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6134B1 - Camera device - Google Patents
Camera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6134B1 KR102776134B1 KR1020190072232A KR20190072232A KR102776134B1 KR 102776134 B1 KR102776134 B1 KR 102776134B1 KR 1020190072232 A KR1020190072232 A KR 1020190072232A KR 20190072232 A KR20190072232 A KR 20190072232A KR 102776134 B1 KR102776134 B1 KR 1027761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connecting terminal
- terminal
- variable lens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가변렌즈 홀더;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가변렌즈의 제1면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제1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device including a variabl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disposed with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connecting terminal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wherein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first terminal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d the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along a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 second region bent from the first region and dispos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third region bent from the second region and extending outwardly of the variable lens holder.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device.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on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describe prior art.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become more widesprea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become commercialized, consumer demands related to mobi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nd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mobile terminals.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가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장치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Among them,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camera device that takes pictures or videos of a subject. Meanwhile, recent camera devices are equipped with an auto focus function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focu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n addition, a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applied to prevent the image from shaking due to the photographer's hand shake.
최근에는 전류 인가에 따라 렌즈의 형상이 변형되어 오토 포커스 기능 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렌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액체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서 사이즈 축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Recently, liquid lenses that change shape depending on the current applied to perform autofocus or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ize reduction in camera devices equipped with liquid lenses.
본 실시예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사이즈가 최소화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camera device whose siz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minimized.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가변렌즈 홀더;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가변렌즈의 제1면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제1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ariabl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disposed with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connecting terminal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wherein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first terminal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d the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region disposed along a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 second region bent from the first region and dispos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third region bent from the second region and extending outwardly of the variable lens holder.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는 복수의 제1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는 복수의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1단자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제1단자에 짝을 맞추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복수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includes a third connecting terminal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s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in a paired manner,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of the variable len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상기 제2연결단자와 상기 제3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1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외면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는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내면과 상기 제1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It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nd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상기 제1통전부재는 상기 제3연결단자를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과 연결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conductive member can connect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with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상기 제2면과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can be extend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nd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may have a shape that does not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외주의 제1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외주의 제2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후크 형상을 포함하는 제4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영역은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영역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extends downwardly from a first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ourth reg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a seco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and including a hook shape, and the fourth region can be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reg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상기 카메라 장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와 상기 홀더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comprises a holder; a holder terminal disposed in the holder; a lens holder disposed in the holder; and a plurality of lenses coupled to the lens holder, wherein the variable lens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connecting terminal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variable lens and the holder terminal.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의 상면에 노출되고, 상기 홀더단자에 배치되는 제2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통전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 holder terminal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and includes a second conductive member arranged on the holder terminal, and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가변렌즈 홀더;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하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외면은 노출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내면은 상기 제3연결단자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variabl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disposed with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connecting terminal disposed o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first terminal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the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third connecting terminal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extend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third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region to an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exposed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through a conductive member.
본 실시예를 통해,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카메라 장치의 사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다.Through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camera devi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0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BB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CC of Figure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device of Fig. 6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8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0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13a is a bottom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of Fig. 10.
FIG. 1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Fig. 1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combined or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nd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 and (or at least one) of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B, C.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above" or "below",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be any one of a mobile phone, a cellular phone, a smart phone, a portable smart device, a digital camera,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 navigation device. However, the type of the optic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for taking images or photographs may be included in the optical device.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장치가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장치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body. The body may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optical device. The body may accommodate a camera device. A display unit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dy.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device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amera device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side located opposite the one side).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광학기기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may be arranged in the main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camera device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The camera device may be provided in multiples. The camera device may be arranged on each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 camera device may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a는 도 10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1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line A-A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line B-B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line C-C of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of FIG. 6 from a different angle, FIG. 8 is a plan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of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of FIG. 10 from a different angle, and 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of FIG. 10. A bottom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are provided, FIG. 1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카메라 장치는 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0)은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와 센서 베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은 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단자(11)는 통전부재를 통해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10). The substrate (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substrate (1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n image sensor and a sensor base (40)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e substrate (10) may include a terminal (11). The terminal (11) of the substrat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holder terminal (40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220)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22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n image sensor.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e image sen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0) by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For another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0) by flip chip technology. The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such that its optical axis is aligned with that of the lens (220). That is,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220) may be aligned. The image sensor may convert light irradiated to an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ensor may be any one of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a CPD, and a CID.
카메라 장치는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는 기판(10)과 연결기판(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nector (20). The connector (2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ubstrate (1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30). The connector (20) may include a por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카메라 장치는 센서 베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40)는 홀더(100)와 기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40)에는 필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50)가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40)의 부분에는 필터(5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sensor base (40). The sensor base (40) may be placed between the holder (100) and the substrate (10). A filter (50) may be placed on the sensor base (40).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nsor base (40) where the filter (50) is placed so that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ter (50) may be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카메라 장치는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5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200)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filter (50). The filter (50) may include an infrared filter. The infrared filter may block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from being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The infrared filter may reflect infrared light. Alternatively, the infrared filter may absorb infrared light. The infrared filter may be arranged between the lens module (200) and the image sensor. The infrared filter may be arranged on the sensor base (40).
카메라 장치는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는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베이스(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베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는 커버(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holder (100). The holder (100) may be placed on a substrate (10). The holder (100) may be placed on a sensor base (40). The holder (100) may b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nsor base (40). The holder (100)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base (40). The holder (100) may be coupled to a lens module (200). The holder (100) may be placed inside a cover (800). The holder (1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홀더(100)는 단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20)는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단차부(120)는 홀더(100)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20)에는 커버(800)의 측판(820)이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120)는 커버(800)의 측판(820)과 광축에 평행한 방향(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step portion (120). The step portion (120) may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step portion (1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100). A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may be placed on the step portion (120). The step portion (120) may overlap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vertical direction).
홀더(100)는 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0)은 홀더(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30)은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홀더단자(400)의 측면까지 함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홈(130)은 홀더단자(4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groove (130). The groove (13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groove (130) may be recess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terminal (400). In this way, the groove (130) ma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terminal (400).
홀더(100)는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140)은 홀더(100)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홀일 수 있다. 홀(140)에는 렌즈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hole (140). The hole (140) may be a hollow hole penetrating the holder (1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lens module (200) may be placed in the hole (140).
홀더(100)는 격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50)은 Ag 에폭시가 수용되는 에폭시 탱크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격벽(150) 사이에는 에폭시 탱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폭시 탱크는 홀더(100)의 상면과 내측면으로부터 격벽(150)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는, 에폭시 탱크는 홀더(100)의 일부가 함몰되는 홈(160)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격벽(150) 사이에는 에폭시가 수용되는 공간인 에폭시 탱크가 형성되고 이 부분을 홈(160)이라 할 수 있다. 격벽(150) 사이에는 제2통전부재(720)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150) 사이에는 Ag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50). The partition walls (1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form an epoxy tank in which Ag epoxy is accommodated. That is, an epoxy tank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poxy tank may be described as formed by the partition walls (15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100). Alternatively, the epoxy tank may be described as formed by a groove (160) in which a portion of the holder (100) is sunke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poxy tank, which is a space in which epoxy is accommodated,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50), and this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groove (160). A second conductive member (72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0). Ag epoxy may be arrang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50).
홀더(100)는 기둥(17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170)은 홀더(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기둥(170)은 홀더(100)의 4개의 코너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기둥(170)은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200)과 가변렌즈부(30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둥(170)은 커버(8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pillar (170). The pillar (17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pillar (170)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older (100). The four pillars (170) may prevent the lens module (200) and the variable lens unit (300) disposed inside from being separated. The pillar (170) may be combined with the cover (800).
카메라 장치는 렌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lens module (200). The lens module (200) may be placed in a holder (100). The lens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00). The lens module (200) may be placed within the holder (100).
렌즈 모듈(200)은 렌즈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렌즈 배럴일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내부에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 홀더(210)의 내주면은 렌즈(22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holder (210). The lens holder (210) may be a lens barrel. The lens holder (210) may accommodate a lens t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220). The lens holder (2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렌즈 홀더(210)는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2)은 가변렌즈부(300)가 배치되는 가변렌즈 수용홀일 수 있다. 홀(212)에는 가변렌즈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212)은 가변렌즈부(300)의 높이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홀(212)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lens holder (210) may include a hole (212). The hole (212) may be a variable lens receiving hole in which the variable lens unit (300) is placed.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placed in the hole (212). The hole (212)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that is a predetermined siz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variable lens unit (300). The hole (212) may penetrate the lens modul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liquid lens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12) of the lens module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upled thereto.
렌즈 모듈(200)은 렌즈(2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는 렌즈 홀더(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일 수 있다. 렌즈(2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렌즈(221)는 액체렌즈(3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렌즈(222)는 액체렌즈(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각각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렌즈(221)는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하부 렌즈(222)는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부 렌즈(221)의 렌즈 매수와 하부 렌즈(222)의 렌즈 매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렌즈(220), 상부 렌즈(221) 및 하부 렌즈(222)를 도시하였으나 해당 도면부호가 도면에서 지칭하는 바는 렌즈가 아닌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220). The lens (220) may be placed in a lens holder (210). The lens may be a solid lens. The lens may be a plastic lens. The lens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The lens (220) may include an upper lens (221) and a lower lens (222). The upper lens (221)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quid lens (310). The lower lens (222)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quid lens (310). Each of the upper lens (221) and the lower lens (2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The upper lens (221) may include three lenses and the lower lens (222) may include two lenses. However, the number of lenses of the upper lens (221) and the number of lenses of the lower lens (222) are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the drawing shows a lens (220), an upper lens (221), and a lower lens (222), the corresponding drawing symbols may refer to spaces in which lenses are accommodated, rather than the lenses themselves.
카메라 장치는 가변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와 결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홀더(100)와 이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220) 및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모듈(20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variable lens unit (30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coupled with a lens module (20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coupled with a lens holder (21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placed in the lens holder (21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100).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aligned with the lens (220) and the image sensor.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ens module (200).
가변렌즈부(300)는 가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 가변렌즈일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focus)이 조절되는 렌즈일 수 있다. 초점은 렌즈의 이동 및/또는 렌즈의 형상 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액체렌즈(310),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may be a focus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may be a lens whose focus is adjustable. The focus may be adjusted by movement of the lens and/or shape change of the lens. The variable le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lens (310), a polymer lens, a liquid crystal lens, a VCM (voice coil motor) actuator, an SMA (shape memory alloy) actuator, and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actuator.
액체렌즈(310)는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 및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는 액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멤브레인을 가압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렌즈(3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lens (310) including one type of liquid and a liquid lens (310) including two types of liquids. The liquid lens (310) including one type of liquid can change the focus by adjusting a membran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r example, the focus can be changed by pressing the membran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a magnet and a coil. The liquid lens (310) including two types of liquids can include a conductive liquid and a non-conductive liquid. In this case, the focus can be changed by adjusting an interface formed by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us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lens (310).
폴리머 렌즈는 고분자 물질을 피에조 등의 구동부를 통해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자기력에 의해 액정을 제어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VCM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SMA 액츄에이터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MEMS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전압 인가시 발생되는 정전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Polymer lenses can change focus by controlling polymer materials through actuators such as piezoelectric actuators. Liquid crystal lenses can change focus by controlling liquid crystals by electromagnetic force. VCM actuators can change focus by moving a solid lens or a lens assembly including a solid lens through an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a magnet and a coil. SMA actuators can change focus by moving a solid lens or a lens assembly including a solid lens using a shape memory alloy. MEMS actuators can change focus by moving a solid lens or a lens assembly including a solid lens through an electrostatic force generated when voltage is applied.
가변렌즈부(300)는 액체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액체렌즈 홀더(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복수의 렌즈(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배치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liquid lens (310). The liquid lens (310) may be placed in the lens module (200). The liquid lens (310) may be placed in a liquid lens holder (320). The liquid lens (310) may be placed between a plurality of lenses (220). The liquid lens (310) may be placed between the upper lens (221) and the lower lens (222). The liquid lens (310) may be placed in the hole (212) of the lens module (200).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310)는 단자(311)를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단자(311)는 개별단자(312)와 공통단자(313)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2)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2)는 액체렌즈(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별단자(312)는 상부단자로 호칭될 수 있다. 공통단자(313)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단자(313)는 액체렌즈(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통단자(313)는 하부단자로 호칭될 수 있다. 개별단자(312)와 공통단자(313)를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에 배치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별단자(312)와 공통단자(313) 중 어느 하나를 '제1단자'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단자'라 할 수 있다.The liquid lens (310) whose focal length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voltage can receive an operating voltage through the terminal (311). 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can include an individual terminal (312) and a common terminal (313). The individual terminal (312) can include four individual terminals arranged at four corners of the liquid lens (310). The individual terminal (312)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At this time, the individual terminal (312) can be referred to as an upper terminal. The common terminal (313) can include four common terminals arranged at four corners of the liquid lens (310). The common terminal (313) can be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At this time, the common terminal (313) can be referred to as a lower terminal. When an operating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individual terminal (312) and the common terminal (313),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placed in the lens area can be deformed. Hereinafter, one of the individual terminal (312) and the common terminal (313)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terminal'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terminal'.
액체렌즈(310)는 고체렌즈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이격 공간에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수행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은 아래의 단계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배치하고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의 어셈블리를 마스터 센서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가상의 격자 무늬 상에서 액체렌즈(310)를 이동시키며 액체렌즈(310)에 복수의 코드에 할당된 전압을 인가하면서 마스터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이 결정되면 액체렌즈(310)를 해당 지점에 위치시켜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접착하는 에폭시를 자외선을 통해 가경화할 수 있다. 이후, 열을 통해 에폭시를 본경화하여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고정할 수 있다.The liquid lens (310) can be separated from the solid lens. In the present embodiment, epoxy can be applied to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At this time, active alignment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can be performed. The active alignment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liquid lens (310) can be placed on the solid lens, and the assembly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can be placed on the master sensor. Then, the liquid lens (310) can be moved on a virtual grid pattern, and the point where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master sensor is the largest can be determined while applying voltages assigned to multiple codes to the liquid lens (310). Once the point where the amount of light is the largest is determined, the liquid lens (310) can be positioned at the point, and the epoxy that adheres the liquid lens (310) to the solid lens can be cured using ultraviolet rays. Thereafter, the liquid lens (310) can be fixed to the solid lens by curing the epoxy through heat.
한편,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에 고정하여 형성된 렌즈 유닛을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액티브 얼라인할 수 있다. 렌즈 유닛을 가상의 격자 무의 상에서 이동시키며 액체렌즈(310)에 복수의 코드에 할당된 전압을 인가하면서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을 결정하고 해당 지점에 렌즈 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에폭시를 이용한 가경화와 본경화를 통해 렌즈 유닛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ns unit formed by fixing the liquid lens (310) to the solid lens can be active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image sensor. While moving the lens unit on a virtual gridless surface and applying voltages assigned to multiple codes to the liquid lens (310), the point at which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image sensor is the largest can be determined and the lens unit can be fix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At this time, similar to the previous combination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the lens unit can be fixed in place through pre-curing and main curing using epoxy.
나아가, 위에서는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의 조립체를 이미지 센서와 액티브 얼라인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고체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이후 액체렌즈(310)를 액티브 얼라인할 수도 있고, 액체렌즈(310)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고체렌즈를 액티브 얼라인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are first actively aligned and then the assembly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olid lens is actively aligned with the image sensor, the solid lens and the image sensor may be actively aligned first and then the liquid lens (310) may be actively aligned, or the liquid lens (310) and the image sensor may be actively aligned first and then the solid lens may be actively aligned.
액체렌즈(310)의 일측은 개별단자(312)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다른 일측은 공통단자(313)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2)는 개별 전극이고 공통단자(313)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2)는 공통 전극이고 공통단자(313)는 개별 전극일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개별단자(312)와 공통단자(313)에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의해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F 기능 및 OIS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liquid lens (310) can receive voltage from the individual terminal (312). The other side of the liquid lens (310) can receive voltage from the common terminal (3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ividual terminal (312) of the liquid lens (310) can be an individual electrode and the common terminal (313) can be a common electrode. Alternatively, the individual terminal (312) of the liquid lens (310) can be a common electrode and the common terminal (313) can be an individual electrode. The liquid lens (310) can have an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deformed by current and/or voltage applied to the individual terminal (312) and the common terminal (313). Through this, at least one of the AF function and the OIS function can be performed.
액체렌즈(310)는 단자(3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311)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311)는 액체렌즈(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별단자(312)와, 액체렌즈(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통단자(313)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2)와 공통단자(313) 각각은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 terminal (311). The terminal (3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311) may include an individual terminal (312)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and a common terminal (313)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Each of the individual terminals (312) and the common terminal (313)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liquid lens (310).
액체렌즈(310)의 단자(311)는 개별단자(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2)는 상부 단자일 수 있다. 개별단자(312)는 액체렌즈(31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310)의 제1면은 상면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310)의 제1면은 하면일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2)는 복수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312)는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액체렌즈(310)는 개별단자(312)가 위를 향하도록 렌즈 홀더(210)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례로 액체렌즈(310)는 개별단자(312)가 아래를 향하도록 렌즈 홀더(2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n individual terminal (312). The individual terminal (312) may be an upper terminal. The individual terminal (312) may b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may be an upper surface. Alternatively, the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may be a lower surface. The individual terminal (312) of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vidual terminals. The individual terminal (312) may include four individual terminals. For example, the liquid lens (310) may be coupled to the lens holder (210) such that the individual terminal (312) faces upward. As a variation, the liquid lens (310) may be coupled to the lens holder (210) such that the individual terminal (312) faces downward.
액체렌즈(310)의 단자(311)는 공통단자(3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단자(313)는 하부 단자일 수 있다. 공통단자(313)는 액체렌즈(310)의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310)의 제2면은 하면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310)의 제2면은 상면일 수 있다.The terminal (311) of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 common terminal (313). The common terminal (313) may be a lower terminal. The common terminal (313) may be arrange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In this case, the second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may be a lower surface. Alternatively, the second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may be an upper surface.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는 복수의 공통단자(3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단자(313)는 4개의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통단자(313) 중 적어도 일부는 제3연결단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공통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제3연결단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3연결단자(600)가 4개의 공통단자를 모두 연결할 수 있다. 또는, 4개의 공통단자 중 2개 또는 3개의 단자가 제3연결단자(6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on terminals (313). The common terminal (313) may include four second terminals.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mmon terminals (31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Any one of the four common termina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Alternatively,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connect all four common terminals. Alternatively, two or three of the four common terminals may be connected by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가변렌즈에 대한 설명은 액체렌즈(31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렌즈(310)와 다른 구성 간의 결합구조는 가변렌즈와 다른 구성 간의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variable lens can be applied analogously to the description of the liquid lens (310). Accordingly,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liquid lens (310) and other components can be applied to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variable lens and other components.
가변렌즈부(300)은 액체렌즈 홀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액체렌즈(310)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은 홀더(100)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내부에는 액체렌즈(31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에는 연결단자(500)가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에는 연결단자(500)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liquid lens holder (320).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be coupled to the liquid lens (310).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liquid lens (31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liquid lens holder (320). A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coupl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liquid lens holder (320) by insert injection.
액체렌즈 홀더(320)는 홀(321)을 포함할 수 있다. 홀(321)은 중공 홀일 수 있다. 홀(321)은 액체렌즈 홀더(32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홀(321)에는 액체렌즈(31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321)은 액체렌즈(3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제1홈(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22)에는 제3연결단자(600)의 제2영역(6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22)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22)에는 제1통전부재(71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격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23)은 제1홈(32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23)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격벽(323)은 제1통전부재(7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hole (321). The hole (321) may be a hollow hole. The hole (321) may penetrate the liquid lens holder (3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liquid lens (310) may be placed in the hole (321)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refore, the hole (32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quid lens (310).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first groove (322). A second area (620) of a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be placed in the first groove (322). The first groove (322) may be recessedly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A first conductive member (710) may be placed in the first groove (322).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323). The partition wall (323) can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322). The partition wall (323) can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partition wall (323) can prevent the first conductive member (710) from being detached.
액체렌즈 홀더(320)는 제2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324)에는 제3연결단자(600)의 제4영역(6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홈(324)은 제3연결단자(600)의 제4영역(64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의 제4영역(640)은 에폭시를 통해 제2홈(32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홈(324)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제3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홈(325)에는 연결단자(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홈(325)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3홈(325)의 함몰된 깊이는 연결단자(500)의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제3홈(325)의 함몰된 깊이가 연결단자(500)의 두께보다 깊을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제4홈(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4홈(326)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홈(326)에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액체렌즈(310)를 고정하는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second groove (324). A fourth area (640) of a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groove (324). The second groove (32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area (64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The fourth area (640) of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fixed to the second groove (324) through epoxy. The second groove (324)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third groove (325). A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arranged in the third groove (325). The third groove (325)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unken depth of the third groove (325)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500). However, as a variation, the sunken depth of the third groove (325) may be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500).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fourth groove (326). The fourth groove (326)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An epoxy may be placed in the fourth groove (326) to fix the liquid lens (310)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액체렌즈 홀더(320)는 연결단자(500)가 삽입되도록 연결단자(50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3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가변렌즈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 홀더에 대한 설명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include a third groove (32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500)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inserted. The variable lens unit (300) may include a variable lens holder. The description of the variable lens holder may be analogous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카메라 장치는 홀더단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통전부재(720)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인서트(insert)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연결단자(500)와 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holder terminal (4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placed on the holder (1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conductive member (720)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holder terminal (4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holder (100)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holder terminal (4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ion terminal (500) and the substrate (10).
홀더단자(400)는 제1홀더단자(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단자(410)는 제1연결단자(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홀더단자(410)의 일부는 홀더(1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홀더단자(410)의 일부의 상면은 홀더(100)의 홈(16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단자(410)의 하단은 기판(10)의 단자(11)에 솔더(solder)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hold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terminal (410). The first holder terminal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0). A portion of the first holder terminal (41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upp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first holder terminal (410) may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60) of the holder (100).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der terminal (41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of the substrate (10) through solder.
홀더단자(400)는 제2홀더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단자(420)는 제2연결단자(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홀더단자(420)의 일부는 홀더(1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2홀더단자(420)의 일부의 상면은 홀더(100)의 홈(16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단자(420)의 하단은 기판(10)의 단자(11)에 솔더(solder)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변형례로 제2홀더단자(420)는 제2연결단자(5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단자(520)의 위치에 따라 제2홀더단자(420)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The hold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second holder terminal (420).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A portion of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he upp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may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60) of the holder (10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of the substrate (10) through solder. FIG. 9 shows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may also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카메라 장치는 연결단자(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310)와 홀더단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자(500)의 일부의 측면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500).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arranged i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arrang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310).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liquid lens (310) and the holder terminal (400).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rough insert injection. A side surface of a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500) may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a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연결단자(500)는 제1연결단자(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10)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10)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2)와 제1홀더단자(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10)는 복수의 개별단자(312)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개별단자(31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10)는 4개로 구비되어 4개의 개별단자(312)에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terminal (5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dividual terminal (312) of a liquid lens (310).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individual terminal (312)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first holder terminal (410).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dividual terminals (312)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terminals (312).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may be provided in four pieces and may be connected to four individual terminals (312) in pairs.
제1연결단자(510)는 제1영역(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11)은 제2영역(51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영역(511)은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312)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511)은 가변렌즈의 제1면에 대응하는 가변렌즈 홀더의 제1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may include a first region (511). The first region (511) may extend inwardly from the second region (512). The first region (511) may be connected to the individual terminal (312) of the liquid lens (31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The first region (511)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제1연결단자(510)는 제2영역(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12)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영역(512)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영역(512)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512)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10)의 제2영역(512)은 액체렌즈(310)를 렌즈 모듈(200) 및/또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align)하는 과정에서 액체렌즈(3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포고 핀(pogo pin)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512). The second region (512) may be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512) may be coupl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512) may be arrang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512) may be arrang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second region (512)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0) may be a portion where a pogo pin comes into contact to apply current to the liquid lens (310) during the process of aligning the liquid lens (310) with the lens module (200) and/or the image sensor.
제1연결단자(510)는 제3영역(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513)은 제2영역(5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영역(513)은 제2영역(512)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3영역(513)은 가변렌즈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영역(513)은 홀더단자(400)와 연결되는 제2통전부재(7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0) may include a third region (513). The third region (513)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second region (512). The third region (513) may be bent from the second region (512). The third region (513)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variable lens holder. The third region (513)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conducting member (720) connected to the holder terminal (400).
연결단자(500)는 제2연결단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520)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520)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와 제2홀더단자(4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520)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2연결단자(52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terminal (50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and the second holder terminal (420).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be provided as one. Alternatively,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제2연결단자(520)는 제1영역(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21)은 액체렌즈(310)의 제1면에 대응하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제1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면은 상면일 수 있다. 제1영역(521)는 액체렌즈(310)의 제1면에 대응하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제1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영역(521)은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521)은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521)은 제3연결단자(6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영역(521)은 제3연결단자(600)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영역(521)은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영역(521)과 제2영역(522)이 만나는 부분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include a first region (521). The first region (521) may be arranged along a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corresponding to a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In this case, the first surface may be an upper surface. The first region (521) may extend along a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The first region (521)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first region (521)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first region (5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The first region (521) may overlap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region (521)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part where the first region (521) and the second region (522) meet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제2연결단자(520)는 제2영역(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22)은 제1영역(521)으로부터 액체렌즈(310)의 제2면에 대응하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제2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면은 하면일 수 있다. 제2영역(522)의 상단은 제1영역(5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522)의 하단은 제3영역(523)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522). The second region (522) may extend from the first region (521) toward the second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liquid lens (310). At this time, the second surface may be the lower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521).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region (523).
본 실시예에서 제2영역(522)의 외면은 노출될 수 있다. 제2영역(522)의 외면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영역(522)의 외면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더(1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영역(522)의 외면은 제조공정 중 포고 핀(pogo pin)과의 접촉을 위해 노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be expose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not overlap with the holder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be exposed for contact with a pogo pi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실시예에서 제2영역(522)의 내면은 제3연결단자(600)와 제1통전부재(7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522)의 내면은 제3연결단자(600)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영역(522)의 내면은 제3연결단자(6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영역(522)과 제3연결단자(600)를 연결하는 제1통전부재(710)가 제2영역(522)의 내면에 연결되므로 도 15의 변형례와 비교하여 제2연결단자(520)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가 소정길이(도 15의 A 참조)만큼 축소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a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710).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can be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However,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can be arranged adjacent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member (710) connecting the second region (522) and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22), so that, compared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5,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can be reduc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ee FIG. 15 A).
본 실시예에서 제3연결단자(600)와 가장 인접한 제2연결단자(520)의 구성은 제2영역(522)일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은 제3연결단자(600)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closest to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be a second region (522). At this time,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may be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2중 이상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변형례에서 제2영역(522a)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2중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는 제2영역(522a)의 U자로 절곡된 부분을 통해 제2영역(522a)이 2중으로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변형례와 비교하여 제2영역(522)의 형상 차이를 통해 소정의 길이(도 15의 A 참조)만큼 제2연결단자(520)와 액체렌즈 홀더(320)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may not overlap more than twi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the modified example illustrated in FIG. 15, the second region (522a) may overlap more than twi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the modified example, a part where the second region (522a) overlaps more than twice may be generated through a U-shaped bent part of the second region (522a). In the present embodiment, compared to the modified exampl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 and the liquid lens holder (320) may be reduc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ee A of FIG. 15) through the shape difference of the second region (522).
한편, 본 실시예와 변형례를 비교하면 본 실시예는 제1통전부재(710)가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과 접촉되었는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통전 검사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Meanwhile, when comparing this embodiment with the modified example,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y to conduct a current inspection sinc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from the outside whether the first current-conducting member (71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area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제2연결단자(520)는 제3영역(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523)은 제2영역(52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영역(523)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제2면과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면은 하면일 수 있다. 제3영역(523)은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역(522)의 타단은 제1영역(521)이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 단부일 수 있다. 제3영역(523)은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520)의 제3영역(523)은 제2통전부재(7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include a third region (523). The third region (523)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second region (522). The third region (523) may exten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At this time, the second surface may be a lower surface. The third region (52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Her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may be an opposite end of the end to which the first region (521) is connected. The third region (523) may b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third region (523)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ng member (720).
카메라 장치는 제3연결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가변렌즈의 제2단자(공통단자(313))와 제2연결단자(5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의 내면과 제1통전부재(7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에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4개의 공통단자(313) 중 어느 하나에만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3연결단자(600)는 4개의 공통단자(313) 모두에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통전부재(710)는 제3연결단자(600)를 제2연결단자(520)의 제2영역(522) 및 제3영역(523)과 연결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connect a second terminal (common terminal (313))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be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a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rough a first conductive member (710).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be connected to a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through a conductive member.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be connected to only one of the four common terminals (313) through the conductive member. Alternatively,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be connected to all four common terminals (313) through the conductive members. The first conductive member (710) can connect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to the second region (522) and the third region (523)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제3연결단자(600)는 제1영역(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610)은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610)은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610)은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313)와 결합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제2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제2연결단자(520)와 제1통전부재(7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제2연결단자(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제2연결단자(5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영역(620)은 포크 형태의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620)의 복수의 돌기는 Ag 에폭시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제3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630)은 제1영역(610)과 제2영역(6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3영역(63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연결단자(600)는 제4영역(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영역(640)은 제1영역(61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영역(640)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에폭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610). The first region (610) may be connected to a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The first region (6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The first region (610) may be coupled to the common terminal (313) of the liquid lens (310).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620).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710).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second region (6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a fork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region (620) may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the Ag epoxy.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include a third region (630). The third region (630) may connect the first region (610) and the second region (620). The third region (630) may be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600) may include a fourth region (640). The fourth region (64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region (610). The fourth region (640) may be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by epoxy.
카메라 장치는 통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Ag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전도성일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점성을 가질 수 있다. 통전부재는 통전성의 접착제일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제3연결단자(600)와 제2연결단자(520)를 연결하는 제1통전부재(7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연결단자(500)와 홀더단자(400)를 연결하는 제2통전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nductive member. The conductive member may include Ag epoxy.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conductive. The conductive member may have viscosity.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a conductive adhesive. The conductive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member (710)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 The conductive member may include a second conductive member (720) connecting the connecting terminal (500) and the holder terminal (400).
카메라 장치는 커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의 단차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800)의 측판(820)의 내면은 홀더(100)의 측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800)는 렌즈 모듈(2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800)는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8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기판(1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8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8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8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a cover (800). The cover (800) may be coupled with the holder (100). The cover (800) may be placed on the step (120) of the holder (100).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820) of the cover (800) may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by an adhesive. The cover (800) may accommodate a part of the lens module (200) therein. The cover (800) may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camera device. The cover (8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The cover (800) may be non-magnetic. The cover (8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cover (8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The cover (800)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portion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is, the cover (800) may be grounded. The cover (800) can block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t this time, the cover (800) can be called an 'EMI shield can'.
커버(800)는 상판(810)과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810)과, 상판(810)의 외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800) may include a top plate (810) and a side plate (820). The cover (800) may include a top plate (810) including a hole, and a side plate (820) extending downward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top plate (810).
이하에서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다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and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refore, parts that are not described can be analogic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5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액체렌즈(310), 액체렌즈 홀더(320) 및 제2연결단자(52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변형례에서는 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연결단자(520a)의 형상과 그와 관련된 액체렌즈 홀더(320)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may include a liquid lens (310), a liquid lens holder (320), and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a). However, in the modified example, the shape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a) and the shap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related thereto may be changed compared to the present embodiment.
제2연결단자(520a)는 홀더단자(400)와 Ag 에폭시를 통해 연결되기 위한 돌출 구조를 갖는 제3영역(523)과, 공정 중 포고 핀(pogo pin)과 접촉(contact)되기 위해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영역(522a)와, 제3연결단자(600)와 Ag 에폭시를 통해 연결되기 위해 평행한 대면 구조를 갖는 제1영역(521a)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a) may include a third region (523)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for connection to the holder terminal (400) through Ag epoxy, a second region (522a)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n a side of the liquid lens holder (320) for contact with a pogo pin during a process, and a first region (521a) having a parallel facing structure for connection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through Ag epoxy.
변형례에서는 제3연결단자(600)와 제1영역(521a)의 대면구조를 포함하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제1통전부재(710)를 배치하므로 제3연결단자(600)와 제1영역(521a)의 통전 면적이 넓은 장점을 갖는다.In the modified example,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and the first region (521a) have a face-to-face structure, a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710)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urfaces, so that the conductive area of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600) and the first region (521a) is large.
변형례에서 제2영역(522a)은 U자 형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22a)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2중으로 중첩될 수 있다.In a variation, the second region (522a) may include a portion folded in a U shape. The second region (522a) may be overlapped twi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도 16은 다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Fig. 1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다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제2연결단자(520b)의 제2영역(522)은 제1영역(521)의 외주의 제1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520b)는 제1영역(521)의 외주의 제2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4영역(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영역(524)은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영역(524)은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영역(52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4영역(524)은 액체렌즈 홀더(320)에 고정되기 위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second region (522)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b) may extend downward from a first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521).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520b) may include a fourth region (524) extending downward from a seco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521). The fourth region (524) may include a hook shape. The fourth region (524)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region (52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The fourth region (524) may include a shape for being fixed to the liquid lens holder (320).
제4영역(524)은 제1영역(521)에서 제2영역(522)과 상이한 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영역(524)이 제2연결단자(520b)의 수평방향으로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The fourth region (524) may extend from a different plane from the first region (521) and the second region (522). As a result, the fourth region (524) may not affect the horizontal siz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520b).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1)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가변렌즈의 제1면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제1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와 상기 제3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1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외면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는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내면과 상기 제1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는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장치.Variabl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arranged with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connecting terminal is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first terminal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above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Including a third connecting terminal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arranged along a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 second region bent from the first region and arrang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third region bent from the second region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nd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 camera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overlaps with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는 복수의 제1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는 복수의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1단자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제1단자에 짝을 맞추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복수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above first connecting terminal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in a paired manner.
A camera device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of the variable le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상기 제1통전부재는 상기 제3연결단자를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과 연결하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connects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with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상기 제2면과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되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extends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타단에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형상을 갖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has a shape that does not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외주의 제1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외주의 제2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후크 형상을 포함하는 제4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영역은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영역보다 짧게 형성되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ourth reg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and including a hook shape,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fourth region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reg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와 상기 홀더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카메라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holder;
A holder terminal arranged in the above holder;
a lens holder arranged in the holder;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es coupled to the lens holder;
The above variable lens is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he above connecting terminal is a camera devic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variable lens and the holder terminal.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의 상면에 노출되고,
상기 홀더단자에 배치되는 제2통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통전부재와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In Article 9,
The above holder terminal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Including a second conductive member arranged on the above holder terminal,
A camera device in which the thir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ng member.
상기 가변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가변렌즈; 및
상기 가변렌즈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와, 상기 가변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하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변렌즈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외면은 노출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내면은 상기 제3연결단자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에서 상기 제2연결단자를 마주보고 있는 면은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의 내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3연결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장치.Variable lens holder;
A variable lens arranged with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connecting terminal is disposed in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first terminal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rang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The above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a third connecting terminal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variable lens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region extend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and a third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region to the outside of the variable lens hold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expos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through a conductive member.
The surface of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facing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 camera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overlaps with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2232A KR102776134B1 (en) | 2019-06-18 | 2019-06-18 | Camera device |
US17/618,592 US12158596B2 (en) | 2019-06-18 | 2020-06-17 | Camera device |
CN202080058851.5A CN114424092B (en) | 2019-06-18 | 2020-06-17 | Camera device |
PCT/KR2020/007840 WO2020256404A1 (en) | 2019-06-18 | 2020-06-17 | Camera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2232A KR102776134B1 (en) | 2019-06-18 | 2019-06-18 | Camera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330A KR20200144330A (en) | 2020-12-29 |
KR102776134B1 true KR102776134B1 (en) | 2025-03-07 |
Family
ID=7409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2232A Active KR102776134B1 (en) | 2019-06-18 | 2019-06-18 | Camera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613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37973A1 (en) * | 2006-08-10 | 2008-02-1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iquid-lens assembly |
US20150146073A1 (en) * | 2012-06-22 | 2015-05-28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
KR101908658B1 (en) * | 2017-11-02 | 2018-12-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liquid len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243A (en) * | 2014-12-31 | 2016-07-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
2019
- 2019-06-18 KR KR1020190072232A patent/KR1027761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37973A1 (en) * | 2006-08-10 | 2008-02-1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iquid-lens assembly |
US20150146073A1 (en) * | 2012-06-22 | 2015-05-28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
KR101908658B1 (en) * | 2017-11-02 | 2018-12-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liquid le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330A (en) | 2020-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74769B1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US12096107B2 (en) |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 |
KR20190001299A (en) | Camera module | |
CN113366384A (en) | Camera module | |
KR102476403B1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20180088237A (en) | Liquid lens modul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lens module | |
KR102669072B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KR20250004577A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 |
KR102779868B1 (en) | Camera device | |
US12222525B2 (en) | Camera module | |
US12158596B2 (en) | Camera device | |
KR102776134B1 (en) | Camera device | |
KR102708497B1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102779911B1 (en) | Camera device | |
KR102784124B1 (en) | Camera device | |
US12055841B2 (en) | Camera device | |
KR102782304B1 (en) | Camera device | |
KR102798711B1 (en) | Camera device | |
US20230350273A1 (en) | Camera device | |
KR102608429B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 |
KR102836382B1 (en) | Actuator device and camera device | |
KR102722563B1 (en) | Camera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