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4071B1 -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4071B1 KR102774071B1 KR1020220140590A KR20220140590A KR102774071B1 KR 102774071 B1 KR102774071 B1 KR 102774071B1 KR 1020220140590 A KR1020220140590 A KR 1020220140590A KR 20220140590 A KR20220140590 A KR 20220140590A KR 102774071 B1 KR102774071 B1 KR 1027740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frame
- frame device
- segment
- cage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74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05—Rails or support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0—Tunnel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의 횡 단면도,
도 3a는 도 2a에서 세그먼트가 거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세그먼트 이동모드에서의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연이 개방된 이동프레임 골조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연이 개방된 이동프레임 골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휠이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 연결부재에 설치된 회전휠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가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케이지가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의 인양쉬브에 연결된 세그먼트의 모식도,
도 9b는 도 9a에서 인양 평형지그가 설치된 모식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의 인양쉬브에 연결된 세그먼트의 모식도,
도 10b는 도 10a에서 인양 평형지그가 설치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트 거치시 회전휠의 위치가 변경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모식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로 세그먼트 수용시 회전휠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로 세그먼트 수용시 회전휠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14a 내지 도 14l은 시공 단계 각각에 대한 시공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시가설재를 적용하여 연결부를 연결하는 상황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를 적용하는 상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2:고정장치
3:교각
4:임시가설재
5:궤도
10:횡 프레임
11:개폐부재
12:지지휠
20:종연결부재
30:회전휠
31:연결재
32:각도변경수단
33:위치변경수단
40:케이지
41:프레임
42:종연결단
43:개폐단
44:이동휠
45:인양수단
100: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110: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
Claims (15)
- 튜브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시공시키기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부재; 및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종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에 배치된 상기 세그먼트를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을 상기 횡 프레임과 종 연결부재에 연결시키는 연결재, 상기 연결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휠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변경수단, 및 상기 회전휠과 상기 각도변경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콘크리트 튜브 또는 강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세그먼트 내부 수용시, 개폐되도록 상기 횡 프레임 상연 또는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휠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를 궤도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휠; 및 내부에 상기 세그먼트가 수용되며,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휠을 갖는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측 상기 종연결부재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는 이동휠을 통해 상기 이송궤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수용시,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내로 상기 세그먼트를 인양시키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로 거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 제 1항 및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지지휠을 통해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 세그먼트가 장착된 케이지를 안착시키고, 상기 케이지가 안착된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에 연결 고정시키고, 이동휠을 통해 상기 케이지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케이지 내부의 세그먼트를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거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의 회전휠을 구동하여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하여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제5단계;
상기 케이지를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지와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후방측으로 회수하는 제6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임시가설재를 상기 전방 세그먼트 전방에 위치시켜 임시가설재를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방 세그먼트와 후방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를 후방측에 배치하여, 세그먼트간 연결부를 압착, 연결시키도록 시공하고,
상기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을 세그먼트 접촉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및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단측 종연결부재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는 이동휠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케이지의 개폐단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의 개폐부재가 개방되고, 인양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지 내의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로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0590A KR102774071B1 (ko) | 2022-10-27 | 2022-10-27 |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0590A KR102774071B1 (ko) | 2022-10-27 | 2022-10-27 |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9388A KR20240059388A (ko) | 2024-05-07 |
KR102774071B1 true KR102774071B1 (ko) | 2025-02-26 |
Family
ID=9107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0590A Active KR102774071B1 (ko) | 2022-10-27 | 2022-10-27 |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407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011B1 (ko) * | 2011-03-16 | 2011-07-28 | 에스에이지주식회사 | 탈착 이동식 관로 케리어장치 및 관로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33394B2 (ja) | 2016-01-13 | 2020-01-22 | 株式会社エスイー | 放射線遮蔽用コンクリート製容器とその形成方法 |
KR101853924B1 (ko) | 2017-11-21 | 2018-05-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초고속 튜브철도용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구비한 슬래브-캐노피 합성모듈형 운송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B2578876B (en) * | 2018-11-09 | 2021-01-20 | Pipeline Repair Specialists Pte Ltd | Apparatus for servicing a structure |
KR102368610B1 (ko) | 2020-11-23 | 2022-03-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초고속 이동체계용 콘크리트 진공튜브 세그먼트 제작 장치 및 방법 |
KR102266481B1 (ko) | 2020-12-10 | 2021-06-1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탄성밀폐블록을 이용한 초고속 이동체계용 콘크리트 운송관 세그먼트 연결부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
-
2022
- 2022-10-27 KR KR1020220140590A patent/KR10277407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011B1 (ko) * | 2011-03-16 | 2011-07-28 | 에스에이지주식회사 | 탈착 이동식 관로 케리어장치 및 관로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9388A (ko) | 2024-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523049B (zh) | 一种真空管道运输车站系统 | |
KR101069525B1 (ko) | 튜브 카, 튜브 네트워크, 개인용 운송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
EP3458328B1 (en) | Station with loop configuration for hyperloop transportation system | |
KR101830638B1 (ko) | 초고속 튜브철도용 튜브 쉴드와 콘크리트 슬래브구조체를 일체화시킨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CN1111123C (zh) | 管道真空永磁补偿式悬浮列车-高架路-站系统 | |
CN109532850A (zh) | 一种用于真空管道磁悬浮车辆的旅客上下车通道 | |
US11492018B2 (en) | Door system for a vacuum train | |
EP0468099B1 (en) | A transport system with a minimum of two supporting point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inter-connected ring frames | |
KR102774071B1 (ko) |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EP3755530B1 (en) | Evacuated tube transport system tube | |
RU2252881C2 (ru) | Сверхзвуковая назем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янсуфина | |
CN209617127U (zh) | 一种用于真空管道磁悬浮车辆的旅客上下车通道 | |
JP2001048012A (ja) |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点検用の移動足場装置 | |
CN107724194B (zh) | 用于对物流运输车导向的导向轨及其配套装置 | |
CN114502446A (zh) | 高速运输系统 | |
US11492019B2 (en) | Tube segment and tube for evacuated tube transport system | |
CN107139937B (zh) | 一种地铁系统用作真空管道交通支线及车站的方法与系统 | |
CN105599775B (zh) | 一种真空管道运输高速车辆站台摆渡装置 | |
CN213973963U (zh) | 低真空管道的乘降系统、运行车辆及运输系统 | |
EP4103441B1 (en) |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nd isolating very large evacuated volumes | |
CN112590827A (zh) | 低真空管道的乘降系统、运行车辆及运输系统 | |
CN201190039Y (zh) | 运矿车的悬挂导向装置 | |
Kapur et al. | Industry 4.0: Hyperloop transportation system in India | |
KR20250084429A (ko) | 튜브트레인 운송관의 구간별 공간분할을 위한 구간차폐 장치 | |
CN222523488U (zh) | 一种车辆段场用地下物料输送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