의 탈부착 과정에 있어서 전문가 또는 어떠한 도구의 도움 없이 누구나 쉽게 시계줄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in repairing a watch and replacing or maintaining the watch body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connecting pins provided at both ends by pressing a provided button, and enables anyone to easily attach or detach a watch band and watch body (or lug unit) without the help of a specialist or any too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분해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제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제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원터치 체결용 바를 스트랩에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irs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rawing of a one-touch fastening ba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strap.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imited only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 “comprises,” and “comprising” are intended to mean including a stated item, step, group of items, or steps, but not to exclude any other item, step, group of items, or group of steps.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소의 폭, 길이, 두께, 각도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관찰자의 시점에서 도면을 설명하였으며,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아래에" 또는 "상에/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 또한 포함한다.Also,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angle,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e drawings are described overall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and when one component is said to be "above/below" or "on/below"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above/directly below" an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unless there is a clear indication to the contrary. In particular, any feature indicated as being preferable or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or features indicated as being preferable or advantageous.

본 명세서에서 "T형"이란 전체적인 체결용 바의 형상이 T자 형상을 가져, 일자형상의 체결용 바와 서술상 차이를 두기 위한 표현이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T-type” is used to indicate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fastening bar has a T shape, thereby distinguishing it from a straight-line fastening ba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fastening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rawing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T형 바(100)(이하, 체결용 바로 약술한다.)는 시계줄(50)과 시계 본체(또는 러그 유닛)의 연결부품으로, 체결용 바는 케이스(10), 버튼(30), 및 결합핀유닛(20), 스프링(40)을 포함한다. The fastening T-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fastening bar) is a connecting component between a watch strap (50) and a watch body (or lug unit), and the fastening bar includes a case (10), a button (30), a coupling pin unit (20), and a spring (40).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T형 구조체로서, 중공형 케이스(11)과 중공형 케이스(11)의 일측에 부착되는 측면케이스(1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10) is a T-shaped structure having a space inside, and includes a hollow case (11) and a side case (1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llow case (11).

중공형 케이스(11) 내부는 중공(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은 측면케이스 (10) 내부로도 연장되어 내부에 후술할 결합핀 유닛(20)을 구비할 수용공간(12)을 형성하며, 수용공간은 전방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2)를 가지며, 개구부(12)는 커버(13)에 의해 폐쇄된다. The inside of the hollow case (11) is formed with a hollow space (111), and the hollow space extends into the inside of the side case (1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2) for providing a coupling pin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ccommodation space has an opening (12) that opens forward, and the opening (12) is closed by a cover (13).

측면케이스(1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버튼홀(17)을 구비한다. 돌출버튼홀(17)은 가장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벽(15)을 가지며, 돌출벽(15)의 내부는 중공에서 연장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The upper part of the side case (1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utton hole (1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has a protruding wall (15) whose edge protrudes upward, and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wall (15)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extending from the hollow space.

본 실시예에서 돌출버튼홀(17)은 버튼(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케이스(10)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데, 측면케이스의 상부영역 및 중공형 케이스의 상부영역에 걸치면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돌출벽(15)은 버튼(30)이 돌출버튼홀(17)에서 이동될 때 가이드 되도록 경로를 정해준다.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is formed in the upper area of the side case (10) so that the button (30) can be accommodated, but it is not excluded that it is formed while spanning the upper area of the side case and the upper area of the hollow case. The protruding wall (15) determines a path so that the button (30) is guided when moved in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돌출버튼홀(17) 상에는 버튼(30)이 구비되는데, 버튼(30)은 결합핀들(41)을 중공형 케이스 내부의 중공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컨데 버튼(30)을 수용공간에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핀들(41)을 중공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button (30)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The button (30) is a means for moving the coupling pins (41) along the hollow space inside the hollow case. For example, by moving the button (30) up and down in the receiving space, the coupling pins (41) can be moved left and right inside the hollow space.

버튼(30)은 돌출버튼홀(17)에 수용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후크(31)를 포함한다. 후크는 기저부(31a), 후크부(31b), 제1경사면(31c)을 포함한다. 후크(31)는 버튼의 저면에 설치되고 후술할 슬라이딩 블록(42)을 향하여 형성되며, 기저부(31a)는 버튼의 단면을 지지하고, 후크부(31b)는 기저부(3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1 경사면(31c)은 후크부(31b)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 때, 후크부(31b)는 슬라이딩 블록(42)의 잠금핀(425)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하게 된다. The button (30)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and includes at least two hooks (31). The hook includes a base portion (31a), a hook portion (31b),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31c). The hook (3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and is formed toward the sliding block (42) to be described later. The base portion (31a) supports the cross-section of the button, the hook portion (31b)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base portion (31a),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1b). At this time, the hook portion (31b)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pin (425) of the sliding block (42) and is coupled with each other.

즉, 후크(31)가 슬라이딩 블록(42)을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서 후크의 단부인 후크부(31b)와 슬라이딩 블록(42)에 형성된 잠금핀(425)이 후크결합할 수 있다. 이에 버튼이 제1 링크(100)의 외부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the hook (31) is formed toward the sliding block (42), the hook portion (31b), which is the end of the hook, and the locking pin (425) formed on the sliding block (42) can be hook-coupled. This prevents the butt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link (100).

제1경사면(31c)은 후술할 슬라이딩 블록 (42)의 제2경사면(424)과 동일한 경사를 형성하여 버튼의 제1경사면이 슬러이딩 블록의 제2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양 결합핀들(41)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forms the same incline a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of the sliding block (42) described later, so that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button moves downwar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both coupling pins (41) move inward.

결합핀 유닛(20)은 슬라이딩 블록(42) 및 결합핀(41)을 포함한다. The coupling pin unit (20) includes a sliding block (42) and a coupling pin (41).

슬라이딩 블록(42)은 블록연결부(420), 경사블록부(423), 및 체결블록부 (422)를 포함한다. 연결부(420)는 경사블록부(423)와 체결블록부(422)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를 연결한다. The sliding block (42) includes a block connecting portion (420), an inclined block portion (423), and a fastening block portion (422). The connecting portion (420) is located between the inclined block portion (423) and the fastening block portion (422) to connect the two.

경사블록부(423)는 받침부(427), 제2경사면(424), 잠금핀(425)을 포함한다. 받침부(427)는 제2경사면(424)을 형성하기 위한 기저가 되는 부분이며, 받침부(427)상에 제2경사면(424)이 형성된다. 제2경사면(424)의 단부에는 잠금핀(425)이 형성되어 버튼(30)의 후크부(31b)와 결합된다. 이 때, 경사블록부(423)는 수용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The inclined block part (423) includes a support part (427), a second inclined surface (424), and a locking pin (425). The support part (427) is a base part for form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is formed on the support part (427). A locking pin (425)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and is connected to a hook part (31b) of a button (30). At this time, the inclined block part (423)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체결블록부(422)는 연결부(420)에서 중공형 케이스의 중공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28)와 커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29)를 구비하며, 제1연장부(428)에는 결합핀(41)이 끼워지는 결합핀체결홀(421)이 구비되며, 제2연장부(429)에는 노치(4291)가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핀체결홀(421)은 중공형 케이스내의 중공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결합핀이 결합핀체결홀(421)에 끼워져 체결된다. The fastening block part (422) has a first extension part (428) that extends in the hollow direction of the hollow case from the connecting part (42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429) that extends in the cover direc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428) has a fastening pin fastening hole (421) into which a fastening pin (41) is inserted,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29) has a notch (4291) formed. Accordingly, the fastening pin fastening hole (421) is locate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hollow case, and the fasten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in fastening hole (421).

슬라이딩 블록(42)은 양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결합핀(41)도 중공형 케이스의 중공의 양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 블록(42)의 결합핀체결홀(421)에 끼워진다.The sliding block (42) is provided in two directions,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pin (41) is also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low case and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in fastening hole (421) of the sliding block (42).

슬라이딩 블록(42)은 버튼이 눌러질 경우 제2경사면(424)을 따라 버튼의 후크(31)가 내려가면서 슬라이딩 블록(42)을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42)의 결합핀체결홀에 끼워진 결합핀(41)이 중공내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sliding block (42) moves inward as the hook (31) of the button goes down along the second slope (424),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pin (41) fitted into the coupling pin fastening hole of the sliding block (42) moves inward within the hollow space.

즉, 슬라이딩 블록(42) 내의 제2 경사면(424)은 제1 경사면(230)과 서로 맞닿게 되는 경사면으로, 제1 경사면(230)과 제2 경사면(424)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1 경사면(31c)은 돌출버튼홀(17)의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2 경사면(424)도 제1 경사면(31c)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돌출버튼홀(17)의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That i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in the sliding block (42) is an inclined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0),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have the same directionality. Accordingly,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is formed to be upward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is also formed to be upward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button hole (17) so as to have the same directionality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결합핀(41)은 결합핀체결홀(421)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딩블로과 체결되며, 버튼을 누르고 뗌에 따라서 중공 내부에서 이동하며, 누르는 경우 결합핀(41)의 단부가 원통형케이스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버튼에서 손을 떼는 경우 결합핀(4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The coupling pin (41)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in fastening hole (421) and is fastened with the sliding blower, and moves inside the hollow body as the button is pressed and released. When pressed, the end of the coupling pin (41) enters the cylindrical case, and when the button is released, the end of the coupling pin (41) is exposed to the outside.

결합핀은 양단에 케이스연결핀(411)과 스프링연결핀(412)을 구비한다. 케이스연결핀은 시계의 케이스에 있는 연결홀에 끼워지는 부위이며, 스프링연결핀(23)은 스프링(40)의 단부가 끼워지는 부위이다. The coupling pin has a case connection pin (411) and a spring connection pin (412) at both ends. The case connection pin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hole in the watch case, and the spring connection pin (23)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spring (40).

스프링연결핀(23)의 내측으로는 결합핀체결홀(421)과의 결합을 견고하기 위한 스레드부(411)가 구비된다. A threaded portion (411)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pring connecting pin (23) to ensure a solid 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pin fastening hole (421).

스프링(40)은 양단이 스프링연결핀(412)에 끼워지며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40)은 수축하고, 버튼(30)이 제거됨에 따라 힘이 제거되는 경우 스프링(40)은 수축이 완화되어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The spring (40) is fitted with spring connecting pins (412) at both ends, and when force is applied inwardly as the button is pressed, the spring (40) contracts, and when force is removed as the button (30) is removed, the spring (40) is relieved of contractio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due to elasticity.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제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용 바를 나타내는 제2의 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firs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o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fasten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버튼(30)을 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버튼의 제1경사면(31c)은 제2경사면(424)을 따라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합핀 유닛(20)의 제2경사면(21)은 버튼의 제1경사면(31)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결합핀(41)은 원통형 케이스(11)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 도 4과 같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에 힘이 해제되어 버튼은 위로 이동됨에 따라서 버튼의 제1경사면(31c)은 제2경사면(424)을 따라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 블록(42)의 제2경사면(424)은 버튼의 제1경사면(31c)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핀체결홀에 의해 연결된 결합핀(20)의 단부인 케이스연결핀(411)은 중공형 케이스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as the button (30) is moved down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of the button moves outwar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1) of the coupling pin unit (20) moves inwar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 of the button, and as a result, the coupling pin (41) moves into the cylindrical case (11). Meanwhile, when the button is not pressed, as shown in FIG. 4, the force on the compressed spring is released and the button moves upward, so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of the button moves inwar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of the sliding block (42) moves outwar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of the button. As a result, the case connecting pin (411), which is an end of the connecting pin (20) connected to the sliding block by the connecting pin fastening hole, moves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as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원터치 체결용 바를 시계줄에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계줄(50)을 시계본체나 러그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계줄을 시계본체나 러그유닛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Fig. 5 is a drawing of a state in which a one-touch fastening ba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atch strap. In a state like Fig. 3,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ch strap (50) from the watch body or the lug unit, and in a state like Fig. 4, the user can connect the watch strap to the watch body or the lug unit.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exemplifi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측면케이스
11 : 원통형케이스 111 : 중공
12 : 수용공간 13 : 커버
15 : 돌출벽 17 : 돌출버튼홀
20 : 탄성 부품
30 : 버튼
31 : 후크 31c. 제1경사면
41 : 결합핀 411. 수나사부
42 : 슬라이딩 블록 422 : 체결블록부
421 : 결합핀체결홀 422 : 노치
423 : 경사블록부 424 : 제2경사면
425 : 잠금핀 50 : 시계줄
10: Side case
11: Cylindrical case 111: Hollow
12: Receiving space 13: Cover
15: Protruding wall 17: Protruding button hole
20 : Elastic component
30 : Button
31: Hook 31c. 1st slope
41: Coupling pin 411. Male screw
42: Sliding block 422: Fastening block part
421: Coupling pin fastening hole 422: Notch
423: Inclined block section 424: Second slope
425 : Lock pin 50 : Watch strap

Claims (5)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T형 구조체로서,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중공형 케이스와 상기 중공형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측면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케이스의 적어도 일영역에 구비되는 돌출버튼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돌출버튼홀에 수용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후크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크에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버튼;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블록부, 상기 경사블록부와 일단에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타단에서 연결되는 결합핀체결홀을 구비하는 체결블록부를 구비하는 2개의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결합핀체결홀에 각각 끼워지는 2개의 결합핀을 포함하는 결합핀유닛; 및
상기 각 결합핀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버튼의 저면에 상기 슬라이딩 블록(42)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단면을 지지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3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31c)은 상기 후크부(31b)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31b)는 상기 스프링의 길이방향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블록부는 상기 제2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기저가 되는 부분 받침부와 상기 제2경사면(424)의 단부에 구비되는 잠금핀(425)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블록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중공형 케이스의 중공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며, 제1연장부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상기 결합핀체결홀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버튼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서로 경사운동 하면서 상기 결합핀의 단부를 상기 중공형 케이스 외부로 이동시키는 체결용 바.
A T-shaped structure having a space inside, comprising a hollow case having a hollow space inside and a side cas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llow cas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and a case including a protruding button hole provid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side case;
A button accommodated in the above protruding button hole and having at least two hooks provided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the hooks including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coupling pin unit including two sliding blocks having an inclined block portion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clined block portion at one end, and a coupling block portion having a coupling pin fastening hol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t the other end, and two coupling pins each fitted into the coupling pin fastening holes; and
Including a spring provided on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above coupling pins,
The above hoo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toward the sliding block (42), and includes a base portion that supports the cross-section of the button, and a hook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base portion (31a),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c) is formed on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1b), and the hook portion (31b)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ing.
The above-mentioned inclined block portion includes a base supporting portion for form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locking pin (425)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24).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block portion ha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hollow direction of the hollow case from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has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pin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pin is inserted.
A fastening bar that moves the end of the coupling pin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ase by causing the button and the sliding block to tilt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ome into contact when the button is pres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일단에 시계의 케이스에 있는 연결홀에 끼워지는 부위인 케이스연결핀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연결핀을 구비하는 체결용 바.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in is a fastening bar having a case connecting pin at one end that is inserted into a connecting hole in the case of a watch, and a spring connecting pin at the other end to which the spring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힘이 가해져 상기 버튼의 후크에 구비된 제1경사면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제2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은 수축하고, 힘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은 수축이 완화되어 탄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체결용 바.
In the first paragraph,
A fastening bar in which,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hook of the button descends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the spring contracts, and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spring is relieved of contractio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ity.
KR1020230060162A 2023-05-09 2023-05-09 Bar for connection Active KR102778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162A KR102778219B1 (en) 2023-05-09 2023-05-09 Bar for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162A KR102778219B1 (en) 2023-05-09 2023-05-09 Bar for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2938A KR20240162938A (en) 2024-11-18
KR102778219B1 true KR102778219B1 (en) 2025-03-06

Family

ID=9370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162A Active KR102778219B1 (en) 2023-05-09 2023-05-09 Bar for 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82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6840A (en) * 2022-07-01 2023-05-09 深圳市爱都科技有限公司 Locking mechanism, shell assembly and intelligent wearable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790925U (en) * 2022-11-09 2023-04-07 中山市沃驰领克科技有限公司 Key switch type quick-release lu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026B1 (en) * 2015-08-13 202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Coupl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37921A (en) 2017-06-20 2018-12-28 최현석 Watch strap connecting pin and watch strap being connected to watch thereb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790925U (en) * 2022-11-09 2023-04-07 中山市沃驰领克科技有限公司 Key switch type quick-release 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2938A (en) 202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505A (en) Quick-fixing device for a watchband
KR102778219B1 (en) Bar for connection
US7089632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20060049640A1 (en) Tool box having a locking mechanism
EP0648444A1 (en) Retaining construction of watchband
KR100662454B1 (en) Stand structure for flat panel display
US20080244873A1 (en) Separable ornamented button
CN102068088A (en) Portable object with an interchangeable bracelet or strap
US6517302B2 (en) Modular clip
JPH08206021A (en) Grip fixation mechanism for cooking pan hand grip
CN108552684A (en) Watchband connection structure and wearing equipment thereof
US9700108B2 (en) Coupler
JP2008281169A (en) Retainer
US20230141715A1 (en) Assembly of a wristband to a watch case
JP5785305B2 (en) Clasps for jewelry or watches
JPS63502407A (en) clasp for bracelet
US4083178A (en) Watch case
KR20240150163A (en) Links For Watch Band
KR200364761Y1 (en) Roof sheet fixing frame
KR20240149712A (en) Bar for connection
US20050210794A1 (en) Coupling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the same
JP2022034542A (en) Watch component with cap
KR20250059628A (en) Pin module with roller for connection
JP7603962B2 (en) Sliding door handle and connecting member for sliding door handle
JP2007321552A (en) Panel connec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